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442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442B1
KR102369442B1 KR1020200111466A KR20200111466A KR102369442B1 KR 102369442 B1 KR102369442 B1 KR 102369442B1 KR 1020200111466 A KR1020200111466 A KR 1020200111466A KR 20200111466 A KR20200111466 A KR 20200111466A KR 102369442 B1 KR102369442 B1 KR 102369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shield
lens barrel
housing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창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442B1/ko
Priority to US17/346,523 priority patent/US11586097B2/en
Priority to CN202122004919.6U priority patent/CN215599482U/zh
Priority to CN202110973772.3A priority patent/CN114200742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0Soundproof 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04N5/2252
    • H04N5/2253
    • H04N5/22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와 마주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쉴드 캔; 및 상기 플랜지부의 홈에 결합하고 상기 쉴드 캔 및 상기 단턱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의 움직임으로 인한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모듈을 포함한다. 렌즈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초점조정 또는 손떨림 보정이 가능하도록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 내에서 광축 방향 또는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렌즈 모듈의 움직임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외부 충격(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들고 빠르게 걷거나 뛰는 경우)에 의한 렌즈 모듈의 움직임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제어되지 않으므로, 렌즈 모듈과 카메라 모듈의 다른 부재 간의 충돌 및 충돌소음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 모듈의 충돌소음 및 렌즈 모듈의 충돌로 인한 카메라 모듈의 고장 및 파손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와 마주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쉴드 캔; 및 상기 플랜지부의 홈에 결합하고 상기 쉴드 캔 및 상기 단턱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렌즈 모듈의 움직임으로 인해 야기되는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 모듈이 다른 부재와 충돌로 인해 야기되는 카메라 모듈의 고장 및 파손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충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완충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 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자제품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등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용범위가 전술된 전자제품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정면 및 배면에 카메라 모듈의 설치가 가능한 전자장치에 모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을 포함한다. 렌즈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특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은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외부 충격에 의해 피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은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활동형태에 따라 카메라 모듈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다. 렌즈 모듈의 흔들림은 소음 및 카메라 모듈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축 방향으로 흔들리는 렌즈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쉴드 캔 또는 하우징 또는 기판과 충돌하여 사용자의 귀에 거슬리는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 모듈의 플랜지부 또는 배럴 홀더의 플랜지부에 완충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렌즈 모듈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충돌음), 카메라 모듈의 고장 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100), 렌즈 배럴(200), 완충 부재(400), 쉴드 캔(8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0)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기판(700) 및 이미지 센서(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하우징(100)은 렌즈 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렌즈 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이 개방되고 측면이 폐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소정 크기의 창(102)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200)에 의해 굴절된 빛은 전술된 창(102)을 통해 이미지 센서로 입사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렌즈 배럴(200)의 플랜지부(22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단턱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0)는 렌즈 배럴(200)의 광축(C)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우징(100)의 네 모퉁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단턱부(110)의 형성 위치가 하우징(100)의 모퉁이 부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턱부(110)는 렌즈 모듈(200)의 광축(C)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우징(100)의 어느 부분에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턱부(110)는 하우징(10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0)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충격흡수 부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흡수 부재(112)는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이 용이한 우레탄 폼, 발포성 수지,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2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은 4매 이상의 렌즈(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200)에 수용되는 렌즈(210)의 매수가 4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모듈(200)은 다수의 원형 렌즈(2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200)의 형태가 원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의 형태는 렌즈(2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플랜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의 둘레에는 광축(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단면형상과 대체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랜지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과 닮은 꼴인 사각형상일 수 있다. 