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445B1 -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445B1
KR102623445B1 KR1020230025831A KR20230025831A KR102623445B1 KR 102623445 B1 KR102623445 B1 KR 102623445B1 KR 1020230025831 A KR1020230025831 A KR 1020230025831A KR 20230025831 A KR20230025831 A KR 20230025831A KR 102623445 B1 KR102623445 B1 KR 10262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smetic composition
silicone
ceramid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석
황윤균
박성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3002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445B1/ko
Priority to CN202410203188.3A priority patent/CN117982347A/zh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실리콘 상 또는 수상에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고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고, 장기 안정도가 우수한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ATER-IN-SILICONE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SUBSTANCES INSOLUBLE IN WATER OR SILICONE}
본 명세서에는 믈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최근 다양한 효능을 탑재한 고효능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어, 이러한 트렌드에 맞추어 난용성 효능 원료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난용성 성분 안정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수첨 레시틴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미세유화, 다가알코올에 고온 용해하여 수상에 분산하는 방법 또는 지방산을 이용하여 알파겔을 제조하여 안정화하는 방식 등 다양하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수중유(O/W) 제형에 특화된 방식으로, 이러한 수중유(O/W) 조성물에서는 경시적으로 세라마이드가 석출되면서, 외관 품질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유중수(W/O) 또는 실리콘중수(W/S) 조성물과 같이 유상 또는 수상 내의 효능 원료의 안정화가 가능한 조성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JP 4473494 B2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실리콘 상 또는 수상에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고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고, 장기 안정도가 우수한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실리콘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 이하의 탄화수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실리콘부;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수상부 용해도가 1 mg/ml 이하인 난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장료 조성물은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결정 형태로 W/S 조성물 전체에 분산시켜, 최종 제품의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난용성 물질을 고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a-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중수형(W/S) 조성물의 편광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중수형(W/S) 조성물의 DSC 데이터이다.
도 3a-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중수형(W/S) 조성물의 편광 이미지(3a) 및 전자 현미경(SEM) 이미지(3b)이다.
도 4a-4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중수형(W/S) 조성물의 제조 후 1년이 지난 샘플의 40배율로 관찰한 광학 이미지(4a), 편광 이미지(4b) 및 외관 이미지(4c)이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에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실리콘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 이하의 탄화수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실리콘부;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수상부 용해도가 1 mg/ml 이하인 난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는, 기본적인 실리콘중수(W/S) 조성물을 상온에서 제조한 뒤, 제조된 W/S 내용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사전에 탄화수소계 오일, 세라마이드를 용해하여 이미 제조한 W/S 내용물로 서서히 이송시키면 실리콘과 상용성이 좋은 탄화수소계 오일은 W/S 조성물 내에서 안정화 되고, 결정성이 높은 실리콘 난용성 성분은 실리콘부 또는 수상부와 같이 W/S 조성물 전체에서 미세 분산되며 석출되는 과정을 거치며, 전체 W/S 조성물 내에서 난용성 성분의 안정화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난용성 성분의 수상부 용해도는 1 mg/ml 이하, 0.1 mg/ml 이하, 0.05 mg/ml 이하, 0.01 mg/ml 이하, 또는 0.001 mg/ml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탄화수소계 오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이하, 900 이하, 800 이하, 700 이하, 600 이하, 500 이하, 400 이하, 300 이하, 200 이하, 또는 100 이하일 수 있고, 100 이상, 200 이상, 300 이상, 400 이상, 500 이상, 600 이상, 700 이상, 800 이상, 또는 9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초과인 경우, 실리콘 오일과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실리콘분에서 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고 있는 실리콘 내에서 오일 입자 안정화가 어려울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용물이 분리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탄소수 40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소수는 40 이하, 35 이하, 30 이하, 25 이하, 20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n-옥탄, n-노난, n-데칸, n-언데칸, n-도데칸, n-트리데칸, n-테트라데칸, n-펜타데칸, n-헥사데칸, n-헵타데칸, n-옥타데칸, 바세린, 파라핀, 세레신 및 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난용성 성분은 상기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결정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난용성 성분의 경시적 변화에 따른 외관 품질을 개선할 수 있고, 장기 안정도가 우수하며, 석출이 용이한 활성 물질을 고함량으로 포함하여도 그 안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결정상은 구형 입자 상태로 