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36198A1 -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36198A1
WO2016036198A1 PCT/KR2015/009364 KR2015009364W WO2016036198A1 WO 2016036198 A1 WO2016036198 A1 WO 2016036198A1 KR 2015009364 W KR2015009364 W KR 2015009364W WO 2016036198 A1 WO2016036198 A1 WO 20160361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tent
fragrance
acetate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93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윤옥
강성휘
윤보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JP201751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JP6821553B2/ja
Priority to CN201580046823.0A priority patent/CN106714852B/zh
Publication of WO20160361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36198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fragrance composition that can reproduce the plum blossom scent.
  • Prunus salicina is a deciduous arborescent of the dicotyledonous plant Rosaceae, reaching 10m in height, and its bark is a black-brown, broad-leaved broad-leaved tall-leaved tree.
  • Plum trees are resistant to pests and have good soil adaptation, so they can be grown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 the plum flower was a precious flower that was used as an imperial crest symbolizing the Korean Empire as the Emperor Gojong's crystal.
  • the fragrance is so beautiful and beautiful that the plum flower festival is held every year in Gimcheon, the nation's largest plum plantation.
  • Plum blossoms have a unique scent, but the public's recognition is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plum fruit, it is necessary to reproduce the scent of plum blossoms as it is to develop a fragrance composition having a distinctive and new characteristics.
  • 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reproduce the intrinsic odor of plum blossoms, and to provide a perfum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palatability.
  •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plum blossom odor component; And an artificial perfume component, wherein the artificial perfume component is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nalul,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ntaining the perfume composition.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personal care product including the perfume composition.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home care product including the perfume composition.
  • Perfum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reproduce the plum blossom scent.
  • the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 high similarity and / or a high fragrance satisfaction with a plum blossom fragrance.
  • the term “combination of these” included in the expression of the makushi form means one or more mixtures or combin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onstituents described in the expression of the makushi form, wherein the constituents Mean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plum blossom odor component; And an artificial perfume component, wherein the artificial perfume component is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nalul,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 Plum flower fragrance ingredi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natural component of plum flower.
  • the plum blossom odor component is anethol (Anethole), limonene (Limonene), 2-aminobenzaldehyde (2-Aminobenzaldehyde), carbon (Carvone), methyl salicylate (Methyl salicylate ), Benzaldehyde, methyl nonyl ketone and benzyl alcohol.
  • the plum blossom odor component further comprises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isealdehyde (Anisaldehyde), hexyl acetate (Mexyl acetate) and methyl cinnamate (Methyl cinnamate).
  • Anethole, Limonene, 2-Aminobenzaldehyde, 2-Carbenone, Carbone, Methyl salicylate, Benzaldehyde, Benzaldehyde, Methyl nonyl ketone ketone, benzyl alcohol, anisaldehyde, hexyl acetate and methyl cinnamate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scent of plum blossoms. However, when only the plum blossom odor component is included, the inherent odor of the plum blossom cannot be reproduced.
  • the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urther comprises one or two or more artificial fragrance components in the group consisting of linalul,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in addition to the plum blossom fragrance component, plum blossom fragrance Can be reproduced, and can have excellent palatability.
  • the plum blossom fragrance component can be obtained by using an effective headspace analysis method for analyzing the fragrance substance of natural products.
  • extraction methods using a solvent include extraction (extraction) using a solvent and distillation using water vapor (distillation), but the above methods are used to remove the perfume components by heating or depressurizing during the extraction of the perfume components.
  • headspace method and the solid-phase micro extraction (SPME) method have been developed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Unlike conventional methods, these two methods do not use solvents and do not require pre-treatment of the sample, so there is no need for a large amount of samples, and the fragrance components can be analyzed by the sample itself. It can be said.
  • the plum blossom odor component may be analyzed and / or collected using the headspace method,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ethod.
  • the content of the natural content of the plum flower is 75 wt% to 98 wt% based on the total fragrance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artificial fragrance is 2 wt% to 25 wt% based on the total fragrance composition %to be.
  • the fragrance composition within the above range may have a high reproducibility and / or high affinity of the plum blossom scent.
  • the cont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range,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 the artificial flavor is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nalul,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 the artificial fragrance includes hedion.
