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12805A1 -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 Google Patents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12805A1
WO2014112805A1 PCT/KR2014/000475 KR2014000475W WO2014112805A1 WO 2014112805 A1 WO2014112805 A1 WO 2014112805A1 KR 2014000475 W KR2014000475 W KR 2014000475W WO 2014112805 A1 WO2014112805 A1 WO 20141128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uard rail
support
present
fence
protective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04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종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Priority to BR11201501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BR112015016853A2/pt
Priority to US14/761,345 priority patent/US9777448B2/en
Priority to RU2015130481A priority patent/RU2619562C2/ru
Priority to CN201480004751.9A priority patent/CN104919115B/zh
Priority to DE112014000467.7T priority patent/DE112014000467B4/de
Publication of WO20141128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128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Definitions

  • FIG. 1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fence fen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FIG. 1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coupling of an assembly combining two connecting portions to a strut to prepare the median shown in FIG. 16.
  • the inclined portion of the guard rail may have a curved shape when viewed in plan view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hape change start area A and coupled to the support 10 from the bent point.
  • the end can also be straight when viewed in plan.
  • the connecting portion 12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11 and the support 10 to secure a space, but the connecting portion 12 is a straight line It has a curved shape and is disposed obliquely or has a bent shape.
  • the front face of the guardrail viewed from the road direction has a continu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 the protective fen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guardrail and the support while the front face has continuity in preparation for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 the guardrail has sufficient plastic deformation. Until it causes the vehicle has a structure that can not directly contact the shore.
  • the guardrail may be referred to as a continuous beam having a post as a point.
  • the connecting part 12 which secures a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11 and the post 10 is inclined. Or have a bent shape, the elastic modulu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connecting members orthogonal to the back of the guardrail, so that the continuous beam point made of the guardrail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pproaches an indefinite infinite beam.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has an improved impact energy absorption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복수개의 지주, 가드레일, 및 경사지게 배치되어 지주와 가드레일을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어 충격 에너지가 가드레일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주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 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본 발명은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차량이 중앙선을 넘는 것을 방지기 위하여 도로의 측면이나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방호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거나 또는 중앙차선을 넘어서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차량을 다시 도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도로의 측면이나 도로의 중앙에는 방호울타리가 설치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3678호에는 종래의 방호울타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방호울타리는 일반적으로 지면에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가드레일(guard rail)로 구성된다. 종래의 방호울타리에서, 지주와 가드레일 사이에는 가드레일에 직각으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호울타리에서는, 연결부재가 지주 및 가드레일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드레일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는 대부분 지주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즉, 차량 충돌로 인한 충격 에너지가 가드레일에 의해 흡수되지 못하고 지주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며, 따라서 차량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이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로 인한 충격 에너지가 가드레일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주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 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호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개가 직선 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연결되어 연속되는 복수개의 가드레일; 및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지주와 가드레일의 배면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지주와 가드레일을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방호울타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가요성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드레일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직선을 이루고 있되 일측 단부는 배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경사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경사부분이 연결부에 해당하며; 상기 가드레일의 직선부분 끝단은, 이웃하는 가드레일에서 경사부분이 시작하기 직전의 위치에 해당하는 형상변화개시구역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요성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직선 또는 곡선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드레일과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사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재의 일단은 가드레일의 배면에 강결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경사부재의 타단은 