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582B1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582B1
KR102391582B1 KR1020200080548A KR20200080548A KR102391582B1 KR 102391582 B1 KR102391582 B1 KR 102391582B1 KR 1020200080548 A KR1020200080548 A KR 1020200080548A KR 20200080548 A KR20200080548 A KR 20200080548A KR 102391582 B1 KR102391582 B1 KR 102391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xis
lens module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973A (ko
Inventor
권오병
정대현
김갑용
윤영복
서보성
권용환
신준섭
박남기
장익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7/147,75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81157B2/en
Priority to CN202110345752.1A priority patent/CN113552688B/zh
Priority to CN202120661533.XU priority patent/CN214409418U/zh
Publication of KR2021012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수용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프레임은 광축에 수직한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1 볼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2 볼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에는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렌즈모듈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가 구비되고 있으며, 액츄에이터는 통상적으로 마그네트와 코일에 의한 구동력으로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 및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에 발생하는 흔들림이 항상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므로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렌즈모듈을 이동시킬 경우, 흔들림 보정에 한계가 있다.
특히, 동영상 촬영과 같이 지속적으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흔들림을 정밀하게 보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동영상 촬영 시에 촬영 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이동시켜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이동하는 피사체에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삭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679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이동하는 피사체를 트래킹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수용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프레임은 광축에 수직한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1 볼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2 볼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이격 배치된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화각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화각보다 더 좁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수용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프레임은 광축에 수직한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1 볼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 볼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하는 피사체를 트래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렌즈모듈,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제1 마그네트의 정면도이다.
도 8a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제1 가이드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측단면도이다.
도 9a는 제1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제1 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렌즈모듈 및 제1 프레임이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2 프레임 및 하우징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a는 제2 프레임의 일 측면도이고, 도 12b는 제2 프레임의 타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2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마그네트의 정면도이다.
도 15a는 제2 프레임과 하우징 사이에 구비된 제2 가이드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측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제2 프레임이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연결기판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연결기판부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연결기판부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3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3의 II-II'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1 가동체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a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5b는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25c는 제1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25d는 제1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제1 가동체 및 제2 가동체가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a는 제1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7b는 제1 요크부의 사시도이다.
도 27c는 도 27a의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도 22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a는 제2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30b는 제2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제2 가동체가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a는 제2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2b는 제2 요크부의 사시도이다.
도 32c는 도 32a의 IV-IV'의 단면도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도 22의 II-II'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렌즈모듈과 연결기판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5는 렌즈모듈과 연결기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a 및 도 36b는 렌즈모듈이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a 및 도 37b는 렌즈모듈이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다.
휴대용 전자기기(1)는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다. 일 예로,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제1 카메라 모듈(2)과 제2 카메라 모듈(3)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제1 카메라 모듈(2)과 제2 카메라 모듈(3)을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2)과 제2 카메라 모듈(3)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1 카메라 모듈(2)은 상대적으로 화각이 좁게 구성(예를 들어, 망원)되고, 제2 카메라 모듈(3)은 상대적으로 화각이 넓게 구성(예를 들어, 광각)된다.
일 예로, 제1 카메라 모듈(2)의 화각(θ1)은 9°~ 35°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고, 제2 카메라 모듈(3)의 화각(θ2)은 60°~ 120°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2개의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서로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피사체의 이미지를 다양한 심도로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전자기기(1)는 화각이 더 넓은 카메라 모듈(일 예로, 제2 카메라 모듈(3))에 의해 촬영된 영상 내에 화각이 더 좁은 카메라 모듈(일 예로, 제1 카메라 모듈(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관심있는 피사체를 좁은 화각으로 촬영하여(따라서, 관심있는 피사체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음) 넓은 화각으로 촬영된 영상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관심있는 피사체가 움직일 수 있으므로, 더 좁은 화각을 갖는 카메라 모듈(일 예로, 제1 카메라 모듈(2))은 관심있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 촬영할 수 있도록 광축(Z축)이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2)은 관심있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트래킹(Tracking)하여 렌즈모듈(200)을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카메라 모듈(2)에 구비된 렌즈모듈(200)은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렌즈모듈(200)이 제1 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범위와, 렌즈모듈(200)이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범위는 상이하다.
렌즈모듈(200)은 이미지센서(251)를 포함하며, 이미지센서(251)는 직사각 형태이다. 따라서, 이미지센서(251)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다. 이미지센서(251)의 장축은 제1 축(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미지센서(251)의 단축은 제2 축(Y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렌즈모듈(200)이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경우 렌즈모듈(200)의 회전각도의 범위는 ±7°이다.
렌즈모듈(200)이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경우 렌즈모듈(200)의 회전각도의 범위는 ±15°이다.
즉, 이미지센서(251)의 단축이 회전축인 경우의 회전범위가, 이미지센서(251)의 장축이 회전축인 경우의 회전범위보다 더 넓다.
또한, 제1 카메라 모듈(2)에 구비된 렌즈모듈(200)은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 기준으로 회전되어 촬영 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축(X축)은 광축(Z축)에 수직한 축을 의미하고, 제2 축(Y축)은 광축(Z축) 및 제1 축(X축)에 모두 수직한 축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모듈(200)의 회전축인 제1 축(X축)과 제2 축(Y축)은 광축(Z축)과 교차할 수 있고, 광축(Z축),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은 어느 한 점에서 만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37b를 참조로 제1 카메라 모듈(2)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37b에서 제1 카메라 모듈(2)은 '카메라 모듈'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은 렌즈모듈(200), 제1 프레임(300), 제2 프레임(400), 하우징(100) 및 케이스(140)를 포함한다.
렌즈모듈(200)은 제1 프레임(300)에 수용되고, 제1 프레임(300)은 제2 프레임(400)에 수용되며, 제2 프레임(400)은 하우징(100)에 수용된다.
하우징(100)과 케이스(140)는 고정체일 수 있다.
제1 프레임(300)은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에는 렌즈모듈(200)이 수용되므로, 렌즈모듈(200)은 제1 프레임(300)과 함께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400)은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00)에는 제1 프레임(300)이 수용되고, 제1 프레임(300)에는 렌즈모듈(200)이 수용되므로, 렌즈모듈(200)과 제1 프레임(300)은 제2 프레임(400)과 함께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렌즈모듈(200)은 렌즈부(210) 및 홀더(230)를 포함한다. 렌즈부(210)는 렌즈배럴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령, 렌즈배럴과 캐리어가 결합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렌즈부(210)에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가 배치될 경우 복수의 렌즈는 광축(Z축)을 따라 렌즈부(210)의 내부에 장착된다.
렌즈부(210)는 홀더(230)에 수용된다. 일 예로, 홀더(23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홀더(230)의 내부 공간에 렌즈부(210)가 수용된다.
렌즈모듈(200)은 홀더(230)의 하부에 배치된 이미지센서 모듈(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 모듈(250)은 렌즈부(210)를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이미지센서 모듈(250)은 이미지센서(251) 및 이미지센서(251)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253)을 포함할 수 있고,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부(210)를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센서(251)는 렌즈부(210)를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이미지센서(251)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이미지센서(251)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미지센서(251)는 인쇄회로기판(253)에 고정되며, 와이어 본딩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2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미지센서(251)는 직사각 형태이며, 장축과 단축을 갖는다. 이미지센서(251)의 장축은 제1 축(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미지센서(251)의 단축은 제2 축(Y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렌즈부(210)는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부(210)는 홀더(230)에 대하여 광축(Z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즉, 렌즈부(210)는 홀더(230)에 대하여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렌즈부(21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그네트와 코일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또는 압전 액추에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부(210)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될 수 있고, 홀더(230)에는 코일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렌즈부(210)가 홀더(230)에 대해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렌즈모듈(200)은 제1 프레임(300)에 수용된다. 제1 프레임(3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렌즈모듈(200)은 접착제 등을 통해 제1 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은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Pitching). 제1 프레임(300)에는 렌즈모듈(200)이 수용되므로, 제1 프레임(300)이 회전됨에 따라 렌즈모듈(200)도 제1 프레임(300)과 함께 제1 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축(X축)을 기준으로 한 제1 프레임(300)의 회전에 대하여는 도 5 내지 도 10c를 참조로 후술한다.