  • the artificial flavor is Hedion; And linalul,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 the artificial flavors include linalul,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 the plum blossom odor component is anethol (Anethole), limonene (Limonene), 2-aminobenzaldehyde (2-Aminobenzaldehyde), carbon (Carvone), methyl salicylate (Methyl salicylate ), Benzaldehyde, methyl nonyl ketone and benzyl alcohol
  • the artificial flavoring ingredients include linalul,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 the content of anetitol is 15% to 35% by weight
  • the content of limonene is 12.5% to 25% by weight
  • the content of 2-aminobenzaldehyde is 7% to 17%.
  • Wt% carbon content is 2.5 wt% to 8.5 wt%
  • methyl salicylate is 1.8 wt% to 7 wt%
  • benzaldehyde content is 4 wt% to 8 wt%
  • methyl nonyl The ketone content is 0.8 wt% to 3 wt%
  • the benzyl alcohol content is 0.8 wt% to 1.8 wt%
  • the linalulule content is 8 wt% to 18 wt%
  • the content of hedion is 9 wt% to 20% by weight
  • the content of linaryl acetate is from 3% by weight to 9.5% by weight
  • the content of benzyl acetate is from 2% by weight to 8% by weight.
  • the plum blossom odor component further includes anisealdehyde, hexyl acetate, and methyl cinnamate, and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perfume composition, anise
  • the content of aldehyde is 0.3% by weight to 1.5% by weight
  • the content of hexyl acetate is 0.2% by weight to 0.6% by weight
  • the content of methyl cinnamate is 0.1% by weight to 0.3% by weight.
  • the plum blossom fragrance component and artificial fragrance component may be used through the use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eparated from plants or synthesiz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ntaining the perfume composition.
  • the skin external preparations include basic cosmetics, makeup cosmetics or body cosmetics, ointments, and the like,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formulation, and include gels, lotions, ampoules, emulsions, gels, ointments, patches, sprays, and creams. It may be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formulation of the basic cosmetics or body cosmetics but there are lotions, creams, essences, gels, lotions, packs, nutrition creams, massage creams, emulsions, baths, sun screen creams, sun oils, but not limited thereto.
  • the formulation of the makeup cosmetics herein such as foundation, makeup base, lipstick, eye shadow, eyeliner, mascara, eyebrow pencil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personal care product including the perfume composition.
  • the personal care products include hair products such as shampoos, rinses, conditioners, waxes, gels and mousses; Oral products such as toothpaste and gargle; Skin cleaners such as soaps, cleansing creams, cleansing foams, cleansing water and cleansing oils; Perfumes, and the like.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home care product including the perfume composition.
  • the home care product includes a fragrance; And detergents such as a liquid detergent, a kitchen detergent, a laundry detergent, a bathroom detergent,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further, according to the dosage form,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art such as perfumes, pigments, fungicides, antioxidants, preservatives, moisturizers, thickeners, inorganic salts, synthetic polymers, etc. It may include.
  • the external preparations for skin, personal care products and home care produ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not impair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limit the included content and formulation, by selecting the additives described above, the desired formulation as needed It can be prepared by selecting.
  • the headspace analysis method is a method for collecting a sample odor component as it is in the natural state
  • the headspace analysis method w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ethod described in the literature as follows. They picked out the fragrant plum branches and covered them with airtight vinyl, and forced the air to circulate through the teenax column.
  • the collection site was a plum farm located in Gimcheon-si, Gyeongsangbuk-do, and the collection took place for 7 hours.
  • the odor collected teenax column was connected to a gas chromatography analysis device to analyze the type and content of the collected odor componen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Oven temperature 40 ° C (5 minutes) to 230 ° C (100 minutes), 3.0 ° C / min
  • the natural plum blossom odor component is 28.8% by weight of Anethole, 20.8% by weight of Limonene, 14.7% by weight of 2-Aminobenzaldehyde, Carbon 8.0 Wt%, methyl salicylate 5.9 wt%, benzaldehyde 5.1 wt%, methyl nonyl ketone 1.4 wt%, benzyl alcohol 1.3 wt%, anisaldehyde ) 0.85% by weight, hexyl acetate 0.39% by weight and methyl cinnamate 0.26% by weight.
