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71681A1 - 리튬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71681A1
WO2014171681A1 PCT/KR2014/003183 KR2014003183W WO2014171681A1 WO 2014171681 A1 WO2014171681 A1 WO 2014171681A1 KR 2014003183 W KR2014003183 W KR 2014003183W WO 2014171681 A1 WO2014171681 A1 WO 20141716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thium
adsorbent
carrier
manganese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31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강섭
김병규
류태공
류정호
박인수
홍혜진
이경철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US14/785,219 priority Critical patent/US9546430B2/en
Priority to CN201480021908.9A priority patent/CN105408521B/zh
Publication of WO20141716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716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3/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melts
    • C25C3/34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melt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5C3/02 - C25C3/32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02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ligh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22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5C1/02 - C25C1/20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2Electrodes; Connections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overing lithium contained in a solution such as seawater.
  • the mineral recovery technology which can selectively extract only certain valuable metal ions dissolved (dissolved) in seawater, reduces the dependence on foreign resources and enables stable supply of resources, thus providing sufficient value as a growth engine of the national economy and a sustainable future. It is a very important technology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 lithium ion molecular sieves include inorganic compounds such as manganese oxide particles embedded in polymers such as polyvinyl chloride (PVC), or alternatively ion exchanged in a reservoir composed of a polymer membrane, followed by acid treatment. It is usually recovered through.
  • PVC polyvinyl chloride
  • the conventional techniques described above have the advantage of having a high recovery rate for lithium ions from seawater.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36816 has been devised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technique includes an electrode module to which metal ions such as lithium are adsorbed.
  • a solution in which metal ions are present is flowed to the electrode module through a pump so that lithium ions are attached to the electrode module to which the electrode is applied.
  •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36816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thium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which is not only large in size, but also excellent in energy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is coated with an adsorbent containing manganese oxide on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or metallic material plated with a highly corrosion-resistant material such as nickel or chromium on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wire mesh or perforated plate)
  • an adsorbent containing manganese oxide on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or metallic material plated with a highly corrosion-resistant material such as nickel or chromium on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wire mesh or perforated plate)
  • the solid manganese oxide when coating the adsorbent containing manganese oxide on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carrier having the form of a wire mesh or perforated plate, the solid manganese oxide is detached even after repeated or long-term use so that a strong bond between the manganese oxide particles can be maintained.
  •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with the precursor raw material of lithium manganese oxide and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and firmly solidifies the lithium manganese oxide particles produced by melting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emperature for converting the precursor to lithium manganese oxide
  • an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that greatly improves the adhesion of lithium manganese oxide coated on a metal carrier by using an anchoring agent to fix it, and remarkably improves repeatability and long-term usability.
  • the metal oxide chelating agent when used together with the above improving agent, when the adsorbent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the dispersion of the adsorbent is better, and the miscibility with the improving agent is increased, which results in more uniformity over the entire surface.
  • the dimensional controllability is excellent, and the damage to the surface due to the resistance caused by the dimensional nonuniformity in this part can be further reduced.
  • the lithium recove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electrode which is immersed in a liquid containing lithium and is coated with an adsorbent containing manganese oxide on the surface of a stainless steel carrier having a plate-shaped wire mesh or perforated plate form.
  • the second electrode which is immersed in the liquid containing lithium and is located in a shape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st electrode at intervals and to which electricity is applied.
  •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ich are metal electrodes coated on both sides with a manganese oxide adsorbent, are repeatedly disposed.
  • the entire ship or the outer support module holding the first electrode and support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ithout repeating the position is applied as the second electrode, and applied to the entire outer module in the form of ground.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ructure for application as a second electrode.
  • a lithium-containing liquid is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carrier, the second electrode being disposed to face the first electrode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electrode coated with an adsorbent containing manganese oxide, and to which electricity is applied.
  • the negative electrode (-pole) and the positive electrode (+ pole) are respectively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 the state of being immersed in the electrode, so that lithium is adsorbed to the adsorbent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n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 the polarity of the electricity is changed so that lithium is separated from the adsorbent.
  • the lithium recove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ated with an adsorbent containing manganese oxide on the surface of a stainless steel carrier (or a metallic carrier plated with a highly corrosion resistant material such as nickel or chromium on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wire mesh or perforated plate form. Sinc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acing the first electrode are immersed in a lithium-containing liquid,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so that lithium is attached to the adsorbent of the first electrode. Not only is this possible, but it is also energy efficient and economical.
  • the improver and / or metal oxide chelating agent together, to ensure a solid bond between the manganese oxide particles, which is the coating adsorbent to be coated so that the powdery manganese oxide does not detach even in repeated or long-term use, adsorption characteristics
  • the sorbent is more uniformly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so that the dimensional controllability is excellent, and the damage of the surface due to the resistance caused by the dimensional nonuniformity in such a part This may have an effect that can be further reduced.
  • FIG.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lithium recove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s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re alternately disposed at intervals, an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ith insulation layer)
  • FIG 3 is another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s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re disposed, and one second electrode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state)
  •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manganese oxide adsorbent is repeatedly arranged a first electrode and a first electrode, which is a metal electrode coated on both sides;
  • FIG. 5 illustrates that the entire vessel or the outer support module holding the first electrode and support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ithout the repetitive positions is applied as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pplied to the entire outer module in the form of groun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covering lithium contained in seawater, brine and other liquids using the adsorption method.
  • lithium ions are diffused into the adsorbent as quickly and deeply as possible in order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adsorbent, which determines the efficiency of the adsorption reaction. Should be able to be adsorbed.
  • the acid concentration of the desorbent used when desorbing the adsorbed lithium should be easily desorbed in a very dilute acid solution.
  • a method of applying electricity to two electro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pplying an adsorbent to which lithium ions are adsorbed to an electrode to which a negative electrode (-pole) is applied is us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providing a lithium recovery apparatus and a recovery method which is not only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but also excellent in energy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 the lithium recove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electrode 10 coated with an adsorbent 12 containing manganese oxide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11.
  • the first electrode 10 has a second electrode 20 which is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nd is applied with electricity.
  •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and a cathode (-pole) and an anode (+ pole) are respectively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 a power supply device 30 that can change the polarity of the applied electricity so that the positive electrode (+ pol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le)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0.
  • the first electrode 10 or the second electrode 20 is immersed in a liquid containing lithium.
  • the reason for changing the polarity of electricity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in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when the lithium adsorbed on the adsorbent is to be separated,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This is because the lithium attached to the adsorbent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20 to be separated smoothly by changing the polarity of electricity applied to the electrode.
  • the first electrode 1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n adsorbent including manganese oxide is coated on a surface of a stainless steel carrier having a plate-shaped wire mesh or a perforated plate.
