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441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6441A KR20230086441A KR1020210175069A KR20210175069A KR20230086441A KR 20230086441 A KR20230086441 A KR 20230086441A KR 1020210175069 A KR1020210175069 A KR 1020210175069A KR 20210175069 A KR20210175069 A KR 20210175069A KR 20230086441 A KR20230086441 A KR 202300864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shake
- disposed
- focus adjustment
- lens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캐리어;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점 조정부; 및 상기 렌즈 모듈을 상기 캐리어 내에서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흔들림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흔들림 보정부는, 상기 렌즈 모듈 및 상기 캐리어 사이에 구비되는 볼 부재; 상기 렌즈 모듈에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및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코일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배치되는 복수의 풀링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풀링 요크는 상기 복수의 풀링 요크의 길이 방향이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형화될수록 영상 촬영 시에 손떨림에 대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 손떨림에 대한 보정 기술이 필요하다.
영상 촬영 시 손떨림이 발생할 때,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술이 적용된 OIS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OIS 액츄에이터는 손떨림 정도에 따라 렌즈 모듈을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흔들림을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OIS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손떨림을 보정하는 과정에서 렌즈 모듈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에 편차가 발생하는 등 의도하지 않은 여러 이유로 인해 렌즈 모듈이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OIS 액츄에이터를 채용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 모듈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광축 방향 두께가 슬림화된 OI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캐리어;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점 조정부; 및 상기 렌즈 모듈을 상기 캐리어 내에서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흔들림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흔들림 보정부는, 상기 렌즈 모듈 및 상기 캐리어 사이에 구비되는 볼 부재; 상기 렌즈 모듈에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및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코일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배치되는 복수의 풀링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풀링 요크는 상기 복수의 풀링 요크의 길이 방향이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축 방향 두께가 슬림화된 OIS 액츄에이터를 적용하여 렌즈 모듈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정부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부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풀링 요크의 배치관계 및 회전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흔들림 보정 코일, 위치 센서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정부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부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풀링 요크의 배치관계 및 회전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흔들림 보정 코일, 위치 센서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의 개략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광학기기로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 및 초점을 조정하거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 모듈(200), 렌즈 모듈(200)을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장치(500), 렌즈 모듈(20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600) 및 렌즈 모듈(200)과 렌즈 구동 장치(500)를 수용하는 하우징(120)과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렌즈 모듈(200)은 렌즈 배럴(210) 및 렌즈 홀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21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렌즈 배럴(210)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배치되고, 각각의 렌즈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 배럴(210)은 복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렌즈 배럴(2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 홀더(220)는 렌즈 배럴(21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홀더(220)는 렌즈 배럴(210)을 감싸는 형태로 렌즈 배럴(210)과 결합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500)는 렌즈 모듈(200)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일 예로, 렌즈 구동 장치(500)는 렌즈 모듈(200)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을 조정할 수 있고, 렌즈 모듈(200)을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촬영 시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500)는 초점을 조정하는 초점 조정부(300) 및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600)은 렌즈 모듈(20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 모듈(600)은 이미지 센서(610) 및 이미지 센서(610)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620)을 포함할 수 있고,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 모듈(200)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610)는 렌즈 모듈(20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6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610)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미지 센서(610)는 인쇄회로기판(620)에 고정되며, 와이어 본딩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6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렌즈 모듈(200)과 렌즈 구동 장치(500)는 하우징(120)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렌즈 모듈(200)과 렌즈 구동 장치(50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600)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하우징(12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하우징(12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케이스(110)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휴대가능한 전자기기 내의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1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모듈 이외에 여러 전자부품이 장착되므로, 이러한 전자부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카메라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1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인쇄회로기판(620)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렌즈 홀더(220) 등이 캐리어(3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렌즈 홀더(22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캐리어(3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정부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500)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렌즈 모듈(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은 렌즈 모듈(200)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점 조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초점 조정부(300)는 렌즈 모듈(200)을 수용하는 캐리어(310) 및 렌즈 모듈(200)과 캐리어(31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초점 조정 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초점 조정 구동부(320)는 마그네트(magnet)와 코일(coil)(이하,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 초점 조정 코일(3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점 조정부(300)는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 및 제1 초점 조정 코일(3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는 캐리어(31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는 캐리어(3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초점 조정 코일(322a)은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초점 조정 코일(322a)은 기판(130)을 매개로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초점 마그네트(321a)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는 캐리어(310)에 배치되어 캐리어(310)와 함께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제1 초점 조정 코일(322a)은 하우징(120)에 고정된 고정부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와 제1 초점 조정 코일(322a)의 위치를 서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초점 조정 코일(322a)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와 제1 초점 조정 코일(322a)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캐리어(31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캐리어(310)에는 렌즈 모듈(200)이 수용되므로, 캐리어(310)의 이동에 의해 렌즈 모듈(200)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캐리어(310)가 이동될 때, 캐리어(310)와 하우징(12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캐리어(310)와 하우징(120) 사이에는 구름부재(370)가 배치될 수 있다. 구름부재(370)는 볼(ball) 형태일 수 있다.
