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48039A1 -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48039A1
WO2018048039A1 PCT/KR2017/000444 KR2017000444W WO2018048039A1 WO 2018048039 A1 WO2018048039 A1 WO 2018048039A1 KR 2017000444 W KR2017000444 W KR 2017000444W WO 2018048039 A1 WO2018048039 A1 WO 20180480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nomer
adhesive film
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04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혜원
채송아
최태이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CN201780054677.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689822B/zh
Publication of WO20180480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480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9/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ring member
    • C09J139/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protecting painted surfaces, e.g. of cars

Definitions

  • It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and an adhesive film.
  • An example of a method of changing the design of an automobile or a vehicle is a method of repainting its surface or exterior surface.
  • a method of replacing the surface of the vehicle or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lm may be used.
  • a method of wrapping the exterior surface, that is, wrapping, has emerged.
  • an adhesive film is used as a predetermined film that wraps the surface or exterior surface of an automobile or a vehicle, and in general, the adhesive film is required to be attached and detach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it.
  • Repositionable properties are considered important properties.
  • the peeling force can be increased, that is, whether the peeling force can be built up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hysical property. It is becoming.
  • the conventionally used adhesive film is made of an acrylic com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se two physical properties cannot be realized at an excellent level at the same time.
  • the phenomenon of the transition of the adhesive layer to a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can be prevented to realize more excellent repositionable properties, and at the same time, the peeling force is sufficiently built up. It provides an adhesive composition that can be.
  • the phenomenon of the transition of the adhesive layer to a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can be prevented to realize better repositionable properties and at the same time, the peeling force is sufficiently built up. It provides an adhesive film that can be.
  • a method of applying the adhesive film is provided.
  • a copolymer of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monomer, a second monomer, a third monomer and a fourth monomer, wherein the first monomer is 2-ethylhex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2-EHA), and the second monomer is butyl methacrylate (BMA), ethyl methacrylate (EMA), 2-ethylhex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2- EHMA), or both, wherein the third monomer is acrylic acid (AA), and the fourth monomer is N-vinyl-2-pyrrolidone (NVP), Provided is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crylamide or both.
  •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 copolymer formed by polymerizing the monomer components including the four types of monomers described above,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transition of the adhesive layer to a predetermined adheren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adhesive film prepared therefrom.
  • the peel force can be sufficiently built up by some subsequent process, for example a post-heating process, while still being able to implement better repositionable properties.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 the relative weight ratio of the first monomer to the second monomer included in the monomer component may be about 1: 0.1 to about 1: 0.5.
  • the monomer component may include, for example, about 40 wt% to about 75 wt% of the first monomer.
  • the monomer component may comprise about 15% to about 50% by weight of the second monomer.
  • the monomer component may include from about 1% to about 10% by weight of the third monomer.
  • the monomer component may comprise about 1% to about 20% by weight of the fourth monomer.
  •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the use of the wrapping film (wrapping).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thermose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the adhesive film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 the substrate may have an elongation of about 10% to about 500%.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has an elongation within the above range can implement excellent workability when wrapping it on the surface or painted surface of the vehicle, it can further prevent the occurrence of crack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may be an increase rate of the peel force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is about 10% to about 120%:
  • F 1 represents a peel force measured immediately after leaving the adhesive film on a predetermined adherend for 15 minutes to 30 minutes under normal temperature conditions
  • F 2 indicates the adhesive film to be predetermined. After the adhesion to the surface of the deposition, it was left for about 1 day to about 7 days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about 70 °C, and then exhibits a peel force measured immediately after leaving for about 30 minutes to about 60 minutes under room temperature condition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can prevent the transition phenomen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a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thereby realizing more excellent repositionable properties and at the same time, the peeling force is sufficiently built up. Can be.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dhesive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process flowchart of a method of applying an adhesive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y configuration is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of the substrate or on (or the bottom) of the substrate hereinafter means that the arbitrary configuration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 it is not limited to not including other configurations between the substrate and any configuration formed on (or under) the substrate.
  • step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 a copolymer of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monomer, a second monomer, a third monomer and a fourth monomer, wherein the first monomer is 2-ethylhex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2-EHA), and the second monomer is butyl methacrylate (BMA), ethyl methacrylate (EMA), 2-ethylhex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2- EHMA), or both, wherein the third monomer is acrylic acid (AA), and the fourth monomer is N-vinyl-2-pyrrolidone (NVP), Provided is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crylamide or both.
  •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 copolymer formed by polymerizing the monomer components including the four types of monomers described above,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transition of the adhesive layer to a predetermined adheren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adhesive film prepared therefrom.
  • the peel force can be sufficiently built up by some subsequent process, for example a post-heating process, while still being able to implement better repositionable properties.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prepar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hen applied to a surface or an exterior surface of an automobile or a vehic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may be lifted through a predetermined subsequent process after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while being easily attached without deformation thereof. The phenomen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the copolymer may be formed by polymerizing a monomer component including a first monomer, a second monomer, a third monomer, and a fourth monomer, and for example, a thermal polymerization reaction with respect to the polymerization composition including the monomer component. These can be polymerized by advancing.
  • the polymerizatio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a thermal initiator, a solvent, or bo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ermal polymerization reaction may be, for example,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ermal polymeriz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by treating heat for about 60 minutes to about 24 hours at a temperature of about 50 ° C. to about 120 ° C. with respect to the polymerization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changed accordingly.
  • the first monomer is 2-ethylhexyl acrylate (2-EHA)
  • the second monomer is butyl methacrylate (BMA), ethyl methacrylate (Ethyl metacrylate, EMA), 2-ethylhexyl methacrylate (2-EHMA), or both
  • the third monomer is acrylic acid (AA)
  • the fourth monomer is N-vinyl-2- Pyrrolidone (N-vinyl-2-pyrrolidone, NVP), acrylamide or both.
  • the relative weight ratio of the first monomer to the second monomer included in the monomer component may be about 1: 0.1 to about 1: 0.5.
  • the monomer component may include, for example, about 40 wt% to about 75 wt% of the first monomer.
  • the aforementioned repositionable property can be effectively improved.
