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209392A1 -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209392A1
WO2017209392A1 PCT/KR2017/003949 KR2017003949W WO2017209392A1 WO 2017209392 A1 WO2017209392 A1 WO 2017209392A1 KR 2017003949 W KR2017003949 W KR 2017003949W WO 2017209392 A1 WO2017209392 A1 WO 20172093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ps
polyarylene sulfide
compatibilizer
molde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39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해리
신종욱
안병우
Original Assignee
이니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니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니츠 주식회사
Priority to EP17806885.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67029B1/en
Priority to US16/301,880 priority patent/US20190177485A1/en
Priority to CN201780031359.7A priority patent/CN109312143A/zh
Priority to PL17806885T priority patent/PL3467029T3/pl
Priority to JP2018562557A priority patent/JP2019517611A/ja
Publication of WO20172093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09392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204Polyarylenethioethers
    • C08G75/0209Polyarylenethioether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on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204Polyarylenethioethers
    • C08G75/025Preparatory processes
    • C08G75/0263Preparatory processes using elemental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6Pretreated ingredients and ingredients covered by the main groups C08K3/00 - C08K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4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3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oxygen in a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1/00Use of polymers hav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29K2081/04Polysulfides, e.g. PPS, i.e. polyphenylene sulfide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short lengths, e.g. chopped filaments, staple fibres or br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503/00 - B29K2507/00, as filler
    • B29K2509/08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4Additives containing two or more different additives of the same subgroup in C08K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which is excellent in duct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and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thin film parts.
  • Polyphenylene sulfide is divided into linear and branched, and has diff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 Linear PPS has high ductility due to the flexibility of the main chain chain, but lower dimensional stability compared to branched PPS.
  • the thickness of the injection molded article is gradually thinner and is required to improve the strength (se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023929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44618).
  • thin film formability is required by miniaturization and integration.
  • the branched PPS has a limited ductility due to low ductility due to brittle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the linear PPS with excellent ductility is used for thin film molding, but when thin film molding with the linear PP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molded article is lowered and the reliability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hemical resistance and creep resistance is lowered. In addition, when the linear PPS is used for injection molding requiring a large shear rate, the thin film injection has a disadvantag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lded article produced by molding the resin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arylene sulfide, glass fiber, and a compatibilizer having an ⁇ (branch ratio) of Mark Houwink's formula of 0.4 to 0.7.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lded article produced by molding the resin composition.
  •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s of both linear PPS and branched PPS, while having high ductility and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creep resistance. Therefore,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utomobile, electric and electronic parts production, which requires excellent duct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n composition
  •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polyarylene sulfide having an ⁇ (branch ratio) of Mark Houwink's formula of 0.4 to 0.7, glass fibers, and a compatibilizer.
  • ⁇ of the Mark Hawkin formula (Equation 2) is a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branching of the polymer, the closer to 1 the polymer having a linear PPS characteristics, the closer to 0 the branched PPS characteristics Branch is a polymer.
  • the polyarylene sulfid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 of 0.4 to 0.7, 0.45 to 0.65, or 0.5 to 0.6.
  • the polyarylene sulfide may have a melting point of about 265 to 290 ° C, about 270 to 285 ° C, or about 275 to 283 ° C.
  • the polyarylene sulfide may have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50,000, 8,000 to 40,000, or 10,000 to 30,000.
  • the polyarylene sulfide may have a dispersion degree defined 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relative to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2.0 to 4.5, about 2.0 to 4.0, or about 2.0 to 3.5.
  • the polyarylene sulfide may have a melt viscosity of 10 to 50,000 poise, 100 to 20,000 poise, or 300 to 10,000 poise measured at 300 ° C.
  • the polyarylene sulf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satisfies the above properties.
  • a reactant containing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elemental sulfur may be prepared by melt polymerization.
  • Diiodine aromatic compounds that can be used for the melt polymerization are diiodobenzene (DIB), diiodonaphthalene, diiodobiphenyl, diiodobisphenol, and diiodobenzo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enone (diiodobenzophen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bove-mentioned diiodine aromatic compound may be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in which an alkyl group, a sulfone atom group, or the like is bonded with a substituent or an atom such as oxygen or nitrogen is contained in the aromatic group.
  •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has isomers of various diiodine compound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iodine atom, among them, para-diiodobenzene (pDIB), 2,6-diiodonaphthalene, or p More suitable are compounds in which iodine is bonded in the para position, such as, p'-diiodobiphenyl.
  • pDIB para-diiodobenzene
  • 2,6-diiodonaphthalene 2,6-diiodonaphthalene
  • p More suitable are compounds in which iodine is bonded in the para position, such as, p'-diiodobiphenyl.
  • the elemental sulfur reacting with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form.
  • elemental sulfur exists in the form of a ring (cyclooctasulfur, S 8 ) having 8 atoms connected at room temperature. If it is not in this form, any commercially available solid or liquid sulfur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 the reactant may further comprise a branch agent.
  • the branching regulator may be a triiodine aromatic compound,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iodine atom is ortho or meta, and a combination thereof.
  • triiodoaromatic compound examples include triiodobenzene (TIB), triiodonaphthalene, triiodobiphenyl, triiodobisphenol, triiodophenyldisulfide )
  • triiodobenzophenone examples include triiodobenzophenone (triiodobenzophenone)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 alkyl group or a sulfone group may be bonded to a compound as described above with a substituent, or a triiodine aromatic compound in which atoms such as oxygen or nitrogen are contained in an aromatic group may be used. All of these isomers can also be used.
  •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in which the iodine atom is bonded to the ortho or meta position may be diiodobenzene, diiodonaphthalene, diiodobiphenyl, diiodobisphenol, or diiodophenol. It may be an isomer in which an iodine atom is bonded to an ortho or meta position in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enylodosulyldisulfide and diiodobenzophen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sition of the iodine atom in which the alkyl group or sulfone group is bonded to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by a substituent, or in which the aromatic group contains atoms such as oxygen or nitrogen, is ortho or Diiodine aromatic compounds of the metain isomer.
