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60010A1 - 포도나무 조직의 세포배양으로부터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한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포도나무 조직의 세포배양으로부터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한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60010A1
WO2017160010A1 PCT/KR2017/002187 KR2017002187W WO2017160010A1 WO 2017160010 A1 WO2017160010 A1 WO 2017160010A1 KR 2017002187 W KR2017002187 W KR 2017002187W WO 2017160010 A1 WO2017160010 A1 WO 20171600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llus
viniferin
stevioside
vine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21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차영
정유정
김석원
노문철
류영배
이우송
정재철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JP201854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JP6705909B2/ja
Priority to CN201780017306.XA priority patent/CN109689877B/zh
Priority to US16/084,445 priority patent/US10920248B2/en
Publication of WO20171600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600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2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romat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3/00Processes for modifying phenotypes, e.g. symbiosis with bacteria
    • A01H3/04Processes for modifying phenotypes, e.g. symbiosis with bacteria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5Methods for micropropagation; Vegetative plant propagation using cell or tissue culture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25Culture media for plant cell or plant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4Plant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7/00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 C12P17/02Oxygen as only ring hetero atoms
    • C12P17/04Oxygen as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a five-membered hetero ring, e.g. griseofulvin, vitamin C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viniperin using stevioside from cell culture of vine tissue.
  • Stilbenes expressed primarily as resveratrol compounds, are a small class of plant secondary metabolites derived from the general phenylpropanoid pathway starting with phenylalanine.
  • Resveratrol (3,4 ', 5-transtrihydroxystilbene) is a naturally occurring phytoalexin produced by some plants, such as grapes, peanuts and berries,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stress such as UV irradiation or fungal infections. .
  • Resveratrol and its derivatives exhibit not only an important role as phytoalexin and antioxidant in plant defense response, but also exhibit a variety of beneficial properties, including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ti-tumor and anti-aging effects.
  • Plasmopara Plasmopara is used in grapes harvested as a method to amplify the content of resveratrol. viticola ) artificially inoculating strain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21976), a method of treating UV-C rays in grapes after harvesting (J. Argic Food Chem.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089492 describes a method for producing grapes containing resveratrol using environmental factors,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21976 amplifies the content of resveratrol, a natural anticancer substance derived from grapes.
  • the resveratrol fortified grapes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have been disclosed, but a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information on the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viniperin using stevioside from cell culture of vine tissue.
  •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above requirements, the present inventors plant to grow a vine anther tissue section to build a method for producing a large amount of useful substances (steel Ben compound) from callus derived from grape plant anther tissue After incubation in MS solid medium to which the regulatory substance was added and incubated to induce callus, the induced callus was cultured in a growth medium, and then propagated, and then the grown callus was activated with methyl jasmonic acid as an inducer, and stevioside as a solubilizer.
  • ⁇ -viniferin delta-viniferi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for mass production of viniperin from vine callus, containing methyl jasmonic acid (MeJA) and stevioside as active ingredients.
  • MeJA methyl jasmonic acid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inducing vine callus by denting the vine tissue sections in a callus induction medium; (b) culturing the induced vine callus in a growth medium to grow; And (c) provides a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resveratrol derived from vine comprising the step of static culture by adding methyl jasmonic acid (MeJA) and stevioside to the propagated callus.
  • MeJA methyl jasmonic acid
  • Stilben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tilized in health functional foods, cosmetics, medicines, dyes and functional livestock feed due to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cancer, anti-viral, anti-inflammatory, anti-aging, antioxidant, etc., especially in the case of Viniferin It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anti-cancer, anti-oxidation and whitening of skin, and to inhibit the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and inhibit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viniperin, especially among useful substances (steelbene compounds) from callus derived from grape plant anther tissue, which is very important for related industries.
  • Figure 1 shows the process of producing a stilben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mino acids such as tyrosine, phenylalanine, p-Kumar acid (p -coumaric acid) is generated 4CL (4-coumarate: CoA ligase ) p - by the one -CoA in circles it is produced. Again, the STS enzyme converts it into resveratrol and oxidation occurs by the oxidase, resulting in two resveratrols becoming one dimeric viniferin.
  • amino acids such as tyrosine, phenylalanine, p-Kumar acid (p -coumaric acid)
  • 4CL 4-coumarate: CoA ligase
  • Figure 2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nscriptional expression of resveratrol biosynthetic genes ( STS , ROMT ) through the cell culture and active inducer treatment of grape callus.
  • the active inducers used at this time are MeJA (methyl jasmonate), ABA (abscisic acid), SA (salicylic acid), etepon, flagellin 22 (Flg22), MV (methyl viologen) and chitosan.
  • Figure 3 is a 100 ⁇ M MeJA and 50mM in grape callus culture to compare the solubilization and mass production efficiency of CD-M (Methyl-beta-cyclodextrin) and stevioside known as a solubilizer when mass production of useful metabolites through plant liquid culture CD-M (MJ + CD) or 100 ⁇ M MeJA and 50mM stevioside (MJ + Stevioside) treatment was incubated and then extracted resveratrol and delta-biniferin extracted by HPLC analysis. In addition, only 100 ⁇ M MeJA (MJ) was used as a control without treating a solubilizer.
  • CD-M Metal-beta-cyclodextrin
  • stevioside known as a solubilizer
  • 5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roduction of delta-viniferin and epsilon-viniferin by carrying out mass culture (bioreactor level) and incubating the culture with 100 ⁇ M MeJA and 50mM stevioside, followed by culture. .
  • 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of resveratrol (A) and delta-viniferin (B) produced by the selective production method of resveratrol and delta-viniferin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HPLC.
  • (c) provides a method for mass-producing viniferin derived from vines comprising culturing by adding an active inducer and a solubilizer to the propagated callus.
  • the active inducing agent of step (c) may be methyl jasmonate (salicylic acid), SA (salicylic acid) or flagel 22 (Flg22), more preferably methyl jasmon Ac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olubilizer may also be stevio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ethyl jasmonic acid and stevioside may be preferably added at a concentration of 50 to 350 ⁇ M and 40 to 60 mM, respectively, and more preferably at a concentration of 100 ⁇ M and 50 mM, respective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 not.
