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139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139B1
KR101670139B1 KR1020140173878A KR20140173878A KR101670139B1 KR 101670139 B1 KR101670139 B1 KR 101670139B1 KR 1020140173878 A KR1020140173878 A KR 1020140173878A KR 20140173878 A KR20140173878 A KR 20140173878A KR 101670139 B1 KR101670139 B1 KR 10167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ing
optical axis
camera
bal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682A (ko
Inventor
임수철
박성령
김철진
김재혁
권오병
강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18,200 priority Critical patent/US9955077B2/en
Priority to CN201510323238.2A priority patent/CN105278208A/zh
Publication of KR2015014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 보정부에 의하여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측벽 중 서로 마주보는 측벽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상에 따른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을 비롯하여 타블렛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고기능의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형화될수록 영상 촬영 시에 손떨림에 대한 반응이 크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 손떨림에 대한 보정기술이 필요하다.
영상 촬영시 손떨림이 발생할 때,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OIS(Optic Image Stabilization) 기술이 적용된 OIS용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OIS용 액추에이터는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렌즈 모듈을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가 이용된다.
그러나, OIS용 액추에이터에 사용되는 서스펜션 와이어는 외부 충격 등에 취약하여 OIS 구동 중에 서스펜션 와이어가 변형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구동 변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OIS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많은 양의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실장될 수 있도록 크기를 줄인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상에 따른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 충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면서도 손떨림 보정 시에 구동 변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 보정부에 의하여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측벽 중 서로 마주보는 측벽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상에 따른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 보정 시에 렌즈 배럴의 구동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볼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배럴이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의 구동력과,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구동력에 의하여 각각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면서도 손떨림 보정 시에 구동 변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손떨림 보정 시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실장될 수 있도록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상에 따른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면서도 손떨림 보정 시에 구동 변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 및 제1 볼 베어링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 및 제1 볼 베어링부의 평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에 제1 프레임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에 제1 프레임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는 도 5a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5b의 A-A'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 제1 프레임 및 제2 볼 베어링부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 제1 프레임 및 제2 볼 베어링부의 평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에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에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a는 도 8a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8b의 B-B'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부와 요크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손떨림 보정부에 제공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제1 코일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도 1에서 볼 때 광축 방향(Z 방향)은 렌즈 배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제1 방향(X 방향)은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며, 제2 방향(Y 방향)은 상기 광축 방향(Z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X 방향)에 모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500), 상기 하우징(500)에 수용되는 제1 프레임(400)과 제2 프레임(300), 상기 하우징(500)과 결합하는 케이스(100) 및 손떨림 보정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에는 렌즈 배럴(200)이 수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에 구비된 중공에 상기 렌즈 배럴(20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렌즈 배럴(20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200)에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렌즈 배럴(200)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적층되고, 각각의 상기 렌즈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50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프레임(400)은 상기 하우징(5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하우징(500)의 내부에서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500)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제1 프레임(400)의 하부면은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400)의 상부면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의 하부면도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500)에는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50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제1 기판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500)은 외부 광이 입사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수광되도록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하우징(50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50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은 구동시에 전자파가 발생되고, 이와 같은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쳐 통신 장애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상기 제1 기판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가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공될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전도성 도료가 도포되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도료로는 전도성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을 가진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전도성 필름 또는 전도성 테이프를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부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하우징(50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하우징(5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프레임(40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를 구비한다.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는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과 같은 요인에 의해 이미지가 번지거나 동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는 영상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이 발생할 때,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에 상기 손떨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손떨림을 보상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는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을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 손떨림 보정부(61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을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 손떨림 보정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는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1 마그네트(611) 및 상기 제1 마그네트(6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코일(6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611)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제1 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는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2 마그네트(621) 및 상기 제2 마그네트(6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코일(6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621)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제2 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는 상기 제2 프레임(300)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는 상기 제2 프레임(300)의 일 측면과 인접한 타 측면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마그네트(611)와 상기 제2 마그네트(621)는 상기 제2 프레임(300)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코일(613) 및 상기 제2 코일(623)은 제2 기판(9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 마그네트(611) 및 상기 제2 마그네트(621)와 각각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기판(900)은 상기 하우징(500)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마그네트(611)와 상기 제2 마그네트(621)는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와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는 상기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는 상기 제1 마그네트(611)와 상기 제1 코일(613)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는 상기 제2 마그네트(621)와 상기 제2 코일(623)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00)은 상기 제2 프레임(400)과 함께 상기 하우징(50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며,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1 프레임(40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상기 하우징(50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제1 볼 베어링부(710)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상기 제1 프레임(40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제2 볼 베어링부(720)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는 도 4a 내지 도 9b를 참조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상기 렌즈 배럴(200)의 중심(C2)은 상기 하우징(500)의 중심(C1) 또는 상기 케이스(100)의 중심과 이격 배치된다.
