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221B1 - 혈액성분 분리기 - Google Patents

혈액성분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221B1
KR100988221B1 KR1020100025702A KR20100025702A KR100988221B1 KR 100988221 B1 KR100988221 B1 KR 100988221B1 KR 1020100025702 A KR1020100025702 A KR 1020100025702A KR 20100025702 A KR20100025702 A KR 20100025702A KR 100988221 B1 KR100988221 B1 KR 10098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lunger
screw
pressur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김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우 filed Critical 김준우
Priority to KR102010002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15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4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 B04B5/0442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with means for adding or withdrawing liquid substances during the centrifugation, e.g. continuous centrifug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혈액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혈액 채혈부터 혈액 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일단부에 혈액이 유통되는 유통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가압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관체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유통관의 사이에서 가압 또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와 착탈가능하고, 상기 가압암나사부와 나합되는 가압나사부를 가지며, 선단에 상기 가압암나사부와 나합되지 않는 제1오프셋부가 형성되는 가압스크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혈액성분 분리기{Dividing device for blood element}
본 발명은 혈액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혈액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혈액 채혈부터 혈액 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혈액(blood)은 크게 혈구와 혈장으로 나누어진다.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혈장은 주로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혈액응고인자, 전해질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혈액은 여러 의학적 목적으로 인해 혈액을 분리하여 각 성분 요소를 추출하는 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 그 중 혈액 성분의 비중차를 이용한 원심 분리기를 이용한 혈액 원심 분리 공정과 특정 조성물을 이용한 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원심 분리 공정은 대략 10,000 rpm 가량의 속도로 혈액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층간 분리를 수행하는 공정을 의미하며, 혈액을 원심 분리할 경우 가장 무거운 혈구가 하부층을 이루고 그로부터 상부로 백혈구 및 혈소판층, 그리고 그 위로 혈장 또는 혈청 층이 형성된다.
이 경우, PRP(Platelet Rich Plasma:혈소판 농축 혈장)라 불리우는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은 비교적 혈장의 하부에 위치하여 싸이토카인, PDGF, TGF-BETA1, VEGP 등의 성장인자를 포함하고 있는바, 이는 특히 피부의 질환과 상처 치유에서 좋은 효과를 도출하고 있다고 논문 등의 자료에서 밝혀지고 있다.
또, PPP(Platelet Poor Plasma: 혈소판이 희박한 혈장)라 불리우는 혈소판이 거의 없는 혈장은 자가혈필러용, 또는 자가혈장유래 화장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자가혈필러는 PPP를 가온처리를 통해 겔형태로 바꾸어 피부에 주입하는 시술입니다.
이러한, 특정 시술에서 혈액에서 특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보다 편리하고 진보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방법은 먼저, 인체(10)로부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로 채혈을 한다.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는 상용화된 것으로써, 상단부에 플랜지(122)가 형성된 실린더(120)의 내부로 플런저(114)가 피스톤로드(110)에 고정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20)의 하단부에는 주사바늘(130)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로드(110)를 뒤로 당기는 것에 의해 채혈이 가능하다.
또, 별도의 채혈주사기(미도시)에 의해 채혈을 한 후, 상기 채혈주사기와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를 커넥터(미도시)로 연결하여,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에 혈액을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혈액이 주입된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의 하단부를 마개(140)로 막고, 원심분리기(20)의 장착홀(22)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피스톤로드(110)의 길이가 길어서 상기 원심분리기(20)에 삽입되지 않아 원심분리를 시행할 수 없을 것을 대비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10)에는 절단홈(112)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로드(110)에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가세하는 것에 상기 절단홈(112)에 응력집중이 생겨 상기 피스톤로드(110)는 부러지게 된다.
상기 원심분리기(20)에 의해 성분별로 분리된 혈액은 비중차에 의해 아래서부터 혈구(1), 백혈구 및 혈소판(2), 혈장(3)의 순으로 층을 이루며 분리된다.
그리고, 혈액성분별로 분리된 원심분리용 주사기(100)를 상기 원심분리기(20)로부터 꺼내서, 커넥터(150,152,154)에 의해 별도의 저장용 주사기 (160,170,180)를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와 순차적으로 연결시킨다.