  • the branching regulator may be selected from triiodobenzene, triiodobiphenyl, ortho-diiodobenzene (o-DIB), meta-diiodobenzene (m-DIB)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reactant may further comprise a polymerization initiator, stabilizer, or mixtures thereof.
  •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1,3-diiodo-4-nitrobenzene, mercaptobenzothiazole, 2,2'-dithiobenzothiazole, cyclohexylbenzothiazole sulfenamide, and butylbenzothiazol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lfenami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tabil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abilizer usually used for polymerization of the resin.
  • a polymerization terminator may be added during the melt polymerization of the reactant.
  • the polymerization termin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pound capable of stopping the polymerization by removing the iodine group contained in the polymer to be polymerized. Specifically, diphenyls, benzophenones, monoiodoaryls, benzothiazoles, benzothiazole sulfenamides and thiuram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thiocarbamates.
  • the polymerization terminating agent is diphenyl sulfide, diphenyl ether, dibenzothiazole disulfide, iodobiphenyl, iodophenol, iodophenol, iodo Iodoaniline, iodobenzophenone, 2-mercaptobenzothiazole, 2,2'-dithiobisbenzothiazole, N-cyclohexyl N-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2-morpholinothiobenzothiazole, N, N-di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 N-di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 tetramethylthiuram disulfide, zinc dimethyldithiocarbamate, zinc diethyldithiocarbamate zinc diethyldithioc
  • the timing of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terminator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arget viscosity or the target molecular weight of the polyarylene sulfide. Specifically, the polymerization terminator may be added when 70 to 100% by weight based on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included in the initial reactant is exhausted.
  • the melt polymeriza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olymerization of the reactant containing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the elemental sulfur can be started.
  • the melt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under elevated pressure and reduced pressure conditions, in which case, the final reaction conditions of 270 to 350 ° C. and 0.001 are performed by performing a temperature rise and a pressure drop at an initial reaction condition of 180 to 250 ° C. and 50 to 450 torr. To 20 torr and can run for about 1 to 30 hours.
  • the final reaction conditions may be about 280 to 300 °C and about 0.1 to 1 torr to proceed with the polymerization.
  • the method for preparing polyarylene sulfide may further include melt mixing a reactant including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elemental sulfur before melt polymerization.
  • melt mix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mixture can be melt mixed. For example, it may proceed at a temperature of 130 to 200 °C, specifically 160 to 190 °C.
  • the melt mixing step is performed before the melt polymerization, subsequent melt polymeriza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 melt polymerization for the preparation of polyarylene sulfide may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nitrobenzene-based catalyst.
  • the nitrobenzene-based catalyst may be added in the melt mixing step.
  • the nitrobenzene-based catalyst may include 1,3-diiodo-4-nitrobenzene, or 1-iodo-4-nitrobenz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glass fiber serves to improve the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 the glass fibers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6 to 15 ⁇ m and an average length of 2 to 5 mm. Specifically, the glass fiber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8 to 12 ⁇ m and an average length of 3 to 5mm.
  • the glass fiber may be surface treated with a silane having an epoxy group, an amino group or both.
  • a silane having an epoxy group, an amino group or both When using surface treated glass fibers, the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the polyarylene sulfide and the glass fibers can be improved.
  • the compatibilizer is a physical property reinforcing agent, and serves to improve the interfacial adhesion of the resin composition by increasing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polyarylene sulfide and the glass fiber.
  • the compatibilizer may be a silane compound.
  • the silane-based compoun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poxy silane, mercapto silane, amino silan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compatibilizer may be dry silane.
  • the dry silane is prepared by supporting liquid silane on an inorganic material including fine pores.
  • the content of silane included in the dry silane may be 50 to 80% by weight, specifically 60 to 75%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dry silane.
  • the liquid silan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poxy silane, mercapto silane, amino silan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40 to 70 wt% polyarylene sulfide, 20 to 60 wt% glass fiber, and 0.01 to 1.5 wt% compatibilizer. Specifically, th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50 to 65% by weight of polyarylene sulfide, 20 to 55% by weight of glass fiber, and 0.05 to 1.5% by weight of compatibilizer. More specifically, th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55 to 65 wt% polyarylene sulfide, 30 to 55 wt% glass fiber, and 0.05 to 1.0 wt% compatibilizer.
  • the resin composition may have a molding shrinkage ratio of 0.9 to 1.0 represented by Equation 1 of the square injection specimen thereof.
  • Mold shrinkage transverse (TD) length / longitudinal (MD) length
  • th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selected from heat stabilizers, lubricants, antistatic agents, nucleating agents, slip agents, pigment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s of both linear PPS and branched PPS, while having high ductility and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creep resistance. Therefore,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utomobile, electric and electronic parts production, which requires excellent duct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lded article produced by molding the resin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 the molded article may be an automobile part, an electric part or an electronic part.
  • the molded article may be manufactured by molding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such as biaxial extrusion or injection.
  • the molded article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for example, a film, a sheet, a thin film, or a fiber.
  • the molded article may be an injection molded article, an extrusion molded article, a thin film molded article or a blow molded article.
  • the mold temperature may be about 130 ° C or higher.
  • the molded article may be prepared into various films or sheets by a method such as unstretched, uniaxial stretch or biaxial stretch.
  • the molded article is a fiber, it may be various fibers such as undrawn yarn, drawn yarn, or super drawn yarn, and may be used as a woven fabric, knitted fabric, nonwoven fabric (spunbond, melt blown, staple), rope, or net.
  • Such molded articles can be used as coatings for electrical parts, such as computer accessories, electronic parts, building parts, automobile parts, mechanical parts, daily necessities, or parts in contact with chemicals, industrial chemical resistant fibers, and the like.