예를 들어, 광축 방향(Z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렌즈 배럴(200)의 중심은 상기 하우징(500)의 중심과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측벽(521, 522, 523, 524)을 구비한다.
상기 4개의 측벽 중 2개의 측벽(521, 523)은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마주보며, 나머지 2개의 측벽(522, 524)은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마주본다.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마주보는 2개의 측벽(521, 523)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마주보는 2개의 측벽(522, 524)도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다.
여기서 두께는 상기 제1 방향(X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두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500)의 측벽(521, 522)이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500)의 측벽(523, 524)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와 코일을 포함하므로, 상기 하우징(500)의 측벽(521, 522)에는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코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레임(300)의 일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500)의 측벽(521)에는 개구부(51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코일(613)은 상기 개구부(511)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300)의 타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500)의 측벽(522)에도 개구부(513)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일(623)은 상기 개구부(513)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2 프레임(300)의 일 측면 및 타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500)의 측벽(521, 522)에는 상기 제1 코일(613) 및 상기 제2 코일(623)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500)의 측벽(521, 522)은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500)의 측벽(523, 524)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제1 방향(X 방향)의 일측과 상기 제2 방향(Y 방향)의 일측에는 각각 상기 제1 마그네트(611)와 상기 제1 코일(613), 및 상기 제2 마그네트(621)와 상기 제2 코일(623)을 포함하는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가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방향(X 방향)의 일측과 상기 제2 방향(Y 방향)의 일측에는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500)의 측벽(521, 522)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00)에 수용되는 상기 렌즈 배럴(200)의 중심은 상기 하우징(500) 내에서 상기 제1 방향(X 방향) 타측과 상기 제2 방향(Y 방향) 타측에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 배럴(200)의 중심(C2)과 상기 하우징(500)의 중심(C1) 또는 상기 케이스(100)의 중심은 서로 이격 배치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배럴(200)의 중심(C2)은 상기 하우징(500)의 중심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의 배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상기 제1 방향(X 방향) 타측과 상기 제2 방향(Y 방향) 타측에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면)과 후면에 각각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그 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증가시킬 경우 상대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기 위한 공간이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도 영상 촬영 시에 손떨림에 대한 영향을 줄이고,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하여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다만,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는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를 구비하면서도, 상기 하우징(500)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측벽을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증가되는 등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상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상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변화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 등을 전체적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배럴(200)의 중심(C2)과 상기 하우징(500)의 중심(C1) 또는 상기 케이스(100)의 중심을 서로 이격 배치되게 배치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 등을 전체적으로 변경하지 않더라도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상에 따른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의 구성 및 구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 및 제1 볼 베어링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 및 제1 볼 베어링부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에 제1 프레임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에 제1 프레임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도 5a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5b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프레임(400)은 상기 하우징(500)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00)과 상기 제1 프레임(400) 사이에는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에 4개의 볼 베어링이 구비되나, 상기 볼 베어링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는 상기 제1 프레임(400)이 상기 하우징(500)과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400)을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500)과 상기 제1 프레임(400)에는 각각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를 수용하도록 제1 수용홈(520, 4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수용홈(520, 410)은 상기 하우징(500)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제1 프레임(400)의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용홈(520, 410)은 상기 하우징(500)의 내부 바닥면 모서리와 상기 제1 프레임(400)의 하부면 모서리에 각각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는 상기 하우징(500)과 상기 제1 프레임(400)이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수용홈(520, 410)에 끼워진다.