  • the adsorbent should be uniformly coated with a constant thickness, the area where the manganese oxide adsorbent comes into contact with seawater increases, and the adsorption amount and adsorption rate of lithium ions increases.
  • the electric field is not uniformly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and a locally stronger electric field is formed at a specific portion,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lithium ions is lowered, and the durability of the two electrodes is also greatly reduced. There is.
  • the carrier of the first electrode 10 is preferably a plate-shaped wire mesh or perforated plate in which a specific surface area is wide and an electric field is uniformly distributed in all parts of the entire electrode.
  • the reason why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easy to enlarge is because it is easy to increase the size of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0 and 2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t intervals as shown in FIG. 2.
  •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0 may be disposed, and one second electrode 20 may be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 FIG. 4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ich are metal electrodes coated with both surfaces of a manganese oxide adsorbent, is repeatedly arranged as shown in FIG. 4, which is a very preferable structure.
  • the entire vessel or the external support module holding the first electrode and support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ithout repeating positions are applied as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ground shape is applied to the entire external module. It may also b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lectrode.
  • the voltmeter 40 for measur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is installed to detect the minute voltage change when in use to control the device. Can be.
  • a current meter 50 for measur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0 coated with the adsorbent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fine current according to the ion conductivity.
  • the degree of diffusion of lithium ions into the adsorbent can be quantitatively confirmed, and the end point of the lithium ion adsorption of the adsorbent can be determined from the flow of the fine curren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timing of recovering the adsorbed lithium. do.
  • This configuration is very effective because it can not only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adsorbent but also quantitatively produce.
  • the voltage and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depend on the type of the carrier 11, and the adsorption conditions, that is, the lithium ion concentration in seawater, and the adsorption of lithium ions to the adsorbent 12 are performed. Constant voltage, constant current control according to the degree, there is a need to be applied by adjusting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according to the seasonal change, the sea water temperature change.
  • the provision of the voltmeter 40 and the ammeter 50 is effective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nsulating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to insulate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and transmit the liquid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end point of lithium adsorption i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impedance formed at the two electrod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dsorption of lithium ions.
  • the carrier 11 and the second electrode 20 of the first electrode 10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and the second electrode 20 may use an inert metal material which is more chemically stable. .
  • the carrier 11 of the first electrode 10 is implemented with stainless steel
  • the 200 series and the 400 series have an electrochemical inactivation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300 series.
  • the carrier 11 is degreased and washed and dried in a degreasing solution mixed with a basic solution and an emulsifier solution.
  • the adsorbent containing manganese oxide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in which the film was formed as described above.
  • Chemical coating solution is a solution having a composition of 1-2M concentration of dichromic acid and 1-5M concentration of sulfuric acid,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can be pretreated in the range of room temperature ⁇ 75 °C.
  • the adsorbent in coating the adsorbent on the carrier 11 of the first electrode 10, may be coated in a liquid phase by spraying or dipping.
  • the adsorbent solution for coating on the carrier 1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ithium compound, a manganese compound, a doping additive, and a nano fine particle dispersion stabilizer which is a precursor of lithium manganese oxide.
  • a wetting agent or a surfactant may be added to reduce the surface tension of the solution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carrier and to form a uniform coating film.
  • the adsorbent solution is prepared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using water as a solvent.
  • polar organic solvents or nonpolar organic solvents may be used, such as alcohols.
  • polar or non-polar organic compounds as solvents involves hydrolyzing the organometallic compounds dissolved in organic solvents.
  • problems in the uniformity and production reproducibility of the adsorbent solution depending on the hydrolysis conditions. Can be.
  • Lithium compounds and manganese compounds can be used for all compounds that are soluble in a solvent depending on the type of each solvent used.
  •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hange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adsorbent compound after doping,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uitable doping elements, but only by selecting and adding enhancers having elements which can improve the durability or further improve the adsorption properties. It is particularly good to increase the adsorption-and-desorption effect of lithium ions and also to the long-term use, the manganese oxide as an adsorbent to the carrier is firmly fixed to the carrier, furthermore, firmly adhered between the manganese oxide particles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long-term durability.
  • Such elements include all transition metal compounds such as titanium, zirconium, nickel and cobalt, all rare earth compounds such as cerium, and typical elemental compounds, which can be added alone or in combination, and their use forms are organic acids of the elements.
  • Compounds, such as a compound and an ester compound, are mentioned.
  • composition range of the solution may be prepared in a concentration of 0.1-2.0M lithium compound, 0.1-2.0M concentration of the manganese compound.
  • the use of the concentration of 0.01-0.5M concentration is good for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lithium ions, the durability enhancing effect is also goo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unless it significantly lowers the performance of the adsorbent.
  • the dispersion-stabilizing surfacta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in the range of 0.5-3% by mass ratio of the total solids added.
  • composition range of the more preferable solution is 0.1-2.0M concentration of lithium compound, 0.1-2.0M concentration of manganese compound, 0.01-0.5M concentration of improving agent, and surfactant is 0.5-3% in the mass ratio of the total solid added.
  • Surfactant is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lithium or manganese compound to be added or the type of the improving agent, and the amount or type to be add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 nonionic surfactants or wetting agents having a low molecular weight and containing no ions are used.
  • cationic compounds may also be used.
  • the carrier formed with the chemical conversion coating may be heat-treated in a temperature range of 200 to 500 ° C., preferably 450 to 550 ° C., after washing and drying to form the film more densely and firmly.
  • To insulate the cut metal part is coated with ceramic, a material that is stable even at a temperature of 500-600 ° C, which is a lithium manganese oxide firing temperature.
  • silica sol is used as a main component, and alumina sol is added to impart the adhesion of the metal material.
  • titania sol and zirconia sol are added to impart strength and hardness characteristics.
  • an appropriate organosilane compound is added to form a strong bond between the metal material and the metal oxide sol and to form a dense structure of the coated film.
  • the concentration of each metal oxide sol in the soluti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etal material and the desired properties after coating.
  • the solution prepared as above is sprayed on the metal carrier pretreat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It is coa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dipping and roll coating, and after primary drying for 10 minutes or more in a 70-100 ° C. region, a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 200-250 ° C. region for 30 minutes to completely cure the insulating film.
  • the diffusion current of lithium can be measured by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10 coated with the adsorbent 10 and the ammeter 50 in series.
  • the degree of adsorption of lithium can be confirmed by a separate impedance system that automatically measures from time to time.
  • a floating film is formed that can suppress corrosion of the carrier made of stainless steel mesh.
  • the carrier is degreased in the degreasing solution. Since the degreasing solution is generally known and used in the art, no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 the formation of the chemical conversion film which increases the composition of the durable chromium,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it is not limited to a solution having a composition of dichromic acid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 to 2 M and sulfuric acid in the range of 1 to 5 M, but usually at a temperature of 70 ° C. at room temperature. It was kept in the film and treated with chemical conversion film by immersing the carrier (eg stainless carrier).