제2 프레임(400)은 하우징(100)에 수용된다. 제2 프레임(400)과 하우징(100)은 각각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제2 프레임(400)은 광축(Z축)과 제1 축(X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Yawing). 제2 프레임(400)에는 제1 프레임(300)이 수용되고, 제1 프레임(300)에는 렌즈모듈(200)이 수용되므로, 제2 프레임(400)이 회전됨에 따라 렌즈모듈(200)과 제1 프레임(300)도 제2 프레임(400)과 함께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한 제2 프레임(400)의 회전에 대하여는 도 12a 내지 도 16c를 참조로 후술한다.
케이스(140)는 하우징(100)을 덮도록 하우징(100)과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연결기판부(7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렌즈모듈,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제1 마그네트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8a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제1 가이드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측단면도이다.
도 9a는 제1 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제1 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렌즈모듈 및 제1 프레임이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프레임(300)은 제2 프레임(400)에 수용되며, 제2 프레임(40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컨대, 제1 프레임(300)은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에는 렌즈모듈(200)이 수용되므로, 렌즈모듈(200)은 제1 프레임(300)과 함께 회전된다. 도 5에서는 렌즈모듈(200)이 제1 프레임(300)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프레임(300)과 제2 프레임(400) 사이에는 제1 프레임(3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부가 구비된다(도 8a 및 도 8b 참조).
제1 가이드부는 제1 볼 부재(B1), 제1 지지부재(310) 및 제1 댐퍼부재(430)를 포함한다. 제1 볼 부재(B1)는 제1 지지부재(310)와 제1 댐퍼부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10)와 제1 댐퍼부재(430)는 제1 축(X축)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제1 프레임(300)에는 제1 지지부재(310)가 구비된다. 일 예로, 제1 지지부재(310)는 제1 프레임(3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1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1 프레임(3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내에 제1 지지부재(310)를 고정한 상태로 금형에 수지재를 주입함으로써 제1 지지부재(310)가 제1 프레임(300)에 일체화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재(310)는 후술하는 제1 수용홈(320)이 제1 프레임(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 프레임(300)과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은 플라스틱 재질이며, 제1 지지부재(310)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재(310)에 의해 제1 프레임(300)의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10)에는 제1 볼 부재(B1)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홈(32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용홈(320)은 제1 지지부재(310)에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수용홈(320)도 제1 지지부재(310)와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제2 프레임(400)에는 제1 볼 부재(B1)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관통홀(410)이 구비될 수 있다(도 5 참조). 일 예로, 제1 관통홀(410)은 제2 프레임(400)의 측면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관통홀(4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프레임(400)에 구비되는 제1 댐퍼부재(430)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 부재(B1)는 제1 지지부재(310)와 제1 댐퍼부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00)의 외측면에는 제1 돌출부(420)가 마련되고, 제1 돌출부(420)에는 제1 관통홀(410)과 연통되는 제1 삽입홈(421)이 마련되며, 제1 삽입홈(421)에는 제1 댐퍼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댐퍼부재(430)에는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431)가 구비된다. 일 예로, 완충부(431)는 제1 댐퍼부재(430)의 일측과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 댐퍼부재(43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 볼 부재(B1)는 금속 재질의 제1 수용홈(320)과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431) 사이에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1 볼 부재(B1)는 제1 프레임(300)과 제2 프레임(400) 사이에서 제1 축(X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볼 부재(B1)는 제1 프레임(300)과 제2 프레임(400) 사이에서 제1 축(X축)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 가이드부는 제1 축(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300)은 제1 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구동부(500)는 제1 프레임(3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 구동부(500)는 제1 프레임(300)과 제2 프레임(40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구동부(500)는 제1 마그네트(510), 제1 코일(530) 및 제1 기판(550)을 포함한다.
제1 마그네트(510)는 제1 프레임(300)에 구비된다. 일 예로, 제1 마그네트(510)는 제1 프레임(300)의 일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300)의 일 측면에는 제1 지지부재(310)가 구비되며, 제1 지지부재(310)는 금속 재질이므로, 제1 마그네트(510)는 자기력에 의해 제1 지지부재(310)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310)는 제1 마그네트(510)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는 제1 프레임(300)의 일 측면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가 하나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마그네트(510)는 제1 프레임(300)의 일 측면에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제1 마그네트(510)가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마그네트는 제1 프레임(300)의 일 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마그네트(510)는 제1 프레임(300)의 타 측면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프레임(30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각각 두 개의 마그네트가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코일(530)은 제1 마그네트(510)와 마주보도록 제1 기판(55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코일(530)은 제1 기판(550)에 적층 매립된 동박 패턴이거나, 제1 기판(550)에 구비된 권선 코일일 수 있다.
제1 기판(550)은 제2 프레임(400)에 결합된다. 제1 기판(550)은 하우징(100)에 결합된 제2 기판(6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530)이 제2 프레임(400)의 일 측과 타 측에 배치되는 경우, 제1 기판(550)도 제2 프레임(40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550)은 분리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프레임(400)은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며, 제1 기판(550)이 제2 프레임(400)에 결합되므로, 제1 기판(550)도 제2 프레임(400)과 함께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1 기판(550)은 외부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5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판은 하우징(100)에 결합된 제2 기판(650)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판(550)은 고정체인 하우징(100)에 결합된 제2 기판(650)과 연결되는 연결부(555)를 포함한다. 연결부(555)는 제1 기판(550)에서 연장되며, 연결부(555)는 광축(Z축) 방향으로 반복하여 구부러진 형상을 포함한다. 일 예로, 연결부(555)는 '∪' 및 '∩' 형상으로 굴곡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55)는 도체가 패터닝된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 또는 복수의 케이블이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판(550)이 제2 프레임(400)과 함께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연결부(555)가 휘어질 수 있다.
연결부(555)는 제1 기판(550)에서 광축(Z축) 방향으로 굴곡 연장되는 제1 연결부(555a), 제1 연결부(555a)에서 광축(Z축) 방향으로 굴곡 연장되는 제2 연결부(555b) 및 제2 연결부(555b)에서 연장되어 제2 기판(650)에 연결되는 제3 연결부(555c)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555a)와 제2 연결부(555b)가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제1 코일(530)은 제1 마그네트(51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코일(530)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코일(530)은 제1 축(X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코일(530)과 마주보는 제1 마그네트(510)의 면은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착자된 제1 극성과 제2 극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530)과 마주보는 제1 마그네트(510)의 면에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제1 극성, 중립영역, 및 제2 극성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극성은 N극 또는 S극일 수 있고, 제2 극성은 제1 극성과 반대 극성(S극 또는 N극)일 수 있다. 제1 극성과 제2 극성 사이에는 중립영역이 구비된다.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코일(53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코일(530)은 광축(Z축) 방향(Z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코일(530)의 구동력에 의해, 제1 프레임(300)은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에는 렌즈모듈(200)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제1 프레임(300)이 회전됨에 따라 렌즈모듈(200)도 제1 프레임(3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렌즈모듈(200)에는 이미지센서 모듈(250)이 구비되는데, 이미지센서 모듈(250)도 렌즈모듈(200)과 함께 회전된다.
이미지센서 모듈(250)은 연결기판부(700)와 연결되며, 연결기판부(700)는 이미지센서 모듈(25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성된다. 연결기판부(700)의 구성은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로 후술한다.
제1 프레임(300)이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때, 제1 마그네트(510)는 제1 프레임(300)과 함께 회전되는 이동부재이고, 제1 코일(530)은 고정부재이다.
한편, 제1 마그네트(510)는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한다(도 7 참조). 일 예로, 제1 마그네트(510)는 원호 형상을 포함한다.
제1 마그네트(510)의 내측면(회전 중심점을 향한 면 또는 제1 축(X축)을 향하는 면)과 외측면(내측면의 반대측 면)은 라운드진 형상일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의 내측면에 접하는 내접원(C1)과 제1 마그네트(510)의 외측면에 접하는 외접원(C2)은 동심원일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가 제1 프레임(300)의 일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마그네트의 각 내측면에 접하는 내접원(C1)과 두 개의 마그네트의 각 외측면에 접하는 외접원(C2)은 동심원일 수 있다.
