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475B1 -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475B1
KR101561475B1 KR1020140036505A KR20140036505A KR101561475B1 KR 101561475 B1 KR101561475 B1 KR 101561475B1 KR 1020140036505 A KR1020140036505 A KR 1020140036505A KR 20140036505 A KR20140036505 A KR 20140036505A KR 101561475 B1 KR101561475 B1 KR 101561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ssembly
front body
lens assembly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403A (ko
Inventor
이희중
백성욱
박상현
배종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14003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47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후.측방을 감시하여 주행, 후진 및 주차 시에 보행자 및 장애물을 차량 내에 설치된 모니터에 현시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주변 시야를 확보해 주는 차량용 카메라에서 렌즈의 포커싱을 조정하는 포커싱 홈이 구성되지 않은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렌즈배럴로 이루어진 렌즈 어셈블리; 상기 렌즈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프론트 바디;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를 통해서 수신되는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회로기판; 상기 프론트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회로기판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리어 바디;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상부 주위에 설치되어 렌즈 어셈블리의 상부 외측면을 잡아주어, 렌즈 어셈블리를 프론트 바디에 밀착·고정시키는 프론트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의 체결부위는 고무 가스켓이 구비되어 스크류 결합되며, 상기 렌즈배럴의 상면 외주면에는 포커싱 홈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IMPROVED STRUCTURE WITH CAMERA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후.측방을 감시하여 주행, 후진 및 주차 시에 보행자 및 장애물을 차량 내에 설치된 모니터에 현시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주변 시야를 확보해 주는 차량용 카메라에서 렌즈의 포커싱을 조정하는 포커싱 홈이 구성되지 않은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 운전자가 전방 뿐만아니라 후방 및 좌.우측을 살필 수 있도록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가 차량의 좌.우측 및 실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룸 미러 및 사이드 미러를 통해 자동차의 좌.우측 및 후방 상황을 파악하는 경우 시야 범위가 좁아 운전자가 확인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존재하므로 후진 시나 주차 시에 안전상의 문제가 있었다. 즉 차량을 후진시켜야 할 경우 차량의 후방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없어서 접촉사고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각 방향으로 고개를 돌려 안전을 확인 하거나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하차하여 차량 후방을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와 함께 차량의 후미 및 전. 측방에 소형 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후진이나 주차 및 주행 시에 차량 주변의 물체를 운전석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진이나 주차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차량용 카메라 모듈(1)로서, 렌즈배럴(2), 상부 하우징(3), 이미지 센서(6)가 장착된 회로 기판(4), 상부 하우징(3)과 하부 하우징(5)사이에 고무 가스켓(7)을 삽입하여 나사로 체결되는 구조이다.
렌즈배럴(2)은 렌즈를 통해서 입사되는 이미지를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모아주는 구성으로, 하나 이상의 렌즈가 광축을 따라 배열되게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렌즈 수용체로 구성되는데, 상기 렌즈배럴(2)은 홀더(8)와 나사 체결되며 본드 또는 스크류로 고정되어 렌즈+홀더가 일체로 되고, 이를 이미지 센서(6)가 부착된 회로기판(4)에 본드 또는 스크류로 체결하여 모듈(Module)을 만드는데, 렌즈배럴(2)을 회전시켜 발생된 수직 움직임을 이용하여 포커싱(focusing) 작업을 실시한 후, 여타의 본딩수단에 의해 상부 하우징(3)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와같이 포커싱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렌즈배럴(2)의 상면 외주연을 따라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홈에 지그를 결합시켜 렌즈배럴(2)을 회전시키면서 렌즈와 회로기판(4) 상의 이미지 센서(6)의 포커싱을 맞춰야 하는데, 이와같은 포커싱 홈은 카메라 모듈의 외관 형상을 복잡하게하고, 홈에 이물질이 끼어서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또한 포커싱 홈에 지그를 삽입하여 렌즈배럴을 회전시켜야하는 포커싱 작업이 반복되면 포커싱 홈 및 지그가 마모되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조립 자동화를 용이하게하지 않아 카메라 모듈의 조립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카메라 모듈(1)은 체결부위가 많아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즉,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1)에서는 렌즈배럴(2)과 홀더(8) 사이 및, 상부 하우징(3)과 홀더(8) 및 렌즈배럴(2) 사이의 체결부위에서 외부 이물질 및 수분이 침투될 확률이 높아 방수성능에 문제가 있을 수 있어서, 카메라 모듈 자체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 모듈의 조립작업시 많은 체결부위로 인해 조립효율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후.