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213B1 - 조명장치 및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및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213B1
KR102662213B1 KR1020170020888A KR20170020888A KR102662213B1 KR 102662213 B1 KR102662213 B1 KR 102662213B1 KR 1020170020888 A KR1020170020888 A KR 1020170020888A KR 20170020888 A KR20170020888 A KR 20170020888A KR 102662213 B1 KR102662213 B1 KR 10266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disposed
lighting device
main bod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583A (ko
Inventor
유용학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2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본 실시예는, 서로 이격된 제1면과 제2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제3면과 제4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본체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 상기 제1면, 상기 제3면, 상기 제4면에 배치된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단자와 외부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자동차의 헤드램프 또는 리어램프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부는, 적외선을 출사하는 복수 개의 제1광원; 가시광선을 출사하는 복수 개의 제2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에는, 상기 제1광원의 비율이 상기 제2광원의 비율보다 높은 조명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장치 및 촬영 시스템{LIGHT EMITT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SYSTEM}
본 실시예는 조명장치 및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차량용 조명장치는, 헤드램프, 테일램프, 내부 무드등 등에 사용되는 광출사 모듈로,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에 조사된다.
한편, 차량 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카메라 모듈이 결합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차량용 조명장치는, 가시광선을 조사하고, 카메라 모듈은 조명장치의 조사 영역을 촬영한다. 그러나 가시광선만 조사되면, 야간, 차량의 터널 진입 시, 카메라 모듈의 야간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의 야간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차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는, 서로 이격된 제1면과 제2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제3면과 제4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본체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 상기 제1면, 상기 제3면, 상기 제4면에 배치된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단자와 외부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자동차의 헤드램프 또는 리어램프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부는, 적외선을 출사하는 복수 개의 제1광원; 가시광선을 출사하는 복수 개의 제2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에는, 상기 제1광원의 비율이 상기 제2광원의 비율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3면에는, 상기 제1광원만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면은, 상기 제3면 측에 형성된 제1영역과 상기 제4면 측에 형성된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제1광원의 비율이 상기 제2광원의 비율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제1광원만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면은,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과 경사지게 배치된 제5면;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과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5면과 이격된 제6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면과 상기 제6면에는 광원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각뿔대 형태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과 상기 제5면과 상기 제6면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의 면적은, 상기 제2면, 상기 제3면, 상기 제4면, 상기 제5면 및 상기 제6면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에 배치된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은, 좌우 방향으로 발산되고, 상기 제5면과 상기 제6면에 배치된 광원에서 출사된 광은, 상하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은, 자동차의 외부 또는 내부로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출사하는 조명장치; 상기 조명장치에서 출사된 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에 실장된 이미지센서;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서로 이격된 제1면과 제2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제3면과 제4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본체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 상기 제1면, 상기 제3면, 상기 제4면에 배치된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단자와 외부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자동차의 헤드램프 또는 리어램프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부는, 적외선을 출사하는 복수 개의 제1광원; 가시광선을 출사하는 복수 개의 제2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에는, 상기 제1광원의 비율이 상기 제2광원의 비율보다 높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는, 제1광원에 의해 적외선을 출사하고, 제2광원에 의해 가시광선을 출사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야간 시인성과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한 조명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제1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제1실시예의 조명장치의 본체와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제1실시예의 조명장치의 본체가 각뿔대 형태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제1실시예의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제1실시예의 제1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제1실시예의 제3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제1실시예의 제4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9은 본 제1실시예의 제5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제1실시예의 제6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제2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제2실시예의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에 나타난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z축의 화살표 방향은 "상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나타난 x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x축의 활살표 방향은, "우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나타난 y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y축의 화살표 방향은, "전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이 장착되는 자동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1)는 바디(2), 도어(3), 글라스(4), 헤드램프(5), 테일램프(6), 룸램프(미도시) 및 카메라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는 자동차(1)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바디(2)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 모노코크 타입(Monocoque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디(2)의 측면에는 1 이상의 도어(3)가 결합할 수 있다. 또, 바디(2)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필러가 형성된 부분) 및 도어(3)에는 글라스(4)가 결합할 수 있다. 바디(2)의 하부의 전방에는 헤드램프(5)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2)의 하부의 후방에는 테일램프(6)가 장착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자동차(1)의 우측에 배치된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전방 및/또는 우측을 조명할 수 있다. 자동차(1)의 좌측에 배치된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전방 및/또는 좌측을 조명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가 연결되는 제1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100)가 제1커넥터에 장착되고, 커버글라스로 덮여 헤드램프(5)를 구성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후방을 조명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자동차(1)의 우측에 배치된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후방 및/또는 우측을 조명할 수 있다. 자동차(1)의 좌측에 배치된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후방 및/또는 좌측을 조명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가 연결되는 제2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100)가 제2커넥터에 장착되고, 커버글라스로 덮여 리어램프(6)를 구성할 수 있다.