  • the total amount of the ingredient is about 87.5% by weight based on the whole natural plum blossom flavor component.
  • the plum blossom scent has a distinctive scent of mellow flowers, sweet honey and fruit. Therefore, the fragranc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artificial fragrance components of linalul,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ove-mentioned plum blossom fragrance.
  • Perfume was prepared from a combination of the ingredients in Table 3 below.
  • the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18 healthy women aged 27 to 46 years. Evaluation of the fragrance reproducibility of the plum flower original was evaluated by the five-point rating method for the perfum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by the questionnaire of Table 4 below. The evaluation room and the sample preparation room were separated so that the evaluator did not have prior knowledge of the sample.
  •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37.1 years and 18 women.
  • Comparative Example 1 including only the plum blossom odor component based on the analysis of Experimental Example 1 shows a very low similarity.
  •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which are fragrance compositions prepared by adjusting the content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plum blossom fragrance components, can be confirmed that the increase in similarity with the original fragrance of plum blossoms is insignificant.
  • Examples 1 to 5 including one or two or more artificial flavor components of linalul,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can be confirmed to increase the similarity to the original smell of plum flowers.
  • Example 2 the similarity of Examples 2 to 5 including hedion is high, and as a result of Example 2, the artificial flavor component including a plum blossom flavor component and linalul,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It can be seen that the similarity is increased the most when including.
  • the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18 healthy women aged 27 to 46 years. Evaluation of the perfume preference was evaluated by the five-point scoring method for the perfum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by the questionnaire of Table 6. The evaluation room and the sample preparation room were separated so that the evaluator did not have prior knowledge of the sample.
  • Table 7 shows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evaluation of the plum blossom scent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Examples 1 to 5.
  •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37.1 years and 18 women.
  • Comparative Example 1 including only the plum blossom odor component based on the analysis of Experimental Example 1 shows a very low satisfaction.
  • the satisfaction of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which is a fragrance composition prepared by adjusting the content of the main component of the plum blossom fragrance component is also less than the average of satisfaction evaluation.
  • Examples 1 to 5 including one or two or more artificial flavor components of linalul, hedione, linar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may be confirmed to increase satisfaction.
  • Example 2 the satisfaction of Examples 2 to 5 including hedion is high, and as a result of Example 2, the artificial flavor component including a plum blossom odor component and linalul,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If it includes the can be seen that the satisfaction increases the most.
  • the plum blossom scent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nalool (Linalool), hedione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benzyl acetate)
  • the plum blossom scent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nalool (Linalool), hedione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benzyl acetate)
  • the plum blossom scent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nalool (Linalool), hedione (Hedione), linalyl acetate, and benzyl acetate (benzyl acet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 Seasoning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자두꽃 향취 성분; 및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료 조성물
본 명세서는 자두꽃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두나무(Prunus salicina)는 쌍떡잎 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으로 높이 10m에 달하며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불규칙하게 갈라지는 장미과의 갈잎 큰키나무이다. 한반도 중부지방에서 자라며, 자도나무, 오얏나무라고도 한다. 자두나무는 병충해에 강하고 토양적응성이 좋아서 한반도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자두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흰꽃이 보통 3개씩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톱니가 약간 있고 꽃잎의 길이는 1cm이다. 자두꽃은 고종황제의 결정으로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황실 문장으로도 사용되었던 귀한 꽃이었으며 그 향기가 진하고 아름다워서 전국 최대의 자두 재배지인 김천에서는 매년 자두꽃 축제가 열리고 있다.