제1 기판(550)에는 제1 위치 측정부(531)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위치 측정부(531)는 제1 마그네트(510)와 마주보도록 제1 코일(530)의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 측정부(531)는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가 제1 프레임(300)의 일 측면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위치 측정부(531)는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측정부(531)는 어느 하나의 마그네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각각 두 개의 마그네트가 배치된 경우, 제1 위치 측정부(531)는 두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측정부(531) 중 하나는 제1 프레임(300)의 일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마그네트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위치 측정부(531) 중 다른 하나는 제1 프레임(300)의 타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마그네트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제1 위치 측정부(531)는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프레임(30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각각 두 개의 마그네트가 배치된 경우에도, 하나의 제1 위치 측정부(531)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위치 측정부(531)는 네 개의 마그네트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 측정부(531)는 제1 프레임(300)이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경우 제1 프레임(3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위치 측정부(531)는 홀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300)의 상부면에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 스토퍼는 제1 프레임(300)이 케이스(140)와 충돌될 경우 충격 및 소음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2 프레임 및 하우징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a는 제2 프레임의 일 측면도이고, 도 12b는 제2 프레임의 타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2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제2 마그네트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5a는 제2 프레임과 하우징 사이에 구비된 제2 가이드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6a 내지 도 16c는 제2 프레임이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프레임(400)은 하우징(100)에 수용되며,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컨대, 제2 프레임(400)은 광축(Z축)과 제1 축(X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00)과 하우징(100) 사이에는 제2 프레임(4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 가이드부가 구비된다(도 15a 및 도 15b 참조).
제2 가이드부는 제2 볼 부재(B2), 제2 지지부재(450) 및 제2 댐퍼부재(130)를 포함한다. 제2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부와 대체로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제2 볼 부재(B2)는 제2 지지부재(450)와 제2 댐퍼부재(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450)와 제2 댐퍼부재(130)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제2 프레임(400)에는 제2 지지부재(450)가 구비된다. 일 예로, 제2 지지부재(450)는 제2 프레임(4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45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2 프레임(4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내에 제2 지지부재(450)를 고정한 상태로 금형에 수지재를 주입함으로써 제2 지지부재(450)가 제2 프레임(400)에 일체화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부재(450)는 후술하는 제2 수용홈(451)이 제2 프레임(4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 프레임(400)과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00)은 플라스틱 재질이며, 제2 지지부재(450)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부재(450)에 의해 제2 프레임(400)의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450)에는 제2 볼 부재(B2)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홈(451)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용홈(451)은 제2 지지부재(450)에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수용홈(451)도 제2 지지부재(450)와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제2 관통홀(11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관통홀(110)은 하우징(100)의 측면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관통홀(11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제2 댐퍼부재(130)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제2 볼 부재(B2)는 제2 지지부재(450)와 제2 댐퍼부재(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측면에는 제2 돌출부(120)가 마련되고, 제2 돌출부(120)에는 제2 관통홀(110)과 연통되는 제2 삽입홈(121)이 마련되며, 제2 삽입홈(121)에는 제2 댐퍼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댐퍼부재(130)에는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131)가 구비된다. 일 예로, 완충부(131)는 제2 댐퍼부재(130)의 일측과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 댐퍼부재(13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볼 부재(B2)는 금속 재질의 제2 수용홈(451)과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131) 사이에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2 볼 부재(B2)는 제2 프레임(400)과 하우징(100) 사이에서 제2 축(Y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볼 부재(B2)는 제2 프레임(400)과 하우징(100) 사이에서 제2 축(Y축)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가이드부는 제2 축(Y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레임(400)은 제2 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1 볼 부재(B1)가 제1 지지부재(310)와 제1 댐퍼부재(430) 사이에서 탄성 지지되고, 제2 볼 부재(B2)가 제2 지지부재와 제2 댐퍼부재(130) 사이에서 탄성 지지되더라도, 카메라 모듈(2)의 사용 중에 예기치 않은 충격 등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볼 부재(B1) 및/또는 제2 볼 부재(B2)가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 프레임(400)에는 커버(440)가 결합된다. 커버(440)는 제1 프레임(300)과 제2 프레임(400)의 개방된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제2 프레임(400)과 결합된다.
커버(440)는 광축(Z축)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부(441)를 구비할 수 있다(도 11a 참조). 결합부(441)에는 결합홈(442)이 구비되고, 제2 프레임(400)에는 결합돌기(460)가 구비될 수 있다(도 12a 및 도 12b 참조). 따라서, 결합돌기(460)에 결합홈(442)이 끼워짐으로써 커버(440)가 제2 프레임(40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440)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제2 구동부(600)는 제2 프레임(4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2 구동부(600)는 제1 프레임(300)과 제2 프레임(40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구동부(600)는 제2 마그네트(610), 제2 코일(630) 및 제2 기판(650)을 포함한다.
제2 마그네트(610)는 제2 프레임(40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마그네트(610)는 제2 프레임(400)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400)에는 커버(440)가 결합되며, 제2 마그네트(610)는 커버(440)의 결합부(441)에 배치될 수 있다(도 11b 참조). 커버(440)는 금속 재질이므로, 제2 마그네트(610)는 자기력에 의해 커버(440)의 결합부(441)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440)는 제2 마그네트(610)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0)는 제2 프레임(400)의 일 측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0)가 하나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2 마그네트(610)는 제2 프레임(400)의 일 측에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제2 마그네트(610)가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마그네트는 제2 프레임(400)의 일 측의 중심을 기준으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1 축(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마그네트(610)는 제2 프레임(400)의 타 측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제2 프레임(400)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두 개의 마그네트가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코일(630)은 제2 마그네트(610)와 마주보도록 제2 기판(65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코일(630)은 제2 기판(650)에 적층 매립된 동박 패턴이거나, 제2 기판(650)에 구비된 권선 코일일 수 있다.
제2 기판(650)은 하우징(100)에 결합된다. 제2 기판(650)은 연결기판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코일(630)은 제2 마그네트(61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0)와 제2 코일(630)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예컨대, 제2 마그네트(610)와 제2 코일(630)은 제2 축(Y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코일(630)과 마주보는 제2 마그네트(610)의 면은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착자된 제1 극성과 제2 극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코일(630)과 마주보는 제2 마그네트(610)의 면에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제1 극성, 중립영역, 및 제2 극성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극성은 N극 또는 S극일 수 있고, 제2 극성은 제1 극성과 반대 극성(S극 또는 N극)일 수 있다. 제1 극성과 제2 극성 사이에는 중립영역이 구비된다.
제2 마그네트(610)와 제2 코일(63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제2 마그네트(610)와 제2 코일(630)은 광축(Z축) 방향(Z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2 마그네트(610)와 제2 코일(630)의 구동력에 의해, 제2 프레임(400)은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00)에는 렌즈모듈(200)과 제1 프레임(300)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제2 프레임(400)이 회전됨에 따라 렌즈모듈(200)과 제1 프레임(300)도 제2 프레임(4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00)이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때, 제2 마그네트(610)는 제2 프레임(400)과 함께 회전되는 이동부재이고, 제2 코일(630)은 고정부재이다.
한편, 제2 마그네트(610)는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한다. 일 예로, 제2 마그네트(610)는 원호 형상을 포함한다.
제2 마그네트(610)의 내측면(회전 중심점을 향한 면 또는 제2 축(Y축)을 향하는 면))과 외측면(내측면의 반대측 면)은 라운드진 형상일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0)의 내측면에 접하는 내접원과 제2 마그네트(610)의 외측면에 접하는 외접원은 동심원일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0)가 제2 프레임(400)의 일 측에 배치된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마그네트의 각 내측면에 접하는 내접원과 두 개의 마그네트의 각 외측면에 접하는 외접원은 동심원일 수 있다.
제2 기판(650)에는 제2 위치 측정부(631)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위치 측정부(631)는 제2 마그네트(610)와 마주보도록 제2 코일(630)의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측정부(631)는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0)가 제2 프레임(400)의 일 측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위치 측정부(631)는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위치 측정부(631)는 어느 하나의 마그네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00)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두 개의 마그네트가 배치된 경우, 제2 위치 측정부(631)는 두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위치 측정부(631) 중 하나는 제2 프레임(400)의 일 측에 배치된 두 개의 마그네트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위치 측정부(631) 중 다른 하나는 제2 프레임(400)의 타 측에 배치된 두 개의 마그네트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제2 위치 측정부(631)는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프레임(400)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두 개의 마그네트가 배치된 경우에도, 하나의 제2 위치 측정부(631)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위치 측정부(631)는 네 개의 마그네트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측정부는 제2 프레임(400)이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경우 제2 프레임(4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위치 측정부는 홀 센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은, 제1 구동부(500)에 의해 제1 프레임(300)이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더라도, 제2 마그네트(610)와 제2 코일(630) 간의 상대적인 위치(예컨대, 서로 마주보는 거리 또는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는 변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은, 제2 구동부(600)에 의해 제2 프레임(400)이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더라도,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코일(530)의 상대적인 위치(예컨대, 서로 마주보는 거리 또는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400)의 하단부에는 도피부(470)가 구비된다. 도피부(470)는 제2 프레임(4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 형상일 수 있다.
