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74022A1 -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74022A1
WO2017074022A1 PCT/KR2016/012083 KR2016012083W WO2017074022A1 WO 2017074022 A1 WO2017074022 A1 WO 2017074022A1 KR 2016012083 W KR2016012083 W KR 2016012083W WO 2017074022 A1 WO2017074022 A1 WO 20170740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ginsenoside
skin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0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남기백
김동현
홍용덕
장성의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EP16860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54255B1/en
Priority to US15/772,272 priority patent/US10835470B2/en
Priority to JP2018521827A priority patent/JP2018531968A/ja
Priority to CN201680064068.3A priority patent/CN108348437B/zh
Publication of WO20170740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74022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osides as an active ingredient.
  • Ginseng ( Panax ginseng ) is composed of flowers (fruit), stems, and roots (roots, roots), which are underground parts. Among them, underground ginseng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the Asian region. Saponin, the main component of ginseng medicinal action, is called ginsenoside, which means glycoside isolated from ginseng.
  • Ginsenosides of ginseng are ginsenosides of protopanaxatriol (PPT; Rg1, Re, Rf, Rh1, Rg2) and protopanaxadiol (PPD; Rb1, Rc, Rb2, Rb3, Rd, Rg3, Rh2, Compound-K) It consists of ginsenosides, and the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effects of ginsenosides include central nerve suppression and excitability, protein and nucleic acid biosynthesis promoting action, hematopoietic action, atherosclerosis prevention, hypoglycemic action, anti-fatigue and antistress. Actions are known.
  • Ginsenoside is a component that can be obtained by separating the extract of ginseng by a device such as chromatography, but each amount is a small amount according to the specific compon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nti-oxidation, skin anti-aging effect, excellent skin moisturizing effect, excellent skin whitening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skin trouble improvement effect such as acne and atopy, sebum control effect, pore shrinkage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excellent in the effect, and the complexion improvement effect through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R 1 is -glc (2-1) glc
  • R 2 is -glc
  • R 1 is -glc
  • R 2 is -glc-ara (fur).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nti-oxidative power, excellent skin anti-aging effect, excellent skin moisturizing effect, excellent skin whitening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skin trouble improvement effect such as acne and atopy, sebum control It is excellent in the effect, pore contraction effect, and complexion improvement effect through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R 1 is -glc (2-1) glc
  • R 2 is -glc
  • R 1 is -glc
  • R 2 is -glc-ara (fur).
  • R 1 is -glc (2-1) glc
  • R 2 is ginsenoside Rd, which is -glc.
  • the compound is Compound O in Formula 1, wherein R 1 is -glc, and R 2 is -glc-ara (fur).
  • glc means ⁇ -D-glucopyranosyl group
  • ara (pyr) means L-arabinopyranosyl
  • ara (fur) means L-arabinofranosyl group.
  • rha means ⁇ -L-rhamnopyranosyl.
  • ginsenoside refers to glycoside of glycoside isolated from ginseng.
  • the structure of ginsenoside is specifically named ginsenoside Rx, and for ginsenoside Rx, "R” means root (Radix or Root), and "x” is Named in order of o, a, b, c, d, e, f, g and h from bottom to top according to the distance (Rf value) of the spot appearing on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will be.
  • the ginsenoside compound and its structure according to the ginsenoside nomenclature are shown in Table 1 below, the structures are all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nd only the substituents of R 1 to R 3 in the formula.
  • Ginsenoside Compound Name Substituents of Formula 1 R 1 R 2 Ginsenoside Rb1 -glc (2-1) glc -glc-glc Ginsenoside Rb2 -glc (2-1) glc -glc-ara (pyr) Ginsenoside Rc -glc (2-1) glc -glc-ara (fur) Ginsenoside Rd -glc (2-1) glc -glc Compound O -glc -glc
  • the ginsenoside can be separated from the extract of ginseng, the extract of ginseng is extracted from the root, stem, leaf or flesh of ginseng, preferably from the root or leaf of ginseng Can be.
  • the extract of the ginseng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extraction site.
  • the extract of ginseng may be extracted by filtration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with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preferably methanol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traction method.
  • the ginsenoside is preferably, by sequentially adding an organic solvent, for example,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etc. to the extract of the ginseng and purified fractions thereof , Chromatography, for example,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L-20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sepa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eparation method.
