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46648A1 -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46648A1
WO2015046648A1 PCT/KR2013/008704 KR2013008704W WO2015046648A1 WO 2015046648 A1 WO2015046648 A1 WO 2015046648A1 KR 2013008704 W KR2013008704 W KR 2013008704W WO 2015046648 A1 WO2015046648 A1 WO 20150466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emulsion
crystal emulsion
oil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87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준배
박천호
윤명석
유희창
김선미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24,382 priority Critical patent/US9949900B2/en
Priority to CN201380079390.XA priority patent/CN105658196B/zh
Publication of WO20150466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46648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multi-layered lamellar liquid crystal emulsion containing intercellular lipid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 a non-POE nonionic surfactant, a higher fatty alcohol, an oil and a wax.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table liquid crystal emulsion containing a multi-lamellar structure containing an oil phase composed of water and a water phase composed of water, a polyol and other aqueous phase components, and containing intercellular lipids by a process using a rapid cooling method.
  • the stratum corneum the outermost layer of human skin, protects the skin from external harmful environments and harmful substances, and blocks the evaporation of moisture in the human body to prevent skin dryness. Lipids in this stratum corneum play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El i as reported that the lamellae formed by lipids in the stratum corneum is the source of skin barrier function (J. Invest. Dermatol. 69: 535- 546, 1977).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method and the location of skin tissues, Wertz et al. Show that intracellular lipids are approximately 50% ceramide, 20-25% cholesterol, 20-25% free fatty acid, and 10% cholesterol.
  •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are mostly hydrophobic and poorly soluble with high crystallinity, and are not completely dissolved in the oil phase, which is a dispersed phase in conventional oil-in-water emulsion formulations. Instead, it is present in the continuous phase of the aqueous phase, which causes problems with formulation stability, such as gel at ion.
  • stabilization technology is applied by making granules (granules) composed of intercellular lipids and other ingredients and adding them at the last stage in preparing an emulsion dog (Korea Patent Application 2008—0072355). Due to the excessive amount of encapsulated substrate used in the actual amount of intercellular lipids that can be used in the external skin preparations, the saccharide-based or polymer-based encapsulating agen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use of the external skin preparations.
  •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0588743 is a 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crystal emulsion having a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consisting of a P0E-based surfactant, intercellular lipids and higher fatty alcohols.
  • P0E-based surfactants can swell in the emulsion system and ultimately affect the stability of the entire emulsion system (GM Eccleston, Mult iple-phase oi 1-in-water emulsions, J Soc Cosmet Chem., (41) 1-22 1990).
  • the patent uses a phase transition emulsification process using a temperature control, in general, the phase transition emulsification process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particles of uniform size, bu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not easy, Since the slow cooling process of the natural cooling method must be appli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may take a long time to manufacture.
  • Korean Patent Application 2011-0093634 a liquid crystal emulsion was prepared using a glucoside surfactant, ceramide, and oil, but a slow cooling method was used during manufacture.
  • the particle size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rapid drop method of the commodity value, the slow method can produce a liquid crystal emulsion particle of a suitable size, but according to the study of the present inventors to control the size of the particles rather than the cooling method
  • the composition ratio is important.
  • the cetostearyl alcohol did not move to the interface but existed in the oil in a supersaturated state, resulting in less liquid crystal formation and a lower viscosity.
  •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liquid crystal does not precipitate the high-grade fatty alcohol dissolved in the oil phase at a high temperature in crystal form through the engraving process, but is transferred to the liquid crystal phase having two properties of solid and liquid, and thus, at the interface of the particles. It is formed by orienting with surfactants in a constant direction.
  • the cetostearyl alcohol does not move to the interface when the abrupt process is carried out, the cetostearyl alcohol itself is an amphiphilic substance has a property to move to the interface rather than exist in the oil phase. Therefore, the moving speed of the cetostearyl alcohol to the interface can be controlled by the type and oil angle of the oil used.
  • the patent says that the cetostearyl alcohol should contain more than the solubility of the oil, when the excess content may cause a problem of precipitation of the higher fatty alcohol during the production, may also be a problem.
  • the present inventors have diligently research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s.
  • the oily part composed of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 non-POE-based nonionic surfactant, oil and wax, water and polyol Containing the water phase part composed of other water phase components, and confirming that it is possible to make a stable liquid crystal emulsion having a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through a process using a rapid angle method.
  • a stable liquid crystal emulsion having a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through a process using a rapid angle method.
  •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il phase part composed of an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 a non-POE nonionic surfactant, a higher fatty alcohol, an oil and a wax, and an aqueous part composed of water, a poly and other aqueous phase componen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ellar liquid crystal emulsion containing intercellular lipids having a stable liquid crystal emulsion having a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through a process using a rapid cooling metho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liquid crystal emulsion dog prepared using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ellar liquid crystal emulsion dog containing the intercellular lipi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liquid crystal emulsion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the oil of the oil phase (a)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ar oil such as ester oil, triglyceride oil or nonpolar oil such as hydrocarbon oil and mineral oil, and vegetable oil, silicone oil and the like. It may be one or more.
  • Waxes include premium fatty alcohols, fatty acids, vegetable waxes, mineral waxes, synthetic waxes,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zokerite, cetyl palmitate, sorbitan palmitate, beeswax, lipids and lipid peptides.
  • the other aqueous phase component of the aqueous phase portion (b) may further include a water-soluble efficacy component.
  • the water-soluble agonist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dissolve in water, such as wrinkle improvement functional material, whitening functional material, and natural extract, to form an aqueous phase.
  • the wrinkle improvement functional material is adenosine, and the whitening functional material includes arbutin, niacinamide, and the like.
  • natural extracts include natural extracts of plants, animals or minerals extracted from aloe, green tea, citrus fruits, silver row leaves and the like, and the water-soluble potency compon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ypes.
  • Step d) is a step for adjusting the viscosity of the emulsion, and has the additional effect of sharpening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solution.
  • the viscosity control agent in step d) the temperature is lowered to about 7 ⁇ 60 ⁇ 70 ° C at rC, in this process the size of the particles are grown to 3 ⁇ 10Ou as in Figure 1 (b).
  • step e) is a cooling step, in which a quench method is used.
  • the higher fatty alcohols dissolved in the oil phase are transferred to the interface and transferred from the liquid phase to the liquid crystal phase by a rapid process.
  • the higher fatty alcohols transferred to the liquid crystal phase are surfactants and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having amphoteric properties.
