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684B1 - 촬영 장치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684B1
KR102345684B1 KR1020170077159A KR20170077159A KR102345684B1 KR 102345684 B1 KR102345684 B1 KR 102345684B1 KR 1020170077159 A KR1020170077159 A KR 1020170077159A KR 20170077159 A KR20170077159 A KR 20170077159A KR 102345684 B1 KR102345684 B1 KR 102345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light source
case
light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683A (ko
Inventor
황선민
박진영
유용학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684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04N5/2252
    • H04N5/2253
    • H04N5/2254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조도 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1광원과 제2광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 상기 격벽부의 타측 면에 배치된 반사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와 상기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촬영 장치 및 자동차{IMAGING DEVICE AND CAR}
본 실시예는 촬영 장치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과 결합할 수 있다. 야간 촬영을 위해 조도 센서 및 LED 광원과 결합된 카메라 모듈을 촬영 장치라고 한다.
한편, 차량 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촬영 장치가 결합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촬영 장치는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촬영 장치는 야간 촬영 시, LED 광원의 광이 조도 센서로 조사됨으로써 주간으로 인식하는 문제가 있다. 또, 촬영 영역에 LED 광원의 광이 제대로 조사되지 않아, 촬영 영상을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야간 촬영 시, LED 광원의 광이 조도 센서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야간 촬영을 위한 조명이 충분히 확보된 촬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조도 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1광원과 제2광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 상기 격벽부의 타측 면에 배치된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제2광원보다 상기 격벽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광 흡수 재질을 포함하거나, 광 흡수 재질로 코팅되거나, 아노다이징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은 상기 격벽부와 0.5mm 이상 간극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하는 광 투과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위로 연장된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광 투과 필터 및 상기 베이스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위에 배치되며, 상기 조도 센서와 상기 광원부가 실장된 제1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아래에 상기 제1광원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된 제1방열부와, 상기 베이스의 아래에 상기 제2광원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된 제2방열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이 배치된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과 아래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홀에 배치된 렌즈 모듈과,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는 도어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촬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장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조도 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1광원과 제2광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 상기 격벽부의 타측 면에 배치된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는 격벽부에 의해 제1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조도 센서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는 반사부에 의해 제1광원의 광이 반사됨으로써, 부족한 야간 조명을 보상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수직으로 절단된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를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의 촬영 범위와 광원부의 조명 범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의 왼쪽은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에서 격벽부에 의한 광 차단 효과와 광 반사 효과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의 오른쪽은 제1광원과 격벽부의 간극이 크고, 반사부가 생략된 경우의 광 차단 효과와 광 반사 효과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1)는 바디(2), 디스플레이(미도시),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 및 촬영 장치(l0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는 자동차(1)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바디(2)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 모노코크 타입(Monocoque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디(2)는 도어(3)와 글라스(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3)가 결합할 수 있다. 또, 바디(2)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필러가 형성된 부분) 및 도어(3)에는 글라스(4)가 결합할 수 있다.
바디(2)는 헤드 램프(5)와 테일 램프(6)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의 전방에는 헤드 램프(5)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2)의 후방에는 테일 램프(6)가 장착될 수 있다. 헤드 램프(5)는 자동차(1)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다. 헤드 램프(5)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리어 램프(6)는 자동차(1)의 후방을 조명할 수 있다. 리어 램프(6)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0)는 자동차(1)에 부품으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0)는 "차량용 촬영 장치"로 호칭할 수 있다. 바디(2)의 측부 또는 하나 이상의 도어(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촬영 장치(10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0)는 바디(2)의 전방 후방 측방 및 1 이상의 도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0)는 바디(2)의 전방부(그릴, 앰블렘, 범퍼 등), 바디(2)의 측부(사이드 아우터 또는 가니쉬 등), 바디(2)의 후방부(트렁크, 앰블렘, 가니쉬, 범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촬영 장치(1000)는 도어(3)에 결합된 글라스(4)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차(1)의 사이드 미러(7)는 카메라 모듈(1000)로 대체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자동차(1)에 전장 부품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00) 자체에 존재할 수 있다.
자동차(1) 내부에는 공간(룸, room)이 마련될 수 있다. 자동차(1) 내부의 센터페시아(미도시)에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촬영 장치(1000)에서 촬영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0)는 자동차(1)의 내부(룸, room)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장치(1000)는 자동차(1)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장치(1000)는 "블랙 박스"로 호칭될 수 있다.
