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153B1 -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153B1
KR100830153B1 KR1020070060928A KR20070060928A KR100830153B1 KR 100830153 B1 KR100830153 B1 KR 100830153B1 KR 1020070060928 A KR1020070060928 A KR 1020070060928A KR 20070060928 A KR20070060928 A KR 20070060928A KR 100830153 B1 KR100830153 B1 KR 10083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composition
alcohol
lecith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하
권태균
이주완
최진호
조주희
Original Assignee
(주) 바이오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이오앤텍 filed Critical (주) 바이오앤텍
Priority to KR1020070060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액정조성물에 있어서, 포화 레시틴, 세칠알콜, 스테알릴알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레시틴의 라멜라 구조 형성 능력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성분의 첨가와 추가적인 코팅 공정 없이 액정 안전성과 보습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액정조성물을 포함함에 의해 보습 효과를 월등히 증진시킬 수 있고, 수분 증발을 급격히 절감할 수 있고, 피부친화력을 높일 수 있어 화장품 및 세정제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액정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라멜라, 레시틴, TEWL, 보습, 피부친화, 액정안정성

Description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smetic composition thereof}
도 1은 광학현미경인 올림푸스 BX50(OLYMPUS BX50, 배율100)을 사용하여 액정을 제조한 즉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a는 광학현미경인 올림푸스 BX50(OLYMPUS BX50, 배율100)을 사용하여 -20℃ ~ -45℃의 사이클링 인큐베이터(Cycling incubator)에서 4주 후 액정의 안정도를 관찰한 액정 사진이다.
도 2b는 광학현미경인 올림푸스 BX50(OLYMPUS BX50, 배율100)을 사용하여 -20℃ ~ -45℃의 사이클링 인큐베이터(Cycling incubator)에서 6주 후 액정의 안정도를 관찰한 액정 사진이다.
도 3은 CORNEOMETER로 보습 효과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 4는 경표피 수분손실 측정실험(TEWL)을 측정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보습력과 피부 친화력을 지닌 라멜라구조의 레시틴을 포함하는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은 액체처럼 유동하지만 방향에 따라서 광학적 성질을 달리하는 결정체적인 성질을 지닌다. 온도의 변화에 따라 액정상들이 생기거나 사라지게 되는 온도전이형 액정과, 물질의 외상을 결정하는 데 온도가 여전히 중요하지만 다른 성분에 대한 한 성분의 상대적 농도가 중요한, 즉 서로 다른 두 물질이 섞여 있을 경우 혼합물의 온도가 변화하거나 혼합물의 한 성분의 농도가 변화하면 액정상이 달라지는 농도전이형 액정이 있다.
농도전이형 액정은 농도, 분자구조, 온도에 의존한다. 이것은 양친매성 분자의 소수성과 친수성 사이의 미묘한 균형의 결과이며, 적은 양의 양친매성 물질이 물과 혼합하게 되면 분자들은 용액으로 바뀔 수 있다.
양친매성 물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두 가지 가능성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한 구조는 양친매성 분자들이 비극성(소수성) 부분에 비해 극성(친수성) 부분이 강하면 양친매성 분자들은 공모양으로 배열되기 시작하는 구조이다. 즉, 바깥쪽에는 극성 부분이, 중심쪽에는 비극성인 탄화수소 부분이 형성된다. 이 구조를 미셀(micelle)이라 부르고, 양친매성 물질의 양이 어떤 농도, 즉 미셀결정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라고 부르고, 이 농도 이상이면 구조는 안정하 게 된다.
다른 하나는 양친매성 분자들이 비극성 부분에 비해 극성 부분이 충분히 강하지 않을 때 형성되는 공모양인 소포(vesicles) 구조이다. 이 공모양의 소포는 내부와 외부에 물을 갖는 층을 형성하는 양친매성 분자들의 이중층이다.