상기 제1 수용홈(520, 410)은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가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1 방향(X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용홈(520, 410)의 폭(Y 방향)은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홈(710)의 길이(X 방향)는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가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수용홈(520, 410)은 상기 제2 방향(Y 방향)보다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는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고, 상기 광축 방향(Z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손떨림 방지부(610)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00)은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6b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500)에 상기 제1 프레임(400)만이 수용된 모습이 도시되었으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00)에는 상기 제2 프레임(300)도 수용되며, 상기 제1 프레임(4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300)도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상기 하우징(50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손떨림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는 상기 광축 방향(Z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만 구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수용홈(520, 410)은 상기 하우징(500)의 내부 바닥면 모서리와 상기 제1 프레임(400)의 하부면 모서리에 각각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도 상기 제1 수용홈(520, 410)에 대응되게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이 제한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의 구동력이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의 중앙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부분에 전달될 경우에는,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상기 하우징(500)의 내부 바닥면 모서리와 상기 제1 프레임(400)의 하부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1 수용홈(520, 410)과 상기 제1 수용홈(520, 410)에 끼워지는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이 제한되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 제1 프레임 및 제2 볼 베어링부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 제1 프레임 및 제2 볼 베어링부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에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하우징에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9a는 도 8a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8b의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500)에는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수용된다.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순서대로 상기 하우징(5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500),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은 각각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에 의하여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도 구동된다.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 사이에는 제2 볼 베어링부(72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볼 베어링부(720)에 4개의 볼 베어링이 구비되나, 상기 볼 베어링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볼 베어링부(720)는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상기 제1 프레임(400)과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300)을 지지한다.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에는 각각 상기 제2 볼 베어링부(720)를 수용하도록 제2 수용홈(420, 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용홈(420, 310)은 상기 제1 프레임(400)의 상부면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의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수용홈(420, 310)은 상기 제1 프레임(400)의 상부면 모서리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면 모서리에 각각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볼 베어링부(720)는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수용홈(420, 310)에 끼워진다.
상기 제2 수용홈(420, 310)은 상기 제2 볼 베어링부(720)가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2 방향(Y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수용홈(420, 310)의 폭(X 방향)은 상기 제2 볼 베어링부(72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용홈(420, 310)의 길이(Y 방향)는 상기 제2 볼 베어링부(720)가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수용홈(420, 310)은 상기 제1 방향(X 방향)보다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볼 베어링부(720)는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고, 상기 광축 방향(Z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2 볼 베어링부(72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상기 제1 프레임(40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손떨림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볼 베어링부(720)는 상기 광축 방향(Z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만 구동되게 된다.
