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33529A1 - 성분 분리기 - Google Patents

성분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33529A1
WO2013133529A1 PCT/KR2013/000390 KR2013000390W WO2013133529A1 WO 2013133529 A1 WO2013133529 A1 WO 2013133529A1 KR 2013000390 W KR2013000390 W KR 2013000390W WO 2013133529 A1 WO2013133529 A1 WO 20131335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opper
main body
component separator
plung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3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Kim Jun-Wo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Jun-Woo filed Critical Kim Jun-Woo
Priority to EP13757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23832B1/en
Priority to CN201380005489.5A priority patent/CN104039372B/zh
Priority to US14/241,002 priority patent/US9463270B2/en
Priority to JP2014535676A priority patent/JP5824160B2/ja
Publication of WO20131335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335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6Labware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fluids
    • B01L3/563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 B01L3/5635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connecting two containers face to face, e.g. comprising a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tube or bottl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9Red blood cells; Erythrocytes
    • A61M2202/0437Blood stem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1Bottom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78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pist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separator, and more particularly, a component separator capable of ensuring the purity of the components, such as blood or stem cells, which are separated, while simplifying the process, and preventing air pollution during the component separation process. It is about.
  • Blood is largely divided into blood cells and plasma.
  • Blood cells are composed of red blood cells,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and plasma is mainly composed of water, which includes blood coagulation factors, electrolytes, and the like, essential for life support.
  • Such blood is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separating blood components and extracting each component element for various medical purposes.
  • blood centrifugation process using a centrifuge using specific gravity of blood components and a process using a specific composition are used. It is widely used.
  • the centrifugation process refers to a process of performing delamination using centrifugal force of a centrifuge that rotates at a specific speed because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blood has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 a buffy coat layer (white band consisting of leukocytes and platelets) is formed above and below, and a plasma or serum layer is formed thereon.
  • PRP Platelet Rich Plasma
  • cytokines cytokines
  • PD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TGF-BET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platelet-free plasma called PPP (Platelet Poor Plasma)
  • PPP Platinum Poor Plasma
  • the autologous filler converts PPP into gel form by heating to the skin. It is a procedure to inject into.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simplifying the process compared to the prior art can ensure the purity of the components, such as blood or stem cells separated, and can prevent air pollution during the component separation process It is to provide a component separator.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llow body in which a flow pipe through which a body fluid flows is formed at one end, the stopper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And a plunger for varying the space between the flow pipes while moving back and forth inside the main body, wherein a collecting par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nger, and the plunger is limited in backward by the stopper. to be.
  • the 'body fluid'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substance obtained directly from the body such as blood, lymph, bone marrow extract, umbilical cord blood, and a substance obtained from the body, such as a mixture of fat and collagenase solution, dissolved or mixed in another solvent.
  • the concept involves matter.
  • the stopper is a body female screw portion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 pressing member having a pressurized screw portion that can be screwed with the main body female screw portion, and a push tube having a bulging hol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ized screw portion, the main body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
  • the st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etachable protrusion which is fastened to the detachable hole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 the stopp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lunger so as not to be injected over a predetermined amount, and may also prevent the plunger from dropping down when the body fluid is injected or centrifuged.
  • the st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topper for closing the other end is provided.
  • the pressing screw portion is an elastic tube inserted into the pressing member and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ing memb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ing screw portion can be projec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and pressable to be screwed on the body female screw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formed.
  • the plunger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neck portion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main body, and one end of the pressing screw portion is formed with a gripping portion for holding the neck portion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is located inside the pressing member.
  •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is formed to move the engaging projection.
  • the distribution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for coupling with the component collector.
  • one or more screens may be installed in the connector.
  • the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connector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two or more connector coupling portions ar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 each scree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different mesh.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separate blood components. Particularly, due to the separation of PPP and PRP, which are light in gravity, pressure is applied upwards, the purity of the separated PRP and PPP is also clear since the incorporation of blood cells can be minimized or blocked.
  • the stem cells it is possible to isolate the stem cell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parate the trace amount from the stock solu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high purity stem cells simply by adopting the plunger shaped to collect the stem cells. Therefore, when treating with stem cells, the treatment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member used in the component separator of FIG.
  • Figure 3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projection of the pressing screw portion in the pressing member of the state hidden in the pressing member.
  •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is gripped by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plunger in the state of FIG. 3.
  • FIG. 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ressing protrusion of the pressing screw portion protruding out of the pressing member in the pressing member of FIG. 2.
  •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art of the pressing member is relaxed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plunger in the state of FIG. 5.
  •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p and bottom plugs coupled to the component separator of Figure 1;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blood is charged into a component separator having a stopper assembled in FIG. 7 and blood is separated by a centrifuge.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p is removed from the component separator of FIG. 8, the connector and the component collector are connected, the lower cap is removed, and the pressing member is coupled.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member is raised in the state of FIG. 9 to push blood components above the component separator and supply them to the component collector connected to the component separator.
  •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connecting the component separator and the component collector in FIG. 9.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arget solution containing stem cells obtained from fat in a component separator in which a stopper is assembled, and the target solution is separated by a centrifuge.
  • FIG. 13 is a component collector connected to the component separator by removing the upper cap from the component separator in FIG. 12, connecting the connector and the component collector, removing the lower cap, and combining the pressure member to the upper side to push the upper liquid component.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state to supply.
  • FIG. 1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connecting the component separator and the component collector in FIG. 13.