먼저,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에 저장용 주사기(160)를 커넥터(150)로 연결시키고, 상기 저장용 주사기(160)의 피스톤로드(166)를 당기면, 상기 저장용 주사기(160) 내에 부압이 걸리면서 상기 저장용 주사기(160) 내로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혈구(1)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혈구(1)를 모두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로부터 추출하고 나면, 다시 새로운 저장용 주사기(170)를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에 커넥터(152)로 연결한다. 상기 저장용 주사기(170)의 피스톤로드(176)를 당기면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의 혈소판(2)이 농축된 PRP가 상기 저장용 주사기(170)로 이동하게 된다.
끝으로,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에 다시 새로운 저장용 주사기(180)를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에 커넥터(154)로 연결한다. 상기 저장용 주사기(180)의 피스톤로드(186)를 당기면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의 혈소판이 희박한 PPP가 상기 저장용 주사기(180)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쳐서, 혈액으로부터 혈구, PRP, PPP를 분리해 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심분리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방법은 주로 시술자의 육안에 의지한 상태에서 혈구를 주사기로서 분리하다보니 분리된 혈구에서 혈장 성분이 함께 유출되거나 혈장에 혈구 성분이 포함되어 혈장의 순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원심분리용 주사기(100)를 상부로부터 가압을 가하거나, 상기 저장용 주사기(170)의 피스톤 로드를 하방으로 당겨 부압을 걸어서, 혈구부터 아래로 뽑아낼 경우, 상기 분리된 상태의 혈액에 부압이 걸렸다가 해제되면서, 상기 혈액 내에 밀도차에 의한 밀도류가 발생하여 분리된 혈액성분이 다시 섞이게 되며, 또 혈구를 뽑아낸 주사기 실린더의 벽면에 혈구의 잔여물이 남을 수 있어서, 순수한 PPP나 PRP의 분리가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이 있어서, 종래기술에서는 분리된 PRP와 PPP를 다시 세퍼레이터에 의해 혈구를 제거함으로써 순도를 올리는 번거로운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 주사기의 피스톤로드를 압박하여 혈구를 외부로 추출할 때 추출되는 혈구 또는 혈장의 미세량을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체 혈액에서 상당히 적은 양을 차지하는 혈소판 영역, 즉 PRP부분만을 확실하게 분리해 내는 것이 어려우며, 시술자의 숙련도에 의지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혈액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혈액 채혈부터 혈액 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혈액이 유통되는 유통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가압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관체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유통관의 사이에서 가압 또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와 착탈가능하고, 상기 가압암나사부와 나합되는 가압나사부를 가지며, 선단에 상기 가압암나사부와 나합되지 않는 제1오프셋부가 형성되는 가압스크류를 포함하는 혈액성분 분리기이다.
상기 가압스크류를 상기 플런저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암나사부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는 푸시로드가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며,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플런저와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런저에는 체결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로드의 선단부에는 상기 체결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런저에는 체결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스크류의 선단부에는 상기 체결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압스크류를 상기 플런저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플런저가 밀려 내부의 혈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런저보호마개가 장착되고, 상기 플런저보호마개는 상기 가압암나사부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마개나사부와, 상기 마개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서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맞닿는 마개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혈액성분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비중이 가벼운 PPP, PRP 순으로 상측으로 압력을 가해 분리하는 것으로 인하여, 혈구의 혼입이 완벽하게 차단됨으로써 분리된 PRP와 PPP의 순도도 확실하다.