  • the viiniferin may be delta ( ⁇ ) -viniferin or epsilon ( ⁇ ) -vinipr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allus induction medium of the step (a) is 0.05 ⁇ 0.2 mg / L IAA (indole-3-acetic acid), 0.05 ⁇ 0.2 mg / L NAA (1- naphthaleneacetic acid), 1 to 2 mg / L 2,4-D and 0.2 to 0.3 mg / L kinetin may be added, preferably 0.1 mg / L IAA (indole-3-acetic acid), 0.1 mg / L NAA (1-naphthaleneacetic acid), 1.5 mg / L 2,4-D and 0.25 mg / L Kinine added medium (Table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growth medium of step (b) may be MS (Murashige & Skoog) medium containing 0.5 ⁇ 2.0mg / L 2,4-D, preferably 1mg / MS (Murashige & Skoog) medium containing L 2,4-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 delta ( ⁇ ) -viniferin or epsilon ( ⁇ ) -viniferin by shaking culture with addition of 50-350 ⁇ M methyl jasmonic acid (MeJA) and 40-60 mM stevioside to the propagated callus. May include mass produc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for mass production of viniperin from vine callus, containing methyl jasmonic acid (MeJA) and stevioside as active ingredients.
  • MeJA methyl jasmonic acid
  • the methyl jasmonate and stevioside may be preferably added at a concentration of 50 to 350 ⁇ M and 40 to 60 mM, more preferably. Can be added at concentrations of 100 ⁇ M and 50 mM, respective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viiniferin may be delta ( ⁇ ) -viniferin or epsilon ( ⁇ ) -vinifer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tevioside 50 to 350 ⁇ M methyl jasmonic acid (MeJA) and 40 to 60 mM stevioside (stevioside) may be added to the propagated callus, but it may include the step of culture.
  • the political culture may be a political culture for 4-7 days at 24 ⁇ 26 °C, preferably may be a political culture for 5 days at 25 °C, i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 the representative commercial grape varieties Campbell Vitis callus was derived from vinifera L. cv Campbell Early.
  • the flowers of Campbell were cut out and washed with running water and then immersed in 70% ethanol solution for 1 minute to perform surface sterilization.
  • Surface sterilization was carried out for 15 minutes in a glass jar containing grape flower tissue in a sterile workbench with a commercial solution of about 1% sodium hypochlorite, and washed three times with sterile distilled water.
  • the surface sterilized tissue was removed from the remaining moisture using sterile filter paper and used for the culture. After the surface sterilization of the grape tissue was cut using a scalpel, each tissue (petal, anther, operating table) was placed on the culture medium.
  • the medium used to induce grape callus is shown in Table 1, and the medium added with 0.1 mg / L IAA, 0.1 mg / L NAA, 1.5 mg / L 2,4-D and 0.25 mg / L kinetin was used as a growth regulator. It was. Culture conditions were carried out cancer culture in a 25 °C thermostat. The white callus formed after the cultivation was passaged at about 4 weeks intervals in the same medium medium.
  • Transcrip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liquid culture of grape callus induced and stabilized in Example 1 above to establish a resveratrol production system from grape callus.
  • MS1D MS 4.4 g, Sucrose 30 g, MES 0.5 g, Myo-inositol 0.1 g, Thiamine HCl 0.4 mg, 2,4-D), which refers to MS (Murashige & Skoog) medium containing 1 mg / L 2,4-D 1mg / L)
  • MS Merashige & Skoog
  • total RNA was isolated from grape callus after 24 h (Kim CY et al. 2010, Physiologia Plantarum 139: 259-261).
  • RNA isolated (5 ⁇ g) was synthesized cDNA as described using the First-Strand cDNA Synthesis Kit (Fermantas, Canada). After diluting the synthesized cDNA (20 ⁇ l) by 2.5-fold, 2 ⁇ l was used as a template, and RT-PCR was performed on resveratrol and theoestylbene biosynthesis related genes in grape callus. PCR amplification was carried out by a final extension reaction at 25 cycles and 10 minutes at 72 ° C. with 2 cycles of denaturation at 94 ° C., 30 seconds at 95 ° C., 40 seconds at 50 ° C., and 1 minute at 72 ° C.
  • the primers for the grape resveratrol, the telostilbene biosynthesis gene and the glucose actin RT-PCR used for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STS-F: 5'-ATGGCTTCAGTTGAGGAAATCAGA-3 '(SEQ ID NO: 1), STS-R: 5'- TTAATTTGTCACCATAGGAATGCTA-3 '(SEQ ID NO: 2), ROMT-F: 5'-ATGGATTTGGCAAACGGTGTGA-3' (SEQ ID NO: 3), ROMT-R: 5'-TCAAGGATAAACCTCAATGAGGGA-3 '(SEQ ID NO: 4), ACTIN-F: 5' -TGCTGACAGAATGAGCAAGG-3 '(SEQ ID NO: 5), ACTIN-R: 5'-TACTAAGAAGCTTTCAACCCAGTATA-3' (SEQ ID NO: 6).
  • the stilbene compound production was induced using an active inducer (100 ⁇ M MeJA) selected in Example 2.
  • 2 g of grape callus was inoculated into 20 ml of MS, and then cultured in a 125 ml flask for 7 days, and then treated with 100 ⁇ M MeJA to secure grape callus after 5 days.
  • Extraction and HPLC analysis showed that Traces of piceid were identified in grape callus (data not shown), an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rate by solubilizing the stilbene compound produced through stevioside treatment.
  • 5mM, 10mM, 25mM, 50mM steviosides were treated by concentration in grape callus 7-day culture medium or by concentration with 100 ⁇ M MeJA.
  • the separated callus was dehydrated by a strainer, frozen with liquid nitrogen, and stored at -80 ° C until extraction. Callus culture samples were immediately extracted and used without storage period.
  • each solubilizer was treated with 50 ⁇ M of each solubilizer together with 100 ⁇ M MeJA to analyze the solubilization of methyl-beta-cyclodextrin (Cd-M) and stevioside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stilbene compounds. After the culture was extracted to check the production tendency of the stilbene compound. As a result, trans-resveratrol was most produced when 100 ⁇ M MeJA and 50 mM CD-M were treated, and delta-viniferin produced most of the stilbene compound when 100 ⁇ M MeJA and 50 mM Stevioside were treated.
  • Example 5 Bioreactor Utilized grapes Callus In mass culture Active inducer And solubilizer treatment
  • the stabilizing grape callus in Example 1 was inoculated into three flasks of 10 g each in 100 ml MS1D liquid medium, and then incubated at 25 ° C. and 90 rpm for 14 days. After culturing for 14 days, the callus grown in advance was sterilized and passaged to a dry 3L bioreactor, and then 1.2L of MS1D liquid medium was added. As in Example 3, 50mM stevioside was treated with 100 ⁇ M MeJA, and then, samples were separated into callus and callus culture medium on a filter screen on day 5 of culture. The separated callus was dehydrated by a strainer, frozen with liquid nitrogen, and stored at -80 ° C until extraction. Callus culture samples were immediately extracted and used without storage period. HPLC analysis of the callus culture extract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of epsilon-viniferin and delta-viniferin (FIG. 5).