  • the second monomer includes butyl methacrylate (BMA), ethyl methacrylate (Ethyl metacrylate, EMA), 2-ethylhex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2-EHMA), or both
  • BMA butyl methacrylate
  • EMA ethyl methacrylate
  • 2-Ethylhex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 2-EHMA 2-ethylhexyl methacrylate
  • the monomer component may comprise about 15% to about 50% by weight of the second monomer.
  • the monomer component may include from about 1% to about 10% by weight of the third monomer.
  • the third monomer in an amount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lifting phenomenon on the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prepar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implementing an appropriate peel force.
  • the fourth monomer may include N-vinyl-2-pyrrolidone (NVP), acrylamide, or both, and specifically, the fourth monomer may be N-vinyl-2. -Pyrrolidone.
  • the monomer component may comprise about 1% to about 20% by weight of the fourth monomer.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may be about 10,000g / mol to about 1,500,000g / mol. By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within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may be gradually formed at an appropriate level to implement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excellent workability.
  •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thermosetting agent.
  • the thermosetting agent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ziridine-based curing agents, polyamine-based curing agents, acid anhydride-based curing agents, isocyanate-based curing agents, mercaptan-based curing agent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specifically, Diethylenetriamine, triethylenetetraamine, aminoethylpiperazine, diaminodiphenylmethane, adipic acid dihydrazide, phthalic anhydride, tetrahydrophthalic anhydride, hexahydrophthalic anhydride, 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 methylhexahydro Phthalic anhydride, methylnadic anhydride, trimethylene trimethylene mercaptan, benzyldimethylamine, 2,4,6-tris (dimethylaminomethyl) phenol, 2-methylimidazole, 2-ethyl-4-methylimidazole , 1-benzyl-2-methylimidazo
  • the thermosetting agent may include about 0.1 parts by weight to about 1.0 parts by weight based on about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sufficiently thermally cured, but the unreacted thermal curative remaining in the cured cured product is removed to effectively reduce the performance due to their migration or surface appearance defects. You can prevent it.
  •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olvent.
  • the solvent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oluene, ethyl acetate, tetrahydrofuran, xylene, chloroform, dimethyl sulfoxide, m-cresol, N-methylpyrrolidon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have a viscosity of about 1,000 cps to about 20,000 cps at about 25 ° C.
  •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the use of the wrapping film (wrapping).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prepar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s a low peeling forc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ame, and thus the adhesive film is not damaged or deformed even after being attached and detached to a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so that the adhesive film is excellent in repositionability and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Since the peeling force can be sufficiently improved by a subsequent process, for example, a post-heating process, etc.,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use of the wrapping film, and specifically, to the use of the wrapping film of the vehicle. .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thermose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the adhesive composition is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thermoset formed by performing a thermosetting reaction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composition.
  • thermoset may, for example, have a film or sheet shape.
  • the adhesive film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 the substrate may be a substrate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for example, a substrate made of a polyvinyl chloride (PVC) material, and specifically, may be a substrate made of a soft polyvinyl chloride (PVC) material.
  • a thermoplastic resin for example, a substrate made of a polyvinyl chloride (PVC) material, and specifically, may be a substrate made of a soft polyvinyl chloride (PVC) material.
  • PVC polyvinyl chloride
  • the flexible polyvinyl chloride substrate may be a substrate having a soft property by weak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lymer including the plasticizer, thereby easily wrapping the surface or painted surface of the vehicle.
  • the flexible polyvinyl chloride substrate may include about 10 wt% to about 50 wt% of a plasticizer, and the plasticizer may include, for example, a phthalate plasticizer, a nonphthalate plasticizer, or both. Specifically, an excellent environmental friendliness can be realized by including a nonphthalate plasticizer.
  • the phthalate plasticizer may include, for example, dioctylphthalate and diethylhexyl phthalate, and the nonphthalate plasticizer may be, for example, citric acid, dioctyl adipate, citric acid ester, and epoxidized vegetable oil.
  • the nonphthalate plasticizer may be, for example, citric acid, dioctyl adipate, citric acid ester, and epoxidized vegetable oil.
  • But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atty acid esters, polyethylene glycol, polyethylene propylene glycol, glycerol esters.
  • the substrate may have an elongation of about 10% to about 500%.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has an elongation within the above range can implement excellent workability when wrapping it on the surface or painted surface of the vehicle, it can further prevent the occurrence of cracks.
  • the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pigments, other additives, or both, and thus may implement various physical properties and excellent design.
  • the pigment may further include the organic pigment, the inorganic pigment, or both thereof.
  • a monoazo based pigment for example, a diazo based pigment, a phthalocyanine based pigment, and an anthraquinone based pigment.
  • the other additives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flame retardants, antistatic agents, water repellents, thickener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may be about 0.03 mm to about 0.2 mm.
  •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y coating and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or by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o form a film or a sheet and then attach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thermally cured at a temperature of about 50 ° C. to about 120 ° C. and about 1 minute to about 5 minutes.
  •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ttaching a film or sheet formed by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first, a temperature of about 50 ° C. to about 120 ° C. and about 1 minute to about 5
  • the thermosetting reaction may be performed under a time condition of minutes to form a film or sheet, and then the film or sheet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n an aging process may be further performed.
  • the process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applying heat under a temperature of about 50 ° C. to about 70 ° C. and a time condition of about 24 hours to about 48 hours.
  • the film or sheet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coating the adhesive composition on a release paper and thermosetting.
  • the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0.03 mm to about 0.1 mm. By having a thickness within the above range can be achieved excellent adhesiveness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may be, for example, about 10% to about 120% of an increase in peel force according to Formula 1 below.
  • F 1 represents a peel force measured immediately after leaving the adhesive film on a predetermined adherend for 15 minutes to 30 minutes under normal temperature conditions
  • F 2 indicates the adhesive film to be predetermined. After the adhesion to the surface of the deposition, it was left for about 1 day to about 7 days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about 70 °C, and then exhibits a peel force measured immediately after leaving for about 30 minutes to about 60 minutes under room temperature conditions. That is, the F 1 denotes an initial peel force for the predetermined deposition surface of the adhesive film, the F 2 represents a late release force for the predetermined deposition surface of the adhesive film
  • the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is a surface to which the adhesive film is attached, and may be, for example, a surface or a painted surface of a vehicle, and may be, for example, a surface of a (meth) acrylic resin or a urethane resin, wherein the adhesive film
  • the adhesive layer included in can be attached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 the peel force can be measured, for example, under conditions of a peel rate of about 100 mm / min to about 500 mm / min and a peel angle of about 180 °.