도피부(470)는 제2 프레임(400)의 4개의 측면의 하단부에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피부(470)는 제2 프레임(400)이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때, 연결기판부(700)와 제2 프레임(400)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프레임(400)의 상부면에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 스토퍼는 제2 프레임(400)이 케이스(140)와 충돌될 경우 충격 및 소음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7은 연결기판부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연결기판부의 평면도이며, 도 19는 연결기판부의 측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연결기판부(700)는 일측이 하우징(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렌즈모듈(200)에 연결된다.
연결기판부(700)는 렌즈모듈(20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성된다.
렌즈모듈(200)의 하부에 구비된 이미지센서 모듈(250)이 연결기판부(7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연결기판부(700)에 직접 이미지 센서(251)가 배치되고, 연결기판부(700)가 렌즈모듈(200)의 홀더(25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기판부(700)에서, 렌즈모듈(200)에 연결되는 부분은 렌즈모듈(200)과 함께 회전되는 가동부재이고, 하우징(100)에 연결되는 부분은 고정부재이다.
연결기판부(700)는 제1 베이스 기판(710), 제2 베이스 기판(720) 및 연결기판(730)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 기판(710)은 하우징(100)에 결합된다. 제1 베이스 기판(710)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홀이 구비된다. 관통홀은 렌즈모듈(200)의 회전 시에 제2 베이스 기판(720) 및 연결기판(730)이 제1 베이스 기판(7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 베이스 기판(710)에는 외부 단자와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기판(720)은 렌즈모듈(200)에 결합된다. 일 예로, 제2 베이스 기판(720)은 렌즈모듈(200)에 구비된 이미지센서 모듈(25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2 베이스 기판(720)에 이미지 센서(251)가 구비되고, 제2 베이스 기판(720)이 렌즈모듈(200)의 홀더(2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기판(720)은 렌즈모듈(200)과 함께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기판(710)이 하우징(100)에 결합되고 제2 베이스 기판(720)이 렌즈모듈(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베이스 기판(720)은 제1 베이스 기판(710)보다 광축(Z축) 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기판(730)은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연결기판(730)은 연성회로기판일 수 있으며, 고정부재인 제1 베이스 기판(710)과 회전부재인 제2 베이스 기판(720)을 연결한다.
광축(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연결기판(730)은 제2 베이스 기판(720)의 적어도 세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기판(730)은 제1 연장부(731), 분기부(732), 제2 연장부(733) 및 굴곡부(7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731)는 제2 베이스 기판(720)에서 연장된다. 일 예로, 제1 연장부(731)는 제2 베이스 기판(720)의 일 측면에서 제1 축(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분기부(732)는 제1 연장부(731)에서 연장되며, 제1 연장부(731)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일 예로, 분기부(732)는 제1 연장부(731)에서 제2 축(Y축) 방향 양측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733)는 분기부(732)에서 연장된다. 일 예로, 제2 연장부(733)는 분기부(732)에서 제1 축(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골곡부(734)는 제2 연장부(733)에서 연장된다. 일 예로, 굴곡부(734)는 제2 연장부(733)에서 제2 축(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부러진 형상을 포함한다. 일 예로, 굴곡부(734)는 '⊃' 또는 '⊂' 형상으로 굴곡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기판(730)은 도체가 패터닝된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 또는 복수의 케이블이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베이스 기판(720)이 회전되는 경우 연결기판(730)이 휘어질 수 있다.
한편, 연결기판(730)은 광축(Z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층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연결기판(730)의 폭을 줄임으로써 더욱 유연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로 설명한 연결기판부(700) 대신에 도 34 및 도 35를 참조로 후술하는 연결기판부(900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은 렌즈모듈(2000), 제1 프레임(3000), 제2 프레임(4000), 하우징(1000) 및 케이스(1700)를 포함한다.
렌즈모듈(2000)은 제2 프레임(4000)에 수용되고, 제2 프레임(4000)은 제1 프레임(3000)에 수용되며, 제1 프레임(3000)은 하우징(1000)에 수용된다.
하우징(1000)과 케이스(1700)는 고정체(10)일 수 있다. 제1 프레임(3000)은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제1 가동체(30)일 수 있다.
또한, 렌즈모듈(2000) 및 제2 프레임(4000)은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제2 가동체(50)일 수 있다. 한편, 제2 가동체(50)는 제1 가동체(30)에 수용되며 제1 가동체(30)와 함께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렌즈모듈(2000)은 렌즈부(2100) 및 홀더(2300)를 포함한다. 렌즈부(2100)는 렌즈배럴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령, 렌즈배럴과 캐리어가 결합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렌즈부(2100)에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가 배치될 경우 복수의 렌즈는 광축(Z축)을 따라 렌즈부(2100)의 내부에 장착된다.
렌즈부(2100)는 홀더(2300)에 수용된다. 일 예로, 홀더(23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홀더(2300)의 내부 공간에 렌즈부(2100)가 수용된다.
렌즈모듈(2000)은 홀더(2300)의 하부에 배치된 이미지센서 모듈(2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 모듈(2500)은 렌즈부(210)를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이미지센서 모듈(2500)은 이미지센서(2510) 및 이미지센서(2510)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2530)을 포함할 수 있고,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부(2100)를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센서(2510)는 렌즈부(2100)를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이미지센서(25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이미지센서(2510)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미지센서(2510)는 인쇄회로기판(2530)에 고정되며, 와이어 본딩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25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렌즈부(2100)는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부(2100)는 홀더(2300)에 대하여 광축(Z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즉, 렌즈부(2100)는 홀더(230)에 대하여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렌즈부(210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그네트와 코일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또는 압전 액추에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부(2100)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될 수 있고, 홀더(2300)에는 코일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렌즈부(2100)가 홀더(2300)에 대해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0)은 하우징(1000)에 수용된다. 제1 프레임(3000)과 하우징(1000)은 각각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제1 프레임(3000)은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Yawing).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구성을 제1 가동체(30)로 지칭한다. 예컨대, 제1 가동체(30)는 제1 프레임(3000)을 포함한다. 제1 가동체(30)는 제1 마그네트(5100), 제2 볼 부재(7300), 제2 구동부(6000), 제2 커버(3900)를 더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1 프레임(3000)에는 렌즈모듈(2000) 및 제2 프레임(4000)이 수용되므로, 제1 프레임(3000)이 회전됨에 따라 렌즈모듈(2000)과 제2 프레임(4000)도 제1 프레임(3000)과 함께 제1 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축(X축)을 기준으로 한 제1 가동체(30)의 회전에 대하여는 도 24 내지 도 28b를 참조로 후술한다.
제2 프레임(4000)은 제1 프레임(3000)에 수용된다. 제2 프레임(40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제2 프레임(4000)은 광축(Z축)과 제1 축(X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Pitching). 제2 프레임(4000)에는 렌즈모듈(2000)이 수용되므로, 제2 프레임(4000)이 회전됨에 따라 렌즈모듈(2000)도 제2 프레임(4000)과 함께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구성을 제2 가동체(50)로 지칭한다. 예컨대, 제2 가동체(50)는 렌즈모듈(2000) 및 제2 프레임(4000)을 포함한다. 제2 가동체(50)는 제2 마그네트(6100)를 더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2 가동체(50)는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한편, 제1 가동체(30)와 함께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한 제2 가동체(50)의 회전에 대하여는 도 29 내지 도 33b를 참조로 후술한다.
케이스(1700)는 하우징(1000)을 덮도록 하우징(1000)과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000)의 하부에는 연결기판부(90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4는 제1 가동체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a는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25b는 하우징의 저면도이며, 도 25c는 제1 프레임의 평면도이고, 도 25d는 제1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제1 가동체 및 제2 가동체가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프레임(3000)은 하우징(1000)에 수용되며, 하우징(100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컨대, 제1 프레임(3000)은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0)과 하우징(1000)에는 제1 프레임(30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제1 가이드부(10)는 제1 돌출부(3300), 제1 안착부(1300) 및 제1 볼 부재(7100)를 포함한다. 제1 볼 부재(7100)는 제1 돌출부(3300)와 제1 안착부(130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프레임(3000)에는 제1 프레임(3000)에서 돌출된 제1 돌출부(3300)가 구비된다. 일 예로, 제1 돌출부(3300)는 제1 프레임(3000)의 양측면에서 제1 축(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출부(33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24 및 도 25c 참조).