룸램프는 자동차(1)의 내부를 조명할 수 있다. 룸램프는 자동차(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룸램프는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가 연결되는 제3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100)가 제3커넥터에 장착되고, 커버글라스로 덮여 룸램프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은 자동차(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은 "차량용 카메라"로 호칭될 수 있다.
바디(2)의 측부 또는 1 이상의 도어(3) 중 적어도 1 이상에는 카메라 모듈(10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은 바디(2)의 전방 후방 측방 및 1 이상의 도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00)은 바디(2)의 전방부(그릴, 앰블렘, 범퍼 등), 바디(2)의 측부(사이드 아우터 또는 가니쉬 등), 바디(2)의 후방부(트렁크, 앰블렘, 가니쉬, 범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카메라 모듈(200)은 도어(3)에 결합된 글라스(4)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1)의 사이드 미러는 카메라 모듈(200)로 대체될 수 있다.
또, 카메라 모듈(200)은 자동차(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200)은 자동차(1)의 내부를 촬영하는 블랙 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2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 제어 유닛(ECU)에 의해 제어되어 디스플레이부(11)에서 재생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자동차(1)에 전장 부품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20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자동차(1)의 내부에는 운전자를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자동차(1)의 내부의 센터페시아(10)에는 디스플레이부(11)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카메라 모듈(200)이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제1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제1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제1실시예의 조명장치의 본체와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제1실시예의 조명장치의 본체가 각뿔대 형태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제1실시예의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제1실시예의 제1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제1실시예의 제3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8은 본 제1실시예의 제4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9은 본 제1실시예의 제5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제1실시예의 제6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본 제1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은, 자동차(1)의 외부를 촬영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제1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은, 조명장치(100)와 카메라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100)는, 자동차(1)의 외부로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출사할 수 있다. 조명장치(100)는 헤드램프(5) 또는 리어램프(6)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조명장치(100)는 헤드램프(5) 또는 리어램프(6)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헤드램프(5)와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배치되어 쌍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명장치(100)가 자동차(1)의 우측에 배치된 헤드램프(5)에 사용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조명장치(100)는 본체(110), 단자(120) 및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고, 단자(120)와 광원부가 실장되는 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110)는 외측으로 노출된 기판의 배치에 의해, 제1면(111), 제2면(112), 제3면(113), 제4면(114), 제5면(115) 및 제6면(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111)과 제2면(11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면(111)과 제2면(112)은 내측이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면(111)과 제2면(112)은 내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면(111)과 제2면(112)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면(113)과 제4면(114)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면(113)과 제4면(114)은 제1면(111)과 제2면(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면(113)과 제4면(114)은 내측이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면(113)과 제4면(114)은 내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면(113)과 제4면(114)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면(115)과 제6면(116)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5면(115)과 제6면(116)은 제1면(111)과 제2면(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면(115)과 제6면(116)은 제3면(113)과 제4면(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면(115)과 제6면(116)은, 제3면(113) 및 제4면(114)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5면(115)과 제6면(116)은, 제3면(113) 및 제4면(114)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5면(115)과 제6면(116)은 내측이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5면(115)과 제6면(116)은 내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5면(115)과 제6면(116)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면(111)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면(112)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면(113)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면(114)은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5면(115)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6면(116)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조명장치(100)가 자동차의 우측에 배치된 헤드램프(5)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면(111)에 배치된 광원은, 자동차(1)의 전방 중심부를 조명할 수 있다.
