KR102124884B1 - 어안 카메라 - Google Patents

어안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884B1
KR102124884B1 KR1020190008011A KR20190008011A KR102124884B1 KR 102124884 B1 KR102124884 B1 KR 102124884B1 KR 1020190008011 A KR1020190008011 A KR 1020190008011A KR 20190008011 A KR20190008011 A KR 20190008011A KR 102124884 B1 KR102124884 B1 KR 10212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ed
housing
led substrates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규
최치환
안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스
Priority to KR102019000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84B1/ko
Priority to US16/373,659 priority patent/US107284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4Optical details, e.g. printed circuits comprising integral optical means
    • H04N5/225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04N5/2254
    • H04N5/225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9PCB for one component, e.g. for mounting onto mother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27Non-rectangular flat PCB, e.g. circula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안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메인 회로기판은 베이스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된다. 중간 하우징은 카메라 모듈의 어안 렌즈를 인출시킨 상태로 메인 회로기판과 카메라 모듈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어 베이스 하우징에 고정된다. 브래킷은 복수의 LED 기판들을 중간 하우징의 외측 주변을 따라 배열시킨 상태로 각각 끼움 결합해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브래킷 본체와, 브래킷 본체에 인서트되어 LED 기판들과 접촉되는 금속체를 구비한다. 커버 하우징은 브래킷 및 중간 하우징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어 베이스 하우징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어안 카메라{Fish eye camera}
본 발명은 어안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안 렌즈를 채용하여 전방향 촬영(omnidirectional photographing)을 할 수 있는 어안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 카메라는 은행, 관공서, 병원, 사무실 등과 같이 출입자를 감시하거나 보안을 필요로 하는 곳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05664호(2012. 01. 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는 좀더 넓은 시야각을 얻기 위해 어안 렌즈를 채용한 어안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안 렌즈는 구면 수차를 이용하여 만든 초광각 렌즈로서, 180° 또는 그 이상의 시야를 갖는 화상을 어떤 한정된 크기의 범위 안에 마이너스 왜곡을 갖게 결상시키는 렌즈이다. 따라서, 어안 카메라는 어안 렌즈를 통해 전방향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어안 카메라는 야간이나 조도가 낮은 장소에서 적외선(infrared ray)으로 피사체를 조명해서 선명한 화상을 획득하도록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안 카메라는 적외선 LED들을 하우징 내에 조립하는 작업이 간소화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어안 카메라는 적외선 LED, 특히 고전력 적외선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내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적절한 방열 구조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립 작업이 간소화될 수 있고, 적절한 방열 구조로 인해 열적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어안 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안 카메라는 베이스 하우징과, 메인 회로기판과, 카메라 모듈과, 중간 하우징과, 복수의 LED 기판들과, 브래킷, 및 커버 하우징을 포함한다. 메인 회로기판은 베이스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된다. 카메라 모듈은 베이스 하우징의 내측에서 메인 회로기판에 접속되며, 어안 렌즈를 통해 전방향 촬영한다. 중간 하우징은 어안 렌즈를 인출시킨 상태로 메인 회로기판과 카메라 모듈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어 베이스 하우징에 고정된다. 복수의 LED 기판들은 적외선 LED를 적어도 1개씩 실장해서 메인 회로기판에 접속된다. 브래킷은 LED 기판들을 중간 하우징의 외측 주변을 따라 배열시킨 상태로 각각 끼움 결합해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브래킷 본체와, 브래킷 본체에 인서트되어 LED 기판들과 접촉되는 금속체를 구비한다. 커버 하우징은 브래킷 및 중간 하우징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어 베이스 하우징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래킷과 중간 하우징 및 LED 기판들 간의 조립 작업이 간소화될 수 있고, 적절한 방열 구조로 인해 열적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안 카메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중간 하우징으로부터 브래킷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브래킷으로부터 LED 기판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브래킷에 LED 기판을 끼움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브래킷의 내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브래킷 본체에 인서트되는 금속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제1 금속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 제2 금속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있어서, 제3 금속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LED 기판들이 금속판에 의해 직렬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안 카메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중간 하우징과 브래킷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안 카메라(100)는 베이스 하우징(110)과, 메인 회로기판(120)과, 카메라 모듈(130)과, 중간 하우징(140)과, 복수의 LED 기판(150)들과, 브래킷(160), 및 커버 하우징(170)을 포함한다.