  • the carrier eg stainless carrier
  • an insulating film can be formed if necessary.
  • a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film on the carrier having undergone the floating film forming step was performed.
  • the method for forming the insulating film is not limited to the insulating film forming composition, but for example, 1 to 30 parts by weight of silica, alumina, titania, and zirconia are sol, preferably alcohol, water such as ethanol, methanol, or other organic solvents.
  • a composition comprising 1 to 20 parts by weight of a sol and 1 to 50 parts by weight of a coupling agent is sprayed onto a pretreated metal carrier. Coating is performed by immersion, roll coating, or the like.
  • organosilane-based compound in the coupling agent include glycidoxy propyl triethoxysilane, methyl triethoxy silane, amino propyl triethoxy silane, imidazole propyl triethoxy silane, and the like. Solids content is 10-70% by mass ratio,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silica sol may be preferably used as a main component, an alumina sol is added to impart the adhesion of the metal material, and a titania sol and zirconia to impart strength and hardness characteristics.
  • the sol was added and an organosilane compound was added as a suitable coupling agent for the formation of a dense structure of the coated film and a strong bond between the metal material and the metal oxide sol.
  • organosilane compoun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glycidoxy propyl triethoxysilane, amino propyl triethoxy silane, imidazole propyl triethoxy silane, and the like.
  • the adsorbent solution may be a lithium manganese oxide adsorbent solution using water as a solv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etal oxide precurs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soluble in water and uses a precursor that is stable in water.
  • a lithium metal precursor is not limited, but lithium acetate or the like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 organic lithium compound or lithium hydroxide, and an organic manganese compound may be used as the manganese metal precursor.
  • wetting agents such as polyalkylene oxides such as polyethylene oxide or polypropylene oxide, non-ionic and high molecular dispersant, polyalkylene oxides, composite polymers thereof, organic acid surfactants, amines, and amides, etc., based on solid content, are 0.1-2. It can be added in the range of%.
  • the solution prepared above is sufficiently mixed at the temperature of 50 degreeC or more in the reactor with a cooling circulation apparatus, for example, mixing enough for 1 hour or more, and a solution is prepared.
  • the solu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is effective even if water is used as a solvent and an organic compound having an alcohol type, a hydroxyl group, or an organic acid functional group is used as a solvent, but it should not affect the properties of the metal precursor.
  • the mix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hydrolyzed slowly at a temperature of 45 ° C. or lower and sufficiently stirred for a sufficient time, for example, 20 hours or more.
  • the first electrode 10 coated with the adsorbent is completed by immersing the carrier having undergone the insulating film forming step in the adsorbent solu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and separating and drying the adsorbent solution.
  • the lithium manganese adsorbent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dried at 70-100 °C and preferably heat treated at 450-550 °C to form a thin layer of lithium manganese oxide.
  • an enhancer to the lithium manganese oxide adsorbent in order to increase durability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 the content of the modifiers can be added in various amounts as needed, but can be added,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01-0.5M.
  • modifiers include all transition metal compounds, such as titanium, zirconium, nickel, cobalt, all rare earth compounds, such as cerium, and typical element compounds, which may be added alone or in the form of complex compounds, the use of which is described above. Examples thereof include compounds such as organic acid compounds and ester compounds.
  • a metal oxide chelating agent may be additionally used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and lithium recovery performance together with the improvement agent.
  • the chelating agent is an organic compound capable of coordinating covalent bonding because it has a non-covalent pair of electrons.
  • the functional group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ompounds such as 2, 4, -pentanedione, diethanol methylamine, acetoacetate, and the like.
  • the amount of the chelating agent which is soluble in water and has coordination covalent bonds with a metal and has stable oxide precursor properties in water is added to the solution by adding the covalent covalent bond equivalent ratio of the metal precursor to prepare a solution.
  • This solution may be prepared using an organic compound having an alcohol type, a hydroxyl group or an organic acid functional group as a solvent, without using water as a solvent.
  • organometallic compounds other than acetic acid compounds may be used among organometallic compounds which are metal oxide precursors, and after the chelating agent is added, the metal precursor and the chelating agent may be sufficiently reacted. The reaction should be sufficiently stirred for at least 1 hour.
  • the concentration of the adsorbent solution is diluted, but not limited after the primary coating.
  • the secondary coating is dried at 70-100 ° C. and subjected to the second coating to coat the adsorbent. It can be carried out through a repeated coating method.
  • a layered lithium manganese oxide thin film by heat treatment at preferably 450-550 °C.
  • a method of separating lithium ions by immersing the first electrode 10 in an acidic solution while lithium is adsorbed on the first electrode 10 can be used.
  • lithium may be more easily separated and dissolved.
  • the acid solution for the separation of lithium may be inorganic acid, which is a strong acid such as hydrochloric acid and sulfuric acid, but it is easy to separate and dissolve by electric diffusion of lithium ions. You may use an organic acid.
  • lithium ions having the smallest ion grains among alkali metal ions have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precipitated and separated by neutralization with organic acids, unlike other alkali metal ions.
  •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0 coated with an adsorbent containing manganese oxide are arranged on a surface of a stainless steel support having a wire mesh shape.
  •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intervals.
  • the insulating layer 60 wa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 pole) and the second electrode ( ⁇ pole).
  • the cathode (-pole) and the anode (+ pole) ar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respectively.
  • a power supply device 30 is provided to change the polarity of the applied electricity so that a positive electrode (+ pol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0 and a negative electrode ( ⁇ pole)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0.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1전극; 제2전극; 및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리튬 회수장치는 철망이나 타공판 형태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담체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제1전극 및 제1전극과 마주하는 제2전극을 리튬함유 액체에 침지한 상태에서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류를 인가하여 리튬이 제1전극의 흡착제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장치의 대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리튬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본 발명은 해수 등의 용액에 포함된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유가금속 광물자원의 고갈 문제는 가까운 미래에 인류문명 발전의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광물자원의 경제성을 감안한 육상 채광물량은 전 세계적으로 410만여톤에 불과하며 앞으로 10년 이내 고갈이 예상되는 희귀자원이다.