그리고 양친매성 분자들은 구조 전반을 통해 확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조에 따라 평균 방향으로 정렬한다. 이러한 구조는 위치 질서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액정분자가 평행하면서도 층을 이루는 스멕틱(smectic) 액정과 유사성이 존재하지만, 스멕틱 액정과는 달리 양친매성 분자들의 밀도는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극적으로 변한다.
농도전이형 액정은 세제산업, 원유산업, 음식물 유화제, 화장품, 및 리포좀(liposome), 니오좀(niosome), 물에서의 DNA(DNA in water)와 같은 의학기술 등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에서 액정 유화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계면활성제와 고급지방 산알콜을 혼합 사용할 경우 유화 입자 주위에 계면활성제-고급지방산알콜의 액정상이 형성되며 이러한 액정상이 형성될 경우 점도가 높아지며 유화가 안정하게 된다. 이러한 계는 냉각조건(급랭 또는 서냉)에 따라 제품의 점도 변화가 심하게 발생하며, 온도차에 떠른 보관 조건에 따라서도 점도 변화가 일어난다.
고급지방산알콜의 결정의 경우 육방정계 상태에서 액정이 되는 경우와 단사정계 상태에서 액정이 되는 경우가 다르고, 단사정계 상태에서는 펄(pearl) 효과가 나는 결정상태가 있다. 유화 제품인 경우 제조후보다 몇시간이 경과한 후 최고의 점도를 나타내는 데, 이것은 불규칙적인 액정상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나타난 결과이며 또한 미처 형성되지 못한 액정상의 생성 때문이다.
가장 넓은 온도 영역에서 액정을 나타내는 형태는 세칠알콜과 스테알릴알콜이 혼합되어 세토스테알릴알콜이 되는 경우이다. 유화에서 액정의 형성은 오일에 용해되어 있는 세토스테알릴알콜이 냉각되어 결정형태로 석출되면서 입자의 계면으로 이동하여 형성된다. 이때, 급랭 조작을 가하면 오일의 세토스테알릴알콜은 계면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과포화상태로 오일이 존재하여 액정의 형성은 적어지고 점도가 낮아진다. 그러므로 액정이 불안정해 지고, 보습 효과와 같은 기능성이 떨어진다.
바람직한 액정형성은 세토스테알릴알콜이 오일의 용해도 이상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동일량의 세토스테알릴알콜을 사용하였을 때 액상 파라핀/스쿠알렌 같은 하이드로카본계의 오일보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IPM) 같은 세토스테알릴알콜의 용해도가 큰 오일을 사용하면 액정의 형성이 적어지고 점도가 낮아져 액정이 불안정화되고 보습 효과가 떨어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한 것으로 레시틴과 피부 유용물질의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액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85,337호)에 관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인해 피부에 알러지 효과를 유발할 수 있어 민감성 피부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정의 계면에 베타글루칸 등의 천연 다당류를 코팅하여 액정의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15425호)이 개시되어 있으나, 액정을 코팅하여야 하는 공정이 추가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남아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시틴을 사용하여 라멜라 구조의 액정을 형성함으로써 액정이 안정화되고 보습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포화 레시틴, 세칠알콜, 스테알릴알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액정조성물을 형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레시틴을 사용하여 라멜라 구조의 안정된 액정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세칠알콜, 스테알릴알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제조 가마에 혼합하여 투입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온도 75 ~ 80℃를 유지하며 완전히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용해된 혼합물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포화 레시틴을 서서히 투입하여 투명할 때까지 용해시키는 단계; 및 교반이 끝나면 상기 투명 용액을 진공 탈포하며 서서히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보습 효과를 증진시키고 피부친화력을 높인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포화 레시틴, 세칠알콜, 스테알릴알콜 및 글리세릴스 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액정조성물을 총 중량당 0.1 내지 99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정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액정조성물이 포화 레시틴, 세칠알콜, 스테알릴알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조성물은 포화 레시틴에 의해 라멜라 구조를 나타내며, 상기 세칠알콜, 스테알릴알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 의해 안정된 액정조성물을 나타낸다. 상기 세칠알콜과 상기 스테알릴알콜이 혼합될 때 가장 안정된 액정조성물을 얻을 수 있고, 여기에 상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면 상기 액정조성물이 추가적인 코팅 공정이 필요없이 더욱 안정된 구조를 형성한다.