자두꽃은 고유의 향취를 갖고 있지만 자두 열매에 비해 아직 대중들의 인지도가 미흡하므로 자두꽃의 향취를 그대로 재현하여 차별화되고 새로운 특징을 갖는 향료 조성물 개발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자두꽃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고,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는 자두꽃 향취 성분; 및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인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자두꽃 향취를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자두꽃 향취와의 높은 유사도 및/또는 높은 향취의 만족도를 갖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는 자두꽃 향취 성분; 및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인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자두꽃 향취 성분은 자두꽃의 천연 성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은 아네톨(Anethole), 리모넨(Limonene), 2-아미노벤즈알데하이드(2-Aminobenzaldehyde), 카르본(Carvone),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메틸 노닐 케톤(Methyl nonyl ketone) 및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은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헥실 아세테이트(Hexyl acetate) 및 메틸 신나메이트(Methyl cinnam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아네톨(Anethole), 리모넨(Limonene), 2-아미노벤즈알데하이드(2-Aminobenzaldehyde), 카르본(Carvone),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메틸 노닐 케톤(Methyl nonyl ketone),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헥실 아세테이트(Hexyl acetate) 및 메틸 신나메이트(Methyl cinnamate) 등은 자두꽃 향취의 주성분이다. 그러나,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만을 포함하는 경우, 자두꽃의 고유한 향취를 재현할 수 없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 외에도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공 향료 성분을 더 포함함으로써, 자두꽃 향취를 재현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호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은 천연물의 향취물질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헤드스페이스 분석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향취를 채취하는 방법으로는 용매를 사용한 추출법(extraction), 수증기를 이용한 증류법(distillation) 등이 사용되어지나, 상기의 방법들은 향취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 가열, 감압 등에 의한 향취성분의 소실, 변화 등을 초래하여 원물질이 가지는 향취 특징과 많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과 SPME (Solid-Phase Micro Extraction)법 등이 개발되었다. 이 두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시료의 전처리도 필요 없으므로 다량의 시료가 필요 없고 시료자체를 가지고 향취 성분을 분석할 수 있어 시료가 가지는 본래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은 헤드스페이스법을 이용하여 분석 및/또는 채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두꽃 천연 성분의 함량은 전체 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75 중량% 내지 98 중량%이고, 상기 인공 향료의 함량은 전체 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2 중량% 내지 25 중량%이다.
상기 인공 향료의 함량이 전체 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향취의 유사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 내에서의 향료 조성물은 자두꽃 향취의 높은 재현성 및/또는 높은 선호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범위의 함량에 한정하지 않으며, 조성물의 목적, 제형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공 향료는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공 향료는 헤디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공향료는 헤디온; 및 리날룰,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공 향료는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은 아네톨(Anethole), 리모넨(Limonene), 2-아미노벤즈알데하이드(2-Aminobenzaldehyde), 카르본(Carvone),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메틸 노닐 케톤(Methyl nonyl ketone) 및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을 포함하며,