플랜지부(200)에는 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홈(224)은 광축(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홈(224)은 플랜지부(200)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홈(224)은 플랜지부(200)의 외측에서 안쪽(렌즈 배럴(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홈(224)의 폭(Wr)이 안쪽으로 갈수록 반드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홈(224)의 폭(Wr)은 홈(2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홈(224)은 상당한 길이(Lr)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224)의 길이(Lr)는 홈(224)의 폭(Wr)보다 클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렌즈 배럴(200)의 플랜지부(220)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는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끼워질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렌즈 배럴(200)과 하우징(100) 또는 쉴드 캔(800) 간의 충격에너지를 경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는 렌즈 배럴(200)보다 먼저 하우징(100) 또는 쉴드 캔(800)과 접촉하여 렌즈 배럴(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는 우레탄 폼, 발포성 수지,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재질 또는 전술된 재질을 포함하는 합성재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쉴드 캔(800)은 렌즈 배럴(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은 하우징(100)의 수용된 렌즈 배럴(2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렌즈 배럴(2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쉴드 캔(800)은 외부의 유해 전자파로부터 카메라 모듈(10)을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는 유해 전자파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완충 부재(400)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완충 부재(400)는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부재(400)는 지름이 다른 다수의 원통이 광축(C)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제1완충부(410), 제2완충부(420), 연결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완충부(410)는 쉴드 캔(8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완충부(410)는 완충 부재(400)가 플랜지부(2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쉴드 캔(8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완충부(420)는 하우징(100)의 단턱부(11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완충부(420)는 완충 부재(400)가 플랜지부(220)에 결합한 상태에서 단턱부(1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30)는 제1완충부(410)와 제2완충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430)는 완충 부재(400)와 플랜지부(220) 간의 결합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는 연결부(430)를 매개로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끼워질 수 있다. 연결부(430)의 폭(Wsc) 또는 지름은 홈(224)의 폭(Wr)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430)의 폭(Wsc)이 홈(224)의 폭(Wr)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범위에서 연결부(430)의 폭(Wsc)을 홈(224)의 폭(Wr)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된 형태의 완충 부재(400)는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하므로 플랜지부(22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430)의 높이(hsc)는 홈(224)의 높이(hr)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430)의 높이(hsc)가 홈(224)의 높이(hr)보다 반드시 커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범위에서 연결부(430)의 높이(hsc)를 홈(224)의 높이(hr)보다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된 형태의 완충 부재(400)는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하므로 플랜지부(22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완충부(410) 및 제2완충부(420)의 폭(Ws1, Ws2) 또는 지름은 연결부(430)의 폭(Wsc) 및 홈(224)의 폭(Wr)보다 클 수 있다. 제1완충부(410) 및 제2완충부(420)의 높이(hs1, hs2)는 상당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완충부(410) 및 제2완충부(420)의 높이(hs1, hs2)는 연결부(430)의 높이(hsc)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제1완충부(410) 및 제2완충부(420)의 높이(hs1, hs2)가 연결부(430)의 높이(hsc)보다 반드시 커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완충부(410) 및 제2완충부(420)에는 돌기(412, 4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돌기(412, 422)는 대체로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돌기(412, 422)의 형태가 반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기(412, 422)는 충격흡수 및 탄성 변형이 가능한 범위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소형 휴대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모듈(200)의 흔들림에 의한 소음 및 충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모듈(200)의 흔들림에 의한 소음 및 충격을 완충 부재(400)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렌즈 모듈(200)과 하우징(100) 또는 쉴드 캔(80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이 상방으로 요동칠 경우, 제1완충부(410)는 렌즈 모듈(200)의 플랜지부(220)보다 먼저 쉴드 캔(800)가 접촉 또는 충돌하여 충격에너지 및 충돌음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렌즈 모듈(200)이 하방으로 요동칠 경우, 제2완충부(420)는 렌즈 모듈(200)의 플랜지부(220)보다 먼저 하우징(100)의 단턱부(110)와 접촉 또는 충돌하여 충격에너지 및 충돌음을 경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완충 부재(400)는 렌즈 모듈(200)의 흔들림 변위 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완충부(410)는 쉴드 캔(800)과 플랜지부(220) 사이의 유격(S1)을 축소시키고, 제2완충부(420)는 하우징(100)과 플랜지부(220) 사이의 유격(S2)을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모듈(200)의 흔들림에 따른 충돌음뿐만 아니라 렌즈 모듈(200)의 심한 진동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10)의 오작동 및 고장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하우징(100), 렌즈 배럴(200), 완충 부재(402), 구동수단(500), 쉴드 캔(8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2)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기판(700) 및 이미지 센서(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8 참조).