화장품에서 액정은 아름다운 모습을 나타내는 데 그 원인은 라멜라에 있다. 상기 라멜라는 인지질로 구성된 일종의 판막 구조의 유화형태이고, 오일막과 수상막이 차례로 블록을 쌓아놓은 상태이다. 상기 구조는 실제 피부구조막과 매우 유사하여 상기 라멜라 구조의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의 수분이 보호될 수 있다. 기존의 유화시스템에서는 수중유적(O/W) 외상이 수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도포시 체온에 의해 외상의 수층이 급격히 증발될 수 있다. 이때, 유화 밸런스가 흐트러지게되어 피부에 오일막만 남아 화장품 본래의 목적인 보습 효과가 현격히 떨어지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유중수적(W/O)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으나, 이는 사용감에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이 라멜 라 구조이다.
상기 라멜라 구조는 수분층(수상막)과 오일층(오일막)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어 상층의 수분층이 휘발되어도 바로 다음층의 오일층이 아래층의 수분층을 보호하기 때문에 피부도포시 계속하여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용감에 있어서도 수중유적 시스템과 유사하여 기존 유화제와는 다른 편안한 사용감을 나타낸다. 이러한 라멜라 구조를 나타낼 때 화장품은 자체의 안정성이 증가되며, 피부의 보습력이 증가된다.
상기 라멜라 구조를 나타내게 하기 위해서는 레시틴이 필요한 데, 상기 레시틴은 인체의 피부세포벽을 구성하는 세포간지질으로서의 레시틴만이 나타낼 수 있는 독특한 사용감과 피부친화성이 있다. 또한, 일반 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시스템과 비교시 상기 라멜라 구조의 특징상 보다 높은 보습력을 나타낸다. 그리고, 피부 친화력이 증가되는 데 이러한 피부의 친화도로 인하여 미용성분을 보다 쉽게 피부 깊숙히 침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레시틴을 사용한 액정조성물은, 상기 액정조성물들의 함량이 포화 레시틴 5 ~ 15 중량%, 세칠알콜 15 ~ 25 중량%, 스테알릴알콜 15 ~ 35 중량%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40 ~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화 레시티은 대두, 난항 및 씨앗 유래의 레시틴을 정제 또는 수첨시켜 포화시킬 수 있다.
상기 포화 레시틴은 탄소수가 12∼24개인 지방산 사슬을 갖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 시톨, 포스파티딕 애시드 또는 이의 가수분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에서 유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화 레시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라멜라 구조가 형성되기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기능성 물질이 방출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세칠알콜은 천연 또는 합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칠알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액정이 형성되기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형성된 액정에서 화장료 성분이 방출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스테알릴알콜은 천연 또는 합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알릴알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액정 형성이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때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는 천연 또는 합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액정 형성이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너무 높은 점도 상승이 문제점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조성물 제조방법은 세칠알콜, 스테알릴알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제조 가마에 혼합하여 투입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온도 75 ~ 80℃를 유지하며 완전히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용해된 혼합물 용액을 교반시 키면서 포화 레시틴을 서서히 투입하여 투명할 때까지 용해시키는 단계; 및 교반이 끝나면 상기 투명 용액을 진공 탈포하며 서서히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화 레시틴을 제외한 3가지 원료를 제조 가마에 투입한 후, 온도를 75 ~ 80℃ 유지하며 완전히 용해시킨 후, 마지막으로 상기 포화 레시틴을 교반 중 서서히 투입하여 투명해질 때까지 용해시킨다. 교반이 끝나면 진공 탈포하고 서서히 냉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포화 레시틴, 세칠알콜, 스테알릴알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액정조성물을 총 중량당 0.1 내지 99 중량%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액정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때에는 보습 효과와 기능성 물질의 피부 친화 효과가 감소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때에는 화장품으로서의 제품 가치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에센스, 목욕용품, 또는 세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션은 기초 화장품용 로션, 바디 로션 및 세정 로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림은 영양 크림 및 나이트 크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센스는 모공, 수분 및 주름 에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욕용품은 샤워용품 및 모발 세정 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는 얼굴 세정제 및 손,발 세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에 따른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3 액정조성물
실시예 1은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포화 레시틴을 제외한 3가지 원료를 제조 가마에 투입한 후, 온도를 80℃ 유지하며 완전히 용해시킨 후, 마지막으로 상기 포화 레시틴을 교반 중 서서히 투입하여 투명해질 때까지 용해시켰다. 교반이 끝나면 진공 탈포하고 서서히 냉각시켰다.