또, 혈액성분 분리시 주로 사용되는 PRP와 PPP를 분리할 경우에 종래기술에 비하여 사용되는 저장용 주사기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혈액 채혈부터 혈액 분리과정동안 혈액 성분이 트랜스퍼에 의해 혈액성분 분리기와 저장용 주사기 사이에서 외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분리과정에서 혈액의 공기오염시 예상될 수 있는 병원균의 감염 또는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기의 일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혈액성분 분리기의 타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혈액성분 분리기에 주사바늘을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혈액성분 분리기에 트랜스퍼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혈액성분 분리기에 또 다른 트랜스퍼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혈액성분 분리기를 사용한 혈액성분 분리방법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기(200)는 배출되는 혈액성분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고, 또 하나의 혈액성분 분리기(200)에 의해 채혈까지도 가능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혈액성분 분리기(2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이고 일단부에 혈액이 유통되는 유통관(214)이 형성되며 타단부에 가압암나사부(216)가 형성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유통관(214)의 사이에서 가압 또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플런저(218)와, 상기 플런저(218)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가압스크류(224) 또는 푸시로드(23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10)는 투명한 관체(211)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체(211)의 외주면에는 혈액성분의 이동량을 체크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본체(21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유통관(214)은 상기 본체(210)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유통관(214)의 주위로는 주사바늘(254) 또는 트랜스퍼(244,245)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돌기관(212)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본체(210)는 상기 원심분리기(20)의 장착홀(2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반지름외측방향으로 확장된 부분이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사용자가 파지하는 경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관체(211)의 외면을 다각형으로 성형하거나, 널링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10)의 타단부에는 가압암나사부(216)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암나사부(216)는 상기 플런저(218)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의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218)는 대략 디스크 형상의 몸체에 후측, 즉 상기 유통관(214)의 반대측에 상기 가압스크류(224) 또는 상기 푸시로드(234)와 체결가능하도록 체결나사(22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나사(222)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일 수 있으며, 상기 가압스크류(224) 또는 상기 푸시로드(234)에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체결부(232) 또는 제2체결부(242)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나사(222)가 수나사이고, 상기 제1체결부(232) 및 상기 제2체결부(242)가 암나사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플런저(218)는 액체를 실링하는 환형돌기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주사기는 환형돌기가 2개가 형성되지만,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는 원심분리기(20)에서 원심력이 작용되므로, 내부의 혈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환형돌기의 개수 및 플런저(218)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가압스크류(224)는 몸체에 형성된 가압나사부(228)와, 상기 가압나사부(228)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압손잡이(226)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나사부(228)는 상기 가압암나사부(216)와 나합된다.
특히, 상기 가압스크류(224)의 선단에는 상기 플런저(218)와 결합시, 상기 가압암나사부(216)와 상기 가압나사부(228)가 서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제1오프셋부(230)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오프셋부(230)의 길이는 상기 가압암나사부(216)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길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오프셋부(230)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1체결부(232)가 형성된다. 또, 상기 가압손잡이(226)는 상기 가압스크류(224)를 회전시키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써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234)는 몸체를 이루는 푸시바디(238)와, 상기 로드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는 푸시손잡이(236)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바디(238)는 중량을 가볍게 하고,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 골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십자형이 골조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십자형의 골조가 이루는 가상의 외접원은 상기 가압암나사부(216)의 최소단면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즉, 상기 십자형의 골조가 상기 가압암나사부(216)에 맞닿거나 맞닿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본체(210) 내부로의 삽입이 용이하여야 한다.
상기 푸시손잡이(236)는 상기 푸시바디(238)를 압박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써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234)의 선단에는 상기 가압스크류(224)의 제1오프셋부(230)에 대응되는 제2오프셋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오프셋부(240)는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푸시로드(234)의 회전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암나사부(216)에 내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오프셋부(240)의 내측에는 상기 플런저(218)의 체결나사(222)와 결합하는 상기 제2체결부(242)가 형성된다.
또,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가 상기 원심분리기(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218)가 밀려 내부의 혈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런저보호마개(264)가 상기 본체(210)에 장착된다. 상기 플런저보호마개(264)에는 상기 가압암나사부(216)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마개나사부(265)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나사부(265)와 일체로 마개헤드(266)가 형성된다. 상기 마개헤드(266)는 상기 관체(211)의 타단에 맞닿게 되며, 상기 관체(211)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마개나사부(265)의 중심에는 여유홀(267)이 형성되서, 상기 플런저(218)의 체결나사(222)가 안치(安置)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트랜스퍼(244,2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상기 유통관(214)을 외삽(外揷)하면서, 상기 유통관(214)의 외측에 형성된 체결돌기관(212)과 결합하는 연결관(24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48)의 외측으로 상기 체결돌기관(212)을 외삽하는 보호관(246)이 상기 연결관(248)이 주위로 형성된다. 양측에 형성된 상기 보호관(246)은 서로 연통되서, 상기 트랜스퍼(244,245)에 의해 연결되는 양측의 저장용 주사기(270,280)와 혈액성분 분리기(200)는 공기오염없이 혈액 또는 혈액성분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트랜스퍼(244,24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 주사기(270,280)의 돌출관(271)의 주위에 체결돌출관(273)이 형성된 경우에, 상기 연결관(248)과 상기 체결돌출관(273)과의 결합이 가능하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퍼(250)의 양측에 상기 유통관(214)을 외삽(外揷)하면서, 상기 유통관(214)의 외측에 형성된 체결돌기관(212)과 결합하는 연결관(252)만이 형성된 형태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퍼(250)는 상기 트랜스퍼(244,245)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다.