  • the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is formed by arranging in a constant direction near the interface. During the rapid process, the liquid crystal emulsion eventually forms a liquid crystal emulsion having a stable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as shown in FIG.
  • the quench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ore stable multilayer lamella structure than the slow cooling process (FIG. 2).
  • step f) is a step of filtering the prepared liquid crystal emulsion with a filter cloth.
  • a liquid crystal emulsion is prepared in situ at a time in the emulsion production process without post-adding the emulsion to the liquid crystal base beforehand.
  • most of the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especially hydrophobic and highly crystallized, poorly soluble substances such as ceramide and cholester are not completely dissolved in the oil phase in the dispersed phase, but are partially present in the continuous aqueous phase. This problem causes formulation stability problems such as gelat ions.
  • a method of stabilizing intercellular lipids in an emulsion is prepared in advance, followed by a post-treatment at the last stage of a general oil-in-water emulsion, and a method of making a liquid crystal emulsion through a direct emulsification process.
  • a method of making a liquid crystal emulsion through a direct emulsification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is process and the slow cooling process adopting the natural angle method can be made in the liquid crystal.
  • the method of post-adding the liquid crystal base has a disadvantage in that process compatibility is difficult because the liquid crystal base has a very high hardness at room temperature, and when the liquid crystal base is used, the viscosity or hardness of the emulsion increases with time.
  • the method of preparing a liquid crystal emulsion via a direct emulsification process contains a POE (polyoxyethylene) -based surfactant, the liquid crystal emulsion consisting of a P0E-based surfactant swells in the emulsion system and eventually the entire emulsion system It may affect stability.
  • POE polyoxyethylene
  • the swollen emulsification system may deteriorate the stability of the entire emulsion by causing various intercellular lipids and higher fatty alcohols oriented inside as the interface breaks out into a continuous phase of water, causing an increase in viscosity and hardness over time.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emulsion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take a long time when the liquid crystal base is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surging process. Therefore, in preparing a liquid crystal emulsion having a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containing the intercellular lipi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using a method of post-adding a liquid crystal bas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y the discovery that the use of a non-POE nonionic surfactant and the feeding process can produce an oil-in-water liquid-crystal emulsion having a stable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containing intercellular lipids. .
  • the liquid crystal emul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liquid crystal emulsion having a stable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containing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even under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Test Example 4).
  • the intercellular lipids may be used in any conventionally known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preferably ceramide, cholesterol, triglyceride, phytosphingosine and free fatty acid.
  • the ceramide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ceramide and pseudo ceramide.
  • natural ceramide is a ceramide existing in nature, and specifically includes ceramide-1, ceramide-2, ceramide-3, ceramide-4, ceramide-5, ceramide-6, ceramide-7, ceramide-8, and the like. do.
  • the nonionic surfactant may be any nonionic surfactant known in the art, and is preferably a group consisting of lecithin, sorbitan surfactant, and glucoside surfacta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rom.
  • the non-neutral surfactant is characterized by using a mixture of lecithin, sorbitan surfactant and glucoside surfactant.
  • the surfactant does not use a non-ionic surfactant of the PO series.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crystal emulsion gel particles swell when using a non-ionic surfactant of P0E series, which may impair the stability of the emulsion dog.
  • a surfactant was used as a mixture of a lecithin sorbitan surfactant and a glucoside surfactant.
  • a surfactant in the case of lecithin, problems of stability of liquid crystals and a stiff feeling of use occur, and sorbitan-based surfactant particles as shown in Figure 3 (b)
  • the size is too large to reduce the formulation stability, the glucoside-based surfactant is relatively small liquid crystal particles as shown in Figure 3 (c) can not form a liquid crystal of the desired quality.
  • three surfactants were mixed, as shown in FIG.
  • the particles of the liquid crystal were uniform to prepare a liquid crystal emulsion having a desired quality, and the stability of the liquid crystal was improved.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it is preferable to use the above three surfactants in combination to prepare the most stable liquid crystal emulsion rather than to use the surfactant alone (Test Example 1). And Figure 3).
  • the lecithin is 0.05 to 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rbitan surfactant is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glucoside-based surfactant is contained to 0.01 to 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It features.
  • the liquid crystal emulsion particles may be formed in a large amount or the emulsifier itself may be impossible.
  • the surfactant of more than the above-mentioned value is used, the emulsion particles are extremely small, which can not show the properties of the liquid crystal.
  • the polyl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1, 3-butylene glycol, pentylene glycol and 1,2-nucleic acid diol, the amount of the total amount of the emulsion Range from 1 to 30%.
  • the rapid cooling is characterized in that cooling from 70 ° C ⁇ 90 ° C to 40 ⁇ 50 ° C within 5 to 15 minutes. This is because th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igher fatty alcohols to the liquid crystal phase is known to be between 40 and 50 ° C.
  • the liquid crystal emulsion (Sample 1) prepared by the rapid process showed a stable multi-lamellar structure for 3 months under all temperature conditions, but the liquid crystal emulsion prepared by the slow cooling process (Comparative Example 4 After 3 months, it was confirmed that the liquid crystal state was weakened or the liquid crystal collapsed and the viscosity increased at room temperature, 37 ° C, 45 ° C, and CYC thermostat storage conditions (Test Example 3).
  • the liquid crystal emul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liquid crystal emulsion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 the skin safety test with the liquid crystal emulsion prepared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kin irritation is less than 1 irritation.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liquid crystal emulsion dog made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afe even for use on the skin (Test Example 5).
  • the composition comprises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and sprays.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ble liquid crystal having a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containing intercellular lipids, wherein the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which are difficult to stabilize in a general oil-in-water emulsion, are ordered in a liquid crystal emulsion through an ordered orientation in the liquid crystal emulsion. Improves stability.
  • FIG. 1 is a polarized light micrograph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temperature of the liquid crystal emuls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rom around 45 ° C can observe the Maltose cross patter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a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when observed with a polarizing microscope. (a: 73 ° C, b: 63 ° C, c: 53 ° C, d: 45 ° C, e: 35 ° C, f: 25 ° C)
  • FIG. 3 is a photograph of a liquid crystal emuls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type of surfactant using a polarizing microscope.
