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64491A1 -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 Google Patents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64491A1
WO2017164491A1 PCT/KR2016/014999 KR2016014999W WO2017164491A1 WO 2017164491 A1 WO2017164491 A1 WO 2017164491A1 KR 2016014999 W KR2016014999 W KR 2016014999W WO 2017164491 A1 WO2017164491 A1 WO 20171644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uard rail
buffer
coupling plate
reinforcing
guar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49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심기용
Original Assignee
(주)효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명 filed Critical (주)효명
Publication of WO20171644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644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ard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installed on the center line or roadside of a road such as a highway or an automobile-only road.
  • guard rails are designed to limit the width of driving roads and to prevent occupants from escaping the road or invading the center line, to ensure occupant safety and to prevent secondary accidents that occu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s installed.
  • Such a guardrail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a pillar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ground along the road, and combining the guard rail bar with the pillar.
  • the guardrail has a structure and a characteristic to protect the vehicle by maintaining its shape in case of an external impact such as a collision of the vehicle.
  •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even if there is an external impact, such as a vehicle collision, the support made of H-shaped steel or steel pipe (1)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guardrail bar deformation and to mitigate the impact ), And a guardrail bar 3 provided to have a curved shape so that a valley and a plurality of floors are formed, and the guardrail bar 3 is installed by being assembled with bolts and nuts to the support 1.
  •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simple shape, the shape of the guard rail is easily broken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so that it may be difficult to properly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tection of the vehicle or the alleviation of the collision.
  • 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4377 (published July 15, 2013)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impact buffering effect regardless of the point where the vehicle collides, and to improve visibility without regard to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even if the vehicle crashes guardrail It is to provide a guard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that can minimize the deformation or breakage of.
  • Guard 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comprises: a cylindrical or polygonal tubular shape, a plurality of strut members buried underground or fixed to the grou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guard rails provided to extend across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t front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the guard rails being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above and below the support members;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uffer members installed transversely to the guard rails so as to cross the plurality of guard rails,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uffer member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 the guard rails are coupled to the holding member.
  • the angle formed by the coupling plate and the transverse buffer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force of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ransverse buffer portion and the force in the normal direction acts perpendicular to the guard rail.
  • At least one of the guard rail and the reinforcing buffer member, the outer surfac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band for reflecting or emitting light.
  • the guard rail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by a first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and the reinforcing buffer member is fixed to the guard rail by a second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fastening plate and the guard rail. It is preferred to be installed.
  • the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buffer and the inter-buffer may have a fractal reinforcement provided in a fractal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rut members buried underground or fixed to the grou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 a guardrail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strut members so as to cross the plurality of strut members, the guardrail being provided in pluralit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strut member;
  • a plurality of reinforcing buffer members installed transversely to the guard rails so as to cross the plurality of guard rails,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uffer member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 the guard rails are coupled to the holding member.
  • the hold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rism is installed so that the coupling edge is a corner portion facing the guard rail, the guard rail is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by the first fastening member It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the reinforcing buffer member is fixed to the guard rail by a second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fastening plate and the guard rail,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guard rail of the support member
  • the shock absorbing member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terposed, the inner side of the holding member toward the coupling ed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fixing plate formed vertically long, the front side of the guard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ard rail Along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late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grain
  • the long washe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coupled to the janghwa washer and the shock absorbing fix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is installed so as to form a cross shape with each
  • the impact external force always acts perpendicular to the guardrail regardless of the point where the vehicle collides, thereby maximizing the shock buffering effect and enhancing visibility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thus preventing accid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uard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that can be prevented, and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guardrail even if the vehicle crashe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ard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guard rail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of the guardrail device having the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of FIG. 2;
  • FIG. 4 is a plan view of a partial area viewed from above of the guardrail device having the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of FIG. 2;
  • FIG. 5 is a side view of the guard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of FIG.
