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795B1 -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795B1
KR100917795B1 KR1020090025528A KR20090025528A KR100917795B1 KR 100917795 B1 KR100917795 B1 KR 100917795B1 KR 1020090025528 A KR1020090025528 A KR 1020090025528A KR 20090025528 A KR20090025528 A KR 20090025528A KR 100917795 B1 KR100917795 B1 KR 100917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red blood
cylinder
lever
blood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달
Original Assignee
김홍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달 filed Critical 김홍달
Priority to KR102009002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A61M1/369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with means for adding or withdrawing liquid substances during the centrifugation, e.g. continuous centrifu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9Red blood cells; Erythr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는, 니들이 결합되는 노즐의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에 결합되는 미세 조절기로 구성되되, 상기 미세 조절기는,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된 팁을 구비하되, 상기 팁의 둘레 부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주사기의 노즐과 나사산 결합을 하고, 상기 팁의 대향 측 내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중공부를 구비한 형태를 가진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서 상기 중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 내 중공부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되 외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의 나사산부와 결합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로드의 상승 및 하강을 도모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조절용 피스톤;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혈구 분리 방법에 의하면, 공지 방법에 비하여 보다 신속하면서도 높은 순도의 혈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혈액 분리, 적혈구 추출, 혈장 분리, 원심 분리

Description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DEVICE FOR SEPARATING RED BLOOD CELL FROM BLOOD}
본 발명은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혈액 원심분리기를 통해 혈구와 혈장을 분리한 상태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혈구를 추출 및 제거하려 할 때 주사기에 추가로 결합이 되는 장치를 제공하되 이 장치의 레버를 회전하면서 로드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하여 보다 미세하고 정확하게 적혈구를 분리하도록 하는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blood)은 크게 혈구와 혈장으로 나누어진다.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혈장은 주로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혈액응고인자, 전해질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혈액 중 혈장은 혈액의 액상성분으로서 물 91%, 단백질 7%, 지방 1%, 당질 0.1%, 기타 무기질이온 0.9%로 이루어져 있다. 혈장단백질은 약 7g/dℓ이고, 이것은 황산암모늄에 대한 용해도의 차를 이용, 알부민과 글로불린을 구분하지만, 이들은 각기 여러 개의 단백질이 혼합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혈액은 다양한 성분의 혼합물로서, 여러 의학적 목적으로 인해 혈액을 분리하여 각 성분 요소를 추출하는 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바, 그 중 원심 분리기를 이용한 혈액 원심 분리 공정과 특정 조성물을 이용한 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원심 분리 공정은 대략 10,000 rpm 가량의 속도로 혈액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무게 차를 이용하여 층간 분리를 수행하는 공정을 의미하며, 혈액을 원심 분리할 경우 가장 무거운 적혈구가 하층(바깥쪽)을 이루고 그로부터 상부(안쪽)로 백혈구, 혈장, 혈청 층이 형성된다.
혈장 중에서 PRP(Platelet Rich Plasma:혈소판 농축 혈장)는 비교적 혈장의 하부에 위치하여 싸이토카인, PDCF, TGF-BETA1, VEGP 등의 성장인자를 포함하고 있는바, 이는 특히 피부의 질환과 상처 치유에서 좋은 효과를 도출하고 있다고 논문 등의 자료에서 밝혀지고 있다.
자가혈 피부재생술는 PRP를 혈액에서 추출하여 노화된 피부에 주사함으로써 PRP 고유의 기능으로 자체적으로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시술에 관한 것으로 현재 노화로 인한 주름, 눈밑 처짐, 여드름 흉터, 다크서클 등의 전반적인 피부 치료와 상처회복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가혈 피부재생술을 비롯한 특정 시술에서 혈액에서 적혈구를 분리하여 혈장만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혈액에서 특정 성분(주로 혈장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보다 편리하고 진보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적혈구 분리 공정은 우선 원심분리를 통해 혈구와 혈장층을 분리한 다음 주사기와 같은 매체를 통하여 혈구를 외부로 추출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는데, 주로 시술자의 육안에 의지한 상태에서 혈구를 주사기로서 분리하다보니 분리된 혈구에서 혈장 성분이 함께 유출되거나 혈장에 혈구 성분이 포함되어 혈장의 순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주사기의 피스톤 로드를 압박하여 혈구를 외부로 추출할 때 추출되는 혈구의 미세량을 조절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애로사항이 있었다.