  • a lecithin
  • b sorbitan surfactant
  • c glucoside surfactant
  • d a) -c) mixed surfactant
  • Figure 4 is an electron micrograph showing a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emulsion dog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Left: liquid crystal emulsion having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 Right: enlarged multilayer lamellar structure)
  • Table 1 3 to 6 are intercellular lipids, 8 to 10 are non-POE-based nonionic surfactants, 2 and 7 are higher fatty alcohols, and 11 to 13 are oils. , 1 is wax, 14 to 17 are water-soluble components, of which 16 and 17 are poly, 18 and 19 are viscosity modifiers, 20 is preservative and 21 is fragrance.
  • Example 1 was rapidly cooled to 40 ° C within 10 minutes as soon as the process of 4) is finished. After digging in raw materials 20 and 21 of Table 2, air bubbles were removed. (Example 1 in Test Example 2 is the same as Example 1 in Test Example 1.)
  • Comparative Example 4 After the process of 4) is finished, the raw material 20 and 21 of Table 2 were put in the vicinity of 40 ° C., and then bubbles were removed. As a result of measuring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4 drawn in accordance with Table 2 with a polarizing microscope, as shown in Figure 2, it can be seen that the liquid crystal emulsion with excellent stability compared to the slow cooling method can be prepared in the rapid cooling method have.
  • Test Example 3 Stability Measurement Test of Liquid Crystal Emulsion Particles According to Angular Velocity
  •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4 in order to measure the size, density, and stability of the liquid crystal emulsion particles according to the angular velocity, the state of the particles of the liquid crystal emulsion was observed by using a polarizing microscope.
  • Example 1 the stabilit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crystal emulsion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4 was confirmed To each composition for 3 months in a refrigerated (_18 ° C), refrigerated (4 ° C), room temperature, 37 ° C, 45 ° C, CYC (quench, room temperature, 45 ° C each 12 hour) bath.
  • the stability is shown in Table 3 below.
  • Example 1 the liquid crystal emulsion prepared by the quenching process (Example 1) showed a stable multi-lamellar structure for three months at all temperature conditions, the liquid crystal emulsion prepared by the slow cooling process (Comparative Example 1) After 3 months, silver, 37 ° C and 45 ° C were confirmed to cause problems such as weakening of the liquid crystal state or collapse of the liquid crystal under the storage conditions.
  • Test Example 4 In-Formula Stability Test of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 a general emulsion and a liquid crystal emulsion were prepared.
  • the general emulsion was prepared after removing the raw material 1 and the raw material 6 in Test Example 2, the liquid crystal emulsion was set to Example 1 in Test Example 2.
  • the general emulsion thus produced is referred to as Comparative Example 5, and the liquid crystal emulsion is referred to as Example 1.
  • the stability of the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in the formulation was determined based on the change in viscosity at the time of movement, length,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Viscometer (Brookf ield, DV-I prime, USA) was measured at 30 rpm using Spindle 64 at room temperature (25 ° C). The unit of viscosity measurement is cp. The viscosity at each incubator storage condition immediately after manufacture and 3 months later is reported in Table 4. [Table 4]
  • Example 1 Ten adult men and women without skin disease were evaluated as follows for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4. After applying 20 ⁇ 1 of sample to the forearm of the investigator, the test site was sealed and patched for 24 hours, and after 30 minutes and 24 hours after the patch was removed, the reactions on the skin were presented in the CTFM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guidelines. Test according to terminology. The criteria for evaluation are as follows. Test obtained by acceptance criteria . The average score of the students is less than 1, hypoallergenic, less than 3, mild, less than 5, medium, and more than 5, stro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세포간지질 성분, 비(非)POE계 비(非)이온성 계면활성제, 고급 지방알코올, 오일 및 왁스 등을 혼합하고 가온 용해한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 물, 폴리올 및 기타 수상 성분을 혼합하고 가온 용해한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유상부를 상기 수상부에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 d) 상기 혼합물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점도 조절제를 투입하는 단계; e) 상기 혼합물 용액을 진공탈포하면서 급속냉각 시키는 단계; f) 상기 혼합물 용액을 여과지 또는 여과포로 여과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간지질 성분, 비(非)POE계 비(非)이온성 계면활성제, 고급 지방알코올, 오일 및 왁스로 구성된 유상부와 물, 폴리올, 기타 수상 성분으로 구성된 수상부를 함유하고, 급속냉각 방식을 이용한 공정을 통해 세포간지질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안정한 액정에멀젼을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견의 제조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세포간지질 성분, 비 (非) P0E계 비 (非)이온성 계면 활성제, 고급 지방알코을, 오일 및 왁스로 구성된 유상부와 물, 폴리올 및 기타 수상 성분으로 구성된 수상부를 함유하고, 급속냉각 방식을 이용한 공정을 통해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안정한 액정에멀견의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인체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은 외부 유해환경 및 유해물질들로부터 피 부를 보호해주고, 인체 내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차단하여 피부의 건조한 상태 를 막아주는 피부장벽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각질층에서 지질 성분들은 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El i as 둥은 각질층 내의 지질성분이 형성하는 라멜라 구조가 피부장벽기능의 근원이라는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J . Invest . Dermatol . 69: 535-546 , 1977) . 또한, 실험방법과 피부조직의 위치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 만, Wertz 등은 세포간지질은 대략적으로 세라마이드 약 50%, 콜레스테를 20 ~ 25%, 자유지방산 20 ~ 25%, 10% 정도의 콜레스테를 에스테르, 1 ~ 2% 콜레스테를 설페이트, 소량의 인지질, 소량의 파이토스핑고신 및 소량의 트리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Adv. Drug. Del iv. Rev. 18 : 283-294, 1996) .