  • FIG. 6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guard rail of FIG. 5;
  • FIG. 7 is a side view of a guard rail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6;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reinforcing buffer member is coupled to the guard rail of FIG. 2;
  • FIG. 9 is a bottom view of the reinforcing buffer member of FIG. 8 viewed from below;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ard rail device to which a reinforcing buffer member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guard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upling plate 220 transverse buffer portion
  • first fastening member 400 reinforcing buffer member
  • second fastening member 500 light emitting band
  • Guard 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made of a cylindrical or polygonal tub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strut members buried underground or fixed to the groun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 100 and a plurality of guard rails 200 which are provided to extend across the plurality of strut members 100 from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strut members 100 and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up and down of the strut member 100; It includ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uffer member 40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uard rail 200 so as to cross the plurality of guard rails 200 ar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 the holding member 100, the lower end is fixedly installed in the center line or the outer line of the road surface, the upper cover 10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guard rail (
  • the 200 is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340 such as a bolt to firmly support the guard rail 200.
  • a shock absorbing member 300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hape of the strut member 100 Is preferred.
  • the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300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00 and the guard rail 200 corresponds to the contact surfac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100.
  • the hold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rism is installed so that the coupling edge portion 103, the corner portion facing the guard rail 200, the impact
  • the absorbing member 300 is formed to be concave with the letter 'V' so that the portion coupled to the holding member 100 corresponds to the edge shape of the holding member 100.
  • the shock absorbing member 300 is provid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pproximately 'c' on the side, the guard rail in contact with the guard rail 200 when coupled to the guard rail 200
  • Each of the contact portion 310 and the guard rail contact portion 310 is extended and bent respectively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100 when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00, but the engaging edge 103 of the support member 100 is
  • the contact groove 321 includes a buffer extension part 320 recessed in a V-shape at each en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edge portion 103 to be engaged.
  • the guard rail 200 is coupled to the strut member 100 provid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rism through the shock absorbing member 300, so that the strut member 100 is more firml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us the shock absorbing member ( The holding member 100 is more firmly engaged and supported by the contact groove 321 of the 300 so as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left and right rotational deformation or breakage during the transmission of an external impact due to a collision of the vehicle.
  • a fastening hole 3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surface of the guard rail contact portion 310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300, and a coupling edg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member 100.
  • the inner side facing the 103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fixing plate 330 which is formed vertically long so that the first fastening member 340 passes through the guard rail 200 to close the fastening hole 311 of the guard rail contact portion 310.
  • the fastening nut 350 is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340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shock absorbing fixing plate 330 and protruding to the opposite side based on the shock absorbing fixing plate 330. 100), the shock absorbing member 300 and the guard rail 200 to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 the first fastening member 340 may include a computer bolt.
  • the guard rail 200, the shock absorbing member 300 and the holding member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hock absorbing fixing plate 330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ard rail 200,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state can be maintained firmly, and the installation and assembly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shock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can be effectively absorbed and dispersed to be transmitted to the holding member 100.
  • both ends are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00 constituting the coupling edge portion 103 in a flat cross section and across the gap. It is formed to extend integrally bent to connect.
  • the front surface of the guard rail 200 is provided in a thin plate shape in the horizontally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ard rail 200 is provided with a long washer 240 forme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plate surface.
  • the first fastening member 340 for coupling the strut member 100, the shock absorbing member 300 and the guard rail 200 are coupling holes of the washer 240 It passes through the guard rail 200 through the coupling hole in the center of the.
  • the nut member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astening bolt 250 protruding to the opposite side relative to the long washer 240 so that the long washer 240 is fixed to the guard rail 200.
  • the washers 240 and the shock absorbing fixing plate 330 are installed to cross each other to form a cross shape, so that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guard rail 200, the shock absorbing member 300, and the holding member 100 is mutually different.
  •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can be further reinforced so as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r damage even when the shock is applied from the outside while being firmly maintained,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340 and the fastening bolt 250 by the long washer 240. When fastening, the fastening pressure can be dispersed.
  • the holding member 100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rism, bu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member 100 in addition to the triangular prism, various forms such as a square pillar or a pentagonal pillar It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llar of.
  • the guard rail 200 includes a coupling plate 210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00 and a length of the coupling plate 210 so as to be convex forward from the coupling plate 210.
  • a transverse buffer 2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plate 210 along the direction.
  • the shock is alleviated by the transverse buffer 220, so that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guard rail 200 may be minimized.
  • the angle ⁇ 1 formed by the coupling plate 210 and the transverse buffer 220 is the tangential force F1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ransverse buffer 220.