  • an organic solvent for example,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etc.
  • Chromatography for example,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L-20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the sepa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eparation method.
  • Panax ginseng means perennial herb of the droopaceae.
  • the content of ginsenoside is 0.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antioxidant effect of inhibiting the production and action of active oxygen, and thu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 antioxidant.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nti-oxidant effect, and is excellent in preventing skin aging due to antioxidant.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 anti-aging.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skin whitening effect of inhibiting the production and action of tyrosinase and melanin.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 skin whitening.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ability to increase the skin moisture content, and thu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 moisturizing the skin.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ability to improve skin elasticity, thereby improving the skin wrinkles, accordingly,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 improving skin wrinkles.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 improving acne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ntimicrobial effect, in particular antimicrobial effect is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acne causative bacteria, and may also be anti-inflammatory because it provides an anti-inflammatory effect.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sebum secretion control effect by inhibiting sebum secretion when applied to the skin, it is excellent in the effect of inhibiting dandruff occurrence by adjusting the sebum secretion when applied to the scalp,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 sebum control.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capillaries and promotes blood circulation when applied to the skin, thereby smoothly supplying nutrients to the skin and inhibiting skin aging, thereby improving the color and skin tone, and thus, the cosmet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i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lo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oxidant use in the manufacture 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aging use in the produc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whitening use in the manufacture 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moisturizing use in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wrinkle improvement use in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for improving acne in the manufacture 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microbial use in the prepara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inflammatory use in the manufacture 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color improving use in the prepara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bum control use in the produc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oxidant method comprising applying to the ski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aging method comprising applying to the ski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whitening method comprising applying to the ski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moisturizing method comprising applying to the ski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ski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acne comprising applying to the ski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microbial method comprising applying to the ski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inflammatory method comprising applying to the ski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skin color, comprising applying to the ski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bum control method comprising applying to the ski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as an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in particular a cosmetic composition, and may be formulated containing a cosmetically or dermatolog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ll formulations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 for example, emulsions obtained by dispersing an oil phase in a solution, an aqueous phase, emulsions obtained by dispersing an aqueous phase in an oil phase, suspensions, solids, gels, powders,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aste, foam or aerosol composition.
  • Compositions of such formulations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rt.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ther ingredient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within a range not impairing the main effect, preferably a synergistic effect on the main effect.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isturizer, an emulsifier, a UV absorber, a preservative, a fungicide, an antioxidant, a pH adjuster,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flavoring, cooling agent or limiting agent.
  • the blending amount of the above components can be easi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object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ending amount is 0.001% to 10% by weight, specifically 0.001% to 1%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ay be%.
  • Ginsenoside Rd for testing the efficacy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by purchasing the genuine GINSENOSIDE trade name Ginsenoside Rd manufactured by Ambo Institute.
  • Ginsenoside Rd for testing the efficacy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by purchasing the genuine GINSENOSIDE brand name Compound O manufactured by Ambo laboratory.
  • Keratinocytes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get destination: ATCC
  • ginsenoside Rd was treated with 1%.
  •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with ginsenoside Rd for comparison.
  • the culture solution was removed, and 100 ⁇ l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was added to each well.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the keratinocytes were irradiated with UV 30mJ / cm 2 using an ultraviolet B (UVB) lamp (Model: F15T8, UV B 15 W, Sankyo Dennki, Japan), and then PBS was removed and each cell was cultured with keratinocyte culture 200. ⁇ l was added.
  • UVB ultraviolet B
  • the ginsenoside Rd was retreated and the amou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creased by UV stimulation at certain time points was quantified.
  • the amount of ROS was quantified by referring to Tan's method for measuring the fluorescence of DCF-DA (dichlorofluorescin diacetate) oxidized by ROS (Tan et al., 1998, J. Cell Biol. Vol. 141, pp1423-1432).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vehicle-treated control group ROS.