  • the F 1 may be about 800 g / in to about 2,000 g / in.
  • the F 1 exhibits a low peeling force within the above range so that it can be easily peeled off even after attaching it to a predetermined adheren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adhesive film, thereby attaching the adhesive film to the predetermined adherend. Since the process of peeling off can be easily repeated, the construction can be completed without damaging or deforming the adhesive film.
  • the adhesive film may be a wrapping film.
  • the adhesive film is a lapping film, an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it, the peeling force is low so that even if it is attached to a predetermined adherend surface and is not damaged or deformed even after detaching, the adhesive film has excellent repositionable properties and the peeling force is improved by a predetermined subsequent process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It can be sufficiently improved and specifically it can be a wrapping film of a vehicle.
  • FIG. 2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flow diagram of a method of applying the adhesive film.
  • the adhesive film is as described abov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may b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adherend, for example, by a method of lapping, and the method of lapping may be appropriately applied to methods known in the art. It may be carried out by selectio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adhesive film may be attached such that the adhesive layer contacts the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 the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is a surface directly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included in the adhesive film, and may be, for example, a surface of a vehicle or a painted surface, and may be, for example, a surface of (meth) acrylic resin or urethane resin. .
  • the adhesive film is not damaged or deformed, even if the initial peeling force on the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is low, even if the adhesive film is repeated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adhesive film. Even if the film is folded and the adhesive layers are adhered to each other, they can be peeled off and unfolded without being peeled off from the substrate, and thus the adhesive film is not damaged so that it can be continuously used for construction,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xcellent construction can be realized.
  • a post-hea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 the adhesive film attached to the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 the post-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by performing additional heat treatment on the adhesive film adhered to a predetermined adherend surface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so that the adhesive film may be more closely adhered to the adherend surface, thereby effectively improving adhesiveness.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dhesive film may not easily be lifted or peeled from the adhered surface even if the product is used continuously.
  • the post-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by heat treatment for about 30 seconds to about 5 minutes at a temperature of about 40 °C to about 100 °C for the adhesive film attached to the predetermined adhered surface, accordingly
  • the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the to-be-adhered surface of the said adhesive film can be improved further.
  • 2-EHA (2-Ethylhexyl acrylate), 2-EHMA (2-Ethylhexyl methacrylate), AA (acrylic acid), N-vinyl-2-pyrrolidone (NVP), thermal initiator and A thermal polymerization reaction was performed on the composition for polymerization including the solvent by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to prepare a copolymer of monomer components including 2-EHA, 2-EHMA, AA, and NVP, and specifically, to form the copolymer.
  • the content of 2-EHA in the monomer component is 52% by weight
  • the content of 2-EHMA is 30% by weight
  • the content of AA is 4% by weight
  • the content of NVP is 14% by weight.
  •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and stirring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0.22 parts by weight of a bifunctional aziridine-based curing agent (GW 752), and a solvent.
  • GW 752 bifunctional aziridine-based curing agent
  • 2-EHA (2-Ethylhexyl acrylate), BMA (Butyl metacrylate), AA (acrylic acid), N-vinyl-2-pyrrolidone (NVP), thermal initiators and solvents
  • Thermal polymerization of the composition for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by solution polymerization to prepare a copolymer of monomer components including 2-EHA, 2-BMA, AA, and NVP, and specifically, among the monomer components forming the copolymer.
  • the content of 2-EHA is 52% by weight
  • the content of the BMA is 30% by weight
  • the content of AA is 4% by weight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52% by weight
  • the content of the BMA is 30% by weight
  • the content of AA is 4% by weight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the content of 2-EHA in the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copolymer is 64% by weight, the content of 2-EHMA is 20% by weight, the content of AA is 9%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NVP is 7% by weight.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method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polymer was prepared.
  • 2-EHA (2-Ethylhexyl acrylate), 2-EHMA (2-Ethylhexyl methacrylate), BA (Butyl acrylate), AA (acrylic acid), N-vinyl-2-pyrrolidone,
  • a copolymer of monomer components including 2-EHA, 2-EHMA, BA, AA, and NVP was prepared by thermal polymerization of the composition for polymerization including NVP), a thermal initiator, and a solvent by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 the content of 2-EHA in the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copolymer is 37% by weight
  • the content of 2-EHMA is 25% by weight
  • the content of BA is 20% by weight
  • the content of AA is 4 wt%
  • the NVP content was 14 wt%, except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methods as in Example 1.
  • the content of 2-EHA in the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copolymer is 56% by weight, the content of 2-EHMA is 30% by weight, the content of AA is 9%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NVP is 5% by weight.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method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polymer was prepared.
  • Thermal polymeriz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by the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for a polymerization composition including 2-EHA (2-Ethylhexyl acrylate), 2-EHMA (2-Ethylhexyl methacrylate), AA (acrylic acid), a thermal initiator and a solvent.
  • a copolymer of monomer components including -EHA, 2-EHMA and AA was prepared, specifically, the content of 2-EHA in the monomer components forming the copolymer was 81%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2-EHMA was 10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conditions and method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AA was 9 wt%.
  •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2-EHA and AA by thermal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composition for polymerization comprising 2-EHA (2-Ethylhexyl acrylate), AA (acrylic acid), a thermal initiator and a solvent by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was prepared, specifically, the content of 2-EHA in the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copolymer is the same conditions and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2-EHA is 90% by weight, the AA content is 10% by weight.
  •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 Each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subjected to a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100 ° C. for 3 minutes to form a thermosetting reaction, thereby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04 mm, an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was prepared by laminating a substrate made of a soft PVC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0.08 mm.