하우징(100)은 렌즈 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렌즈 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이 개방되고 측면이 폐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소정 크기의 창(102)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200)에 의해 굴절된 빛은 전술된 창(102)을 통해 이미지 센서로 입사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렌즈 배럴(200)의 플랜지부(22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단턱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0)는 렌즈 배럴(200)의 광축(C)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우징(100)의 네 모퉁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단턱부(110)의 형성 위치가 하우징(100)의 모퉁이 부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턱부(110)는 렌즈 모듈(200)의 광축(C)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우징(100)의 어느 부분에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턱부(110)는 하우징(10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0)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충격흡수 부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흡수 부재(112)는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이 용이한 우레탄 폼, 발포성 수지,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2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은 4매 이상의 렌즈(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200)에 수용되는 렌즈(210)의 매수가 4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모듈(200)은 다수의 원형 렌즈(2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200)의 형태가 원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의 형태는 렌즈(2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플랜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의 둘레에는 광축(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단면형상과 대체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랜지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과 닮은꼴인 사각형상일 수 있다. 플랜지부(200)에는 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홈(224)은 광축(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홈(224)은 플랜지부(200)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홈(224)은 플랜지부(200)의 외측에서 안쪽(렌즈 배럴(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홈(224)의 폭(Wr)이 안쪽으로 갈수록 반드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홈(224)의 폭(Wr)은 홈(2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홈(224)은 상당한 길이(Lr)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224)의 길이(Lr)는 홈(224)의 폭(Wr)보다 클 수 있다.
완충 부재(402)는 렌즈 배럴(200)의 플랜지부(220)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2)는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끼워질 수 있다. 완충 부재(402)는 렌즈 배럴(200)과 하우징(100) 또는 쉴드 캔(800) 간의 충격에너지를 경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2)는 렌즈 배럴(200)보다 먼저 하우징(100) 또는 쉴드 캔(800)과 접촉하여 렌즈 배럴(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402)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2)는 우레탄 폼, 발포성 수지,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재질 또는 전술된 재질을 포함하는 합성재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수단(500)은 렌즈 모듈(20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구동수단(500)은 카메라 모듈(12)의 초점조정(AF)이 가능하도록 렌즈 모듈(200)을 광축(C)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수단(500)은 구동자석(510)과 구동코일(5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수단(500)의 형태 및 구성이 구동자석(510)과 구동코일(52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의 초점조정을 가능케 하는 범위에서, 구동수단(500)은 압전소자, 형상기억합금 등의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구동자석(510)은 렌즈 모듈(2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자석(200)은 렌즈 모듈(200)의 측면 또는 플랜지부(2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코일(520)은 구동자석(200)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520)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쉴드 캔(800)은 렌즈 배럴(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은 하우징(100)의 수용된 렌즈 배럴(2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렌즈 배럴(2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쉴드 캔(800)은 외부의 유해 전자파로부터 카메라 모듈(12)을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는 유해 전자파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쉴드 캔(800)에는 돌기(8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의 저면에는 완충 부재(402)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81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810)는 쉴드 캔(8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810)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쉴드 캔(80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돌기(810)의 형성방법이 프레스 가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에 구멍을 형성하고, 해당 구멍에 별도의 부재를 끼우는 방식으로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완충 부재(402)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완충 부재(402)는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부재(402)는 지름이 다른 다수의 원통이 광축(C)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402)는 제1완충부(410), 제2완충부(420), 제3완충부(442,446), 연결부(430, 432, 