실시예 2는 하기 표 1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은 하기 표 1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포화 레시틴 8 6 8 2 3
세칠알콜 22 22 10 10 5
스테알릴알콜 20 30 30 20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50 50 30 30 20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실시예 2와 실시예 3보다 액정과 형성된 액정의 라멜라 구조가 안정적이었다. 도 1은 광학현미경인 올림푸스 BX50(OLYMPUS BX50, 배율100)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액정을 제조한 즉시 관찰한 사진이다. 도 1과 같이 상당히 많은 액정이 관찰되었다.
도 2a는 광학현미경인 올림푸스 BX50(OLYMPUS BX50, 배율100)을 사용하여 -20℃ ~ -45℃의 사이클링 인큐베이터(Cycling incubator)에서 4주 후 액정의 안정도를 관찰한 실시예 1의 액정 사진이다.
도 2b는 광학현미경인 올림푸스 BX50(OLYMPUS BX50, 배율100)을 사용하여 -20℃ ~ -45℃의 사이클링 인큐베이터(Cycling incubator)에서 6주 후 액정의 안정도를 관찰한 실시예 1의 액정 사진이다.
6주 후에도 상당히 많은 액정이 관찰되어 저온과 고온에서 액정의 안정도가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는 실시예 3보다 액정 형성은 잘 이루어졌으나 라멜라 구조는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2
비교예 1~2의 액정조성물은 상기 표 1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비교예 1은 실시예 1보다 액정과 라멜라 구조 형성이 매우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도 실시예 1보다 액정과 라멜라 구조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5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의 액정조성물을 3 중량% 함유하는 하기 표 2의 조성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4는 액정조성물을 이용한 크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수상부를 가온하여 용해시킨 후, 유상부를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수상부를 교반(HOMO)하면서 상기 유상부를 서서히 가해주었다. 이 유화 과정을 5분간 실시하였다. 여기에 후첨부 A를 가해주었고, 교반(HOMO)을 5분간 더 실시하여 중화시켰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약 8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실시하였다. 이후, 온도를 약 40℃로 서서히 냉각하면서 후첨부 B를 첨가하였고, 교반(HOMO)을 5분간 더 실시하였다.
실시예 5는 액정조성물을 이용한 로션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유상부를 가온하여 용해시키 후, 수상부를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수상부를 교반(HOMO)하면서 상기 유상부를 서서히 가해주었다. 이 유화과정을 5분간 실시하였다. 여기에 후첨부 A를 가해주었고, 교반(HOMO)을 5분간 더 실시하여 중화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약 8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실시하였다. 이후, 온도를 약 40℃로 서서히 냉각하면서 후첨부 B를 첨가하였고, 교반(HOMO)을 5분간 더 실시하였다.