지주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요성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드레일과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절곡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부재의 일단은 가드레일의 배면에 강결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절곡부재의 타단은 지주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요성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드레일과 상기 연결부는 도로의 폭방향으로 지주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어서, 중앙분리대로서 기능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요성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지중에 관입되는 지주의 하단부에서 지주의 외면에는, 판부재로 이루어고 지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날개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울타리는 차량 충돌에 대비하여 정면이 연속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가드레일과 지주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차량 충돌 등이 발생하였을 때 가드레일이 충분한 소성변형을 일으키기 전까지는 차량이 지주에 직접 닿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울타리에서는 가드레일의 배면과 지주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는 연결부가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또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드레일의 배면에 직교하는 종래 기술의 연결부재보다 탄성계수가 더 작으며, 따라서 차량 충돌 시에 가드레일로 만들어지는 연속보는 지점이 분명치 않은 무한보에 가까워지고, 그에 따라 향상된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호울타리에서는 가드레일의 배면과 지주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는 연결부가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또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량 충돌로 인한 충격 에너지가 가드레일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주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충격 에너지 흡수능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차량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지주의 직접 적인 손상을 줄이게 되고, 방호울타리의 구조가 더욱 단순화되어 제작 및 설치비용과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를 변형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조립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에서 가드레일이 지주와 이웃하는 가드레일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에서 연결부에 가드레일이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방호울타리를 이용하여 형성된 중앙분리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방호울타리를 이용하여 형성된 중앙분리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중앙분리대를 제자하기 위하여, 2개의 연결부를 결합한 조립체를 지주에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정면이 보이도록 도로 방향에서 방호울타리(1)를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배면이 보이도록 방호울타리(1)를 도로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개략적인 평면도(도 1의 화살표 V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지주(10)에서 지반에 관입되는 부분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방호울타리(1)는, 복수개의 지주(10)와, 가드레일(11)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지주(10)와 가드레일(11)의 배면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지주(10)와 가드레일(11)을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10)는 그 하단부가 지중(地中)에 연직하게 관입되어 고정 설치되는데, 복수개의 지주(10)가 차량 주행 방향 즉,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지주(10)는 파이프 부재나 H빔 등의 강재(steel)로 제작된 부재일 수도 있지만, 지주(10)는 강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콘크리트 말뚝을 포함하여 기타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드레일과 연결부(12)는 벽체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지주(10)는, 말뚝 형태의 구조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연결부(12)의 단부가 결합되는 구조물(예를 들어 벽체 구조물에서 연결부가 결합되는 지점)을 모두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말뚝 형식으로 이루어져 지중에 관입되는 지주(10)의 경우, 그 하단부에서 지주(10)의 외면에는, 판부재로 이루어고 지주(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날개부재(14)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재(14)는 지주(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지주(10)에 날개부재(14)가 구비되면, 차량의 충돌에 의해 지주(10)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에 대해 큰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날개부재(14)는 필요에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서, 생략될 수도 있다.
가드레일(11)은 차량이 직접 충돌하게 되는 부재인데,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파형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연결부는 지주(10)와 가드레일(11)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부재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12)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지주(10)와 가드레일(11)의 배면 사이에서 경사지게 존재한다.
특히,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2)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가드레일(11)의 구부러진 일측 단부가 상기 연결부(12)를 이루고 있다. 가드레일(11)은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연속적으로 결합되는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가드레일(11)은 길이 방향으로 직선을 이루고 있되 일측 단부는 배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경사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속되는 2개의 가드레일을 도시할 때,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각각 도면부호 11과 도면부호 11a를 부여하여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가드레일(11, 11a)을 지주(10)에 결합할 때, 경사지게 구부러진 가드레일(11)의 경사부분은 그 끝단이 지주(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가드레일(11a)의 직선부분 끝단은, 이웃하는 가드레일(11)에서 경사부분이 시작하기 직전의 위치에 해당하는 형상변화개시구역(A)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복수개의 가드레일은 각각 직선부분과 경사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속하여 결합되는데, 배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가드레일(11)의 경사부분의 끝단은 지주(10)에 결합되고, 후속하는 가드레일(11a)의 직선부분은 지주(10)에 결합되어 있는 이웃 가드레일(11)의 경사부분이 시작하기 직전의 위치인 형상변화개시구역(A)에서 이웃 가드레일(11)의 정면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가드레일이 연속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가드레일(11, 11a)은, 도로 방향에서 볼 때 정면이 계속 연속되어 있는 선형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웃하는 가드레일끼리 서로 연결되어 연속 설치되는 것이 반복됨으로써 필요한 도로 구간에 본 발명에 따른 방호울타리(1)가 시공된다.