베이스 하우징(110)은 외측 부위가 건물 등의 천장이나 벽에 고정되어, 어안 카메라(100)가 천장이나 벽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베이스 하우징(110)의 내측은 평판한 면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110)은 내측에 메인 회로기판(120)과 카메라 모듈(130)과 중간 하우징(140) 및 커버 하우징(170)과 볼팅 체결하기 위한 체결 구조물들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110)은 외측 둘레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110)은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110)의 플랜지(110a) 외벽은 커버 하우징(170)의 외곽 부위에 의해 감싸져 지지될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120)은 베이스 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된다. 메인 회로기판(120)은 베이스 하우징(110)의 내측에 볼팅 체결될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120)은 카메라 모듈(130)과 LED 기판(150)들과 접속된다. 메인 회로기판(120)은 전원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과 접속될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120)은 외부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카메라 모듈(130)로 출력해서 구동시키며, 카메라 모듈(130)로부터 촬영된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회로기판(120)은 외부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LED 기판(150)들로 출력해서 적외선 LED(151)들을 구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0)은 베이스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메인 회로기판(120)에 접속된다. 카메라 모듈(130)은 베이스 하우징(110)의 내측에 볼팅 체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0)은 어안 렌즈(131)를 통해 전방향 촬영한다. 어안 렌즈(131)는 구면 수차를 이용하여 만든 초광각 렌즈이다.
카메라 모듈(130)은 어안 렌즈(131)를 렌즈 경통(132)에 장착해서 지지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0)은 렌즈 경통(132)에 연결된 케이싱(133)에 이미지센서(미도시)를 내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어안 렌즈(131)에 의해 맺힌 광학적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30)은 어안 렌즈(131)를 통해 전방향 촬영한 영상을 메인 회로기판(1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중간 하우징(140)은 어안 렌즈(131)를 인출시킨 상태로 메인 회로기판(120)과 카메라 모듈(130)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어 베이스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중간 하우징(140)은 베이스 하우징(110)의 내측에 볼팅 체결될 수 있다. 중간 하우징(140)은 베이스 하우징(110)의 향한 쪽에 캐비티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베이스 하우징(110)과의 사이에 메인 회로기판(120)과 카메라 모듈(1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중간 하우징(140)은 중앙 홀(140a)을 통해 어안 렌즈(131)를 인출시킬 수 있다. 중앙 홀(140a)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 하우징(140)은 중앙 수평부(141)와 경사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수평부(141)는 베이스 하우징(110)의 내측면이 수평 배치된 기준으로, 중앙 홀(140a)의 주변을 따라 수평면을 이루게 형성된다. 경사부(142)는 중앙 수평부(141)의 외곽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게 경사져 형성된다. 중간 하우징(140)은 경사부(142)의 외곽에 베이스 하우징(1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간 하우징(140)은 중앙 홀(140a)의 주변에 조도 센서(180)를 장착할 수 있다. 조도 센서(180)는 주위의 밝기를 감지해서, 적외선 LED(151)의 구동 여부가 제어될 수 있게 한다. 중간 하우징(140)의 중앙 홀(140a)은 어안 렌즈(131)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어안 렌즈(131)의 외측에 링 지지체(190)를 끼울 수 있다.