구름부재(370)는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에는 제1 요크(35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요크(350)는 제1 초점 조정 코일(322a)을 사이에 두고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요크(350)와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 사이에는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 제1 요크(350)는 자성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요크(350)와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 사이의 인력에 의해 구름부재(370)는 캐리어(310) 및 하우징(12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요크(350)는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요크(350)와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는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요크(350)의 광축(Z축) 방향 길이는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의 광축(Z축)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요크(30)의 광축(Z축) 방향 길이가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의 광축(Z축) 방향 길이보다 짧으면,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가 광축(Z축) 방향으로 움직일 때,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의 중심이 제1 요크(350)의 중심을 향하도록 작용하는 인력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고 하는 복귀력이 보다 강하게 작용하므로,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를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전류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제1 요크(350)의 광축(Z축) 방향 길이가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의 광축(Z축) 방향 길이보다 길면, 마그네트(320a)의 중심이 제1 요크(350)의 중심을 향하도록 작용하는 인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소비 전력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캐리어(310)와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 사이에는 제2 요크(3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요크(340)는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요크(340)와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는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렌즈 모듈(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한 위치 센서(360)가 필요하다. 위치 센서(360)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위치 센서(360)는 제1 초점 조정 코일(322a)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며, 제1 초점 조정 코일(322a)이 장착되는 기판(130)에 위치 센서(36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360)는 초점 조정부(30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회로소자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센서(360)와 회로소자가 별개의 부품으로 각각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의 전원이 켜지면, 위치 센서(360)에 의해 렌즈 모듈(200)의 초기 위치가 감지된다. 그리고, 렌즈 모듈(200)은 감지된 초기 위치로부터 초기 설정 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초기 위치는 카메라 모듈의 전원이 켜졌을 때 렌즈 모듈(200)의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초기 설정 위치는 렌즈 모듈(200)의 초점이 무한대가 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회로소자의 구동신호에 의해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목표 위치까지 이동된다.
초점 조정 과정에서 렌즈 모듈(200)은 광축(Z축)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다(즉,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 모듈의 슬림화 추세에 따라 마그네트가 장착되는 면적이 작아질 경우, 마그네트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초점 조정에 필요한 충분한 구동력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점 조정 시 충분한 구동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b)와 제2 초점 조정 코일(322b)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b)는 캐리어(31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b)는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가 배치된 캐리어(310)의 일면과 다른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b)는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와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b)는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보다 크기가 작은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초점 조정 코일(322b)은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초점 조정 코일(322b)은 기판(130)을 매개로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초점 조정 코일(322b)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b)는 캐리어(310)에 배치되어 캐리어(310)와 함께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제2 초점 조정 코일(322b)은 하우징(120)에 고정된 고정부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b)와 제2 초점 조정 코일(322b)의 위치를 서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초점 조정 코일(322b)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b)와 제2 초점 조정 코일(322b)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캐리어(31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120)에는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b)와 마주보도록 제1 요크(3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요크(350)는 제2 초점 조정 코일(322b)을 사이에 두고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b)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310)와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b) 사이에는 제2 요크(34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310)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제1 및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321a, 321b)를 배치하고, 각각의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20)의 서로 다른 면에 제1 및 제2 초점 조정 코일(322a, 322b)을 배치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슬림화하더라도 초점 조정에 필요한 충분한 구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부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흔들림 보정부(400)는 이미지 활영 또는 동영상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 등의 요인에 의해 이미지가 번지거나 동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흔들림 보정부(400)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영상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렌즈 모듈(200)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상한다.
일 예로, 흔들림 보정부(400)는 렌즈 모듈(200)을 캐리어(310) 내에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흔들림을 보정한다.