또, 제3면(113)에 배치된 광원은, 자동차(1)의 전방 우측부를 조명할 수 있다. 제4면(114)에 배치된 광원은, 자동차(1)의 전방 좌측부를 조명할 수 있다. 즉, 제3면(113)과 제4면(114)에 배치된 광원은 좌우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또, 제5면(115)에 배치된 광원은, 자동차(1)의 전방 상부를 조명할 수 있다. 제6면(116)에 배치된 광원은, 자동차(1)의 전방 하부를 조명할 수 있다. 즉, 제5면(115)과 제6면(116)에 배치된 광원은 상하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제1면(111), 제2면(112), 제3면(113), 제4면(114), 제5면(115) 및 제6면(116)은 직사각형의 면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제1면(111) 및 제2면(112), 제3면(113) 및 제4면(114), 제5면(115) 및 제6면(116)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제1실시예의 본체(110)의 형상이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10)는, 다각기둥, 다각뿔대 형태를 포함한 다양한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10)가 각뿔대 형태를 가지는 경우(도 4 참조), 제1면(111)과 제2면(112)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면(113)과 제4면(114)은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고,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5면(115)과 제6면(116)은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고,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면(111)의 면적은 제2면(112)과 제3면(113)과 제4면(114)과 제5면(115)과 제6면(116)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제1면(111), 제3면(113), 제4면(114), 제5면(115) 및 제6면(116)에는 광원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면(112)에는 단자(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부와 단자(120)는 본체(110)의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단자(120)는 본체(110)의 제2면(112)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120)는 헤드램프(5)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소켓 형태의 제1커넥터에 장착될 수 있다. 단자(120)는 리어램프(6)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소켓 형태의 제2커넥터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자(120)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120)는 조명장치(100)를 헤드램프(5) 또는 리어램프(6)에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체(110)는 단자(120)와 외부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자동차의 헤드램프(5) 또는 리어램프(6)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10)는 제1면(111)과 제2면(112)이 전방과 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단자(120)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를 통해, 외부(자동차)의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본체(110)로 공급할 수 있다. 본체(110)에 공급된 전원 및 제어신호에 의해, 광원부는 발광하거나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다.
광원부는 제1면(111), 제3면(113), 제4면(114), 제5면(115), 제6면(116)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광원부는 제1면(111), 제3면(113), 제4면(114), 제5면(115), 제6면(116)을 형성하는 기판에 실장된 복수 개의 광원일 수 있다. 광원부의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광원부는 제1광원(130) 및 제2광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광원(130)과 제2광원(14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제1광원(130)은 적외선을 출사할 수 있다. 제2광원(140)은 가시광선을 출사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는 적외선과 가시광선을 동시에 출사할 수 있다.