하우징(1000)에는 제1 돌출부(3300)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1 안착부(1300)가 구비된다. 제1 안착부(1300)는 제1 돌출부(3300)와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24 및 도 25a 참조).
제1 돌출부(3300)에는 제1 수용홈(3310)이 구비된다. 일 예로, 제1 수용홈(3310)은 제1 돌출부(3300)의 저면에 구비된다. 제1 수용홈(3310)은 제1 돌출부(3300)의 저면에서 함몰된 형상일 수 있고, 일면이 개방된 사면체 또는 오면체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수용홈(3310)은 삼각형의 일면이 개방된 삼각뿔 또는 사각형의 면이 개방된 사각뿔 형상일 수 있다(도 25d 참조).
한편, 한 쌍의 제1 돌출부(33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 수용홈(3310)은 일면이 개방된 사면체 또는 오면체 형상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제1 수용홈(3310)은 단면이 'V' 형상일 수 있다(도 25d 참조).
제1 안착부(1300)에는 제1 안착홈(1310)이 구비된다. 일 예로, 제1 안착홈(1310)은 제1 안착부(1300)의 상면에 구비된다. 제1 안착홈(1310)은 제1 안착부(1300)의 상면에서 함몰된 형상일 수 있고, 일면이 개방된 사면체 또는 오면체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착홈(1310)은 삼각형의 일면이 개방된 삼각뿔 또는 사각형의 면이 개방된 사각뿔 형상일 수 있다(도 25a 참조).
제1 수용홈(3310)과 제1 안착홈(1310)은 광축(Z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본다. 제1 수용홈(3310)과 제1 안착홈(1310) 사이에는 제1 볼 부재(7100)가 배치된다. 제1 볼 부재(7100)는 제1 축(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볼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수용홈(3310)과 제1 안착홈(1310)이 각각 한 쌍으로 제공되므로, 제1 볼 부재(7100)도 한 쌍의 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 부재(7100)의 일측은 제1 수용홈(3310)에 접촉되고, 제1 볼 부재(7100)의 타측은 제1 안착홈(1310)에 접촉된다.
제1 프레임(3000)은 제1 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구동부(5000)는 제1 프레임(30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구동부(5000)는 제1 마그네트(5100), 제1 코일(5300) 및 제1 기판(8100)을 포함한다.
제1 마그네트(5100)는 제1 프레임(3000)에 구비된다. 일 예로, 제1 마그네트(5100)는 제1 프레임(3000)의 일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0)는 제1 프레임(3000)의 일 측면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0)가 하나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마그네트(5100)는 제1 프레임(3000)의 일 측면에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제1 마그네트(5100)가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마그네트는 제1 프레임(3000)의 일 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마그네트(5100)는 제1 프레임(3000)의 타 측면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4에서는 제1 프레임(300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각각 두 개의 마그네트가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코일(5300)은 제1 마그네트(5100)와 마주보도록 제1 기판(810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코일(5300)은 제1 기판(8100)에 적층 매립된 동박 패턴이거나, 제1 기판(8100)에 구비된 권선 코일일 수 있다. 제1 기판(8100)은 하우징(1000)에 결합된다.
제1 코일(5300)은 제1 마그네트(51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0)와 제1 코일(5300)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5100)와 제1 코일(5300)은 제1 축(X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코일(5300)과 마주보는 제1 마그네트(5100)의 면은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착자된 제1 극성과 제2 극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5300)과 마주보는 제1 마그네트(5100)의 면에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제1 극성, 중립영역, 및 제2 극성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극성은 N극 또는 S극일 수 있고, 제2 극성은 제1 극성과 반대 극성(S극 또는 N극)일 수 있다. 제1 극성과 제2 극성 사이에는 중립영역이 구비된다.
제1 마그네트(5100)와 제1 코일(530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5100)와 제1 코일(5300)은 광축(Z축) 방향(Z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1 마그네트(5100)와 제1 코일(5300)의 구동력에 의해, 제1 프레임(3000)은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0)에는 렌즈모듈(2000)과 제2 프레임(4000)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제1 프레임(3000)이 회전됨에 따라 렌즈모듈(2000)과 제2 프레임(4000)도 제1 프레임(30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도 26a 내지 도 26c 참조).
제1 프레임(3000)이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때, 제1 마그네트(5100)는 제1 프레임(3000)과 함께 회전되는 이동부재이고, 제1 코일(5300)은 고정부재이다.
한편, 제1 마그네트(5100)는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한다. 일 예로, 제1 마그네트(5100)는 원호 형상을 포함한다.
제1 마그네트(5100)의 내측면(회전 중심점을 향한 면)과 외측면(내측면의 반대측 면)은 라운드진 형상일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0)의 내측면에 접하는 내접원과 제1 마그네트(5100)의 외측면에 접하는 외접원은 동심원일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0)가 제1 프레임(3000)의 일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마그네트의 각 내측면에 접하는 내접원과 두 개의 마그네트의 각 외측면에 접하는 외접원은 동심원일 수 있다.
제1 기판(8100)에는 제1 위치 측정부(5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위치 측정부(5500)는 제1 마그네트(5100)와 마주보도록 제1 코일(5300)의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 측정부(5500)는 제1 프레임(3000)이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경우 제1 프레임(30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위치 측정부(5500)는 홀 센서일 수 있다.
도 27a는 제1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7b는 제1 요크부의 사시도이며, 도 27c는 도 27a의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27a 내지 도 27c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3000)에는 제1 요크부(31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요크부(3100)의 일부분은 제1 프레임(30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요크부(3100)의 나머지 부분은 제1 프레임(30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요크부(310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1 프레임(3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내에 제1 요크부(3100)를 고정한 상태로 금형에 수지재를 주입함으로써 제1 요크부(3100)가 제1 프레임(3000)에 일체화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0)은 플라스틱 재질이며, 제1 요크부(3100)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제1 요크부(3100)가 제1 프레임(3000)에 구비되므로, 제1 프레임(3000)의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요크부(3100)는 제1 바디부(3110), 제1 보강부(3130) 및 제1 연장부(3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3110)는 제1 프레임(300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제1 프레임(30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 프레임(30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0)는 제1 바디부(3110)의 일측으로부터 제1 축(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프레임(3000)의 제1 돌출부(33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0)는 제1 돌출부(3300) 내에서 제1 수용홈(33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 부재(7100)와 제1 수용홈(3310) 간의 마찰 등에 의해 제1 수용홈(33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연장부(3150)는 제1 바디부(3110)의 타측으로부터 제1 축(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연장부(3150)는 제1 프레임(30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제1 연장부(3150)는 제1 프레임(3000)에서 제1 축(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150)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제1 풀링마그네트(1100)가 배치된다.
제1 연장부(3150)와 제1 풀링마그네트(1100)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며, 인력에 의해 제1 프레임(3000)이 제1 풀링마그네트(1100)를 향하여 당겨지게 되므로, 제1 볼 부재(7100)는 제1 프레임(3000) 및 하우징(100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풀링마그네트(1100)는 제1 연장부(3150)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하우징(1000)에 구비된다. 일 예로, 제1 풀링마그네트(1100)는 하우징(1000)의 제1 안착부(1300)의 저면에 배치된다(도 25b 참조).
제1 연장부(3150)의 중심과 제1 풀링마그네트(1100)의 중심은 각각 회전축인 제1 축(X축)에서 광축(Z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제1 연장부(3150)와 제1 풀링마그네트(1100) 사이의 인력에 의해 제1 프레임(3000)이 광축(Z축) 방향으로 하우징(1000)에 대해 가압되더라도, 카메라 모듈(2)의 사용 중에 예기치 않은 충격 등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볼 부재(7100), 제1 프레임(3000) 및 하우징(1000)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제1 볼 부재(7100)가 이탈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000)에는 제1 커버(1500)가 결합된다. 제1 커버(1500)는 하우징(1000)의 개방된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하우징(1000)과 결합된다(도 24 참조).