촬영 장치(1000)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촬영 장치(1000)는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촬영 장치(1000)는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각종 구동 신호와 제어 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변환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0)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는 전자 제어 유닛(ECU)에 의해 변환되어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수직으로 절단된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를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0)는 케이스(100), 조도 센서(200), 제1광원(300-1), 제2광원(300-2), 카메라 모듈(400), 반사부(500), 광 투과 필터(600), 제1기판(700), 제2기판(800) 및 커넥터(9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외장 부재일 수 있다.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케이스(1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베이스(110), 측벽부(120), 격벽부(130), 홀(140), 제1방열부(150) 및 제2방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 측벽부(120), 격벽부(130), 홀(140), 제1방열부(150) 및 제2방열부(16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광 흡수 재질을 포함하거나, 광 흡수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검정색 무광으로 아노다이징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케이스(100)에서 반사부(500)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광이 흡수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가장자리(변)에서 위로 연장된 측벽(120)에 의해, 윗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측벽부(130)의 상부에는 광 투과 필터(600)가 커버 글라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개방된 윗면은 광 투과 필터(6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위에는 제1기판(7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110)의 윗면과 제1기판(700)의 아랫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또, 베이스(110)는 제1기판(70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110)의 아래에는 간극을 두고 제2기판(800)이 배치될 수 있다.
격벽부(130)는 측벽부(120)와 이격되어 베이스(110)의 아랫면 내측에서 위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격벽부(130)는 베이스(110)와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격벽부(130)는 광 투과 필터(600)와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은 격벽부(130)에 의해 일측과 타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격벽부(130)는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완전히 분리하여,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2개의 격실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격벽부(130)는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서로 연결된 2개의 섹터를 형성할 수도 있다. 격벽부(130)의 타측 면에는 반사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홀(140)은 베이스(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홀(140)은 카메라 모듈 수용부가 될 수 있다. 홀(140)는 격벽부(130)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홀(140)의 내부에는 카메라 모듈(400)이 배치될 수 있다. 홀(140)은 베이스(110)에서 위로 돌출되고, 베이스(110)에서 아래로 연장된 하우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홀(140)을 형성하는 하우징은 제2기판(80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홀(140)도 제2기판(800)까지 연장될 수 있다. 홀(140)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하단부는 제2기판(800)의 윗면에 접촉할 수 있다. 홀(140)을 형성하는 하우징은 제2기판(800)과 접착되거나, 스크류 등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할 수 있다.
제1방열부(160)는 베이스(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방열부(160)는 격벽부(130)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방열부(160)는 제1광원(300-1)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방열부(160)는 제1광원(300-1)에서 방출된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방열부(160)는 복수 개의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열부(160)의 복수 개의 방열핀은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제1방열부(160)의 복수 개의 방열핀은 베이스(1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2방열부(170)는 베이스(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방열부(170)는 격벽부(130)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방열부(170)는 제2광원(300-2)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방열부(170)는 제2광원(300-2)에서 방출된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2방열부(170)는 복수 개의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열부(170)의 복수 개의 방열핀은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제2방열부(170)의 복수 개의 방열핀은 베이스(1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를 자동차(1)에 장착하는 경우, 베이스(110) 상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베이스(110) 하부는 자동차(1)의 바디(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판(800)과 제2기판(800)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420)와 커넥터(900) 같은 전자 부품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케이스(100)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케이스에 제2기판을 수용하는 별도의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는 모두 외부로 노출되어, 자동차(1)에 장착될 수 있다.
조도 센서(200)는 촬영 장치(10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조도 센서(200)는 야간과 주간을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2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조도 센서(200)는 격벽(130)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조도 센서(200)는 제1기판(700)에 실장될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은 격벽부(130)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은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은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 사이에는 카메라 모듈(4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은 제1기판(700)에 실장될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은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은 적외선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은 위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은 조도 센서(200)가 야간으로 판단하면 On될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은 야간 촬영을 위한 조명일 수 있다.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에 의해, 야간 촬여을 위한 충분한 조도가 확보될 수 있다.
제1광원(300-1)은 제2광원(300-2)보다 격벽부(13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광원(300-1)은 격벽부(130)와 0.5mm 이상 간극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광원(300-1)과 격벽부(130)의 최단 거리는 0.5mm 이상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0)은 격벽부(130)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0)은 홀(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홀(140)을 형성하는 하우징은 카메라 모듈(400)의 외장 부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400)에서는 렌즈 모듈(140)과 이미지 센서(420)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이 필요하지 않다. 카메라 모듈(400)은 렌즈 모듈(410) 및 이미지 센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410)은 간극을 두고 적층된 복수 개의 렌즈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렌즈는 홀(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렌즈는 홀(1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렌즈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홀(140)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렌즈와 홀(140)의 결합 부분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렌즈 모듈(410)이 렌즈 배럴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렌즈는 렌즈 배럴에 장착된 상태로, 홀(14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배럴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홀(140)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배럴과 홀(140)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결합 부분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홀(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홀(1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제2기판(8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렌즈 모듈(410)의 광축에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에는 렌즈 모듈(410)을 투과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획득한 광을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는 자동차(1)의 전자 제어 유닛에 전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42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부(5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500)는 격벽부(130)의 타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500)는 격벽부(130)에서 제1광원(300-1)과 대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500)는 거울과 같은 광 반사 효과가 있는 광학 소자이거나, 반사 코팅일 수 있다.