또한 국내 특허출원 제 10-2008-7023372호와 같은 공지된 선행기술에서 특정 성분을 혈액에 투입하여 혈장을 분리하는 방법이 게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화학적 처리 방법에 의하여 혈장을 분리할 때 혈장 성분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따른다.
더불어 국내 특허 제 843339호와 같이 마이크로 채널 내지 필터에 의하여 혈장을 분리하는 방법은 분리된 혈장의 높은 순도를 보장할 수 있다는 특성은 있으나 분리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환자에서 혈액을 채취한 뒤에 혈장을 분리한 다음 곧바로 환자에게 해당 혈장을 이용한 시술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보다 신속한 시간을 담보함과 동시에 우수한 순도를 자랑할 수 있는 혈장을 확보하며 간편하고 편리한 공정을 제공하는 혈액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액 분리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주사기를 통해 혈액 채취 및 원심 분리 공정을 수행한 다음 상기 주사기에 별도로 결합되어 미세하고 디테일한 제어 방식에 의하여 적혈구를 외부로 추출함으로써 보다 높은 순도의 혈장을 확보함과 동시에 신속하고 편리한 적혈구 추출 프로세스를 도모할 수 있는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혈구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개입하지 않고서도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인 방식에 의하여 자동으로 적혈구 분리 장치의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는, 니들이 결합되는 노즐의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에 결합되는 미세 조절기로 구성되되, 상기 미세 조절기는,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된 팁을 구비하되, 상기 팁의 둘레 부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주사기의 노즐과 나사산 결합을 하고, 상기 팁의 대향 측 내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중공부를 구비한 형태를 가진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서 상기 중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 내 중공부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되 외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의 나사산부와 결합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로드의 상승 및 하강을 도모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조절용 피스톤;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의 하부에 직립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레버를 무는 니퍼, 상기 니퍼의 하부로 직립 연장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감속 모터로 이루어진 암; 상기 주사기를 고정하는 거치대; 상기 주사기에서 혈구와 혈장의 분리 부위를 근접 촬영하는 영상 촬영기; 상기 영상 촬영기에서 입력된 주사기 내 적혈구 잔류 상태에 따라 상기 암의 감속모터의 회전속도와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주사기 내 적혈구 잔류 상태에 따라 상기 레버를 자동으로 회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를 이용한 적혈구 분리 방법으로서, 채혈을 통해 혈액을 보관한 주사기를 원심분리기를 통해 원심 분리하여 적혈구와 혈장 부분을 분리 처리하는, 1차 원심 분리 단계; 주사기의 피스톤 압축을 통해 주사기 내의 적혈구의 일정량을 주사기의 노즐을 통해 외부로 유출 처리하는, 1차 적혈구 분리 단계; 주사기와 미세 조절기를 결합 처리하는 단계; 미세 조절기의 레버를 회전하여 로드를 나사산 이동시킴으로써, 주사기 내에 잔류한 적혈구를 미세 조절기의 실린더 내로 이동시키는, 2차 적혈구 분리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혈구 분리 방법에 의하면,
1) 공지 방법에 비하여 보다 신속하면서도 높은 순도의 혈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2) 적혈구 분리 과정 및 사용 방법이 간편하고 편리하여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3) 적혈구 분리 과정 시에 혈장까지 추출된 경우 적혈구 분리 장치의 레버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혈장을 원 위치로 밀어 넣을 수 있어 혈장의 손실율을 크게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4) 적혈구 분리 장치의 제작가격이 저렴하여 시술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5) 자동으로 적혈구 분리 장치의 레버를 회전 처리함으로써 편의성 및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주사기와 미세 조절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주사기와 미세 조절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크게 주사기(100)와 미세 조절기(200)로 구성이 되어 있다.