제1 커버(1500)는 제1 프레임(3000)의 제1 돌출부(3300)를 향해 돌출된 제1 스토퍼(1510)를 포함한다. 제1 스토퍼(1510)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
제1 돌출부(3300)의 상부에 제1 스토퍼(1510)가 위치하므로, 제1 볼 부재(7100)가 제1 프레임(3000) 및 하우징(1000)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33a 및 도 33b 참조).
제1 스토퍼(1510)는 제1 돌출부(330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510)와 제1 돌출부(3300)의 접촉면은 라운드진 곡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토퍼(1510)의 저면 및 제1 돌출부(3300)의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드진 곡면일 수 있다. 제1 스토퍼(1510)와 제1 돌출부(3300)는 점접촉 또는 선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토퍼(1510)와 제1 돌출부(3300)가 접촉하더라도, 제1 프레임(3000)의 회전 운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는 도 22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28a 및 도 28b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3000)은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0) 내에는 제2 프레임(4000)과 렌즈모듈(2000)이 구비되므로, 제2 프레임(4000)과 렌즈모듈(2000)은 제1 프레임(3000)과 함께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렌즈모듈(2000)에는 이미지센서 모듈(2500)이 구비되는데, 이미지센서 모듈(2500)도 렌즈모듈(2000)과 함께 회전된다.
이미지센서 모듈(2500)은 연결기판부(9000)와 연결되며, 연결기판부(9000)는 이미지센서 모듈(2500)이 회전함에 따라 일부가 상하 이동하거나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연결기판부(9000)의 구성은 도 34 내지 도 37b를 참조로 후술한다.
도 29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a는 제2 프레임의 평면도이고, 도 30b는 제2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제2 가동체가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프레임(4000)은 제1 프레임(3000)에 수용되며, 제1 프레임(300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컨대, 제2 프레임(4000)은 광축(Z축)과 제1 축(X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 29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렌즈모듈(2000)이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도 23을 참조하면, 제2 프레임(4000)에는 렌즈모듈(2000)이 수용되며, 렌즈모듈(2000)은 제2 프레임(4000)과 함께 회전된다.
제2 프레임(4000)과 제1 프레임(3000)에는 제2 프레임(40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제2 가이드부는 제2 돌출부(4300), 제2 안착부(3500) 및 제2 볼 부재(7300)를 포함한다. 제2 볼 부재(7300)는 제2 돌출부(4300)와 제2 안착부(350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프레임(4000)에는 제2 프레임(4000)에서 돌출된 제2 돌출부(4300)가 구비된다. 일 예로, 제2 돌출부(4300)는 제2 프레임(4000)의 양측면에서 제2 축(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부(43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29, 도 30a 및 도 30b 참조).
참고로, 제1 돌출부(3300)가 돌출된 방향과 제2 돌출부(4300)가 돌출된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000)에는 제2 돌출부(4300)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2 안착부(3500)가 구비된다. 제2 안착부(3500)는 제2 돌출부(4300)와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24, 도 25a 및 도 29 참조).
참고로, 제1 프레임(3000)에서 한 쌍의 제1 돌출부(330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한 쌍의 제2 안착부(350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은 수직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300)는 제1 축(X축) 방향으로 제1 프레임(30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2 안착부(3500)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제1 프레임(3000)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제1 프레임(3000)에서 제2 안착부(3500)의 상부는 제2 프레임(4000)의 제2 돌출부(43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돌출부(4300)에는 제2 수용홈(4310)이 구비된다. 일 예로, 제2 수용홈(4310)은 제2 돌출부(4300)의 저면에 구비된다. 제2 수용홈(4310)은 제2 돌출부(4300)의 저면에서 함몰된 형상일 수 있고, 일면이 개방된 사면체 또는 오면체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수용홈(4310)은 삼각형의 일면이 개방된 삼각뿔 또는 사각형의 면이 개방된 사각뿔 형상일 수 있다(도 30b 참조).
한편, 한 쌍의 제2 돌출부(43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2 수용홈(4310)은 일면이 개방된 사면체 또는 오면체 형상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제2 수용홈(4310)은 단면이 'V' 형상일 수 있다(도 30b 참조).
제2 안착부(3500)에는 제2 안착홈(3510)이 구비된다. 일 예로, 제2 안착홈(3510)은 제2 안착부(3500)의 상면에 구비된다. 제2 안착홈(3510)은 제2 안착부(3500)의 상면에서 함몰된 형상일 수 있고, 일면이 개방된 사면체 또는 오면체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안착홈(3510)은 삼각형의 일면이 개방된 삼각뿔 또는 사각형의 면이 개방된 사각뿔 형상일 수 있다(도 25c 참조).
제2 수용홈(4310)과 제2 안착홈(3510)은 광축(Z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본다. 제2 수용홈(4310)과 제2 안착홈(3510) 사이에는 제2 볼 부재(7300)가 배치된다. 제2 볼 부재(7300)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볼 부재를 포함한다.
제2 수용홈(4310)과 제2 안착홈(3510)이 각각 한 쌍으로 제공되므로, 제2 볼 부재(7300)도 한 쌍의 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볼 부재(7300)의 일측은 제2 수용홈(4310)에 접촉되고, 제2 볼 부재(7300)의 타측은 제2 안착홈(3510)에 접촉된다.
제2 프레임(4000)은 제2 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2 구동부(6000)는 제2 프레임(40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2 구동부(6000)는 제2 마그네트(6100), 제2 코일(6300) 및 제2 기판(8300)을 포함한다.
제2 마그네트(6100)는 제2 프레임(4000)에 구비된다. 일 예로, 제2 마그네트(6100)는 제2 프레임(4000)의 일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00)는 제2 프레임(4000)의 일 측면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00)가 하나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2 마그네트(6100)는 제2 프레임(4000)의 일 측면에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제2 마그네트(6100)가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마그네트는 제2 프레임(4000)의 일 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1 축(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마그네트(6100)는 제2 프레임(4000)의 타 측면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9에서는 제2 프레임(400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각각 두 개의 마그네트가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제1 마그네트(5100)가 배치되는 제1 프레임(3000)의 면과 제2 마그네트(6100)가 배치되는 제2 프레임(4000)의 면은 서로 수직한 면일 수 있다.
제2 코일(6300)은 제2 마그네트(6100)와 마주보도록 제2 기판(830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코일(6300)은 제2 기판(8300)에 적층 매립된 동박 패턴이거나, 제2 기판(8300)에 구비된 권선 코일일 수 있다.
제2 기판(8300)은 제1 프레임(3000)에 결합된다. 제2 기판(8300)은 하우징(1000)에 결합된 제1 기판(8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8300)은 연성회로기판일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3000)은 제1 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며, 제2 기판(8300)이 제1 프레임(3000)에 결합되므로, 제2 기판(8300)도 제1 프레임(3000)과 함께 제1 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제2 기판(8300)은 고정체(10)인 하우징(1000)에 결합된 제1 기판(8100)과 연결되는 연결부(8310)를 포함한다. 연결부(8310)는 제2 기판(8300)에서 연장되며, 연결부(8310)의 단부는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8310)는 도체가 패터닝된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 또는 복수의 케이블이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판(8300)이 제1 프레임(3000)과 함께 제1 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연결부(8310)가 휘어질 수 있다.
제2 코일(6300)은 제2 마그네트(61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00)와 제2 코일(6300)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예컨대, 제2 마그네트(6100)와 제2 코일(6300)은 제2 축(Y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코일(6300)과 마주보는 제2 마그네트(6100)의 면은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착자된 제1 극성과 제2 극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코일(6300)과 마주보는 제2 마그네트(6100)의 면에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제1 극성, 중립영역, 및 제2 극성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극성은 N극 또는 S극일 수 있고, 제2 극성은 제1 극성과 반대 극성(S극 또는 N극)일 수 있다. 제1 극성과 제2 극성 사이에는 중립영역이 구비된다.
제2 마그네트(6100)와 제2 코일(630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제2 마그네트(6100)와 제2 코일(6300)은 광축(Z축) 방향(Z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2 마그네트(6100)와 제2 코일(6300)의 구동력에 의해, 제2 프레임(4000)은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000)에는 렌즈모듈(2000)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제2 프레임(4000)이 회전됨에 따라 렌즈모듈(2000)도 제2 프레임(40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도 31a 내지 도 31c 참조).
제2 프레임(4000)이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때, 제2 마그네트(6100)는 제2 프레임(4000)과 함께 회전되는 이동부재이고, 제2 코일(6300)은 고정부재이다.
