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107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107A
KR20180054107A KR1020160151639A KR20160151639A KR20180054107A KR 20180054107 A KR20180054107 A KR 20180054107A KR 1020160151639 A KR1020160151639 A KR 1020160151639A KR 20160151639 A KR20160151639 A KR 20160151639A KR 20180054107 A KR20180054107 A KR 20180054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ens
communicating
rear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욱
박제경
문다힌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4107A/ko
Publication of KR2018005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H04N5/2253
    • H04N5/22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장착되는 프런트바디(front body); 상기 프런트바디와 결합하고 통공이 형성되는 리어바디(rear body); 상기 리어바디 내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통공을 폐쇄하고, 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멤브레인(membrane); 및 상기 렌즈부와 상기 리어바디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내부의 습기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용도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주차할 경우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자동차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경위, 사고원인 등을 추적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랙박스의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의 상황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인식장치로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이른바 스마트카, 즉 자동차의 주행시 전후방의 충돌가능성을 미리 탐지하여 이에 대비하도록 하는 충돌경고시스템, 자동차에 탑재되는 제어장치에 의해 주행하는 자동차 간 충돌을 운전자에 운전에 의하지 않고 상기 제어장치가 직접 회피할 수 있는 충돌회피시스템 등이 장착되는 자동차의 제작이 증가하고 있고 관련기술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카의 외부상황 인식수단으로 카메라 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바, 이에 따라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의 생산과 기술개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내부의 습기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장착되는 프런트바디(front body); 상기 프런트바디와 결합하고 통공이 형성되는 리어바디(rear body); 상기 리어바디 내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통공을 폐쇄하고, 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멤브레인(membrane); 및 상기 렌즈부와 상기 리어바디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바디는, 상기 렌즈부와 결합하는 소경부가 형성되는 렌즈결합부; 상기 프런트바디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대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에 상기 렌즈부의 전방부가 장착되는 렌즈장착부; 및 상기 프런트바디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기판부와 결합하는 기판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통부는, 상기 렌즈부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 내부와 상기 대경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대경부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부와 상기 프런트바디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연통부는,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대경부의 공간과 상기 렌즈부 내부를 연통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통부는, 상기 렌즈결합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와 상기 렌즈결합부 하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결합부의 하부에는 상기 렌즈부, 상기 렌즈결합부, 상기 기판결합부 및 상기 기판부에 의해 제1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대경부와 상기 제1공간을 연통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통부는, 상기 기판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연통부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을 제외한 상기 리어바디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부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는 상기 연통부 및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판부는,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일면이 상기 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결합하는 기판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판고정부재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이격시키는 이격부; 및 상기 제2기판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기판은 측면에 요철형상의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장착되는 프런트바디; 상기 프런트바디와 결합하고 통공이 형성되는 리어바디; 상기 리어바디 내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통공을 폐쇄하고, 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멤브레인(membrane); 및 상기 렌즈부와 상기 리어바디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일면이 상기 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결합하는 기판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는 상기 연통부 및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통부 및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렌즈부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렌즈부에 이슬맺힘을 방지하거나, 이슬맺힘을 신속히 없앰으로써, 렌즈부의 이슬맺힘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화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리어바디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광축 즉,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7은 프런트바디에서 렌즈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렌즈부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기판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100), 프런트바디(200)(front body), 리어바디(300)(rear body), 기판부(400) 및 멤브레인(500)(membrane)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00)는 카메라 모듈의 전방에 배치되고, 카메라 모듈의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광은 상기 렌즈부(100)를 투과하여 상기 렌즈부(100)에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411)에 