이러한 리튬 자원은 일부 국가에만 편중되어 있고 리튬 매장량이 극미한 대한민국 등에서는 광석 및 염호로부터 리튬을 채취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해수 용존자원 중에서 리튬은 0.17mg/ℓ의 미량으로 존재할지라도 전체 용존량은 2,300억 톤으로 많은 양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해수에 녹아있는(용해되어 있는) 특정 유가금속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광물 회수 기술은 해외 자원 의존도를 낮추고 안정적인 자원 공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국가경제의 성장 동력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고 지속적인 미래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해수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들은 대부분 특정 금속 이온에 대한 선택적인 제거를 위한 무기 혹은 유기물질의 이온 교환 및 흡착 기술들에 중점을 두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온 분자체로서 망간산화물과 같은 무기화합물 입자들을 PVC(polyvinyl chloride) 같은 폴리머에 임베디드(embeded)시키거나, 고분자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진 저장체에 담아 선택적으로 이온교환을 시킨 후 산처리하는 기술을 통해 회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이 해수로부터 리튬 이온에 대한 높은 회수율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특정 이온의 흡착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경제성과 효율성이 낮고, 이온의 분리공정과 같이 이온의 회수를 위한 후처리 공정에서 산과 같은 유독성 물질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부식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들에 의해 한국 특허등록 제10-1136816호가 안출되었다.
상기 기술은 리튬 등의 금속 이온이 흡착되는 전극모듈을 구비하고. 펌프를 통해 금속이온이 존재하는 용액을 전극모듈로 유동시켜 -전극이 인가된 전극모듈에 리튬이온이 부착되도록 한다.
또, 부착된 리튬이온을 분리하려 할 때는 전극의 극성을 바꾸어주어 리튬이온이 전극모듈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해수 등의 용액에 포함된 리튬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대형화에 한계가 있고, 에너지 효율성 및 경제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1368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대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리튬 회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운전 가능한 리튬이온 탈, 흡착시 장기 사용이 가능한 리튬 회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철망이나 타공판 형태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혹은 전도성이 있는 소재에 니켈이나 크롬 같은 내식성이 강한 소재를 도금한 금속성의) 담체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제1전극 및 제1극과 마주하는 제2전극을 리튬함유 액체에 침지한 상태에서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기를 인가하여 리튬이 이동되어 제1전극의 흡착제에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철망이나 타공판 형태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담체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를 코팅할 때, 망간산화물 입자들 간에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반복 또는 장기 사용에도 분말상 망간산화물이 탈리되지 않고 흡착특성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극을 제공함으로써, 원활하게 리튬을 회수 및 탈리할 수 있는 전극이 달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전극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튬망간산화물의 전구체 원료와 함께 혼합되어 담체 표면에 코팅되고, 상기 전구체를 리튬망간산화물로 전환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어 생성되는 리튬망간산화물 입자를 단단히 고정하는 개선제(enhancer)를 사용함으로써 금속 담체에 코팅되는 리튬망간산화물의 밀착성을 크게 향상시켜 반복 및 장기 사용성을 현저히 개선한 전극을 가지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개선제와 더불어 금속산화물 킬레이팅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담체표면에 흡착제를 코팅할 때, 흡착제의 분산이 더욱 잘 되고, 또한 개선제와 혼화성이 증가되어 표면 전체에 더욱 균일한 입자들이 코팅될 수 있도록 하여 치수 제어성이 우수하게 되고, 이러한 부분에 치수 불균일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에 따른 표면의 손상이 더욱 감소시킬 수 있어서 좋다.
상기의 다양한 양태의 발명을 통하여 대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리튬 회수장치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리튬 회수장치는, 리튬을 함유하고 있는 액체에 침지되는 것으로서 판재형의 철망이나 타공판 형태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담체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제1전극을 갖는다.
또, 리튬을 함유하고 있는 액체에 침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전극과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되며 전기가 인가되는 제2전극을 갖는다.
또,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되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음극(-극)과 양극(+극)을 각각 인가한 후 인가되는 전기의 극성을 바꾸어 제1전극에 양극(+극)이 인가되고 제2전극에 음극(-극)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망간 산화물 흡착제가 양면으로 코팅된 금속 전극인 제1전극과 제2전극을 반복적으로 배치한다.
또, 대형의 경우에는 제1전극과 제2전극을 반복적으로 위치시키지 않고 제1전극을 담아서 지지하고 있는 선박 혹은 외형 지지체 모듈 전체를 제2전극으로 적용하고, 외형 모듈 전체에 접지형태로 적용하여 제2전극으로 응용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리튬 회수방법은, 담체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제1전극과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전극과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되며 전기가 인가되는 제2전극을 리튬함유 액체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음극(-극)과 양극(+극)을 각각 인가하여 제1전극의 흡착제에 리튬이 흡착되도록 한 후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의 극성을 바꾸어 리튬이 흡착제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리튬 회수장치는 철망이나 타공판 형태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담체(혹은 전도성이 있는 소재에 니켈이나 크롬 같은 내식성이 강한 소재를 도금한 금속성의 담체)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제1전극 및 제1전극과 마주하는 제2전극을 리튬함유 액체에 침지한 상태에서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기를 인가하여 리튬이 제1전극의 흡착제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장치의 대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개선제 및/또는 금속산화물킬레이팅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코팅되는 흡착제인 망간산화물 입자들 간에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반복 또는 장기 사용에도 분말상 망간산화물이 탈리되지 않고 흡착특성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극을 제공함으로써, 원활하게 리튬을 회수 및 탈리할 수 있는 전극이 달성되도록 한다..
또한 금속산화물 킬레이팅제의 사용의 경우 담체의 표면 전체에 흡착제가 더욱 균일한 입자들이 코팅될 수 있도록 하여 치수제어성이 우수하게 되고, 이러한 부분에 치수 불균일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에 따른 표면의 손상이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어서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튬 회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1전극과 제2전극의 배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제1전극과 제2전극이 간격을 두고 교번되게 배치되고,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절연층이 위치된 상태)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1전극과 제2전극의 배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개략도(제1전극이 복수 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1전극에 대하여 한 개의 제2전극이 위치된 상태)
도 4는 망간 산화물 흡착제가 양면으로 코팅된 금속 전극인 제1전극과 제전극을 반복적으로 배치한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제1전극과 제2전극을 반복적으로 위치시키지 않고 제1전극을 담아서 지지하고 있는 선박 혹은 외형 지지체 모듈 전체를 제2전극으로 적용하고, 외형 모듈 전체에 접지형태로 적용하여 제2전극으로 하는 구조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흡착법을 이용하여 해수, 염수 및 기타 액체에 함유된 리튬을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착법을 이용하여 해수, 염수 및 기타 액체에 녹아 있는 리튬을 회수할 경우, 흡착반응의 효율성을 좌우하는 흡착제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리튬이온이 흡착제에 가능한 한 빨리 그리고 깊이 확산되어 들어가서 수소이온과 치환되어 흡착될 수 있어야 한다.