  • Grape callus isolated in Examples 3, 4 and 5 was powdered using liquid nitrogen. 1 g of the callus powder was extracted with 3 ml of 80% methanol and centrifuged to obtain a callus extract of the upper layer. The extracted filtrate was dried by injecting air, and the dried product was dissolved in 600 ⁇ l 80% methanol, and 0.2 ⁇ m PTFE filter (hydrophilic, ADVANTEC, Japan) was used for HPLC analysis. 10 ml of callus culture was dried by injecting air into the ethyl acetate layer obtained by partitioned extraction of water and ethyl acetate with the same amount of ethyl acetate.
  • HPLC HPLC was analyzed using Agilent Technology 1200 series.
  • the pump system used four quaternary pumps, and the column was agilent's ZORBAX SB-18 (5mm, 4.6 X 150mm) and the mobile phase was water (A, 0.05% trifluoroacetic acid) and acetonitrile (B 0.05% trifluoroacetic acid) was used for the gradient elution.
  • the ethyl acetate layer obtained by partition extraction of the solubilizer-treated grape anther-derived callus culture solution prepared in Example 3 with water and ethyl acet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 the obtained concentrate (15 g) was subjected to one step separation of a reversed phase column (10 ⁇ 30 cm) using an MPLC instrument.
  • the elution solvent was water-acetonitrile and eluting the water-acetonitrile mixed solution from 100: 1 to 100% acetonitrile lowering the polarity to obtain seven fractions (AG).
  • Fraction C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a target compound, delta-viniferin (trans- ⁇ -viniferin, formula 1) was concentrated to obtain 1.3 g of concentrate.
  • the ethyl acetate layer obtained by partition extraction of the solubilizer-treated grape anther-derived callus culture medium prepared in Example 5 with water and ethyl acet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 the obtained concentrate (10 g) was subjected to one step separation of a reversed phase column (10 x 30 cm) using an MPLC instrument.
  • the elution solvent was water-acetonitrile, and the water-acetonitrile mixed solution was eluted with lower polarity from 70: 1 to 100% acetonitrile to obtain five fractions (AE).
  • Fraction B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the target compound epsilon-viniferin ( trans - ⁇ -viniferin, Formula 2) was concentrated to obtain 1.5 g of concen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나무 조직의 세포배양으로부터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한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비니페린의 경우 간보호, 항암, 항산화 및 피부의 화이트닝에 효과적이고, 저밀도 리포프로테인과 고밀도 리포프로테인의 산화저해와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저해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도 식물체 꽃밥 조직 유래의 캘러스로부터 유용물질(스틸벤 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관련 산업에 매우 중요하다.

Description

포도나무 조직의 세포배양으로부터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한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방법
본 발명은 포도나무 조직의 세포배양으로부터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한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로 레스베라트롤 화합물로 표현되는 스틸벤은 페닐알라닌으로 시작하는 일반적인 페닐프로파노이드 경로로부터 유래된 식물 2차 대사산물의 작은 클래스이다.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3,4',5-transtrihydroxystilbene)은 UV 조사나 곰팡이 감염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포도, 땅콩 및 베리류 등의 일부 식물에서 생산되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피토알렉신 (phytoalexin)이다. 레스베라트롤 및 이의 유도체는 식물 방어 반응에서 피토알렉신 및 항산화 물질로서 중요한 역할뿐만 아니라, 항암효과, 항염증 효과, 항종양 활성 및 항노화 효과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익한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항암, 항산화 활성 등이 밝혀지고 있는 레스베라트롤은 그 가능성이 확인된 유망 천연 기능성 자원으로서 앞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기능성 식품 소재 및 신약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산 포도 품종을 대상으로 이 물질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재배 생리 및 생명공학 측면에서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증폭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수확된 포도에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Plasmopara viticola) 균주를 인위적으로 접종하는 방법(한국공개특허 제2003-21976호), 수확 후 포도에 UV-C 광선을 처리하는 방법(J. Argic Food Chem. 2002 Oct 23;50(22):6322-9; W00200192) 또는 알루미늄을 포도에 처리하는 방법(US6834398) 등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모두 포도 수확 후 처리 방법이거나 포도재배시 단처리 방법일 뿐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89492호에서는 '환경인자를 이용한 레스베라트롤 고함유 포도의 생산방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3-0021976호에서는 '포도 유래의 천연 항암물질인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증폭시킨 레스베라트롤 강화 포도 및 그 생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포도나무 조직의 세포배양으로부터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한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포도 식물체 꽃밥 조직 유래의 캘러스로부터 유용물질(스틸벤 화합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구축하고자, 포도나무 꽃밥 조직 절편체를 식물생장조절 물질이 첨가된 MS 고체배지에 치상하고 배양하여 캘러스를 유도시키고, 상기 유도된 캘러스를 증식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시킨 후, 상기 증식된 캘러스를 활성유도제로 메틸 자스몬산을, 가용화제로 스테비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액체배지에서 진탕배양한 결과, 플라스크 수준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의 생산은 없었고, 델타-비니페린(δ-viniferin)만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3), 스케일 업(scale-up) 조건인 바이오리액터 수준에서는 델타(δ)-비니페린뿐만 아니라 고가의 입실론(ε)-비니페린의 생산에도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도 5).