존재하지 않고, 광학현미경 이미지 확인 시 실타래나 니들 타입으로 석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정상은 30 μm 이하, 25 μm 이하, 20 μm 이하, 15 μm 이하, 10 μm 이하, 또는 5 μm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탄화수소계 오일 배합이 높은 경우, 약 20 μm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석출 입자를 가져 이물감이나 외관 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난용성 성분은 티몰트라이메톡시신나메이트, 코질메틸렌다이옥시신나메이트, 아시아티코사이드*마데카식애씨드*아시아틱애씨드,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팔미타마이드 엠이에이,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라우라마이드 엠이에이, 세라마이드 및 센텔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AS, 세라마이드 EOS, 세라마이드 NDS, 세라마이드 AP, 글루코실세라마이드 및 오메가하이드록시 세라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난용성 성분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난용성 성분의 함량이 10 중량% 초과인 경우 효능 성분의 단가 또는 사용감 측면에서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난용성 성분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중량% 이상, 2중량% 이상, 3중량% 이상, 4중량% 이상, 5중량% 이상, 6중량% 이상, 7중량% 이상, 8중량% 이상, 또는 9중량% 이상일 수 있고, 10중량% 이하, 9중량% 이하, 8중량% 이하, 7중량% 이하, 6중량% 이하, 5중량% 이하, 4중량% 이하, 3중량% 이하, 또는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및 난용성 성분의 중량비는 1: 0.5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가 1: 10 초과인 경우 결정화 상태가 불균질하거나, 석출되어 응집되는 결정상의 크기가 과도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및 난용성 성분의 중량비는 1: 0.5 이상, 1: 1 이상, 1: 2 이상, 1: 3 이상, 1: 4 이상, 1: 5 이상, 1: 6 이상, 1: 7 이상, 1: 8 이상, 또는 1: 9 이상일 수 있고, 1: 10 이하, 1: 9 이하, 1: 8 이하, 1: 7 이하, 1: 6 이하, 1: 5 이하, 1: 4 이하, 1: 3 이하, 1: 2 이하, 1: 1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상부는 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있는 세라마이드 NP(m.p. 98-110°C)와 같은 난용성 성분은 비교적 높은 녹는 점을 가지지만, 일정량의 폴리올 및 탄화수소계 오일을 함께 사용할 경우 85°C 부근에서 완전히 용해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전술한 W/S 조성물 제조시, 탄화수소계 오일, 난용성 성분과 함께 용해하여 실리콘부에 이송시킬 수 있다. 이 때, 탄화수소계 오일과 같은 용제 없이 폴리올에 난용성 성분을 단독으로 녹인 후 실리콘부에 이송할 경우 세라마이드 및 고융점 왁스가 뭉치게 되면서 고른 분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고속 유화 공정을 통한 후공정을 진행할 경우 내용물 경도가 너무 높아져 패들 교반과 동시에 냉각하는 과정에서 내용물 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솔비톨(Sorbit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부는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왁스는 카르누바, 세라신, 세틸 에스테르류, 미정질 왁스, 몬탄 왁스, 지랍 및 합성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왁스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왁스의 함량은 1중량% 이상, 2중량% 이상, 3중량% 이상, 또는 4중량% 이상일 수 있고, 5중량% 이하, 4중량% 이하, 3중량% 이하, 또는 2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함량이 5중량% 초과인 경우, 왁스 간에 응집이 심하여 펴발림성이 양호하지 않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10,000 cps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10,000 cps 미만인 경우, 낮은 점도로 인해 오일이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10,000cps 이상, 10,500cps 이상, 11,000cps 이상, 11,500cps 이상, 12,000cps 이상, 12,500cps 이상, 13,000cps 이상, 13,500cps 이상, 14,000cps 이상, 14,500cps 이상, 또는 15,000cps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80 Kgf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도는 SunRheometer ComPAC-100Ⅱ로 측정하여 80 Kgf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80 초과인 경우, 고경도 상태에서 높은 쉐어 스트레스로 인해 물 베어 나올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장벽 개선용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수분증발량 감소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전술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장벽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피부장벽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전술한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피부장벽을 개선하기 위한 전술한 화장료 조성물의 비치료적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전술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증발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피부 수분증발량 감소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전술한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피부 수분증발량 감소시키기 위한 전술한 화장료 조성물의 비치료적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에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하기 표 1 및 도 1a-1b과 같이, 난용성 성분으로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중량%) 비교예(중량%)
실리콘 15 15
PEG-10 디메치콘
(PEG-10 dimethicone)
1.5 1.5
정제수 To 100 To 100
NaCl 1 1
1,2-헥사디올(1,2-hexandiol) 2 2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1 0.1
폴리올* 20 20
이소도데칸(ISODODECANE) 필수성분 (4) 불포함
합성 왁스(Synthetic wax) 3 3
세라마이드 NP
(Ceramide NP)
5 5
제형 W/S제형 W/S제형
안정도 O 외관 품질 불량
사용감 양호 이물감 확인
폴리올* : 글리세린 + 부틸렌글라이콜 + 이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먼저, 실시예 조성물의 경우, 1) 실리콘과 PEG-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메인 탱크에 투입 후 교반하였고, 2) 정제수~폴리올 파트까지 용해된 물 파트를 천천히 이송시키면서 저속 호모 믹싱을 진행하였으며, 3) 제조된 W/S 조성물을 75도까지 승온시킨 후, 4) 이소도데칸, 세라마이드 NP, 합성 왁스 파트를 외부 가마에서 용해 후 메인 탱크에 투입하면서 저속 호모 믹싱 진행하였다.