  • 15 and 16 are sectional views of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or.
  •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e marrow extract charged into the component separator with the stopper assembled in FIG.
  • the component separator 100 basically includes a hollow body 110 and a plunger 132 moving inside the hollow body 110.
  • the main body 110 has a distribution pipe 116 through which body fluid is distributed at one end thereof, and a main body female screw part 122 serving as a stopper at the other end thereof.
  • the main body 11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body that can see the inside, it may be made of plastic or glass.
  • the distribution pipe 116 has a distribution fastening portion 114 for fastening around.
  • the distribution fastening part 114 may be formed with a female thread or a male thread,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emale thread is formed.
  • the distribution fastening part 114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170 or the upper plug 180.
  • a detachable hole 12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so as to detach the main body female screw 122 that is the stopper. Accordingly, the female thread body 126 of the main body female thread part 122 has a detachable protrusion 128 that is fastened to the detachable hole 120.
  • the body female screw 13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female screw portion 122.
  • a stopper ring 12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emale threaded body 126 to limit the insertion degree when the female female threaded part 122 is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 the body end when one end of the upper body of the body female threaded portion 122 is completely injected into the body 110, the body e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lunger 132 so that only a certain amount of body fluid can be injected, It serves as a stopper to prevent the plunger from falling off during rinsing or centrifugation.
  • body female screw portion 122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but as described above, it is advantageous to manufacture the molding mold.
  • a lower stopper 142 is installed at the main body female screw 122.
  • the lower stopper 142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10.
  • the body 110 is opened by the opening formed by the detachable hole 120 and the detachable protrusion 128. Since the air is discharged,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the air than when the lower cap 142 is not. That is, the resistance to the discharge of air is increased, so that the supply of the body fluid into the component separator 100 can be made quiet.
  • the lower stopper 142 is a stopper body 144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or the main body female screw 122 to cover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or the main body female screw 122 )
  • the stopper body 144 includes a plurality of stoppers 146 to be fixed to the lower end stopper 142 by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or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female threaded part 122 and extending outward. ) Is formed.
  • the lower stopper 142 may be screwed with the main body female threaded portion 122 by forming a screw line on the outer side of the tubular body instead of the stopper leg 146 (not shown).
  • the plunger 132 may change the space between the distribution pipe 116 while advancing back and forth inside the main body 1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arge or discharge a liquid such as a body fluid between the plunger 132 and the flow pipe 116.
  • the plunger 132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134 around the space to seal the spa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terial in the space from leak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 a collection par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nger 132 to facilitate collection of specific components.
  • the collection part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140 formed in a concave upper portion of the plunger 132 or a substantially conical groove formed with a low center portion.
  • the lower portion of the plunger 132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138 having a neck portion 136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be gripped by the pressing member 148 to be described below.
  • the pressing member 148 includes a pressurizing screw part 158 that can be screwed with the main body female screw part 122, and a push tube 150 having a concave hole 154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izing screw part 158. It is done by
  • the push tube body 152 of the push tube 150 has an outer diameter less than o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female screw 130.
  • a through hole 15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ush tube 150 (the direction toward the plunger 132)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38 of the plunger 132 may pass therethrough.
  • an upper end of the push tube 150 ma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plunger 132 to push up the plunger 132.
  • the pressure screw portion 158 is composed of an elastic tube 160 having a slit 166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cut portion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if the force is removed The elasticity is caused to spread outwards.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izing screw unit 158 is formed with a pressurizing protrusion 162 capable of being sunk through the wandering hole 154 and screwed to the main body female screw unit 122.
  • a handle 164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screw part 158 to facilitate gripping.
  • the pressing protrusion 162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push tube 150 through the projection hole 154.
  • a gripping portion 167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screw portion 158 to hold the coupling protrusion 138.
  • the gripping portion 167 is formed to be bent at one end of the pressure screw portion 158, the coupling projection 138 is passed through as the pressure screw portion 158 is relaxed, the pressure screw portion 158 In a state in which the portions of the slit 166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pplying a force to each other, the neck 136 is gripped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38 to integrate the pressing member 148 and the plunger 132. Let's do it.
  • the component separator 100 is basicall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 process of separating the body fluid using the component separator 100 will be described.
  • the component separator 100 should be in a state where the plunger 132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sid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syringe and the component separator 100 by using the connector 170 shown in FIG.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mponent separator 100 is provided with a lower stopper 142 because the air remaining in the component separator 100 can be discharged slowly, thereby allowing the charging of quiet blood. Do.
  • the upper stopper 180 has an upper stopper screw part 182 that can be screwed with the distribution fastening part 114.
  • the distribution pipe 116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cap screw 182.
  • the component separator 100 is centrifuged to form a layered state for each blood component as shown in FIG. 8. Therefore, when the component separator 100 is mounted in the centrifuge, the upper plug 18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plug 142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As a result, the PPP 2 is positioned above the main body 110, the blood cells 1 are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and the PRP 3 is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blood cells 1.
  • the upper plug 180 is separated, and one side of the connector 170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fastening part 114, and then a separate component collector 20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170.
  • the connector 170 has connector fastening parts 172 and 174 that are joined to the distribution fastening part 114 on both sides, and holes on both sides formed inside the connector fastening parts 172 and 174 are respectively. It communicat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nector 170.
  • a screen not shown
  • Meshes are placed inside the cell strainer, and each mesh should have an eye size of 100 micrometers or less. The reason for using a mesh of 100 micrometers or less is that when injected into the human body, it passes through the smallest capillaries.