  • the progress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calculated by the formula of "(present viscosity / target viscosity) x 100%" as a relative ratio of the present viscosity to the target viscosity.
  • the target viscosity was 2,000 poises, and the current viscosity was taken with a sample during the polymerization and measured with a viscometer.
  • the polymerization was 80%, 35 g of diphenyl disulfide was added as a polymerization terminator and the reaction was performed for 1 hour. Thereafter, a vacuum was slowly added to 0.1 to 0.5 Torr to reach the target viscosity, and then the reaction was terminated to synthesize polyphenylene sulfide resin (PPS 1). Resin was completed was prepared in pellet form using a small strand cutter.
  • the resulting PPS 1 measured melting point (Tm),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melt viscosity (MV), and branch number in the following manner.
  • Tm melting point
  • 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 PDI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MV melt viscosity
  •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 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 PPS resin was added to 1-chloronaphthalene to a concentration of 0.4% by weight, and stirred and dissolved at 250 ° C. for 25 minutes to prepare a sample. Then, the polyphenylene sulfides having different molecular weights were sequentially separated in the column while flowing the sample at a high temperatur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HT-GPC) system (210 ° C.) at a flow rate of 1 ml / min. . Then, the RI detector was used to measure the intensity (intensity) of the separated polyphenylene sulfide by molecular weight, and a calibration curve was prepared from standard samples (polystyrene, polystyrene) that knew molecular weight in advance. Mn)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were calculated.
  • HT-GPC high temperatur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 melt viscosity was measured at 300 ° C. with a rotating disk viscometer. In measuring by the frequency sweep method, each angular frequency was measured from 0.6 rad / s to 500 rad / s, and the viscosity at 1.84 rad / s was defined as the melt viscosity.
  • PPS resin was added to 1-chloronaphthalene to a concentration of 0.4% (w / v), stirred and dissolved at 250 ° C. for 30 minutes, and filtered through a 2 ⁇ m porous stainless steel (SUS) filter.
  • the intrinsic viscosity and molecular weight were then measured using a triple system detector (RI, Viscometer, Light Scatter 15 ° and 90 °) of Agilent's high-temperatur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210 ° C; Model PL-220). Mark Houwink Plot) is shown and the branching index ⁇ is calculated from the average slope.
  • represents the degree of branching of the polymer, the closer to 1 is a polymer having a linear PPS characteristics, the closer to 0 is a polymer having a branched PPS characteristics.
  • the target viscosity was 2,000 poises, except that 5,080 g of para-diiodobenzene (p-DIB), 51 g of meta-diiodobenzene (m-DIB) and 450 g of sulfur were used as raw materials.
  • PPS 2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PPS 2 had a melt viscosity of 2,130 poises, a melting point of 279 ° C., a Mn of 17,500, a PDI of 2.8, and a branching index of 0.56.
  • PPS 3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 except that the target viscosity was 2,000 poise and triiodobenzene was used instead of meta-diiodobenzene.
  • PPS 3 had a melt viscosity of 2,070 poise, a melting point of 279 ° C., a Mn of 17,700, a PDI of 2.8, and a branching index of 0.55.
  • PPS 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target viscosity was 600 poise and 5,030 g of para-diiodobenzene (p-DIB), 103 g of meta-diiodobenzene and 450 g of sulfur were used as raw materials.
  • p-DIB para-diiodobenzene
  • 103 g of meta-diiodobenzene and 450 g of sulfur were used as raw materials.
  • PPS 4 had a melt viscosity of 700 poise, a melting point of 279 ° C., a Mn of 11,400, a PDI of 2.8, and a branching index of 0.53.
  • PPS 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target viscosity was 3,750 poises, and 5,100 g of para-diiodobenzene (p-DIB), 26 g of meta-diiodobenzene, and 450 g of sulfur were used as raw materials.
  • p-DIB para-diiodobenzene
  • 450 g of sulfur were used as raw materials.
  • PPS 5 had a melt viscosity of 3,850 poise, a melting point of 280 ° C, a Mn of 19,050, a PDI of 2.8, and a branching index of 0.58.
  • PPS 6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with a target viscosity of 2,000 poises, except that 4,870 g of para-diiodobenzene (p-DIB), 257 g of triiodobenzene, and 450 g of sulfur were used. PPS 6 had a melt viscosity of 2,260 poises, a melting point of 277 ° C., a Mn of 18,750, a PDI of 2.8, and a branching index of 0.31.
  • p-DIB para-diiodobenzene
  • 450 g of sulfur were used.
  • PPS 6 had a melt viscosity of 2,260 poises, a melting point of 277 ° C., a Mn of 18,750, a PDI of 2.8, and a branching index of 0.31.
  • a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59.7% by weight of PPS 1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40% by weight of glass fiber surface-treated with Epoxy Silane (Owen Corning, FT-523).
  • a PPS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nents and contents as described in Tables 2 and 3 were used.
  • Example 1 Example 2
  • Example 3 Example 4
  • Example 5 Example 6 PPS 2 60 59.7 - - - 30 PPS 3 - - 59.7 - - 29.7 PPS 4 - - - 59.7 - - PPS 5 - - - - 59.7 - glass fiber 40 40 40 40 40 40 40 Compatibilizer - 0.3 0.3 0.3 0.3 0.3 0.3 0.3
  • the injection compositions were prepared by injecting the resin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at 310 ° C., respectively.
  • the tensile strength of the injection test specimen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ISO 527 method.
  • the impact strength of the 80 mm x 10 mm x 4 mm (length x width x thickness) injection test specimens was measured by the un-notch charpy method.
  • the area of the stress-strain curve obtained by injecting an ASTM flexural specimen having a thickness of 0.8 mm and performing a bending test at a speed of 3 mm per minute was obtained.