측방을 감시하여 주행, 후진 및 주차 시에 보행자 및 장애물을 차량 내에 설치된 모니터에 현시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주변 시야를 확보해 주는 차량용 카메라에서 렌즈와 이미지 센서와의 포커싱을 조정하는 포커싱 홈이 구성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포커싱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포커싱 홈으로 인한 외관형상의 복잡성 및 홈에 끼는 이물질로 인한 미관상 문제 및 많은 체결부위로 인한 방수성능 및 조립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01)와 상기 렌즈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렌즈배럴(102)로 이루어진 렌즈 어셈블리(10); 상기 렌즈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프론트 바디(11);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111)를 통해서 수신되는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14)가 장착된 회로기판(15); 상기 프론트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회로기판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리어 바디(13);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상부 주위에 설치되어 렌즈 어셈블리의 상부 외측면을 잡아주어, 렌즈 어셈블리를 프론트 바디(11)에 밀착·고정시키는 프론트 커버(12); 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바디(11)와 리어 바디(13)의 체결부위는 고무 가스켓(16)이 구비되어 스크류 결합되며, 상기 렌즈배럴(102)의 상면 외주면에는 포커싱 홈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론트 바디(11)의 상부 내측에는 어셈블리 홀더(111)가 더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바디(11)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어셈블리 홀더(111)에 렌즈 어셈블리(10)의 하부 외주면이 수용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10) 및 어셈블리 홀더(111)는 본딩제로 본딩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프론트 바디(11) 및 어셈블리 홀더(111)의 연결부위(111a)의 외주연에는 후크 홈(112)이 형성되며, 프론트 커버(12)의 내측 주연부에는 후크(121)가 돌출 형성되어, 프론트 커버(12)가 프론트 바디(11)와 결합시 상기 후크가 후크 홈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상기 프론트 바디(11) 및 어셈블리 홀더(111)의 연결부위(111a) 외주연에는, 후크 홈(112)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출부(113)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돌출부(113)는, 프론트 커버(12)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가이드 홈(122)과 서로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와의 포커싱을 조정하는 포커싱 홈이 구성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포커싱을 맞출 수 있으며, 또한 포커싱 홈으로 인한 외관형상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홈에 끼는 이물질로 인한 미관상 문제 및 많은 체결부위로 인한 방수성능 및 조립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절개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홈이 구성되지 않은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의 개략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홈이 구성되지 않은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의 렌즈 어셈블리 및 프론트 커버 부분의 단면도 및 프론트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홈이 구비된 차량용 카메라의 개선전 단면도 및 포커싱 홈이 구성되지 않은 개선 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카메라의 상부 부분을 분해한 사시로로서, 0-링이 구비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전방 및 좌.우측을 감시하여 주행 중이나 후진으로 주차시에 보행자 및 후방 장애물을 모니터에 현시하여 운전자에게 시야를 확보해주는 차량용 카메라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홈이 구성되지 않은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의 개략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홈이 구성되지 않은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의 렌즈 어셈블리 및 프론트 커버 부분의 단면도 및 프론트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홈이 구비된 차량용 카메라의 개선전 단면도 및 포커싱 홈이 구성되지 않은 개선 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의 차량용 카메라의 상부 부분을 분해한 사시로로서, 0-링이 구비된 상태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01)와 상기 렌즈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렌즈배럴(102)로 이루어진 렌즈 어셈블리(10); 상기 렌즈 어셈블리(10)가 수용되는 프론트 바디(11);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111)를 통해서 수신되는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14)가 장착된 회로기판(15); 상기 프론트 바디(11,front body)와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회로기판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리어 바디(13,rear body);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상부 주위에 설치되어, 렌즈 어셈블리의 외측 가장자리를 잡아주어 렌즈 어셈블리를 프론트 바디(11)에 밀착·고정시키는 프론트 커버(12,front cover);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바디(11)와 리어 바디(13)의 체결부위는 고무 가스켓(16)이 구비되어 스크류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프론트 바디의 네 모서리에는 스크류 고정보스(도면부호 미도시 됨)를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보스에 스크류(131)를 체결시켜서 리어 바디(13)를 프론트 바디(11)에 결합시킨다.