가드레일의 상기 경사부분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곡선 형태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지만, 형상변화개시구역(A)에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되고 절곡된 지점부터 지주(10)에 결합되는 끝단까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 형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배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가드레일(11)의 경사부분이, 상기한 것처럼 가드레일(11)의 배면과 지주(10) 사이에서 간격을 확보하게 되는 "연결부(12)"에 해당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에 대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정면이 보이도록 도로 방향에서 방호울타리(1)를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배면이 보이도록 방호울타리(1)를 도로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에서는, 연결부(12)가 별도의 경사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에서, 가드레일(11)의 배면과 지주(10) 사이의 간격에는, 가드레일과 분리되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사부재가 배치되는데, 상기 경사부재의 일단은 가드레일(11)의 배면에 강결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고, 상기 경사부재의 타단은 지주(10)에 고정 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에서는 이러한 경사부재가 연결부(12)에 해당하는 것이다.
특히, 이와 같기 가드레일과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경사부재에 의해 연결부(12)가 만들어짐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부재가 직선 형태를 가지고 있되, 가드레일(11)의 배면에 고정 결합되는 일단은 가드레일(11)의 배면과 평행한 평행단부(120)로 이루어지고, 지주(10)에 결합되는 타단은 가드레일(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로 진행 방향으로 지주(10)의 측면에 결합되는 직교단부(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연결부(12)에 해당하는 경사부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곡선 형태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에는 상기한 제2실시예를 변형한 제3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정면이 보이도록 도로 방향에서 방호울타리(1)를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연결부(12)는 별도의 경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부재가 직선 형태의 직선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부재가 곡선으로 구부러진 곡선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연결부(12)를 이루는 부재는, 가드레일과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되 절곡된 형상의 절곡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1에는 연결부(12)가 절곡부재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정면이 보이도록 도로 방향에서 방호울타리(1)를 바라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의 조립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2)가 절곡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상기 절곡부재의 일단은 가드레일(11)의 배면에 강결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절곡부재의 타단은 지주(10)에 고정 결합된다.
연결부(12)가 가드레일(11)과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 각각에서 서로 이웃하는 가드레일은 단부가 서로 포개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연속된 정면을 가지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에 대한 도면으로서, 가드레일(11)의 일단부가 연결부(12)를 형성하되, 가드레일이 각형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진 방호울타리(1)에서 이웃하는 가드레일(11, 11a)에서 하나의 가드레일(11)은 지주(10)에 결합되어 있고 후속하는 가드레일(11a)이 지주(10)와 이미 설치된 이웃 가드레일(11)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에 대한 도면으로서, 연결부(12)가 가드레일(11)과 분리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되, 가드레일(11)이 각형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진 방호울타리(1)에서 지주(10)에 결합된 연결부(12)에 가드레일(11)이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있어서 가드레일(11)은 파형 판 부재나 단순한 평면 판 부재 이외에도 각형 단면을 가지는 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방호울타리(1)에서는, 가드레일(11)의 배면과 지주(10) 사이에 연결부(12)가 배치되어 공간을 확보하고 있되, 상기 연결부(12)는 직선이나 곡선의 형상을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또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드레일을 도로 방향에서 바라본 가드레일의 정면은 평면이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호울타리(1)는 차량 충돌에 대비하여 정면이 연속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가드레일과 지주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차량 충돌 등이 발생하였을 때 가드레일이 충분한 소성변형을 일으키기 전까지는 차량이 지주에 직접 닿을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구조적으로는 방호울타리에서 가드레일은 지주를 지점으로 하는 연속보라고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가드레일(11)의 배면과 지주(10)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는 연결부(12)가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또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드레일의 배면에 직교하는 종래 기술의 연결부재보다 탄성계수가 더 작으며, 따라서 차량 충돌 시에 가드레일로 만들어지는 연속보는 지점이 분명치 않은 무한보에 가까워지고, 그에 따라 향상된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가드레일(11)의 배면과 지주(10)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는 