즉,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의 구동력과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의 구동력에 의하여 각각 상기 제1 방향(X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구동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00)은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만 구동되고 상기 제2 방향(Y 방향) 및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는 구동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만 구동되고 상기 제1 방향(X 방향) 및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는 구동되지 않는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의 구동력은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의 구동력보다 크다.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는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을 구동시켜야 하므로, 상기 제2 프레임(300)만을 구동시키는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보다 큰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부와 요크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는 상기 하우징(500)과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 사이에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자기력이 작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와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의 요크부(810, 820)가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요크부(810, 820)는 상기 하우징(50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1 요크부(810)는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와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500)에 장착되고, 제2 요크부(820)는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와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50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손떨림 보정부(600)와 상기 복수의 요크부(810, 820) 사이에는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자기력이 작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요크부(810) 및 상기 제2 요크부(820)는 자성체로 제공되므로, 상기 제1 요크부(810)와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 사이에는 자기력이 작용하며, 상기 제2 요크부(820)와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 사이에도 자기력이 작용한다. 상기 자기력은 전기적인 인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요크부(810) 및 상기 제2 요크부(820)는 고정 부재이므로, 상기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와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는 각각 상기 제1 요크부(810) 및 상기 제2 요크부(8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 및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가 장착된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상기 제1 요크부(810) 및 상기 제2 요크부(820)가 장착된 상기 하우징(5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으로의 구동이 제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500)과 상기 제1 프레임(400)은 상기 제1 볼 베어링부(71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2 볼 베어링부(72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 등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하우징(500),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은 각각 서로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외부 충격 등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와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기적인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상기 제1 방향(X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 마그네트(611)와 상기 제1 코일(613) 사이의 전기적인 영향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의 구동력의 크기는 상기 제1 마그네트(611)와 상기 제1 요크부(810) 사이의 전기적인 인력의 크기보다 크므로,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구동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 인가된 상기 구동 신호가 제거되면, 상기 제1 마그네트(611)와 상기 제1 요크부(810) 사이의 전기적인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5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초기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초기 위치란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기 전에 상기 제1 프레임(400) 및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있던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 마그네트(621)와 상기 제2 코일(623) 사이의 전기적인 영향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의 구동력의 크기는 상기 제2 마그네트(621)와 상기 제2 요크부(820) 사이의 전기적인 인력의 크기보다 크므로,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동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에 인가된 상기 구동 신호가 제거되면, 상기 제2 마그네트(621)와 상기 제2 요크부(820) 사이의 전기적인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레임(300)은 초기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초기 위치란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에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기 전에 상기 제2 프레임(300)이 있던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손떨림 보정 시에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손떨림 보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제1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300)을 움직이고,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손떨림 보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제2 프레임(300)만을 움직이므로, 손떨림 보정에 필요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손떨림 보정부에 제공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제1 코일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 제공되는 상기 제1 마그네트(611)와 상기 제1 코일(613)은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자기력과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서는 상기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610)에 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에 제공되는 상기 제2 마그네트(621)와 상기 제2 코일(623)의 배치관계도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상기 제1 마그네트(611)와 상기 제1 코일(613)의 배치관계와 동일하며, 따라서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620)는 상기 제2 방향(Y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외부 충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면서도 손떨림 보정 시에 구동 변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고, 휴대용 전자기기에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케이스 200: 렌즈 배럴
300: 제2 프레임 400: 제1 프레임
500: 하우징 600: 손떨림 보정부
610: 제1 손떨림 보정부 620: 제2 손떨림 보정부
710: 제1 볼 베어링부 720: 제2 볼 베어링부
810, 820: 요크부

Claims (35)

  1. 하우징에 수용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장착되는 복수의 마그네트 및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와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부; 및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자기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요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측벽 중 서로 마주보는 측벽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두께는,