주사기(100)는 주사기 실린더(110)와 피스톤(120)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주사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되, 실린더(110)의 끝단 부위인 니들(일반적으로, 주사침이라 명명됨-미도시)이 결합되는 노즐(130)의 외주면 또는 내주 면에 나사산(스크류)(131)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100)는 노즐(130)에서 니들을 분리한 다음 기타 장치,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조절기(200)를 결합하되 양자가 나사산 결합이 되도록 함으로써 양자의 결합의 견고함을 보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조절기(200)는 상기 주사기(100)보다 작은 길이와 체적으로 이루어져 주사기(100)의 노즐(130)에 나사산 결합을 하는 것으로, 주사기(100)의 노즐(130)과 나사산 결합을 하는 팁(tip)(220)을 구비한 실린더(210)와 조절용 피스톤(250)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실린더(210)는 일반적인 주사기 실린더와 같이 투명 벽체로 이루어져 외부에 서 내부가 육안으로 식별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내부에 조절용 피스톤(250)이 삽입될 수 있는 스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되, 일 측(상부 측)에 일정 길이 돌출 구성이 된 팁(220)을 구비하고 있으며 팁(220)이 형성된 부위의 대향 측에는 내주 면(외주면)을 따라 나사산(211)이 형성되어 있다.
팁(220)의 외주 면 내지 내주 면에 구비된 나사산(221)에 의하여, 상기 팁(220)은 상기 주사기(100)의 노즐(130)과 나사산 결합이 되고 이로 인해 미세 조절기(200)와 주사기(100)가 결합하였을 경우 결합 부위에서 누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린더(210)에서 스페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이 되는 조절용 피스톤(250)은 공지의 주사기용 피스톤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나 그 기능과 세부 구성에서 차이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조절용 피스톤(250)은 헤드(260)와 로드(270) 및 레버(280)를 포함하고 있다.
헤드(260)는 실린더(210)의 스페이스에 함유된 물질, 구체적으로 혈액(주로 적혈구)을 압축하여 팁(220) 방향으로 밀어내거나 주사기(100)로부터 팁(220)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적혈구)이 실린더(210) 외부 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러한 헤드(260)는 실린더(210)의 스페이스(중공부) 내벽에 밀착하여 로드(270)의 회전에 따라 이동력을 전달받아 이동이 되고,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고무 재질로 제작이 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260)는 수평 형상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중앙 부위가 수평면과 대략 3 내지 10도 상승 구배를 가지도록 둘레부위에서부터 상승 경사각을 가 지도록 돌출되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삼각 형상을 띠고 있으며 이러한 삼각 형상의 돌출 부위를 융기부(261)라 한다.
융기부(261)는 평면 형상을 가진 헤드에 비하여 실린더(210) 내 적혈구를 팁(220) 방향으로 압축할 때 보다 상승된 압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헤드(26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융기 부위로 인해 헤드(260)가 팁(220) 방향으로 추진될 때 실린더(210) 내벽에 걸리는 마찰력과 실린더(210) 내의 혈액의 무게에 따른 반발력을 보다 원활하게 극복하면서 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게 된다.
로드(270)는 헤드(260)에서 실린더(210)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일정 길이에 해당하는 부위의 외주 면을 따라 나사산(2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271)은 실린더(210)에 형성된 나사산(211)과 결합하게 된다.
즉, 로드(270)는 단순히 수직 압축력에 의하여 실린더(210) 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원리를 갖는 것이 아니라, 실린더(210)의 나사산(211)과의 맞물림 결합을 통한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나사산 방식의 이동 수단 제공에 의하여 보다 정밀하고 세부적으로 로드(27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레버(280)는 로드(270)의 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로드(270)를 보다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실린더(210) 바깥 방향으로 돌출 구성되어 있다. 일례로, 레버(280)는 바(bar) 형상을 가져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도 3은 자동으로 적혈구 추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실시예를 일례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는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바, 이를 위하여 거치대(310), 영상 촬영기(320), 컨트롤러(330) 및 레버(280)에 연결이 되어 레버(28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암(arm)(340)이 제공된다.