또, 흡착제를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서는 흡착된 리튬을 탈착할 때 사용되는 탈착액의 산 농도가 가능한 매우 묽은 산성용액에서 쉽게 탈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호 대응되어 위치되는 2개의 전극에 전기를 인가하고 음극(-극)이 인가되는 전극에 리튬이온이 흡착되는 흡착제가 위치되어 있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대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리튬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리튬 회수장치는, 담체(11)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12)가 코팅되어 있는 제1전극(10)을 갖는다.
또, 제1전극(10)과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되며 전기가 인가되는 제2전극(20)을 갖는다.
또,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되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에 음극(-극)과 양극(+극)을 각각 인가한 후 인가되는 전기의 극성을 바꾸어 제1전극(10)에 양극(+극)이 인가되고 제2전극(20)에 음극(-극)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30)를 갖는다.
제1전극(10)이나 제2전극(20)은 리튬을 함유하고 있는 액체에 침지된다.
상기 구성에서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에 인가되는 전기의 극성을 바꾸어주는 이유는 흡착제에 흡착된 리튬을 분리하려 할 때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에 인가되는 전기의 극성을 바꾸어줌으로써 흡착제에 부착된 리튬을 제2전극(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은 흡착된 리튬 이온을 탈착시킬 때 산성용액의 산 농도를 리튬 이온의 당량비 이하로 크게 줄일 수 있고 염산과 같은 무기 강산을 사용하지 않고 약산을 사용할 수 있어서 망간산화물 흡착제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서 제1전극(10)은 판재형의 철망이나 타공판 형태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담체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가 코팅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비표면적이 넓고 표면이 거칠지 않아 흡착제를 넓고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흡착제가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되어야 망간산화물 흡착제가 해수와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고 리튬이온의 흡착량과 흡착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에 전기장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특정 부위에 국부적으로 더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면 리튬 이온의 흡착 효율이 낮아지고, 두 전극의 내구성도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1전극(10)의 담체는 비표면적이 넓고 전극 전체의 모든 부분에 전기장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는 판재형의 철망이나 타공판 형태가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조가 대형화에 용이한 이유는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의 크기를 대형화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대형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이 복수 개 구비되는 조건에서는 도 2와 같이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이 간격을 두고 교번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제1전극(10)이 복수 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1전극에 대하여 한 개의 제2전극(20)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대형 시스템에서는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에 전원을 병렬로 인가하고 정전압 장치를 통해 전기를 일정하게 인가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형태로서, 도 4와 같이 망간 산화물 흡착제가 양면으로 코팅된 금속 전극인 제1전극과 제2전극을 반복적으로 배치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매우 바람직한 구조이다.
또 다른 형태로서, 도 5와 같이 제1전극과 제2전극을 반복적으로 위치시키지 않고 제1전극을 담아서 지지하고 있는 선박 혹은 외형 지지체 모듈 전체를 제2전극으로 적용하고, 외형 모듈 전체에 접지형태로 적용하여 제2전극으로 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계(40)를 설치하여 사용상태일 때의 미세한 전압 변화를 감지하여 장치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흡착제가 코팅된 제1전극(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50)를 구비하여 이온 전도도에 따른 미세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확산된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미세 전류의 흐름으로부터 흡착제의 리튬 이온 흡착 종말점을 판단할 수 있어서 흡착된 리튬을 회수하는 시점을 정확히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흡착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을 정량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는 담체(11)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고, 흡착조건 즉 해수의 리튬이온 농도, 흡착제(12)에 리튬이온의 흡착 진행 정도에 따른 정전압, 정전류 조절, 계절적 변화에 따른 환경 변화, 해수 온도 변화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인가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전압계(40)와 전류계(50)를 구비하면 본 발명의 장치 제어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전극(10)과 제2전극(20) 사이에 위치되어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을 절연시키고 액체는 투과시키는 절연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리튬이온의 흡착 정도에 따라 두 전극에 형성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여 리튬 흡착의 종말점을 결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전극(10)의 담체(11)와 제2전극(20)을 동일한 금속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제2전극(20)은 전기화학적으로 더욱 안정한 비활성 금속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전극(10)의 담체(11)를 스테인레스로 구현하는 경우 스테인레스 중에서도 200 계열과 400 계열은 전기화학적 비활성이 300계열보다 현저히 낮아서 300 계열 스테인레스 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스테인레스는 전처리 조건에 따라 표면 부동상태 피막의 특성과 부식특성이 크게 달라지므로 적절한 전처리를 진행하여 표면에 부동상태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망간산화물 흡착제(12)가 담체에 강하게 밀착되어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적절한 표면 전처리 코팅 과정도 진행하는 것이 좋다.
스테인레스 재질의 담체 표면에 부동상태 피막을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담체(11)를 염기성 용액과 유화제 용액이 혼합된 탈지용액에서 탈지 후 세척 및 건조한다.
이후 황산과 크롬이 혼합된 피막용액을 사용해서 담체(11)에 화성피막을 형성하고 세척, 건조 후 열처리하여 피막이 형성된 담체를 얻는다.
상기와 같이 피막이 형성된 담체의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를 코팅한다.
화성피막 용액은 중크롬산 1-2M 농도, 황산 1-5M 농도의 조성을 갖는 용액으로 용액의 온도는 상온 ~ 75℃의 범위에서 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전극(10)의 담체(11)에 흡착제를 코팅함에 있어서는 흡착제를 액상으로 제조하여 분사나 침지하는 방법 등으로 코팅할 수 있다.
담체(11)에 코팅을 위한 흡착제 용액은 리튬망간산화물의 전구체인 리튬 화합물, 망간 화합물, 그리고 도핑 첨가제, 나노 미립자 분산 안정화제로 이루어진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담체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코팅막을 균일하게 형성시키기 위해 용액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습윤제나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흡착제 용액은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수용액 상으로 제조되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알코올 종류와 같이 극성 유기 용매나 비극성의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극성이거나 비극성이거나 유기 화합물을 용매로 사용하면 유기 용매에 용해되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가수분해 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데 용액을 대량생산할 경우에 가수분해시키는 조건에 따라 흡착제 용액의 균일성과 생산 재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 코팅 후 열처리 과정에서 대기 오염성의 유기 화합물이 기체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용매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환경적인 면이나 경제적인 면에서 효과적이다.
리튬화합물과 망간화합물은 사용하는 각 용매의 종류에 따라 용매에 용해성이 있는 화합물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적절한 도핑 원소들의 경우에는 도핑한 후에 흡착제 화합물의 구조적 특성에는 변화가 없으며, 단지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거나 혹은 흡착 특성을 더욱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원소를 가지는 개선제(enhancer)들을 선택하여 첨가하는 것이 특히 리튬이온의 흡탈착 효과를 높여주고 또한 장기 사용에도 담체에 흡착제인 망간산화물이 담체에 단단히 고정되고, 더구나 망간산화물 입자들 간에도 단단히 고착하여 장기 내구성을 현저히 증가시켜 주므로 좋다.