연결부(12)가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또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량 충돌로 인한 충격 에너지가 가드레일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주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충격 에너지 흡수능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차량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지주의 직접 적인 손상을 줄이게 되고, 방호울타리의 구조가 더욱 단순화되어 제작 및 설치비용과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호울타리(1)는 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 이외에도,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 중앙분리대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중앙분리대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가드레일(11)이 지주(10)의 양측에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다. 도 1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일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를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또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를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는 도 16에 도시된 중앙분리대를 제자하기 위하여, 2개의 연결부(12)를 결합한 조립체(102)를 지주(10)에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도로의 폭 방향으로 지주(10)의 양측에 각각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연결부를 이용하여 가드레일(11)을 설치함으로써, 중앙분리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방호울타리(1)처럼 연결부(12)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연결부(12)가 결합된 조립체(102)를 제작하고, 상기 조립체(102)를 지주(10)에 강결 결합한 후, 조립체(102)의 각 연결부(12)에 가드레일(11)을 강결로 결합함으로써 중앙분리대를 제작할 수 있다.

Claims (6)

  1.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10);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개가 직선 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연결되어 연속되는 복수개의 가드레일(11); 및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지주(10)와 가드레일(11)의 배면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지주(10)와 가드레일(11)을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방호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드레일(11)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직선을 이루고 있되 일측 단부는 배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경사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경사부분이 연결부(12)에 해당하며;
    상기 가드레일(11)의 직선부분 끝단은, 이웃하는 가드레일에서 경사부분이 시작하기 직전의 위치에 해당하는 형상변화개시구역(A)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방호울타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는, 직선 또는 곡선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드레일과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사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재의 일단은 가드레일(11)의 배면에 강결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경사부재의 타단은 지주(1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방호울타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드레일과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절곡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부재의 일단은 가드레일(11)의 배면에 강결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절곡부재의 타단은 지주(1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방호울타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드레일(11)과 상기 연결부(12)는 도로의 폭방향으로 지주(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어서, 중앙분리대로서 기능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방호울타리.
  6. 제1항에 있어서,
    지중에 관입되는 지주(10)의 하단부에서 지주(10)의 외면에는, 판부재로 이루어고 지주(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날개부재(1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방호울타리.
PCT/KR2014/000475 2013-01-17 2014-01-16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WO2014112805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12015016853A BR112015016853A2 (pt) 2013-01-17 2014-01-16 barreira antichoque flexível
US14/761,345 US9777448B2 (en) 2013-01-17 2014-01-16 Flexible crash barrier with improved impact energy-absorbing capacity
RU2015130481A RU2619562C2 (ru) 2013-01-17 2014-01-16 Гибкий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барьер с повышенной способностью поглощения энергии удара
CN201480004751.9A CN104919115B (zh) 2013-01-17 2014-01-16 提高冲击能量吸收能力的可挠性防撞护栏
DE112014000467.7T DE112014000467B4 (de) 2013-01-17 2014-01-16 Flexible Leitplanke mit verbesserter Aufprallenergieabsorptionskapazitä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212A KR101356566B1 (ko) 2013-01-17 2013-01-17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KR10-2013-0005212 2013-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2805A1 true WO2014112805A1 (ko) 2014-07-24