세포간지질 성분들, 특히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를 등은 거의 대부분 소수성이고, 결정화 경향이 큰 난용성 물질로 일반적인 수중유 (Oi l-in-water) 에멀견 제형에서 분산상인 오일상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연속상인 수상에 일부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겔화 (gel at ion)와 같은 제형 안정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포간지질과 기타 성분으로 구성된 과립 (알갱이)을 만들어 에멀견 제조 시 맨 마지막 단계에서 후첨하는 방식으로 안정화 기술을 적용하기도 하지만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8—0072355), 캡술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과량의 캡술화 기재로 인하여 실제 피부외용제에 사용될 수 있는 세포간지질의 함량이 감소하고, 당류계 혹은 고분자 계열의 캡슐화제는 피부외용제의 사용감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세포간지질을 에멀견 내에서 안정화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액정베이스 를 미리 제조하여 일반적인 수중유 에멀견의 맨 마지막 단계에서 후첨하는 방법 이 고안되기도 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452757, 10-0525842 , 10-0830153 , 10-0867679호) . 하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액정베이스는 대부분 실온에서 매우 높 은 경도를 갖는 왁스상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공정에서의 상용성이 쉽지 않다. 그 리고 액정베이스 제조를 위해서는 과량의 레시틴, 고급 지방알코을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원료들은 대부분 뻑뻑한사용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감 측면 에서 바람직하지 않다ᅳ 또한, 액정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경시적으로 에멀젼의 점도나 경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에멀견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 마이셀들이 액정베이스를 통해 만들어진 액정에멀견 오일입자를 공격 하여 궁극적으로는 액정에멀견의 안정도를 해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와 유사 한 예로 마이셀 형태로 존재하는 계면활성제 입자들이 수중유 에멀젼의 오일 입 자들 사이에서 물질전달을 일으킨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Food Hydrocol loids , 6(5): 415-422 , 1992) .
마지막으로 세포간지질을 에멀견 내에서 안정화시키기 위해 직접 유화공정 을 통해 액정에멀젼을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톡 10-0588743은 P0E 계열의 계면활성제와 세포간지질 및 고급 지방알코올 등으로 이루어진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액정에멀견 제조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P0E 계열의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진 액정에멀견은 유화계에 팽윤을 일으켜 종국에는 유화계 전체 의 안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G. M. Eccleston, Mult iple-phase oi 1-in-water emulsions , J . Soc . Cosmet . Chem. , (41) 1-22 1990) . 또한, 상기 특허에서는 온 도조절을 이용한 상전이 유화공정을 이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상전이 유화공정은 균일한 크기의 입자들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제조공정이 쉽지 않고, 제 조공정 중 자연냉각 방식의 서냉공정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2011-0093634에서는 글루코사이 드 계면활성제와 세라마이드 및 오일 등올 사용하여 액정에멀견을 제조하였으나, 제조 중 서냉방식을 사용하였다. 상기 특허에서는 입자가 매우 작아져 상품가치 가 떨어지는 급넁방식에 비해 서넁방식은 적당한 크기의 액정에멀견 입자를 만들 수 있다고 하였지만,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냉각방식 보다는 내용물의 조성비가 중요하다. 또한, 동종의 다른 특허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830153)에서는 액정의 형성과정이 오일상에 존재하는 고급 지방알 코올인 세토스테알릴알코올이 넁각과정을 통해 결정형태로 석출되면서 입자의 계 면으로 이동하고, 이 때 급넁조작을 가할 경우, 세토스테알릴알코올이 계면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과포화상태로 오일내에 존재하여 액정 형성이 적어지고 점도가 낮아진다고 하였다. 하지만, 액정의 형성과정은 고온에서 오일상에 녹아있던 고 급 지방알코올이 넁각과정을 통해 결정형태로 석출되는 것이 아니라, 고체와 액 체의 두 가지 성질을 갖는 액정상으로 전이되면서 입자의 계면에서 일정한 방향 으로 계면활성제들과 함께 배향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급넁과정을 수 행하면 세토스테알릴알코올이 계면으로 이동하지 못한다고 하였지만, 세토스테알 릴알코올은 그 자체가 양친매성 물질로 오일상에 존재하기 보다는 계면으로 이동 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토스테알릴알코올의 계면으로의 이동속도 는 사용되는 오일의 종류와 넁각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에서는 세토스테알릴알코올이 오일의 용해도 이상 함유해야 한다고 하는데, 과량 함유 시 제조 중 고급 지방알코을의 석출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사용감 역시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세포간지질 성분, 비 (非) P0E계 비 (非)이온성 계면활성제, 오 일 및 왁스로 구성된 유상부와 물, 폴리올, 기타 수상 성분으로 구성된 수상부를— 함유하고, 급속넁각 방식을 이용한 공정을 통해 세포간지질 성분들을 다량 함유 하는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안정한 액정에멀견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 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세포간지질 성분, 비 (非) P0E계 비 (非)이온성 계면활성제, 고급 지방알코을, 오일 및 왁스로 구성된 유상부와 물, 폴리을, 기타 수상 성분으로 구성된 수상부를 함유하고, 급속냉각 방식을 이용한 공정을 통해 세포간지질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안정한 액정에멀견을 갖는 세포간지질올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 견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에멀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 하는데 있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액정에멀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세포간지질 성분, 비 (非) P0E계 비 (非)이온성 계면활성제, 고급 지방알코올, 오일 및 왁스를 흔합하고 가온 용해한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 물, 폴리올 및 기타 수상 성분을 흔합하고 가온 용해한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유상부를 상기 수상부에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 ;
d) 상기 흔합물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점도 조절제를 투입하는 단계;
e) 상기 흔합물 용액을 진공탈포하면서 급속냉각 시키는 단계;
f ) 상기 흔합물 용액을 여과지 또는 여과포로 여과하는 단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유상부 (a)의 오일은 에스테르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오일과 같은 극성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오일 및 광물성 오일과 같은 비극성 오일, 그리고 식물성 오일, 실리콘 오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왁스는 고급 지방알코을, 지방산, 식물성 왁스, 광물성 왁스, 합성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솔비탄 팔미테이트, 비즈 왁스, 지질 및 지질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수상부 (b)의 기타 수상 성분에는 수용성 효능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효능성분은 예를 들어,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미백 기능성 원료 및 천연 추출물과 같이 물에 용해되어 수상부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로는 아데노신이 있고, 미백 기능성 원료로는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등이 있다. 또한, 천연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감귤, 은 행잎 등으로부터 추출된 식물, 동물 또는 광물의 천연추출물 등이 있으며, 상기 수용성 효능성분은 상기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 ) 단계와 같이 유상부 (내상, di spers i on phase)와 수상부 (외상, cont inuous phase)를 70 °C 이상에서 교반한 후, 바로 편 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와 상태를 관찰해보면, 도 1(a)에서와 같이 약 1 ~ 2 입자크기를 가진 에멀견이 형성된다. 상기 d) 단계는 에멀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계이자, 흔합용액의 온도를 급넁시키는 부가적인 효과도 가지고 있다. 상기 d) 단계에서의 점도 조절제를 통해 온도는 7(rC 이상에서 60 ~ 70 °C 부근으로 저하되는데, 이 과정에서 입자의 크기가 도 1(b)에서와 같이 3 ~ lOu 로 성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e) 단계는 냉각단계로 여기에서는 급냉방식 을 이용한다. 오일상에 용해되어 있던 고급 지방알코올들은 계면으로 이동하면서 급넁과정에 의해 액상에서 액정상으로 전이하게 되고, 이렇게 액정상으로 전이된 고급 지방알코을들은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성질을 가진 세포간지질 성분들과 함 께 계면부근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을 하면서 다층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급넁과정을 거치면서 액정에멀젼은 도 1( f )에서와 같이 결국에는 안정한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액정에멀젼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급냉공정의 경 우, 40 ~ 45 °C 부근에서 고급 지방알코올들이 액상에서 액정상으로 전이되면서 계면에 잘 배향하여 5 ~ l /m 수준의 액정에멀견 입자를 잘 형성하였으나, 서넁 공정의 경우, 고급 지방알코올들이 분산상인 오일상에서 연속상인 수상으로 넘어 가면서 액정의 배열이 무너져 다층 라멜라 구조를 이루는 액정에멀젼 입자의 숫 자가 적고, 라멜라 구조의 밀도 또한 급넁공정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 서, 본 발명의 급냉공정이 서냉공정 보다 더 안정한 다층 라멜라 구조를 형성한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 .