광 투과 필터(600)는 케이스(1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투과 필터(600)는 베이스(1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 투과 필터(600)는 측벽부(120) 및 격벽부(130)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 투과 필터(600)의 아랫면은 측벽부(120) 및 격벽부(130)와 접촉할 수 있다. 광 투과 필터(600)는 커버 글라스와 같은 형태로 케이스(100)에 장착되어, 케이스(100)의 상측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광 투과 필터(600)는 Dual Band Pass filter일 수 있다. 광 투과 필터(600)는 가시광선 대역과,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에서 출사되는 광 대역을 투과시킬 수 있다. 광 투과 필터(600)는 가시광선 대역과 적외선 대역을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간에는 가시광선이 광 투과 필터(600)를 투과하여, 이미지 센서(420)로 조사될 수 있다. 또, 야간에는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에서 출사된 광이 재귀하여 이미지 센서(420)로 조사될 수 있다.
제1기판(7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700)은 베이스(11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700)은 커넥터(900)에 의해 제2기판(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기판(700)에는 조도 센서(200),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700)에는 다양한 제어 유닛이 칩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제1기판(700)의 제어 유닛은 조도 센서(200)로부터 촬영 장치(100) 주변의 조도를 전자 신호 형태로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주간인지 야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1기판(700)의 제어 유닛은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의 On/Off 및 휘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2기판(800)은 케이스(1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800)은 베이스(110)와 아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800)은 제1기판(700)과 아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800)에는 이미지 센서(420)가 실장될 수 있다. 제2기판(800)은 커넥터(900)에 의해 제1기판(9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기판(800)은 자동차(1)의 전자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기판(800)에는 다양한 제어 유닛이 칩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제2기판(800)의 제어 유닛은 제2기판(800)은 자동차(1)의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원과 다양한 전자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제1기판(7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차(1)의 전자 제어 유닛의 전원과 전자 제어 신호는 제2기판(800)의 제어 유닛에 의해 변환될 수 있다. 제2기판(800)의 제어 유닛은 이미지 센서(420)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달받아 자동차(1)의 전자 제어 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센서(420)의 영상 신호는 제2기판(800)의 제어 유닛에 의해 변환될 수 있다.
커넥터(900)는 케이스(1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900)는 베이스(1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900)는 제1기판(700)과 제2기판(8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900)는 제1기판(700)에 실장되는 제1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900)의 제1단자는 위로 연장되고, 베이스(110)를 관통하여, 제1기판(700)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900)는 제2기판(800)에 실장되는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900)의 제2단자는 아래로 연장되어 제2기판(8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0)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의 촬영 범위와 광원부의 조명 범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의 왼쪽은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에서 격벽부에 의한 광 차단 효과와 광 반사 효과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의 오른쪽은 제1광원과 격벽부의 간극이 크고, 반사부가 생략된 경우의 광 차단 효과와 광 반사 효과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촬영 장치(1000)는 주간과 야간 모두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조도 센서(200)는 촬영 장치(100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고, 야간으로 감지된 경우,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이 On되어 적외선 대역 촬영이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0)에서는 카메라 모듈(400)이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의 조명 영역(B1,B2)이 카메라 모듈(400)의 촬영 영역(A, Filed Of View)에 2중 오버랩(R1)되므로, 야간 촬영을 위한 충분한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만, 광학적 설계상, 제1광원(300-1) 및 제2광원(300-2)의 광이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R2,R3). 이러한 영역에서는 야간 촬영을 위한 충분한 조도가 확보되지 않아 문제된다.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0)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사부(500)를 추가하였다. 도 5의 왼쪽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광원(300-1)에서 제1영역의 광(L1)이 반사부(500)에 의해 반사되어 조명 영역(B1,B2)으로 조사될 수 있다. 제1광원(300-1)의 반사광은 조명 영역(B1,B2)의 조도를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도 5의 오른쪽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부(500)가 없는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야간 촬영을 위한 충분한 조도를 보충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인 촬영 장치에서는 제1광원(300-1)에서 출사된 광이 광 투과 필터(600)에 의해 반사되어, 조도 센서(200)에 조사될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광원(300-1)에서 제2영역의 광(L2)이 광 투과 필터(600)에 반사되어 조도 센서(200)에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영역의 광(L2)에 의해, 조도 센서(200)가 야간을 주간으로 감지하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0)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격벽부(130)가 추가되었다. 도 5의 왼쪽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광원(300-1)에서 출사된 광은 격벽부(130)의 윗면에서 흡수되어 조도 센서(200)로 조사되지 않는다.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부(130)와 제1광원(300-1)은 가깝게 배치될수록 좋다. 도 5의 왼쪽과 오른쪽을 비교하면, 격벽부(130)가 제1광원(300-1)에 가깝게 배치되면, 제1영역의 광(L1)이 제2영역의 광(L2)보다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반사부(500)에 의해 반사되어 야간 조명을 보충하는 광이 많아지고(광 반사 효과 상승), 광 투과 필터(600)에 반사되어 조도 센서(200)에 조사되는 광은 적이진다(광 차단 효과 상승). 또, 제2영역의 광(L2)이광 투과 필터(600)에 입사되는 입사각이 작아져, 격벽부(130)에 의해 흡수되는 제2영역의 광(L2)이 많아 진다(광 차단 효과 상승).