링 지지체(190)는 어안 렌즈(131)를 감싼 상태로 중간 하우징(140)의 중앙 홀(140a)에 끼워져 어안 렌즈(131)를 지지할 수 있다. 링 지지체(190)는 조도 센서(180)의 감지 부위를 노출시키기 위한 홀을 가질 수 있다. 링 지지체(19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LED 기판(150)들은 적외선 LED(151)를 적어도 1개씩 실장해서 메인 회로기판(120)에 접속된다. 적외선 LED(151)들은 야간이나 조도가 낮은 장소에서 적외선으로 피사체를 조명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30)이 선명한 화상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LED 기판(150)은 커버 하우징(170)을 향한 면에 해당 적외선 LED(151)를 실장한다. LED 기판(150)들은 6개로 예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브래킷(160)은 브래킷 본체(161) 및 금속체(166)를 포함한다. 브래킷 본체(161)는 LED 기판(150)들을 중간 하우징(140)의 외측 주변을 따라 배열시킨 상태로 각각 끼움 결합해서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브래킷 본체(161)는 LED 기판(150)들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시킨 상태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LED 기판(150)들은 중간 하우징(140)의 외측 주변을 따라 나뉘어 배치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130)의 전방향 촬영을 위해 넓은 각도로 조명할 수 있다. 브래킷 본체(161)는 수지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 본체(161)는 전기적인 부도체, 즉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래킷 본체(161)는 중앙 홀(161a)을 통해 어안 렌즈(131)를 인출시킬 수 있다. 브래킷 본체(161)는 중앙 홀(161a)의 주변에 중간 하우징(140)을 향해 돌출된 후크(161b)들을 구비할 수 있다. 브래킷 본체(161)가 중간 하우징(140)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후크(161b)들은 중간 하우징(140)의 중앙 홀(140a)을 통과해서 중간 하우징(140)의 중앙 홀(140a)의 주변에 걸림으로써, 브래킷 본체(161)가 중간 하우징(140)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LED 기판(150)들이 중간 하우징(140)의 외측 주변을 따라 나뉘어 배치되더라도, 브래킷 본체(161)에 대한 조립 작업이 간소화됨으로 인해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LED 기판(150)들이 브래킷 본체(16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비교 예로서 LED 기판들을 브래킷으로 덮어 중간 하우징의 외측에 밀착시킨 상태로 브래킷을 중간 하우징에 볼팅 체결하는 것과 비교하면, 브래킷 본체(161)를 중간 하우징(140)에 볼팅 체결하지 않고도 중간 하우징(140)에 후크(161b)로 체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립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금속체(166)는 브래킷 본체(161)에 인서트되어 LED 기판(150)들과 접촉된다. 금속체(166)는 적외선 LED(151)들의 구동에 따른 LED 기판(150)들의 발열시 LED 기판(150)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주변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LED 기판(150)들을 원활히 방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안 카메라(100)의 내부는 적외선 LED(151), 특히 고전력 적외선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금속체(166)는 수지재의 브래킷 본체(161)에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금속체(166)가 사출 금형에 인서트된 상태로 브래킷 본체(161)가 사출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됨으로써, 금속체(166)는 브래킷 본체(161)에 일체화될 수 있다.
브래킷 본체(161)는 금속체(166)를 노출시키는 방열공(161c)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 본체(161)는 중간 하우징(140)과 마주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방열공(161c)들을 가질 수 있다. 방열공(161c)들은 금속체(166)를 주변 공기와 접촉시킴으로써, 금속체(166)와 주변 공기 간의 열교환을 더욱 원활히 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커버 하우징(170)은 브래킷(160) 및 중간 하우징(140)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어 베이스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커버 하우징(170)은 외측 둘레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하우징(170)은 외곽 부위가 베이스 하우징(110)의 플랜지(110a) 외벽을 감싼 상태로 베이스 하우징(110)에 볼팅 체결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70)은 어안 렌즈(131)와 대응되게 중앙 홀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171)는 커버 하우징(170)의 중앙 홀을 덮어서 어안 렌즈(131)를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171)는 어안 렌즈(131)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광 투과성을 갖는다. 윈도우(171)는 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외선 패스 필터(172)는 커버 하우징(170)의 중앙 홀 주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패스 필터(172)는 적외선 파장대역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로서, 외부에서 적외선 LED(151)들의 구동 상태가 보여지지 않게 블랙 마스킹 처리될 수 있다.