상기 트랜스퍼(244,245,250)는 투명재질로 구성되서, 혈액성분이 이동하는 모습을 시술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사바늘(254)은 바늘(256)과, 상기 바늘(256)을 고정하고 상기 체결돌기관(212)에 고정되는 바늘홀더(2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의 사용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를 이용하여 채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의 유통관(214)에 상기 주사바늘(254)을 연결한다. 이 때, 상기 주사바늘(254)의 바늘홀더(258)가 상기 체결돌기관(212)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218)에는 상기 체결나사(222)와 상기 푸시로드(234)의 제2체결부(242)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234)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푸시로드(234)의 플런저(218)를 끝까지 민 상태가 채혈을 준비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를 원심분리기(2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사바늘(254)을 상기 유통관(214)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푸시로드(234)도 상기 플런저(218)로부터 분리한다. 이 후에, 상기 유통관(214)에 밀봉캡(262)을 덮어 고정한다. 상기 밀봉캡(262)에는 상기 체결돌기관(212)에 나사결합되는 결합수단(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밀봉캡(262)은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없이 접촉마찰에 의해서 상기 유통관(214)만을 외삽하는 단일관의 형태나, 상기 유통관(214) 및 상기 체결돌기관(212)을 동시에 외삽하는 이중관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보호마개(264)를 상기 본체(210)에 장착한다. 상기 플런저보호마개(264)는 가압암나사부(216)와 나사결합하는 방식 또는 관체(211)의 타단부를 외삽하여 접촉마찰에 의해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원심분리기(20)를 거친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는 상기 플런저(218)의 체결나사(222)에 가압스크류(224)를 고정한다. 이 때, 상기 제1오프셋부(230)에 의해 상기 체결나사(222)가 상기 제1체결부(232)에 완전히 고정될 때 까지, 상기 가압암나사부(216)와 상기 가압나사부(228)가 서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스크류(224)를 조금씩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저장용 주사기(270,280)측으로 상기 본체(210) 내부에 포함된 분리된 혈액성분 중 요구되는 혈액성분 만을 추출해 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에 의한 혈액성분 분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기술이 원심분리 후, 혈액성분 별로 층을 이룬 상태에서 혈액을 위에 두고 별도의 저장용 주사기를 아래에 배치한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혈구부터 제거하는 것이 문제점이 발생한 주요원인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심은 원심분리 후, 혈액성분 별로 층을 이룬 상태에서 혈액을 아래에 두고, 별도의 저장용 주사기를 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아래에서 위방향으로 혈장(또는 PPP)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본 발명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방법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채혈단계로써, 채혈주사기 또는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혈액성분 분리기(2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채혈단계는 일정량의 혈액을 인체(10)로부터 채취하는 것으로써,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의 경우 착탈가능한 주사바늘(254)을 이용한다. 상기 주사바늘(254)은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에 장착되는 바늘홀더(258)와 상기 바늘홀더(258)에 장착되는 바늘(2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채혈주사기에 의해 채혈된 혈액을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에 주입하거나,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를 이용해 직접 인체(10)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이 채워진 혈액성분 분리기(200)로부터 푸시로드(234) 및/또는 주사바늘(254)를 제거한다(혈액장입단계).