흔들림 보정부(400)는 렌즈 모듈(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렌즈 모듈(200)에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 및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을 포함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는 렌즈 홀더(22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는 렌즈 홀더(220)의 서로 다른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는 폭 방향으로 분극된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은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은 기판(130)을 매개로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제1 구동부(410) 및 제2 구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410) 및 제2 구동부(420)는 각각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410)는 광축(Z축) 방향에 수직하는 제1 방향(X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이하,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및 흔들림 보정 코일(이하,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410)는 제1 방향(X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광축(Z축) 방향 및 제1 방향(X축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구동부(420)는 제2 방향(Y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이하,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 및 흔들림 보정 코일(이하,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420)는 제2 방향(Y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1 구동부(410) 및 제2 구동부(420)는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동부(410)의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와 제2 구동부(420)의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는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는 렌즈 모듈(200)에 배치되고,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 및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은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는 렌즈 홀더(220)에 배치되고,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 및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은 기판(130)을 매개로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은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은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2)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는 렌즈 모듈(200)과 함께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 및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은 하우징(120)에 고정된 고정부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그네트들(411, 421)과 코일(412, 422)의 위치를 서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들(411, 421)과 흔들림 보정 코일들(412, 422)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와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렌즈 모듈(200)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2)와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렌즈 모듈(200)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불균등한 힘의 작용에 의해 렌즈 모듈(200)에 회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회전력을 상쇄하기 위하여 복수의 풀링 요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풀링 요크의 배치관계 및 회전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대향하도록 캐리어(31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광축(Z축)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의 풀링 요크(430)가 배치되고,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복수의 풀링 요크(430)가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310)는 복수의 풀링 요크(430)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삽입 홈은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캐리어(3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자성체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풀링 요크(430)와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 사이에는 자기력(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하여,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에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길이 방향 중심은 뉴트럴 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는 마그네트의 폭 방향으로 분극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폭 방향으로 분극 방향이 상이한 제1 영역(411a, 421a) 및 제2 영역(411b, 421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영역(411a, 421a)은 N극이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을 향하도록 배치된 영역이고, 제2 영역(411b, 421b)은 S극이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을 향하도록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각각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영역(411a, 421a)과 제2 영역(411b, 421b)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이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이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과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길이 방향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와 마주보는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은,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와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의 방향(Y축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와 마주보는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은,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와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의 방향(X축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풀링 요크(430)는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 중심이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폭 방향 중심과 대향한 상태에서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과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길이 방향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풀링 요크(430)와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가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렌즈 모듈(200)에 의도하지 않은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면,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폭 방향 중심은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 중심과 어긋나게 된다.
이 때, 복수의 풀링 요크(430)와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 사이에는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력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양측, 즉, 제1 영역(411a, 421a) 및 제2 영역(411b, 421b)에서는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폭 방향 중심이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 중심과 대향할 수 있도록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 중심으로 작용하는 인력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제1 영역(411a, 421a) 및 제2 영역(411b, 421b)은 복수의 풀링 요크(430)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모듈(20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력은 상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복수의 풀링 요크(430) 사이의 인력은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의 중심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이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풀링 요크(430)와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발생한 회전이 복원되기 어렵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풀링 요크(430)의 길이 방향과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길이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렌즈 모듈(200) 회전 시 복수의 풀링 요크(430)와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의 상호작용을 통해 렌즈 모듈(20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력을 상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구동부(410) 및 제2 구동부(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향(X축 방향) 및/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에 구비되는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흔들림 보정 코일(421, 422)은 상호작용하여 회전력을 의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모듈(200)에 회전력이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거나 회전력을 상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동부(410)는 1개의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와 2개의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a, 412b)을 구비하고, 제2 구동부(420)는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와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을 각각 1개씩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410)에서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는 2개의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a, 412b)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a, 412b)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렌즈 모듈(200)이 회전하게 되면, 렌즈 모듈(200)의 회전력을 상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발생시킬 회전모멘트를 산정하여,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a, 412b)에 해당하는 전류를 각각 입력할 수 있다.