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f ) 단계는 제조된 액정에멀젼을 여과포로 여과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액정베이스를 미리 만든 후 에멀젼에 후첨하지 않고ᅳ 에멀견 제조공정에서 제자리에서 한 번에 ( in-si tu) 액정에멀젼이 제조된다. 일반적인 수중유 에멀견 제형에서 세포간지질 성분들 특히 대부분 소수성이고, 결정화 경향이 큰 난용성 물질인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를은 분산상인 오일상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연속상인 수상에 일부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겔화 (gelat ion)와 같은 제형 안정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포간지질을 에멀젼 내에서 안정화 시 키는 방법으로 액정베이스를 미리 제조하여 일반적인 수중유 에멀견의 맨 마지막 단계에서 후첨하는 방법, 직접 유화공정을 통해 액정에멀젼을 만드는 방법과 이 과정의 제조공정 중에서 자연넁각 방식을 채택하는 서냉공정을 적용하여 액정에 멀견이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액정베이스를 후첨하는 방법은 액정베이스가 실온에서 매우 높은 경도를 갖기 때문에 공정상 상용성이 어렵고, 액정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경시 적으로 에멀젼의 점도나 경도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직접 유화공정을 통해 액정에멀견을 제조방법에서는 POE(polyoxyethylene)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P0E 계열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액정에멀젼은 유화 계에 팽윤을 일으켜 종국에는 유화계 전체의 안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팽윤 된 유화계는 계면이 파손되면서 내부에 배향되어진 각종 세포간지질과 고급 지방 알코올들이 연속상인 수상으로 빠져나와 경시적으로 점도와 경도의 상승을 일으 켜 에멀젼 전체의 안정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서넁공정을 적용하여 액 정베이스를 제조하는 경우 제조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액정에멀젼 제조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액정 에멀젼을 제조함에 있어서, 액정베이스를 후첨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비
(非) P0E 비 (非)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과 급넁공정을 적용하면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안정한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수중유 액정에멀견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험예에 따르면, 일반에멀견 (비교예 5)과 액정에멀견 (실시예 1) 에서의 세포간지질 성분들의 안정도를 확인한 결과, 액정에멀견 (실시예 1)의 경우 다층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양쪽성 성질을 가진 세포간지질 성분들이 라 멜라 구조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하여 점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일반에멀견 (비교 예 5)의 경우에는 냉동 및 넁장 조건에서는 에멀젼 내에서 내상에서 외상으로의 세포간지질 성분 이동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상온 및 고온 조건에 비해 점도상 승의 폭이 낮았지만, 액정에멀견 (실시예 1)에 비해 점도가 3배 이상 증가하였고ᅳ 상온 및 고온 조건에서는 제조직후 내부에 존재하던 세포간지질 성분들이 계면을 통과하여 외상으로 이동하고, 그 후 겔화 (Gelat ion)화 과정을 거치면서 점도 측정 자체가 불가능해 질 정도로 점도가 급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 의 액정에멀젼은 여러 온도 조건에서도 세포간지질 성분을 함유하는 안정한 다층 라멜라구조를 갖는 액정에멀견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시험예 4)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포간지질은 종래에 알려진 어떠한 세포간지질 성분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를, 트리글리세라 이드, 파이토스핑고신 및 자유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와 유사 (pseudo) 세라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이 중 천연 세라마이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로서 , 구체적으로는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7, 세라 마이드 -8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 (非)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종래에 알려진 어떠한 비 (非)이온성 계면활성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레시틴, 소르비탄계 계면활성제,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 (非)이은성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소르비탄계 계면활성제 및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를 흔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P0E계열의 비 (非)이온성 계면활성제 를 사용하지 않는다. 전술한 것처럼, P0E계열의 비 (非)이온성 계면활성제 사용 시 액정에멀견 입자가 팽윤되어 에멀견의 안정도를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시험예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소르비탄계 계면활성제,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의 흔합물을 이용하였다. 상기 계면활성제들이 각각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도 3(a)에서와 같이 레시틴의 경우에는 액정의 안정도 문 제와 뻑뻑한 사용감 문제가 발생하고, 소르비탄계 계면활성제는 도 3(b)에서와 같이 입자크기가 너무 거대하여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며,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 성제는 도 3(c)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액정입자가 너무 작아서 원하는 품질의 액정을 형성할 수 없다. 이에 반해, 세 가지의 계면활성제를 흔합한 경우 도 3(d) 와 같이 액정의 입자가 균일하여 원하는 품질의 액정에멀견을 제조할 수 있고, 액정의 안정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상기 세 가지의 계면활성제를 흔합 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정된 액정에멀젼을 제조하는데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 및 도 3)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은 총 중량 대비 0.05 - 1 중량 소르비탄 계 계면활성제는 총 중량 대비 0. 1 ~ 5 중량 % ,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총 중량 대비 0. 1 ~ 5 중량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치보다 계면활성제 함량이 작을 경우, 액정에멀젼 입자가 거대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유화자체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치 이상의 계 면활성제가 사용될 경우에는 에멀견 입자가 극히 작게 형성되어 액정의 성질을 보여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을은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 , 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및 1,2-핵산디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사용량은 에멀젼 총 중량에 대하여 1 ~ 30%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속넁각은 5 ~ 15분 이내에 70°C ~ 90°C에서부터 40 ~ 50°C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고급 지방알코을의 액정상으로의 전이온도가 40 ~ 50 °C 사이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시험예에 따르면, 급넁공정에 의해 제조된 액정에멀견 (실시예 1) 은 모든 온도조건에서 3달간 안정한 다층 라멜라 구조를 보여주었으나, 서냉공정 에 의해 제조된 액정에멀젼 (비교예 4)은 3달 후 상온, 37°C , 45 °C , CYC 항온조 보관조건에서 액정상태가 약해지거나 액정이 붕괴되어 점도가 상승하는 등의 문 제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정에멀젼은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본 발명 의 액정에멀견이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액정에멀 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액정에멀견으 로 피부 안전성 테스트를 한 결과, 피부 자극이 1 미만으로 무자극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액정에멀견 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조성물의 경우 피부에 사용하여도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 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은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안정한 액정에 멀견에 관한 것으로, 일반 수중유 에멀견에서는 안정화가 어려운 세포간지질 성분 들이 액정에멀견 내에서 질서있는 배향을 통해 제형내에서의 안정도를 향상시킨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정에멀젼의 제조온도에 따른 편광현미경 사진으로 특히, 45°C 부근에서부터는 편광현미경 관측시 다층 라멜라 구조의 특 징인 Maltose cross 무늬를 관측할 수 있다. (a: 73 °C, b: 63 °C, c: 53°C , d: 45 °C, e: 35 °C, f: 25 °C)
도 2는 액정에멀견의 냉각속도에 따른 입자의 차이를 편광현미경을 이용하 여 관측한사진이다.