그리고,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의 유통관(214)을 밀봉캡(262)으로 덮어서,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 내의 혈액은 플런저(218)와 상기 밀봉캡(262)에 의해 대기와 완벽하게 차단된다(원심분리예비단계). 또,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가 원심분리기(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원심력에 의해 플런저(218)가 밀려 혈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런저보호마개(264)를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를 원심분리기(20)의 장착홀(22)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원심분리기(20)를 작동시켜,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 내의 혈액이 혈구(1), 백혈구 및 혈소판(2), 혈장(3)의 순으로 층분리된다(원심분리단계)
다음으로,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의 플런저(218)에 가압스크류(224)를 장착하고, 상기 밀봉캡(262)을 상기 유통관(214)으로부터 분리시킨 뒤, 상기 유통관(214)에 트랜스퍼(244)에 의해 저장용 주사기(270)를 연통시킨다(PPP분리예비단계).
이 후, 1차적으로, 상기 가압스크류(224)를 이용하여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의 본체(210) 상측에 위치하는 혈장(3)(또는 PPP)을 상기 저장용 주사기(270) 쪽으로 이동시킨다(PPP분리단계).
이어서, 상기 저장용 주사기(270)를 상기 트랜스퍼(244)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트랜스퍼(244) 역시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로부터 분리한다. 이 후, 상기 유통관(214)에 새로운 트랜스퍼(245)에 의해 저장용 주사기(280)를 연통시킨다(PRP분리예비단계).
그리고, 2차적으로, 상기 가압스크류(224)를 이용하여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의 본체(210) 상측에 위치하는 백혈구 및 혈소판(2)(또는 PRP)을 상기 저장용 주사기(280) 쪽으로 이동시킨다(PRP분리단계).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2개의 저장용 주사기(270,280)에 대상으로 하는 순도높은 PPP 및 PRP가 각각 채워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PRP 또는 PPP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비중차에 의한 혈구의 혼입이 없고, PPP 또는 PRP가 이동하는 영역에서 혈구가 이동한 적이 없기 때문에 더욱더 순도높은 PPP 및 PRP의 수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혈액성분 분리기(200)에 남은 혈구(1)는 필요에 따라 사용하거나, 폐기처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혈구 2: 백혈구 및 혈소판
3: 혈장 10: 인체
20: 원심분리기 22: 장착홀
100: 원심분리용 주사기 110: 피스톤로드
112: 절단홈 114: 플런저
120: 실린더 122: 플랜지
140: 마개 150,152,154: 커넥터
160,170,180: 저장용 주사기 162,172,182: 플런저
164,174,184: 피스톤로드 200: 혈액성분 분리기
210: 본체 211: 관체
212: 체결돌기관 214: 유통관
216: 가압암나사부 218: 플런저
222: 체결나사 224: 가압스크류
226: 가압손잡이 228: 가압나사부
230: 제1오프셋부 232: 제1체결부
234: 푸시로드 236: 푸시손잡이
238: 푸시바디 240: 제2오프셋부
242: 제2체결부 244,245,250: 트랜스퍼
246: 보호관 248,252: 연결관
254: 주사바늘 256: 바늘
258: 바늘홀더 262: 밀봉캡
264: 플런저보호마개 265: 마개나사부
266: 마개헤드 267: 여유홀
270,280: 저장용 주사기 271: 돌출관
272,282: 플런저 273: 체결돌출관
274,284: 실린더 276: 피스톤로드

Claims (5)

  1. 일단부에 혈액이 유통되는 유통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가압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관체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유통관의 사이에서 가압 또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와 착탈가능하고, 상기 가압암나사부와 나합되는 가압나사부를 가지며, 선단에 상기 가압암나사부와 나합되지 않는 제1오프셋부가 형성되는 가압스크류를 포함하는 혈액성분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스크류를 상기 플런저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암나사부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는 푸시로드가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며,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플런저와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는 체결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로드의 선단부에는 상기 체결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는 체결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스크류의 선단부에는 상기 체결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스크류를 상기 플런저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플런저가 밀려 내부의 혈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런저보호마개가 장착되고, 상기 플런저보호마개는 상기 가압암나사부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마개나사부와, 상기 마개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서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맞닿는 마개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기.