입사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렌즈들이 광축방향으로 정렬하여 광학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00)는 광축방향으로 관통홀을 갖고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렌즈들이 광축방향으로 정렬한 광학계를 상기 관통홀에 배치시킬 수 있는 렌즈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 상기 렌즈배럴없이 상기 렌즈부(100)가 프런트바디(200)에 결합할 수도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상기 렌즈부(100)가 장착되고, 리어바디(300)와 결합하여 기판부(4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00)는 프런트바디(200)에 나사결합 또는 접착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리어바디(300)는 프런트바디(200)에 예를 들어, 접착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도 3 등을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리어바디(300)는 상기 프런트바디(200)와 결합하고 통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바디(300)는 상기 기판부(400)를 수용할 수 있다. 리어바디(300)는 일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개방된 일측 단부에서 프런트바디(200)에 구비되는 렌즈결합부(21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리어바디(300)는 프런트바디(200)와 결합하여 기판부(400), 이미지 센서(411)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통공(3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바디(30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310)을 통해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는 외부와 통기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통공(310)을 통해 상기 리어바디(300) 및 렌즈부(100) 내부의 습기는 상기 리어바디(3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통공(310)에는, 후술하는 멤브레인(500)이 상기 통공(310)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판부(400)는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410), 제2기판(420) 및 기판고정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부(400)는 도 5, 도 9 등을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멤브레인(500)은 상기 통공(310)을 폐쇄하고, 통기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멤브레인(500)은 상기 리어바디(300)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310)을 폐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에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멤브레인(500)은 상기 통공(310)이 형성된 부위를 폐쇄하도록 상기 리어바디(300)에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500)은 상기 통공(310)을 폐쇄하더라도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의 습기가 상기 리어바디(3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 및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와 연통되는 렌즈부(100)에 존재하는 습기가 리어바디(3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멤브레인(500)은 습기를 포함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500)이 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와 외부의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바디(300) 외부의 압력은 대기압이므로,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의 압력도 대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거나 또는 낮게되어 발생할 수 있는 기판부(400) 등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의 오작동,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500)은 상기 통공(310)을 폐쇄하더라도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가 상기 통공(31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고, 반대로 외부로부터 물 등의 액체가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멤브레인(500)의 기능이 구현되려면, 상기 멤브레인(500)은 습기가 없는 건조한 공기 또는 어느 정도의 기화된 수분를 포함하는 습한 공기는 통과할 수 있으나, 물방울 등은 통과할 수 없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멤브레인(500)은 예를 들어,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TFE는 상기한 멤브레인(500)에 요구되는 기능을 충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부(100)와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연통부는 도 4 등을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바디(200)는 렌즈결합부(210), 렌즈장착부(220) 및 기판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결합부(210)에는 소경부(2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소경부(211)에 상기 렌즈부(100)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부(100)와 상기 소경부(211)는 예를 들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소경부(211)의 내주면과 상기 렌즈부(100)의 외주면에 서로 형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렌즈부(100)는 소경부(211)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소경부(211)와 렌즈부(100)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접착결합 방식으로 렌즈부(100)는 상기 소경부(211)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렌즈부(100)는 상기 소경부(211)에 나사결합 및 접착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렌즈결합부(210)의 측부에는 상기 리어바디(300)의 단부가 예를 들어, 접착결합방식으로 결합하여, 리어바디(300)와 프런트바디(20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렌즈장착부(220)는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소경부(211)보다 내주의 지름이 큰 대경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경부(221)에는 상기렌즈부(100)의 전방부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경부(221)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부(100)와 상기 프런트바디(200)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700)는 예를 들어,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100)와 상기 프런트바디(20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여 이물질이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기판결합부(230)는 렌즈장착부(220)로부터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그 끝단이 상기 기판부(4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기판결합부(230)와 기판부(400)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결합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기판부(400)의 제1기판(410)과 결합할 수 있다.