도 3은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라 만들어진 액정에멀젼을 편광현미경을 이용 하여 관측한 사진이다. (a: 레시틴, b: 소르비탄계 계면활성제, c: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d: a)-c)의 흔합계면활성제)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액정에멀견의 다층 라멜라 구조를 보여주 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좌: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액정에멀젼, 우: 다층 라 멜라 구조 확대 사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 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표 11
Figure imgf000012_0001
8. Lecithin 0.2 - - 0.2
9. Sorbi tan Palmi tate - 1 - 1
10. C12-20Alkyl Glucoside - - 1 1
11. Capryl ic/capr ic triglyceride 10.0 10.0 10.0 10.0
12. Dimethicone 2.0 2.0 2.0 2.0
13. Cyc 1 opentas i 1 oxane 2.0 2.0 2.0 2.0
14. D.I.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5. EDTA-2Na 2.0 2.0 2.0 2.0
16. Glycerin 7.0 7.0 7.0 7.0
17. Butyl ene Glycol 5.0 5.0 5.0 5.0
18. 1% Carbomer solution 15 15 15 15
19. Tr iethanol amine 0.12 0.12 0.12 0.12
20. Preservatives 적량 적량 적량 ¾ ~jι ¾ ΰ
21. Perfume 0.1 0.1 0.1 0.1
<제조방법>
1)상기 표 1에서 3 ~ 6은 세포간지질이고, 8 ~ 10은는 비 (非) P0E계 비 (非) 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2, 7은 고급 지방알코을이고, 11 ~ 13은 오일이며, 1은 왁스, 14 ~ 17은 수용성 성분으로, 이중 16, 17은 폴리을이고, 18, 19는 점도 조 절제이고 20은 보존쎄이며 21은 향 성분이다.
2) 상기 표 1에서 원료 1 - 13를 흔합하고, 70 - 80°C에서 용해하여 유상 용액을 제조하였다.
3) 별도의 용기에 상기 표 1의 원료 14 - 17을 혼합하고, 70 ~ 80°C까지 가온용해하여 수상용액을 제조하였다.
4) 상기 1)의 유상용액을 상기 2)의 수상용액에 첨가하고, 호모 믹서로 교 반하였다.
5) 상기 3)의 흔합용액에 표 1의 원료 18을 흔합하고, 이어서 원료 19을 흔합하였다.
6) 상기 4)의 과정이 끝나자마자, 급속넁각하여 10분 내에 40°C까지 넁각 하였다. 이옥고, 표 1의 원료 20과 21을 투입한 후, 기포를 제거하였다. 상기 표 1에 의해 만들어진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을 편광현미경으 로 관측한 결과,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도 3a , 도 3b 및 도 3c)보다 흔합하여 사용하는 것 (도 3d)이 액정의 안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시험예 2 : 비교예 및 실시예 의 제조
【표 2】
Figure imgf000014_0001
<제조방법>
1)상기 표 1에서 3 ~ 6은 세포간지질이고, 8 ~ 10은 비 (非) P0E계 비 (非)이 온성 계면활성제이고, 2, 7은 고급 지방알코을이고, 11 - 13은 오일이며, 1은 왁 스, 14 ~ 17은 수용성 성분으로, 이중 16, 17은 폴리을이고, 18, 19는 점도 조절 제이고 20은 보존제이며 21은 향 성분이다. 2) 상기 표 2에서 원료 1 ~ 13를 흔합하고, 70 ~ 80°C에서 용해하여 유상 용액을 제조하였다.
3) 별도의 용기에 상기 표 2의 원료 14 ~ 17을 흔합하고, 70 ~ 80°C까지 가온용해하여 수상용액을 제조하였다.
4) 상기 1)의 유상용액을 상기 2)의 수상용액에 첨가하고, 호모 믹서로 교 반하였다.
5) 상기 3)의 흔합용액에 표 2 의 원료 18을 흔합하고, 이어서 표 2의 원 료 19을 흔합하였다.