우선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주사기(100) 및 미세 조절기(200)는 거치대(310)의 지지대(니퍼가 주사기의 상단을 물고 주사기의 측부를 고정시키는 방식)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유동성 없이 고정 장착이 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즉, 거치대(310)에 의하여 주사기(100), 미세 조절기(200)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시술자의 손이 닿지 않고서도 적혈구를 추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촬영기(320)는 CC 카메라, 캠코더와 같이 공지되어 있는 동영상 촬영기로서, 주사기(100)와 미세 조절기(200) 간 결합 부위 또는 주사기의 하단 부위를 근접 촬영하여 주사기(100)에 잔류한 적혈구의 양을 정밀하게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이 영상 촬영기(320)는 확대 촬영 기능을 구비하여 주사기(100)에 잔류한 적혈구의 양 또는 주사기에서의 적혈구 층과 그 외 혈액 성분의 층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 촬영기(320)에서 촬영된 영상은 컨트롤러(330)로 전송이 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330)는 상기 영상 촬영기(320)에서 촬영된 주사기(100) 내 적혈구 잔류량을 확인 및 분석하여 후술할 암(340)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컨트롤러(330)에서 적혈구의 잔류량을 확인하는 근거로서는 적혈구 층과 혈장 층의 색상 차이 확인 내지, 주사기(100)의 하단 특정 지점에서 발현되는 혈액 성분의 색상 확인 등으로서 주사기 내 적혈구 잔류량을 파악할수 있는 원리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340)은 컨트롤러(330)의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레버(280)를 물어 레버(280)와의 고정 결합을 도모하는 니퍼(nipper)(343) 및 니퍼(343) 하단에서 직립 연결이 되어 있는 샤프트(342), 샤프트(342)를 회전하는 감속 모터(341)로 구성이 되어 있다.
니퍼(343)는 집게와 같은 형태를 가져 레버(280)를 물고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감속 모터(341)는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됨과 동시에 회전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니퍼(343)에 물린 레버(280)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사기(100)에서 적혈구를 빼어날 상태인 경우 컨트롤러(330)의 신호 처리에 의하여 레버(280)를 일 방향으로 돌리고 영상 분석기(320)를 통해 주사기(100)에서 적혈구가 모두 빠져나갔을 때 레버 회전을 중지하는 신호를 컨트롤러가 발생 처리하며, 만일 적혈구 이외의 혈장이 빠져나갔을 경우에는 레버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자동 레버 회전 수단에 의하여, 작업자의 수고를 덜게 됨과 동시에 보다 정확하게 적혈구를 분리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를 이용한 적혈구 분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를 이용한 적혈구 분리 방법의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주사기(100)를 이용하여 특정 환자 등의 혈액을 채혈하는데, 이 때 주사기(100)의 노즐(130)에는 니들이 결합되어 니들을 통해 주사기(100)에 혈액을 채혈하며 혈액 채혈이 완료된 다음에는 니들을 노즐(130)에서 분리하고 노즐(130)의 개방 부위를 밀폐 처리(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밀폐 기구를 노즐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한 다음, 주사기(100) 내 혈액에 대해 혈액 원심 분리기를 이용하여 1차 원심 분리를 수행한다.
1차 원심분리공정에서는 주사기(100)에서 피스톤(120)을 빼낸 뒤에 주사기 실린더(110)의 양 측단을 밀폐하고 난 이후 원심 분리기에 투입하도록 한다.
혈액을 구성하는 혈구와 혈장 성분 중에서 혈구, 특히 적혈구는 혈장에 비해 무게가 더 나가기 때문에 혈액 원심 분리를 수행하면 적혈구가 주시기 실린더(110)의 바깥쪽(하부)으로 모이면서 자연스럽게 혈장과 분리 층을 이루게 된다.