적외선은 카메라 모듈(200)의 야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적외선은 사람에게 인식되지 않아 다른 차량(맞은편 차량, 동일 진행 방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 현상 등을 유발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가시광선은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 현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광원(130)과 제2광원(140)의 비율은 균증할 수 있다. 다만, 적외선과 가시광선의 위와 같은 특성에 의해, 본체(110)에 배치되는 광원의 발산 영역에 따라, 제1광원(130)과 제2광원(140)을 적절히 트레이드 오프(trade-off)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체(110)의 각 면에 배치된 광원의 비율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는 자동차(1)의 우측에 배치된 헤드램프(5)에 장착되므로, 우측을 조명하는 광원일수록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 현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광원(130)은 우편향되어 배치되어야 하며, 제2광원(140)은 좌편향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광원의 배치에 의해, 카메라 모듈(200)의 야간 시인성과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체(110)의 제1면(111)에서의 광원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제1실시예의 제1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1면(111)에 배치된 광원은, 자동차(1)의 전방 중심부를 조명할 수 있다. 제1면(111)은 우측으로 편향된 제1영역(111-1)과 좌측으로 편향된 제2영역(11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영역(111-1)은 제1면(111)에서 제3면(113) 측에 형성된 영역이고, 제2영역(111-2)은 제1면(111)에서 제4면(114) 측에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제1영역(111-1)에는 제1광원(130)의 비율이 제2광원(140)의 비율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제1영역(111-1)에는 제1광원(130)의 개수가 제2광원(140)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도 5의 좌측 참조) 제1영역(111-1)에는 제1광원(130)의 휘도(輝度, luminance)가 제2광원(140)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나아가 제1영역(111-1)에는, 제1광원(130)만 존재할 수 있다.(도 5의 우측 참조)
도 6을 참조하여, 본체(110)의 제3면(113)에서의 광원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제1실시예의 제3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제3면(113)에 배치된 광원은, 자동차(1)의 전방 우측부를 조명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직접 조명될 수 있다. 따라서 제3면(113)에 배치된 광원의 조사영역은 카메라 모듈(200)로 촬영하여 운전자의 야간 시인성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면(113)에는 제1광원(130)의 비율이 제2광원(140)의 비율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제3면(113)에는 제1광원(130)의 개수가 제2광원(140)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도 6의 좌측 참조) 제3면(113)에는 제1광원(130)의 휘도(輝度, luminance)가 제2광원(140)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나아가 제3면(113)에는, 제1광원(130)만 존재할 수 있다.(도 6의 우측 참조)
도 7을 참조하여, 본체(110)의 제4면(114)에서의 광원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제1실시예의 제4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제4면(114)에 배치된 광원은, 자동차(1)의 전방 좌측부를 조명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직접 조명되지 않고, 본 차량의 운전자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제4면(114)에 배치된 광원의 조사영역은 운전자의 눈으로 직접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각지대가 있을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200)이 운전자의 시인성을 보조할 수 있다.
제4면(114)에는 제2광원(140)의 비율이 제1광원(130)의 비율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제4면(114)에는 제2광원(140)의 개수가 제1광원(130)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도 7의 좌측 참조) 제4면(114)에는 제2광원(140)의 휘도(輝度, luminance)가 제1광원(130)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나아가 제4면(114)에는, 제2광원(140)만 존재할 수 있다.(도 7의 우측 참조)
도 8를 참조하여, 본체(110)의 제5면(115)에서의 광원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제1실시예의 제5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5면(115)에 배치된 광원은, 자동차(1)의 전방 상부를 조명할 수 있다. 제5면(111)은 우측으로 편향된 제3영역(115-1)과 좌측으로 편향된 제4영역(115-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3영역(115-1)은 제5면(115)에서 제3면(113) 측에 형성된 영역이고, 제4영역(115-2)은 제5면(115)에서 제4면(114) 측에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제3영역(115-1)에는 제1광원(130)의 비율이 제2광원(140)의 비율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제3영역(115-1)에는 제1광원(130)의 개수가 제2광원(140)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도 8의 좌측 참조) 제3영역(115-1)에는 제1광원(130)의 휘도(輝度, luminance)가 제2광원(140)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나아가 제3영역(115-1)에는, 제1광원(130)만 존재할 수 있다.(도 8의 우측 참조)
도 9를 참조하여, 본체(110)의 제6면(116)에서의 광원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제1실시예의 제6면에 광원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제6면(116)에 배치된 광원은, 자동차(1)의 전방 하부를 조명할 수 있다. 제6면(116)은 우측으로 편향된 제5영역(116-1)과 좌측으로 편향된 제6영역(116-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5영역(116-1)은 제6면(116)에서 제3면(113) 측에 형성된 영역이고, 제6영역(116-2)은 제6면(116)에서 제4면(114) 측에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제5영역(116-1)에는 제1광원(130)의 비율이 제2광원(140)의 비율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제5영역(116-1)에는 제1광원(130)의 개수가 제2광원(140)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도 9의 좌측 참조) 제5영역(116-1)에는 제1광원(130)의 휘도(輝度, luminance)가 제2광원(140)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나아가 제6영역(116-1)에는, 제1광원(130)만 존재할 수 있다.(도 9의 우측 참조)