전술한 어안 카메라(100)에 의하면, 브래킷(160)과 중간 하우징(140) 및 LED 기판(150)들 간의 조립 작업이 간소화될 수 있고, 적절한 방열 구조로 인해 열적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브래킷으로부터 LED 기판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브래킷에 LED 기판을 끼움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브래킷의 내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브래킷 본체(161)는 LED 기판(150)들을 각각 슬라이딩 끼움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 본체(161)에 대한 LED 기판(150)들의 조립 작업이 간소화될 수 있다. 브래킷 본체(161)는 중앙 브래킷부(162)와, 홀딩부(16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브래킷부(162)는 중간 하우징(140)의 외측에서 어안 렌즈(131)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중앙 브래킷부(162)는 중앙 홀(161a)을 통해 어안 렌즈(131)를 인출시킨 상태로 어안 렌즈(131)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브래킷부(162)는 중간 하우징(140)을 향한 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중간 하우징(140)의 수평부(141)와 면접촉되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방열공(161c)들은 중앙 브래킷부(162)에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브래킷부(162)는 중간 하우징(140)을 향해 돌출된 정렬 돌기(162a)들을 가질 수 있다. 정렬 돌기(162a)들은 중앙 브래킷부(16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하우징(140)의 수평부(141)는 중앙 브래킷부(162)의 배치시 중앙 브래킷부(162)의 정렬 돌기(162a)들을 각각 끼우는 정렬 홀(141a)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160)은 중간 하우징(140)에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홀딩부(163)들은 중앙 브래킷부(162)의 외곽을 따라 배열되어 중간 하우징(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을 따라 LED 기판(150)들을 슬라이딩 끼움 결합해서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홀딩부(163)들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각각의 홀딩부(163)는 한 쌍의 지지편(163a)들과 탄성편(163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편(163a)들은 중앙 브래킷부(162)의 외곽으로부터 중앙 브래킷부(162)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각각 돌출되어 해당 LED 기판(150)의 일면 양쪽에 접촉된다. 금속체(166)는 LED 기판(150)들과 접촉되도록 지지편(163a)들로부터 각각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편(163a)들은 금속체(166)를 LED 기판(150)들에 접촉시킨 상태로 LED 기판(150)들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편(163a)들은 중간 하우징(140)의 경사부(142)와 동일한 각도로 중앙 브래킷부(162)로부터 절곡되어 돌출될 수 있다. 지지편(163a)은 일정 폭과 일정 두께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편(163a)은 사각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편(163b)은 중앙 브래킷부(162)의 외곽으로부터 지지편(163a)들 사이로 돌출되어 해당 LED 기판(150)의 타면을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탄성편(163b)은 지지편(163a)들과의 사이에 해당 LED 기판(150)을 중앙 브래킷부(162)의 반경 방향을 따라 끼울 때 탄성 변형됨으로써,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해당 LED 기판(150)을 지지편(163a)들로 가압해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홀딩부(163)는 중앙 브래킷부(162)의 반경 방향을 따라 해당 LED 기판(150)을 슬라이딩 끼움 결합해서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금속체(166)가 LED 기판(15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탄성편(163b)은 LED 기판(150)을 금속편(166)에 대해 방열을 위한 접촉뿐 아니라 전기적인 접촉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탄성편(163b)은 중앙 브래킷부(162)과 연결되는 부위가 해당 LED 기판(1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편(163b)은 해당 LED 기판(150)을 가압하는 탄성력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중앙 브래킷부(162)과 연결되는 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홀딩부(163)들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하우징(140)의 경사부(142)는 홀딩부(163)들과 각각 대응되게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된 가장자리 홀(142a)들을 가질 수 있다. 가장자리 홀(142a)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래킷(160)이 중간 하우징(140)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장자리 홀(142a)은 주변에 해당 LED 기판(150)을 지지해서 해당 탄성편(163b)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 홀(142a)은 해당 LED 기판(150)의 후단 양쪽에 형성된 돌기(150a)들을 내측으로 걸어서 지지할 수 있다. 중간 하우징(140)의 경사부(142)는 가장자리 홀(142a)들 사이에 추가적인 홀(142b)들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인 홀(142b)들은 중간 하우징(140)의 방열 또는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탄성편(163b)은 해당 LED 기판(150)의 끼움 방향을 기준으로 해당 LED 기판(150)의 후단을 걸도록 돌출된 걸림턱(163c)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LED 기판(150)은 홀딩부(163)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더욱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걸림턱(163c)은 해당 LED 기판(150)의 후단과 면접촉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편(163b)은 돌출된 단이 지지편(163a)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지지편(163a)들과의 사이에 해당 LED 기판(150)을 원활히 끼울 수 있다.
