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416Y1 - 반원형 엔드레일 - Google Patents

반원형 엔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416Y1
KR200365416Y1 KR20-2004-0021228U KR20040021228U KR200365416Y1 KR 200365416 Y1 KR200365416 Y1 KR 200365416Y1 KR 20040021228 U KR20040021228 U KR 20040021228U KR 200365416 Y1 KR200365416 Y1 KR 200365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ent
semi
pres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관 박
Original Assignee
용 관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관 박 filed Critical 용 관 박
Priority to KR20-2004-0021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4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4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3Protecting devices located at the ends of barrier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끝단부에 부착되어 사고시 인명이나 차량의 피해를 줄이고자 도로의 외측으로 향하게 일정 부분 굽은 단부를 가진 엔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엔드레일이 단조나 압연으로 형성되어 굴곡부의 강도가 증대되고, 굴곡부의 단부가 설치된 가드레일쪽으로 향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차량사고로부터 인명과 차량 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반원형 엔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측부가 체결구로써 가드레일의 끝단부에 설치되고, 타측부가 일정 부분 굴곡지게 형성된 엔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타측부의 끝단부가 가드레일을 향하도록 일정반경으로 굴곡되어 반원형의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굴곡부는 단조 또는 압연으로 형성되어 강도 및 탄성이 증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원형 엔드레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반원형 엔드레일{A semicircle end-rail}
본 고안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끝단부에 부착되어 사고시인명이나 차량의 피해를 줄이고자 도로의 외측으로 향하게 일정 부분 굽은 단부를 가진 엔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엔드레일이 단조나 압연으로 형성되어 굴곡부의 강도가 증대되고, 굴곡부의 단부가 설치된 가드레일쪽으로 향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차량사고로부터 인명과 차량 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반원형 엔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엔드레일은 도로 양쪽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의 도로이탈을 방지함으로써 대형사고를 예방하는 가드레일의 끝단에 연결되는 것인데, 종래에는 엔드레일도 가드레일과 마찬가지로 도로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엔드레일의 끝단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차량내로 엔드레일이 파고 들어와 치명적인 인명피해를 야기시켰다.
이를 방지하고자 끝단을 라운드처리한 개선된 엔드레일이 현재 사용되고 있으나 이또한 엔드레일의 끝단을 단순하게 구부려 라운드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끝단의 라운드부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져 차량충돌시 강도가 약한 부분으로 절단이 이루어져 날카로운 절단면이 차량으로 파고 들어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엔드레일이 단조나 압연으로 형성되어 굴곡부의 강도가 증대되고, 굴곡부의 단부가 설치된 가드레일쪽으로 향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차량사고로부터 인명과 차량 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반원형 엔드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가드레일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엔드레일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엔드레일이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엔드레일이 가드레일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드레일 2 : 굴곡부
3 : 볼트공 4, 4' :체결볼트
5 : 너트 6 : 가드레일
7 : 가드레일지주봉
본 고안의 반원형 엔드레일은,
일측부가 체결구로써 가드레일의 끝단부에 설치되고, 타측부가 일정 부분 굴곡지게 형성된 엔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타측부의 끝단부가 가드레일을 향하도록 일정반경으로 굴곡되어 반원형의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굴곡부는 단조 또는 압연으로 가공되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가드레일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엔드레일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엔드레일이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엔드레일이 가드레일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2와 같이 일측부에 볼트공(3)이 형성되어 체결볼트(4)(4')와 너트(5)로써 가드레일(6)의 끝단부에 설치되고, 타측부가 일정 부분 굴곡지게 형성된 엔드레일(1)에 있어서, 상기 타측부의 끝단부가 도로 외측에서 가드레일(6)을 향하도록 일정반경으로 굴곡되어 반원형의 굴곡부(2)가 형성되어 있고, 도로와 일직선으로 면하는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W'형상의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굴곡부(2)는 단조 또는 압연으로 가공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반원형 엔드레일(1)은 도 3과 도 4와 같이 가드레일(6)의 끝단에서 가드레일(6)과 가드레일지주봉(7)에 동시에 체결고정되어 가드레일(6)과 함께 차량사고시 자동차가 도로 밖으로 나가버리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자동차가 일직선으로 형성된 엔드레일(1) 부분과 충돌할 경우, 도 5와 같이 'W'형상으로 되어 있는 엔드레일(1)의 측면이 일자로 펴지기 때문에 완전하게 펴지기 전까지는 자동차의 충돌에너지가 흡수되면서 엔드레일(1)의 설치 위치가 유지되어 자동차가 도로 밖으로 나가버리는 위험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자동차가 굴곡부(2)와 충돌할 경우, 굴곡부(2)의 단부가 도로의 외측에서 가드레일쪽으로 향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돌힘이 분산되는 한편 자동차 내부로 엔드레일(1)의 단부가 파고 들어오지 않게 되어 자동차가 도로 밖으로 나가거나 엔드레일(1)의 단부에 의한 인명피해와 같은 차량사고의 위험을 줄이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반원형 엔드레일(1)의 굴곡부(2)는 단조나 압연으로 가공되어 엔드레일(1)의 강도와 탄성이 증대되어 있어 차량충돌에 의해 쉽게 절단되지 않으므로 차량충돌시 엔드레일(1)의 절단부가 자동차내로 파고 들어 발생되는 치명적인 인명피해의 위험도 줄이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단조나 압연으로 가공된 굴곡부(2)를 가진 엔드레일(1)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충돌시 자동차가 도로 밖으로 나가거나 엔드레일(1)이 절단되어 절단부가 자동차내로 파고들어옴으로써 생기게 되는 치명적인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2)