43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완충부(410)는 쉴드 캔(8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완충부(410)는 완충 부재(402)가 플랜지부(2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쉴드 캔(8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완충부(420)는 하우징(100)의 단턱부(11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완충부(420)는 완충 부재(402)가 플랜지부(220)에 결합한 상태에서 단턱부(1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완충부(442, 446)는 제1완충부(410) 또는 제2완충부(42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3완충부(442, 446)는 제1완충부(410) 및 제2완충부(420)보다 압축변형 또는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름(Ws3, Ws4) 및 높이(hs3, hs4)가 제1완충부(410) 및 제2완충부(420)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3완충부(442, 446)의 지름(Ws3, Ws4) 및 높이(hs3, hs4)가 제1완충부(410) 및 제2완충부(420)의 지름(Ws1, Ws2) 및 높이(hs1, hs2)와 반드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완충부(410), 제2완충부(420), 제3완충부(430)의 지름(Ws1, Ws2, Ws3, Ws4) 및 높이(hs1, hs2, hs3, hs4)를 각각 동일한 크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연결부(430, 432, 434)는 완충부(410, 420, 442, 446)와 완충부(410, 420, 442, 446)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연결부(430)는 제1완충부(410)와 제3완충부(442)를 연결하고, 제2연결부(432)는 제3완충부(442)와 제3완충부(446)를 연결하고, 제3연결부(434)는 제3완충부(446)와 제2완충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430, 432, 434)는 완충 부재(402)와 플랜지부(220) 간의 결합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2)는 제1연결부(430), 제2연결부(432) 제3연결부(434) 중 하나를 매개로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끼워질 수 있다.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끼워지는 연결부(430, 432, 434)의 위치는 카메라 모듈(12)의 형태 또는 렌즈 모듈(200)의 구동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의 플랜지부(220)와 쉴드 캔(800) 사이의 공간이 렌즈 모듈(200)의 플랜지부(220)와 하우징(100) 사이의 공간보다 크면,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제3연결부(434)를 끼울 수 있다. 이와 달리 렌즈 모듈(200)의 플랜지부(220)와 쉴드 캔(800) 사이의 공간이 렌즈 모듈(200)의 플랜지부(220)와 하우징(100) 사이의 공간보다 작으면,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제1연결부(430)를 끼울 수 있다. 그러나 완충 부재(402)와 플랜지부(220) 간의 결합형태가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과 쉴드 캔(800) 간의 접촉에 의한 충돌음이 크면,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제3연결부(434)를 끼워 제1완충부(410) 및 제3완충부(442, 446)를 통한 소음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렌즈 모듈(200)과 하우징(100) 간의 접촉에 의한 충돌음이 크면,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제1연결부(430)를 끼워 제2완충부(420) 및 제3완충부(442, 446)를 통한 소음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연결부(430, 432, 434)의 지름(Wsc1, Wsc2, Wsc3)은 홈(224)의 폭(Wr)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430, 432, 434)의 지름(Wsc1, Wsc2, Wsc3)이 홈(224)의 폭(Wr)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2)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범위에서 연결부(430, 432, 434)의 지름(Wsc1, Wsc2, Wsc3)을 홈(224)의 폭(Wr)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된 형태의 완충 부재(402)는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하므로 플랜지부(22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430, 432, 434)의 높이(hsc1, hsc2, hsc3)는 홈(224)의 높이(hr)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430, 432, 434)의 높이(hsc1, hsc2, hsc3)가 홈(224)의 높이(hr)보다 반드시 커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범위에서 연결부(430, 432, 434)의 높이(hsc1, hsc2, hsc3)를 홈(224)의 높이(hr)보다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된 형태의 완충 부재(402)는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하므로 플랜지부(22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소형 휴대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모듈(200)의 흔들림에 의한 소음 및 충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렌즈 모듈(200)의 흔들림에 의한 소음 및 충격을 완충 부재(402)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402)는 렌즈 모듈(200)과 하우징(100) 또는 쉴드 캔(80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이 상방으로 요동칠 경우, 제1완충부(410)는 렌즈 모듈(200)의 플랜지부(220)보다 먼저 쉴드 캔(800)의 돌기(810)와 접촉 또는 충돌하여 충격에너지 및 충돌음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렌즈 모듈(200)이 하방으로 요동칠 경우, 제2완충부(420)는 렌즈 모듈(200)의 플랜지부(220)보다 먼저 하우징(100)의 단턱부(110)와 접촉 또는 충돌하여 충격에너지 및 충돌음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충격에너지를 부가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완충부(410) 또는 제2완충부(420)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는 제1완충부(410) 또는 제2완충부(420)의 탄성변형에 의해 1차적으로 경감된 후, 제3완충부(442, 446) 및 연결부(430, 434)의 탄성변형에 의해 2차적으로 경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렌즈 모듈(200)의 흔들림에 따른 충돌음뿐만 아니라 렌즈 모듈(200)의 심한 진동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12)의 오작동 및 고장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9 내지 11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4)은 하우징(100), 렌즈 배럴(200), 완충 부재(400), 구동수단(500), 보강 부재(600), 쉴드 캔(8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2)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기판(700) 및 이미지 센서(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1 참조).