  • Measuring method Each adhesive film was cut into a size of 15cmX2.54cmX0.13mm to prepare the specimens, and each of the specimens was attached to the coated surface of the acrylic material coated on the steel sheet and then peeled off three times. Visually observe whether this is damaged or deformed, and if it is damaged or not deformed, it is evaluated as having excellent repositionable property, and is marked as " ⁇ ", and if it is damaged or deformed to the extent that it cannot be constructed, it is evaluated as inferior. "X" was indicated, and the intermediate cases thereof were evaluated as being good and " ⁇ ".
  • Measuring method Each adhesive film was cut into a size of 15cmX2.54cmmm0.13mm, and two specimens were prepared. The acrylic coated surface of the steel sheet was washed with alcohol and dried, respectivel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specimens. Ready.
  • peel force F 1 and F 2 was measured using a physical property tester (TA) (Texture Analyzer XT Plus, Stable micro systems)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 TA physical property tester
  • Each specimen attached to the painted surface is attached to the PET film (30x150mmx0.1mm) slightly protruded at one end of the substrate included therein, and the peeling part is peeled off at 180 ° to measure the peel force.
  • the peel force was measured at a peel rate of 300 mm / min and a peel angle of 180 ° at room temperatur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forces measured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peeling started from the coating surface to the point of completion was evaluated as the peel force. .
  • Measuring method Each adhesive film was cut into a size of 15 cm x 2.54 cm x 0.13 mm to prepare specimens, and the sheets were folded in half so that the adhesive layers included in the adhesive film were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n left for 10 minutes. Subsequently, while unfolding the adhesive film folded in half again, it was observed whether the adhesive layer was peeled off from the substrate of the soft PVC material, and the case where the adhesive layer was peeled off from the substrate of the soft PVC material was evaluated as being “bad”. In the case of not being peeled off from the base material of the soft PVC material,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evaluated as not peeled off and was marked as "excellent".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adherend surfac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is folded to their Even if the adhesive layers are adhered to each other, it can be easily peeled off and unfolded from the substrate of the soft PVC material so that the adhesive layers are not damaged, and thus the construction can be continued again.
  • each adhesive film formed using each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s remarkably inferior in repositionable propertie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and when the adhesive film is folded and their adhesive layers stick to each other, When unfolded, since the adhesive layer is peeled off from the base of the soft PVC material and damaged, it can be clearly predicted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annot proceed aga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제1 모노머, 제2 모노머, 제3 모노머 및 제4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노머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이고, 상기 제2 모노머가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utyl metacrylate, BMA),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acrylate, EMA),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 methacrylate, 2-EHMA),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노머가 아크릴산(Acrylic acid, AA)이며, 상기 제4 모노머가 N-비닐-2-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모노머, 아크릴아미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
점착 조성물 및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또는 차량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이러한 디자인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또는 차량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의 예로서 이의 표면이나 외장면을 다시 도장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너무 고가이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소정의 필름으로 자동차 또는 차량의 표면이나 외장면을 감싸는 방법, 즉 래핑(wrapping)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 또는 차량의 표면이나 외장면을 래핑하는 소정의 필름으로서 점착성 필름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개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점착성 필름을 붙였다 떼어내면서 자리를 잡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고, 이러한 성질상 점착성 필름의 재위치 가능한 성질(repositionable properties)이 중요한 물성으로 고려되고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차량의 표면이나 외장면으로부터 들뜸 현상이 방지되어야 하므로 박리력이 증가할 수 있는지 여부 즉, 박리력이 빌드업(build up) 될 수 있는지 여부도 중요한 물성으로 고려되고 있다.
다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착성 필름은 아크릴계 조성물로 제조되고 있으나, 이들 두 가지 물성을 동시에 우수한 수준으로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소정의 피착면에 대한 점착층의 전이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 더욱 우수한 재위치한 성질(repositionable properties)을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박리력이 충분히 빌드업(build up)될 수 있는 점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소정의 피착면에 대한 점착층의 전이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 더욱 우수한 재위치한 성질(repositionable properties)을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박리력이 충분히 빌드업(build up)될 수 있는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1 모노머, 제2 모노머, 제3 모노머 및 제4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노머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이고, 상기 제2 모노머가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utyl metacrylate, BMA),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acrylate, EMA),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 methacrylate, 2-EHMA),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노머가 아크릴산(Acrylic acid, AA)이며, 상기 제4 모노머가 N-비닐-2-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전술한 네 종류의 모노머가 포함된 모노머 성분이 중합되어 형성된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이로부터 제조된 점착 필름이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피착면에 대한 점착층의 전이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 더욱 우수한 재위치한 성질(repositionable properties)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소정의 후속 공정, 예를 들어, 후-열처리 공정(post-heating process) 등에 의해 박리력이 충분히 빌드업(build up)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에 포함된 상기 제1 모노머 대 상기 제2 모노머의 상대 중량비가 약 1:0.1 내지 약 1:0.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상대 중량비로 포함됨으로써 재위치 가능한 성질 및 박리력이 빌드업되는 성질의 두 가지 물성을 동시에 우수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은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노머를 약 40 중량% 내지 약 7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2 모노머를 약 15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3 모노머를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4 모노머를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랩핑(wrapping) 필름의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의 열경화물이 포함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착 필름이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적층된 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신율이 약 1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상기 범위 내의 신율을 가짐으로써 이를 자동차의 표면이나 도장면에 랩핑시 우수한 시공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크랙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하기 계산식 1에 의한 박리력의 증가율이 약 10%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계산식 1]
박리력의 증가율(%) = (F2 - F1)/F1 Ⅹ 100
상기 계산식 1에서, 상기 F1은 상기 점착 필름을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한 시점으로부터 상온 조건 하에서 15분 내지 30분 동안 방치한 직후 측정한 박리력을 나타내고, 상기 F2는 상기 점착 필름을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한 후 약 70℃의 온도 조건 하에서 약 1일 내지 약 7일 동안 방치하고, 이어서 상온 조건 하에서 약 30분 내지 약 60분 동안 방치한 직후 측정한 박리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필름을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하는 단계(S1); 및 상기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된 점착 필름에 대하여 후-열처리 공정(post-heating process)을 수행하는 단계(S2);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 조성물 및 상기 점착 필름은 소정의 피착면에 대한 점착층의 전이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 더욱 우수한 재위치한 성질(repositionable properties)을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박리력이 충분히 빌드업(build up)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점착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공정흐름도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또는/및 B"의 기재는, "A 또는 B”를 의미하거나,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소정의 구현예 또는/및 이에 포함된 소정의 구성 요소가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로서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하기에 기재된 구현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1 모노머, 제2 모노머, 제3 모노머 및 제4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노머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이고, 상기 제2 모노머가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utyl metacrylate, BMA),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acrylate, EMA),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 methacrylate, 2-EHMA),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노머가 아크릴산(Acrylic acid, AA)이며, 상기 제4 모노머가 N-비닐-2-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전술한 네 종류의 모노머가 포함된 모노머 성분이 중합되어 형성된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이로부터 제조된 점착 필름이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피착면에 대한 점착층의 전이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 더욱 우수한 재위치한 성질(repositionable properties)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소정의 후속 공정, 예를 들어, 후-열처리 공정(post-heating process) 등에 의해 박리력이 충분히 빌드업(build up)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점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점착 필름을 자동차 또는 차량의 표면이나 외장면에 시공하는 경우 이의 변형 없이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면서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소정의 후속 공정 등을 통해 상기 점착 필름의 들뜸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제1 모노머, 제2 모노머, 제3 모노머 및 제4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켜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모노머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용 조성물에 대하여 열중합 반응을 진행시켜 이들을 중합시킬 수 있다.