Family

ID=5014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0475 WO2014112805A1 (ko) 2013-01-17 2014-01-16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77448B2 (ko)
KR (1) KR101356566B1 (ko)
CN (1) CN104919115B (ko)
BR (1) BR112015016853A2 (ko)
DE (1) DE112014000467B4 (ko)
RU (1) RU2619562C2 (ko)
WO (1) WO20141128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7826A (zh) * 2021-11-08 2022-01-21 湖南交通国际经济工程合作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中央分隔带门架防护护栏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5768A1 (de) * 2015-09-18 2017-03-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eitplankensystem mit unterschiedlichen Intervallen
CN108442278B (zh) * 2018-06-19 2023-12-08 上海布克林金属防腐有限公司 一种道路用吸能防护装置
CN109898442A (zh) * 2019-03-11 2019-06-18 宋健 一种道路防撞护栏系统及其防撞方法
CN111996955A (zh) * 2020-08-18 2020-11-27 湖南创一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钢结构防撞护栏
WO2023057507A2 (de) * 2021-10-05 2023-04-13 Paxos Consulting & Engineering GmbH & Co. KG Photovoltaiksystem für verkehrswege
CN114108527B (zh) * 2021-10-26 2023-04-28 铁正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公路工程用事故应急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135U (ko) * 1971-05-28 1973-01-11
JPS51126934U (ko) * 1975-04-10 1976-10-14
KR200311357Y1 (ko) * 2003-01-22 2003-04-21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강성 차등형 가드레일
KR200391781Y1 (ko) * 2005-02-25 2005-08-09 김충열 가드레일용 지주대의 매설보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4232A (en) * 1931-11-14 1934-09-18 Roy L Brown Safety guard rail for highways
US1999065A (en) * 1933-11-03 1935-04-23 Smith Robert Byron Road guard rail
US2030782A (en) * 1935-06-12 1936-02-11 John P Dennebaum Guard device
US2974934A (en) * 1959-11-02 1961-03-14 Andrew J White Safety apparatus for highways
AT263842B (de) * 1964-09-09 1968-08-12 Oesterr Alpine Montan Leitplanke für Fahrbahnen
US3467361A (en) * 1965-03-25 1969-09-16 Gennaro Moschettini Guard-rails for roads
SU1087606A1 (ru) * 1982-10-25 1984-04-23 Novikov Vladimir A Барьер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 автомобильных дорог
US4838523A (en) * 1988-07-25 1989-06-13 Syro Steel Company Energy absorbing guard rail terminal
US4910901A (en) * 1988-09-19 1990-03-27 Boyar Florene E Sign post assembly
US5152507A (en) * 1991-01-17 1992-10-06 Rahnfong Lee Guard rail assembly for roads
FR2681888B1 (fr) * 1991-09-30 1993-12-31 Gaillard Sa Cie Fse Ets Glissieres de securite routiere comportant au moins une lisse horizontale en bois.
FR2690701B1 (fr) * 1992-04-30 1996-09-20 Daniel Duyck Glissieres de securite routieres mixtes metal et bois ronds armes.
US5305976A (en) * 1992-11-09 1994-04-26 Jack D. Blanchard Stake supported post
CN2138144Y (zh) * 1992-12-19 1993-07-14 中国公路工程咨询监理总公司 一种公路波形梁护栏
IT1273583B (it) * 1995-04-19 1997-07-08 Snoline Spa Barriera stradale a struttura modulare atta ad assorbire gradualmente energia,nell'impatto di veicoli
US5730555A (en) * 1996-07-11 1998-03-24 Stoner; Ronald Ground anchor
US6006740A (en) * 1998-09-28 1999-12-28 Ulrickson; George G. Portable campfire grill
WO2002066745A1 (en) * 2001-02-19 2002-08-29 Thorgeir Jonsson Lateral load bearing structural cantilevered system such as highway guardrail and bridgerail systems
CA2466109C (en) * 2001-11-06 2009-10-27 Carlos M. Ochoa Roadway guardrail structure
US20040091314A1 (en) * 2002-11-07 2004-05-13 Salyer David Chadwick Energy absorbing safety wall for motor racing
KR20040098834A (ko) * 2003-05-16 2004-11-26 재 술 나 가드레일 겸용 난간
US7100903B1 (en) * 2003-09-19 2006-09-05 Wilson Harold E Impact barrier system
ES2581977T3 (es) * 2003-09-22 2016-09-08 Valmont Highway Technology Limited Guardarraíl
KR200365416Y1 (ko) 2004-07-26 2004-10-25 용 관 박 반원형 엔드레일
KR100463678B1 (ko) * 2004-08-24 2004-12-29 영신산업 주식회사 가드레일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도로용 가드레일지주
US7556243B2 (en) * 2005-05-02 2009-07-07 John P. Williams High tension cable to metal beam guide fence transition
AU2006235939A1 (en) * 2006-11-10 2008-05-29 Samho C&T Pty Ltd Guardrail type road safety barrier
ES2279734B2 (es) * 2007-01-19 2008-11-01 Hierros Y Aplanaciones, S.A. (Hiasa) Barrera de seguridad para carreteras mixta de madera y metal para contencion de impacto lateral de vehiculos, con cualidades esteticas y capacidad de contencion y redireccionamiento.