  1. 일측부가 체결볼트(4)(4')와 너트(5)등의 체결구로써 가드레일(6)의 끝단부에 설치되고, 타측부가 일정 부분 굴곡지게 형성된 엔드레일(1)에 있어서, 상기 타측부의 끝단부가 가드레일(6)을 향하도록 일정반경으로 굴곡되어 반원형의 굴곡부(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원형 엔드레일
  2. 제 1항에 있어서, 굴곡부(2)는 단조 또는 압연으로 형성되어 강도 및 탄성이 증대된 반원형 엔드레일
KR20-2004-0021228U 2004-07-26 2004-07-26 반원형 엔드레일 KR200365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228U KR200365416Y1 (ko) 2004-07-26 2004-07-26 반원형 엔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228U KR200365416Y1 (ko) 2004-07-26 2004-07-26 반원형 엔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416Y1 true KR200365416Y1 (ko) 2004-10-25

Family

ID=4935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228U KR200365416Y1 (ko) 2004-07-26 2004-07-26 반원형 엔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4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566B1 (ko) 2013-01-17 2014-01-29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566B1 (ko) 2013-01-17 2014-01-29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US9777448B2 (en) 2013-01-17 2017-10-03 Kce Eng Co., Ltd. Flexible crash barrier with improved impact energy-absorbing capac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23797A (ja) 自動車用バンパー・ビーム
KR100758661B1 (ko) 도로 가이드레일용 블록아웃
KR200391835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KR200365416Y1 (ko) 반원형 엔드레일
EP3246468B1 (en) Traffic barrier structure
US20180119374A1 (en) Spacer for Road Safety Barrier
KR100723027B1 (ko)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KR100855231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0499530B1 (ko) 가드레일
KR102592572B1 (ko) 가드레일
JP4401327B2 (ja) ガードレール用カバー
KR101192586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0134718Y1 (ko) 가드레일
KR200263070Y1 (ko) 가드레일용 완충 브라켓
KR20160027702A (ko) 차량방호울타리 레일 프레임
KR20070030418A (ko) 차량 방호 구조물
EP3277886B1 (en) Spacer for road safety barrier
JP5822357B2 (ja) ガードレール
CN201633768U (zh) 转向管柱支架的固定装置
KR100542541B1 (ko) 도로 가드레일의 케이블 장착구조
KR20090126353A (ko) 도로용 가드레일의 완충 보강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0056018A3 (ko) 도로의 가드레일
CN211646148U (zh) 一种匝道防撞护栏
KR100627235B1 (ko)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완충장치
AU2006235944A1 (en) Shock absorber for road safety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