상기 중합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열개시제, 용제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열중합 반응은 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열중합 반응은 상기 중합용 조성물에 대하여 약 50℃ 내지 약 120℃의 온도로 약 60분 내지 약 24시간 동안 열을 처리하여 진행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발명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노머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이고, 상기 제2 모노머가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utyl metacrylate, BMA),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acrylate, EMA),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 methacrylate, 2-EHMA),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노머가 아크릴산(Acrylic acid, AA)이며, 상기 제4 모노머가 N-비닐-2-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아크릴아미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모노머 성분에 포함된 상기 제1 모노머 대 상기 제2 모노머의 상대 중량비가 약 1:0.1 내지 약 1:0.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상대 중량비로 포함됨으로써 재위치 가능한 성질 및 박리력이 빌드업되는 성질의 두 가지 물성을 동시에 우수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대 중량비의 범위를 벗어나서 상기 제1 모노머 및 상기 제2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점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점착 필름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이의 손상이나 변형이 쉽게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점착 필름의 빌드업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자동차의 표면 또는 외장면으로부터 들뜸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은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노머를 약 40 중량% 내지 약 7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노머를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전술한 재위치 가능한 성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모노머가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utyl metacrylate, BMA),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acrylate, EMA),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 methacrylate, 2-EHMA),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모노머가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2 모노머를 약 15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노머를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재위치 가능한 성질을 구현함과 동시에 박리력을 충분히 빌드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3 모노머를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모노머를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적절한 박리력을 구현하여 상기 점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점착 필름의 소정의 피착면에 대한 들뜸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모노머가 N-비닐-2-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아크릴아미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4 모노머가 N-비닐-2-피롤리돈일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4 모노머를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점착 조성물에 의한 점착 필름이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재위치 가능한 성질을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박리력을 빌드업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소정의 피착면에 대한 점착층의 전이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므로 더욱 우수한 재위치한 성질(repositionable properties)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00g/mol 내지 약 1,50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짐으로써 상기 점차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형성하여 우수한 가공성 및 우수한 작업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열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제는 예를 들어, 아지리딘계 경화제, 폴리아민계 경화제, 산무수물계 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메르캅탄계 경화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아미노에틸피페라진, 디아미노디페닐메탄, 아디핀산디히드라지드, 무수프탈산,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메틸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무수메틸나딕산, 트리옥산트리메틸렌메르캅탄, 벤질디메틸아민,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1-벤질-2-메틸이미다졸,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및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시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공중합체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열경화제 약 0.1 중량부 내지 약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점착 조성물을 충분히 열경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열경화된 경화물 내에 잔류하는 미반응 열경화제를 제거하여 이들의 이동(migration) 현상에 의한 성능 저하 또는, 표면 외관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예를 들어,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자일렌, 클로로포름, 디메틸술폭사이드, m-크레졸, N-메틸피롤리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점도가 약 25℃에서 약 1,000cps 내지 약 20,000cps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랩핑(wrapping) 필름의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점착 필름은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는 박리력이 낮아 소정의 피착면에 붙였다가 떼어내더라도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아 재위치 가능한 성질이 우수하면서 시공이 완료된 이후 소정의 후속 공정, 예를 들어 후-열처리 공정(post-heating process) 등에 의해 박리력이 충분히 향상될 수 있으므로 랩핑 필름의 용도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랩핑 필름의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의 열경화물이 포함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 조성물에 대하여 열경화 반응을 진행시켜 형성된 열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물은 예를 들어, 필름 또는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필름이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적층된 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기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재질의 기재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재질의 기재일 수 있다.
상기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재질의 기재는 가소제를 포함하여 고분자를 포간의 연결을 약하게 함으로써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는 기재일 있고, 그에 따라 자동차의 표면이나 도장면을 용이하게 랩핑할 수 있다.