비교예 조성물의 경우, 탄화수소계 오일인 이소도데칸을 포함하지 않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SunRheometer ComPAC-100Ⅱ로 경도를 측정하고, 광학현미경으로 Nikon eclipse 80i를 이용하여 조성물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실시예 조성물은 실리콘부에 세라마이드가 미세 분산되어 석출되어, 고르게 분산 및 안정화된 것을 확인하였고(1a), 비교예 조성물의 경우 세라마이드의 결정성 때문에 과도하게 큰 결정이 형성되어 외관 품질이 불량하고 이물감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1b). 특히, 비교예 조성물의 경우, 제조 시 이송관 내에서의 빠른 석출로 인해서 내용물 규격이 상이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크림의 형성 경도 및 불균질 입자의 가시성 여부 (부적합) 차이가 있었다.
실험예
표 1에서 제조된 실시예 조성물에 대하여 Thermal Analysis System 를 이용하여, DSC 데이터를 측정하여, 도 2와 같이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석출된 왁스가 45°C 이하의 온도 구간에서는 결정화에 영향이 없는 안정한 상태로 분산되어 있으리라 예상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도 응집 없이 로드 타입으로 미세 석출되어 있는 상태가 중요한데, 이는 20-30um 사이즈 이상으로 석출화가 될 경우 이물감이나 외관 품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a-4c 는 각각 실시예 조성물의 제조 후 1년이 지난 샘플의 40배율로 관찰한 광학 이미지(4a), 편광 이미지(4b) 및 외관 이미지(4c)이다. 도 4a-4c를 참조하면, 고온 구간에서의 왁스 파트의 용해 및 결정화에 따른 면 상태 불량 이슈가 1년 이상 보관 샘플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표 1에서 제조된 실시예 조성물의 편광 이미지(200배)를 측정한 결과 도 3a와 같이 세라마이드가 고르게 미세 분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3b에서 실시예 조성물의 전자 현미경 이미지(SEM)를 관찰한 결과, 동그라미로 강조 표시된 부분에서 Rod 타입의 결정성이 잘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예
구체예 1: 실리콘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 이하의 탄화수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실리콘부;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수상부 용해도가 1 mg/ml 이하인 난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2: 구체예 1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탄소수 40 이하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3: 구체예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n-옥탄, n-노난, n-데칸, n-언데칸, n-도데칸, n-트리데칸, n-테트라데칸, n-펜타데칸, n-헥사데칸, n-헵타데칸, n-옥타데칸, 바세린, 파라핀, 세레신 및 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4: 구체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성분은 상기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결정상으로 분산된 것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5: 구체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성분은 티몰트라이메톡시신나메이트, 코질메틸렌다이옥시신나메이트, 아시아티코사이드*마데카식애씨드*아시아틱애씨드,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팔미타마이드 엠이에이,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라우라마이드 엠이에이, 세라마이드 및 센텔라 중 하나 이상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6: 구체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AS, 세라마이드 EOS, 세라마이드 NDS, 세라마이드 AP, 글루코실세라마이드 및 오메가하이드록시 세라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7: 구체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성분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8: 구체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및 난용성 성분의 중량비는 1: 0.5 내지 10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9: 구체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부는 폴리올을 더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10: 구체예 9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솔비톨(Sorbit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11: 구체예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부는 왁스를 더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12: 구체예 11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카르누바, 세라신, 세틸 에스테르류, 미정질 왁스, 몬탄 왁스, 지랍 및 합성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13: 구체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10,000 cps 이상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예 14: 구체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80 Kgf 이하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laims (14)

  1. 실리콘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 이하의 탄화수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실리콘부;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수상부 용해도가 1 mg/ml 이하인 난용성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및 난용성 성분의 중량비는 1: 1 내지 10인,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탄소수 40 이하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n-옥탄, n-노난, n-데칸, n-언데칸, n-도데칸, 이소도데칸, n-트리데칸, n-테트라데칸, n-펜타데칸, n-헥사데칸, n-헵타데칸, n-옥타데칸, 바세린, 파라핀, 세레신 및 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성분은 상기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결정상으로 분산된 것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성분은 티몰트라이메톡시신나메이트, 코질메틸렌다이옥시신나메이트, 아시아티코사이드*마데카식애씨드*아시아틱애씨드,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팔미타마이드 엠이에이,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라우라마이드 엠이에이, 세라마이드 및 센텔라 중 하나 이상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AS, 세라마이드 EOS, 세라마이드 NDS, 세라마이드 AP, 글루코실세라마이드 및 오메가하이드록시 