1차 원심 분리를 마친 후에, 피스톤 결합 부위에 밀폐 처리 상태를 해제하고 주사기(100)에 피스톤(120)을 다시 결합시킨 다음 압축 처리하여 육안으로 확인되는 일정량의 적혈구를 외부로 유출 처리한다. 이러한 유출 처리 과정에서는 미세하 게 적혈구의 유출 작업을 수행하기 보다는 대략적으로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적혈구 부위만을 유출하도록 하며, 가령 혈장과 적혈구의 경계 층 지점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정도, 예를 들어 1 내지 2 cm 가량 하단 지점까지 피스톤을 눌러 적혈구를 유출 처리하고 다시 말해 대략 1 내지 2 cm 두께의 적혈구는 잔류 처리하도록 한다.
이 후, 주사기(100)의 노즐(130)에 미세 조절기(200)의 팁(220)을 나사산 결합하여 주사기(100)와 미세 조절기(200)의 결합을 이룬 다음, 주사기(100)와 미세 조절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혈액 원심 분리기를 통해 2차 원심 분리를 수행한다. 2차 원심 분리를 하는 이유는 주사기(100)에서 적혈구를 유출하는 과정에서 혈액 내 와류 발생 등의 이유로 행여 혈장과 적혈구 부위가 일정 부분이라도 섞이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2차 원심 분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주사기(100)의 하단에 잔류한 적혈구는 미세 조절기(200)의 일 구성인 조절용 피스톤(250)의 로드(270) 회전을 통해 미세 조절기(200)의 실린더(210) 내로 이동을 시킨다.
이 과정에서, 주사기(100)와 미세 조절기(200)의 결합 부위 주변에 추가적으로 돋보기를 장착하여 돋보기를 통해 주사기(100) 하단에 잔류한 적혈구의 양을 확인하면서 레버(280)를 회전시켜 주사기(100)에 남은 적혈구량을 보다 자세하고 정밀하게 관찰 및 확인할 수가 있다.
미세 조절기(200) 내로 적혈구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로드(270)가 실린더(210)와 나사산 결합을 하여 로드(270)가 스크류(screw) 회전을 통해 실린 더(210)의 하방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레버(280)의 미세 조절에 의하여 보다 세밀하게 로드(270)의 하방 이동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적혈구의 미세 조절기로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만일, 미세 조절기(200)로 적혈구 뿐 아니라 혈장까지 이동이 된 경우에는 레버(28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드(2760)를 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주사기 내로 혈장 층을 재 이동 처리할 수가 있다.
주사기에서 적혈구가 모두 빠져나간 것을 확인 한 다음, 미세 조절기(200)를 주사기에서 분리하고 주사기의 노즐(130)을 다시 밀폐 처리한 이후 미세 조절기(200)로 이동된 적혈구를 배출 처리하면서 작업을 완료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적혈구 분리 방법은 복잡하고 값비싼 장비를 동원하지 않고서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면서 정밀하게 주사기에서 적혈구만을 분리할 수 있어 보다 높은 순도를 가진 혈장 수득을 도모할 수가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주사기와 미세 조절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주사기와 미세 조절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자동으로 적혈구 추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실시예를 일례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를 이용한 적혈구 분리 방법의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주사기 261: 융기부
130: 노즐 270: 로드
131,211,221,271: 나사산 280: 레버
200: 미세 조절기 310: 거치대
210: 실린더 320: 영상 촬영기
220: 팁 330: 컨트롤러
250: 조절용 피스톤 340: 암
260: 헤드 343: 니퍼

Claims (5)

  1.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로서,
    니들이 결합되는 노즐의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에 결합되는 미세 조절기로 구성되되, 상기 미세 조절기는,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된 팁을 구비하되, 상기 팁의 둘레 부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주사기의 노즐과 나사산 결합을 하고, 상기 팁의 대향 측 내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중공부를 구비한 형태를 가진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서 상기 중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 내 중공부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되 외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의 나사산부와 결합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로드의 상승 및 하강을 도모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조절용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의 하부에 직립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레버를 무는 니퍼, 상기 니퍼의 하부로 직립 연장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감속 모터로 이루어진 암;