이러한 원소로서 티탄늄, 지르코늄, 니켈, 코발트와 같은 모든 전이금속 화합물, 세륨과 같은 모든 희토류 화합물, 전형원소 화합물들이 있으며, 단독 혹은 복합 화합물 형태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들의 사용형태는 상기 원소의 유기산화합물, 에스테르화합물 등의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용액의 조성 범위는 리튬화합물은 0.1-2.0M 농도, 망간화합물은 0.1-2.0M 농도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개선제를 첨가하는 경우, 개선제는 0.01-0.5M 농도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리튬이온의 흡,탈착에도 좋고, 내구성 강화효과도 좋지만 흡착제의 성능을 현저히 저하시키지 않는 한,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필요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산 안정화하는 계면활성제를 전체 첨가되는 고형분의 질량비로 0.5-3% 범위로 첨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용액의 조성 범위는 리튬화합물 0.1-2.0M 농도, 망간화합물은 0.1-2.0M 농도, 개선제 0.01-0.5M 농도, 계면활성제는 전체 첨가되는 고형분의 질량비로 0.5-3% 범위의 조건이다.
계면활성제는 첨가되는 리튬, 망간화합물의 종류나 개선제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농도에 따라 첨가량이나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작고, 이온을 함유하지 않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나 습윤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산성 조건에서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성피막 처리가 이루어진 담체를 세척, 건조 후 200 ~ 500℃, 바람직하게는 450 내지 550℃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하여 피막을 더욱 치밀하고 견고하게 형성시켜줄 수 있다.
스테인레스 재질의 철망이나 다른 금속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담체에 전기적 에너지가 인가되면 담체의 잘려진 부분 즉 날카로운 끝 부분에서 전하가 강하게 집중되어서 이 부분에 전류밀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이 부분을 정밀하게 절연 밀봉하지 않으면 균일 전류 밀도를 얻을 수 없고 흡착 효율로 감소하게 되고 제1전극(10)의 내구성도 감소하게 된다.
금속 끝 잘린 부분을 절연하는 것은 리튬망간 산화물 소성 온도인 500-600℃ 온도에서도 안정한 소재인 세라믹으로 코팅하는 것이다.
코팅 세라믹 용액의 조성은 주된 성분으로 실리카 졸이 사용되고, 금속 소재의 밀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알루미나 졸이 첨가한다.
또, 강도와 경도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티타니아 졸과 지르코니아 졸을 첨가한다..
또, 금속 소재와 금속 산화물 졸 사이의 강한 결합과 코팅된 막의 치밀한 구조의 형성을 위하여 적절한 유기실란 화합물이 첨가한다.
용액에서 각 금속산화물 졸의 농도는 금속 소재 그리고 코팅 후 원하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조된 용액을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전 처리된 금속 담체에 분사. 침지, 롤 코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코팅하고 70-100℃ 영역에서 10분 이상 일차 건조 후 200-250℃ 영역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완전 경화시켜 절연막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을 갖는 경우 전원의 연결 형태는 제1전극(10) 간에 병렬 연결되고, 제2전극(20) 간에 병렬로 연결되게 구현하며, 리튬의 확산 전류는 흡착제가 코팅된 제1전극(10)과 전류계(50)를 직렬로 연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 리튬의 흡착된 정도는 수시로 자동 측정하는 별도의 임피던스 시스템에 의해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예시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부동상태 피막 형성단계>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철망으로 이루어진 담체의 부식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부동상태 피막을 형성한다.
부동상태 피막을 형성시키는 전처리 방법은, 탈지용액에서 담체를 탈지한다. 탈지 용액은 통상적으로 당 분야에 공지되어 사용하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탈지 후 세척 및 건조과정을 통하여 황산과 크롬이 혼합된 피막용액에서 화성피막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실시한다.
내구성이 강한 크롬의 조성이 증가하는 화성피막의 형성은 제한되지 않지만 좋게는 중크롬산 1 ~ 2 M 농도 범위와 황산 1 ~ 5 M 농도의 조성을 갖는 용액을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상온에서 70℃의 온도 범위로 유지시키고 담체(예를들면 스테인레스 담체)를 침지하여 화성피막 처리하였다.
<절연막 형성단계>
본 발명에서는 필요시 절연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절연막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부동상태 피막 형성단계를 거친 담체에 절연막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실시하였다. 절연막 형성방법은, 절연막형성 조성물을, 제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및 지르코니아 1 내지 30중량부를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콜이나 물, 또는 기타 유기용제를 매개로한 졸, 좋게는 1 내지 20중량부의 졸과 커플링제 1 내지 5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전 처리된 금속 담체에 분사. 침지, 롤 코팅 등의 방법으로 코팅한다. 이어서 비제한적이지만 좋게는 70-100℃ 영역에서 10분 이상 일차 건조 후 제한되지 않지만 좋게는 150 ~ 300℃에서 10 ~ 120분간 열처리 하여 완전 경화하였다. 상기 건조온도와 시간 및 경화온도와 시간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상기 커플링제 중 유기실란계 화합물의 예로는 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메칠 트리에톡시 실란, 아미노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이미다졸프로필 트리 에톡시 실란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질량비로 10-70% 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절연막형성 조성물의 예를 설명하면, 좋게는 주된 성분으로 실리카 졸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 소재의 밀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알루미나 졸을 첨가하고, 또, 강도와 경도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티타니아 졸과 지르코니아 졸을 첨가하고, 금속 소재와 금속 산화물 졸 사이의 강한 결합과 코팅된 막의 치밀한 구조의 형성을 위하여 적절한 커플링제로서 유기실란 화합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실란 화합물로서는 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이미다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착제 용액 제조 및 코팅 단계>
흡착제 용액은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리튬망간산화물 흡착제 용액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금속산화물 전구체는 통상적으로 물에 잘 녹고, 물에서 안정한 전구체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리튬금속 전구체의 예를 들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초산리튬 등을 유기산리튬화합물이나 이를 수산화리튬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고, 망간금속 전구체로는 유기산망간화합물 등을 예로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액에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성이며 고분자 분산제인 폴리에칠렌옥사이드 혹은 폴리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폴리알킬렌옥시드나 이의 복합고분자 , 유기산 계면활성제, 아민이나 아마이드계 등의 것과 같은 습윤제를 고형분 기준으로 0.1-2% 범위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조한 용액을 냉각 순환 장치가 부착된 반응기에서 50℃ 이상의 온도에서 충분히 혼합하여, 예를 들면 1시간 이상 충분히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용액은 물을 용매로 사용하지 않고 알코올 종류나 수산기나 유기산 작용기를 가지고 있는 유기 화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하여도 효과적이지만, 금속전구체의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 각 유기금속화합물 당량비의 좋게는 1.5배 정도 과량을 첨가하여 완전 용해 또는 가수분해 시켜 용액을 완성한다.