  • Example 1 Example 2
  • Example 3 Example 4
  • Example 5 The tensile strength kgf / cm2 1,750 1,930 1,920 1,730 1,950 1,890
  • Tensile elongation % 2.0 1.9 1.9 1.6 2.0 1.9 Fracture Toughness (0.8 mm) J 1.61 1.63 1.61 1.50 1.67 1.64
  • Impact strength (un-noched) kJ / m2 44
  • 46 38 49
  • Dimensional stability TD / MD 0.93 0.97 0.96 0.96 0.96 0.95 Flow length mm 110 103 102 123 100 115 Branch number of used PPS ( ⁇ ) - 0.56 0.56 0.55 0.53 0.58 0.59
  • Examples 1 to 6 show overall excellent ductility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6 It showed excellent toughness and dimensional stability.
  • Examples 1 to 5 using a single kind of PPS having a branch number of 0.5 to 0.6 were all superior in tensile strength, tensile elongation and toughness than Comparative Examples 2 to 5 using a single kind of PPS having a branch number of less than 0.35.
  • Examples 1 to 5 using PPS prepared by melt polymerization showed better dimensional stability and flow chart than Comparative Example 6 using PPS prepar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크 호윙크(Mark Houwink) 식의 α(분지지수, branch ratio)가 0.4 내지 0.7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유리 섬유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여 박막 부품의 제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여 박막 부품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는 선형(linear)과 분지형(branched)으로 나뉘며, 구조에 따라 각각 다른 장·단점을 가진다. 선형 PPS는 주쇄 사슬의 유연성으로 연성이 높은 반면, 분지형 PPS 대비 치수 안정성이 낮다. 반면, 분지형 PPS는 중합제조시 주쇄에 가지를 가지는 것과 선형 PPS를 열산화하여 가지를 만드는 두 가지가 종류가 있으며, 선형 PPS에 비하여 연성이 낮은 반면, 치수 안정성 및 내크립성이 우수하다.
한편, 자동차 분야의 경량화 추세에 따라 사출 성형품의 두께는 점차 얇아지고 강도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5-0023929 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444618 호 참조). 또한, 전기 전자 분야에서는 소형화 및 집적화로 박막 성형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PPS로 박막 성형할 경우, 분지형 PPS는 연성이 낮아 부러지기 쉬운(brittle) 특성으로 인해 박막 성형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박막 성형에는 연성이 우수한 선형 PPS가 사용되나, 선형 PPS로 박막 성형할 경우에는 성형품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되고 내화학성 및 내크립성 등 물성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큰 전단속도가 필요한 사출성형에 선형 PPS를 사용할 경우 박막 사출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크 호윙크(Mark Houwink) 식의 α(분지지수, branch ratio)가 0.4 내지 0.7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유리 섬유,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선형 PPS와 분지형 PPS 모두의 장점을 가져 연성이 높으면서도 치수 안정성 및 내크립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전기 및 전자 부품의 제조 등 여러 분야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크 호윙크(Mark Houwink) 식의 α(분지지수, branch ratio)가 0.4 내지 0.7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유리 섬유,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마크 호윙크 식(하기 수학식 2)의 α는 고분자의 분지(branch)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며, 상기 α가 1에 가까울수록 선형 PPS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이고, 0에 가까울수록 분지형 PPS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이다.
[수학식 2]
[η] = K×Mα
상기 η은 고유점도, M은 분자량, K는 상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α가 0.4 내지 0.7, 0.45 내지 0.65, 또는 0.5 내지 0.6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약 265 내지 290℃, 약 270 내지 285℃, 또는 약 275 내지 283℃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5,000 내지 50,000, 8,000 내지 40,000, 또는 10,000 내지 3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수평균 분자량에 대한 중량평균 분자량으로 정의되는 분산도가 약 2.0 내지 4.5, 약 2.0 내지 4.0, 또는 약 2.0 내지 3.5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300℃에서 측정한 용융점도가 10 내지 50,000 포이즈(poise), 100 내지 20,000 포이즈, 또는 300 내지 10,000 포이즈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물성을 만족한다면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용융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융 중합에 사용 가능한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은 디요오도벤젠(diiodobenzene; DIB), 디요오도나프탈렌(diiodonaphthalene), 디요오도비페닐(diiodobiphenyl), 디요오도비스페놀(diiodobisphenol), 및 디요오도벤조페논(diiodobenzophen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은 알킬 원자단(alkyl group)이나 술폰 원자단(sulfone group) 등이 치환기로 결합되거나, 방향족기에 산소나 질소 등의 원자가 함유된 형태의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은 요오드 원자가 붙은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디요오드 화합물의 이성질체(isomer)가 있는데, 이 중에서도 파라-디요오도벤젠(pDIB), 2,6-디요오도나프탈렌, 또는 p,p'-디요오도비페닐과 같이 파라 위치에 요오드가 결합된 화합물이 보다 적합하다.