  • the force F of the force F2 in the normal direction are formed to always 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guardrail 200.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ard rai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plate 210 and the transverse buffer 220 cross each other and form a substantially ' ⁇ ' shape.
  • the transverse buffer 220 is provided to form a pair up and down with the coupling plate 210 between the convex portion of the transverse buffer 220 of the guard rail 200 is the holding member (100)
  • the convex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210 which is oriented and concave with respect to) is preferably disposed to face the support member 100, and the guard rail 2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wo layers of plates overlapping each other.
  • the impact external force always 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guard rail 200, so that the transverse shock absorber 220 is affected by an external impact caused by a vehicle collision or the like. Distortion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to maximize the impact buffer effect.
  • the angle ⁇ 1 formed by the coupling plate 210 and the transverse buffer 220 is in the tangential direction (F1)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ransverse buffer 220 and in the normal direction.
  • the force F of the force F2 is about 60 ° to about 80 ° so that the force F always acts perpendicular to the guardrail 200.
  • Guard rail 200 is provided so that a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210 is stretched and curved through a process such as press working is formed so that the transverse buffer portion 22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coupling plate 210, the coupling plate 210 It is fixed to the holding member 100 by a first fastening member 340 coupled to.
  •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 rail 200 and the reinforcing buffer memb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band 500 for reflecting or emitting light.
  • a light emitting band 500 for reflecting or emitting light. Can be.
  • the light emitting band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reflective paper or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 a guard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capable of maximizing the impact buffer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visibility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in advance.
  • the light emitting band 500 may be provided bo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uffer 220 and the longitudinal buffer 420 to be described later.
  • each convex direction is disposed to be oriented continuously with respect to each transverse buffer 220 and inter-buffer 420 so as to be opposite to the transverse buffer 220 and the inter-buffer 420 Fractal reinforcement 600 provided in a fractal structure may be provided.
  • the guard rai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reinforced by the fractal reinforcement unit 600, so that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guard rail 200 may be further minimized when an external impact such as a vehicle collision occurs.
  • the reinforcing buffer member 400 includes a fastening plate 410 coupled to the guard rail 200 and a fastening plate to protrude through spaces spac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ard rails 200. It is formed integrally bent from 410 but includes a longitudinal buffer portion 420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one side from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ard rail 200.
  • the shock is further cushioned by the transverse buffer 220 and the longitudinal buffer 420, so that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guard rail 200 may be further minimized.
  • the inter-buffer 420 is provided to form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in a plane is provided to have a gradient inclined at an angle of ⁇ 2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
  • ⁇ 2 is preferably approximately 15 ° to 20 °.
  • the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guardrail 200 is minimized by the reinforcing buffer member 400 having the inter-buffer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hock can be more effectively absorbed and dispersed.
  • the longitudinal buffer portion 420 of the reinforcing buffer member 400 is described as being gradually inclined toward one side from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ard rail 200, as shown in FIG.
  • the inter-buffer 420 is formed convexly forward from the fastening plate 410 to form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convex ' ⁇ ' shape through a space spac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ard rails 200.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astening plate 4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late 410 to protrude.
  • the longitudinal buffer portion 420 is preferably a part of the fastening plate 410 is cut and curved up and down integrally molded.
  • the impact external force is always 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guard rail 200, so that the inter-vehicle buffer 420 is caused by an external impact such as a vehicle collision. Distortion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to maximize the impact buffer effect.
  • an angle between the fastening plate 410 and the longitudinal buffer portion 420 is applied to the longitudinal buffer portion 420.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ce F of the tangential force F1 of the external force and the force F2 of the normal direction always be approximately 0.5 ° to 1 ° so that the force F always acts perpendicular to the guardrail 200.
  • the light emitting band 50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buffer portion 420 of the reinforcing buffer memb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guard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capable of maximizing the shock absorb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enhancing visibility accor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prevent an accident in advance.
  • the reinforcing buffer member 400 is a part of the fastening plate 410 is stretched and bent or curved through a process such as press working to be longitudinally buffered on the fastening plate 410 420 is provided to be integrally formed and fixedly installed to the guard rail 200 by a second fastening member 430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210 of the fastening plate 410 and the guard rail 200.