다만,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1000)에서는 제1광원(300-1)과 격벽부(130)가 0.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광원(300-1)과 격벽부(130)가 0.5mm 이상이어야 제1광원(300-1)을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격벽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조도 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1광원과 제2광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격벽부의 타측 면에 배치된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의 상면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되는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제2광원보다 상기 격벽부에 가깝게 배치된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광 흡수 재질을 포함하거나, 광 흡수 재질로 코팅되거나, 아노다이징 처리된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은 상기 격벽부와 0.5mm 이상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격벽부의 상면은 광 흡수 재질로 이루어지는 촬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하는 광 투과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위로 연장된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광 투과 필터 및 상기 베이스와 수직으로 배치된 촬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위에 배치되며, 상기 조도 센서와 상기 광원부가 실장된 제1기판을 포함하는 촬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아래에 상기 제1광원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된 제1방열부와, 상기 베이스의 아래에 상기 제2광원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된 제2방열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이 배치된 홀을 포함하는 촬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과 아래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홀에 배치된 렌즈 모듈과,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10. 도어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제1항의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70077159A 2017-06-19 2017-06-19 촬영 장치 및 자동차 KR102345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159A KR102345684B1 (ko) 2017-06-19 2017-06-19 촬영 장치 및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159A KR102345684B1 (ko) 2017-06-19 2017-06-19 촬영 장치 및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683A KR20180137683A (ko) 2018-12-28
KR102345684B1 true KR102345684B1 (ko) 2021-12-31

Family

ID=6500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159A KR102345684B1 (ko) 2017-06-19 2017-06-19 촬영 장치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8535B2 (en) * 2021-05-05 2023-01-17 Zf Active Safety And Electronics Us Llc Integrated lens mount and heat sin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4396A (ja) * 2010-10-27 201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74B1 (ko) * 2006-03-08 2008-09-29 엠텍비젼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582327B1 (ko) * 2014-01-28 2016-01-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led 감시 카메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4396A (ja) * 2010-10-27 201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683A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4052B1 (en) Common cover lens for camera and illuminators
US7609961B2 (en) Vehicle camera
CN109076150B (zh) 相机模块和车辆
US11178322B2 (en) Camera module and automobile
CN112615992B (zh) 摄像装置、车辆和后视镜
US20150277000A1 (en) Domed surveillance camera including means for blocking scattered reflection and stray light
US20200189451A1 (en) Puddle lamp with static and dynamic image projection
KR102358698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11159704B2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KR102345684B1 (ko) 촬영 장치 및 자동차
KR1024154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150065169A (ko)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KR20170142404A (ko) 카메라모듈 조립체
KR102345685B1 (ko) 카메라 모듈
WO2022217620A1 (zh) 一种摄像头、驾驶员监测系统和车辆
CN219980943U (zh) 隔光散热结构和摄像模组
CN113085732A (zh) 摄像装置、车辆和后视镜
JP7108853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車両
KR102500367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190069834A (ko) 차량용 나이트 비전 장치
US1183860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7479666B2 (ja) 防犯カメラ付き屋外用照明器具
KR102662213B1 (ko) 조명장치 및 촬영 시스템
KR102666968B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2023007263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