  • Test substance The elapsed time UVB 30 mJ / cm 2 after irradiation 0hr 2hr 3hr Vehicle 100 244 287 UVB + Vehicle 100 325 381 UVB + Ginsenoside Rd 100 251 286 UVB + Compound O 100 251 286
  • ginsenoside Rd and Compound 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inhibits the production of ROS known to cause skin cell damage by ultraviolet rays, and the amount of ROS after UV stimulation does not irradiate with ultraviolet rays. It was found that the antioxidant effect was very good to inhibit the production of ROS to about the same level.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pores from widening by inhibiting oxidation and preventing aging, and can improve skin trouble by defending generation of skin irritation.
  • Tyrosinase enzyme was extracted from the mushroom (Mushroom) was used as the Sigma (SIGMA). First, the substrate tyrosine wa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to make a solution of 0.3 mg / ml, and the solution was added to the test tube by 1.0 ml, and then 1.0 ml of potassium-phosphate buffer solution (0.1 mol concentration, pH 6.8) and 0.7 ml of distilled water Added.
  • 0.2 ml of the sample solution was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followed by reaction for 10 minutes in a 37 ° C thermostat.
  • 0.2 ml of solvent was prepared instead of each sample solution as a negative control group (no addition), and ascorbic acid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group.
  • 0.1 ml of a tyrosinase solution of 2500 units / ml was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and reacted for 10 minutes in a 37 ° C thermostat.
  • the test tube containing the reaction solution was placed in iced water, quenched to stop the reaction, and the absorbance at the wavelength of 475 nm was measured with a photospectrometer.
  • Table 3 Each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 the sample solution was performed on ginsenoside Rd and compound O, respectively.
  • Test substance Tyrosinase inhibition rate (%) Voice control group (no addition) 0 Ascorbic acid 56 Ginsenoside Rd 68 Compound O 76
  • the B16 / F10 melanoma used in this test example is a cell line derived from a mouse, and is a cancer cell resulting from the malignation of a cell that secretes a black pigment called melanin.
  • the test material was treated during the artificial culture of these cells to evaluate the degree of melanin reduction.
  • the B16 / F10 melanoma used in this test example was used from the Korean Cell Line Bank (KCLB No: 8008).
  • B16 / F10 melanoma The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B16 / F10 melanoma was measured as follows. B16 / F10 melanoma was dispensed in 6-well plates at 5 ⁇ 10 5 / well and DMEM containing 10% FBS (fetal bovine serum) for approximately 24 hours in a 37 ° C., 5% CO 2 incubator (MCO-20AIC, Sanyo).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Test material was added to fresh DMEM medium without FBS and 72 hours passed. The test substance used at this time is as described in Table 4 below. After treatment with trypsin-EDTA and centrifugation to separate the cells, melanin was lysed at 95 ° C.
  • FBS fetal bovine serum
  • Test substance Melanogenesis inhibition rate (%) Control group (no addition) 0 Kojisan 49 Ginsenoside Rd 67 Compound O 71
  • ginsenoside Rd or compound O is increased melanin inhibition rate,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oside Rd or compound O can provide a very good skin whitening effect.
  • Nutritional cream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able 5 (unit: wt%).
  • Nutritional cream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able 5 (unit: wt%).
  • Formulatio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were used, and evaluated as follows.
  •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used in the experiment coli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s were cultured in Tryptic Soy Broth, Candida albicans and Aspergillus niger strains in Sabouraud Dextrose Broth. Dilutions of 1/100 (1/10 of Candida albicans strains) diluted in culture were used as test bacteria. Aspergillus niger used a spore suspension prepared to be 2 ⁇ 10 8 cfu / ml as the test cell solution.
  • test bacteria 0.15 ml of the test bacteria was added to 15 ml of each medium, and a well mixed solution was used as a diluting solution.
  • 16 ⁇ l of 10 ppm of ginsenoside Rd was added to the first row of a 96 well plate, and 184 ⁇ l of the diluted solution was added thereto. The remaining wells were added with 100 ⁇ l of dilution solution. The mixture was well mixed in the first row, and then 100 ⁇ l of the mixed solution was added to the second row and mixed well.
  • Formulation Example 1 containing ginsenoside 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effectively inhibit the sebum secreted in excess than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does not contain it.
  • Formulation Example 2 containing Compound O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uppress sebum secreted in excess than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containing no Compound O.