  • the support member 10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 the guard rail 200 is a support member
  • One end portion coupled to the holding member 100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in a substantially 'U' shape so as to surround the 100.
  • the light emitting band 500 may be provided at the curved portion of the guard rail,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30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100 between the support member 100 and the guard rail 200.
  • the rear central portion may be provided to have a concave portion, and may be interposed in a vertically standing form. This type of guardrail device may be install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road.
  • the impact external force is always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guard rail 200 irrespective of the point where the vehicle collides, so that the impact buffering effect is maximized and visibility is irrespective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uardrail device having a reinforcing buffer structure that can be reinforced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and to minimize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guardrail 200 even when a vehicle collides.
  • the guardrail device having a reinforced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t both end portions or a center line of a road and used as a facility for absorbing a shock caused by a crash of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 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지하에 매설되거나 지면에 고정된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복수의 지주부재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의 지주부재를 가로지르도록 길게 구비되며, 상기 지주부재의 상하로 이격 설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된 가드레일; 및,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가드레일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설치된 복수의 보강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지주부재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결합플레이트로부터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횡간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완충부재는, 상기 가드레일에 결합되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플레이트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가드레일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 종간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차량이 충돌되는 지점에 상관없이 충격 외력이 항상 가드레일에 수직방향으로 작용 되도록 함으로써, 충격 완충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진행방향에 상관없이 시인성이 강화되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할 수 있고,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가드레일의 변형이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본 발명은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 등 도로의 중앙선이나 도로변에 설치되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주행도로의 폭을 한정하고 차량이 도로의 외측으로 이탈되거나 중앙선을 침범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만일의 사고발생시 후속하여 발생 되는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드레일은 도로 가의 지면에 일정 깊이로 기둥을 설치하고, 그 기둥에 가드레일 바를 결합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차량을 보호하도록 하는 구조 및 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가드레일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3-0004377호(2013년07월15일자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가드레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 등과 같은 외부 충격이 있더라도 가드레일 바의 형태가 변형됨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H형강 또는 강관으로 이루어진 지주(1)와, 골과 다수의 마루가 형성되도록 굴곡진 형태를 갖게 마련된 가드레일 바(3)를 포함하며, 가드레일 바(3)는 지주(1)에 볼트와 너트 등으로 조립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가드레일은 단순한 형태를 갖는 것이어서 차량의 충돌에 의하여 쉽게 형태가 파손되어 차량의 보호 또는 충돌의 완화에 대한 특성을 제대로 발휘하기가 곤란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3-0004377호(2013년07월15일자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충돌되는 지점에 상관없이 충격 완충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진행방향에 상관없이 시인성이 강화되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할 수 있고,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가드레일의 변형이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 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지하에 매설되거나 지면에 고정된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복수의 지주부재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의 지주부재를 가로지르도록 길게 구비되며, 상기 지주부재의 상하로 이격 설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된 가드레일; 및,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가드레일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설치된 복수의 보강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지주부재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결합플레이트로부터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횡간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완충부재는, 상기 가드레일에 결합되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플레이트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가드레일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 종간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횡간 완충부가 이루는 각도는 상기 횡간 완충부에 가해지는 외력의 접선방향의 힘과 법선방향의 힘의 합력이 상기 가드레일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드레일 