상기 고무 가스켓(16)은 프론트 바디(11)와 리어 바디(13)를 서로 결합시킬 때, 상기 프론트 바디(11)와 리어 바디(13)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들의 결합면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가스켓은 프론트 바디(11)와 리어 바디(13)의 연결부위로 이물질 및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 내부의 회로기판, 이미지 센서 및 기타 부품이 오염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렌즈배럴(102)의 상면 외주면에는 포커싱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데, 렌즈(101)와 이미지 센서(14)의 포커싱을 맞출때, 종래와 같이 렌즈배럴의 상면에 형성되는 포커싱 홈에 지그를 삽입하지 않고, 렌즈배럴(102)의 상부 외측면에 지그를 밀착·접촉시켜서 렌즈 어셈블리(10) 자체를 회전시키면서 이미지 센서와 렌즈와의 포커싱을 맞춘다. 일반적으로 포커싱 작업시 렌즈 어셈블리(10)의 회전은 미세하게 이루어지므로, 구태여 카메라의 외관 형상을 복잡하게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포커싱 홈을 렌즈배럴(102)에 형성시킬 필요가 없기에, 렌즈 배럴(102)의 외측면에 지그를 접촉시켜 렌즈 어셈블리(10)를 회전시켜도 포커싱 작업에는 별 다른 어려움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이 렌즈배럴(102)의 상부 외측면을 지그로 접촉하여 포커싱 작업을 실시할 경우, 별도의 포커싱 홈에 지그를 삽입하여 포커싱 작업을 실시할 때보다 지그와 렌즈배럴과의 접촉면이 증대되므로 체결력이 증가하며, 또한 체결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포커싱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포커싱 홈과 지그와의 접촉으로 생길 수 있는 지그의 마모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론트 바디(11)와 리어 바디(13)의 외관이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원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크류 결합 이외에도 에폭시 등의 본딩제를 이용하여 본딩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바디(11)의 상부 내측에는 어셈블리 홀더(111)가 더 구비되며, 상기 어셈블리 홀더(111)는 상기 프론트 바디(11)와 일체로 구성되는데, 바람직하제는 하나의 사출물로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어셈블리 홀더(111)에 렌즈 어셈블리(10)의 하부 외주면이 수용되어 결합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배럴(102)의 하부 외주면이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10) 및 어셈블리 홀더(111)는 본딩제로 본딩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렌즈 어셈블리(10) 및 어셈블리 홀더(111)가 나사식으로 결합시에는, 렌즈 어셈블리(10)의 렌즈배럴(102)의 하부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어셈블리 홀더(1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데, 상기와 같은 나사 구성을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렌즈 어셈블리(10) 및 어셈블리 홀더(111)가 본딩제로 결합될 경우에는 결합면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으므로 방수에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렌즈 어셈블리(10)가 어셈블리 홀더(111)에 결합되어 프론트 바디(11)에 수용된 후에, 프론트 커버(12)가 렌즈 어셈블리(10)의 상부 주위에 설치되는데, 이때 프론트 커버(12)는 렌즈 어셈블리(10)의 상부 외측면을 잡아주어, 렌즈 어셈블리(10)가 프론트 바디(11)에 밀착·고정되게 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바디(11) 및 어셈블리 홀더(111)의 연결부위(111a)의 외주연에는 후크 홈(112)이 형성되는데, 상기 후크 홈에 대향하는 연결부위 외주연에도 하나의 후크 홈이 더 형성되며 있다. 프론트 커버(12)의 내측 주연부에는,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커버(12)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프론트 커버(12)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리브(rib,123)의 내측 주연부에는 후크(12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크(121)에 대향하는 리브의 내측 주연부에도 하나의 후크가 더 형성되어 있다. 즉 후크(121)와 후크 홈(112)은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 커버(12)가 프론트 바디(11)와 결합시, 상기 후크(121)가 후크 홈(112)에 삽입되어, 프론트 커버(12)는 프론트 바디(11)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와 후크 홈을 이용하여 프론트 커버(12)를 프론트 바디(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후방 카메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론트 커버를 프론트 바디에 결합시켜서 차체에 장착하고, 측면 및 전방 카메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론트 커버의 역할을 하는 커버가 차체 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구태여 프론트 커버 없이도 카메라를 차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후크(121)를 후크 홈(112)에 결합시키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프론트 커버(12)가 프론트 바디(11)에 결합되는데, 이때 후크(121)가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후크 홈(112)에 삽입·결합되기 위해서는 후크(121) 부위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크 홈(112)에 결합되는 후크(121)의 내측 면은 아래쪽 폭이 더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다 쉽게 후크 홈에 후크를 삽입·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프론트 바디(11) 및 어셈블리 홀더(111)의 연결부위(111a) 외주연에는, 후크 홈(11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출부(113)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돌출부(113)와 대향하는 측에도 하나의 가이드 돌출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113)는 후크 홈(112)과 홈 사이에 2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출부(113)는, 프론트 커버(12)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가이드 홈(122)과 서로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바디(11)에 결합된 프론트 커버(12)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위치를 유지시킨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렌즈배럴(102) 중간부 외주연에는 씨일링 홈(도면부호 미도시 됨)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씨일링 홈에는 O-링(102a)이 삽입되어, 렌즈 어셈블리(10)의 렌즈배럴(102)이 어셈블리 홀더(111)에 수용되어 결합될 때, 프론트 바디(11) 및 어셈블리 홀더(111)의 연결부위(111a)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수직부(111b) 내주면과 상기 O-링(102a)이 밀착되게 접하게 되어, 렌즈 어셈블리(10) 및 어셈블리 홀더(111)와의 결합면,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어셈블리(10)의 렌즈 배럴(102) 및 어셈블리 홀더(111)의 수직부(111b)와의 결합면의 기밀성을 유지시켜 이물질 및 특히 수분이 카메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렌즈 어셈블리 101.렌즈