연통부는 렌즈부(100)와 리어바디(300) 내부를 연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부(100)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는 상기 연통부 및 상기 통공(3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기판부(400)는 작동시 상당한 양의 열을 방출하므로, 카메라 모듈이 차가운 외부공기와 접촉할 경우, 렌즈부(100)는 기판부(400)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외부공기와 온도차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의 조립시 카메라 모듈 내부에 습기가 유입될 수 있고, 또한 카메라 모듈의 내부가 기밀을 유지하더라도 외부와 연통하는 틈새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카메라 모듈 내부에 습기가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렌즈부(100)와 외부공기의 온도차가 발생할 경우, 카메라 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가 응결되어 렌즈부(100)에 이슬맺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슬맺힘은 렌즈부(100)의 광투과도를 저해하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렌즈부(100)에 응결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이슬맺힘을 없앨 필요가 있는데, 상기 연통부는 상기 통공(310)을 통해 렌즈부(100)에 응결된 습기를 카메라 모듈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부(610), 제2연통부(620) 및 제3연통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통부(610)는 상기 렌즈부(100)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100) 내부와 상기 대경부(221)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통부(610)는 상기 실링부재(700)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대경부(221)의 공간과 상기 렌즈부(100)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제1연통부(610)가 연통하는 상기 렌즈부(100)의 내부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00)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톱렌즈(TL) 내측부위일 수 있다. 톱렌즈(TL)는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외부공기와 카메라 모듈의 내부 사이의 온도차가 가장 큰 부분이 될 수 있고, 따라서, 톱렌즈(TL) 내측부위에서 톱렌즈(TL) 표면에 이슬맺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
따라서, 상기 제1연통부(610)는 카메라 모듈 내부와 톱렌즈(TL) 내측부위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톱렌즈(TL) 내측부위에 존재하는 습기를 카메라 모듈 내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따라서 톱렌즈(TL) 내측부위에 이슬맺힘 발생을 방지하거나 이미 발생한 이슬맺힘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제2연통부(620)는 상기 렌즈결합부(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221)와 상기 렌즈결합부(210) 하부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결합부(210)의 하부에는 상기 렌즈부(100), 상기 렌즈결합부(210), 상기 기판결합부(230) 및 상기 기판부(400)에 의해 제1공간(80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부(620)는 상기 대경부(221)와 상기 제1공간(800)을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부(610)와 제2연통부(620)는 대경부(221)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렌즈부(100)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는 상기 제1연통부(610)와 제2연통부(620)를 통해 상기 제1공간(800)으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간(800)의 습기는 후술하는 제3연통부(630)에 의해 제1공간(80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3연통부(6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결합부(23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800)과, 상기 제1공간(800)을 제외한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통부(620)와 제3연통부(630)는 상기 제1공간(800)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1공간(800)의 습기는 상기 제3연통부(630)를 통해 상기 제1공간(800)을 제외한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공간으로 배출되고, 상기 리어바디(300) 내부공간의 습기는 최종적으로 통공(310)을 통해 카메라 모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국, 렌즈부(100)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처럼, 렌즈부(100) 내부, 제1연통부(610), 대경부(221) 공간, 제2연통부(620), 제1공간(800), 상기 제1공간(800)을 제외한 리어바디(300) 내부공간 및 통공(310)을 거쳐 카메라 모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통부 및 상기 통공(310)을 통해 상기 렌즈부(100)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렌즈부(100)에 이슬맺힘을 방지하거나, 이슬맺힘을 신속히 없앰으로써, 렌즈부(100)의 이슬맺힘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화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리어바디(300)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광축 즉,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도면이다.
제3연통부(6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결합부(230)의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연통부(630)는 기판결합부(230)에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고, 그 개수와 직경은 카메라 모듈의 크기, 구체적인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프런트바디(200)에서 렌즈부(100)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렌즈부(100)만 나타낸 도면이다.
제2연통부(6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결합부(210)에 광축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통부(620)는 상기 렌즈결합부(210) 중 상기 기판결합부(230)의 내부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그 개수와 직경은 카메라 모듈의 크기, 구체적인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연통부(6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00)에 광축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잇다. 이때, 상기 제1연통부(610)는 렌즈부(100)에 광입사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개수와 직경은 렌즈부(100)와 카메라 모듈의 크기, 구체적인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리어바디(300)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기판부(4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기판부(400)는 상기 렌즈부(100)와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프런트바디(200)와 결합하며, 제1기판(410), 제2기판(420) 및 기판고정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410)은 일면에 이미지 센서(411)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이미지 센서(411)가 장착되는 일면이 상기 렌즈부(10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기판(410)은 제2기판(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기판(420)과 전기적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각종 소자와 회로배선이 구비될 수 있다.