및 상기 보강완충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빛을 반사하거나 발하는 발광띠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주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보강완충부재는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가드레일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가드레일에 고정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횡간 완충부 및 상기 종간 완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프랙탈 구조로 마련된 프랙탈 보강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지하에 매설되거나 지면에 고정된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복수의 지주부재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의 지주부재를 가로지르도록 길게 구비되며, 상기 지주부재의 상하로 이격 설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된 가드레일(guardrail); 및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가드레일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설치된 복수의 보강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지주부재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결합플레이트로부터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횡간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드레일의 단면 형상은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횡간 완충부가 상호 엇갈리며 ‘Ω’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강완충부재는, 상기 가드레일에 결합되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플레이트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가드레일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 종간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부재는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모서리부분인 결합 모서리부가 상기 가드레일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주부재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보강완충부재는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가드레일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가드레일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주부재 및 상기 가드레일의 사이에는 상기 지주부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된 충격흡수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지주부재의 내부에서 결합 모서리부를 향하는 내측에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충격흡수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가드레일의 전면에는 상기 가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로 길게 얇은 판상으로 마련되어 판면에는 다수의 결합공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장와셔가 결합되어 상기 장와셔 및 상기 충격흡수 고정플레이트는 상호 십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교차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충돌되는 지점에 상관없이 충격 외력이 항상 가드레일에 수직방향으로 작용 되도록 함으로써, 충격 완충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진행방향에 상관없이 시인성이 강화되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할 수 있고,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가드레일의 변형이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드레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의 지주부재에 가드레일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일부 영역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의 측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가드레일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가드레일의 측면도,
도 8은 도 2의 가드레일에 보강완충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은 도 8의 보강완충부재를 밑에서 올려다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완충부재가 적용되는 가드레일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지주부재 200 : 가드레일
210 : 결합플레이트 220 : 횡간 완충부
340 : 제1 체결부재 400 : 보강완충부재
410 : 체결플레이트 420 : 종간 완충부
430 : 제2 체결부재 500 : 발광띠
600 : 프랙탈 보강부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또는 다각형 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지하에 매설되거나 지면에 고정된 복수의 지주부재(100)와, 복수의 지주부재(100)의 전면에서 복수의 지주부재(100)를 가로지르도록 길게 구비되며 지주부재(100)의 상하로 이격 설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된 가드레일(200)과, 복수의 가드레일(200)을 가로지르도록 가드레일(200)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설치된 복수의 보강완충부재(400)를 포함한다.
지주부재(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도로면의 중앙 라인 또는 외측 라인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부커버(10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고, 가드레일(200)을 볼트와 같은 제1 체결부재(340)로 결합하여 가드레일(200)을 견고하게 지지해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00)와 가드레일(200)의 사이에는 지주부재(10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된 충격흡수부재(300)가 개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00)와 가드레일(200) 사이에 개재된 충격흡수부재(300)의 형상이 지주부재(100)의 접촉 면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지주부재(100)와 가드레일(200) 간의 결합 상태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이 1차적으로는 가드레일(200)에 의해 완화가 되지만 충격흡수부재(300)를 통해 2차적으로 흡수 및 완화되어 지주부재(100)로 전달되도록 하여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드레일의 변형이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재(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모서리부분인 결합 모서리부(103)가 가드레일(200)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충격흡수부재(300)는 지주부재(100)와 결합되는 부분이 지주부재(100)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되게 ‘V’자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충격흡수부재(3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상 대략 ‘ㄷ’자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가드레일(200)에 결합시 가드레일(200)에 접촉되는 가드레일 접촉부(310)와, 가드레일 접촉부(310)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지주부재(100)에 