구분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4 실시예 5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글리세린 4.00 2.00
디소듐 EDTA 0.01 0.01
프로필렌 글리콜 4.00 1.00
메틸 파라벤 0.20 0.15
카보머 14.00 7.00
유상부 세테알릴알콜 0.60 0.50
트리에틸 헥사노인 4.00 3.00
마카다미아 테르니폴리아 씨드 오일 6.00 6.00
스쿠알렌 3.00 2.00
액정조성물 3.00 3.00
BHT 0.03 0.30
프로필 파라벤 0.15 0.03
스테아릭산 0.40 -
글리세릴 스타아레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 1.00
디메티콘 1.00 0.30
후첨부 A 트리에탄올아민 0.35 0.11
정제수 1.00 1.00
후첨부 B 이미다졸 이디닐 우레아 0.20 0.20
정제수 1.00 1.00
실시예 4의 크림은 유상부에 스테아릭산이 포함되고 실시예 5의 로션에는 유상부에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가 포함되었고 그외 성분은 함량이 서로 달랐다. 모두 유상부에 액정조성물이 3중량% 포함되어 피부 친화력과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보습 효과 측정
보습 효과 측정을 위해 하기 표 3의 조성의 액정조성물 에멀젼과 겔 에멀젼, 그리고 일반 에멀젼, 대조군을 CORNEOMETER CM 825(Courage & Khazaka, Germany)와 경피흡수에서 물의 증발을 측정하는 경표피수분손실측정실험(TEWL)을 TEWAMETER TM210(Courage & Khazaka,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시작 30분 전부터 항온항습조건 (20~22℃, 상대습도 40~60%)의 실내에서 대기한 지원자 7명의 상박부에 각각의 시료 1.0mg/ml을 균일하게 도포한 뒤, 도포 직전 및 도포 직후, CORNEOMETER CM 825(Courage & Khazaka, Germany)로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고, TEWAMETER TM210(Courage & Khazaka, Germany)로 피부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이 후, 대조 부위와 각 실험물질 도포 부위를 도포 1일 후, 3일 후, 7일 후, 14일 후에 피부 수분 함량 및 피부 수분 손실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된 capacitance value는 0~120사이의 arbitrary capacitance units (a.u.)로 전환하였으며, 측정된 TEWL은 g/h/m2로 표기하였다.
함량(중량%)
액정조성물 에멀젼 겔 에멀젼 일반 에멀젼 대조군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7 7 7 -
액정조성물 3 - - -
폴리솔베이트 20 - - 2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 3 -
세피겔 305 - 0.3 - -
방부제 0.3 0.3 0.3 -
스쿠알렌 10 10 10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 5 5 -
도 3은 CORNEOMETER로 보습 효과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액정조성물 에멀젼이 3일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습 효과가 덜 감소하여 액정조성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이 보습 효과가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4는 경표피 수분손실 측정실험(TEWL)을 측정한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액정조성물 에멀젼이 3일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피 수분 증발량이 급격히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액정조성물 에멀젼이 보습 효과가 월등하고 수분 증발량이 적고, 피부친화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레시틴의 라멜라 구조 형성 능력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성분의 첨가와 추가적인 코팅 공정 없이 액정 안정성과 보습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액정조성물을 포함함에 의해 보습 효과를 월등히 증진시킬 수 있고, 수분 증발을 급격히 절감할 수 있고, 피부친화력을 높일 수 있어 화장품 및 세정제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포화 레시틴, 세칠알콜, 스테알릴알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액정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조성물들의 함량이 포화 레시틴 5 ~ 15 중량%, 세칠알콜 15 ~ 25 중량%, 스테알릴알콜 15 ~ 35 중량%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40 ~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레시틴은 대두, 난항 및 씨앗 유래의 레시틴을 정제 또는 수첨시켜 포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조성물.