    상기 주사기를 고정하는 거치대;
    상기 주사기에서 혈구와 혈장의 분리 부위를 근접 촬영하는 영상 촬영기;
    상기 영상 촬영기에서 입력된 주사기 내 적혈구 잔류 상태에 따라 상기 암의 감속모터의 회전속도와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주사기 내 적혈구 잔류 상태에 따라 상기 레버를 자동으로 회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둘레 부위에서부터 중앙 부위를 향해 경사각을 가지며 돌출되어 있는 융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25528A 2009-03-25 2009-03-25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KR100917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28A KR100917795B1 (ko) 2009-03-25 2009-03-25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28A KR100917795B1 (ko) 2009-03-25 2009-03-25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795B1 true KR100917795B1 (ko) 2009-09-21

Family

ID=4135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528A KR100917795B1 (ko) 2009-03-25 2009-03-25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795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20B1 (ko)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방법
KR100988221B1 (ko)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기
KR101043227B1 (ko) * 2010-10-12 2011-06-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용 주사기
KR101043231B1 (ko) * 2010-10-12 2011-06-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원심분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어댑터
WO2011052927A3 (ko) * 2009-10-29 2011-11-03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KR101125073B1 (ko) 2010-01-05 2012-03-21 방시열 일체형 분리장치
KR101179548B1 (ko) 2012-03-05 2012-09-05 김준우 성분 분리기
WO2012050351A3 (ko) * 2010-10-12 2012-09-07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장치
KR101291386B1 (ko) 2010-12-31 2013-08-07 손영희 혈액 검사용 용기
KR101306455B1 (ko) 2011-11-07 2013-09-09 노정자 줄기세포 분리 키트
KR101433821B1 (ko) 2012-02-13 2014-09-01 주식회사 글로원 항응고제 자동 주입형 혈소판 농축세트
WO2015102162A1 (ko)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세이퍼위드 주삿바늘 조립체, 이를 이용한 안전주사기 및 안전주사기 장치
KR20160006635A (ko) * 2015-12-09 2016-01-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원심분리용 주사기
KR101617881B1 (ko) * 2011-03-07 2016-05-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용 주사기
KR20170006820A (ko)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글로원 혈소판 농축 방법 및 이를 위한 농축기구
WO2019059563A3 (ko) * 2017-09-20 2019-05-31 메디칸 주식회사 원심분리장치
CN110643565A (zh) * 2018-06-26 2020-01-03 深圳市北科生物科技有限公司 基于视觉识别的高可靠细胞自动分离方法及其装置
KR102218140B1 (ko) * 2020-05-27 2021-02-19 이재영 원심분리기용 일체형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혈액 원심분리방법
CN114907943A (zh) * 2022-05-30 2022-08-16 五心生物科技(福建)有限公司 一种脐带血造血干细胞倒置分离工艺用分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108A (ko) * 1988-06-06 1990-01-30 도자와 미쯔오 액체분리장치
KR20060090453A (ko) * 2005-02-05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혈청 분리용 마이크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108A (ko) * 1988-06-06 1990-01-30 도자와 미쯔오 액체분리장치
KR20060090453A (ko) * 2005-02-05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혈청 분리용 마이크로 장치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2927A3 (ko) * 2009-10-29 2011-11-03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KR101125073B1 (ko) 2010-01-05 2012-03-21 방시열 일체형 분리장치
KR100988221B1 (ko)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기
KR100988220B1 (ko)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방법