또한, 상기 증식된 캘러스 배양 배지에 활성유도제 및 가용화제(스테비오사이드)를 처리한 후 플라스크 수준에서 정치배양을 수행한 결과, 비니페린의 생산은 전혀 없이 레스베라트롤만을 생산하는 점(도 6A)을 확인하였고, 진탕배양을 수행한 결과, 레스베라트롤의 생산은 전혀 없이 비니페린만을 생산하는 점(도 6B)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을 통해, 스틸벤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의 스테비오사이드를 가용화제로 이용한 포도나무 조직 유래 캘러스의 배양 방법을 통해, 델타(δ)-비니페린뿐만 아니라 고가의 입실론(ε)-비니페린의 생산에 매우 효과적인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포도나무 조직 절편체를 캘러스 유도 배지에 치상하여 포도나무 캘러스를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유도된 포도나무 캘러스를 증식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증식된 캘러스에 활성유도제 및 가용화제를 첨가하여 진탕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도나무 유래의 비니페린(viniferin)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틸 자스몬산(MeJA) 및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포도나무 캘러스로부터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포도나무 조직 절편체를 캘러스 유도 배지에 치상하여 포도나무 캘러스를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유도된 포도나무 캘러스를 증식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증식된 캘러스에 메틸 자스몬산(MeJA) 및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첨가하여 정치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도나무 유래의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틸벤은 항암, 항바이러스, 항염증, 항노화, 항산화 등의 여러 생리활성으로 인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 화장품, 의약품, 염료 및 기능성 가축 사료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비니페린의 경우 간보호, 항암, 항산화 및 피부의 화이트닝에 효과적이고, 저밀도 리포프로테인과 고밀도 리포프로테인의 산화저해와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저해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도 식물체 꽃밥 조직 유래의 캘러스로부터 유용물질(스틸벤 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관련 산업에 매우 중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틸벤류 화합물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타이로신, 페닐알라닌과 같은 아미노산으로부터 p-쿠마르산(p-coumaric acid)이 생성되고 4CL(4-coumarate:CoA ligase)에 의해 p-쿠마로일-CoA가 생성된다. 이를 다시 STS 효소가 레스베라트롤로 변환시키고 산화효소에 의해 산화가 일어나면서 두 개의 레스베라트롤은 하나의 이합체 비니페린이 된다.
도 2는 포도 캘러스의 세포배양 및 활성유도제 처리를 통한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유전자(STS, ROMT)의 전사 발현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때 사용한 활성유도제는 MeJA(methyl jasmonate), ABA(abscisic acid), SA(salicylic acid), 에테폰, 플라젤린 22(Flg22), MV(methyl viologen) 및 키토산이다.
도 3은 식물 액체배양을 통하여 유용 대사체를 대량생산할 때 가용화제로 알려져있던 CD-M(Methyl-beta-cyclodextrin)과 스테비오사이드의 가용화 및 물질생산 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포도 캘러스 배양액에 100μM MeJA 와 50mM CD-M(MJ+CD) 또는 100μM MeJA와 50mM 스테비오사이드(MJ+Stevioside)를 처리하여 배양한 후 레스베라트롤 및 델타-비니페린을 추출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또한, 가용화제를 처리하지 않고 100μM MeJA(MJ)만을 처리하여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도 4는 포도 캘러스 배양액에 100μM MeJA와 50mM CD-M 처리(a) 또는 100μM MeJA와 50mM 스테비오사이드(E95)를 처리(b)하고 파라쿠마르산(p-cou) 및 레스베라트롤(res)을 전구체로 이용하여 가용화제 처리에 따른 생물전환 차이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은 대량배양(바이오리액터 수준)을 진행하고 그 배양액에 100μM MeJA 및 50mM 스테비오사이드를 처리하여 배양한 후 배양액을 추출하여 델타-비니페린 및 입실론-비니페린의 생성을 HPLC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개발한 레스베라트롤 및 델타-비니페린의 선택적 생산 방법을 통해 생산된 레스베라트롤(A) 및 델타-비니페린(B)의 생산결과를 HPLC로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포도나무 조직 절편체를 캘러스 유도 배지에 치상하여 포도나무 캘러스를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유도된 포도나무 캘러스를 증식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증식된 캘러스에 활성유도제 및 가용화제를 첨가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도나무 유래의 비니페린(viniferin)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c) 단계의 활성유도제는 메틸 자스몬산(methyl jasmonate), SA(salicylic acid) 또는 플라젤린 22(Flg22)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 자스몬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가용화제는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메틸 자스몬산 및 스테비오사이드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50~350 μM 및 40~60 mM의 농도로 첨가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 100 μM 및 50 mM의 농도로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비니페린은 델타(δ)-비니페린 또는 입실론(ε)-비니페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a) 단계의 캘러스 유도 배지는 생장조절제로 0.05~0.2 mg/L IAA(indole-3-acetic acid), 0.05~0.2 mg/L NAA(1-naphthaleneacetic acid), 1~2 mg/L 2,4-D 및 0.2~0.3 mg/L 키네틴이 첨가된 배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mg/L IAA(indole-3-acetic acid), 0.1 mg/L NAA(1-naphthaleneacetic acid), 1.5 mg/L 2,4-D 및 0.25 mg/L 키네틴이 첨가된 배지(표 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b) 단계의 증식배지는 0.5~2.0mg/L 2,4-D가 포함된 MS(Murashige & Skoog) 배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mg/L 2,4-D가 포함된 MS(Murashige & Skoog) 배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멸균한 포도나무 조직 절편체를 생장조절제로 0.05~0.2 mg/L IAA(indole-3-acetic acid), 0.05~0.2 mg/L NAA(1-naphthaleneacetic acid), 1~2 mg/L 2,4-D 및 0.2~0.3 mg/L 키네틴이 첨가된 캘러스 유도 배지에 치상하여 포도나무 캘러스를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유도된 포도나무 캘러스를 0.5~2.0mg/L 2,4-D가 포함된 MS(Murashige & Skoog)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증식된 캘러스에 50~350 μM 메틸 자스몬산(MeJA) 및 40~60 mM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첨가하여 진탕배양하여 델타(δ)-비니페린 또는 입실론(ε)-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 멸균한 포도나무 조직 절편체를 생장조절제로 0.05~0.2 mg/L IAA(indole-3-acetic acid), 0.05~0.2 mg/L NAA(1-naphthaleneacetic acid), 1~2 mg/L 2,4-D 및 0.2~0.3 mg/L 키네틴이 첨가된 캘러스 유도 배지에 치상하여 23~27℃에서 25~30일 동안 계대배양하여 포도나무 캘러스를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유도된 포도나무 캘러스를 0.5~2.0mg/L 2,4-D가 포함된 MS(Murashige & Skoog) 배지에서 23~27℃에서 5~10일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증식된 캘러스에 100 μM 메틸 자스몬산(MeJA) 및 50 mM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첨가하여 진탕배양하여 델타(δ)-비니페린 또는 