제2기판(420)은 상기 제1기판(410)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420)은 제1기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기판(410)과 전기적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각종 소자와 회로배선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기판(420)에는 제1기판(4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수급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전력 수급장치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기판(420)은 도 9에서는 하나로 구비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기판고정부재(43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기판(410)과 상기 제2기판(420)을 결합하고, 상기 제1기판(410)과 제2기판(420)이 제1방향으로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기판(410)과 제2기판(420)에는 각종 소자와 회로배선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서로 접촉하여 소자들이 손상되거나 회로배선 간 합선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기판고정부재(431)를 사용하여 서로 이격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기판고정부재(431)는 제1기판(410)과 제2기판(420)이 서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고정부재(431)는 이격부(431), 제1결합부(432) 및 관통부(432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기판(420)은 제2결합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격부(431)는 상기 제1기판(410)과 상기 제2기판(4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410)과 상기 제2기판(420)을 이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격부(431)는 제1기판(410)과 제2기판(420)을 광축방향으로 서로 이격시켜, 제1기판(410)과 제2기판(420)이 서로 접촉하여 이에 구비되는 소자들이 손상되거나 회로배선 간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결합부(432)는 상기 제2기판(420)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432)는 상기 제2기판(42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421)와 결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판(420)은 측면에 요철형상의 제2결합부(4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432)는 상기 제2결합부(421)가 결합하는 관통부(43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432)는 제2결합부(421)에 결합함으로써 기판고정부재(431)가 제2기판(420)에 대해 광축방향 즉, 제1방향,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억제되고, 따라서 제1기판(410)과 제2기판(420)이 서로 안정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기판고정부재(431)와 제1기판(410)은, 예를 들어, 기판고정부재(431)의 한쪽 끝단이 제1기판(410)의 이미지 센서(411)가 실장되는 면의 반대면 상에 배치되어 접착제 또는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432)는 기판고정부재(431)가 제1방향,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억제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421)는 상기 제1결합부(432)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렌즈부
200: 프런트바디
300: 리어바디
400: 기판부
500: 멤브레인
610: 제1연통부
620: 제2연통부
630: 제3연통부
700: 실링부재
800: 제1공간

Claims (15)

  1.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장착되는 프런트바디(front body);
    상기 프런트바디와 결합하고 통공이 형성되는 리어바디(rear body);
    상기 리어바디 내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통공을 폐쇄하고, 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멤브레인(membrane); 및
    상기 렌즈부와 상기 리어바디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바디는,
    상기 렌즈부와 결합하는 소경부가 형성되는 렌즈결합부;
    상기 프런트바디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대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에 상기 렌즈부의 전방부가 장착되는 렌즈장착부; 및
    상기 프런트바디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기판부와 결합하는 기판결합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렌즈부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 내부와 상기 대경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부와 상기 프런트바디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부는,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대경부의 공간과 상기 렌즈부 내부를 연통시키는 카메라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렌즈결합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와 상기 렌즈결합부 하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결합부의 하부에는 상기 렌즈부, 상기 렌즈결합부, 상기 기판결합부 및 상기 기판부에 의해 제1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대경부와 상기 제1공간을 연통시키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기판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연통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통부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을 제외한 상기 리어바디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는 상기 연통부 및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일면이 상기 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결합하는 기판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고정부재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이격시키는 이격부; 및
    상기 제2기판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측면에 요철형상의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5.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장착되는 프런트바디;
    상기 프런트바디와 결합하고 통공이 형성되는 리어바디;
    상기 리어바디 내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통공을 폐쇄하고, 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멤브레인(membrane); 및
    상기 렌즈부와 상기 리어바디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일면이 상기 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결합하는 기판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는 상기 연통부 및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60151639A 2016-11-15 2016-11-15 카메라 모듈 KR20180054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639A KR20180054107A (ko) 2016-11-15 2016-11-15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639A KR20180054107A (ko) 2016-11-15 2016-11-15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107A true KR20180054107A (ko) 2018-05-24

Family

ID=6229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639A KR20180054107A (ko) 2016-11-15 2016-11-15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41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024A (ko) * 2021-03-24 2022-10-04 부원광학주식회사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024A (ko) * 2021-03-24 2022-10-04 부원광학주식회사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9508B2 (en) Camera module for vehicle
US11345289B2 (en) Camera for a motor vehicle with at least two printed circuit boards and improved electromagnetic shielding, camera system, motor vehicle as well as manufacturing method
US20220417400A1 (en) Camera module
TW200641515A (en) Nonadjustable focusing type camera module
CN107852452B (zh) 摄像机模块
KR102620540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CN111919169B (zh) 透镜模块和相机模块
US10742857B2 (en) Occupant monitoring apparatus
KR20180054107A (ko) 카메라 모듈
CN110603807B (zh) 相机模块及车辆
KR1024154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549036B1 (ko) 카메라 모듈
CN108055428B (zh) 一种车载摄像模组
KR20210057414A (ko) 카메라 모듈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KR20200137690A (ko) 카메라 모듈
KR101943449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014504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17590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60522A (ko) 카메라 모듈
US20230418020A1 (en) Camera module
KR20190009820A (ko) 카메라 모듈
KR20240041812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20200137691A (ko) 카메라 모듈
CN117652147A (zh) 摄像头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