  • a general syringe may be used as the component collector 200, and a container 202 having a space therein, a moving member 204 moving inside the container 202, and an integral part of the moving member 204 may be used. It may include a push rod 206 to be connected, and a connector 208 formed at one end of the container 202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170.
  • the lower cap 142 of the component separator 100 is separated, and the pressing member 148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 the pressing member 148 pushes the pressing protrusion 162 of the pressing screw portion 158 without protruding the protrusion 162, or protrudes the pressing protrusion 162 from the beginning to protrude the body female screw.
  • the plunger 132 may be approached while engaging with the unit 122.
  • the former method can shorten the working time more. In the latter method, the components inside the main body 110 can be discharged silently without mixing with each other.
  • the PRP After the PRP is moved to the component collector,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or with a screen (cell strainer),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by connecting a new component collector, filtering the PRP mesh (mesh) or cell straining).
  • the reason for filtering the mesh is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during the injection of the human body and to prevent the formation of blood clots due to cell mas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solate the desired blood component.
  • the pressing projection 162 Hides into the push tube 150.
  • the holding portion 167 of the pressing screw portion 158 as shown in Figure 4, the neck portion 136 of the plunger 132 to hold the pressing member 148 and the plunger 132. Allow them to move in one piece.
  • the plunger 132 can be retracted.
  • the inhaled fat is decanted or centrifuged to remove the water and obtain pure fat.
  • the collagenase solution mixed with saline and collagenase is mixed with pure fat, decanted or centrifuged again, and the target solution containing the stem cells collected at the lower side is charged into the component separator 100. .
  • the component separator 100 is inserted into a centrifuge (not shown) to separate the target solution into layers.
  • 12 shows that the target solution is divided into layers, and the stem cell solution 4 collected in the concave groove 140 is divided into the supernatant solution 5 disposed above the stem cell solution 4.
  • the liquid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the same manner as the blood component separation method is discharged.
  • the stem cell fluid (4) and the supernatant (5)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ortion is discharged.
  • washing liquid is supplied through the distribution pipe 116 of the component separator 100.
  • the handle 164 to facilitate the retraction of the plunger 132, the pressing protrusion 162 to hide inside the push tube 150.
  • the component separator 100 into which the washing solution is charged is put back into the centrifuge and the layers are separated.
  • the stem cell solution obtained in the collection unit is moved to a new component collector 200.
  • the connector 210 equipped with the screen 216 may be used.
  • the stem cell fluid is transferred to the component collector and the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or with a screen (cell strainer), and a new component collec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to connect the stem cell fluid to the screen 216.
  • Stem cell fluid extraction can be completed by filtering (meshing or cell straining) of the mesh.
  • the reason for filtering the mesh is that even with collagenase enzymes, some extracellular matrix may be present without complete dissolution, resulting in vascular obstruction or entanglement of cells with each other during human injection. It is to prevent clot formation due to lumps. In this case, if a connector having two inlets exists at the top, the mesh can be filtered and the nutrient solution or drugs can be easily added to the stem cell solution.
  • the screen may have different sizes of meshes (ie, the number of eyes per unit area of the screen may be set differently).
  • a drug such as a nutrient solution and the like are used.
  • Stem cell solution can be charged into the component collector 200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quick separation more convenient.
  • the bone marrow is first extracted using a special bone marrow extraction needle from a site such as an iliac bone, and then extracted using the aforementioned blood separation method and adipose derived stem cell separation method. have.
  •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e marrow extract charged into the component separator 100, the upper stopper 180 and the lower stopper 142 are assembled, and the bone marrow extract is separated by a centrifuge. From the lower side, blood cells 6, bone marrow stem cell fluid 8, and plasma 7 are arranged in this order.
  • lymphocytes, immune cells, umbilical cord blood stem cells, etc. can also be separated us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ells. That is, allogeneic cells or heterologous cells can be separated by the above method using specific gravity of cells.
  • PRP 4 stem cell fluid
  • component separator 110 main body
  • stoppering 126 female thread body
  • Detachable protrusion 130 Body female screw
  • stopper body 146 stopper leg
  • grip portion 170,210,211,220 conn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혈액 또는 줄기세포 등 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성분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일단부에 체액이 유통되는 유통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스토퍼가 배치되는 중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유통관의 사이의 공간을 가변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부에는 수집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후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분리기이다.

Description

성분 분리기
본 발명은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혈액 또는 줄기세포 등 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성분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혈액(blood)은 크게 혈구와 혈장으로 나누어진다.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혈장은 주로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혈액응고인자, 전해질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혈액은 여러 의학적 목적으로 인해 혈액을 분리하여 각 성분 요소를 추출하는 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 그 중 혈액 성분의 비중차를 이용한 원심 분리기를 이용한 혈액 원심 분리 공정과 특정 조성물을 이용한 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원심 분리 공정은 혈액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은 비중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특정 속도로 회전하는 원심분리기의 원심력을 사용하여, 층간 분리를 수행하는 공정을 의미하며, 혈액을 원심 분리할 경우 가장 무거운 혈구가 하부층을 이루고 그로부터 상부로 버피코트층(buffy coat 층 :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구성되는 흰띠), 그리고 그 위로 혈장 또는 혈청 층이 형성된다.