KR1020100025702A 2010-03-23 2010-03-23 혈액성분 분리기 KR100988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02A KR100988221B1 (ko) 2010-03-23 2010-03-23 혈액성분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02A KR100988221B1 (ko) 2010-03-23 2010-03-23 혈액성분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221B1 true KR100988221B1 (ko) 2010-10-18

Family

ID=4313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702A KR100988221B1 (ko) 2010-03-23 2010-03-23 혈액성분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22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606A2 (ko) * 2010-04-29 2011-11-03 Shin Jun-Ho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KR101179548B1 (ko) 2012-03-05 2012-09-05 김준우 성분 분리기
EP2666487A1 (en) 2011-01-19 2013-11-27 Jordà Ventosa, Enric Device for extracting and obtaining blood plasma and/or fat
WO2013176371A1 (ko) * 2012-05-23 2013-11-28 Yim Duck-Sik 버피코트 추출용 키트
KR101333789B1 (ko) 2012-11-07 2013-11-29 김이선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101472821B1 (ko) 2014-05-14 2014-12-16 김준우 성분 분리기
WO2015108273A1 (ko) * 2014-01-15 2015-07-23 주식회사 퍼비스코리아 혈소판 농축 혈장 추출용 혈액분리장치 및 방법
KR101569172B1 (ko) 2015-05-27 2015-11-13 김준우 성분 분리장치
CN105586248A (zh) * 2016-01-25 2016-05-18 上海东富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专用干细胞快速提取设备
KR200486998Y1 (ko) * 2017-04-24 2018-07-24 주식회사 씨피엘 특정성분 추출이 가능한 의료용 주사기 키트
RU184978U1 (ru) * 2018-08-07 2018-11-15 Александр Викторович Обрезков Шприц-колб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плазмы, богатой тромбоцитами
KR20210080808A (ko) * 2019-12-23 2021-07-01 (주)글로핀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RU2760259C2 (ru) * 2017-05-16 2021-11-23 Феттер Фарма-Фертигунг Гмбх Унд Ко. Кг Медикаментозная емкость с концевой заглушкой, применение элемента фиксации заглушки для фиксации концевой заглушки в медикаментозной емкости и элемент фиксации заглушк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609A (ko) * 1992-07-29 1994-02-17 기이찌 사와이 혈청, 혈장 분리 방법 및 분리기구
KR20050075431A (ko) * 2002-11-19 2005-07-20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혈장 또는 혈청 분리막, 및 혈장 또는 혈청 분리막을이용한 필터 장치
JP2008104789A (ja) 2006-10-27 2008-05-08 Nipro Corp 多血小板血漿分離方法及び多血小板血漿分離装置
KR100917795B1 (ko) 2009-03-25 2009-09-21 김홍달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609A (ko) * 1992-07-29 1994-02-17 기이찌 사와이 혈청, 혈장 분리 방법 및 분리기구
KR20050075431A (ko) * 2002-11-19 2005-07-20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혈장 또는 혈청 분리막, 및 혈장 또는 혈청 분리막을이용한 필터 장치
JP2008104789A (ja) 2006-10-27 2008-05-08 Nipro Corp 多血小板血漿分離方法及び多血小板血漿分離装置
KR100917795B1 (ko) 2009-03-25 2009-09-21 김홍달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606A3 (ko) * 2010-04-29 2012-04-19 Shin Jun-Ho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KR101145388B1 (ko) * 2010-04-29 2012-05-15 주문귀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WO2011136606A2 (ko) * 2010-04-29 2011-11-03 Shin Jun-Ho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EP2666487A1 (en) 2011-01-19 2013-11-27 Jordà Ventosa, Enric Device for extracting and obtaining blood plasma and/or fat
WO2013133529A1 (ko) * 2012-03-05 2013-09-12 Kim Jun-Woo 성분 분리기
EP2823832A4 (en) * 2012-03-05 2015-10-28 Dongkoo Bio & Pharma Co Ltd COMPONENT SEPARATOR
KR101179548B1 (ko) 2012-03-05 2012-09-05 김준우 성분 분리기