혼합온도는 좋게는 45℃ 이하의 온도에서 서서히 가수 분해 시키고 충분한 시간, 예를들면, 20시간 이상 충분히 교반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흡착제 용액에 절연막형성 단계를 거친 담체를 침지시킨 후 흡착제 용액에서 분리하여 건조함으로써 흡착제가 코팅된 제1전극(10)을 완성한다.
이때 리튬 망간 흡착제를 코팅한 후 제한되지 않지만 좋게는 70-100℃ 에서 건조한 후 좋게는 450-550℃에서 열처리하여 층상구조의 리튬망간 산화물 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튬망간산화물 흡착제에 내구성과 흡착 특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개선제(enhancer)을 첨가하는 것이 좋다.
개선제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함량으로 첨가할 수 있지만, 예를들면, 0.01-0.5M 범위에서 첨가될 수 있다.
개선제의 예를 들면, 티탄늄, 지르코늄, 니켈, 코발트와 같은 모든 전이금속 화합물, 세륨과 같은 모든 희토류 화합물, 전형원소 화합물들이 있으며, 단독 혹은 복합 화합물 형태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들의 사용형태는 상기 원소의 유기산화합물, 에스테르화합물 등의 화합물을 예로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초산지르코늄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선제와 더불어 접착성과 리튬회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금속산화물 킬레이팅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팅제는 비 공유 전자쌍을 가지고 있어서 배위공유결합을 할 수 있는 유기화합물들로 작용기들 중에서 5A 족과 6A족 원소가 포함된 작용기인 케톤기, 수산기, 아민기, 아마이드기, 황화기, 인 작용기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유기 화합물들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2, 4,- 펜탄다이온, 디에탄올메칠아민, 아세토에세테이트 등의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이 화합물들 중에서 물에 용해성이 좋고 금속과 배위공유결합을 하여 물에서 안정한 산화물 전구체 특성을 갖는 킬레이팅제를 용액에 첨가하는 양은 금속 전구체의 배위공유결합 당량비 만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한다.
이 용액은 물을 용매로 사용하지 않고 알코올 종류나 수산기나 유기산 작용기를 가지고 있는 유기 화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하여도 좋다.
단, 이러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 산화물 전구체인 유기금속 화합물들 중에서 초산화합물 이외에 다른 유기 금속화합물들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킬레이팅제가 첨가된 후에는 금속 전구체와 킬레이팅제가 충분히 반응할 수 있도록 1시간 이상 충분히 교반 반응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착제를 균일하게 형성시키기 위해 흡착제 용액의 농도를 묽게 하여 1차 코팅 후 제한되지 않지만 좋게는 70-100℃ 에서 건조하고 다시 흡착제를 코팅하는 2차 코팅을 실시한 후 상기 조건에서 건조하는 반복코팅법을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리튬 망간 흡착제를 코팅하고 건조한 후 좋게는 450-550℃에서 열처리하여 층상구조의 리튬망간 산화물 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흡착제의 이온교환>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전극(10)에 리튬이 흡착된 상태에서 제1전극(10)을 산성 용액에서 침지하여 리튬 이온을 분리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10)에는 + 전극을, 흡착제가 코팅되지 않은 제2전극(20)에는 - 전극을 연결함으로써 리튬의 분리, 용해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리튬의 분리를 위한 산성용액은 염산, 황산과 같은 강산인 무기산을 사용하여도 좋으나 리튬이온의 전기적 확산에 의해 분리, 용해가 용이하므로 초산, 글리코르산, 아스코르산 등과 같이 아세테이드 작용기를 갖는 유기산을 사용하여도 좋다.
특히, 분자량이 큰 유기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칼리 금속 이온 중에서 이온 알맹이가 가장 작은 리튬이온은 다른 알칼리 금속 이온들과는 다르게 유기산과 중화반응 하여 침전,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다른 알칼리 금속 이온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산의 종류에 따라 산성 용액에서의 리튬 확산, 분리 정도 및 흡착제와 담체의 밀착 내구성과 안정성도 다르게 된다.
이러한 특성들은 별도의 전극 임피던스 측정 시스템이나 순환 전압-전류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 리튬 회수장치의 형태>
도 1과 같이 철망 형태의 스테인레스 재질 담체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제1전극(10)을 복수 개 배열하였다.
또, 복수 개의 제2전극(20)을 위치시킴에 있어 제1전극(10)과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시켰다.
또, 제1전극(+극)과 제2전극(-극) 사이에 절연층(60)을 위치시켰다..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되 제1전극(10)과 제2전극(20)에 음극(-극)과 양극(+극)을 각각 인가한 후 인가되는 전기의 극성을 바꾸어 제1전극(10)에 양극(+극)이 인가되고 제2전극(20)에 음극(-극)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30)를 구비하였다.
(부호의 설명)
10. 제1전극
11. 담체
12. 흡착제
20. 제2전극
30. 전원공급장치
40. 전압계
50. 전류계
60. 절연층

Claims (12)

  1. 담체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제1전극;
    리튬을 함유하고 있는 액체에 침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전극과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되며 전기가 인가되는 제2전극; 및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되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음극(-극)과 양극(+극)을 각각 인가한 후 인가되는 전기의 극성을 바꾸어 제1전극에 양극(+극)이 인가되고 제2전극에 음극(-극)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리튬 회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를 코팅한 리튬 회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계;
    상기 제1전극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가 더 구비된 리튬 회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을 절연시키고 액체는 투과시키는 절연층;이 더 구비된 리튬 회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은 간격을 두고 교번하여 복수 개 배치되어 있는 리튬 회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망간전구체와 리튬전구체 및 개선제를 함유한 코팅용액을 담체에 코팅하고 가열함으로써 제조된 흡착제인 리튬 회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제는 티탄늄, 지르코늄, 니켈, 코발트와 같은 모든 전이금속 화합물, 세륨과 같은 모든 희토류 화합물, 전형원소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복합화합물인 리튬 회수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금속킬레이트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리튬 회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킬레이트 화합물은 5A 족과 6A족 원소가 포함된 작용기인 케톤기, 수산기, 아민기, 아마이드기, 황화기, 인 작용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화합물인 리튬 회수장치.
  10. 담체 표면에 망간산화물을 포함하는 흡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제1전극과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전극과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되며 전기가 인가되는 제2전극을 리튬함유 액체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음극(-극)과 양극(+극)을 각각 인가하여 제1전극의 흡착제에 리튬이 흡착되도록 한 후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의 극성을 바꾸어 리튬이 흡착제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회수방법.