상기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반응하는 황 원소는 그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보통 황 원소는 상온에서 원자 8개가 연결된 고리 형태(cyclooctasulfur, S8)로 존재하는데, 이러한 형태가 아니더라도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한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황이라면 별다른 한정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물은 분지 조절제(branch ag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지 조절제는 트리요오드 방향족 화합물, 요오드 원자의 위치가 오쏘 또는 메타인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 및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트리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의 예로서, 트리요오도벤젠(triiodobenzene; TIB), 트리요오도나프탈렌(triiodonaphthalene), 트리요오도비페닐(triiodobiphenyl), 트리요오도비스페놀(triiodobisphenol), 트리요오도페닐디설파이드(triiodopheyldisulfide) 및 트리요오도벤조페논(triiodobenzophen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합물에 알킬 원자단(alkyl group) 또는 술폰 원자단(sulfone group) 등이 치환기로 결합되어 있거나, 방향족기에 산소나 질소 등의 원자가 함유된 형태의 트리요오드 방향족 화합물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모든 이성질체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오드 원자가 오쏘 또는 메타 위치에 결합된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은 디요오도벤젠(diiodobenzene), 디요오도나프탈렌(diiodonaphthalene), 디요오도비페닐(diiodobiphenyl), 디요오도비스페놀(diiodobisphenol), 디요오도페닐디설파이드(diiodopheyldisulfide) 및 디요오도벤조페논(diiodobenzophen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 중 요오드 원자가 오쏘 또는 메타 위치에 결합된 이성질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은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에 알킬 원자단(alkyl group) 또는 술폰 원자단(sulfone group) 등이 치환기로 결합되어 있거나, 방향족기에 산소나 질소 등의 원자가 함유된 형태인, 요오드 원자의 위치가 오쏘 또는 메타인 이성질체의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분지 조절제는 트리요오도벤젠, 트리요오도비페닐, 오쏘-디요오도벤젠(o-DIB), 메타-디요오도벤젠(m-DIB)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반응물은 중합개시제, 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개시제는 1,3-디요오도-4-니트로벤젠, 머캅토벤조티아졸, 2,2'-디티오벤조티아졸, 사이클로헥실벤조티아졸 술펜아미드, 및 부틸벤조티아졸 술펜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안정제는 통상 수지의 중합반응에 사용되는 안정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반응물의 용융 중합 도중, 중합중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중합중지제는 중합되는 고분자에 포함되는 요오드 그룹을 제거하여 중합을 중지시킬 수 있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디페닐(diphenyl)류, 벤조페논(benzophenone)류, 모노요오도아릴(monoiodoaryl)류, 벤조티아졸(benzothiazole)류, 벤조티아졸 술펜아미드(benzothiazole sulfenamide)류, 티우람(thiuram)류 및 디티오카바메이트(dithiocarbamate)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중지제는 디페닐 설파이드(diphenyl sulfide), 디페닐 에테르(diphenyl ether), 디벤조티아졸 디설파이드(dibenzothiazole disulfide), 요오도비페닐(iodobiphenyl), 요오도페놀(iodophenol), 요오도아닐린(iodoaniline), 요오도벤조페논(iodobenzophenone), 2-머캅토벤조티아졸(2-mercaptobenzothiazole), 2,2'-디티오비스벤조티아졸(2,2'-dithiobisbenzothiazole), N-사이클로헥실벤조티아졸-2-술펜아미드(N-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2-모르폴리노티오벤조티아졸(2-morpholinothiobenzothiazole), N,N-디사이클로헥실벤조티아졸-2-술펜아미드(N,N-di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설파이드(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methylthiuram disulfide), 아연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methyldithiocarbamate), 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ethyldithiocarbamate) 및 디페닐 디설파이드(diphenyl disulf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중합중지제의 첨가 시점은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목적 점도 또는 목적 분자량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 반응물 내에 포함된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을 기준으로 70 내지 100 중량%가 반응되어 소진된 시점에 중합중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용융 중합은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응물의 중합이 개시될 수 있는 조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용융 중합은 승온 감압 조건에서 진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180 내지 250℃ 및 50 내지 450torr의 초기 반응조건에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여 최종 반응조건인 270 내지 350℃ 및 0.001 내지 20torr로 변화시키며, 약 1 내지 30시간 동안 진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최종 반응조건을 약 280 내지 300℃ 및 약 0.1 내지 1torr로 하여 중합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한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은 용융중합 전에,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용융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융 혼합은 상기 혼합물이 용융 혼합될 수 있는 조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30 내지 200℃, 구체적으로 160 내지 190℃의 온도에서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융중합 전에 용융 혼합 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추후 행해지는 용융중합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를 위한 용융중합은 니트로벤젠계 촉매의 존재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용융중합반응 전에 용융 혼합 단계를 거치는 경우, 상기 니트로벤젠계 촉매는 용융 혼합 단계에서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트로벤젠계 촉매는 1,3-디요오도-4-니트로벤젠, 또는 1-요오도-4-니트로벤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리 섬유는 수지 조성물의 내열도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리 섬유는 6 내지 15㎛의 평균 직경 및 2 내지 5mm의 평균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 섬유는 8 내지 12㎛의 평균 직경 및 3 내지 5mm의 평균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는 에폭시기, 아미노기 또는 이들 둘 다를 갖는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것일 수 있다. 표면처리된 유리 섬유를 사용할 경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와 유리 섬유의 계면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물성 보강제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와 유리 섬유 간의 상용성을 높여 수지 조성물의 계면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용화제는 실란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에폭시 실란, 머캅토 실란, 아미노 실란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용화제는 드라이 실란일 수 있다. 상기 드라이 실란은 액상 실란을 미세 공극을 포함하는 무기물에 담지하여 제조된 것이다. 상기 드라이 실란에 포함되는 실란의 함량은 드라이 실란 총 중량의 50 내지 80 중량%, 구체적으로 60 내지 7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액상 실란은 에폭시 실란, 머캅토 실란, 아미노 실란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40 내지 70 중량%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20 내지 60 중량%의 유리 섬유, 및 0.01 내지 1.5 중량%의 상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조성물은 50 내지 65 중량%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20 내지 55 중량%의 유리 섬유, 및 0.05 내지 1.5 중량%의 상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조성물은 55 내지 65 중량%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30 내지 55 중량%의 유리 섬유, 및 0.05 내지 1.0 중량%의 상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이의 정사각형 사출시편의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성형 수축률이 0.9 내지 1.0일 수 있다.