하우징(100)은 렌즈 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렌즈 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이 개방되고 측면이 폐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소정 크기의 창(102)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200)에 의해 굴절된 빛은 전술된 창(102)을 통해 이미지 센서로 입사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렌즈 배럴(200)의 플랜지부(22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단턱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0)는 렌즈 배럴(200)의 광축(C)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우징(100)의 네 모퉁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단턱부(110)의 형성 위치가 하우징(100)의 모퉁이 부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턱부(110)는 렌즈 모듈(200)의 광축(C)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우징(100)의 어느 부분에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턱부(110)는 하우징(10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0)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충격흡수 부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흡수 부재(112)는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이 용이한 우레탄 폼, 발포성 수지,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2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은 4매 이상의 렌즈(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200)에 수용되는 렌즈(210)의 매수가 4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모듈(200)은 다수의 원형 렌즈(2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200)의 형태가 원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의 형태는 렌즈(2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플랜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의 둘레에는 광축(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단면형상과 대체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랜지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과 닮은꼴인 사각형상일 수 있다. 플랜지부(200)에는 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홈(224)은 광축(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홈(224)은 플랜지부(200)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홈(224)은 플랜지부(200)의 외측에서 안쪽(렌즈 배럴(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홈(224)의 폭(Wr)이 안쪽으로 갈수록 반드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홈(224)의 폭(Wr)은 홈(2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홈(224)은 상당한 길이(Lr)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224)의 길이(Lr)는 홈(224)의 폭(Wr)보다 클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렌즈 배럴(200)의 플랜지부(220)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는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끼워질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렌즈 배럴(200)과 하우징(100) 또는 쉴드 캔(800) 간의 충격에너지를 경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는 렌즈 배럴(200)보다 먼저 하우징(100) 또는 쉴드 캔(800)과 접촉하여 렌즈 배럴(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는 우레탄 폼, 발포성 수지,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재질 또는 전술된 재질을 포함하는 합성재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부재(400)는 지름이 다른 다수의 원통이 광축(C)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제1완충부(410), 제2완충부(420), 연결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완충부(410)는 쉴드 캔(8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완충부(410)는 완충 부재(400)가 플랜지부(2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쉴드 캔(8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완충부(420)는 하우징(100)의 단턱부(11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완충부(420)는 완충 부재(400)가 플랜지부(220)에 결합한 상태에서 단턱부(1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30)는 제1완충부(410)와 제2완충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보강 부재(600)는 렌즈 배럴(2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보강 부재(600)는 렌즈 배럴(200)의 플랜지부(2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60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렌즈 배럴(200)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600)는 렌즈 배럴(200)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6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배럴(200)의 강성은 보강 부재(600)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보강 부재(600)는 완충 부재(400)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600)에는 완충 부재(400)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610)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610)의 지름(Wh)은 완충 부재(400)의 연결부(430)의 지름(Wsc)보다 크거나 같고, 완충부(410, 420)의 지름(Ws1, Ws2)보다 작을 수 있다. 보강 부재(600)의 두께(t)는 플랜지부(220)의 높이(hp)보다 작고 연결부(420)의 높이(hsc)와 대체로 같을 수 있다. 그러나 보강 부재(600)의 두께(t)가 연결부(420)의 높이(hsc)와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600)의 두께(t)는 연결부(420)의 높이(hsc)보다 작을 수 있다. 전술된 형태의 보강 부재(600)는 구멍(610)에 끼워진 완충 부재(400)의 광축 방향 움직임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보강 부재(600)는 완충 부재(40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60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완충 부재(40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보강 부재(600)는 완충 부재(400)와 함께 형성된 후 다시 인서트 사출을 통해 렌즈 배럴(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강 부재(600)와 완충 부재(400)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반드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를 보강 부재(600)의 구멍(6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구동수단(500)은 렌즈 모듈(20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구동수단(500)은 카메라 모듈(14)의 초점조정(AF)이 가능하도록 렌즈 모듈(200)을 광축(C)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수단(500)은 구동자석(510)과 구동코일(5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수단(500)의 