  • Ginsenoside Rd and / or Compound O 1.0 glycerin 3.0 Butylene glycol 2.0 Propylene glycol 2.0 Carboxy Vinyl Polymer 0.1 PEG 12 nonylphenyl ether 0.2 Polysorbate 80 0.4 ethanol 10.0 Triethanolamine 0.1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 Ginsenoside Rd and / or Compound O 1.0 Polysorbate 60 1.5 Solbitan Sesquioleate 0.5 PEG 60 Cured Castor Oil 2.0 Liquid paraffin 10.0 Squalane 5.0 Caprylic / Caprol Triglycerides 5.0 glycerin 5.0 Butylene glycol 3.0 Propylene glycol 3.0 Triethanolamine 0.2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 Ginsenoside Rd and / or Compound O 0.5 Beeswax 10.0 Polysorbate 60 1.5 PEG 60 Cured Castor Oil 2.0 Sorbitan sesquioleate 0.8 Liquid paraffin 40.0 Squalane 5.0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s 4.0 glycerin 5.0 Butylene glycol 3.0 Propylene glycol 3.0 Triethanolamine 0.2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 a pack i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with the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12 below.
  • Ginsenoside Rd and / or Compound O 0.5 Polyvinyl alcohol 13.0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0.2 glycerin 5.0 Allantoin 0.1 ethanol 6.0 PEG 12 nonylphenyl ether 0.3 Polysorbate 60 0.3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 Ginsenoside Rd and / or Compound O 0.25 Ethylenediamine Sodium Acetate 0.05 glycerin 5.0 Carboxy Vinyl Polymer 0.3 ethanol 5.0 PEG 60 Cured Castor Oil 0.5 Triethanolamine 0.3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 Ointments were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with the compositions described in Table 14 below.
  • Ginsenoside Rd and / or Compound O 0.5 glycerin 8.0 Butylene glycol 4.0 Liquid paraffin 15.0 Beta Glucan 7.0 Carbomer 0.1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s 3.0 Squalane 1.0 Cetearyl Glucoside 1.5 Sorbitan stearate 0.4 Cetearyl Alcohol 1.0 Beeswax 4.0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입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5년 10월 30일에 한국 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출원 제 10-2015-0152448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인삼(Panax ginseng)은 지상부인 꽃(열매), 줄기와 지하부인 뿌리(주근, 세근)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인삼 지하부가 동양권에서 오랫동안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삼 약용작용의 주요 구성 성분인 사포닌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 불리며, 인삼(ginseng)에서 분리된 배당체(glycoside)란 뜻을 지닌다. 인삼의 진세노사이드는 protopanaxatriol(PPT; Rg1, Re, Rf, Rh1, Rg2)계의 진세노사이드와 protopanaxadiol(PPD; Rb1, Rc, Rb2, Rb3, Rd, Rg3, Rh2, Compound-K)계의 진세노사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진세노사이드의 약리작용 및 임상효과로는 중추신경 억제 및 흥분 작용, 단백질 및 핵산 생합성 촉진 작용, 조혈 작용, 동맥경화 예방, 혈당강하 작용,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의 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기기로 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는 성분도 있으나, 구체적인 성분에 따른 각 양이 소량이다.