카메라 모듈(200)은 조명장치(100)에서 출사된 광이 조사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1)로 전달되어 출력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의 주간 시인성은 조명장치(100)에서 출사된 가시광선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의 야간 시인성은 조명장치(100)에서 출사된 적외선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은 하우징(210), 렌즈모듈(220), 필터(230), 이미지센서(240), 기판(250) 및 케이블(2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카메라 모듈(200)의 외장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210)의 일측면에는 렌즈모듈(220)이 장착될 수 있다. 렌즈모듈(220)은 광학 렌즈 어레이(array)로 피사체에 반사된 광을 굴절시켜 이미지센서(240)에 조사시킬 수 있다. 기판(250)은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된 전장 부품으로, 일측면에는 렌즈모듈(220)과 광학적으로 정렬된 이미지센서(240)가 실장되고, 타측면에는 외부의 전자 제어 유닛과 연결된 케이블(260)이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240)는 렌즈모듈(220)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여, 이미지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240)에서 생성된 이미지신호는 케이블(260)을 통해 전자 제어 유닛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 이미지신호는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운전자는 디스플레이부(11)에서 재생되는 이미지를 통해, 카메라 모듈(200)의 촬영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필터(230)는 기판과 이격되어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재일 수 있다. 필터(230)는 렌즈모듈(220)을 투과한 광 중 이미지센서(240)에 노이즈를 유발시키는 광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230)는 렌즈모듈(220)과 이미지센서(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는 적외선과 가시광선을 동시에 출사하고, 카메라 모듈(200)은 적외선과 가시광선을 통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230)는 적외선과 가시광선을 투과시키고, 다른 대역의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필터(230)는 적외선과 가시광선 대역을 투과시키는 이중 대역 투과 필터(Dual-Band-Pass-Filter)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제2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제2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2는 본 제2실시예의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제2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은, 자동차(1)의 내부(룸)을 촬영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조명장치(100)의 배치와 형상, 카메라 모듈(200)의 배치와 기능 이 외에는, 제1실시예의 촬영 시스템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명장치(100)는 자동차(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동차(1)의 룸램프에 사용될 수 있다. 룸램프의 제3커넥터는 서로 이격된 2개의 소켓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체(110)의 양 단부 각각에 단자(120)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룸램프의 특성상 본체(110)의 일면에만 광원부가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 현상 등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제1광원(130)과 제2광원(140)이 균등하게 분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은 자동차(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은 블랙박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명장치(100)는 적외선과 가시광선을 동시에 출사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200)의 야간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주야간(외부조건) 구분없이 촬영 이미지의 품질이 유지돼, 연속적인 기록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자동차
100: 조명장치
110: 본체 120: 단자
130: 제1광원 140: 제2광원
200: 카메라 모듈
210: 하우징 220: 렌즈모듈
230: 필터 240: 이미지센서
250: 기판 260: 케이블

Claims (11)

  1. 서로 이격된 제1면과 제2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제3면과 제4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본체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 및
    상기 제1면, 상기 제3면, 상기 제4면에 배치된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단자와 외부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자동차의 헤드램프 또는 리어램프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부는,
    적외선을 출사하는 복수 개의 제1광원; 및
    가시광선을 출사하는 복수 개의 제2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에는,
    상기 제1광원의 비율이 상기 제2광원의 비율보다 높은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에는,
    상기 제1광원만 존재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면에는,
    상기 제2광원의 비율이 상기 제1광원의 비율보다 높은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제1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3면 측에 형성된 제1영역과 상기 제4면 측에 형성된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제1광원의 비율이 상기 제2광원의 비율보다 높은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제1광원만 존재하는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과 수직으로 배치된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은,
    평행하게 배치된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 사이에 배치된 제5면; 및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5면과 이격된 제6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면과 상기 제6면에는 광원부가 배치된 조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각뿔대 형태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과 상기 제5면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제6면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의 면적은, 상기 제2면, 상기 제3면, 상기 제4면, 상기 제5면 및 상기 제6면의 면적보다 넓은 조명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에 배치된 광원에서 출사된 광은, 좌우 방향으로 발산되고,
    상기 제5면과 상기 제6면에 배치된 광원에서 출사된 광은, 상하 방향으로 발산되는 조명장치.