입실론(ε)-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메틸 자스몬산(MeJA) 및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포도나무 캘러스로부터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메틸 자스몬산(methyl jasmonate) 및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50~350 μM 및 40~60 mM의 농도로 첨가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 100 μM 및 50 mM의 농도로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비니페린은 델타(δ)-비니페린 또는 입실론(ε)-비니페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a) 포도나무 조직 절편체를 캘러스 유도 배지에 치상하여 포도나무 캘러스를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유도된 포도나무 캘러스를 증식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증식된 캘러스에 메틸 자스몬산(MeJA) 및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첨가하여 정치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도나무 유래의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법은
(a) 멸균한 포도나무 조직 절편체를 생장조절제로 0.05~0.2 mg/L IAA(indole-3-acetic acid), 0.05~0.2 mg/L NAA(1-naphthaleneacetic acid), 1~2 mg/L 2,4-D 및 0.2~0.3 mg/L 키네틴이 첨가된 캘러스 유도 배지에 치상하여 포도나무 캘러스를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유도된 포도나무 캘러스를 0.5~2.0mg/L 2,4-D가 포함된 MS(Murashige & Skoog)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증식된 캘러스에 50~350 μM 메틸 자스몬산(MeJA) 및 40~60 mM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첨가하여 정치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정치배양은 24~26℃에서 4~7일 동안 정치배양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에서 5일 동안 정치배양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포도 캘러스 유도 및 증식
본 발명에서는 대표적인 상업용 포도 품종인 켐벨(Vitis vinifera L. cv Campbell Early)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켐벨의 꽃을 절취하여 흐르는 물로 세척한 다음 70% 에탄올 용액에 1분간 침지하여 표면살균을 실시하였다. 표면살균은 무균작업대 내에서 포도 꽃 조직을 유리병에 담고 상업용 락스(약 1% sodium hypochlorite) 용액으로 15분간 실시하였으며 멸균 증류수로 3회 세척하였다. 표면살균이 완료된 조직은 멸균 여과지를 이용하여 남은 습기를 제거하고 배양에 사용하였다. 표면살균이 완료된 포도 조직을 메스를 이용하여 절취한 다음 각각의 조직(꽃잎, 꽃밥, 수술대)을 배양배지에 치상하였다. 포도 캘러스 유도에 사용된 배지는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생장조절제로 0.1 mg/L IAA, 0.1 mg/L NAA, 1.5 mg/L 2,4-D 그리고 0.25 mg/L 키네틴이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조건은 25℃ 항온기에서 암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 후 형성된 백색의 캘러스는 동일조성의 고체배지에 약 4주 간격으로 계대배양을 실시하였다.
(mg/L)
KNO3 2,500
(NH4)2SO4 134
MgSO4·7H2O 250
MnSO4·1H2O 10
ZnSO4·7H2O 2
CuSO4·5H2O 0.025
NH4H2PO4 150
NaH2PO4 150
KCl 300
KI 0.75
CoCl2·6H2O 0.025
CaCl2·2H2O 150
H3BO3 3
Na2MoO4·2H2O 0.25
FeSO4·7H2O 27.85
Na2-EDTA 37.25
Thiamine HCl 10
Nicotinic acid 1
Pyridoxine HCl 1
myo-inositol 100
IAA 0.1
NAA 0.1
2,4-D 1.5
Kinetin 0.25
Sucrose 20,000
Gelrite 4,000
pH = 5.8.sterilized at 121˚C for 15 minutes
실시예 2. 포도 캘러스의 세포배양 및 활성유도제 처리를 통한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유전자 ( STS , ROMT ) 전사 발현 분석
포도 캘러스로부터 레스베라트롤 생산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유도되어 안정화된 포도 캘러스의 액체배양을 통하여 전사발현 분석을 수행하였다. 1mg/L 2,4-D가 포함된 MS(Murashige & Skoog) 배지를 칭하는 MS1D(MS 4.4g, 수크로스 30g, MES 0.5g, 미오-이노시톨 0.1g, 티아민 HCl 0.4mg, 2,4-D 1mg/L) 액체배지에 25℃, 90rpm 7일 배양 후 활성유도제를 처리하고 24h이 지난 포도 캘러스로부터 총 RNA를 분리하였다(Kim CY et al. 2010, Physiologia Plantarum 139: 259-261). 분리된 총 RNA (5μg)는 First-Strand cDNA Synthesis Kit(Fermantas, Canada)를 이용하여 설명서대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20μl)를 2.5배 희석한 후 2μl를 주형으로 하여 포도 캘러스에서 레스베라트롤 및 테로스틸벤 생합성 관련 유전자를 대상으로 RT-PCR를 수행하였다. PCR 증폭은 94℃에서 2분간 변성, 95℃에서 30초, 50℃에서 40초, 72℃에서 1분을 1 사이클로 하여 25 사이클 및 72℃에서 10분간 최종 연장반응에 의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을 위해 사용한 포도 레스베라트롤, 테로스틸벤 생합성 유전자 및 포도액틴 RT-PCR용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 STS-F: 5'-ATGGCTTCAGTTGAGGAAATCAGA-3' (서열번호 1), STS-R: 5'-TTAATTTGTCACCATAGGAATGCTA-3' (서열번호 2), ROMT-F: 5'-ATGGATTTGGCAAACGGTGTGA-3' (서열번호 3), ROMT-R: 5'-TCAAGGATAAACCTCAATGAGGGA-3' (서열번호 4), ACTIN-F: 5'-TGCTGACAGAATGAGCAAGG-3' (서열번호 5), ACTIN-R: 5'-TACTAAGAAGCTTTCAACCCAGTATA-3' (서열번호 6). 다양한 활성유도제를 처리하여 스틸벤 화합물의 생산 증진을 도모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활성유도제는 MeJA(methyl jasmonate), ABA(abscisic acid), SA(salicylic acid), 에테폰, 플라젤린 22(Flg22), MV(methyl viologen), 키토산이다. 그 결과 MeJA, SA, Flg22를 처리했을 때 두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MeJA를 처리했을 때 유전자의 발현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3. 포도 캘러스에서의 활성유도제 및 가용화제 처리
상기 실시예 2에서 선발한 활성유도제(100μM MeJA)를 이용하여 스틸벤 화합물 생산을 유도하였다. 20ml의 MS에 2g의 포도 캘러스를 접종한 후 125ml 플라스크에서 7일간 배양 후 100μM MeJA를 처리하여 5일 후 포도캘러스를 확보하였다. 추출하여 HPLC 분석을 진행한 결과, 포도 캘러스 내에서 미량의 피시드(piceid)가 확인되었으며(데이터 미제시), 스테비오사이드 처리를 통하여 생산된 스틸벤 화합물을 가용화 함으로써 생산율을 높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포도 캘러스 7일 배양액에 5mM, 10mM, 25mM, 50mM 스테비오사이드를 농도별로 처리하거나 100μM MeJA와 함께 농도별로 처리하였으며 이후 배양 5일째 시료를 거름망에 걸러 캘러스와 캘러스 배양액으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캘러스는 거름망에 걸러 탈수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얼린 후 -80℃에 추출 전까지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캘러스 배양액 시료는 보관기간 없이 바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스테비오사이드 50mM 농도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스틸벤 화합물을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물조직 혹은 세포 배양시 가용화제로 알려져 있던 CD-M(Methyl-beta-cyclodextrin) 및 스테비오사이드의 가용화 및 스틸벤 화합물의 생산 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100μM MeJA와 함께 각각의 가용화제를 50mM씩 처리한 후 배양액을 추출하여 스틸벤 화합물의 생산 경향성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100μM MeJA와 50mM CD-M을 처리한 경우에는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이 가장 많이 생산되었고, 100μM MeJA와 50mM 스테비오사이드를 처리한 경우 델타-비니페린이 생산된 스틸벤 화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100μM MeJA와 50mM CD-M 처리구에서는 최대 40mg/L의 레스베라트롤이 생산되었으며, 100μM MeJA와 50mM 스테비오사이드를 처리구에서는 최대 700mg/L의 델타-비니페린이 생산되었다(도 3).