이러한 진세노사이드를 효소를 이용하여 전환하는 방법이 최근에 개발되어 구조가 전환된 진세노사이드 별로 그 효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진세노사이드의 구조가 다양하여, 아직 각 진세노사이드 구조에 따른 그 효능이 아직 구체적으로 구명되지 않는 내용이 많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항산력이 우수하고,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며, 항염 효과, 여드름 및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 피지 조절 효과, 모공 수축 효과, 및 혈행 개선을 통한 안색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화합물의 명칭은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미국화장품협회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에서 발행한 국제화장품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ICID)에 등재된 INCI (International Nomenclature Cosmetic Ingredient) Name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해당 명칭이 INCI Name 중 존재하지 않으면,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에서 제정한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을 의미하며,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화합물의 명칭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12083-appb-I000001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glc(2-1)glc이고, R2는 -glc인 화합물이거나 또는 R1은 -glc이고, R2는 -glc-ara(fur)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력이 우수하고,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며, 항염 효과, 여드름 및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 피지 조절 효과, 모공 수축 효과, 및 혈행 개선을 통한 안색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12083-appb-I000002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glc(2-1)glc이고, R2는 -glc인 화합물이거나 또는 R1은 -glc이고, R2는 -glc-ara(fur)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glc(2-1)glc이고, R2는 -glc인 진세노사이드 Rd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glc 이고, R2는 -glc-ara(fur)인 컴파운드 O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glc는 β-D-글루코피라노실기를 의미하고, ara(pyr)는 L-아라비노피라노실기(arabinopyranosyl)를 의미하고, ara(fur)는 L- 아라비노푸라노실기(arabinofuranosyl)를 의미하며, rha는 α-L-람노피라노실기(rhamnopyranosyl)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인삼에서 분리된 사포닌의 배당체(配糖體: glycoside)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진세노사이드의 구조는 구체적으로 진세노사이드 Rx로 명명되며, 진세노사이드 Rx에 있어서, "R"은 뿌리(Radix 혹은 Root)를 의미하고, "x"는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상에 나타나는 스팟(spot)의 이동 거리(Rf값)에 따라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o, a, b, c, d, e, f, g 및 h 등의 순서로 이름을 붙인 것이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명명법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및 그 구조를 나타내면 하기 표 1과 같으며, 구조는 모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화학식 중 R1 내지 R3의 치환기만 상이하다.
진세노사이드 화합물명 화학식 1의 치환기
R1 R2
진세노사이드 Rb1 -glc(2-1)glc -glc-glc
진세노사이드 Rb2 -glc(2-1)glc -glc-ara(pyr)
진세노사이드 Rc -glc(2-1)glc -glc-ara(fur)
진세노사이드 Rd -glc(2-1)glc -glc
컴파운드 O -glc -glc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의 추출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인삼의 추출물은 인삼의 뿌리, 줄기, 잎 또는 과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인삼의 뿌리 또는 잎으로부터 추출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삼의 추출물은 그 추출 부위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삼의 추출물은 건조된 인삼의 전초 또는 일 부위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로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그 추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의 추출물에 유기용매, 예를 들어,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이를 정제 분획한 뒤,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으나, 그 분리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삼 (Panax ginseng)은 드룹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활성산소의 생성 및 작용을 억제하는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여, 항산화에 따른 피부 노화를 방지 효능이 우수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및 멜라닌의 생성 및 작용을 억제하는 피부 미백 효능이 우수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개선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며, 그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개선용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균 효과, 특히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항균용이며, 또한 항염 효과를 제공하므로 항염증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 시 피지 분비를 억제시켜 피지 분비 조절 효과가 우수하고, 두피에 적용 시 피지 분비를 조절하여 비듬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 조절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 시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에 영양분을 원활하게 공급하고 피부 노화를 억제시켜 혈색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탁월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혈색 개선용이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중에서의 항산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중에서의 항노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중에서의 피부 미백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중에서의 피부 보습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중에서의 피부 주름 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중에서의 여드름 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중에서의 항균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중에서의 항염증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중에서의 피부 혈색 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중에서의 피지 조절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노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혈색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특히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001 중량%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을 실험하기 위한 진세노사이드 Rd는 앰보연구소 (Ambo Institute)에서 제조된 순품 GINSENOSIDE 상품명 Ginsenoside Rd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참고예 2> 컴파운드 O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을 실험하기 위한 진세노사이드 Rd는 앰보연구소에서 제조된 순품 GINSENOSIDE 상품명 Compound O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활성 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억제 효과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세포주: HaCaT; 입수처: ATCC)를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104개를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16시간 후, 진세노사이드 Rd를 1%로 처리하였다. 이 때 비교를 위하여 대조군은 진세노사이드 Rd를 처리하지 않았다. 2시간 뒤에 배양액을 제거한 후, 각 웰에 100㎕의 인산완충염액(PBS)을 넣었다. 이 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 B(UVB) 램프(Model: F15T8, UV B 15 W, Sankyo Dennki社,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30mJ/㎠를 조사한 다음, PBS를 덜어내고 각 웰에 각질형성세포 배양액 200㎕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진세노사이드 Rd를 다시 처리하고 일정 시간대별로 자외선 자극에 의해 증가한 활성 산소종의 양을 정량하였다. ROS의 양은 ROS에 의해 산화되는 DCF-DA(dichlorofluorescin diacetate)의 형광을 측정하는 Tan의 방법을 참고하여 정량하였으며(Tan et al., 1998, J. Cell Biol. Vol. 141, pp1423-1432), 비히클만 처리한 대조군의 ROS에 대한 비율을 산출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UVB 30 mJ/cm2 조사 후 경과된 시간
0hr 2hr 3hr
비히클 100 244 287
UVB + 비히클 100 325 381
UVB + 진세노사이드 Rd 100 251 286
UVB + 컴파운드 O 100 251 286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Rd 및 컴파운드 O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ROS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자외선 자극 후 ROS의 양이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ROS의 생성을 억제할 정도로 항산화 효능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산화를 억제하고 노화를 막음으로써 모공이 넓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피부 자극의 생성을 방어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티로시나제 효소는 버섯류(Mushroom)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티로신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0.3mg/ml의 용액으로 만들고 그 용액을 1.0ml씩 시험관에 넣은 다음, 여기에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용액(0.1mol 농도, pH 6.8) 1.0ml 및 증류수 0.7ml를 첨가하였다.