상기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재질의 기재는 가소제를 약 10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소제는 예를 들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여 우수한 친환경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예를 들어, 디옥틸프탈레이트,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예를 들어, 구연산, 아디프산디옥틸(dioctyl adipate), 구연산에스테르, 에폭시화 식물유,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기재는 신율이 약 1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상기 범위 내의 신율을 가짐으로써 이를 자동차의 표면이나 도장면에 랩핑시 우수한 시공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크랙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안료, 기타 첨가제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물성 및 우수한 디자인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유기계 안료, 무기계 안료,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노아조계 안료(monoazo based pigment), 디아조계 안료(diazo based pigment),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안트라퀴논계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페릴렌계, 니트로소계 안료(nitroso based pigment), 카르바졸 디옥산진계 안료(carbazole dioxazine based pigment), 카본 블랙(carbon black), 그래핀, 카본나노튜브(CNT), 이산화티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발수제, 증점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약 0.03mm 내지 약 0.2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점착 필름이 부착되는 소정의 피착면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의 일면에 상기 점착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켜 필름 또는 시트 등으로 형성한 후 이를 상기 기재의 일면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을 상기 기재의 일면에 상기 점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형성하는 경우 약 50℃ 내지 약 120℃의 온도 및 약 1분 내지 약 5분 동안 열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을 상기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필름 또는 시트 등을 상기 기재의 일면에 부착하여 형성하는 경우 먼저 상기 점착 조성물에 대하여 약 50℃ 내지 약 120℃의 온도 및 약 1분 내지 약 5분의 시간 조건 하에서 열경화 반응을 진행시켜 필름 또는 시트 등으로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필름 또는 시트 등을 상기 기재의 일면에 부착한 후 이에 대하여 에이징 공정(aging process)를 더 진행할 수 있고, 상기 에이징 공정은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70℃의 온도 및 약 24시간 내지 약 48시간의 시간 조건 하에서 열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 또는 시트 등은 예를 들어, 상기 점착 조성물을 이형지에 코팅하고 열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약 0.03mm 내지 약 0.1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점착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필름은 하기 계산식 1에 의한 박리력의 증가율이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계산식 1]
박리력의 증가율(%) = (F2 - F1)/F1 Ⅹ 100
상기 계산식 1에서, 상기 F1은 상기 점착 필름을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한 시점으로부터 상온 조건 하에서 15분 내지 30분 동안 방치한 직후 측정한 박리력을 나타내고, 상기 F2는 상기 점착 필름을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한 후 약 70℃의 온도 조건 하에서 약 1일 내지 약 7일 동안 방치하고, 이어서 상온 조건 하에서 약 30분 내지 약 60분 동안 방치한 직후 측정한 박리력을 나타낸다. 즉, 상기 F1은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소정의 피착면에 대한 초기 박리력을 나타내고, 상기 F2는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소정의 피착면에 대한 후기 박리력을 나타낸다
상기 소정의 피착면은 상기 점착 필름이 부착되는 면으로, 예를 들어, 차량의 표면 또는 도장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 재질의 면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점착 필름에 포함된 상기 점착층이 상기 소정의 피착면에 바로 접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박리력 증가율을 가짐으로써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는 재위치 가능한 성질을 우수한 수준으로 구현하고,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소정의 피착면에 대한 밀착력을 증가시켜 안정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어 사용 과정에서 들뜨거나 박리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박리력은 예를 들어, 약 100mm/분 내지 약 500mm/분의 박리속도 및 약 180°의 박리각도의 조건 하에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F1이 약 800 g/in 내지 약 2,000 g/in일 수 있다.
상기 F1이 상기 범위 내의 낮은 박리력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점착 필름의 시공 과정에서 이를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한 이후에도 용이하게 다시 떼어낼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상기 점착 필름을 상기 소정의 피착면에 붙였다가 떼어내는 과정을 용이하게 반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점착 필름의 손상이나 변형 없이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필름은 랩핑(wrapping)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랩핑 필름으로서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는 박리력이 낮아 소정의 피착면에 붙였다가 떼어내더라도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아 재위치 가능한 성질이 우수하면서 시공이 완료된 이후 소정의 후속 공정 등에 의해 박리력이 충분히 향상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랩핑 필름일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의 공정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필름을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하는 단계(S1); 및 상기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된 점착 필름에 대하여 후-열처리 공정(post-heating process)을 수행하는 단계(S2);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 필름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에서, 상기 점착 필름을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랩핑하는 방법에 의해 부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랩핑하는 방법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점착 필름은 상기 점착층이 상기 소정의 피착면과 접하도록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피착면은 상기 점착 필름에 포함된 상기 점착층이 바로 부착되는 면으로 예를 들어, 차량의 표면 또는 도장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 재질의 면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착 필름은 이의 소정의 피착면에 대한 초기 박리력이 낮아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정의 피착면에 붙였다가 떼어내는 과정을 반복하더라도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점착 필름이 접혀 상기 점착층이 서로 붙더라도 이들이 이의 기재로부터 박리되지 않고서 떼어내어 펼칠 수 있어, 점착 필름이 손상되지 않으므로 계속하여 시공에 이용할 수 있고, 따라서 더욱 우수한 시공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상기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에서, 상기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된 점착 필름에 대하여 후-열처리 공정(post-heating process)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후-열처리 공정은 예를 들어, 시공이 완료되어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된 점착 필름에 대하여 추가적인 열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점착 필름이 상기 피착면에 더욱 밀착되어 점착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을 계속하여 사용하더라도 상기 점착 필름이 상기 피착면으로부터 쉽게 들뜨거나 박리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후-열처리 공정은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된 점착 필름에 대하여 약 40℃ 내지 약 100℃의 온도로 약 30초 내지 약 5분 동안 열 처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피착면에 대한 점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실시예 1