상기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아네톨의 함량은 15 중량% 내지 35 중량%이고, 리모넨의 함량은 12.5 중량% 내지 25 중량%이며, 2-아미노벤즈알데하이드의 함량은 7 중량% 내지 17중량% 이고, 카르본의 함량은 2.5 중량% 내지 8.5 중량%이며, 메틸 살리실레이트의 함량은 1.8 중량% 내지 7 중량%이고, 벤즈알데하이드의 함량은 4 중량% 내지 8 중량%이며, 메틸 노닐 케톤의 함량은 0.8 중량% 내지 3 중량%이고, 벤질 알코올의 함량은 0.8 중량% 내지 1.8 중량%이며, 리날룰의 함량은 8 중량% 내지 18 중량% 이고, 헤디온의 함량은 9 중량% 내지 20 중량% 이며, 리나릴 아세테이트의 함량은 3 중량% 내지 9.5 중량%이고, 벤질 아세테이트의 함량은 2 중량% 내지 8 중량%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은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헥실 아세테이트(Hexyl acetate) 및 메틸 신나메이트(Methyl cinnamate)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아니스알데하이드의 함량은 0.3 중량% 내지 1.5 중량%이며, 헥실 아세테이트의 함량은 0.2 중량% 내지 0.6 중량%이고, 메틸 신나메이트의 함량은 0.1 중량% 내지 0.3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 및 인공 향료 성분은 시판품의 사용, 식물로부터 분리 또는 합성을 통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로는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또는 바디 화장품, 연고 등이 있으며,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겔, 로션, 앰플, 유액, 젤, 연고, 패취, 분무제 및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초화장품 또는 바디화장품의 제형으로 로션, 크림, 에센스, 젤, 화장수, 팩,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유액,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의 제형으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는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퍼스널케어 제품으로는 샴푸, 린스, 컨디셔너, 왁스, 젤, 무스 등의 헤어 제품; 치약, 가글 등의 구강제품; 비누,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오일 등의 피부세정제; 향수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는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홈케어 제품으로는 방향제; 및 액체 세정제, 주방세제, 세탁세제, 욕실 세제 등의 세제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물질 등의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퍼스널케어 제품 및 홈케어 제품은 본 명세서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각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되는 함량 및 제형을 한정하지 않으며, 전술한 첨가제를 선택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원하는 제형을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을 이용한 자두꽃의 향취 성분 분석
헤드스페이스 분석방법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시료 향취 성분을 채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헤드스페이스 분석법을 사용하였고,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향취가 강한 자두나무 가지를 골라 자두나무 꽃 부분에 밀폐가 가능한 비닐을 씌우고 동력 장치로 외부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면서 순환된 공기가 teenax 컬럼을 통과하게 하여 향취 성분을 포집하였다. 포집장소는 경상북도 김천시에 위치한 자두농가였고 7시간 동안 포집이 이루어졌다. 향취가 포집된 teenax 컬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장치에 연결하여 포집된 향취 성분의 종류와 함량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 조건>
분석기기: Agilent 7890A
검출기: FID/MSD 1:1
컬럼: TC-WAX 30m ×250㎛×0.25㎛     
주입부 온도: 100℃
검출부 온도: 250℃
오븐온도: 40 ℃(5분) ~ 230 ℃(100분), 3.0℃/분     
이동상기체: He
주입량: 1㎕
향료명 중량%
아네톨 28.8
리모넨 20.8
2-아미노벤즈알데하이드 14.7
카르본 8.0
메틸 살리실레이트 5.9
벤즈알데하이드 5.1
메틸 노닐 케톤 1.4
벤질 알코올 1.3
아니스알데하이드 0.85
헥실 아세테이트 0.39
메틸 신나메이트 0.26
기타 12.5
총함량 100.00
상기와 같이 분석한 결과, 천연 자두꽃 향취 성분은 아네톨(Anethole) 28.8 중량%, 리모넨(Limonene) 20.8 중량%, 2-아미노벤즈알데하이드(2-Aminobenzaldehyde) 14.7 중량%, 카르본(Carvone) 8.0 중량%,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5.9 중량%,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5.1 중량%, 메틸 노닐 케톤(Methyl nonyl ketone) 1.4 중량%,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1.3 중량%,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0.85 중량%, 헥실 아세테이트(Hexyl acetate) 0.39 중량% 및 메틸 신나메이트(Methyl cinnamate) 0.26 중량%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천연 자두꽃 향취 성분의 전체에 대해서 상기 성분의 총량은 약 87.5 중량%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자두꽃 향취 재현 향료의 제조 및 원물 향기와의 향취 비교
향료업계에 종사하는 전문가 11 명이 자두꽃 원물 향기와 하기 표 2의 조합으로 구성된 재현 향료(표 2 참조)에 대해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향료명 중량%
아네톨 28.8
리모넨 20.8
2-아미노벤즈알데하이드 14.7
카르본 8.0
메틸 살리실레이트 5.9
벤즈알데하이드 5.1
메틸 노닐 케톤 1.4
벤질 알코올 1.3
아니스알데하이드 0.85
헥실 아세테이트 0.39
메틸 신나메이트 0.26
기타 12.5
총함량 100.00
평가 결과, 상기 표 2에 의해 조합된 자두꽃 재현 향료는 자두꽃 원물 향기와의 유사성이 낮으며 향의 만족도는 미흡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헤드스페이스 (Headspace)분석 결과만으로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하는 것은 부적합하다. 상기 표 1의 헤드스페이스 (Headspace) 결과를 기초로 새로운 향취 성분을 추가하여 자두꽃 향취 재현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향료 조성물의 제조
자두꽃 향은 부드러운 꽃 향기에 달콤한 꿀 향기와 과일 향이 어우러진 특징적인 고유의 향취를 갖고 있다. 따라서 자두꽃 향취 성분 외에 전술한 자두꽃 향취의 특징을 가지는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의 인공 향료 성분을 추가하여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의 성분들의 조합으로 향료를 제조하였다.