시료액으로 0.2ml를 반응액에 넣은 다음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음성대조군(무첨가)으로는 각 시료액 대신 용매만을 0.2ml 넣은 것으로 준비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이 반응액에 2500유닛/ml의 티로시나제 용액 0.1ml씩을 넣고 다시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물 속에 넣어서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광전분광분석계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는 하기 수학식 1로 산출하였다. 상기 시료액은 진세노사이드 Rd 및 컴파운드 O에 대하여 각각 실시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6012083-appb-I000003
시험물질 티로시나제 저해율(%)
음성대조군(무첨가) 0
아스코브산 56
진세노사이드 Rd 68
컴파운드 O 76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진세노사이드 Rd 및 컴파운드 O는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진세노사이드 Rd 또는 컴파운드 O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본 시험예에 사용된 B16/F10 멜라노마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의 악성화로 생긴 암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 배양 중에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이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 하였다. 본 시험예에서 사용된 B16/F10 멜라노마는 한국세포주은행(Korean Cell Line Bank, KCLB No: 8008)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0 멜라노마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0 멜라노마를 6 웰 플레이트에 5×105/웰로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MCO-20AIC, Sanyo)에서 약 24시간동안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FBS가 없는 새로운 DMEM 배지에 시험물질을 첨가하고 72시간 경과시켰다. 이 때 사용한 시험물질은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트립신-EDTA를 처리하고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DMSO를 함유한 1N NaOH를 이용해 95℃에서 멜라닌을 용해하였다. ELISA 리더(DIbiotech, Korea)를 활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서의 멜라닌 함량과 비교하여 각 시험물질의 멜라닌 생성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2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16012083-appb-I000004
시험물질 멜라닌생성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0
코지산 49
진세노사이드 Rd 67
컴파운드 O 71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진세노사이드 Rd 또는 컴파운드 O는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상승되며, 진세노사이드 Rd 또는 컴파운드 O 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예 3> 제형예 1, 2 및 비교제형예 1의 제조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배합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비교제형예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진세노사이드 Rd 0.5 - -
컴파운드 O - 0.5 -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시험예 4> 피부 보습력 증가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1, 2 및 비교제형예 1을 이용하였고,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건조 피부로 분류된 40~50대 성인 남녀 50명을 각각 제형예 1, 2 및 비교제형예 1의 3개 군에 대해 10명씩 3개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피부수분량측정기(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Co., 독일)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의 결과는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피부 수분량 측정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시험군 수분 증가율 (%)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6주 경과
제형예 1 29 31 31 33
제형예 2 29 32 34 32
비교제형예 1 27 30 28 17
상기 표 6의 결과를 보면, 비교제형예 1을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가 이루어진 4주까지는 약 30% 이하의 수분 증가율을 보이지만, 도포를 중지한 후에는 피부수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진세노사이드 Rd 또는 컴파운드 O를 함유한 제형예 1 또는 제형예 2를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를 중지한 후에도 30% 이상의 피부수분 증가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항균력 효과 측정
진세노사이드 Rd 및 컴파운드 O의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해 항균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 사용한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에스체리치아 콜리 (Escherichia coli), 세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균주는 트립티케이스 대두 배지(Tryptic Soy Broth)에서, 캔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아스퍼질러스 니거 (Aspergillus niger) 균주는 사부로 덱스트로오스 배지(Sabouraud Dextrose Broth)에서 배양했다. 배양액을 각 배지에 1/100 (캔디다 알비칸스 균주는 1/10) 희석한 희석액을 시험균액으로 사용하였다. 아스퍼질러스 니거는 2×108 cfu/ml이 되도록 제조한 포자 현탁액을 시험균액으로 사용하였다.