이 경우, PRP(Platelet Rich Plasma:혈소판 농축 혈장)라 불리우는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은 비교적 혈장의 하부에 위치하여 싸이토카인, PDGF, TGF-BETA, VEGF 등의 성장인자를 포함하고 있는 바, 이는 특히 피부의 질환과 상처 치유에서 좋은 효과를 도출하고 있다고 논문 등의 자료에서 밝혀지고 있다.
또, PPP(Platelet Poor Plasma: 혈소판이 희박한 혈장)라 불리우는 혈소판이 거의 없는 혈장은 자가혈필러용, 또는 자가혈장유래 화장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자가혈필러는 PPP를 가온처리를 통해 겔형태로 바꾸어 피부에 주입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특정 시술에서 혈액에서 특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보다 편리하고 진보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혈액성분의 분리를 위하여 혈액성분 분리방법 및 장치(특허등록 제10-0988220호, 특허등록 제100988221호)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위 발명에서는 가압스크류와 푸시로드를 별개로 구성하여, 보관이 불리할 뿐 아니라, 작업에 있어서도 가압스크류와 푸시로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제기되었다.
또한, 위 발명 뿐 아니라 종래기술에서는 줄기세포의 분리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위 발명과 같은 간단한 키트에 대해서는 아직 제시된 바 없다. 특히,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경우 전체 원액(지방과 콜라게나제 용액의 혼합액)의 부피 대비 추출되는 양이 적어서 위 발명과 같은 형태로는 고순도의 줄기세포를 얻기 곤란하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혈액 또는 줄기세포 등 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성분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성분 분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체액이 유통되는 유통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스토퍼가 배치되는 중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유통관의 사이의 공간을 가변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부에는 수집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후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체액'은 혈액, 림프액, 골수추출액, 제대혈 등 신체로부터 직접 얻어지는 액체상태의 물질과, 지방과 콜라게나제 용액의 혼합액과 같이 신체로부터 얻어지는 물질이 다른 용매 등에 용해 또는 혼합된 물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본체암나사부이고, 상기 본체암나사부와 나합가능한 가압나사부와, 상기 가압나사부가 출몰하도록 외주면에 출몰홀이 형성되는 푸시튜브를 가지는 가압부재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의 타단부의 착탈홀에 체결되는 착탈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본체내로 체액 주입이 이루어지는 경우, 플런저의 저부와 맞닿아서 일정량 이상 주입 되지 않게 하고, 또한 체액 주입시 또는 원심분리시 플런저의 하방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타단부를 폐쇄하는 하부마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압나사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탄성튜브이고, 상기 가압나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출몰홀을 통해 출몰가능하고 상기 본체암나사부에 나합가능한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본체의 타단부 측으로 목부를 가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나사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가압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목부를 파지하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통관에는 성분수집기와 결합을 위한 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커넥터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일측에 하나의 커넥터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2이상의 커넥터 결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2이상의 스크린이 설치되는 경우, 각 스크린은 서로 다른 메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혈액성분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비중이 가벼운 PPP, PRP 순으로 상측으로 압력을 가해 분리하는 것으로 인하여, 혈구의 혼입을 최소화 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어서 분리된 PRP와 PPP의 순도도 확실하다.
그리고, 혈액 채혈부터 혈액 분리과정동안 혈액 성분이 커넥터에 의해 혈액성분 분리기와 성분 수집기 사이에서 외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분리과정에서 혈액의 공기오염시 예상될 수 있는 병원균의 감염 또는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서는 줄기세포의 분리도 가능하다. 원액 대비 극소량을 분리해 내기 위하여 줄기세포를 수집할 수 있는 형상의 플런저를 채택하여 고순도의 줄기세포를 간단하게 추출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시, 치료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성분 분리기에 사용된 가압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압부재에서 가압나사부의 가압돌기가 가압부재 내부에 숨은 상태의 부분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플런저의 결합돌기를 가압부재의 파지부가 파지한 모습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가압부재에서 가압나사부의 가압돌기가 가압부재 외부로 돌출된 상태의 부분 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플런저의 결합돌기에 대해 가압부재의 파지부가 이완한 모습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성분분리기에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가 결합되는 모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마개가 조립된 성분분리기 내에 혈액을 장입하고, 원심분리기에 의해 혈액을 층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성분분리기에서 상부마개를 제거하고, 커넥터와 성분수집기를 연결하고, 하부 마개를 제거하고 가압부재를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가압부재를 상승시켜 성분분리기 상측의 혈액성분을 밀어 성분분리기와 연결된 성분수집기로 공급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성분분리기와 성분수집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서 마개가 조립된 성분분리기 내에 지방으로부터 얻어진 줄기세포가 함유된 목적용액을 장입하고, 원심분리기에 의해 목적용액을 층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성분분리기에서 상부마개를 제거하고, 커넥터와 성분수집기를 연결하고, 하부 마개를 제거하고 가압부재를 결합후 상측으로 상승시켜 상측의 액체성분을 밀어 성분분리기와 연결된 성분수집기로 공급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성분분리기와 성분수집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커넥터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7에서 마개가 조립된 성분분리기 내에 골수추출물 장입하고, 원심분리기에 의해 골수추출물을 층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분 분리기(100)는 기본적으로, 중공의 본체(110)와, 상기 중공의 본체(110) 내부에서 이동하는 플런저(13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일단부에 체액이 유통되는 유통관(116)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스토퍼인 본체암나사부(122)가 배치된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유통관(116)은 주위에 체결을 위한 유통체결부(114)를 가진다. 상기 유통체결부(114)에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유통체결부(114)는 커넥터(170) 또는 상부마개(180)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타단부에는 상기 스토퍼인 본체암나사부(122)를 착탈할 수 있도록 착탈홀(1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암나사부(122)의 암나사부바디(126)는 상기 착탈홀(120)에 체결되는 착탈돌기(128)를 가진다. 