즉, 렌즈 모듈(200)의 회전력을 상쇄하기 위해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a, 412b)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와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이 상호작용하여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거나,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와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이 상호작용하여 제1 방향(X 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불균등한 힘의 작용에 의해 렌즈 모듈(200)에 회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1 구동부(410) 및 제2 구동부(420)에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흔들림 보정 코일이 각각 1개씩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발생한 회전력을 보상할 수 있는 구동력이 발생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구동부(410) 및 제2 구동부(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을 2개 이상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렌즈 모듈(200)의 회전력을 상쇄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렌즈 모듈(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한 위치 센서(450)가 제공될 수 있다.
위치 센서(450)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위치 센서(450)는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 사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센서(450)는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와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 사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450)는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와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 사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위치 센서(450)는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이 장착되는 기판(13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450)는 흔들림 보정부(40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회로소자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센서(450)와 회로소자가 별개의 부품으로 각각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 센서(450)는 렌즈 모듈(200)의 위치 및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흔들림 보정 코일, 위치 센서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구동부(410) 및 제2 구동부(420)는 1개의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2개의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는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폭 방향으로 분극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분극 방향이 상이한 제1 영역(411a, 421a) 및 제2 영역(411b, 421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N극이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을 향하도록 배치된 영역과 S극이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을 향하도록 배치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 및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은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제1 영역(411a, 421a) 및 제2 영역(411b, 421b)과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흔들림 보정 코일(412) 및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22)은 각각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의 N극 및 S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450)는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에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위치 센서(450)는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2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위치 센서(450)는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의 제1 영역(411a, 421a) 및 제2영역(411b, 421b)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센서(450)는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 사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2개의 위치 센서(450)에 의해 센싱된 거리가 상이한 경우에는, 렌즈 모듈(200)은 회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구동부(410) 및 제2 구동부(420)에 포함된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411, 421)와 제1 및 제2 흔들림 보정 코일(412, 422)을 복합적으로 선택하여 렌즈 모듈(200)의 회전을 상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반면에,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2개의 위치 센서(450)에 의해 센싱된 거리가 동일한 경우에는, 렌즈 모듈(200)은 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렌즈 모듈(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으로 별도의 위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마그네트들와 코일들의 위치 관계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하여 렌즈 모듈(200)의 위치를 센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4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 부분의 개략 확대도이다.
가이드 부재는 볼 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볼 부재(440)는 렌즈 모듈(200) 및 캐리어(3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볼 부재(440)를 통해 캐리어(310)와 렌즈 모듈(20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볼 부재(440)는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광축(Z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렌즈 모듈(2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로, 볼 부재(440)는 광축(Z축) 방향에 수직한 제1 방향(X축 방향) 및 광축(Z축) 방향 및 제1 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렌즈 모듈(2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 부재(410)는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다.
볼 부재(44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모듈(200)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볼 부재(440)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모듈(200)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볼 부재(440)는 흔들림 보정부(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볼 부재(440)는 가이드 홈(221, 311)에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홈(221, 311)은 렌즈 모듈(200) 및 캐리어(310)가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21, 311)은 볼 부재(440)와 동일한 수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가이드 홈(221, 311)에는 하나의 볼 부재(440)가 수용될 수 있다.
볼 부재(440)는 가이드 홈(221, 311)에 수용된 상태로 렌즈 모듈(200) 및 캐리어(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볼 부재(440)는 가이드 홈(221, 3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과 같이 가이드홈(221, 311)은 볼 부재(440)의 운동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구속되지 않도록 볼 부재(440)와 접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221, 311)은 가이드 홈(221, 311) 내부에서 볼 부재(440)가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21, 311)의 형상에 따라 직경, 길이 등이 충분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렌즈 모듈(200)은 캐리어(310) 내에서 광축(Z축) 방향에 수직하는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모두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볼 부재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볼 부재를 별도로 구비(2단 구조)할 필요가 없으며, 구동부의 두께 방향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홈(221, 311)에는 보강판(222, 312)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판(222, 312)은 볼부재(440)에 접촉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홈(221, 311)은 볼 부재(440)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등에 의해 파손될 수 있으나, 보강판(222, 312)을 배치하여 강성 보강이 가능하므로, 가이드 홈(221, 3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판(222, 312)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렌즈 모듈(200) 및 캐리어(3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410) 및 제2 구동부(420)의 전자기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강판(222, 312)은 비자성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광축 방향 두께가 슬림화된 OIS 액츄에이터를 적용하여 렌즈 모듈(200)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므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000: 카메라 모듈