각 배지 15ml에 상기 시험균액을 0.15ml 첨가하여 잘 혼합한 것을 희석용액으로 사용하였다.
96 딥 웰 플레이트(96 well plate) 1번 행에 진세노사이드 Rd 10 ppm을 16㎕씩 넣고, 희석용액을 184㎕씩 넣었다. 나머지 웰들에는 희석용액 100㎕씩을 넣었다. 1번 행의 혼합액을 잘 섞어준 다음 100㎕를 취하여 2번 행에 넣고 잘 섞어준 다음, 다시 100㎕를 취하여 3번 행에 넣는 방식으로 2배씩 희석시켰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에스체리치아 콜리 (Escherichia coli), 세도모나스 애루지노사 (Pseudomonas aeruginosa)는 32℃ 항온조에서, 캔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아스퍼질러스 니거( Aspergillus nger)는 25℃ 항온조에서 배양하였으며, 48시간 후에 균 증식여부를 현탁도와 현미경으로 확인하여 최소저해농도(MIC) 값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d을 컴파운드 O로 대신한 시험을 동일한 과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 역시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최소저해농도(MIC), 단위 %
세도모나스애루지노사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에스체리치아 콜리 캔디다 알비칸스 아스퍼질러스 니거
진세노사이드 Rd 0.25 0.07 0.191 >4 >3
컴파운드 O 0.11 0.4 0.162 >3 >1
<시험예 6> 피지 감소 효과 측정
상기 제형예 1, 2 및 비교제형예 1의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피지분비가 많다고 느끼는 피험자 남녀 30명을 선정하여 지정된 부위에 제형예 1, 2 및 비교제형예 1의 영양크림을 4주간 매일 바르게 하였다. 피지감소의 효과에 대한 판정은 피지량 측정기(Sebumeter SM810, C+K Electronic Co., 독일)를 사용하여 2주 및 4주 경과 후 평균 피지 감소율(%)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피지 감소율(%)
2주 경과 후 4주 경과 후
제형예 1 33 41
제형예 2 35 43
비교제형예 1 5 5
상기 표 8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형예 1은 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1 보다 과잉으로 분비되는 피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파운드 O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형예 2는, 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1보다 과잉으로 분비되는 피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화장수
아래 표 9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한다.
함량(중량%)
진세노사이드 Rd 및/또는 컴파운드 O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2] 영양 크림
아래 표 10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 크림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진세노사이드 Rd 및/또는 컴파운드 O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락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3] 마사지 크림
아래 표 11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 크림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진세노사이드 Rd 및/또는 컴파운드 O 0.5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4] 팩
아래 표 12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진세노사이드 Rd 및/또는 컴파운드 O 0.5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5] 젤
아래 표 13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진세노사이드 Rd 및/또는 컴파운드 O 0.25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5.0
PEG 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6] 연고
아래 표 14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함량(중량%)
진세노사이드 Rd 및/또는 컴파운드 O 0.5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12083-appb-I000005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glc(2-1)glc이고, R2는 -glc-ara(fur)인 화합물이거나 또는 R1은 -glc이고, R2는 -glc-ara(fur)인 화합물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용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균용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 조절용인 화장료 조성물.