한편, 제2 마그네트(6100)는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한다. 일 예로, 제2 마그네트(6100)는 원호 형상을 포함한다.
제2 마그네트(6100)의 내측면(회전 중심점을 향한 면)과 외측면(내측면의 반대측 면)은 라운드진 형상일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00)의 내측면에 접하는 내접원과 제2 마그네트(6100)의 외측면에 접하는 외접원은 동심원일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00)가 제2 프레임(4000)의 일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마그네트의 각 내측면에 접하는 내접원과 두 개의 마그네트의 각 외측면에 접하는 외접원은 동심원일 수 있다.
제2 기판(8300)에는 제2 위치 측정부(6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위치 측정부(6500)는 제2 마그네트(6100)와 마주보도록 제2 코일(6300)의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측정부(6500)는 제2 프레임(4000)이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경우 제2 프레임(40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위치 측정부(6500)는 홀 센서일 수 있다.
도 32a는 제2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32b는 제2 요크부의 사시도이며, 도 32c는 도 32a의 IV-IV'의 단면도이다.
도 32a 내지 도 32c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4000)에는 제2 요크부(41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요크부(4100)의 일부분은 제2 프레임(40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요크부(4100)의 나머지 부분은 제2 프레임(40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요크부(410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2 프레임(40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내에 제2 요크부(4100)를 고정한 상태로 금형에 수지재를 주입함으로써 제2 요크부(4100)가 제2 프레임(4000)에 일체화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제2 프레임(4000)은 플라스틱 재질이며, 제2 요크부(4100)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제2 요크부(4100)가 제2 프레임(4000)에 구비되므로, 제2 프레임(4000)의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2 요크부(4100)는 제2 바디부(4110), 제2 보강부(4130) 및 제2 연장부(4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4110)는 제2 프레임(400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제2 프레임(40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 프레임(40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바디부(4110)는 제2 마그네트(6100)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보강부(4130)는 제2 바디부(4110)의 일측으로부터 제2 축(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프레임(4000)의 제2 돌출부(43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부(4130)는 제2 돌출부(4300) 내에서 제2 수용홈(43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볼 부재(7300)와 제2 수용홈(4310) 간의 마찰 등에 의해 제2 수용홈(43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연장부(4150)는 제2 바디부(4110)의 타측으로부터 제2 축(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4150)는 제2 프레임(40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제2 연장부(4150)는 제2 프레임(4000)에서 제2 축(Y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장부(4150)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제2 풀링마그네트(3700)가 배치된다.
제2 연장부(4150)와 제2 풀링마그네트(3700)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며, 인력에 의해 제2 프레임(4000)이 제2 풀링마그네트(3700)를 향하여 당겨지게 되므로, 제2 볼 부재(7300)는 제2 프레임(4000) 및 제1 프레임(300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풀링마그네트(3700)는 제2 연장부(4150)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제1 프레임(3000)에 구비된다. 일 예로, 제2 풀링마그네트(3700)는 제1 프레임(3000)의 제2 안착부(3500)의 저면에 배치된다(도 25d 참조).
제2 연장부(4150)의 중심과 제2 풀링마그네트(3700)의 중심은 각각 회전축인 제2 축(Y축)에서 광축(Z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제2 연장부(4150)와 제2 풀링마그네트(3700) 사이의 인력에 의해 제2 프레임(4000)이 광축(Z축) 방향으로 제1 프레임(3000)에 대해 가압되더라도, 카메라 모듈(2)의 사용 중에 예기치 않은 충격 등이 가해지는 경우 제2 볼 부재(7300), 제2 프레임(4000) 및 제1 프레임(3000)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제2 볼 부재(7300)가 이탈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프레임(3000)에는 제2 커버(3900)가 결합된다. 제2 커버(3900)는 제1 프레임(3000)의 개방된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제1 프레임(3000)과 결합된다(도 29 참조).
제2 커버(3900)는 광축(Z축)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부(3950)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3950)는 제1 프레임(3000)의 측면에 결합된다. 제1 마그네트(5100)는 제1 프레임(3000)의 측면에 부착되거나 결합부(3950)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커버(3900)는 제2 스토퍼(3930)를 포함한다. 제2 스토퍼(3930)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도 28a 및 도 28b 참조).
제2 스토퍼(3930)는 제2 커버(3900)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 완충부(3930a)와 제2 커버(3900)의 하측으로 돌출된 제2 완충부(39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완충부(3930b)는 제2 프레임(4000)의 제2 돌출부(4300)를 향해 돌출된다.
제2 돌출부(4300)의 상부에 제2 스토퍼(3930)가 위치하므로, 제2 볼 부재(7300)가 제2 프레임(4000) 및 제1 프레임(3000)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28a 및 도 28b 참조).
제2 스토퍼(3930)는 제2 돌출부(430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스토퍼(3930)와 제2 돌출부(4300)의 접촉면은 라운드진 곡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스토퍼(3930)의 저면 및 제2 돌출부(4300)의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드진 곡면일 수 있다. 제2 스토퍼(3930)와 제2 돌출부(4300)는 점접촉 또는 선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토퍼(3930)와 제2 돌출부(4300)가 접촉하더라도, 제2 프레임(4000)의 회전 운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 커버(3900)는 제3 스토퍼(3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8a, 도 28b 및 도 29 참조). 제3 스토퍼(3910)는 제2 커버(3900)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커버(3900)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3 완충부(3910a)와 제2 커버(3900)의 하측으로 돌출된 제4 완충부(39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완충부(3910b)는 제2 프레임(40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프레임(4000)은 제1 프레임(3000)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구성이며, 제4 완충부(3910b)는 제1 프레임(3000)에 결합되는 제2 커버(3900)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2 프레임(4000)이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제4 완충부(3910b)는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제2 프레임(4000)과 제4 완충부(3910b)가 간섭됨으로써 제2 프레임(4000)의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4 완충부(3910b)는 제2 프레임(4000)이 제2 축(Y축)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제3 완충부(3910b)와 충돌할 경우 소음 및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3 완충부(3910a) 및/또는 제1 완충부(3930a)는 제1 프레임(30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제3 완충부(3910a) 및/또는 제1 완충부(3930a)는 제1 프레임(3000)과 함께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구성이며, 제3 완충부(3910a) 및/또는 제1 완충부(3930a)와 제1 커버(1500, 고정체(10)인 하우징(1000)에 결합된 구성)가 간섭됨으로써 제1 프레임(3000)의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도 28a 및 도 28b 참조).
도 33a 및 도 33b는 도 22의 II-II'의 단면도이다.
도 33a 및 도 33b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4000)은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프레임(4000) 내에는 렌즈모듈(2000)이 구비되므로, 렌즈모듈(2000)은 제2 프레임(4000)과 함께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렌즈모듈(2000)에는 이미지센서 모듈(2500)이 구비되는데, 이미지센서 모듈(2500)도 렌즈모듈(2000)과 함께 회전된다.
이미지센서 모듈(2500)은 연결기판부(9000)와 연결되며, 연결기판부(9000)는 이미지센서 모듈(2500)이 회전함에 따라 일부가 상하 이동하거나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연결기판부(9000)의 구성은 도 34 내지 도 37b를 참조로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은, 제1 가동체(30)와 제2 가동체(50)가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경우, 제2 구동부(6000)의 제2 마그네트(6100)와 제2 코일(6300)의 상대적인 위치(예컨대, 서로 마주보는 거리 또는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2 마그네트(6100)는 제2 프레임(4000)에 구비되고, 제2 코일(6300)은 제1 프레임(3000)에 장착된 제2 기판(8300)에 구비되므로, 제1 프레임(3000)과 제2 프레임(4000)이 제1 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 마그네트(6100)와 제2 코일(6300)도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제1 구동부(5000)에 의해 제1 가동체(30)와 제2 가동체(50)가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더라도, 제2 마그네트(6100)와 제2 코일(6300) 간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는 변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은, 제2 가동체(50)가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경우, 제1 구동부(5000)의 제1 마그네트(5100)와 제1 코일(5300)의 상대적인 위치(예컨대, 서로 마주보는 거리 또는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2 프레임(4000)이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경우 제2 마그네트(6100)가 제2 프레임(4000)과 함께 회전되고, 제1 구동부(5000)는 제2 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제1 마그네트(5100)와 제1 코일(5300) 간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4는 렌즈모듈과 연결기판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5는 렌즈모듈과 연결기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6a 및 도 36b는 렌즈모듈이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7a 및 도 37b는 렌즈모듈이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37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렌즈모듈(2000)과 연결기판부(9000)만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렌즈모듈(2000)은 연결기판부(9000)와 연결된다. 예컨대, 렌즈모듈(2000)의 하부에 구비된 이미지센서 모듈(2500)이 연결기판부(900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기판부(9000)는 제1 플렉시블 기판(9100), 제2 플렉시블 기판(9300), 지지판(9500) 및 연결기판(9700)을 포함한다.