상기 본체암나사부(122)의 내주면에는 본체암나사(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부바디(126)의 일측에는 스토퍼링(124)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암나사부(122)를 상기 본체(110)의 타단부에 장착시 삽입정도를 한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암나사부(122)의 상측 일단부는 상기 본체(110) 내로 체액 주입이 완전히 이루어졌을 경우, 플런저(132)의 저부와 맞닿아서 일정량의 체액만이 주입가능하게 하고, 또한 체액주입시 또는 원심분리시 플런저의 하방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써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본체암나사부(122)를 상기 본체(110)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성형몰드의 제작상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암나사부(122)에는 하부마개(142)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마개(142)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 상기 하부마개(142)가 설치된 상태로 체액을 주입하는 경우, 상기 착탈홀(120)과 상기 착탈돌기(128)가 형성하는 개구에 의하여 상기 본체(1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므로, 상기 하부마개(142)가 없는 경우보다 공기가 배출되기 곤란하게 된다. 즉, 공기의 배출에 대한 저항이 커져서, 상기 성분 분리기(100) 내부로의 체액의 공급이 정숙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마개(142)는 상기 본체(110)의 하단부 또는 상기 본체암나사부(122)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단부 또는 상기 본체암나사부(122)의 외경보다 큰 마개몸체(144)를 가진다. 상기 마개몸체(144)에는 상기 본체(110)의 하단부 또는 상기 본체암나사부(122)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외측으로 확장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하부마개(142)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마개다리(146)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마개(142)의 경우 마개다리(146)대신 관체의 외측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 암나사부(122)와 나사결합할 수도 있다(미도시).
상기 플런저(132)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유통관(116)과의 사이의 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132)와 상기 유통관(116) 사이에 체액 등의 액체를 장입하거나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플런저(132)는 상기 공간을 밀폐하도록 주위에 실링부재(134)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 내의 물질이 상기 본체(110)의 타단부를 향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32)의 상부에는 특정성분의 수집이 용이하도록 수집부가 형성된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플런저(132)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140) 또는 중심부가 낮게 형성된 대략 원뿔형의 홈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집부의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체액 중 선별되는 특정성분이 미량인 경우에도 비중이 큰 경우에는 확실하게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플런저(132)의 하부에는 하기(下記)하는 가압부재(148)에 의해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타단부 측으로 목부(136)를 가지는 결합돌기(138)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재(148)는 상기 본체암나사부(122)와 나합가능한 가압나사부(158)와, 상기 가압나사부(158)가 출몰하도록 외주면에 출몰홀(154)이 형성되는 푸시튜브(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튜브(150)의 푸시튜브바디(152)는 외경이 상기 본체암나사(130)의 내경 이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튜브(150)의 일단부(상기 플런저(132)를 향하는 방향)에는 관통홀(156)이 형성돼서, 상기 플런저(132)의 결합돌기(138)가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튜브(150)의 상단은 상기 플런저(132)의 저면에 맞닿아서 상기 플런저(132)를 밀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압나사부(158)는 그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슬릿(166)을 가지는 탄성튜브(160)로 이루어져서,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절개된 부분이 서로 밀착하여 단면이 대략 원형을 이루고, 힘을 제거하면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나사부(158)의 외주면에는 상기 출몰홀(154)을 통해 출몰가능하고 상기 본체암나사부(122)에 나합가능한 가압돌기(16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나사부(158)의 타단부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16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64)를 회전하여 상기 푸시튜브(150)에 대하여 상기 가압나사부(158)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162)가 상기 푸시튜브(150)의 내부로 숨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162)가 상기 출몰홀(154)을 통해 상기 푸시튜브(15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나사부(158)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돌기(138)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67)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167)는 상기 가압나사부(158)의 일단부에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압나사부(158)가 이완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돌기(138)가 그대로 통과하고, 상기 가압나사부(158)에 힘을 가하여 상기 슬릿(166)의 부분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목부(136)를 쥐어 상기 결합돌기(138)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가압부재(148)와 상기 플런저(132)를 일체화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분분리기(10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 성분 분리기(100)를 이용하여 체액을 분리하는 과정에 대해설명한다.
먼저, 혈액을 PPP와 PRP로 분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별도의 주사기로 채혈을 하여, 상기 성분 분리기(100) 내에 장입한다. 상기 성분분리기(100)는 상기 플런저(132)가 일단부 측으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여야 한다. 이 때, 도 9에 도시된 커넥터(170)를 이용하여 주사기와 상기 성분 분리기(1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는 하부마개(142)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 잔존하는 공기를 천천히 배출시킬 수 있어서 정숙한 혈액의 장입을 가능하게 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성분 분리기(100)의 상측을 상부마개(180)로 닫는다. 상기 상부마개(180)는 상기 유통체결부(114)와 나합가능한 상부마개나사부(182)를 가진다. 상기 상부마개나사부(182)의 중심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유통관(116)이 삽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성분 분리기(100)를 원심분리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성분 별로 층을 이룬 상태를 만든다. 따라서, 상기 성분 분리기(100)를 원심분리기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상부마개(180)가 상측이 되고 상기 하부마개(142)가 하측이 되는 자세로 장착한다. 이 결과,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측에 PPP(2)가 위치하고, 하측에 혈구(1)가 위치하게 되며, 혈구(1) 상부에 PRP(3)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마개(180)를 분리하고, 커넥터(170)의 일측을 상기 유통체결부(114)에 연결한 후, 별도의 성분 수집기(200)를 상기 커넥터(170)의 타측에 연결한다.