PCT/KR2016/012083 2015-10-30 2016-10-26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074022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860205.0A EP3354255B1 (en) 2015-10-30 2016-10-26 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oside as active ingredient
US15/772,272 US10835470B2 (en) 2015-10-30 2016-10-26 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oside as active ingredient
JP2018521827A JP2018531968A (ja) 2015-10-30 2016-10-26 ジンセノサイド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N201680064068.3A CN108348437B (zh) 2015-10-30 2016-10-26 含有人参皂苷作为有效成分的化妆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448 2015-10-30
KR1020150152448A KR102451839B1 (ko) 2015-10-30 2015-10-30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4022A1 true WO2017074022A1 (ko) 2017-05-04

Family

ID=5863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083 WO2017074022A1 (ko) 2015-10-30 2016-10-26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35470B2 (ko)
EP (1) EP3354255B1 (ko)
JP (1) JP2018531968A (ko)
KR (1) KR102451839B1 (ko)
CN (1) CN108348437B (ko)
TW (1) TWI742007B (ko)
WO (1) WO201707402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8397A1 (en) * 2010-05-24 2011-12-29 Korea Natual Scienceco., Ltd. Method for preparing high purity ginsenoside rd using lactobacillus casei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comprising the high purity ginsenoside rd
KR20140022618A (ko) * 2012-08-14 2014-02-25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흑인삼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40026818A (ko) * 2012-08-23 2014-03-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겔 및 비휘발성 분산매를 함유하는 습식성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4774A (ko) * 2013-12-24 2015-07-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 R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8868A (ko) * 2013-12-31 2015-07-08 (주)에이씨티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107A (ja) * 2002-04-23 2003-11-06 Osaka Yakuhin Kenkyusho:Kk 高麗人参サポニン類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EP2026827A1 (en) * 2006-05-17 2009-02-25 Bayer Consumer Care AG Use of ginsenosides and extracts containing them
KR100802005B1 (ko) * 2006-06-02 2008-02-12 청강문화산업대학 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를 이용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
KR20080104600A (ko) * 2007-05-28 2008-12-03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촉진, 혈관신생촉진, 및허혈성 심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080105470A (ko) * 2007-05-31 2008-12-04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510673B1 (ko) 2008-10-31 2015-04-10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사포닌의 장내 세균 대사 억제용 조성물
CN102362841A (zh) * 2011-06-14 2012-02-29 王萍 三七养肤膏霜类化妆品
KR101469810B1 (ko) * 2012-07-03 2014-12-05 (주)에이씨티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29134A1 (ja) * 2013-08-27 2015-03-05 金氏高麗人参株式会社 ジンセノサイド組成物
CN105267049A (zh) * 2014-07-17 2016-01-27 常熟浸大科技有限公司 一种分层式面膜
JP5748256B1 (ja) * 2014-09-04 2015-07-15 金氏高麗人参株式会社 ジンセノサイド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8397A1 (en) * 2010-05-24 2011-12-29 Korea Natual Scienceco., Ltd. Method for preparing high purity ginsenoside rd using lactobacillus casei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comprising the high purity ginsenoside rd
KR20140022618A (ko) * 2012-08-14 2014-02-25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흑인삼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40026818A (ko) * 2012-08-23 2014-03-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겔 및 비휘발성 분산매를 함유하는 습식성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4774A (ko) * 2013-12-24 2015-07-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 R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8868A (ko) * 2013-12-31 2015-07-08 (주)에이씨티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354255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1968A (ja) 2018-11-01
US10835470B2 (en) 2020-11-17
CN108348437B (zh) 2021-08-31
EP3354255A1 (en) 2018-08-01
TWI742007B (zh) 2021-10-11
TW201720423A (zh) 2017-06-16
KR20170050650A (ko) 2017-05-11
EP3354255B1 (en) 2022-09-07
US20180318198A1 (en) 2018-11-08
CN108348437A (zh) 2018-07-31
EP3354255A4 (en) 2019-08-14
KR102451839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797B1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1122869A2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2021463B1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9088720A1 (ko)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198712A (ja) 化粧料組成物
WO2013115456A1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CN108498365B (zh) 含有人参皂苷rf的皮肤外用剂组合物
WO2022191551A1 (ko) 칸나비게롤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7074022A1 (ko)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764B1 (ko) 진세노사이드 Rh4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2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TWI787173B (zh) 作為有效成分含有人參皂苷的化妝品組合物的用途
KR20140003197A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3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7970251B (zh) 含有人参皂苷Mc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102020754B1 (ko) 진세노사이드 y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7427008A (zh) 昙花提取物及其应用
WO2019107723A1 (ko)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20180064360A (ko) 발아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02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21827

Country of ref document: JP

Ref document number: 20168602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7227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