향료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아네톨 28.8 30.8 25.0 25.5 17.0 22.5 20.5 23.0
리모넨 20.8 21.8 18.5 17.0 16.5 18.5 17.0 17.5
2-아미노 벤즈알데하이드 14.7 14.7 16.0 15.0 8.5 10.7 11.5 13.0
카르본 8.0 7.5 5.5 3.0 3.7 4.5 3.0 3.5
메틸 살리실레이트 5.9 4.9 3.5 2.5 2.0 2.5 2.0 2.0
벤즈알데하이드 5.1 5.1 7.0 5.3 5.0 7.1 4.5 4.5
메틸 노닐 케톤 1.4 1.2 1.5 1.4 1.4 2.0 1.2 1.2
벤질 알코올 1.3 1.3 1.0 1.5 1.0 1.5 1.0 1.0
아니스 알데하이드 0.85 0.8 0.5 1.0 0.8 1.3 0.8 0.5
헥실 아세테이트 0.39 0.4 0.3 0.5 0.3 0.4 0.3 0.3
메틸 신나메이트 0.26 0.2 0.2 0.22 0.1 0.1 0.22 0.1
리날룰 - - - 12.0 12.5 - 10.0 10.5
헤디온 - - - - 16.0 10.5 16.5 15.0
리나릴 아세테이트 - - - 7.0 8.0 6.5 - 6.0
벤질 아세테이트 - - - 4.0 5.5 3.5 7.5 -
DPG(Dipropylene Glycol) 12.5 11.3 21.0 4.08 1.70 8.40 3.98 1.9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위: 중량%)
실험예 4. 향료 조성물의 향취 재현성 평가
27세 내지 46세의 신체 건강한 일반 여성 18명을 관능평가 대상자로 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자두꽃 원물의 향취 재현성에 대한 평가는 하기 표 4의 질문지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향료 조성물에 대해서 5점 평점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실과 시료 준비실은 분리하여 평가자가 시료의 사전 인지가 없도록 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5의 자두꽃 향취 재현성 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점수 유사도
1 매우 다르다
2 조금 다르다
3 그저 그렇다
4 조금 비슷하다
5 매우 비슷하다
번호 나이 성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1 38 1 1 2 2 4 3 4 4
2 29 1 2 1 3 5 4 4 4
3 29 1 1 1 3 4 3 4 4
4 38 1 1 1 2 4 3 4 4
5 37 3 3 2 2 4 3 3 3
6 39 3 3 2 2 4 3 4 4
7 35 2 3 2 3 4 4 4 4
8 35 1 1 1 2 5 3 5 4
9 43 2 1 2 2 4 3 3 4
10 40 3 3 2 3 4 3 3 5
11 46 1 2 3 3 4 4 4 4
12 42 1 1 2 3 5 4 4 4
13 40 2 2 3 2 4 3 4 5
14 37 1 3 1 3 4 4 4 4
15 41 3 2 1 2 3 4 4 3
16 38 1 1 2 2 5 3 4 4
17 27 1 2 1 2 4 2 3 4
18 33 1 1 2 3 4 3 5 4
평균 37.1 1.61 1.83 1.72 2.44 4.17 3.28 3.89 4.0
평가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7.1세 이고 여자 18명이었다.
상기 표 5의 결과로 상기 실험예 1의 분석에 기초한 자두꽃 향취 성분만을 포함한 비교예 1은 매우 낮은 유사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두꽃 향취 성분 중 주요 성분의 함량을 조절하여 제조한 향료 조성물인 비교예 2 및 3은 자두꽃 원물 향기와 유사도의 증가는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5는 자두꽃 원물 향취와 유사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헤디온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5의 유사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2의 결과로 자두꽃 향취 성분과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유사도가 가장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향료 조성물의 향취 만족도 평가
27세 내지 46세의 신체 건강한 일반 여성 18명을 관능평가 대상자로 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향취 선호도에 대한 평가는 표 6의 질문지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향료 조성물에 대해서 5점 평점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실과 시료 준비실은 분리하여 평가자가 시료의 사전 인지가 없도록 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5의 자두꽃 향취의 만족도 평가 결과는 표 7에 기재하였다.