형태 및 구성이 구동자석(510)과 구동코일(52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4)의 초점조정을 가능케 하는 범위에서, 구동수단(500)은 압전소자, 형상기억합금 등의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구동자석(510)은 렌즈 모듈(2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자석(200)은 렌즈 모듈(200)의 측면 또는 플랜지부(2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코일(520)은 구동자석(200)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520)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쉴드 캔(800)은 렌즈 배럴(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은 하우징(100)의 수용된 렌즈 배럴(2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렌즈 배럴(2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쉴드 캔(800)은 외부의 유해 전자파로부터 카메라 모듈(14)을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는 유해 전자파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쉴드 캔(800)에는 돌기(8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의 저면에는 완충 부재(40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81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810)는 쉴드 캔(8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810)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쉴드 캔(80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돌기(810)의 형성방법이 프레스 가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에 구멍을 형성하고, 해당 구멍에 별도의 부재를 끼우는 방식으로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소형 휴대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4)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모듈(200)의 흔들림에 의한 소음 및 충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4)은 렌즈 모듈(200)의 흔들림에 의한 소음 및 충격을 완충 부재(400)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렌즈 모듈(200)과 하우징(100) 또는 쉴드 캔(80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이 상방으로 요동칠 경우, 제1완충부(410)는 렌즈 모듈(200)의 플랜지부(220)보다 먼저 쉴드 캔(800)의 돌기(810)와 접촉 또는 충돌하여 충격에너지 및 충돌음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렌즈 모듈(200)이 하방으로 요동칠 경우, 제2완충부(420)는 렌즈 모듈(200)의 플랜지부(220)보다 먼저 하우징(100)의 단턱부(110)와 접촉 또는 충돌하여 충격에너지 및 충돌음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4)은 보강 부재(600)를 통해 렌즈 배럴(200)과 완충 부재(40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완충 부재(400)는 도 5 내지 8에 도시된 완충 부재(402)의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6)은 하우징(100), 렌즈 배럴(200), 배럴 홀더(300), 완충 부재(400), 구동수단(500), 보강 부재(600), 쉴드 캔(8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6)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6)은 가요성 기판(830), 요크(840), 볼 베어링(542, 5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카메라 모듈(16)은 기판(700) 및 이미지 센서(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4 참조).
하우징(100)은 렌즈 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렌즈 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이 개방되고 측면이 폐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소정 크기의 창(102)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200)에 의해 굴절된 빛은 전술된 창(102)을 통해 이미지 센서로 입사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렌즈 배럴(200)의 플랜지부(22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단턱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0)는 렌즈 배럴(200)의 광축(C)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우징(100)의 네 모퉁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단턱부(110)의 형성 위치가 하우징(100)의 모퉁이 부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턱부(110)는 렌즈 모듈(200)의 광축(C)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우징(100)의 어느 부분에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턱부(110)는 하우징(10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0)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충격흡수 부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흡수 부재(112)는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이 용이한 우레탄 폼, 발포성 수지,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2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은 4매 이상의 렌즈(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200)에 수용되는 렌즈(210)의 매수가 4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모듈(200)은 다수의 원형 렌즈(2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200)의 형태가 원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의 형태는 렌즈(2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배럴 홀더(300)는 렌즈 모듈(200)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배럴 홀더(300)의 수용 공간(302)에는 렌즈 모듈(200)이 끼워질 수 있다. 배럴 홀더(300)와 렌즈 모듈(200)의 항구적인 결합은 접합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배럴 홀더(300)와 렌즈 모듈(200)의 결합이 접합제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럴 홀더(300)와 렌즈 모듈(200)을 나사 체결 또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배럴 홀더(300)는 플랜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320)는 대체로 하우징(100)의 내부 단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320)에는 홈(324)이 형성될 수 있다. 