상기 커넥터(1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통체결부(114)과 나합되는 커넥터체결부(172,174)를 양측에 가지며, 상기 커넥터체결부(172,174) 내부에 형성된 양측의 홀은 상기 커넥터(170) 내측을 통해 연통된다. 특히, 상기 커넥터(170)의 내부의 공간에는 스크린(미도시)을 설치하여, 특정성분 또는 이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크린(cell strainer)의 내부에 메시(그물망)를 가지는데 각 메시의 눈의 크기는 100 마이크로미터 또는 그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메시를 사용하는 이유는 인체에 주입했을 경우, 가장 작은 모세혈관에 걸리지 않고 통과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성분 수집기(200)로는 일반적인 주사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202)와, 상기 컨테이너(202) 내부를 이동하는 이동부재(204)와, 상기 이동부재(204)와 일체로 연결되는 푸시로드(206)와, 상기 컨테이너(202)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170)에 접속되는 연결관(208)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성분 분리기(100)의 하부마개(142)를 분리하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상기 가압부재(148)를 삽입한다. 상기 가압부재(148)는 상기 가압나사부(158)의 가압돌기(162)를 돌출시키지 않은 채로 밀어넣은 후에 가압돌기(162)를 돌출시키거나, 처음부터 가압돌기(162)를 돌출시켜 상기 본체암나사부(122)와 나합시키면서 상기 플런저(132)에 접근시킬 수 있다. 단, 전자의 방법은 좀 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후자의 방법은 본체(110) 내부의 성분이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정숙하게 상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압돌기(162)가 돌출한 상태로 상기 가압부재(148)를 회전시켜 상기 가압부재(148)가 상기 플런저(132)의 하부에 접근하면, 상기 결합돌기(138)가 상기 푸시튜브(150)의 관통홀(156) 및 상기 가압나사부(158)의 파지부(167)를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148)의 회전을 계속하면 상기 가압부재(148)는 상기 플런저(132)를 상측으로 밀어부치게 되고, 상기 본체(110) 내부의 PPP(2)가 먼저 상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커넥터(170)를 통해 상기 성분 수집기(200)로 이동하게 되고, PPP(2) 추출이 완료된 후 새로운 성분 수집기를 커넥터(170)에 연결 후 상기 가압부재(148)를 회전시키면, PRP(1)가 상기 커넥터(170)를 통해 이동하여 PRP(1)를 얻을 수 있다. 이후 PRP를 상기 성분수집기로 이동한 후, 스크린(cell strainer)이 있는 커넥터의 일단부에 연결하고, 커넥터의 타단부에는 새로운 성분수집기를 연결하여, PRP를 메시(mesh)에 걸러주는 과정(meshing or cell straining)을 추가 할 수도 있다. 메시에 걸러주는 이유는 인체 주입시 이물질을 걸러내고, 세포덩어리로 인한 혈전형성을 방지하는데 있다. 따라서, 목적하는 혈액성분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32)를 후퇴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푸시튜브(150)가 상기 플런저(132)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64)를 돌려서, 상기 가압돌기(162)가 상기 푸시튜브(150)의 내부로 숨게 한다. 이 때, 상기 가압나사부(158)의 파지부(167)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132)의 목부(136)를 파지하여 상기 가압부재(148)와 상기 플런저(132)를 일체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148)를 당기면, 상기 플런저(132)를 후퇴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지방을 흡입 등의 방법으로 획득한다.
먼저, 흡입한 지방을 디칸팅(decanting)과정 또는 원심분리과정을 거쳐서, 물부위를 제거하고 순수지방을 얻는다.
그리고, 순수지방에 식염수와 콜라게나제를 섞은 콜라게나제 용액을 혼합하여, 다시 디칸팅 또는 원심분리를 한 후, 하측에 모인 줄기세포가 함유된 목적용액을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 장입한다.
그리고, 상기 성분분리기(100)를 원심분리기(미도시)에 삽입하여 목적용액을 층분리시킨다. 도 12는 목적용액이 층분리되어서, 오목홈(140)에 수집되는 줄기세포액(4)과, 상기 줄기세포액(4)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상등액(5)으로 나누어지는 모습을 보여 준다. 이어서, 상기 혈액성분 분리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액체는 배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에 모인 상기 줄기세포액(4)과 미량의 상등액(5)을 제외하고 모두 배출시킨다.
다시, 세척액을 상기 성분 분리기(100)의 유통관(116)을 통해 공급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132)의 후퇴가 용이하도록 상기 손잡이(164)를 돌려서, 상기 가압돌기(162)가 상기 푸시튜브(150)의 내부로 숨게 한다.
세척액이 장입된 성분 분리기(100)를 다시 원심분리기에 집어 넣고 층분리를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집부에 모인 상기 줄기세포액(4)과 미량의 상등액(5)을 제외하고 모두 배출하고, 다시 세척액을 주입하여, 원심분리기에서 층분리를 하는 작업을 3~4회 반복한다.
