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834A - 가드레일 겸용 난간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겸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834A
KR20040098834A KR1020030031123A KR20030031123A KR20040098834A KR 20040098834 A KR20040098834 A KR 20040098834A KR 1020030031123 A KR1020030031123 A KR 1020030031123A KR 20030031123 A KR20030031123 A KR 20030031123A KR 20040098834 A KR20040098834 A KR 20040098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ailing
plate
guardrai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술 나
Original Assignee
재 술 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술 나 filed Critical 재 술 나
Priority to KR102003003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8834A/ko
Publication of KR20040098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83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타설되는 지주(130)와, 상기 지주(130)의 외주연에 부분적으로 밀착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에 요입부(111)를 수직으로 형성시키고 양끝측에는 이음부(112)를 내측으로 대응되게 절곡시킨 다음 이를 사선방향으로 각도 변환시켜 지주(130)에 대칭되게 고정시키는 격벽판(110)과, 상기 지주(130)에 대칭되게 고정시킨 격벽판(110) 사이에 이음부(112)를 통하여 고정시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의 충진실(115)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판체의 횡방향으로 굴곡부(121)를 형성시킨 횡벽판(120)으로 구성하여 도로의 양쪽이나 중앙분리대의 가드레일나 테라스나 발코니 등의 난간으로 겸용되도록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는 동시에 난간용으로 설치할 경우 어린이의 추락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드레일 겸용 난간{railing and guard rail}
본 발명은 가드레일 겸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양쪽이나 중앙분리대 설치되는 가드레일 및 건축물 이용자의 추락 방지를 위하여 테라스, 발코니 등에 설치되는 난간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흡수률을 높이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가드레일 겸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로의 경우에는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 양쪽이나 중앙분리대에 방호책인 가드레일을 설치한다.
상기 가드레일은 차량의 충격시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도로 밖으로 차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드레일은 주로 산길 ·굴곡로에서 자동차가 도로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설치되며, 차량과의 충돌시에도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도시에서는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가드레일은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도보강용의 굴곡부(11a)를 가지는 가드플레이트(11)와, 상기 가드플레이트(11)를 지지하기 위하여 체결수단(12)으로 결합하여 지면에 타설되는 지주(13)로 구성된다.
또한 난간은 육교 , 다리 및 건물의 테라스나 발코니 등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견고함과 더불어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일반적인 난간은 일정한 공간 내부의 영역을 구획하게 위하여 지면에 입설시킨 지주에 용접을 통하여 보호휀스를 고정시켜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가드레일(10)과 난간은 그 설치장소 및 사용목적이 서로 달라 각기 다른 구조물을 이용하여 설치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가드레일(10)은 차량의 충격시 충격굽힘강도가 약하여 도로 밖으로 사고차량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드플레이트(11)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차량의 이탈은 방지하지만 충격흡수를 받아드리지 못하여 운전자의 안전 사고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난간은 통상적으로 지주의 상부에 파이프형태의 보호휀스를 용접을 통하여 접합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에 따른 공사기간이 지연되고 및 설치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난간은 경우 지주와 지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어린이 등의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도로의 양쪽이나 건축물의 난간 등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장소에 구애 없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드레일 및 난간용으로 설치되는 충격흡수부재의 내부에 충격완화재를 충진시켜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전달되어도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도록 하여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완화재를 충진시킨 충격흡수부재에 잔디나 수목과 화초 등을 심을 수 있도록 하여 가드레일 및 난간용으로 설치되는 장소의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나타낸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a,b,c은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도로에 설치한 상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드레일 11 : 가드플레이트
12 : 체결수단 13 : 지주
100 : 가드레일 겸용 난간 110 : 격벽판
111 : 요입부 112 : 이음부
113 : 밀착편 114 : 고정공
115 : 충진실 120 : 횡벽판
121 : 굴곡부 130 : 지주
131 : 결합공 132 : 체결수단
140 : 충격완화재 150 : 가드플레이트
160 : 안전표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타설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외주연에 부분적으로 밀착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에 요입부를 수직으로 형성시키고 양끝측에는 이음부를 내측으로 대응되게 절곡시킨 다음 이를 사선방향으로 각도 변환시켜 지주에 대칭되게 고정시키는 격벽판과, 상기 지주에 대칭되게 고정시킨 격벽판 사이에 이음부를 통하여 고정시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의 충진실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판체의 횡방향으로 굴곡부를 형성시킨 횡벽판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나타낸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a,b,c은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도로에 설치한 상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은 도 2 내지 또 8a,b,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타설되는 지주(130)와, 상기 지주(130)의 외주연에 부분적으로 밀착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에 요입부(111)를 수직으로 형성시키고 양끝측에는 이음부(112)를 내측으로 대응되게 절곡시킨 다음 이를 사선방향으로 각도 변환시켜 지주(130)에 대칭되게 고정시키는 격벽판(110)과, 상기 지주(130)에 대칭되게 고정시킨 격벽판(110) 사이에 이음부(112)를 통하여 고정시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의 충진실(115)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판체의 횡방향으로 굴곡부(121)를 형성시킨 횡벽판(120)으로 구성한다.