  11. 자동차의 외부 또는 내부로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출사하는 조명장치;
    상기 조명장치에서 출사된 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에 실장된 이미지센서; 및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서로 이격된 제1면과 제2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제3면과 제4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본체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 및
    상기 제1면, 상기 제3면, 상기 제4면에 배치된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단자와 외부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자동차의 헤드램프 또는 리어램프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부는,
    적외선을 출사하는 복수 개의 제1광원; 및
    가시광선을 출사하는 복수 개의 제2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에는,
    상기 제1광원의 비율이 상기 제2광원의 비율보다 높은 촬영 시스템.
KR1020170020888A 2017-02-16 조명장치 및 촬영 시스템 KR102662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88A KR102662213B1 (ko) 2017-02-16 조명장치 및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88A KR102662213B1 (ko) 2017-02-16 조명장치 및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83A KR20180094583A (ko) 2018-08-24
KR102662213B1 true KR102662213B1 (ko) 2024-05-02

Family

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845A (ja) 2003-06-27 2005-01-20 Ichikoh Ind Ltd 車両用撮像装置
JP2005112235A (ja) 2003-10-09 2005-04-28 Ichikoh Ind Ltd 車両周辺暗視用灯具および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20060177098A1 (en) 1997-04-02 2006-08-10 Stam Joseph S System for controlling exterior vehicle lights
JP4597788B2 (ja) 2005-06-16 2010-12-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赤外線投光器
JP2016083987A (ja) 2014-10-24 2016-05-1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車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7098A1 (en) 1997-04-02 2006-08-10 Stam Joseph S System for controlling exterior vehicle lights
JP2005014845A (ja) 2003-06-27 2005-01-20 Ichikoh Ind Ltd 車両用撮像装置
JP2005112235A (ja) 2003-10-09 2005-04-28 Ichikoh Ind Ltd 車両周辺暗視用灯具および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597788B2 (ja) 2005-06-16 2010-12-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赤外線投光器
JP2016083987A (ja) 2014-10-24 2016-05-1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車載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8884B (zh) 照明装置
KR101277299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통합 램프 장치
US6520669B1 (en) Flexible substrate mounted solid-state light sources for exterior vehicular lighting
US20050231334A1 (en)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using side-emitting light-emitting diode
JP6831692B2 (ja) 車両用ランプ
CN1535867A (zh) 车辆用外后视镜装置
US11009202B2 (en) Universal dual infrared and white light bulb
JP4566121B2 (ja) 車両用照明装置
EP3674795A1 (en) Vehicle ground illumination system and vehicle winglet
US8608358B2 (en) Ligh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US20190217779A1 (en) Vehicular detection device and vehicular lamp
KR102662213B1 (ko) 조명장치 및 촬영 시스템
US11067243B2 (en) Opaque outer lens with integrated light element
KR20150065169A (ko)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WO2023029214A1 (en) Led module for vehicle headlight and vehicle headlight with such led module
US11285863B2 (en) Lighting apparatus of autonomous vehicle having a mounted lamp box with lamp units and sensing units
KR20180094583A (ko) 조명장치 및 촬영 시스템
KR20180137139A (ko) 카메라 모듈
JP4122991B2 (ja) 自動車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
KR102345684B1 (ko) 촬영 장치 및 자동차
US11706515B2 (en) Imaging device
US11892135B2 (en) Ligh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ing device and automotive headlamp
KR20190069834A (ko) 차량용 나이트 비전 장치
US11867373B2 (en) Bendable lighting device
US11448380B2 (en) Light-emitting assembly with transparent nanostructured electrochromic polymer color fil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