홈(324)은 상하방향 및 플랜지부(320)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홈(324)에는 완충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홈(324)을 통해서는 배럴 홀더(300)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 부재(600)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렌즈 배럴(200)의 플랜지부(220)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는 플랜지부(220)의 홈(224)에 끼워질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렌즈 배럴(200)과 하우징(100) 또는 쉴드 캔(800) 간의 충격에너지를 경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는 렌즈 배럴(200)보다 먼저 하우징(100) 또는 쉴드 캔(800)과 접촉하여 렌즈 배럴(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는 우레탄 폼, 발포성 수지,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재질 또는 전술된 재질을 포함하는 합성재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부재(400)는 지름이 다른 다수의 원통이 광축(C)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제1완충부(410), 제2완충부(420), 연결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완충부(410)는 쉴드 캔(8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완충부(410)는 완충 부재(400)가 플랜지부(2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쉴드 캔(8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완충부(420)는 하우징(100)의 단턱부(11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완충부(420)는 완충 부재(400)가 플랜지부(220)에 결합한 상태에서 단턱부(1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30)는 제1완충부(410)와 제2완충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보강 부재(600)는 배럴 홀더(3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보강 부재(600)는 배럴 홀더(300)의 플랜지부(3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60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배럴 홀더(30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600)는 배럴 홀더(30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6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배럴 홀더(300)의 강성은 보강 부재(600)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보강 부재(600)는 완충 부재(400)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600)에는 완충 부재(400)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610)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610)의 지름(Wh)은 완충 부재(400)의 연결부(430)의 지름(Wsc)보다 크거나 같고, 완충부(410, 420)의 지름(Ws1, Ws2)보다 작을 수 있다. 보강 부재(600)의 두께(t)는 플랜지부(320)의 높이(hp)보다 작고 연결부(420)의 높이(hsc)와 대체로 같을 수 있다. 그러나 보강 부재(600)의 두께(t)가 연결부(420)의 높이(hsc)와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600)의 두께(t)는 연결부(420)의 높이(hsc)보다 작을 수 있다. 전술된 형태의 보강 부재(600)는 구멍(610)에 끼워진 완충 부재(400)의 광축 방향 움직임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보강 부재(600)는 완충 부재(40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60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완충 부재(40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보강 부재(600)는 완충 부재(400)와 함께 형성된 후 다시 인서트 사출을 통해 배럴 홀더(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강 부재(600)와 완충 부재(400)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반드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0)를 보강 부재(600)의 구멍(6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구동수단(500)은 렌즈 모듈(20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구동수단(500)은 카메라 모듈(16)의 초점조정(AF)이 가능하도록 렌즈 모듈(200)을 광축(C)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수단(500)은 구동자석(510)과 구동코일(5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수단(500)의 형태 및 구성이 구동자석(510)과 구동코일(52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6)의 초점조정을 가능케 하는 범위에서, 구동수단(500)은 압전소자, 형상기억합금 등의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구동자석(510)은 배럴 홀더(3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자석(200)은 배럴 홀더(300)의 측면 또는 플랜지부(3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코일(520)은 구동자석(200)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520)은 가요성 기판(830)을 매개로 하우징(100)의 개방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6)은 렌즈 배럴(200) 및 배럴 홀더(300)의 광축(C) 방향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볼 베어링(542, 5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볼 베어링(542, 546)은 하우징(100)과 배럴 홀더(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볼 베어링(542, 546)은 하우징(100)의 안내 홈(122, 126)과 배럴 홀더(300)의 안내 홈(342, 34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볼 베어링(542, 546)은 광축(C)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홈(122, 342)에는 2개의 볼 베어링(542)이 배치되고, 안내 홈(126, 346)에는 3개의 볼 베어링(546)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안내 홈(122, 342)과 안내 홈(126, 346)에 동수의 볼 베어링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렌즈 배럴(200) 및 배럴 홀더(300)의 틸트 방지를 위해 안내 홈(122, 342)과 안내 홈(126, 346)에 서로 다른 크기의 볼 베어링을 배치할 수도 있다.
쉴드 캔(800)은 렌즈 배럴(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은 하우징(100)의 수용된 렌즈 배럴(2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렌즈 배럴(2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쉴드 캔(800)은 외부의 유해 전자파로부터 카메라 모듈(16)을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는 유해 전자파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쉴드 캔(800)에는 돌기(8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의 저면에는 완충 부재(40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81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810)는 쉴드 캔(8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810)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쉴드 캔(80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돌기(810)의 형성방법이 프레스 가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쉴드 캔(800)에 구멍을 형성하고, 해당 구멍에 별도의 부재를 끼우는 방식으로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6)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소형 휴대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6)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모듈(200)의 흔들림에 의한 소음 및 충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6)은 배럴 홀더(300)와 완충 부재(40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 카메라 모듈
100 하우징
110 단턱부
200 렌즈 배럴
210 렌즈
220 플랜지부
224 홈
300 배럴 홀더
320 플랜지부
324 홈
400 완충 부재
500 구동수단
510 구동자석
520 구동코일
600 보강 부재
610 구멍
700 기판
720 이미지 센서
800 쉴드 캔
810 돌기

Claims (15)

  1.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와 마주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쉴드 캔; 및