2-EHA(2-Ethylhexyl acrylate), 2-EHMA(2-Ethylhexyl methacrylate), AA(acrylic acid), N-비닐-2-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열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조성물에 대하여 용액 중합법에 의해 열중합 반응을 진행시켜 2-EHA, 2-EHMA, AA 및 NVP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를 준비하였고,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2-EHA의 함량은 52 중량%이고, 상기 2-EHMA의 함량은 30 중량%이고, 상기 AA의 함량은 4 중량%이며, 상기 NVP의 함량은 14 중량%이다.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 2관능성 아지리딘계 경화제(GW 752) 0.22 중량부 및, 용제를 혼합 및 교반하여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2-EHA(2-Ethylhexyl acrylate), BMA(Butyl metacrylate), AA(acrylic acid), N-비닐-2-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열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조성물에 대하여 용액 중합법에 의해 열중합 반응을 진행시켜 2-EHA, 2-BMA, AA 및 NVP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를 준비하였고,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2-EHA의 함량은 52 중량%이고, 상기 BMA의 함량은 30 중량%이고, 상기 AA의 함량은 4 중량%이며, 상기 NVP의 함량은 14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2-EHA의 함량은 64 중량%이고, 상기 2-EHMA의 함량은 20 중량%이고, 상기 AA의 함량은 9 중량%이며, 상기 NVP의 함량은 7 중량%가 되도록 상기 공중합체를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2-EHA(2-Ethylhexyl acrylate), 2-EHMA(2-Ethylhexyl methacrylate), BA(Butyl acrylate), AA(acrylic acid), N-비닐-2-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열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조성물에 대하여 용액 중합법에 의해 열중합 반응을 진행시켜 2-EHA, 2-EHMA, BA, AA 및 NVP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를 준비하였고,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2-EHA의 함량은 37 중량%이고, 상기 2-EHMA의 함량은 25 중량%이고, 상기 BA의 함량은 20 중량%이고, 상기 AA의 함량은 4 중량%이며, 상기 NVP의 함량은 14 중량%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2-EHA의 함량은 56 중량%이고, 상기 2-EHMA의 함량은 30 중량%이고, 상기 AA의 함량은 9 중량%이며, 상기 NVP의 함량은 5 중량%가 되도록 상기 공중합체를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2-EHA(2-Ethylhexyl acrylate), 2-EHMA(2-Ethylhexyl methacrylate), AA(acrylic acid), 열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조성물에 대하여 용액 중합법에 의해 열중합 반응을 진행시켜 2-EHA, 2-EHMA 및 AA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를 준비하였고,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2-EHA의 함량은 81 중량%이고, 상기 2-EHMA의 함량은 10 중량%이며, 상기 AA의 함량은 9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2-EHA(2-Ethylhexyl acrylate), AA(acrylic acid), 열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조성물에 대하여 용액 중합법에 의해 열중합 반응을 진행시켜 2-EHA, 및 AA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를 준비하였고,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2-EHA의 함량은 90 중량%이고, 상기 AA의 함량은 10 중량%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에 따른 각각의 점착 조성물에 대하여 100℃의 온도로 3분 동안 열 처리를 수행하여 열경화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0.04mm 두께의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0.08mm 두께의 연질 PVC 재질의 기재를 라미네이팅시켜 점착 필름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각각의 점착 필름에 대하여 여러 가지 물성을 실험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재위치 가능한 성질
측정방법: 각각의 점착 필름을 15cmⅩ2.54cmⅩ0.13mm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각각 준비하고, 상기 각 시편을 강판에 코팅된 아크릴계 재질의 도장면에 붙였다가 떼어내는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점착 필름이 손상되거나, 변형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은 경우를 재위치 가능한 성질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여 “○”로 표시하고, 시공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거나 변형된 경우를 열등한 것으로 평가하여 “Ⅹ”로 표시하고 이들의 중간인 경우를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여 “△”로 표시하였다.
실험예 2: 박리력의 증가율
측정방법: 각각의 점착 필름을 15cmⅩ2.54cmⅩ0.13mm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각각 2개씩 준비하고, 강판에 코팅된 아크릴계 재질의 도장면을 알코올로 세척 및 건조하여 각 시편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2개씩 준비하였다.
상기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2개의 시편 중 하나를 상기 도장면과 접하도록 부착한 후 2kg 고무 롤러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5회 왕복하여 눌러준 시점으로부터 상온 조건 하에서 20 동안 방치한 직후 상기 도장면으로부터 박리시켜 박리력, F1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시편 중 다른 하나를 상기 도장면과 접하도록 부착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 및 방법으로 고무 롤러로 눌러주고 70℃로 세팅된 오븐에서 72시간 방치한 후 이를 꺼내어 상온 조건 하에서 60분 동안 방치한 직후 상기 도장면으로부터 박리시켜 박리력을, F2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한 F1 및 F2를 를 하기 계산식 1에 대입하여 박리력의 증가율을 계산하였다.
[계산식 1]
박리력의 증가율(%) = (F2 - F1)/F1 Ⅹ 100
구체적으로, 상기 박리력 F1 및 F2는 하기 방법에 따라 물성 시험기 (T.A) (Texture Analyzer XT Plus, Stable micro systems社)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도장면에 부착된 시편 각각은 이에 포함된 기재의 한 쪽 끝에 PET 필름(30x150mmx0.1mm)을 약간 돌출되도록 부착하고, 돌출된 부분을 180°로 뒤집어서 상기 도장면으로부터 벗겨내면서 박리력을 측정하고, 구체적으로는 상온에서 300mm/분의 박리속도 및 180°의 박리각도 조건으로 박리력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도장면으로부터 박리가 개시된 시점에서부터 완료된 시점까지 측정된 힘들 중 최대 값을 박리력으로서 평가하였다.