EP2083122A1 (en) * 2008-01-25 2009-07-29 Crisol Julio Collados Safety barrier for guard rails
RU81213U8 (ru) * 2008-06-24 2009-07-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тройпромет"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барьер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GB0901596D0 (en) * 2009-01-31 2009-03-11 Gerrard Robert Post footing
US20110024707A1 (en) * 2009-07-29 2011-02-03 Williams Johnie E Bumper Rail System Shock Absorber
US8491216B2 (en) * 2009-10-27 2013-07-23 Lindsay Transportation Solutions, Inc. Vehicle crash attenuator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135U (ko) * 1971-05-28 1973-01-11
JPS51126934U (ko) * 1975-04-10 1976-10-14
KR200311357Y1 (ko) * 2003-01-22 2003-04-21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강성 차등형 가드레일
KR200391781Y1 (ko) * 2005-02-25 2005-08-09 김충열 가드레일용 지주대의 매설보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7826A (zh) * 2021-11-08 2022-01-21 湖南交通国际经济工程合作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中央分隔带门架防护护栏及其施工方法
CN113957826B (zh) * 2021-11-08 2022-12-27 湖南交通国际经济工程合作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中央分隔带门架防护护栏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0467T5 (de) 2015-10-08
KR101356566B1 (ko) 2014-01-29
CN104919115B (zh) 2017-05-17
CN104919115A (zh) 2015-09-16
US20150354155A1 (en) 2015-12-10
US9777448B2 (en) 2017-10-03
DE112014000467B4 (de) 2020-12-24
BR112015016853A2 (pt) 2017-07-11
RU2619562C2 (ru) 2017-05-16
RU2015130481A (ru)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12805A1 (ko)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WO2015068985A1 (ko) 충돌 충격 흡수장치
US7556243B2 (en) High tension cable to metal beam guide fence transition
KR101036416B1 (ko) 가드레일의 지지구조
US20170362788A1 (en) Terminal for Road Crash Barrier
WO2014081056A1 (ko) 차량 방호책
EP2626470A1 (en) Integrated road barrier
KR10087203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170330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20120090908A (ko) 충격흡수가드레일
WO2017164491A1 (ko)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KR100974853B1 (ko) 중앙분리대
KR100682791B1 (ko) 차량용 방호 울타리
KR20040012654A (ko) 차량용 방호울타리
CN106812088A (zh) 公路防护栏
KR101351197B1 (ko)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
KR101192586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214012B1 (ko) 2단 가드레일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548952B1 (ko)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이 향상된 가드케이블
KR101585733B1 (ko)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
KR101259931B1 (ko)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CN213448238U (zh) 公路路肩边坡用高强度塑钢板桩
CN214883265U (zh) 一种公路防护栏装置
KR101282920B1 (ko)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406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61345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4000467

Country of ref document: DE

Ref document number: 1120140004677

Country of ref document: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130481

Country of ref document: RU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15016853

Country of ref document: BR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406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5016853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1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