[수학식 1]
성형 수축률 = 횡방향(TD) 길이 / 종방향(MD) 길이
상기 수지 조성물은 내열안정제, 활제, 대전방지제, 핵제, 슬립제, 안료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선형 PPS와 분지형 PPS 모두의 장점을 가져 연성이 높으면서도 치수 안정성 및 내크립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전기 및 전자 부품의 제조 등 여러 분야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부품, 전기 부품 또는 전자 부품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축 압출, 사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예를 들어, 필름, 시트, 박막 또는 섬유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품은 사출 성형품, 압출 성형품, 박막 성형품 또는 블로우 성형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출 성형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경우, 금형 온도를 약 13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이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인 경우, 미연신, 1축 연신, 2축 연신 등의 방법에 의해 각종 필름 또는 시트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이 섬유일 경우, 미연신사, 연신사, 또는 초연신사 등 각종 섬유일 수 있고, 직물, 편물, 부직포(스펀본드, 멜트블로우, 스테이플), 로프, 또는 네트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품은 컴퓨터 부속품 등의 전기 부품, 전자 부품, 건축 부재, 자동차 부품, 기계 부품, 일용품 또는 화학물질이 접촉하는 부분의 코팅, 산업용 내화학성 섬유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PPS 1의 제조
반응기의 내온 측정이 가능한 써모커플, 및 질소 충전 및 진공을 걸 수 있는 진공라인이 부착된 5ℓ 반응기에 파라디요오도벤젠(p-DIB) 5,130g, 및 황 450g을 넣었다. 상기 반응기를 180℃로 가열하여 p-DIB 및 황을 완전히 용융 및 혼합하였다. 그 후, 220℃ 및 350Torr의 초기 반응 조건에서 시작하여, 최종 반응 조건을 300℃ 및 0.6 내지 0.9Torr까지 단계적으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고, 황을 19g씩 7회에 걸쳐 투입하면서 중합반응을 진행하였다. 중합반응의 진행 정도는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상대 비율로서, "(현재점도/목표점도)×100%"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목표 점도는 2,000 포이즈였으며, 현재 점도는 중합 진행 중의 샘플을 채취해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상기 중합반응이 80% 진행되었을 때, 중합중지제로 디페닐 디설파이드 35g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후 0.1 내지 0.5Torr로 서서히 진공을 가하여 목표점도에 도달한 후 반응을 종료하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PPS 1)를 합성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수지를 소형 스트랜드 커터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생성된 PPS 1은 다음과 같은 방식에 따라 융점(Tm), 수평균 분자량(Mn), 분자량 분포(PDI), 용융점도(MV), 및 분지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융점은 280℃, Mn은 18,100, PDI는 2.8, 용융점도는 2,050 포이즈, 분지지수는 0.71로 나타났다.
융점
시차주사 열량분석기(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30℃에서 320℃까지 10℃/분의 속도로 승온 후 30℃까지 냉각하고, 다시 30℃에서 320℃까지 10℃/분의 속도로 승온하면서 융점을 측정하였다.
수평균 분자량(Mn) 및 분자량 분포(PDI)
PPS 수지를 1-클로로나프탈렌(1-chloronaphthalene)에 0.4 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250℃에서 25분간 교반 용해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고온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high temperatur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HT-GPC) 시스템(210℃)에 상기 샘플을 1㎖/분의 유속으로 흘려주면서 분자량이 다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를 순차적으로 컬럼 내에서 분리하였다. 이후 RI detector를 이용하여 분리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분자량별 강도(intensity)를 측정하였으며, 미리 분자량을 알고 있는 표준시료(폴리스티렌, polystyrene)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제조한 PPS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Mn) 및 분자량 분포(PDI)를 계산하였다.
용융 점도(MV)
용융점도는 회전 원판 점도계(rotating disk viscometer)로 300℃에서 측정하였다. 주파수 스위프(frequency sweep) 방법으로 측정함에 있어서, 각 주파수(angular frequency)를 0.6rad/s부터 500rad/s까지 측정하였고, 1.84rad/s에서의 점도를 용융 점도로 정의하였다.
분지지수(α)
PPS 수지를 1-클로로나프탈렌(1-chloronaphthalene)에 0.4 %(w/v)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250℃에 30분 동안 교반 용해한 후 2 ㎛ 다공성 스테인레스 스틸(SUS) 필터로 걸러냈다. 이후 Agilent 사의 고온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210℃; Model PL-220)의 삼중 시스템 검출기(RI, Viscometer, Light Scatter 15°와 90°)를 이용하여 고유점도와 분자량을 측정한 후 마크 호윙크 플롯(Mark Houwink Plot)을 도시하고 평균 기울기로 분지지수(α)를 산출하였다. α는 고분자의 분지(branch) 정도를 나타내며, 1에 가까울수록 선형 PPS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이고, 0에 가까울수록 분지형 PPS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이다.
제조예 2: PPS 2의 제조
목표 점도를 2,000 포이즈로 하고, 원료로 파라-디요오도벤젠(p-DIB) 5,080g, 메타-디요오도벤젠(m-DIB) 51g 및 황 45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PS 2를 제조하였다. PPS 2는 2,130 포이즈의 용융점도, 279℃의 융점, 17,500의 Mn, 2.8의 PDI, 0.56의 분지지수를 가졌다.
제조예 3: PPS 3의 제조
목표점도를 2,000 포이즈로 하고, 메타-디요오도벤젠 대신 트리요오도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PPS 3을 제조하였다. PPS 3은 2,070 포이즈의 용융점도, 279℃의 융점, 17,700의 Mn, 2.8의 PDI, 0.55의 분지지수를 가졌다.
제조예 4: PPS 4의 제조
목표점도를 600 포이즈로 하고, 원료로 파라-디요오도벤젠(p-DIB) 5,030g, 메타-디요오도벤젠 103g 및 황 45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PS 4를 제조하였다. PPS 4는 700 포이즈의 용융점도, 279℃의 융점, 11,400의 Mn, 2.8의 PDI, 0.53의 분지지수를 가졌다.
제조예 5: PPS 5의 제조
목표점도를 3,750 포이즈로 하고, 원료로 파라-디요오도벤젠(p-DIB) 5,100g, 메타-디요오도벤젠 26g 및 황 45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PS 5를 제조하였다. PPS 5는 3,850 포이즈의 용융점도, 280℃의 융점, 19,050의 Mn, 2.8의 PDI, 0.58의 분지지수를 가졌다.