6) 실시예 1은 상기 4)의 과정이 끝나자마자, 급속넁각하여 10분 내에 40°C 까지 냉각하였다. 이옥고, 표 2의 원료 20과 21을 투입한 후, 기포를 제거하였다. (시험예 2에서의 실시예 1은 시험예 1에서의 실시예 1과 동일하다. )
7) 비교예 4는 상기 4)의 과정이 끝난 후, 실온에 그대로 방치하다가 40°C 부근에서 표 2의 원료 20과 21을 투입한 후, 기포를 제거하였다. 상기 표 2에 따라 제도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4를 편광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급넁방식이 서냉방식에 비해 안정도가 우수한 액정에멀견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 넁각속도에 따른 액정에멀젼 입자의 안정성 측정 시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4에서 넁각속도에 따른 액정에멀젼 입자의 크기 와 밀도,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액정에멀 견의 입자 상태를 관측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급넁공정의 경우 40 ~ 45 °C 부근 에서 고급 지방 알코을들이 액상에서 액정상으로 전이되면서 계면에 잘 배향하여 5 ~ 15 수준의 액정에멀견 입자를 잘 형성하였다. 이에 비해, 서넁공정의 경우, 고급 지방알코올들이 분산상인 오일상에서 연속상인 수상으로 넘어가면서 액정의 배열이 무너져 도 2에서 보듯, 다층 라멜라 구조를 이루는 액정에멀젼 입자의 숫 자가 적고, 다층 라멜라 구조의 밀도 역시 급넁공정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4에서 액정에멀젼의 온도에 따른 안정도를 확인 하기 위해, 냉동 (_18°C ) , 냉장 (4°C ) , 상온, 37°C , 45°C , CYC (넁동, 상온, 45°C 각 12시간씩) 항온조에서 3달 동안 각각의 조성물에 대한 안정도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imgf000016_0001
상기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급냉공정에 의해 쎄조된 액정에멀젼 (실시예 1)은 모든 온도조건에서 3달간 안정한 다층 라멜라 구조를 보여주었고, 서냉공정에 의해 제조된 액정에멀견 (비교예 1)은 3달 후 상은, 37°C , 45 °C 항은 조 보관조건에서 액정상태가 약해지거나 액정이 붕괴되어 점도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 세포간지질 성분의 제형내 안정도 테스트
세포간지질 성분들의 제형내에서의 안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에멀견과 액정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일반에멀견은 시험예 2에서 원료 1과 원료 6을 제외한 후 제조하였고, 액정에멀젼은 시험예 2에서 실시예 1로 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일반에멀견을 비교예 5로 하고, 액정에멀젼은 실시예 1로 한다. 세포간지질 성분 들의 제형내에서의 안정도는 넁동, 넁장, 상온 및 고온에서의 점도변화를 근거로 측정하였다. 점도계 (Brookf ield, DV-I pr ime , USA) 측정조건은 상온 (25°C 기준) 에서 Spindle 64를 사용하여 30 rpm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점도측정의 단위는 cp 이다. 제조직후 및 3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각 항온조 보관조건에서의 점도를 표 4에 기록하였다. 【표 4]
Figure imgf000017_0001
상기 표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정에멀견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제 조직후와 3개월 후의 점도 차이가 1,000 ~ l,500cp 사이로 점도의 변화가 크지 않은 반면에, 일반에멀젼 (비교예 5)의 경우에는 제조직후와 3개월 후 냉동, 넁장 조건에서 점도 차이가 3,500cp 이상 차이가 발생하였고, 특히 상온 및 고온 보관 조건에서는 점도가 급상승하게 되어 측정 자체가 불가능했다. 시험예 5 : 액정에멀견의 피부 안전성 테스트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 예 4에 대하여 자극 정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시험자들의 팔 전박에 20μ1의 시료를 도포한 후, 시험 부위를 밀폐한 후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 를 제거한 후 30분과 24시간 후에 피부에서의 반웅을 CTFM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terminology에 의거하여 검사 한다.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판정기준에 의해 얻어진 시험.자들의 점수를 평균 하여 1미만이면 저자극, 3미만이면 경자극, 5미만이면 중자극, 5이상이면 강자극 으로 평가한다.
【표 5】
Figure imgf000017_0002
그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4 모두에 서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액정에멀젼의 피부 자극은 모두 무자극으로 제품에 안전하게 사용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액정에멀견의 제조방법:
a) 세포간지질 성분, 비 (非) P0E계 비 (非)이온성 계면활성제 , 고급 지방알코올, 오일 및 왁스를 흔합하고 가온 용해한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 물, 폴리을 및 기타 수상 성분을 흔합하고 가온 용해한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
c) 상기 유상부를 상기 수상부에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 ;
d) 상기 혼합물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점도 조절제를 투입하는 단계; e) 상기 흔합물 용액을 진공탈포하면서 급속냉각 시키는 단계;
f ) 상기 흔합물 용액을 여과지 또는 여과포로 여과하는 단계.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간지질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를, 파이토스핑 고신,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자유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에멀견 제조방 법.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 (非)이은성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소르비탄계 계 면활성제,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액정에멀젼 제조방법.
【청구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 (非)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소르비탄계 계 면활성제 및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를 흔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액정에멀젼 제조방법.
【청구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은 총 중량 대비 0.05 ~ 1 중량 ¾>, 소르비탄 계 계면활성제는 총 중량 대비 0. 1 ~ 5 중량 %,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총 중량 대비 0. 1 - 5 중량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에멀젼 제조방법.
【청구항 6]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 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1,2-옥탄디을 및 1 , 2-핵산디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에멀견 제조방법.
【청구항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냉각은 에멀젼 제조 후 5 ~ 15분 이내에 70°C
- 90 °C에서부터 40 ~ 50°C까지 넁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에멀견 제조방 법.
【청구항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에멀견은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액정에멀젼 제조방법.