상기 지주(130)는 가드레일 및 난간이 설치될 지면에 입설시켜 하부가 일정깊이로 지면에 매설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격벽판(110)은 중앙부에 수직으로 형성시킨 반원형상의 요입부(111)가 충진실(115)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한 다음 지주(130)의 외주연에 요입부(111)의 내주연을 밀착시키되 격벽판(110)을 지주(130)와 지주(130) 사이에서 상호 대칭으로 위치시키면서 지주(130)에 결합시킨 격벽판(110)을 사선방향으로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지주에 고정시킨 격벽판(110)에는 횡벽판(120)을 지주(130)에 고정시킨 격벽판(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이음부(112)를 통하여 수평선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고정시킴으로서 격벽판(110)과 횡벽판(120)의 조합으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의 충진실(115)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격벽판(110)의 이음부(112) 중앙에는 횡벽판(120)의 굴곡부(121)와 동일한 형상의 밀착편(113)을 절개시켜 횡벽판(120)의 굴곡부(121) 면에 밀착되도록 일정각도로 절곡시킨 다음 용접을 통하여 접합한다.
또한, 도 7은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다른 실시예로서, 도로의 일측의 경사면이 폭이 협소하여 가드레일 겸용 난간(100)의 설치공간이 부족할 경우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드레일 겸용 난간의 격벽판(110) 양측에 형성시킨 이음부(112)중 도로의 경사면측에 위치한 이음부(112)만을 절개시시켜 격벽판(110)의 타측의 이음부(112)에 횡벽판(120)을 고정시키되 격벽판(110)의 절개된 일측에는 횡벽판(120)보다 길이가 연장되어 있는 가드플레이트(150)를 지주(13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경사면에 설치될 가드레일 겸용 난간의 설치 작업공간이 협소할 경우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충진실(115)에 토사 등의 충격완화재(140)를 충진 할 경우 잔디나 수목과 화초류 등을 심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로의 경관 및 주위 환경을 향상 시키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충진실(115)에 염화칼슘을 충진할 경우에는 겨울에 제설작업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염화칼슘을 보관할 수 있다.
더불어, 횡벽판(120)의 굴곡부(121)의 상하부의 전면에는 안전표시부(160)을 부착하거나 표시하여 가로등이 업는 도로 등에서 도로의 선형 등을 운전자가 쉽게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를 인지하도록 함으로서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난간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광고문구를 표시하여 광고기능을 부가적으로 추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8a,b,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 겸용 난간(100)을 도로에 설치할 경우 도로의 양측에 설치된 도로경계석을 충진실(115)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도로경계석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도로에 가드레일 겸용 난간을 편리하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겸용 난간은 순차적으로 지면에 입설되도록 설치되는 지주(130)와, 상기 지주(130)의 외주연에 한 쌍으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격벽판(110)과, 상기 격벽판(110)의 양 끝측을 통하여 연접된 격벽판과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함으로서 내부에 일정공간의 충진실(115)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횡벽판(120)으로 구성하여 도로의 양쪽이나 중앙분리대의 가드레일나 테라스나 발코니 등의 난간으로 겸용되도록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는 동시에 난간용으로 설치할 경우 어린이의 추락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타설되는 지주(130)와,
    상기 지주(130)의 외주연에 부분적으로 밀착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에 요입부(111)를 수직으로 형성시키고 양끝측에는 이음부(112)를 내측으로 대응되게 절곡시킨 다음 이를 사선방향으로 각도 변환시켜 지주(130)에 대칭되게 고정시키는 격벽판(110)과,
    상기 지주(130)에 대칭되게 고정시킨 격벽판(110) 사이에 이음부(112)를 통하여 고정시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의 충진실(115)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판체의 횡방향으로 굴곡부(121)를 형성시킨 횡벽판(12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겸용 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판(110)은 이음부(112)의 중앙에 횡벽판(120)의 굴곡부(121)와 동일한 형상으로 절개시킨 밀착편(113)을 격벽판(110)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횡벽판(120)의 굴곡부(121) 면에 고정되도록 절곡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1020030031123A 2003-05-16 2003-05-16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20040098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123A KR20040098834A (ko) 2003-05-16 2003-05-16 가드레일 겸용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123A KR20040098834A (ko) 2003-05-16 2003-05-16 가드레일 겸용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834A true KR20040098834A (ko) 2004-11-26

Family

ID=3737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123A KR20040098834A (ko) 2003-05-16 2003-05-16 가드레일 겸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88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186B1 (ko) * 2009-09-22 2013-10-15 전병욱 차량 방호책
KR101356566B1 (ko) * 2013-01-17 2014-01-29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186B1 (ko) * 2009-09-22 2013-10-15 전병욱 차량 방호책
KR101356566B1 (ko) * 2013-01-17 2014-01-29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가요성 방호울타리
US9777448B2 (en) 2013-01-17 2017-10-03 Kce Eng Co., Ltd. Flexible crash barrier with improved impact energy-absorbing capac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9734B2 (es) Barrera de seguridad para carreteras mixta de madera y metal para contencion de impacto lateral de vehiculos, con cualidades esteticas y capacidad de contencion y redireccionamiento.
CN204572000U (zh) 一种用于桥隧结合部位防护危岩落石的洞棚结构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20040098834A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EP3724401B1 (en) Kinetic energy absorbing barrier structure
KR100733970B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책
KR100533016B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JP3012551B2 (ja) 張り出し歩道構造
KR200326714Y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100526399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겸용 난간
JPS6012484B2 (ja) 道路保護障壁
KR101440604B1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101872725B1 (ko) 화분모듈, 이를 구비한 도로용 중앙분리대 및 그 설치방법
KR200323106Y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100533053B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200336654Y1 (ko) 급커브 도로의 중앙선 침범방지용 중앙 분리대 구조
KR200327669Y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102079617B1 (ko) 지주와 캡의 결합구조
KR100872038B1 (ko) 화분형 중앙분리대
KR200370180Y1 (ko) 도로용 안전 가드레일
ES2611964T3 (es) Sistema de protección acústica para vías de circulació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