KR101043231B1 (ko) * 2010-10-12 2011-06-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원심분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어댑터
KR101043227B1 (ko) * 2010-10-12 2011-06-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용 주사기
WO2012050351A3 (ko) * 2010-10-12 2012-09-07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장치
US9956554B2 (en) 2010-10-12 2018-05-01 Snu R&Db Foundation Centrifugation method with a reversed syringe position
EP2638968A4 (en) * 2010-10-12 2016-11-02 Snu R&Db Foundation CENTRIFUGATION PROCESS AND CENTRIFUGATION DEVICE
KR101291386B1 (ko) 2010-12-31 2013-08-07 손영희 혈액 검사용 용기
KR101617881B1 (ko) * 2011-03-07 2016-05-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용 주사기
KR101306455B1 (ko) 2011-11-07 2013-09-09 노정자 줄기세포 분리 키트
KR101433821B1 (ko) 2012-02-13 2014-09-01 주식회사 글로원 항응고제 자동 주입형 혈소판 농축세트
KR101179548B1 (ko) 2012-03-05 2012-09-05 김준우 성분 분리기
US9463270B2 (en) 2012-03-05 2016-10-11 Dongkoo Bio & Pharma Co., Ltd. Ingredient separator
CN104039372A (zh) * 2012-03-05 2014-09-10 东丘生物制药股份公司 血液组分分离器
WO2013133529A1 (ko) * 2012-03-05 2013-09-12 Kim Jun-Woo 성분 분리기
WO2015102162A1 (ko)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세이퍼위드 주삿바늘 조립체, 이를 이용한 안전주사기 및 안전주사기 장치
KR20170006820A (ko)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글로원 혈소판 농축 방법 및 이를 위한 농축기구
KR20160006635A (ko) * 2015-12-09 2016-01-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원심분리용 주사기
KR101655379B1 (ko) * 2015-12-09 2016-09-08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분리용 주사기
WO2019059563A3 (ko) * 2017-09-20 2019-05-31 메디칸 주식회사 원심분리장치
CN110643565A (zh) * 2018-06-26 2020-01-03 深圳市北科生物科技有限公司 基于视觉识别的高可靠细胞自动分离方法及其装置
KR102218140B1 (ko) * 2020-05-27 2021-02-19 이재영 원심분리기용 일체형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혈액 원심분리방법
CN114907943A (zh) * 2022-05-30 2022-08-16 五心生物科技(福建)有限公司 一种脐带血造血干细胞倒置分离工艺用分浆装置
CN114907943B (zh) * 2022-05-30 2023-09-26 五心生物科技(福建)有限公司 一种脐带血造血干细胞倒置分离工艺用分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95B1 (ko)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JP6398104B2 (ja) 遠心機デバイス、遠心機、および遠心機を含む検査キット
RU25784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высоко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ой плазмы из цельной крови
JP5248665B2 (ja) 多血小板血漿濃縮装置および方法
KR101125073B1 (ko) 일체형 분리장치
DK169311B1 (da) 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membranseparering af komponenterne i en væskeprøve
US84859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constituents of biologic liquid mixtures
US20130011311A1 (en) Blood Component Separator
JPH057658B2 (ko)
KR101179548B1 (ko) 성분 분리기
EP2940119B1 (en) Buffy coat extraction kit
TW202017605A (zh) 用於處理血液之裝置及方法
KR101646751B1 (ko)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EP378436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parating blood components
WO2023093781A1 (zh) 一种离心分离管及其制造方法与用途
CN114423395A (zh) 用于提取富血小板血浆的装置及利用其的提取方法
US20180010086A1 (en) Novel syringe system for fluid separation
CN207533415U (zh) 富血小板血浆处理装置
KR101722223B1 (ko) 원심분리기
CN206762329U (zh) 血液分浆夹
KR20180025656A (ko) 골수 및 혈액 농축키트
KR101433821B1 (ko) 항응고제 자동 주입형 혈소판 농축세트
KR101990633B1 (ko) 혈소판 농축 물질 추출 장치
KR101416481B1 (ko) 고농도의 혈소판을 포함하는 혈소판농축섬유소의 추출 및 절단방법
KR20170006820A (ko) 혈소판 농축 방법 및 이를 위한 농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