실험예 3: 점착층의 전이 여부
측정방법: 각각의 점착 필름을 15cmⅩ2.54cmⅩ0.13mm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각각 준비하고, 상기 점착 필름에 포함된 점착층이 서로 부착되도록 이를 각각 반으로 접은 후 10분 동안 방치시켰다. 이어서, 반으로 접힌 점착필름을 다시 펼치면서 상기 점착층이 연질 PVC 재질의 기재로부터 박리되었는지 여부를 관찰하여, 상기 연질 PVC 재질의 기재로부터 박리된 경우를 점착층이 전이된 것으로 평가하여 “나쁨”으로 표시하고, 상기 연질 PVC 재질의 기재로부터 박리되지 않은 경우를 점착층이 박리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여 “우수”로 표시하였다.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종류 및 함량(wt%) 위치 가능한 성질 박리력(F1) (g/in) 박리력의 증가율(%) 전이 여부
2-EHA 2-EHMA BMA BA AA NVP
실시예1 52 30 - - 4 14 1211.5 102 우수
실시예2 52 - 30 - 4 14 1383.7 90 우수
실시예3 64 20 - - 9 7 1048.2 68 보통
실시예4 37 25 - 20 4 14 1215.5 79 우수
실시예5 56 30 - 9 5 1031.8 61 나쁨
비교예1 81 10 - 9 - 1212.4 23 나쁨
비교예2 90 - - 10 - 1185.4 53 나쁨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따른 각 점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각 점착 필름의 경우 재위치 가능한 성질이 양호하거나 우수하고, 박리력의 증가율이 60% 이상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그에 따라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재위치 가능한 성질이 우수하면서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소정의 후속 공정에 의해 박리력이 충분히 향상될 수 있음을 명확히 예상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른 각 점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각 점착 필름의 경우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피착면에 상기 점착층이 전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점착 필름이 접혀 이들의 점착층이 서로 붙더라도 연질 PVC 재질의 기재로부터 박리되지 않은 상태로 쉽게 떼어내어 펼칠 수 있어 이들의 점착층이 손상되지 않으므로 다시 시공을 계속하여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반면, 비교예 1 및 2에 따른 각 점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각 점착 필름의 경우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재위치 가능한 성질이 현저히 열등하고, 상기 점착 필름이 접혀 이들의 점착층이 서로 붙는 경우 떼어내어 펼치게 되면 연질 PVC 재질의 기재로부터 점착층이 박리되어 손상되게 되므로 다시 시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음을 명확히 예상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0: 점착 필름
110: 점착층
120: 기재

Claims (19)

  1. 제1 모노머, 제2 모노머, 제3 모노머 및 제4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노머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이고, 상기 제2 모노머가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utyl metacrylate, BMA),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acrylate, EMA),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 methacrylate, 2-EHMA),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노머가 아크릴산(Acrylic acid, AA)이며, 상기 제4 모노머가 N-비닐-2-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모노머, 아크릴아미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4 모노머를 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에 포함된 상기 제1 모노머 대 상기 제2 모노머의 상대 중량비가 1:0.01 내지 1:0.5인
    점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1 모노머를 40 중량% 내지 75 중량%로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2 모노머를 15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3 모노머를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g/mol 내지 1,500,000g/mol인
    점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열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열경화제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랩핑(wrapping) 필름의 용도로 적용되는
    점착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조성물의 열경화물이 포함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의 하기 계산식 1에 의한 박리력의 증가율이 10% 내지 120%인
    점착 필름:
    [계산식 1]
    박리력의 증가율(%) = (F2 - F1)/F1 Ⅹ 100
    상기 계산식 1에서, 상기 F1은 상기 점착 필름을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한 시점으로부터 상온 조건 하에서 15분 내지 30분 동안 방치한 직후 측정한 박리력을 나타내고, 상기 F2는 상기 점착 필름을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한 후 70℃의 온도 조건 하에서 1일 내지 7일 동안 방치하고, 이어서 상온 조건 하에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방치한 직후 측정한 박리력을 나타낸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F1이 800 g/in 내지 2,000 g/in인
    점착 필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의 일면에 상기 점착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켜 필름 또는 시트 등으로 형성한 후 이를 상기 기재의 일면에 부착하여 형성하는
    점착 필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적층된 기재를 더 포함하는
    점착 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신율이 10% 내지 500%인
    점착 필름.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은 랩핑(wrapping) 필름인
    점착 필름.
  18. 제11항에 따른 점착 필름을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피착면에 부착된 점착 필름에 대하여 후-열처리 공정(post-heating process)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후-열처리 공정은 40℃ 내지 100℃의 온도에서 30초 내지 5분 동안 열 처리하여 수행하는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
PCT/KR2017/000444 2016-09-06 2017-01-13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 WO20180480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54677.5A CN109689822B (zh) 2016-09-06 2017-01-13 粘结组合物、粘结膜及适用粘结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218 2016-09-06
KR1020160114218A KR101872600B1 (ko) 2016-09-06 2016-09-06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8039A1 true WO2018048039A1 (ko) 2018-03-15

Family

ID=6156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0444 WO2018048039A1 (ko) 2016-09-06 2017-01-13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72600B1 (ko)
CN (1) CN109689822B (ko)
WO (1) WO201804803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290A (ko) * 2011-04-15 2014-05-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KR20140129921A (ko) * 2013-04-30 2014-11-07 제일모직주식회사 반도체용 접착 조성물,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용 접착 필름 및 반도체 장치
KR20150000826A (ko) * 2013-06-25 2015-01-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20150037829A (ko) * 2012-08-02 2015-04-0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필름상 접착제, 반도체 접합용 접착 시트,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093552A (ko) * 2015-01-29 2016-08-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7578A1 (ja) * 2005-07-13 2007-01-18 Kuraray Co., Ltd 水性分散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組成物、接着剤およびコーティング剤
KR20080062642A (ko) * 2006-12-29 2008-07-03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점착제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다이싱 필름
JP5193674B2 (ja) * 2007-06-01 2013-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KR101596664B1 (ko) * 2015-11-18 2016-03-07 정찬수 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290A (ko) * 2011-04-15 2014-05-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KR20150037829A (ko) * 2012-08-02 2015-04-0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필름상 접착제, 반도체 접합용 접착 시트,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40129921A (ko) * 2013-04-30 2014-11-07 제일모직주식회사 반도체용 접착 조성물,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용 접착 필름 및 반도체 장치
KR20150000826A (ko) * 2013-06-25 2015-01-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20160093552A (ko) * 2015-01-29 2016-08-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89822B (zh) 2021-01-08
CN109689822A (zh) 2019-04-26
KR101872600B1 (ko) 2018-08-02
KR20180027082A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17595A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WO2019117594A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WO2009139584A2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반도체 웨이퍼 이면연삭 방법
WO2011126265A2 (ko) 터치 패널용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WO2011126262A2 (ko) 터치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 패널
WO2011126263A2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터치 패널
WO2016047982A1 (ko)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WO2009131363A2 (ko) 점착 필름 및 이를 사용한 백그라인딩 방법
WO2016032108A1 (ko) 점착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WO2018135864A1 (ko) Oled 패널 하부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WO2013012273A2 (ko) 터치 패널
WO2017014402A1 (ko)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WO2018159918A1 (ko)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8135865A1 (ko) Oled 패널 하부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WO2013176457A1 (ko) 광학부재, 점착제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
WO2017217627A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0147363A2 (ko) 웨이퍼 가공용 시트
WO2017183833A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층
WO2018147686A1 (ko) 무기재 전사 테이프
WO2021145665A1 (ko) 물탱크 시일링용 일면 접합형 친환경 산화방지 접합 테이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모듈
WO2019088752A1 (ko) 다층 점착 테이프
WO2016099044A1 (ko) 터치 센서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095990A1 (ko) 초경박리 이형필름
WO2018048039A1 (ko)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
WO2020105923A1 (ko) 폴더블 백플레이트, 폴더블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489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489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