결합시 지주부재(100)에 접촉되되 지주부재(100)의 결합 모서리부(103)가 맞물리도록 결합 모서리부(103)의 형상에 대응되게 접촉 홈부(321)가 각각의 단부에 ‘V’자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 완충 연장부(3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된 지주부재(100)에 가드레일(200)이 충격흡수부재(300)를 통해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지주부재(100)가 더욱 견고히 지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충격흡수부재(300)의 접촉 홈부(321)에 의해 지주부재(100)가 더욱 견고하게 맞물려 지지 및 완충 되도록 하여 차량의 충돌 등에 따른 외부 충격의 전달시 좌우 회전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부재(300)의 가드레일 접촉부(310)의 판면 중심부에는 체결공(311)이 형성되고, 지주부재(100)의 내부에서 결합 모서리부(103)를 향하는 내측에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충격흡수 고정플레이트(330)가 구비되어 제1 체결부재(340)가 가드레일(200)을 관통해 가드레일 접촉부(310)의 체결공(311)을 통해 끼워져 충격흡수 고정플레이트(330)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충격흡수 고정플레이트(330)를 기준으로 반대편으로까지 돌출된 제1 체결부재(340)의 단부에는 체결너트(350)가 결합되어 지주부재(100), 충격흡수부재(300) 및 가드레일(200)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제1 체결부재(340)로는 전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드레일(200)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된 충격흡수 고정플레이트(330)에 의해 가드레일(200), 충격흡수부재(300) 및 지주부재(10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차량의 충돌 등에 따른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되어 지주부재(1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고정플레이트(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 단면상으로 결합 모서리부(103)를 이루는 지주부재(100)의 내주면에 양단부가 밀착 접촉되고 그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일체로 절곡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200)의 전면에는 가드레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로 길게 얇은 판상으로 마련되어 판면에는 다수의 결합공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장와셔(240)가 체결볼트(250)에 의해 결합되며, 지주부재(100), 충격흡수부재(300) 및 가드레일(200)을 결합하는 제1 체결부재(340)는 장와셔(240)의 결합공들 중 중앙에 있는 결합공을 통해 가드레일(200)을 관통하게 된다. 장와셔(240)를 기준으로 반대편으로까지 돌출된 체결볼트(250)의 단부에는 너트부재가 결합되어 가드레일(200)에 장와셔(240)가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장와셔(240) 및 충격흡수 고정플레이트(330)가 상호 십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어 가드레일(200), 충격흡수부재(300) 및 지주부재(100) 상호 간에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변형이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충격흡수구조가 더욱 보강되도록 할 수 있고, 장와셔(240)에 의해 제1 체결부재(340) 및 체결볼트(250)의 체결시 체결 압력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지주부재(100)는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주부재(100)는 삼각기둥 외에도 사각기둥이나 오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의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가드레일(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00)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210)와, 결합플레이트(210)로부터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플레이트(210)에 일체로 형성된 횡간 완충부(2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외부 충격 발생시 횡간 완충부(22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도록 함으로써, 가드레일(200)의 변형이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플레이트(210)와 횡간 완충부(220)가 이루는 각도(θ1)는 횡간 완충부(220)에 가해지는 외력의 접선방향의 힘(F1)과 법선방향의 힘(F2)의 합력(F)이 가드레일(200)에 항상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200)의 단면 형상은 결합플레이트(210)와 횡간 완충부(220)가 상호 엇갈리며 대략 ‘Ω’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횡간 완충부(220)는 결합플레이트(210)를 사이에 두고 상하 한 쌍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가드레일(200)의 횡간 완충부(220)의 볼록한 부분은 지주부재(100)에 대해 배향 배치되고 오목한 결합플레이트(210)의 볼록한 부분은 지주부재(100)를 향해 대향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가드레일(200)은 두 겹의 판재가 상호 겹쳐져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횡간 완충부(220)에서 차량이 충돌되는 지점에 상관없이 충격 외력이 항상 가드레일(200)에 수직방향으로 작용 되도록 함으로써, 횡간 완충부(220)가 차량 충돌 등에 의한 외부충격에 의해 찌그러지는 것이 최대한 방지되도록 하여 충격 완충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결합플레이트(210)와 횡간 완충부(220)가 이루는 각도(θ1)는 횡간 완충부(220)에 가해지는 외력의 접선방향의 힘(F1)과 법선방향의 힘(F2)의 합력(F)이 가드레일(200)에 항상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대략 60°~ 8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드레일(200)은 프레스 가공 등의 공정을 통해 결합플레이트(210)의 일부가 늘어나 만곡되도록 하여 결합플레이트(210)에 횡간 완충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게 마련되며, 결합플레이트(210)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340)에 의해 지주부재(10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200) 및 보강완충부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빛을 반사하거나 발하는 발광띠(5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띠(500)는 반사지 또는 PVDF(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충격 완충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진행방향에 상관없이 시인성이 강화되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할 수 있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발광띠(500)는 횡간 완충부(220) 및 후술할 종간 완충부(420)의 외측면에 모두 구비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간 완충부(220), 종간 완충부(420) 및 충격흡수부재(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동일한 형상(예컨대, 볼록한 반구 또는 반원 기둥 형상)으로 반복 형성되되 각각의 볼록해지는 방향은 각각의 횡간 완충부(220) 및 종간 완충부(420)와는 정반대로 향하게 각각의 횡간 완충부(220) 및 종간 완충부(420)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배향되게 배치된 프랙탈 구조로 마련된 프랙탈 보강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랙탈 보강부(60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200)이 더욱 보강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충돌 등과 같은 외부 충격 발생시 가드레일(200)의 변형이나 파손이 더욱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보강완충부재(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200)에 결합되는 체결플레이트(410)와, 복수의 가드레일(2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돌출되도록 체결플레이트(410)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가드레일(2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 종간 완충부(4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외부 충격 발생시 횡간 완충부(220) 및 종간 완충부(420)에 의해 충격이 더욱 완충 되도록 함으로써, 가드레일(200)의 변형이나 파손이 더욱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간 완충부(420)는 평면상으로 대략 사다리꼴의 형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θ2의 각도로 경사진 구배를 갖도록 마련된다. 