【청구항 9】
제 1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액정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 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 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13/008704 2013-09-26 2013-09-27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WO201504664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24,382 US9949900B2 (en) 2013-09-26 2013-09-27 Method for preparing multilayer lamellar liquid crystal emulsion including intercellular lipids
CN201380079390.XA CN105658196B (zh) 2013-09-26 2013-09-27 含有细胞间脂质的多层层状液晶乳液的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540A KR101579063B1 (ko) 2013-09-26 2013-09-26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2013-0114540 2013-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6648A1 true WO2015046648A1 (ko) 2015-04-02

Family

ID=5274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8704 WO2015046648A1 (ko) 2013-09-26 2013-09-27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49900B2 (ko)
KR (1) KR101579063B1 (ko)
CN (1) CN105658196B (ko)
WO (1) WO201504664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9588A (zh) * 2016-04-29 2016-07-20 辽宁向上实业有限公司 一种天然植物基质的改性液晶型乳化液及其制备方法
WO2016163640A1 (ko) * 2015-04-10 2016-10-13 코스맥스 주식회사 액정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314B1 (ko) 2017-07-31 2021-03-09 (주)아모레퍼시픽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KR101880540B1 (ko) * 2017-11-30 2018-07-20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커큐미노이드가 액정형 다중라멜라베지클에 봉입된 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6116B1 (ko) 2017-12-22 2019-12-16 주식회사 메가코스 천연 추출물과 천연오일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43206A1 (ko) * 2018-01-19 2019-07-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7040B1 (ko) * 2018-02-13 2019-10-28 코스맥스 주식회사 튼살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72640A1 (ko) * 2018-03-09 2019-09-12 코스맥스 주식회사 천연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CN108578253A (zh) * 2018-03-27 2018-09-28 广州禾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良好液晶结构的保湿膏霜及其制备方法
KR101937699B1 (ko) * 2018-05-04 2019-01-11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베지클 및 그 제조방법
CN108926716B (zh) * 2018-07-06 2021-07-20 山东师范大学 一种具有溶致液晶结构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629421B1 (ja) * 2018-12-28 2020-01-15 ちふれ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晶形成用組成物、液晶含有乳化剤及びクリーム状又はフィルム状を呈する液晶含有化粧料
KR102272304B1 (ko) * 2018-12-28 2021-07-05 (주)파이온텍 알로에를 함유하는 다중유화형 액정 에멀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2230B1 (ko) * 2019-01-02 2019-09-18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에멀젼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2621B1 (ko) * 2019-04-15 2019-12-06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각질층의 라멜라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하는 유사 피부 모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0459B1 (ko) 2019-09-18 2020-02-24 코스맥스 주식회사 활성 성분 안정화 및 피부 흡수 촉진을 위한 다중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JP7219697B2 (ja) * 2019-12-03 2023-02-08 ちふれ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晶形成用組成物、液晶含有乳化剤及びクリーム状又はフィルム状を呈する液晶含有化粧料
KR102341723B1 (ko) 2019-12-04 2021-12-24 주식회사 메가코스 고순도 스쿠알렌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7242578B2 (ja) * 2020-01-08 2023-03-20 旭化成ワッカーシリコーン株式会社 液晶乳化方法および液晶乳化物
CN117677370A (zh) * 2021-07-28 2024-03-08 莱雅公司 具有层状结构的乳液形式的组合物
CN113827490B (zh) * 2021-09-02 2023-08-15 星智豫美(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液晶结构的低粘度乳液及其生产方法
KR102576692B1 (ko) * 2022-10-20 2023-09-11 크로다코리아 주식회사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3207A1 (en) * 2006-08-09 2008-05-01 Takasago International Corp. (Usa) Topical ceram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20110057819A (ko) * 2009-11-25 2011-06-01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지질 조성물
KR20120044067A (ko) * 2010-10-27 2012-05-07 정두석 아토피로 인한 손상된 피부회복과 피부보호장벽 강화에 효과적인 천연추출물과 세라마이드 배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93A (ko) * 2011-09-16 2013-03-26 (주)아모레퍼시픽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5995B1 (en) * 1992-09-21 2001-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psticks compositions containing association structures
KR100525842B1 (ko) 1997-11-19 2006-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니코틴아미드 함유 세라미드 액정 및 이를 포함하여구성되는화장료 조성물
KR100588743B1 (ko) 2000-09-28 2006-06-13 엔프라니 주식회사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KR100867679B1 (ko) 2001-08-14 2008-11-10 주식회사 참 존 천연 액정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52757B1 (ko) 2002-05-02 2004-10-12 앨트웰코스메틱 주식회사 천연세라마이드, 파이토스핑고신, 콜레스테롤 및 레시틴을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30153B1 (ko) 2007-06-21 2008-05-20 (주) 바이오앤텍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141619B1 (ko) 2008-07-24 2012-05-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소수성 표면을 갖는 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초소수성 재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3207A1 (en) * 2006-08-09 2008-05-01 Takasago International Corp. (Usa) Topical ceram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20110057819A (ko) * 2009-11-25 2011-06-01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지질 조성물
KR20120044067A (ko) * 2010-10-27 2012-05-07 정두석 아토피로 인한 손상된 피부회복과 피부보호장벽 강화에 효과적인 천연추출물과 세라마이드 배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93A (ko) * 2011-09-16 2013-03-26 (주)아모레퍼시픽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UO, SHAN ET AL.: "Simulation study of the structure and phase behavior of ceramide bilayers and the role of lipid headgroup chemistry", JOURNAL OF CHEMICAL THEORY AND COMPUTATION, vol. 9, no. 11, 6 September 2013 (2013-09-06), pages 5116 - 5126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123968B2 (en) 2014-07-11 2018-11-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231922B2 (en) 2014-07-11 2019-03-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617633B2 (en) 2014-07-11 2020-04-14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1969498B2 (en) 2014-07-11 2024-04-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WO2016163640A1 (ko) * 2015-04-10 2016-10-13 코스맥스 주식회사 액정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769588A (zh) * 2016-04-29 2016-07-20 辽宁向上实业有限公司 一种天然植物基质的改性液晶型乳化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58196B (zh) 2018-12-18
KR20150034451A (ko) 2015-04-03
US9949900B2 (en) 2018-04-24
US20160213579A1 (en) 2016-07-28
CN105658196A (zh) 2016-06-08
KR101579063B1 (ko)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46648A1 (ko)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1529480B1 (ko) 나노 에멀젼 제조방법
DE60028468T2 (de) Mikrokapsel und Verfahren zu derer Herstellung
WO2008155389A2 (de) Dms (derma membrane structure) in schaum-cremes
KR101780772B1 (ko)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의 제조방법
KR20100121995A (ko) 2층상 화장수 제조 방법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4161655A (ja) セラミド類含有乳化物の製造方法、および乳化物
KR20130011800A (ko)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160936A (ja) 難溶性成分安定化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
CN105796374A (zh) 一种唇膏及其制备方法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0490365B1 (ko) 화장료용 나노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7246B1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82355B1 (ko)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과 소이이소플라본을 함유한리포좀 또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CN104434566A (zh) 包含丙烯酸(酯)类/丙烯酰氮共聚物钠的组合物及其制剂和制备方法
KR20180106778A (ko)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시킨 반투명 수중유형(o/w)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1435A (ko) 난용성 성분이 안정화된 나노베지클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178595B1 (ko) 2층상 화장수
KR102199766B1 (ko) 투명한 다중층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61960B1 (ko) 저 에너지 소요 나노 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2623445B1 (ko)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88220B1 (ko)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pop-poe) 비타민e를 함유한 나노에말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trathclyde Multiple-phase oil-in-water emul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942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02438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942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