점수 만족도
1 매우 좋지 않다
2 조금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조금 좋다
5 매우 좋다
번호 나이 성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1 38 2 1 2 2 4 3 4 5
2 29 2 3 2 3 5 4 4 3
3 29 1 2 2 3 4 3 4 4
4 38 1 2 1 3 4 5 4 4
5 37 2 3 3 3 4 3 3 4
6 39 3 3 2 2 4 3 4 4
7 35 3 3 2 3 5 4 4 5
8 35 1 2 3 3 4 3 5 4
9 43 1 2 1 3 4 3 4 4
10 40 1 3 2 3 4 3 3 4
11 46 1 3 2 4 5 4 4 3
12 42 1 2 2 3 4 4 4 4
13 40 1 2 2 2 4 3 4 5
14 37 2 3 1 3 4 4 4 4
15 41 2 2 1 3 3 4 4 4
16 38 2 2 3 3 5 3 4 3
17 27 2 2 2 3 4 4 3 3
18 33 2 2 2 4 3 3 3 4
평균 37.1 1.67 2.33 1.94 2.94 4.1 3.5 3.83 3.94
평가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7.1세 이고 여자 18명이었다.
상기 표 7의 결과로 보아,
상기 실험예 1의 분석에 기초한 자두꽃 향취 성분만을 포함한 비교예 1은 매우 낮은 만족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두꽃 향취 성분 중 주요 성분의 함량을 조절하여 제조한 향료 조성물인 비교예 2 및 3에 대한 만족도 역시 만족도 평가의 평균 미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5는 만족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헤디온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5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2의 결과로 자두꽃 향취 성분과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만족도가 가장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5 및 표 7의 결과로 보아, 상기의 자두꽃 향취 성분에 리날룰(Linalool), 헤디온 (Hedione),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및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자두꽃 고유의 향취와 높은 유사도 및 만족도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자두꽃 향취 성분; 및 인공 향료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인 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은 아네톨(Anethole), 리모넨(Limonene), 2-아미노벤즈알데하이드(2-Aminobenzaldehyde), 카르본(Carvone),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메틸 노닐 케톤(Methyl nonyl ketone) 및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을 포함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은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헥실 아세테이트(Hexyl acetate) 및 메틸 신나메이트(Methyl cinnam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공 향료는 헤디온을 포함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두꽃 천연 성분의 함량은 전체 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75 중량% 내지 98 중량%이고,
    상기 인공 향료의 함량은 전체 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2 중량% 내지 25 중량%인 것인 향료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공 향료 성분은 리날룰, 헤디온,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벤질 아세테이트을 포함하고,
    상기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아네톨의 함량은 15 중량% 내지 35 중량%이고,
    리모넨의 함량은 12.5 중량% 내지 25 중량%이며,
    2-아미노벤즈알데하이드의 함량은 7 중량% 내지 17중량% 이고,
    카르본의 함량은 2.5 중량% 내지 8.5 중량%이며,
    메틸 살리실레이트의 함량은 1.8 중량% 내지 7 중량%이고,
    벤즈알데하이드의 함량은 4 중량% 내지 8 중량%이며,
    메틸 노닐 케톤의 함량은 0.8 중량% 내지 3 중량%이고,
    벤질 알코올의 함량은 0.8 중량% 내지 1.8 중량%이며,
    리날룰의 함량은 8 중량% 내지 18 중량% 이고,
    헤디온의 함량은 9 중량% 내지 20 중량% 이며,
    리나릴 아세테이트의 함량은 3 중량% 내지 9.5 중량%이고,
    벤질 아세테이트의 함량은 2 중량% 내지 8 중량%인 것인 향료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두꽃 향취 성분은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헥실 아세테이트(Hexyl acetate) 및 메틸 신나메이트(Methyl cinnamate)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아니스알데하이드의 함량은 0.3 중량% 내지 1.5 중량%이며,
    헥실 아세테이트의 함량은 0.2 중량% 내지 0.6 중량%이고,
    메틸 신나메이트의 함량은 0.1 중량% 내지 0.3 중량%인 것인 향료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9.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 제품.
  10.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케어 제품.