실시예 4. 포도 캘러스에서의 생물전환
상기 실시예 3에서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포도 캘러스 현탁배양시 파라쿠마르산 및 레스베라트롤을 기질로 사용하여 생물전환을 시도해 보았다. 먼저 100μM MeJA와 50mM CD-M에 기질을 넣지 않은 것을 대조구로 하고, 2mM의 파라쿠마르산 및 레스베라트롤을 기질로 처리한 것을 실험구로 하여 그 패턴을 확인하였다(도 4a). 그 결과 기질을 넣어 준 경우 레스베라트롤 이외에 팔리돌(Pallidol), Parthenocissin A, Quadrangularin A 및 델타-비니페린이 생산되었다(도 4a). 그러나 100μM MeJA와 50mM 스테비오사이드(E95)에 기질을 넣지 않은 것을 대조구로 하고, 2mM의 파라쿠마르산 및 레스베라트롤을 기질로 처리한 것을 실험구로 하여 그 패턴을 확인하였다(도 4b). 그 결과, 기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같이 기질을 처리한 실험구에서 델타-비니페린이 많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스테비오사이드를 포도 캘러스 현탁배양시 가용화제로 사용하면 델타-비니페린을 생산하는데 아주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5. 바이오리액터를 활용한 포도 캘러스의 대량배양에서의 활성유도제 및 가용화제 처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안정화시킨 포도캘러스를 100ml MS1D 액체배지에 10g 씩 3개 플라스크에 각각 접종한 후 25℃, 90rpm으로 14일간 배양하였다. 14일간 배양하여 증식한 캘러스를 미리 멸균하여 건조한 3L 바이오리액터에 모두 계대한 후 1.2L의 MS1D 액체배지를 추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와 마찬가지로 50mM 스테비오사이드를 100μM MeJA와 함께 처리하였으며 이후 배양 5일째 시료를 거름망에 걸러 캘러스와 캘러스 배양액으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캘러스는 거름망에 걸러 탈수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얼린 후 -80℃에 추출 전까지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캘러스 배양액 시료는 보관기간 없이 바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캘러스 배양액 추출물을 HPLC 분석한 결과, 입실론-비니페린 및 델타-비니페린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실시예 6. 포도 캘러스 배양액 추출 및 HPLC 분석
상기 실시예 3, 4 및 5에서 분리된 포도 캘러스는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 캘러스 분말 1g 을 3ml의 80%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원심분리 함으로써 상층부의 캘러스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한 여액은 공기(air)를 주입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물을 600㎕ 80% 메탄올에 녹이고 0.2㎛ PTFE 필터(hydrophilic, ADVANTEC, 일본)하여 HPLC 분석에 이용하였다. 10ml의 캘러스 배양액은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배 추출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공기를 주입하여 건조시켰다. 건조물을 1ml의 80% 메탄올에 녹이고 0.2㎛ PTFE 필터하여 HPLC 분석에 이용하였다. HPLC는 Agilent Technology 1200 serie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펌프 시스템은 4개 용매펌프(quaternary pump)를 사용하였으며 컬럼은 agilent사의 ZORBAX SB-18 (5mm, 4.6 X 150m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물 (A,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아세토니트릴(B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이용하여 기울기 용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포도 캘러스의 7일 배양액에서 100μM MeJA와 5mM, 10mM, 25mM, 50mM 스테비오사이드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낮은 농도에서 높은 농도로 스테비오사이드를 처리했을 때 농도가 높아질수록 점차적으로 스틸벤 함량이 증가되는 양상을 보이며, 50mM에서 가장 높은 스틸벤 화합물 함유를 확인하였고(데이터 미제시) 스테비오사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해 월등히 스틸벤 화합물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도 3). 스테비오사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처리구 및 캘러스 추출물에서는 스틸벤 화합물을 확인할 수 없었다.
실시예 7. 포도 캘러스 생산 비니페린 분리 및 NMR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준비된 가용화제 처리 포도 꽃밥 유래 캘러스 배양액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배 추출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농축물(15 g)을 MPLC 기기를 이용하여 역상 칼럼(10 × 30 cm)을 1단계 분리를 실시하였다. 이때 용리용매는 물-아세토나이트릴을 이용하였으며 물-아세토나이트릴 혼합용액을 100:1에서 100% 아세토나이트릴까지 극성을 낮추며 용리시켜 7개의 분획물(A-G)을 얻었다. 목표 화합물인 델타-비니페린(trans-δ-viniferin, 하기 화학식 1)이 다량 함유된 분획 C를 농축하여 농축물 1.3g을 얻었다. 얻어진 농축물 1.3g을 Recylcing LC 기기를 이용하여 역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물-아세토나이트릴(2:2) 혼합용매 조건에서 실시하여 80% 이상 순도의 델타-비니페린 160mg을 얻었다. 얻어진 분획물을 95% 메탄올로 용리시키는 겔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를 실시하여 98% 순도의 델타-비니페린 12mg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의 구조는 1H-NMR, 13C-NMR, 2D-NMR, DEPT 및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trans-δ-Viniferin: 1HNMR(500MHz,Acetone-d 6)d 7.45 (dd, J = 8.5, 2.0 Hz, H-6), 7.27 (s, H-4), 7.25 (d, J = 8.5 Hz, H-2,6A), 7.07 (d, J = 16.5 Hz, H-2'), 6.92 (d, J = 16.5 Hz, H-1'), 6.88 (d, J = 8.1 Hz, H-7), 6.86 (d, J = 8.5 Hz, H-3,5A), 6.55 (d, J = 2.0 Hz, H-2,6C), 6.29 (t, J = 2.0 Hz, H-2B), 6.27 (t, J = 2.0 Hz, H-4C), 6.21 (d, J = 2.0, H-4,6B), 5.47 (d, J = 8.0 Hz, H-2), 4.48 (d, J = 8.0 Hz, H-3); 13CNMR(125MHz,Acetone-d 6)d 159.7 (C-7a), 158.8 (C-1,3B), 158.6 (C-3,5C), 157.5 (C-4A), 144.3 (C-5B), 139.8 (C-1C), 131.6 (C-3a), 131.2 (C-1A), 130.8 (C-5), 128.2 (C-2'), 127.7 (C-6), 127.6 (C-2,6A), 126.3 (C-1'), 123.0 (C-4), 115.2 (C-3,5A), 109.2 (C-7), 106.4 (C-4,6B), 104.7 (C-2,6C), 101.8 (C-4C), 101.4 (C-2B), 93.1 (C-2), 56.9 (C-3).