제1 플렉시블 기판(9100)은 연성회로기판일 수 있으며,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 제1 플렉시블 기판(9100)은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제1 플렉시블 기판(9100)은 제1 연성부(9110), 제1 지지부(9120), 제2 연성부(9130) 및 제2 지지부(9140)를 포함한다.
제1 연성부(9110)는 렌즈모듈(2000)과 광축(Z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연성부(9110)의 일단은 렌즈모듈(2000)의 일측과 연결된다. 제1 연성부(9110)는 렌즈모듈(20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제1 축(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연성부(9110)의 일단은 렌즈모듈(2000)과 연결되도록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제1 연성부(9110)는 제1 축(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1 지지부(9120)는 제1 연성부(9110)의 타단으로부터 굴곡되어 제1 연성부(9110)의 일단 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 지지부(9120)도 제1 축(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2 연성부(9130)는 제1 지지부(9120)로부터 굴곡되어 제2 축(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연성부(9130)의 일단은 제1 지지부(9120)와 연결되도록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제2 연성부(9130)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2 지지부(9140)는 제2 연성부(9130)의 타단으로부터 굴곡되어 제2 연성부(9130)의 일단 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2 지지부(9140)도 제2 축(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1 연성부(9110)와 제1 지지부(9120)는 제1 축(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고, 제2 연성부(9130)와 제2 지지부(9140)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즉, 제1 연성부(9110)와 제1 지지부(9120) 및, 제2 연성부(9130)와 제2 지지부(9140)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제1 연성부(9110), 제1 지지부(9120), 제2 연성부(9130) 및 제2 지지부(9140)는 광축(Z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 플렉시블 기판(9300)은 연성회로기판일 수 있으며,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 제2 플렉시블 기판(9300)은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제2 플렉시블 기판(9300)은 렌즈모듈(2000)의 타측과 연결되며, 제1 플렉시블 기판(910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예컨대, 제2 플렉시블 기판(9300)도 제1 플렉시블 기판(9100)과 마찬가지로, 제1 연성부(9310), 제1 지지부(9320), 제2 연성부(9330) 및 제2 지지부(9340)를 포함한다.
제1 플렉시블 기판(9100)의 제1 지지부(9120)와 제2 플렉시블 기판(9300)의 제1 지지부(9320)에는 지지판(95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플렉시블 기판(9100)의 제2 지지부(9140)와 제2 플렉시블 기판(9300)의 제2 지지부(9340)에는 연결기판(9700)이 결합된다. 연결기판(9700)에는 외부 단자와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플렉시블 기판(9100)과 제2 플렉시블 기판(9300)의 각 구성은 도체가 패터닝된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이거나 복수의 케이블 형태일 수 있다.
렌즈모듈(2000)이 제1 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경우, 지지판(9500)도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이 때 제2 연성부(9130, 9330)가 상하 이동되거나 휘어질 수 있다(도 36a 및 도 36b 참조).
렌즈모듈(2000)이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경우, 제1 연성부가 상하 이동되거나 휘어질 수 있다(도 37a 및 도 37b 참조).
따라서, 렌즈모듈(2000)이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더라도, 연결기판부(9000)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와 안정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34 및 도 35를 참조로 설명한 연결기판부(9000) 대신에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로 설명한 연결기판부(70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하우징
200: 렌즈모듈
300: 제1 프레임
400: 제2 프레임
500: 제1 구동부
600: 제2 구동부
700: 연결기판부
1: 휴대용 전자기기
2: 제1 카메라 모듈
3: 제2 카메라 모듈

Claims (20)

  1.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수용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프레임은 광축에 수직한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1 볼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2 볼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제1 구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배치된 제1 마그네트, 상기 제1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코일 및 제1 위치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제1 축을 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반대측 면인 외측면이 라운드진 형상인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렌즈모듈에 결합되는 연결기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판부는 상기 렌즈모듈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판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베이스 기판, 상기 렌즈모듈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을 연결하는 연결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판은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적어도 세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
  4.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수용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렌즈모듈에 결합되는 연결기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프레임은 광축에 수직한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1 볼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2 볼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기판부는 상기 렌즈모듈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기판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베이스 기판, 상기 렌즈모듈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을 연결하는 연결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판은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적어도 세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은 상기 제1 베이스 기판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기판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진 형태인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판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판은 제1 연장부, 분기부, 제2 연장부 및 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분기부는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분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에 연결되며 굴곡진 형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수용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프레임은 광축에 수직한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1 볼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2 볼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제1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제1 댐퍼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1 볼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댐퍼부재 사이에서 가압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제2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제2 댐퍼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볼 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2 댐퍼부재 사이에서 가압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부재와 상기 제2 댐퍼부재에는 각각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각각 금속 재질이고,
    상기 제1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 볼 부재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2 볼 부재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이 돌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수용홈이 상기 제1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일체로 사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수용홈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과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에 접하는 내접원과 상기 외측면에 접하는 외접원은 동심원인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제1 기판이 장착되고, 상기 제1 코일이 상기 제1 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기판은 외부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굴곡진 형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제2 구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일 측에 배치된 제2 마그네트 및 상기 제2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제2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2 축을 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반대측 면인 외측면이 라운드진 형상인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에 접하는 내접원과 상기 외측면에 접하는 외접원은 동심원인 카메라 모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제2 기판이 장착되고, 상기 제2 코일이 상기 제2 기판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직사각 형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단축이 회전축일 때의 회전범위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장축이 회전축일 때의 회전범위보다 더 넓은 카메라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축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한 상기 렌즈모듈의 회전범위는 ±7°이고, 상기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한 상기 렌즈모듈의 회전범위는 ±15°인 카메라 모듈.
  19.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이격 배치된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화각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화각보다 더 좁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수용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프레임은 광축에 수직한 제1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1 볼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 볼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렌즈모듈은 직사각 형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단축이 회전축일 때의 회전범위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장축이 회전축일 때의 회전범위보다 더 넓은 휴대용 전자기기.
  20. 삭제
KR1020200080548A 2020-04-03 2020-06-30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39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47,751 US11681157B2 (en) 2020-04-03 2021-01-13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110345752.1A CN113552688B (zh) 2020-04-03 2021-03-31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便携式电子设备
CN202120661533.XU CN214409418U (zh) 2020-04-03 2021-03-31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便携式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0953 2020-04-03
KR1020200040953 2020-04-03
KR1020200056752 2020-05-12
KR20200056752 2020-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73A KR20210123973A (ko) 2021-10-14
KR102391582B1 true KR102391582B1 (ko) 2022-04-29

Family

ID=7815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548A KR102391582B1 (ko) 2020-04-03 2020-06-30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905B1 (ko) * 2021-11-03 2024-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3271A (ja) 2017-09-12 2019-04-04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436A (ko) * 2011-03-29 2012-10-1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077938B2 (ja) * 2012-05-31 2017-02-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KR101670139B1 (ko) * 2014-06-20 201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901702B1 (ko) * 2016-03-11 2018-09-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618376B1 (ko) 2016-12-28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955381B2 (ja) * 2017-07-06 2021-10-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3271A (ja) 2017-09-12 2019-04-04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73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78608B (zh) 光学防抖模块及包括该光学防抖模块的相机模块
US11675157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113448042B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KR100594150B1 (ko) 카메라 모듈의 떨림 보정 장치
CN113678428B (zh) 相机模块
US20220206308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CN109073851B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其的摄像机模块和光学装置
US11671688B2 (en) Camera module having extended support members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US20230393369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20170092809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473409B1 (ko) 카메라 모듈
KR102391582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2017009281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11681157B2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5552877A (zh) 相机装置
KR102422540B1 (ko) 흔들림 보정 모듈
US20240040256A1 (en) Sensor driving device
CN113448043B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KR20230109082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