금속체(166)는 LED 기판(150)들을 직렬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금속체(166)는 LED 기판(150)들을 방열시키는 기능뿐 아니라, LED 기판(150)들 간에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LED 기판(150)은 해당 적외선 LED(151)와 접속되는 제1,2 전극(152a, 152b)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LED 기판(150)은 커버 하우징(170)을 향한 면에 제1,2 전극(152a, 152b)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체(166)는 제1 금속편(167)과, 제2 금속편(168), 및 제3 금속편(169)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금속편(167, 168)은 LED 기판(150)들 사이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대응 영역에서 상호 인접한 2개의 LED 기판(150)들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152a)과 다른 하나의 제2 전극(152b)에 각각 접촉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속편(167)은 몸체부(167a)가 중앙 브래킷부(162)에 매립되고, 연장부(167b)가 몸체부(167a)로부터 해당 지지편(163a)과 나란하게 절곡되어 연장된다. 몸체부(167a)는 통공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67a)는 브래킷 본체(161)의 사출 성형시 통공 내에 브래킷 본체(161)의 일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브래킷 본체(16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연장부(167b)는 해당 지지편(163a)으로부터 해당 LED 기판(150)을 향해 노출되어 해당 LED 기판(150)의 제1 전극(152a)과 접촉될 수 있다. 연장부(167b)는 해당 LED 기판(150)의 제1 전극(152a)과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면접촉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167b)는 일정 폭과 일정 두께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금속편(167)은 해당 지지편(163a)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속편(168)은 몸체부(168a)가 중앙 브래킷부(162)에 매립되고, 연장부(168b)가 몸체부(168a)로부터 해당 지지편(163a)과 나란하게 절곡되어 연장된다. 몸체부(168a)는 통공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68a)는 브래킷 본체(161)의 사출 성형시 통공 내에 브래킷 본체(161)의 일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브래킷 본체(16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연장부(168b)는 해당 지지편(163a)으로부터 해당 LED 기판(150)을 향해 노출되어 해당 LED 기판(150)의 제2 전극(152b)과 접촉될 수 있다. 연장부(168b)는 해당 LED 기판(150)의 제2 전극(152b)과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면접촉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168b)는 일정 폭과 일정 두께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금속편(168)은 해당 지지편(163a)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금속편(168)은 제1 금속편(167)과 대칭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금속편(169)들은 LED 기판(150)들 사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대응 영역들에서 상호 인접한 2개의 LED 기판(150)들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152a)과 다른 하나의 제2 전극(152b)에 공통되게 접촉되어 해당 제1,2 전극(152a, 152b)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3 금속편(169)은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금속편(169)은 몸체부(169a)가 중앙 브래킷부(162)에 매립되고, 한 쌍의 연장부(169b)가 몸체부(169a)로부터 해당 지지편(163a)들과 나란하게 절곡되어 연장된다. 몸체부(169a)는 통공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69a)는 브래킷 본체(161)의 사출 성형시 통공 내에 브래킷 본체(161)의 일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브래킷 본체(16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연장부(169b)들은 해당 지지편(163a)들로부터 해당 LED 기판(150)들을 향해 노출되어 해당 LED 기판(150)들의 제1,2 전극(152a, 152b)과 접촉될 수 있다. 연장부(169b)들은 해당 LED 기판(150)들의 제1,2 전극(152a, 152b)과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면접촉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169b)는 일정 폭과 일정 두께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금속편(169)은 해당 지지편(163a)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기판(150)들은 제1,2 금속편(167, 168)과 접촉되는 제1,2 전극(152a, 152b)이 메인 회로기판(120)에 커넥터(121)에 의해 연결되면, 제3 금속편(169)들에 의해 전체적으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2 금속편(167, 168)과 접촉되는 제1,2 전극(152a, 152b)만 메인 회로기판(120)에 커넥터(121)에 의해 연결하면 모든 LED 기판(150)들을 직렬 연결할 수 있으므로, 비교예로서 LED 기판들을 커넥터들에 의해 메인 회로기판에 일일이 연결하는 것과 비교하면, LED 기판(150)들과 메인 회로기판(120)을 결선하는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베이스 하우징