102.렌즈배럴 102a.0-링
11.프론트 바디 111.어셈블리 홀더
111a.연결부위 111b.수직부
112.후크 홈 113.가이드 돌출부
12.프론트 커버 121.후크
122.가이드 홈 123.리브
13.리어 바디 131.스크류
14.이미지 센서
15.회로기판 16.가스켓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렌즈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렌즈배럴로 이루어진 렌즈 어셈블리;
    상기 렌즈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프론트 바디;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를 통해서 수신되는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회로기판;
    상기 프론트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회로기판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리어 바디;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상부 주위에 설치되어 렌즈 어셈블리의 상부 외측면을 잡아주어, 렌즈 어셈블리를 프론트 바디에 밀착·고정시키는 프론트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의 체결부위는 고무 가스켓이 구비되어 스크류 결합되며, 상기 렌즈배럴의 상면 외주면에는 포커싱 홈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부 내측에는 어셈블리 홀더가 더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바디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어셈블리 홀더에 렌즈 어셈블리의 하부 외주면이 수용되어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 및 어셈블리 홀더의 연결부위의 외주연에는 후크 홈이 형성되며, 프론트 커버의 내측 주연부에는 후크가 돌출 형성되어, 프론트 커버가 프론트 바디와 결합시 상기 후크가 후크 홈에 삽입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배럴 중간부 외주연에는 씨일링 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씨일링 홈에는 O-링이 삽입되어,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배럴이 어셈블리 홀더에 수용되어 결합시, 연결부위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수직부의 내주면과 상기 O-링이 밀착되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 및 어셈블리 홀더는 본딩제로 본딩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바디 및 어셈블리 홀더의 연결부위 외주연에는, 후크 홈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프론트 커버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가이드 홈과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7. 삭제
KR1020140036505A 2014-03-28 2014-03-28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KR101561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505A KR101561475B1 (ko) 2014-03-28 2014-03-28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505A KR101561475B1 (ko) 2014-03-28 2014-03-28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403A KR20150112403A (ko) 2015-10-07
KR101561475B1 true KR101561475B1 (ko) 2015-10-20

Family

ID=5434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505A KR101561475B1 (ko) 2014-03-28 2014-03-28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5444B1 (en) 2016-10-06 2023-06-14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KR102614744B1 (ko) * 2016-10-28 2023-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장치
KR102609703B1 (ko) * 2021-12-28 2023-12-05 주식회사 세코닉스 차량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403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2727B2 (ja) カメラ取り付け構造、カメラ装置、並びにジャケット
US10205865B2 (en) Camer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22313B1 (ko) 카메라 모듈
US20070051646A1 (en) Waterproof case for in-vehicle camera
KR101291512B1 (ko) 광축 조정이 용이한 자동차 카메라
US20110199485A1 (en) Camera device
KR101561475B1 (ko)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CN109878427B (zh) 传感器搭载结构
US8690363B2 (en) Vehicle mirror device
KR102123496B1 (ko) 센서 탑재 구조
KR20110028767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1111230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JP2009282071A (ja) レンズ組立体および撮像装置
JP2019099046A (ja) センサー搭載構造
KR20120016430A (ko) 차량용 카메라
US7380997B2 (en) Monitor camera
KR102358698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JP2013216290A (ja)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KR200472866Y1 (ko) 방수브라켓이 구비된 차량용 후방카메라
JP2013037189A (ja) 撮像装置及び車載用カメラ
JP6411151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102006780B1 (ko)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램프
US20140132768A1 (en) Camera for car
KR102371355B1 (ko) 차량용 카메라
JP2012209082A (ja) ランプ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