제조예 6: PPS 6의 제조
목표점도를 2,000 포이즈로 하고, 파라-디요오도벤젠(p-DIB) 4,870g, 트리요오도벤젠 257g 및 황 45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PS 6을 제조하였다. PPS 6은 2,260 포이즈의 용융점도, 277℃의 융점, 18,750의 Mn, 2.8의 PDI, 0.31의 분지지수를 가졌다.
실시예 1: 수지 조성물의 제조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PPS 1 59.7 중량%, 및 에폭시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유리 섬유(오웬스코닝사, FT-523) 40 중량%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이축 스크류 압출기는 SM platek사의 직경 40 mm 및 L/D=44인 압출기를 사용하였다. 공정 조건은 스크류 250rpm, 토출양(feed rate) 40kg/시, 배럴 온도는 280℃에서 300℃, 토크 60%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 수지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PS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사용한 성분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항 목 특 성
PPS 1 MV: 2,050 poise, Tm: 280℃, Mn: 18,100, α: 0.71
PPS 2 MV: 2,130 poise, Tm: 279℃, Mn: 17,500, α: 0.56
PPS 3 MV: 2,070 poise, Tm: 279℃, Mn: 17,700, α: 0.55
PPS 4 MV: 700 poise, Tm: 279℃, Mn: 11,400, α: 0.53
PPS 5 MV: 3,850 poise, Tm: 280℃, Mn: 19,050, α: 0.58
PPS 6 MV: 2,260 poise, Tm: 277℃, Mn: 18,750, α: 0.31
PPS 7 Solvay P-6, MI(380g/10min, @316℃, 5kg), Tm: 281℃, α: 0.28
PPS 8 Celanease 0205P4, MV: 700, Tm: 280℃, α: 0.73
유리 섬유 오웬스코닝 FT-523, 직경: 10㎛, 길이: 4mm, 에폭시 실란으로 표면처리
상용화제 Momentive A-187, 에폭시 실란 화합물
항 목(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PPS 2 60 59.7 - - - 30
PPS 3 - - 59.7 - - 29.7
PPS 4 - - - 59.7 - -
PPS 5 - - - - 59.7 -
유리 섬유 40 40 40 40 40 40
상용화제 - 0.3 0.3 0.3 0.3 0.3
항 목(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PPS 1 59.7 - - - - -
PPS 6 - 60 59.7 - - -
PPS 7 - - - 60 59.7 -
PPS 8 - - - - - 60
유리 섬유 40 40 40 40 40 40
상용화제 0.3 - 0.3 - 0.3 -
실험예: 물성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대상으로 하기 기재된 바에 따라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먼저,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310℃에서 각각 사출하여 사출 시편을 제조하였다.
(1) 인장 강도
ISO 527 법에 따라 사출 시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2) 인장 신율
ISO 527-1 법에 따라 사출 시편의 인장 신율을 측정하였다.
(3) 충격 강도
ISO 179 법에 따라, 80mm × 10mm × 4mm(길이×너비×두께)의 사출 시편의 충격강도를 언노치 샤르피(un-notch charp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4) 파괴 인성(fracture toughness)
두께 0.8mm의 ASTM 굴곡시편을 사출한 뒤 분당 3mm의 속도로 굴곡시험을 수행하여 얻은 응력-변형률 곡선(stress-strain curve)의 면적을 구하였다.
(5) 치수 안정성
100mm × 100mm × 3mm(가로×세로×두께)로 사출 시편을 성형한 후 수지흐름방향(MD, mold direction, 종방향)과 수지흐름직각방향(TD, transverse direction, 횡방향)의 길이를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성형 수축률(TD/MD)을 산출하였다. 성형 수축률이 1에 가까울수록 수지 흐름 방향에 대한 치수 변화가 적어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6) 흐름 길이(flow length)
0.8mm 두께의 ASTM 굴곡시편을 사출하여 사출된 길이를 측정하였다.
항 목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인장 강도 kgf/㎠ 1,750 1,930 1,920 1,730 1,950 1,890
인장 신율 % 2.0 1.9 1.9 1.6 2.0 1.9
파괴 인성(0.8 mm) J 1.61 1.63 1.61 1.50 1.67 1.64
충격강도(un-noched) kJ/㎡ 44 47 46 38 49 47
치수 안정성 TD/MD 0.93 0.97 0.96 0.96 0.96 0.95
흐름 길이 mm 110 103 102 123 100 115
사용한 PPS의 분지지수(α) - 0.56 0.56 0.55 0.53 0.58 0.59
항 목 단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인장 강도 kgf/㎠ 1,940 1,690 1,890 1,680 1,910 1,730
인장 신율 % 2.1 1.5 1.4 1.5 1.6 1.8
파괴 인성(0.8mm) J 1.72 1.35 1.39 1.38 1.29 1.62
충격강도(un-noched) kJ/㎡ 50 45 47 47 50 39
치수 안정성 TD/MD 0.94 0.97 0.97 0.96 0.96 0.89
흐름 길이 mm 86 93 87 102 98 83
사용한 PPS의 분지지수(α) - 0.71 0.31 0.31 0.28 0.28 0.73
표 4 및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 1 내지 6에 비해 전반적으로 우수한 연성을 나타내면서도 우수한 인성 및 치수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분지지수가 0.5 내지 0.6인 단일 종류의 PPS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는 분지지수가 0.35 미만인 단일 종류의 PPS를 사용한 비교예 2 내지 5보다 인장 강도, 인장 신율 및 인성이 모두 우수했다.
나아가, 용융중합법으로 제조된 PPS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는 용액중합법으로 제조된 PPS를 사용한 비교예 6보다 우수한 치수 안정성 및 흐름도를 보였다.