이때, θ2은 대략 15°~ 2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량이 가드레일(200)에 측면으로 충돌시 본 발명에 따른 종간 완충부(420)를 갖는 보강완충부재(400)에 의해 가드레일(200)의 변형이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충격이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보강완충부재(400)의 종간 완충부(420)는 가드레일(2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간 완충부(420)는 체결플레이트(410)로부터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대략 원형의 볼록한 ‘Ω’형상을 갖는 단면 형상을 이루며 복수의 가드레일(2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돌출되도록 체결플레이트(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플레이트(41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종간 완충부(420)는 체결플레이트(410)의 일부가 상하로 절개 및 만곡되어 일체로 성형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종간 완충부(420)에서 차량이 충돌되는 지점에 상관없이 충격 외력이 항상 가드레일(200)에 수직방향으로 작용 되도록 함으로써, 종간 완충부(420)가 차량 충돌 등에 의한 외부충격에 의해 찌그러지는 것이 최대한 방지되도록 하여 충격 완충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완충부재(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플레이트(410)와 종간 완충부(420)가 이루는 각도가 종간 완충부(420)에 가해지는 외력의 접선방향의 힘(F1)과 법선방향의 힘(F2)의 합력(F)이 가드레일(200)에 항상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대략 0.5°~ 1°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완충부재(400)의 종간 완충부(420)의 외측면에는 발광띠(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격 완충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되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할 수 있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완충부재(400)는 프레스 가공 등의 공정을 통해 체결플레이트(410)의 일부가 늘어나 절곡되거나 만곡되도록 하여 체결플레이트(410)에 종간 완충부(420)가 일체로 형성되게 마련되며, 체결플레이트(410)와 가드레일(200)의 결합플레이트(210)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430)에 의해 가드레일(20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00)가 원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가드레일(200)은 지주부재(100)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지주부재(100)에 결합되는 단부 일측이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발광띠(500)는 가드레일의 만곡된 부분에 구비될 수 있고, 지주부재(100)와 가드레일(200) 사이에는 충격흡수부재(300)가 지주부재(1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후방 중심부가 오목한 부분을 갖도록 마련되어 세로로 세워진 형태로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가드레일장치는 도로의 시작과 종료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충돌되는 지점에 상관없이 충격 외력이 항상 가드레일(200)에 수직방향으로 작용 되도록 함으로써, 충격 완충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진행방향에 상관없이 시인성이 강화되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할 수 있고,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가드레일(200)의 변형이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구조가 강화된 가드레일장치는, 도로의 양측 단부 또는 중앙선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 사고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시설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원통형 또는 다각형 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지하에 매설되거나 지면에 고정된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복수의 지주부재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의 지주부재를 가로지르도록 길게 구비되며, 상기 지주부재의 상하로 이격 설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된 가드레일(guardrail); 및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가드레일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설치된 복수의 보강완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지주부재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결합플레이트로부터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횡간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완충부재는, 상기 가드레일에 결합되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플레이트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가드레일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 종간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횡간 완충부가 이루는 각도는 상기 횡간 완충부에 가해지는 외력의 접선방향의 힘과 법선방향의 힘의 합력이 상기 가드레일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 및 상기 보강완충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빛을 반사하거나 발하는 발광띠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주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보강완충부재는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가드레일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가드레일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간 완충부 및 상기 종간 완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프랙탈(fractal) 구조로 마련된 프랙탈 보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6.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지하에 매설되거나 지면에 고정된 복수의 지주부재;