120..메인 회로기판
130..카메라 모듈
131..어안 렌즈
140..중간 하우징
150..LED 기판
151..적외선 LED
160..브래킷
161..브래킷 본체
166..금속체
170..커버 하우징

Claims (10)

  1.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는 메인 회로기판;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메인 회로기판에 접속되며, 어안 렌즈를 통해 전방향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어안 렌즈를 인출시킨 상태로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카메라 모듈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고정되는 중간 하우징;
    적외선 LED를 적어도 1개씩 실장해서 상기 메인 회로기판에 접속되고, 해당 적외선 LED와 접속되는 제1,2 전극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LED 기판들;
    상기 LED 기판들을 상기 중간 하우징의 외측 주변을 따라 배열시킨 상태로 각각 끼움 결합해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브래킷 본체와, 상기 브래킷 본체에 인서트된 상태로 상기 브래킷 본체로부터 일부 노출되어 상기 LED 기판들의 제1,2 전극들과 접촉되되 상기 LED 기판들을 직렬 연결하도록 형성된 금속체를 구비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 및 중간 하우징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고정되는 커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체는,
    상기 LED 기판들 사이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대응 영역에서 상호 인접한 2개의 LED 기판들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과 다른 하나의 제2 전극에 각각 접촉되는 제1,2 금속편과,
    상기 LED 기판들 사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대응 영역들에서 상호 인접한 2개의 LED 기판들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과 다른 하나의 제2 전극에 공통되게 접촉되어 해당 제1,2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금속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편은 몸체부가 상기 브래킷 본체에 매립되고 연장부가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브래킷 본체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해당 LED 기판의 제1 전극과 접촉되며;
    상기 제2 금속편은 몸체부가 상기 브래킷 본체에 매립되고 연장부가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브래킷 본체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해당 LED 기판의 제2 전극과 접촉되며;
    상기 제3 금속편은 몸체부가 상기 브래킷 본체에 매립되고 연장부들이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브래킷 본체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해당 LED 기판들의 제1,2 전극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LED 기판들을 각각 슬라이딩 끼움 결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중간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어안 렌즈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중앙 브래킷부와,
    상기 중앙 브래킷부의 외곽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중간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LED 기판들을 슬라이딩 끼움 결합해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홀딩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홀딩부는,
    상기 중앙 브래킷부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중앙 브래킷부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각각 돌출되어 해당 LED 기판의 일면 양쪽에 접촉되는 한 쌍의 지지편들과,
    상기 중앙 브래킷부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지지편들 사이로 돌출되어 해당 LED 기판의 타면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해당 LED 기판의 끼움 방향을 기준으로 해당 LED 기판의 후단을 걸도록 돌출된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카메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체는 상기 LED 기판들과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편들로부터 각각 노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카메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체는 수지재의 브래킷 본체에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카메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금속체를 노출시키는 방열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카메라.