Claims (11)

  1. 마크 호윙크(Mark Houwink) 식의 α(분지지수, branch ratio)가 0.4 내지 0.7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유리 섬유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수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300℃에서 용융 점도가 10 내지 50,000 포이즈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는 평균 직경이 6 내지 15㎛이고, 평균 길이가 2 내지 5mm인,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가 에폭시기, 아미노기 또는 이들 둘 다를 갖는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것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가 실란계 화합물인,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이 에폭시 실란, 머캅토 실란, 아미노 실란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40 내지 70 중량%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20 내지 60 중량%의 유리 섬유 및 0.01 내지 1.5 중량%의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이의 정사각형 사출시편의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성형 수축률이 0.9 내지 1.0인, 수지 조성물.
    [수학식 1]
    성형 수축률 = 횡방향(TD) 길이 / 종방향(MD) 길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이 자동차 부품, 전기 부품 또는 전자 부품인, 성형품.
PCT/KR2017/003949 2016-05-31 2017-04-12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WO2017209392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806885.4A EP3467029B1 (en) 2016-05-31 2017-04-12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US16/301,880 US20190177485A1 (en) 2016-05-31 2017-04-12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CN201780031359.7A CN109312143A (zh) 2016-05-31 2017-04-12 具有优异延展性和尺寸稳定性的聚亚芳基硫醚树脂组合物
PL17806885T PL3467029T3 (pl) 2016-05-31 2017-04-12 Kompozycja żywicy poli(sulfidu arylenu) o doskonałej ciągliwości i stabilności wymiarowej
JP2018562557A JP2019517611A (ja) 2016-05-31 2017-04-12 優れた延性および寸法安定性を有する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040A KR102463662B1 (ko) 2016-05-31 2016-05-31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KR10-2016-0067040 2016-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9392A1 true WO2017209392A1 (ko) 2017-12-07

Family

ID=6047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3949 WO2017209392A1 (ko) 2016-05-31 2017-04-12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177485A1 (ko)
EP (1) EP3467029B1 (ko)
JP (1) JP2019517611A (ko)
KR (1) KR102463662B1 (ko)
CN (1) CN109312143A (ko)
PL (1) PL3467029T3 (ko)
TW (1) TWI738771B (ko)
WO (1) WO2017209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552A (ko) * 2018-10-19 2020-04-29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9074A2 (en) * 1990-03-19 1991-10-02 Phillips Petroleum Company Poly(arylene sulfide) resins reinforced with glass fibres
KR19980027827U (ko) * 1996-11-19 1998-08-05 배순훈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US20020161172A1 (en) * 1998-05-28 2002-10-31 Idemitsu Kosan Co., Ltd. Polyarylene sulfide resin
US20060025632A1 (en) * 2002-05-08 2006-02-02 Mikiya Hayashi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branched polyarylene sulfides
KR20160042939A (ko) * 2013-08-09 2016-04-20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아릴렌설피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84805T1 (de) * 1987-10-19 1993-02-15 Eastman Kodak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opolyarylensulfid.
CA2014561A1 (en) * 1989-06-05 1990-12-05 Roy F. Wright Glass-filled poly(arylene sulfide) compositions and methods
US5194506A (en) * 1990-12-20 1993-03-16 Phillips Petroleum Company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with arylene sulfide random copolymers
JPH08170016A (ja) * 1994-12-19 1996-07-02 Tonen Chem Corp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3556996B2 (ja) * 1995-04-03 2004-08-25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接着性に優れた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
EP0919572B8 (en) 1997-05-30 2004-09-08 Mitsui Chemicals, Inc.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molded article
JP2000001615A (ja) * 1998-06-15 2000-01-07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KR20050023929A (ko) 2003-09-03 2005-03-10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사출 성형품
JP5257778B2 (ja) * 2008-01-31 2013-08-07 Dic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表面実装用電子部品
CN101864169B (zh) * 2009-04-20 2012-09-05 巨石集团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增强聚苯硫醚树脂复合材料
CN108178926B (zh) * 2012-08-07 2020-12-25 Sk化学株式会社 聚亚芳基硫醚树脂及其制备方法
WO2015020142A1 (ja) * 2013-08-09 2015-02-12 Dic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9074A2 (en) * 1990-03-19 1991-10-02 Phillips Petroleum Company Poly(arylene sulfide) resins reinforced with glass fibres
KR19980027827U (ko) * 1996-11-19 1998-08-05 배순훈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US20020161172A1 (en) * 1998-05-28 2002-10-31 Idemitsu Kosan Co., Ltd. Polyarylene sulfide resin
US20060025632A1 (en) * 2002-05-08 2006-02-02 Mikiya Hayashi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branched polyarylene sulfides
KR20160042939A (ko) * 2013-08-09 2016-04-20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아릴렌설피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467029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310A (ko) 2017-12-08
EP3467029A1 (en) 2019-04-10
KR102463662B1 (ko) 2022-11-04
US20190177485A1 (en) 2019-06-13
CN109312143A (zh) 2019-02-05
TW201819537A (zh) 2018-06-01
EP3467029A4 (en) 2019-12-25
JP2019517611A (ja) 2019-06-24
TWI738771B (zh) 2021-09-11
PL3467029T3 (pl) 2021-09-27
EP3467029B1 (en)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00203A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KR102210480B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2492258B1 (ko)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KR20170052554A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US9249263B2 (en) Recyclable polyarylene sulf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20159282A1 (ko) 폴리카보네이트-나노셀룰로오스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60516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502509B1 (ko)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WO2017209392A1 (ko)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WO2015088239A1 (ko) 할로겐계 난연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제조방법
WO2013100288A1 (ko) 분지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0080798A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WO2014181999A1 (en)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WO2019132513A1 (ko) 기계적 특성 및 부식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WO2016129833A1 (ko) 금속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조성물
KR20170130837A (ko) 사출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WO2016182215A1 (ko) 금속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조성물
JP4161592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WO2017142217A1 (ko) 금속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조성물
WO2020138772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WO2016137065A1 (ko)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0197261A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3234584A1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WO2022010311A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6182212A1 (ko) 금속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068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6255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068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