    상기 복수의 지주부재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의 지주부재를 가로지르도록 길게 구비되며, 상기 지주부재의 상하로 이격 설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된 가드레일(guardrail); 및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가드레일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설치된 복수의 보강완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지주부재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결합플레이트로부터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횡간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드레일의 단면 형상은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횡간 완충부가 상호 엇갈리며 ‘Ω’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강완충부재는, 상기 가드레일에 결합되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플레이트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가드레일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 종간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부재는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모서리부분인 결합 모서리부가 상기 가드레일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주부재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보강완충부재는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가드레일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가드레일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주부재 및 상기 가드레일의 사이에는 상기 지주부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된 충격흡수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지주부재의 내부에서 결합 모서리부를 향하는 내측에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충격흡수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가드레일의 전면에는 상기 가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로 길게 얇은 판상으로 마련되어 판면에는 다수의 결합공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장와셔가 결합되어 상기 장와셔 및 상기 충격흡수 고정플레이트는 상호 십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교차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PCT/KR2016/014999 2016-03-23 2016-12-21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WO201716449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900 2016-03-23
KR1020160034900A KR101655390B1 (ko) 2016-03-23 2016-03-23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4491A1 true WO2017164491A1 (ko) 2017-09-28

Family

ID=5695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4999 WO2017164491A1 (ko) 2016-03-23 2016-12-21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5390B1 (ko)
WO (1) WO2017164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53B1 (ko) * 2019-04-24 2021-06-08 주식회사 에이치엠테크 가드레일의 완충구조
CN113738039A (zh) * 2021-08-17 2021-12-03 启迪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竖向护栏加固安装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26A (ko) * 1998-05-19 1998-08-17 윤천진 에프알피제가이드레일제조방법
US20060011900A1 (en) * 2004-07-19 2006-01-19 Ochoa Carlos M Releasable highway safety structures
KR101182975B1 (ko) * 2012-03-12 2012-09-21 김동철 가드레일구조체
KR101231806B1 (ko) * 2012-11-20 2013-02-21 신도산업 주식회사 보강판이 구비된 차량 방호책
CN204551335U (zh) * 2015-01-19 2015-08-12 黑龙江省公路勘察设计院 一种带有可拆卸缓冲块的道路警示护栏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582B1 (ko) * 2011-04-27 2012-12-06 용 관 박 보강파이프가 구비된 가드레일
KR200480307Y1 (ko) 2012-05-15 2016-05-10 이병남 가드레일용 전면보강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26A (ko) * 1998-05-19 1998-08-17 윤천진 에프알피제가이드레일제조방법
US20060011900A1 (en) * 2004-07-19 2006-01-19 Ochoa Carlos M Releasable highway safety structures
KR101182975B1 (ko) * 2012-03-12 2012-09-21 김동철 가드레일구조체
KR101231806B1 (ko) * 2012-11-20 2013-02-21 신도산업 주식회사 보강판이 구비된 차량 방호책
CN204551335U (zh) * 2015-01-19 2015-08-12 黑龙江省公路勘察设计院 一种带有可拆卸缓冲块的道路警示护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390B1 (ko)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720B2 (en) Traffic noise barrier system
WO2018105959A1 (ko) 비탈면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수평지지력 보강ㆍ제어시스템 및 비탈면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수평지지력 보강ㆍ제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 설치공법
WO2017164491A1 (ko)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WO2014112805A1 (ko)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WO2017164489A1 (ko) 충격흡수구조가 강화된 가드레일 조립체
US10041217B2 (en) Traffic barrier structure
KR200391835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WO2014081056A1 (ko) 차량 방호책
CN211340582U (zh) 一种新型路侧三波形梁护栏
WO2018199560A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WO2017164490A1 (ko) 완충구조가 강화된 가드레일장치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1103716B1 (ko) 지주본체 파단부 연결구조
WO2018048168A1 (ko) 회전형 가드레일
WO2021101021A1 (ko) 경계석 차량 이탈방지 및 보행자 보호 안전장치
WO2018199420A1 (ko) 개방형 플라스틱 가드레일
KR101170330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20110068698A (ko) 가드레일
WO2020045715A1 (ko) 테러 방지용 가드레일
WO2016195240A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20190073193A (ko) 충격흡수 고정수단이 구비된 차량 방호울타리
KR101993766B1 (ko) 충격흡수기능이 향상된 충격흡수형 차량방호울타리
KR200289967Y1 (ko) 교량 중앙 분리대용 충격흡수 안전장치
CN113123278A (zh) 一种公路桥墩的防撞装置
KR200393428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956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3.01.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956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