KR1020190008011A 2019-01-22 2019-01-22 어안 카메라 KR10212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11A KR102124884B1 (ko) 2019-01-22 2019-01-22 어안 카메라
US16/373,659 US10728431B1 (en) 2019-01-22 2019-04-03 Fish eye camera having a bracket which elastically supports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 (LED) substr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11A KR102124884B1 (ko) 2019-01-22 2019-01-22 어안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884B1 true KR102124884B1 (ko) 2020-06-23

Family

ID=7113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011A KR102124884B1 (ko) 2019-01-22 2019-01-22 어안 카메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28431B1 (ko)
KR (1) KR1021248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462A (ko) * 2020-02-24 2021-09-0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카메라용 돔 및 이를 포함한 감시카메라
US11825182B2 (en) 2020-10-12 2023-11-21 Waymo Llc Camera module with IR LEDs for uniform illumination
TWI806218B (zh) * 2021-11-03 2023-06-21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電路板模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2600A (ja) * 2003-08-25 2005-03-17 Osram Sylvania Inc 挿入可能なled基板を備えたledランプ及びそのランプの製造方法
JP2015076872A (ja) * 2013-10-09 2015-04-20 スリーイーサイエンス株式会社 監視カメラ付き照明装置
KR20180001244A (ko) * 2016-06-27 2018-01-0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6929B2 (ja) * 2006-03-03 2010-10-20 富士通株式会社 撮像装置
TWM395972U (en) * 2010-07-07 2011-01-01 Vivotek Inc Image sensor
KR20120005664A (ko) 2010-07-09 2012-01-17 주식회사 시스하이텍 Cctv 카메라의 어안 영상의 평면 영상 변환 장치
CN203968223U (zh) * 2014-07-11 2014-11-26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红外灯的鱼眼摄像机
US10750070B2 (en) * 2015-12-18 2020-08-18 Ligitek Electronics Co., Ltd. Light-emitting diode and surveillance camera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2600A (ja) * 2003-08-25 2005-03-17 Osram Sylvania Inc 挿入可能なled基板を備えたledランプ及びそのランプの製造方法
JP2015076872A (ja) * 2013-10-09 2015-04-20 スリーイーサイエンス株式会社 監視カメラ付き照明装置
KR20180001244A (ko) * 2016-06-27 2018-01-0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6252A1 (en) 2020-07-23
US10728431B1 (en)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884B1 (ko) 어안 카메라
KR200252100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불렛 카메라
JP6768825B2 (ja) 遮蔽された撮像素子回路を伴うカメラアセンブリ
KR102468410B1 (ko) 카메라 모듈
JP687406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2007049369A (ja) 撮像素子パッケージの保持構造、及びレンズユニット
KR20160009749A (ko) 적외선 led 감시카메라
CN109257526A (zh) 摄像设备
KR102505950B1 (ko) 카메라모듈 조립체
CN104871081B (zh) 相机模块以及具有该相机模块的相机装置
JP4448009B2 (ja) 監視カメラ
WO2017073081A1 (ja) 電子機器
JP2018164190A (ja) 撮像装置
TWI625589B (zh) 燈杯及攝影機
KR20190012339A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EP4167560A1 (en) Camera module
CN211152038U (zh) 一种摄像装置
WO2017073078A1 (ja) 電子機器
KR20180137139A (ko) 카메라 모듈
CN214851489U (zh) 工业相机及仓储机器人
CN220307291U (zh) 广角镜头模块及拍摄装置
CN220475888U (zh) 监控设备
CN110677562A (zh) 一种摄像头组件及终端设备
CN214474365U (zh) 摄像模组和摄像装置
CN219875906U (zh) 一种带除雾功能的摄像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