110: 케이스 120: 하우징
200: 렌즈 모듈 300: 초점 조정부
310: 캐리어 320: 초점 조정 구동부
321: 초점 조정 마그네트 322: 초점 구동 코일
400: 흔들림 보정부 410: 제1 구동부
411: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412: 제1 흔들림 보정 코일
420: 제2 구동부 421: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422: 제2 흔들림 보정 코일 430: 풀링 요크
440: 볼 부재 450: 위치 센서
500: 렌즈 구동 장치 600: 이미지 센서 모듈
110: 케이스 120: 하우징
200: 렌즈 모듈 300: 초점 조정부
310: 캐리어 320: 초점 조정 구동부
321: 초점 조정 마그네트 322: 초점 구동 코일
400: 흔들림 보정부 410: 제1 구동부
411: 제1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412: 제1 흔들림 보정 코일
420: 제2 구동부 421: 제2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422: 제2 흔들림 보정 코일 430: 풀링 요크
440: 볼 부재 450: 위치 센서
500: 렌즈 구동 장치 600: 이미지 센서 모듈
Claims (10)
-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캐리어;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점 조정부; 및
상기 렌즈 모듈을 상기 캐리어 내에서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흔들림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흔들림 보정부는, 상기 렌즈 모듈 및 상기 캐리어 사이에 구비되는 볼 부재;
상기 렌즈 모듈에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및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코일을 구비하는 구동부; 및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배치되는 복수의 풀링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풀링 요크는 상기 복수의 풀링 요크의 길이 방향이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는 길이 방향을 따라 분극 방향이 상이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풀링 요크는 각각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 회전 시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의 양측은 상기 복수의 풀링 요크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제1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및 상기 흔들림 보정 코일을 포함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광축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 및 상기 흔들림 보정 코일을 포함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흔들림 보정 코일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흔들림 보정 마그네트와 상기 흔들림 보정 코일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에 2개 이상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부재는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광축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구름운동 하는, 카메라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 및 상기 캐리어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상기 볼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볼 부재와 접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정부는, 상기 캐리어에 배치되는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초점 조정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정부는, 상기 캐리어에 배치되는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 및
상기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초점 조정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초점 조정 마그네트는 상기 제1 초점 조정 마그네트보다 크기가 작은,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5069A KR102678627B1 (ko) | 2021-12-08 | 2021-12-08 | 카메라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5069A KR102678627B1 (ko) | 2021-12-08 | 2021-12-08 |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6441A true KR20230086441A (ko) | 2023-06-15 |
KR102678627B1 KR102678627B1 (ko) | 2024-06-27 |
Family
ID=8676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5069A KR102678627B1 (ko) | 2021-12-08 | 2021-12-08 |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862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4453B1 (ko) * | 2017-11-09 | 2020-05-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CN111880278A (zh) * | 2020-06-30 | 2020-11-03 | 重庆睿恩光电子有限责任公司 | 具有防抖及对焦功能的透镜驱动装置、相机及电子设备 |
KR20200143187A (ko) * | 2019-06-14 | 2020-12-23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20210073325A (ko) * | 2019-12-10 | 2021-06-1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
2021
- 2021-12-08 KR KR1020210175069A patent/KR1026786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4453B1 (ko) * | 2017-11-09 | 2020-05-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20200143187A (ko) * | 2019-06-14 | 2020-12-23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20210073325A (ko) * | 2019-12-10 | 2021-06-1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CN111880278A (zh) * | 2020-06-30 | 2020-11-03 | 重庆睿恩光电子有限责任公司 | 具有防抖及对焦功能的透镜驱动装置、相机及电子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8627B1 (ko) | 2024-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7389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290073B1 (ko) | 카메라 모듈 | |
US11754851B2 (en) | Lens driving apparatus having three ball members and opening in frame | |
KR102029532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272591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1813392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494329B1 (ko) | 카메라 모듈 | |
CN213302731U (zh) | 相机模块 | |
US11835788B2 (en) |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183095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369433B1 (ko) | 카메라모듈 | |
KR102333089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313289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CN214409530U (zh) |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电子设备 | |
KR102439902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319600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319599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678627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240142844A (ko) | 카메라 모듈 | |
KR20240105749A (ko) | 카메라 모듈 | |
KR20230080096A (ko) | 카메라 모듈 | |
KR20230000290A (ko) | 카메라 모듈 | |
KR20210087298A (ko) |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