US9463270B2 (en) 2012-03-05 2016-10-11 Dongkoo Bio & Pharma Co., Ltd. Ingredient separator
WO2013176371A1 (ko) * 2012-05-23 2013-11-28 Yim Duck-Sik 버피코트 추출용 키트
KR101367829B1 (ko) 2012-05-23 2014-02-26 임덕식 버피코트 추출용 키트
KR101333789B1 (ko) 2012-11-07 2013-11-29 김이선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WO2015108273A1 (ko) * 2014-01-15 2015-07-23 주식회사 퍼비스코리아 혈소판 농축 혈장 추출용 혈액분리장치 및 방법
US20180318830A1 (en) * 2014-05-14 2018-11-08 Dongkoo Bio & Pharma Co., Ltd. Component separator
KR101472821B1 (ko) 2014-05-14 2014-12-16 김준우 성분 분리기
WO2015174671A1 (ko) * 2014-05-14 2015-11-19 주식회사 동구바이오제약 성분 분리기
US10668465B2 (en) 2014-05-14 2020-06-02 Dongkoo Bio & Pharma Co., Ltd. Component separator
CN106456851A (zh) * 2014-05-14 2017-02-22 东丘生物制药股份公司 成分分离器
KR101569172B1 (ko) 2015-05-27 2015-11-13 김준우 성분 분리장치
CN105586248B (zh) * 2016-01-25 2017-10-24 上海东富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专用干细胞快速提取设备
CN105586248A (zh) * 2016-01-25 2016-05-18 上海东富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专用干细胞快速提取设备
KR200486998Y1 (ko) * 2017-04-24 2018-07-24 주식회사 씨피엘 특정성분 추출이 가능한 의료용 주사기 키트
RU2760259C2 (ru) * 2017-05-16 2021-11-23 Феттер Фарма-Фертигунг Гмбх Унд Ко. Кг Медикаментозная емкость с концевой заглушкой, применение элемента фиксации заглушки для фиксации концевой заглушки в медикаментозной емкости и элемент фиксации заглушки
US11439755B2 (en) 2017-05-16 2022-09-13 Vetter Pharma-Fertigung GmbH & Co. KG Medication container having an end plug, use of a plug-securing part to secure an end plug in a medication container and plug-securing part
RU184978U1 (ru) * 2018-08-07 2018-11-15 Александр Викторович Обрезков Шприц-колб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плазмы, богатой тромбоцитами
KR20210080808A (ko) * 2019-12-23 2021-07-01 (주)글로핀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KR102365747B1 (ko) * 2019-12-23 2022-02-22 (주)글로핀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EP4059612A4 (en) * 2019-12-23 2023-12-27 Glofinn Co., Ltd. TARGET MATERIAL EXTRACTION KIT FOR CENTRIFUGAL SEPARATOR, AND TARGET MATERIAL EXTRACTION METHOD IMPLEMEN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220B1 (ko) 혈액성분 분리방법
KR100988221B1 (ko) 혈액성분 분리기
EP2823832B1 (en) Component separator
US20140205514A1 (en) Blood separating vessel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WO2011136606A2 (ko)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CN108654141B (zh) 一种富血小板血浆制备装置
KR101646751B1 (ko)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US10668465B2 (en) Component separator
US10039886B2 (en) Sealing assembly for a syringe barrel
KR20140031609A (ko) Prp 혈액 성분 분리를 위한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US20140274650A1 (en) Segregation of oils in the fractionation of aspirated adipose tissues
CN206424979U (zh) 离心管
KR20140058032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CN106582909A (zh) 离心管及其制备富血小板血浆的方法
TWM614848U (zh) 血液分離裝置
CN210384934U (zh) 一种富血小板血浆的制备装置
KR200486998Y1 (ko) 특정성분 추출이 가능한 의료용 주사기 키트
CN209422595U (zh) 可拆卸活塞式采集分离注射医用富血小板血浆制备装置
CN204073509U (zh) 用于制备富血小板凝胶的分离枪
TWM483797U (zh) 血液分離裝置
CN117563277B (zh) 一种用于从血液中分离出富血小板血浆的制备装置及方法
KR101433821B1 (ko) 항응고제 자동 주입형 혈소판 농축세트
KR20150008548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CN109925545B (zh) 一种用于自体血液提纯注射中的注射装置及其制备方法
CN207822571U (zh) 血液成分快速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