PCT/KR2015/009364 2014-09-04 2015-09-04 향료 조성물 WO201603619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512812A JP6821553B2 (ja) 2014-09-04 2015-09-04 香料組成物
CN201580046823.0A CN106714852B (zh) 2014-09-04 2015-09-04 香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732A KR102085097B1 (ko) 2014-09-04 2014-09-04 향료 조성물
KR10-2014-0117732 2014-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6198A1 true WO2016036198A1 (ko) 2016-03-10

Family

ID=5544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9364 WO2016036198A1 (ko) 2014-09-04 2015-09-04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21553B2 (ko)
KR (1) KR102085097B1 (ko)
CN (1) CN106714852B (ko)
WO (1) WO20160361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4990A (zh) * 2018-02-26 2019-09-03 株式会社 Lg 生活健康 重现大花蕙兰粉红香的香味的香料组合物
US10722436B2 (en) 2015-08-10 2020-07-2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854B1 (ko) * 2016-03-18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홍화꽃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13993B1 (ko) * 2016-11-24 2021-02-09 (주)아모레퍼시픽 둥근정향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8097524A1 (ko) * 2016-11-24 2018-05-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둥근정향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3650B1 (ko) 2017-05-04 2018-07-31 코스맥스 주식회사 오얏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60455B1 (ko) * 2018-01-31 2022-10-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류코코리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7033460B2 (ja) * 2018-02-08 2022-03-10 株式会社 資生堂 モジュール香料混合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939B1 (ko) * 2003-02-11 2006-11-10 학교법인 신천학원 자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및 그 추출방법
KR20080038813A (ko) * 2006-10-31 2008-05-07 (주)아모레퍼시픽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10001569A (ko) * 2009-06-30 2011-01-06 (주)아모레퍼시픽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140686A (ko) * 2011-06-14 2012-12-31 한국콜마주식회사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17683A (ko) * 2011-08-11 2013-02-2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9468A5 (fr) * 1978-05-11 1982-04-30 Firmenich & Cie Composes alicycliques insatures, leur utilisation a titre d'ingredients parfumants et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JP2005015686A (ja) * 2003-06-27 2005-01-20 Kiyomitsu Kawasaki フルーツ様香料組成物
KR101470887B1 (ko) 2008-11-28 2014-1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2423353A (zh) * 2011-12-12 2012-04-25 苏州派腾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作用的中药组合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939B1 (ko) * 2003-02-11 2006-11-10 학교법인 신천학원 자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및 그 추출방법
KR20080038813A (ko) * 2006-10-31 2008-05-07 (주)아모레퍼시픽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10001569A (ko) * 2009-06-30 2011-01-06 (주)아모레퍼시픽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140686A (ko) * 2011-06-14 2012-12-31 한국콜마주식회사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17683A (ko) * 2011-08-11 2013-02-2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2436B2 (en) 2015-08-10 2020-07-2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US11179305B2 (en) 2015-08-10 2021-11-23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CN110194990A (zh) * 2018-02-26 2019-09-03 株式会社 Lg 生活健康 重现大花蕙兰粉红香的香味的香料组合物
CN110194990B (zh) * 2018-02-26 2023-08-22 株式会社 Lg 生活健康 重现大花蕙兰粉红香的香味的香料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14852A (zh) 2017-05-24
JP2017529434A (ja) 2017-10-05
KR102085097B1 (ko) 2020-03-05
KR20160028775A (ko) 2016-03-14
JP6821553B2 (ja) 2021-01-27
CN106714852B (zh)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6198A1 (ko) 향료 조성물
US20060003036A1 (en) Solvent based plant extracts
WO2016126010A1 (ko)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8097524A1 (ko) 둥근정향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2064099A2 (ko)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70887B1 (ko) 미선나무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96154B1 (ko) 프리지아 샤이니 골드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14893B1 (ko) 향료 조성물
KR20200094240A (ko) 참나무 수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01195B1 (ko) 향료 조성물
WO2017183744A1 (ko) 향료 조성물
KR20140108054A (ko) 석곡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40062948A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038709A (ko) 학쟈스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6126011A1 (ko) 무화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20200113904A (ko) 피부보호 조성물
KR102104269B1 (ko) 심비디움 아로마핑크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60455B1 (ko) 류코코리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17640B1 (ko) 때죽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81063B1 (ko) 살구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12854B1 (ko) 홍화꽃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6671593B2 (ja) タデスミレ花様香料組成物
KR20240062331A (ko) 생강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고형 타입의 스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3791A (ko) 피나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378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1281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2/09/2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378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