    상기 플랜지부의 홈에 결합하고 상기 쉴드 캔 및 상기 단턱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쉴드 캔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1완충부;
    상기 단턱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2완충부; 및
    상기 제1완충부와 상기 제2완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홈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캔은 상기 완충 부재를 향해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렌즈 배럴에 배치되는 구동자석;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구동코일;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완충 부재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렌즈 배럴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7. 삭제
  8. 렌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고, 광축과 교차하는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배럴 홀더;
    상기 렌즈 배럴 및 상기 배럴 홀더를 수용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마주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쉴드 캔; 및
    상기 플랜지부의 홈에 끼워지고 상기 단턱부 또는 상기 쉴드 캔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쉴드 캔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1완충부;
    상기 단턱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2완충부; 및
    상기 제1완충부와 상기 제2완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홈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 및 상기 배럴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배럴 홀더에 배치되는 구동자석;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구동코일;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안내 홈과 상기 하우징의 안내 홈 사이에 배치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캔은 상기 완충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완충 부재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배럴 홀더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111466A 2020-09-02 2020-09-02 카메라 모듈 KR102369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466A KR102369442B1 (ko) 2020-09-02 2020-09-02 카메라 모듈
US17/346,523 US11586097B2 (en) 2020-09-02 2021-06-14 Camera module
CN202122004919.6U CN215599482U (zh) 2020-09-02 2021-08-24 相机模块
CN202110973772.3A CN114200742A (zh) 2020-09-02 2021-08-24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466A KR102369442B1 (ko) 2020-09-02 2020-09-02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442B1 true KR102369442B1 (ko) 2022-03-03

Family

ID=7988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466A KR102369442B1 (ko) 2020-09-02 2020-09-0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86097B2 (ko)
KR (1) KR102369442B1 (ko)
CN (2) CN21559948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442B1 (ko) * 2020-09-02 2022-03-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7117365B2 (ja) * 2020-12-25 2022-08-12 ジョウシュウシ レイテック オプ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用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426A (ko) * 2014-01-15 2015-07-23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50096959A (ko) * 2014-02-17 2015-08-26 크루셜텍 (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60032070A (ko) * 2016-03-08 2016-03-23 크루셜텍 (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79B1 (ko) 2009-07-28 2011-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KR101270656B1 (ko) 2012-04-09 2013-06-03 (주)태극기전 카메라 모듈용 af 엑츄에이터
KR101952853B1 (ko) * 2013-07-12 2019-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372352B2 (en) * 2013-08-23 2016-06-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60756B1 (ko) * 2015-08-11 2022-10-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3518015A4 (en) * 2016-09-26 2019-07-31 LG Innotek Co., Ltd. CAMERA OBJECTIVE TUB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EP3525444B1 (en) * 2016-10-06 2023-06-14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KR102029532B1 (ko) * 2017-06-12 2019-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0985903B (zh) * 2019-12-31 2020-08-14 江苏舒适照明有限公司 一种灯模组
KR102369442B1 (ko) * 2020-09-02 2022-03-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426A (ko) * 2014-01-15 2015-07-23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50096959A (ko) * 2014-02-17 2015-08-26 크루셜텍 (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60032070A (ko) * 2016-03-08 2016-03-23 크루셜텍 (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66290A1 (en) 2022-03-03
CN215599482U (zh) 2022-01-21
US11586097B2 (en) 2023-02-21
CN114200742A (zh)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442B1 (ko) 카메라 모듈
CN211741676U (zh) 驱动机构
KR102380745B1 (ko) 카메라 모듈
KR101026179B1 (ko) 카메라모듈
US7486509B2 (en) Bracket for disk drive
CN104977776A (zh) 相机模块
US20220163089A1 (en) Damper and actuator for camera including same
US10521016B2 (en) Electronic device
KR20160057265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23336A (ko) 카메라 모듈
JP2009223983A (ja) 緩衝部材
KR102520165B1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US20230077193A1 (en) Camera module
KR20040024874A (ko) 하드 디스크 카트리지
JP2000277935A (ja) 衝撃緩衝構造を有する電子機器
KR102426206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114508A (ko) 카메라 모듈
JP7492146B2 (ja) 光学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10016096A1 (ja) ディスク型記録担体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218006345U (zh) 摄像模组和电子装置
KR20220059389A (ko) 렌즈 조립체
US20240107165A1 (en) Shock limiters and dampers for improved camera reliability
US20240107166A1 (en) Shock limiters and dampers for improved camera reliability
CN101425320A (zh) 外接式储存装置及其减震元件
JP7488481B2 (ja) 光学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