최종적으로 수집부에 얻어진 줄기세포액을 새로운 성분 수집기(200)에 이동시킨다. 줄기세포액을 추출하는 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16)이 장착된 커넥터(210)를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상술하면, 줄기세포액을 상기 성분수집기로 이동한 후, 스크린(cell strainer)이 있는 커넥터의 일단부에 연결하고, 커넥터의 타단부에는 새로운 성분수집기를 연결하여, 줄기세포액을 상기 스크린(216)의 메시(mesh)에 의해 걸러주는 것(meshing or cell straining)으로 줄기세포액 추출을 완성할 수 있다. 메시에 걸러주는 이유는 비록 콜라게나제 효소 처리를 하더라도, 일부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은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존재 할 수 있는데, 인체주입 시 이로 인한 혈관폐쇄나, 또는 세포들 끼리 서로 엉켜서 생긴 세포덩어리로 인한 혈전형성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이 경우 상부에 두 개의 주입구가 존재하는 커넥터를 이용한다면, 메시에 걸러주는 작업과 동시에 영양용액이나 약품들도 쉽게 줄기세포액에 첨가할 수 있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17,218)을 2이상 사용한 다중스크린 구조의 커넥터를 사용하면, 콜라게나제 효소에 소화되지 않은 섬유조직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스크린은 서로 다른 크기의 메시를 가질 수 있다(즉, 스크린의 단위면적당 눈의 수가 다르게 설치될 수 있다).
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하나의 커넥터체결부(2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2개의 커넥터체결부(224,226)가 형성된 커넥터(220)를 사용하면, 영양용액 등의 약품과 줄기세포액을 동시에 성분수집기(200)로 장입할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게 빠른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골수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골수 줄기세포의 경우에는 먼저 장골(iliac bone) 등의 부위에서 특수한 골수 추출용 바늘을 이용하여 골수를 추출한 후, 상기에서 언급한 혈액분리방법과 지방유래 줄기세포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을 할 수 있다.
도 17은 상기 성분분리기(100) 내에 골수추출물 장입하고상부마개(180) 및 하부마개(142)를 조립하여, 원심분리기에 의해 골수추출물을 층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하측으로부터 혈구(6), 골수줄기세포액(8), 혈장(7)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의 서술된 방법을 이용하면, 임파구세포, 면역세포, 제대혈줄기세포 등도 세포들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분리가 가능하다. 즉 동종세포이거나 또는 이종세포들도 세포들의 비중차를 이용한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면 분리가 가능해 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혈구 2: PPP
3: PRP 4: 줄기세포액
5: 상등액 6: 혈구
7: 혈장 8: 골수줄기세포액
100: 성분 분리기 110: 본체
114: 유통체결부 116: 유통관
120; 착탈홀 122: 본체암나사부
124: 스토퍼링 126: 암나사부바디
128: 착탈돌기 130: 본체암나사
132: 플런저 136: 목부
138: 결합돌기 134: 실링부재
140: 오목홈 142: 하부마개
144: 마개몸체 146: 마개다리
148: 가압부재 150: 푸시튜브
152: 푸시튜브바디 154: 출몰홀
156: 관통홀 158: 가압나사부
160: 탄성튜브 162: 가압돌기
164: 손잡이 166: 슬릿
167: 파지부 170,210,211,220: 커넥터
172,174,212,213,214,215,222,224,226: 커넥터체결부
180: 상부마개 182: 상부마개나사부
200: 성분 수집기 202: 컨테이너
204: 이동부재 206: 푸시로드
208: 연결관 216,217,218,228: 스크린

Claims (10)

  1. 일단부에 체액이 유통되는 유통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스토퍼가 배치되는 중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유통관의 사이의 공간을 가변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부에는 수집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후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본체암나사부이고, 상기 본체암나사부와 나합가능한 가압나사부와, 상기 가압나사부가 출몰하도록 외주면에 출몰홀이 형성되는 푸시튜브를 가지는 가압부재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착탈홀에 체결되는 착탈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타단부를 폐쇄하는 하부마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나사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탄성튜브이고, 상기 가압나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출몰홀을 통해 출몰가능하고 상기 본체암나사부에 나합가능한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본체의 타단부 측으로 목부를 가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나사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가압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목부를 파지하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관에는 성분수집기와 결합을 위한 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측에 하나의 커넥터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2이상의 커넥터 결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스크린이 설치되는 경우, 각 스크린은 서로 다른 메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PCT/KR2013/000390 2012-03-05 2013-01-18 성분 분리기 WO201313352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757642.7A EP2823832B1 (en) 2012-03-05 2013-01-18 Component separator
CN201380005489.5A CN104039372B (zh) 2012-03-05 2013-01-18 血液组分分离器
US14/241,002 US9463270B2 (en) 2012-03-05 2013-01-18 Ingredient separator
JP2014535676A JP5824160B2 (ja) 2012-03-05 2013-01-18 成分分離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04 2012-03-05
KR1020120022304A KR101179548B1 (ko) 2012-03-05 2012-03-05 성분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3529A1 true WO2013133529A1 (ko) 2013-09-12

Family

ID=4707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390 WO2013133529A1 (ko) 2012-03-05 2013-01-18 성분 분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63270B2 (ko)
EP (1) EP2823832B1 (ko)
JP (1) JP5824160B2 (ko)
KR (1) KR101179548B1 (ko)
CN (1) CN104039372B (ko)
WO (1) WO20131335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8806A (ja) * 2014-05-14 2017-07-13 トング バイオ ファーマ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成分分離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7746B1 (fr) * 2012-03-08 2015-04-10 Adip Sculpt Seringue pour application medicale
KR101378014B1 (ko) * 2013-09-11 2014-03-27 김준우 성분분리기