  11. 리튬화합물, 망간화합물, 개선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담체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담체를 가열하여 리튬망간산화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회수장치용 전극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금속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하는 리튬 회수장치용 전극의 제조방법.
PCT/KR2014/003183 2013-04-17 2014-04-14 리튬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WO201417168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85,219 US9546430B2 (en) 2013-04-17 2014-04-14 Lithium recovery device and recovery method
CN201480021908.9A CN105408521B (zh) 2013-04-17 2014-04-14 锂回收装置及其回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94 2013-04-17
KR1020130042394A KR101335364B1 (ko) 2013-04-17 2013-04-17 리튬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1681A1 true WO2014171681A1 (ko) 2014-10-23

Family

ID=4998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3183 WO2014171681A1 (ko) 2013-04-17 2014-04-14 리튬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46430B2 (ko)
KR (1) KR101335364B1 (ko)
CN (1) CN105408521B (ko)
WO (1) WO2014171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2014DE00081A (ko) * 2014-01-10 2015-07-17 Bry Air Asia Pvt Ltd
KR101467994B1 (ko) * 2014-03-31 2014-12-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알루미나 구조물을 이용한 리튬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5933B1 (ko) * 2015-08-13 2016-01-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다종 이온 회수 시스템
CA3003245A1 (en) * 2018-05-10 2019-11-10 Liep Energy Ltd. Process for production of lithium battery electrodes from brine
KR102133790B1 (ko) 2018-08-13 2020-07-2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니켈코발트망간산화물을 이용한 리튬회수방법
KR102129313B1 (ko) * 2018-08-13 2020-07-0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니켈망간산화물을 이용한 리튬회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16B1 (ko) * 2007-11-29 2010-02-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리튬 망간 산화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산화물을이용하는 리튬 흡착제
KR20120024423A (ko) * 2010-08-12 2012-03-14 제펜 아토믹 에너지 에이전시 리튬 회수 방법 및 리튬 회수 장치
KR101133669B1 (ko) * 2008-11-21 2012-04-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온체형 망간 산화물 제조 및 리튬 이온 흡착/탈착 공정을 위한 일체형 리튬 회수 장치, 이를 이용한 리튬 회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탈착 시스템
KR101136816B1 (ko) * 2011-07-26 2012-04-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금속이온 회수용 전극모듈의 제조방법, 금속이온 회수용 전극모듈 및 이를 구비한 금속이온 회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5748B2 (ja) * 1991-03-04 1996-09-18 工業技術院長 リチウム回収方法
CN1200475C (zh) * 2003-05-09 2005-05-04 武汉理工大学 用离子筛从废旧锂离子电池中分离回收锂的方法
JP2012504190A (ja) * 2008-09-29 2012-02-16 韓国地質資源研究院 分離膜貯留層を用いるリチウム回収装置、これを用いるリチウム回収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リチウム吸脱着システム
EP2562276A1 (en) * 2010-04-22 2013-02-27 Haruo Uehara Device and method for recovering lithium
CN102373341A (zh) * 2010-08-12 2012-03-14 独立行政法人日本原子力研究开发机构 锂的回收方法及锂的回收装置
CN102049238B (zh) * 2010-11-19 2012-08-15 中南大学 一种选择性提取锂的离子筛及其应用
CA2871092C (en) * 2012-04-23 2017-05-09 Nemaska Lithium Inc. Processes for preparing lithium hydroxi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16B1 (ko) * 2007-11-29 2010-02-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리튬 망간 산화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산화물을이용하는 리튬 흡착제
KR101133669B1 (ko) * 2008-11-21 2012-04-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온체형 망간 산화물 제조 및 리튬 이온 흡착/탈착 공정을 위한 일체형 리튬 회수 장치, 이를 이용한 리튬 회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탈착 시스템
KR20120024423A (ko) * 2010-08-12 2012-03-14 제펜 아토믹 에너지 에이전시 리튬 회수 방법 및 리튬 회수 장치
KR101136816B1 (ko) * 2011-07-26 2012-04-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금속이온 회수용 전극모듈의 제조방법, 금속이온 회수용 전극모듈 및 이를 구비한 금속이온 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08521A (zh) 2016-03-16
KR101335364B1 (ko) 2013-12-02
CN105408521B (zh) 2018-12-11
US9546430B2 (en) 2017-01-17
US20160060777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71681A1 (ko) 리튬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WO2015137678A1 (ko) 산화그래핀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막, 이를 포함하는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163654B (zh) 一种超快响应的柔性应变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02877109A (zh) 电泳沉积法制备石墨烯透明导电薄膜
CN110767956B (zh) 一种锂离子电池极片材料与集流体的剥离方法
WO2012067338A2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 그 전극의 제조방법,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제조장치, 그 제조방법, 전해액의 선택이온 농도계, 선택이온 농도 측정방법 및 자립용 전지 시스템
WO2016036121A1 (ko) 리튬 전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상기 리튬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리튬 전극의 제조방법
WO2011162431A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27825A1 (ko) 초발수성 코팅용액 조성물 및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9338430B (zh) 一种覆盖在金属表面的硅烷/环氧树脂-go-硅烷多层防护膜的制备方法
CN106587038A (zh) 一种石墨烯薄膜基底的处理液、处理方法及石墨烯薄膜的制备方法
WO2018186603A1 (en) Electrochemical mirror
CN114318455B (zh) 一种高导电耐蚀的聚合物复合涂层及其制备方法和双极板
WO2018155972A2 (ko)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WO2020226232A1 (ko) 유기 전기화학 트랜지스터 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4027833A1 (ko) 투명 전도성 막 코팅 조성물, 투명 전도성 막 및 투명 전도성 막의 제조 방법
WO2016080642A1 (ko) 바이폴라 이온교환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11999359A (zh) 一种石墨烯基透明导电薄膜电极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3113123A1 (ko) 산 염기 접합 흐름 전지의 성능 개선을 위한 이온 채널이 정렬된 음이온 교환 층을 가지는 비대칭 바이폴라막, 그 제조 방법 및 바이폴라막이 적용된 산 염기 접합 흐름 전지
WO2018101665A1 (ko) 자화를 이용한 반도체 코팅막 제조방법
CN109142466B (zh) Cvd石墨烯的无污染转移工艺获得氧化石墨烯与石墨烯复合结构的气敏薄膜传感器及方法
WO2023048419A1 (ko) 전극 코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의 제조방법
WO2020004965A1 (ko) 미세먼지 제거용 3차원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002564A2 (ko) 이형방지 조성물, 상기 이형방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그래핀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0256394A1 (ko) 복합재의 제조 방법 및 복합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21908.9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858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8521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858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