    상기 손떨림 보정부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손떨림 보정부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두꺼운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하여 광축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손떨림 보정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손떨림 보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에 의한 구동력의 크기와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에 의한 구동력의 크기는 서로 다른 카메라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일 측면과 인접한 타 측면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와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마그네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의 일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일 측면과 인접한 타 측면에 부착되는 제2 마그네트 및 상기 제2 마그네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의 타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광축에 수직하는 제1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는 제1 볼 베어링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제1 볼 베어링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제1 볼 베어링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 모서리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면 모서리에 각각 4개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광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는 제2 볼 베어링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제2 볼 베어링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홈은 상기 제2 볼 베어링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홈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면 모서리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면 모서리에 각각 4개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손떨림 보정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광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손떨림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부는 상기 제1 손떨림 보정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1 요크부 및 상기 제2 손떨림 보정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2 요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5. 하우징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장착되는 복수의 마그네트 및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부; 및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에 대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 자기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요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중심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구동 및 광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이 제한되는 카메라 모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는 제1 볼 베어링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제1 볼 베어링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베어링부는 상기 제1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광축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구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제2 방향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광축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는 제2 볼 베어링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제2 볼 베어링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베어링부는 상기 제2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광축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구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2 수용홈은 상기 제1 방향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2. 삭제
  33. 삭제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되는 렌즈 배럴;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렌즈 배럴의 중심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과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중심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40173878A 2014-06-20 2014-12-05 카메라 모듈 KR10167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18,200 US9955077B2 (en) 2014-06-20 2015-05-21 Camera module
CN201510323238.2A CN105278208A (zh) 2014-06-20 2015-06-12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6019 2014-06-20
KR1020140076019 2014-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682A KR20150145682A (ko) 2015-12-30
KR101670139B1 true KR101670139B1 (ko) 2016-10-27

Family

ID=5508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878A KR101670139B1 (ko) 2014-06-20 2014-12-05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0139B1 (ko)
CN (1) CN1052782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5444B1 (en) * 2016-10-06 2023-06-14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KR102618376B1 (ko) * 2016-12-28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9532B1 (ko) * 2017-06-12 2019-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467368B2 (en) 2017-08-30 2022-10-11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CN107643642B (zh) * 2017-10-25 2020-01-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相机组件及移动终端
JP6800911B2 (ja) 2018-04-17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るレンズ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US11573391B2 (en) * 2019-04-30 2023-02-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681202B2 (en) 2019-08-16 2023-06-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733538B2 (en) * 2019-12-10 2023-08-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294196B2 (en) * 2019-12-10 2022-04-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835788B2 (en) * 2020-02-28 2023-12-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72640B1 (ko) * 2020-03-03 2022-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JP7411450B2 (ja) 2020-03-04 2024-01-11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449119B2 (ja) * 2020-03-04 2024-03-13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431061B2 (ja) * 2020-03-04 2024-02-14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411449B2 (ja) 2020-03-04 2024-01-11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KR102391582B1 (ko) * 2020-04-03 2022-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US11681157B2 (en) 2020-04-03 2023-06-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56804B1 (ko) * 2020-04-23 2022-0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1929797B (zh) * 2020-09-25 2020-12-15 常州市瑞泰光电有限公司 一种镜头驱动装置
KR102473412B1 (ko) * 2020-11-12 2022-1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2954186B (zh) * 2021-04-19 2023-07-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结构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3130A (ja) * 2006-06-20 2008-01-10 Fujifilm Corp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撮影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30B1 (ko) * 2005-05-26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0935315B1 (ko) * 2008-06-09 2010-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장치
KR101529729B1 (ko) * 2008-11-19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20100066678A (ko) * 2008-12-10 2010-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WO2012015010A1 (ja) * 2010-07-29 2012-02-0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傾き補正ユニット
KR20130042794A (ko) * 2011-10-19 2013-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2816403A4 (en) * 2012-02-14 2015-11-04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CONTROL DEVICE AND CAMERA
KR101960493B1 (ko) * 2012-12-12 201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3130A (ja) * 2006-06-20 2008-01-10 Fujifilm Corp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撮影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78208A (zh) 2016-01-27
KR20150145682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139B1 (ko) 카메라 모듈
KR102207902B1 (ko) 카메라 모듈
US11947132B2 (en) Camera module
KR101792328B1 (ko) 카메라 모듈
US20230056716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751105B1 (ko) 카메라 모듈
US9955077B2 (en) Camera module
KR101792441B1 (ko) 카메라 모듈
KR10150402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5004269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101730268B1 (ko) 카메라 모듈
KR20160072715A (ko) 카메라 모듈
CN107817610B (zh) 光学元件驱动机构
KR102369433B1 (ko) 카메라모듈
KR101740814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076165A (ko) 카메라 모듈
KR102494326B1 (ko) 카메라 모듈
KR101762093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86441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