Figure PCTKR2017002187-appb-C000001
실시예 8. 포도 캘러스 생산 입실론 - 비니페린 분리 및 NMR 분석
상기 실시예 5에서 준비된 가용화제 처리 포도 꽃밥 유래 캘러스 배양액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배 추출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농축물(10 g)을 MPLC 기기를 이용하여 역상 칼럼(10 × 30 cm)을 1단계 분리를 실시하였다. 이때 용리용매는 물-아세토나이트릴을 이용하였으며 물-아세토나이트릴 혼합용액을 70:1에서 100% 아세토나이트릴까지 극성을 낮추며 용리시켜 5개의 분획물(A-E)을 얻었다. 목표 화합물인 입실론-비니페린(trans-ε-viniferin, 하기 화학식 2)이 다량 함유된 분획 B를 농축하여 농축물 1.5g을 얻었다. 얻어진 농축물 1.5g을 Recylcing LC 기기를 이용하여 역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물-아세토나이트릴(2:1) 혼합용매 조건에서 실시하여 85% 이상 순도의 입실론-비니페린 100mg을 얻었다. 얻어진 분획물을 95% 메탄올로 용리시키는 겔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를 실시하여 98% 순도의 입실론-비니페린 30mg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의 구조는 1H-NMR, 13C-NMR, 2D-NMR, DEPT 및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trans-ε-viniferin 1H-NMR (400 MHz, MeOD) d 7.14 (2H, d, J = 8.0 Hz, H-2(6)a), 7.03 (2H, d, J = 8.0 Hz, H-2(6)b), 6.80 (1H, d, J = 13.6 Hz, H-7b), 6.78 (2H, d, J = 8.0 Hz, H-3(5)a), 6.65 (2H, d, J = 8.0 Hz, H-3(5)b), 6.56 (1H, d, J = 13.6 Hz), 6.28 (1H, brs, H-12b), 6.21 (1H, brs, H-12a), 6.18 (2H, brs, H-10a,14a), 5.37 (1H, d, J = 8.0 Hz, H-7a), 4.35 (1H, d, J = 4.0 Hz, H-8a); 13C-NMR (100 MHz, MeOD) d 161.3 (C-11b), 158.6 (C-11a, 13a), 158.3 (C-13b), 157.1 (C-4a), 156.9 (C-4b), 146.0 (C-9a), 135.6 (C-9b), 132.5 (C-1a), 129.1 (C-1b, 7b), 127.5 (C-2(6)b), 127.0 (C-2(6)a), 122.4 (C-8b), 118.8 (C-10b), 115.1 (C-3(5)b), 115.1 (C-3(5)a), 106.3 (C-14a, 10a), 103.1 (C-14b), 101.0 (C-12a), 95.6 (C-12b), 93.5 (C-7a), 56.9 (C-8a).
Figure PCTKR2017002187-appb-C000002
실시예 9. 레스베라트롤 및 델타- 비니페린(δ-viniferin)의 선택적 생산 기술 개발
상기 실시예 1에서 유도된 포도 캘러스에서 레스베라트롤 및 델타-비니페린을 각각 주로 생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조건으로 물질 생산을 유도하였다. 1mg/L 2,4-D가 포함된 MS(Murashige & Skoog) 배지 100ml에 10g의 포도 캘러스를 접종 후 6일간 25℃에서 90rpm으로 배양하였다. 이를 25ml씩 분주하여 24시간 같은 조건으로 배양 후 100μM MeJA 및 50mM 스테비오사이드를 각각 처리하여 25℃에서 정치배양 혹은 90rpm 두 그룹으로 나누어 5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6에서 실시한 방법으로 물질 추출 후 HPLC 분석에 이용하였다. 배양 속도 조건을 다르게 한 결과 정치배양한 시료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이 델타-비니페린에 비해 월등히 많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진탕배양을 한 시료에서는 델타-비니페린이 레스베라트롤에 비해 월등히 많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Claims (8)

  1. (a) 포도나무 조직 절편체를 캘러스 유도 배지에 치상하여 포도나무 캘러스를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유도된 포도나무 캘러스를 증식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증식된 캘러스에 활성유도제 및 가용화제를 첨가하여 진탕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도나무 유래의 비니페린(viniferin)을 대량생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활성유도제 및 가용화제는 각각 메틸 자스몬산(methyl jasmonate) 및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 자스몬산 및 스테비오사이드는 각각 50~350 μM 및 40~60 mM의 농도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니페린은 델타(δ)-비니페린 또는 입실론(ε)-비니페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메틸 자스몬산(MeJA) 및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포도나무 캘러스로부터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50~350 μM 메틸 자스몬산 및 40~60 mM 스테비오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a) 포도나무 조직 절편체를 캘러스 유도 배지에 치상하여 포도나무 캘러스를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유도된 포도나무 캘러스를 증식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증식된 캘러스에 메틸 자스몬산(MeJA) 및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첨가하여 정치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도나무 유래의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대량생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치배양은 24~26℃에서 4~7일 동안 정치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CT/KR2017/002187 2016-03-14 2017-02-28 포도나무 조직의 세포배양으로부터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한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방법 WO201716001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548426A JP6705909B2 (ja) 2016-03-14 2017-02-28 ブドウの木の組織の細胞培養からステビオシドを用いてビニフェリンを大量生産する方法
CN201780017306.XA CN109689877B (zh) 2016-03-14 2017-02-28 利用甜菊苷从葡萄藤的组织的细胞培养中大量生产葡萄素的方法
US16/084,445 US10920248B2 (en) 2016-03-14 2017-02-28 Method for mass-producing viniferin using stevioside from cell culture of grapevine tiss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30510 2016-03-14
KR10-2016-0030510 2016-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0010A1 true WO2017160010A1 (ko) 2017-09-21

Family

ID=5985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2187 WO2017160010A1 (ko) 2016-03-14 2017-02-28 포도나무 조직의 세포배양으로부터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한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20248B2 (ko)
JP (1) JP6705909B2 (ko)
KR (1) KR101920022B1 (ko)
CN (1) CN109689877B (ko)
WO (1) WO20171600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5809A (zh) * 2018-11-13 2021-06-22 韩国生命工学研究院 利用植物愈伤组织培养液的二苯乙烯二聚体生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722B1 (ko) * 2018-07-03 2023-06-26 주식회사 아이엔지알 포도 캘러스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7297890B2 (ja) * 2018-11-13 2023-06-26 コリア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バイオサイエンス アンド バイオテクノロジー 植物のカルス培養液を用いた二量体スチルベンの生産方法