KR20150085336A (ko) * 2014-01-15 2015-07-23 주식회사 퍼비스코리아 혈소판 농축 혈장 추출용 혈액분리장치
KR101750790B1 (ko) * 2015-04-06 2017-06-27 메디칸(주) 배양세포의 세포간 분리방법
KR101569172B1 (ko) 2015-05-27 2015-11-13 김준우 성분 분리장치
EP3316780B1 (en) * 2015-07-02 2020-12-02 Arthrex, Inc. Methods for preparation of enriched biological fluids
EP3380130B1 (en) 2015-11-24 2023-11-08 Royal Biologics Method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uid components
KR101847471B1 (ko) * 2016-03-15 2018-04-11 가톨릭관동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성분 분리기, 이를 포함하는 성분 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성분 분리방법
EP3799896A1 (en) 2019-10-04 2021-04-07 Arthrex, Inc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rapeutic fluids
CN112625863B (zh) * 2020-12-30 2022-06-07 武汉北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提取抗氧化活性成分的细胞分离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4016A (ja) * 2006-05-12 2007-11-22 Sekisui Chem Co Ltd 血液分離装置
JP2008104789A (ja) * 2006-10-27 2008-05-08 Nipro Corp 多血小板血漿分離方法及び多血小板血漿分離装置
KR100917795B1 (ko) * 2009-03-25 2009-09-21 김홍달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KR100988221B1 (ko) *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5537A (en) * 1970-11-10 1973-10-16 Pall Corp Dual blood filter
DE7239445U (de) * 1972-10-27 1973-08-02 Merten Utz P Einwegspritze, insbesondere zur Entnahme von Blutproben
SE9402812D0 (sv) * 1994-08-19 1994-08-19 Karl Erik Sundstroem Bloodcollection, plasmaseparation and high precision plasma dispensing device
US6123687A (en) * 1996-10-30 2000-09-26 Cohesion Technologies, Inc. Cell separation device and metering syringe
US6716187B1 (en) * 1999-07-08 2004-04-06 Implant Innovations, Inc. Platelet concentration syringe kit
US7845499B2 (en) * 2002-05-24 2010-12-07 Biomet Biologic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fluids containing multiple components
US20060278588A1 (en) * 2002-05-24 2006-12-14 Woodell-May Jennifer E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fluids containing multiple components
CN1603820A (zh) * 2003-09-29 2005-04-06 株式会社立佳 一种分离生物样品的仪器及其分离方法
EP2077115B1 (en) * 2006-10-27 2016-12-14 Nipro Corporation Platelet-rich plasma separator and platelet-rich plasma separation method
US7927563B1 (en) * 2009-10-13 2011-04-19 Cytomedix, Inc. Kit for separation of biological fluids
KR100988220B1 (ko) *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4016A (ja) * 2006-05-12 2007-11-22 Sekisui Chem Co Ltd 血液分離装置
JP2008104789A (ja) * 2006-10-27 2008-05-08 Nipro Corp 多血小板血漿分離方法及び多血小板血漿分離装置
KR100917795B1 (ko) * 2009-03-25 2009-09-21 김홍달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KR100988221B1 (ko) *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8806A (ja) * 2014-05-14 2017-07-13 トング バイオ ファーマ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成分分離器
EP3144019A4 (en) * 2014-05-14 2018-02-14 Dongkoo Bio & Pharma Co., Ltd. Component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31335A1 (en) 2014-08-21
EP2823832B1 (en) 2017-01-11
JP2014533142A (ja) 2014-12-11
US9463270B2 (en) 2016-10-11
KR101179548B1 (ko) 2012-09-05
CN104039372B (zh) 2016-02-10
CN104039372A (zh) 2014-09-10
EP2823832A1 (en) 2015-01-14
JP5824160B2 (ja) 2015-11-25
EP2823832A4 (en)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33529A1 (ko) 성분 분리기
WO2013100700A1 (ko)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WO2011118907A2 (ko) 혈액성분 분리방법
WO2013141436A1 (ko)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WO2011052927A2 (ko)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WO2011136606A2 (ko)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WO2011052948A2 (ko) 재생성 세포 추출유닛 및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WO2013094819A1 (ko) 혈액 분리 장치
WO2014168409A1 (ko) 자가 혈소판 추출을 위한 혈액 분리 용기
WO2019103313A2 (ko)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WO2020085688A1 (ko)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WO2014112794A1 (ko)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
WO2015178709A1 (ko) 피알피 추출키트
US20190025162A1 (en) Blood and Marrow Draw Processing Devices and Methods
WO2015174671A1 (ko) 성분 분리기
WO2015108273A1 (ko) 혈소판 농축 혈장 추출용 혈액분리장치 및 방법
KR101504819B1 (ko) 원심분리용 용기
CN210301873U (zh) 一种细胞分离套装
KR20140111401A (ko)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WO2014168311A1 (ko) 성분 분리기
WO2022211293A1 (ko)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체액 추출용 바이오 키트
WO2015037845A1 (ko) 성분분리기
WO2016195126A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WO2017051969A1 (ko)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 분리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의 분리 방법
WO2013058600A2 (ko) 혈소판 축출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576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3567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241002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576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576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