세라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성분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폴리올을 더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솔비톨(Sorbit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부는 왁스를 더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카르누바, 세라신, 세틸 에스테르류, 미정질 왁스, 몬탄 왁스, 지랍 및 합성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10,000 cps 이상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80 Kgf 이하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25831A 2023-02-27 2023-02-27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2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831A KR102623445B1 (ko) 2023-02-27 2023-02-27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N202410203188.3A CN117982347A (zh) 2023-02-27 2024-02-23 包含水或者硅难溶性物质的硅包水型化妆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831A KR102623445B1 (ko) 2023-02-27 2023-02-27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445B1 true KR102623445B1 (ko) 2024-01-11

Family

ID=8953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831A KR102623445B1 (ko) 2023-02-27 2023-02-27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3445B1 (ko)
CN (1) CN117982347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249A (ko) * 2003-06-19 2006-03-0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실리콘중폴리올 에멀젼
JP4473494B2 (ja) 2002-06-24 2010-06-02 花王株式会社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
KR20130102622A (ko) * 2010-11-11 2013-09-1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화장용 또는 피부용 에멀젼
KR20150116655A (ko) *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JP2018199636A (ja) * 2017-05-26 2018-12-20 花王株式会社 油性化粧料
KR20190056283A (ko) * 2017-11-16 2019-05-24 (주)아모레퍼시픽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2181475B1 (ko) * 2018-11-19 2020-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2710A (ko) * 2019-05-15 2020-11-25 (주)아모레퍼시픽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복합 제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3494B2 (ja) 2002-06-24 2010-06-02 花王株式会社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
KR20060022249A (ko) * 2003-06-19 2006-03-0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실리콘중폴리올 에멀젼
KR20130102622A (ko) * 2010-11-11 2013-09-1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화장용 또는 피부용 에멀젼
KR20150116655A (ko) *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JP2018199636A (ja) * 2017-05-26 2018-12-20 花王株式会社 油性化粧料
KR20190056283A (ko) * 2017-11-16 2019-05-24 (주)아모레퍼시픽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2181475B1 (ko) * 2018-11-19 2020-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2710A (ko) * 2019-05-15 2020-11-25 (주)아모레퍼시픽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복합 제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82347A (zh) 202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063B1 (ko)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JP5047369B2 (ja) O/w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US9839588B2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comprising an aqueous dispersion of finely dispersed wax, nonionic surfactant, and ionic water-soluble thickener
TW200533378A (en) Oil-in-water type emulsion composition, skin care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and cosmetic using the same
JP5777162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S63150221A (ja) 結晶性薬物含有乳化組成物
KR102002283B1 (ko) 병풀 추출물의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04161655A (ja) セラミド類含有乳化物の製造方法、および乳化物
JPH1112125A (ja) 界面活性剤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EP1116483B1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CN103313694B (zh) 水包油型乳化组合物
JP2011195460A (ja) 皮膚外用剤
KR102623445B1 (ko) 물 또는 실리콘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94035B1 (ko) 고압분산기를 이용한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430889B2 (ja) 難溶性素材含有皮膚外用製剤
KR102451838B1 (ko) 고함량 오일 내상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0570497B1 (ko) 나노크기의 다중액정막으로 캡슐화된 순수 레티놀을포함하는 주름방지용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0540166B1 (ko) 나노 에멀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77246B1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210669A (ja) ユビキノン含有組成物、及び該ユビキノン含有組成物を用いた乳化組成物
JP6296437B2 (ja) 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920975A (zh) 具有高度剂型稳定性的化妆品组成物
Rahmadasmi et al. Literature Review: Application Lyotropic Liquid Crystals in Topical and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WO202224836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centella asiatica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