KR20230039895A (ko) * 2021-09-14 2023-03-22 주식회사 아이엔지알 포도 캘러스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산화용 조성물
CN115491341B (zh) * 2022-04-24 2024-03-08 岭南重峻科技(佛山市南海区)有限公司 一种葡萄复合组织外囊泡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9357B2 (en) * 2007-01-03 2010-09-21 Tatung Company In vitro resveratrol-rich callus tissues derived from Vitis thunbergii Sieb. et Zuc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2735609A2 (en) * 2012-11-26 2014-05-28 Arkansas State University Method to Increase the Yield of Products in Plant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976A (ko) 2001-09-10 2003-03-15 대한민국(경북대학교 총장) 포도 유래의 천연 항암물질인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증폭시킨 레스베라트롤 강화 포도 및 그 생산방법
AU2003903909A0 (en) 2003-07-25 2003-08-07 Albright & Wilson (Australia) Limited Production methods
KR100582737B1 (ko) 2004-03-05 2006-05-22 피재호 환경인자를 이용한 레스베라트롤 고함유 포도의 생산방법
ES2328002B2 (es) 2008-02-29 2010-03-29 Universidad De Alicante Uso combinado de metil-jasmonato y ciclodextrinas para la produccion de resveratrol.
US8551507B2 (en) * 2009-06-24 2013-10-08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Terpene glycosides and their combinations as solubilizing agents
CN103875343B (zh) * 2012-12-21 2018-03-30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提高甜叶菊中莱鲍迪苷a、甜菊糖苷、莱鲍迪苷c和/或总糖苷含量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9357B2 (en) * 2007-01-03 2010-09-21 Tatung Company In vitro resveratrol-rich callus tissues derived from Vitis thunbergii Sieb. et Zuc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2735609A2 (en) * 2012-11-26 2014-05-28 Arkansas State University Method to Increase the Yield of Products in Plant Material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VIDOV-PARDO, GABRIEL ET AL.: "Resveratrol Encapsulation: Designing Delivery Systems to Overcome Solubility, Stability and Bioavailability Issues",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vol. 38, 2014, pages 88 - 103, XP029036778 *
KOGA, CLARISSA C.: "Stabilization of Resveratrol through Microencapsulation and Incorporation into Food Products", DOCTORAL THESI S, 2015, pages 1 - 151, XP055422064 *
SANTAMARIA, ANNA RITA ET AL.: "Effects of Elicitors on the Production of Resveratrol and Viniferins in Cell Cultures of Vitis Vinifera L. cv Itali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 59, 14 July 2011 (2011-07-14), pages 9094 - 9101, XP05542206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5809A (zh) * 2018-11-13 2021-06-22 韩国生命工学研究院 利用植物愈伤组织培养液的二苯乙烯二聚体生产方法
EP3882352A4 (en) * 2018-11-13 2022-11-16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METHOD OF PREPARING DIMERIC STILBEN USING CALLUS CULTURE MEDIUM OF A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78122A1 (en) 2019-03-14
KR20170106913A (ko) 2017-09-22
CN109689877B (zh) 2022-06-07
US10920248B2 (en) 2021-02-16
CN109689877A (zh) 2019-04-26
JP6705909B2 (ja) 2020-06-03
KR101920022B1 (ko) 2018-11-19
JP2019508053A (ja)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60010A1 (ko) 포도나무 조직의 세포배양으로부터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한 비니페린을 대량생산하는 방법
Wu et al. Stimulation of taxol production and excretion in Taxus spp cell cultures by rare earth chemical lanthanum
Triplett et al. Induction of hairy root cultures from Gossypium hirsutum and Gossypium barbadense to produce gossypol and related compounds
US20110033904A1 (en) Method for preparing orthodihydroxyisoflavones using a biotransformation system
Castellar et al. Callus induction from explants of Crocus sativus
US8952140B2 (en) Compound amycolose derivativ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Gulyamova et al. Effect of epigenetic modifiers on fermentation parameters of endophytic fungi from plants growing in Uzbekistan
EP1914313A1 (en) Method for producing cercosporamide
KR900004437B1 (ko) 식물배양에 있어서의 2차 대사산물 생산의 유도방법 및 그 수단
CN113396214A (zh) 从链霉菌属sp.mcc-0151生产尼日利亚菌素的方法
CN111808015A (zh) 一类苯丙氨酸来源的细胞松弛素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660169A (zh) 一种发酵制备棘孢菌素类抗生素的方法
EP0213320B1 (en) Physiologically active formamides
CN110669103A (zh) 一类双脱甲基放线菌素衍生物及其在制备抗耐药菌感染药物中的应用
WO2016052656A1 (ja) 新規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US11814661B2 (en) Dimeric stilbene production method using callus culture medium of plant
KR102369065B1 (ko) 식물의 캘러스 배양액을 이용한 이합체 스틸벤 생산 방법
CN114540376B (zh) 一种抗肿瘤聚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3031239A1 (ja) 新規マングロマイシ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8056470A1 (ja) 上皮間葉転換誘導細胞阻害剤
US12018305B2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nigericin from Streptomyces sp. MCC-0151
Shimoda et al. Ferulic acid, methyl ferulate, and ferulic acid glucopyranosyl ester isolated from cultured cells of Phytolacca americana
CN116444540A (zh) 咔唑生物碱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276871B1 (ko) 식물세포배양에서 에이지엔오쓰리 전처리에 의한 팩리택셀의 대량 생산 방법
CN116283727A (zh) 一种chaetoglobosin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4842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669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669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