  4. 세칠알콜, 스테알릴알콜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제조 가마에 혼합하여 투입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온도 75 ~ 80℃를 유지하며 완전히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용해된 혼합물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포화 레시틴을 서서히 투입하여 투명할 때까지 용해시키는 단계; 및
    교반이 끝나면 상기 투명 용액을 진공 탈포하며 서서히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조성물 제조방법.
  5. 제1항의 액정조성물을 총 중량당 0.1 내지 99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에센스, 목욕용품, 또는 세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60928A 2007-06-21 2007-06-21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83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928A KR100830153B1 (ko) 2007-06-21 2007-06-21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928A KR100830153B1 (ko) 2007-06-21 2007-06-21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153B1 true KR100830153B1 (ko) 2008-05-20

Family

ID=3966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928A KR100830153B1 (ko) 2007-06-21 2007-06-21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9900B2 (en) 2013-09-26 2018-04-24 Cosmax Co., Ltd. Method for preparing multilayer lamellar liquid crystal emulsion including intercellular lipids
KR20200083737A (ko) * 2018-12-28 2020-07-09 (주)파이온텍 알로에를 함유하는 다중유화형 액정 에멀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874A (ko) * 2001-03-31 2002-10-11 엔프라니 주식회사 저자극성 및 고보습형 화장료 조성물
KR20030015425A (ko) * 2001-08-14 2003-02-25 주식회사 참 존 천연 액정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29764A (ko) * 2002-10-02 2004-04-08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JP2006069979A (ja) 2004-09-03 2006-03-16 Taiyo Kagaku Co Ltd 化粧料用組成物及び化粧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874A (ko) * 2001-03-31 2002-10-11 엔프라니 주식회사 저자극성 및 고보습형 화장료 조성물
KR20030015425A (ko) * 2001-08-14 2003-02-25 주식회사 참 존 천연 액정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29764A (ko) * 2002-10-02 2004-04-08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JP2006069979A (ja) 2004-09-03 2006-03-16 Taiyo Kagaku Co Ltd 化粧料用組成物及び化粧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9900B2 (en) 2013-09-26 2018-04-24 Cosmax Co., Ltd. Method for preparing multilayer lamellar liquid crystal emulsion including intercellular lipids
KR20200083737A (ko) * 2018-12-28 2020-07-09 (주)파이온텍 알로에를 함유하는 다중유화형 액정 에멀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2304B1 (ko) 2018-12-28 2021-07-05 (주)파이온텍 알로에를 함유하는 다중유화형 액정 에멀전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902B1 (ko)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24888B1 (ko) 자기유화형 나노 리포좀 및 다중층 액정 함유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TWI508750B (zh) 經膠原修飾之脂質體所成化妝料基劑及含有此之皮膚化妝料
KR101418980B1 (ko) 난용성 물질을 가용화 하는 다중 라멜라 액정의 제조방법
KR100840905B1 (ko) 헥사고날 젤 구조를 가지는 피부 외용제
WO1998013025A1 (de) Strukturen mit lipid-doppelmembranen oder auf peptiden basierend
KR101269616B1 (ko)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안정화시키는 혼합미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087996B (zh) 形成与角质层的层状结构相同的结构的伪皮肤模拟体的制备方法及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
KR101094477B1 (ko) pH 감응형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2216B1 (ko) 세포간 지질 성분의 마이셀을 함유하는 가용화 제형
KR20160082054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414390B (zh) 皮肤外用剂
KR100830153B1 (ko) 액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액정조성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200058118A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3748A (ko) 탄성 리포좀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527346B1 (ko) 유사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다중 라멜라 에멀젼 형태의 화장료
KR102133629B1 (ko)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부활성물질 전달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용 조성물
KR102140863B1 (ko) 다층소구체를 가지는 전달체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제조방법
JPS61204109A (ja) 乳化型の外用組成物
KR20030084120A (ko) 화장료용 나노 베지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1500A (ko) 유성성분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1929932B1 (ko)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4848A (ko)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5013B1 (ko) 피토스핑고신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구형 결정 구조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