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821B1 - 성분 분리기 - Google Patents

성분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821B1
KR101472821B1 KR1020140057912A KR20140057912A KR101472821B1 KR 101472821 B1 KR101472821 B1 KR 101472821B1 KR 1020140057912 A KR1020140057912 A KR 1020140057912A KR 20140057912 A KR20140057912 A KR 20140057912A KR 101472821 B1 KR101472821 B1 KR 101472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lunger
main body
screw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김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우 filed Critical 김준우
Priority to KR102014005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821B1/ko
Priority to ES15793305T priority patent/ES2784278T3/es
Priority to EP15793305.2A priority patent/EP3144019B1/en
Priority to CN201580025038.7A priority patent/CN106456851B/zh
Priority to US15/310,817 priority patent/US20170113219A1/en
Priority to PCT/KR2015/004463 priority patent/WO2015174671A1/ko
Priority to JP2016567818A priority patent/JP6348991B2/ja
Priority to JP2018052336A priority patent/JP6648177B2/ja
Priority to US16/037,938 priority patent/US1066846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B01L3/50215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using a float to separate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tube or bott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72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or for conservation, e.g. freezing, drying or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9Red blood cells; Erythrocytes
    • A61M2202/0437Blood stem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1Bottom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8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78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6Labware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fluids
    • B01L3/563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 B01L3/5635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connecting two containers face to face, e.g. comprising a fil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ath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혈액 또는 줄기세포 등과 같은 목적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성분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일단부에 체액이 유통되는 유통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본체암나사부가 배치되는 중공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본체의 본체공간을 가변시키는 플런저: 및 상기 본체암나사부와 나합가능한 가압나사부를 가지는 가압튜브와, 상기 가압튜브의 내부에서 출몰하여 상기 플런저 하부의 플런저 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튜브나사가 형성된 플런저결합튜브를 가지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분 분리기{Component separator}
본 발명은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혈액 또는 줄기세포 등과 같은 목적 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성분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Stem cell)를 이용하는 치료 또는 시술 방법은 다양하다. 성형이나 미용 시술에 사용이 가능하며, 탈모치료와 만성 난치성 질환과 통증 치료에 사용되어 질 수 있다. 그 활용범위는 상당히 넓으며, 향후 그 활용범위는 더 많이 확장 될 것으로 보인다. 줄기세포란 자가증식(Self renewal) 할 수 있는 능력과 다른 세포로의 분화(Differentiation)가 가능한 능력을 가진 세포를 말한다.
줄기세포는 크게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와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분류로는 자가세포와 타가세포로 구분할 수 있으며, 타가 줄기세포군으로는 제대혈줄기세포, 제대줄기세포, 융모(태반) 줄기세포 등이 있으며, 자가 줄기세포군으로는 골수유래-줄기세포군(Bone marrow derived stem cells)과 지방유래-줄기세포군(Adipose derived stem cells, ADSC)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의 주된 세포는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 HSC)와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이다. 기존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은, 연구소에서 추출하는 방식을 응용하여 추출과정이 진행되는데, 그 추출방법이 많이 까다롭고, 배우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과, 더불어 추출과정 중 사소한 부주의에도 공기오염과 기구에 의한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과, 아울러 추출하는 사람에 따라서 효율에 상당한 차이가 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보다 쉽고 간단하면서도 오염을 방지하는 방법들에 대한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혈액의 구성성분의 하나인 혈소판 내에는 많은 종류의 성장인자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성장인자들을 이용하는 치료가 피부의 질환과 상처 치유에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 혈소판 내의 성장 인자들은 PRP( Platelet Rich Plasma:혈소판풍부혈장)의 형태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원심분리를 시행하면 대부분의 혈소판과 백혈구들은 혈구와 혈장의 경계면에 생성되는 버피코트(Buffy coat)층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혈액내의 혈장(Plasma, PPP(Platelet Poor Plasma:혈소판이 희박한 혈장))도 여러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 되어 지고 있다.
그래서 여러 의학적 목적으로 인해 세포들 간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체액성분을 분리한 후 각 성분 요소를 추출하는 보다 편리하고 진보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경우 전체 원액(지방과 콜라게나제 용액의 혼합액)의 부피 대비 추출되는 양이 적어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고순도의 줄기세포를 얻기 곤란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체성분의 분리를 위하여 성분 분리기(특허등록 제10-1179548호)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위 발명에서는 분리 동작 동안 외란이 발생될 가능성으로 인해, 분리된 성분이 서로 혼합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성분만을 분리할 때 상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등록 제10-1179548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혈액 또는 줄기세포 등과 같은 목적 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성분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성분 분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체액이 유통되는 유통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본체암나사부가 배치되는 중공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본체의 본체공간을 가변시키는 플런저: 및 상기 본체암나사부와 나합가능한 가압나사부를 가지는 가압튜브와, 상기 가압튜브의 내부에서 출몰하여 상기 플런저 하부의 플런저 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튜브나사가 형성된 플런저결합튜브를 가지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이다.
상기 본체암나사부와 상기 가압나사부의 나사방향은, 상기 플런저 나사부와 상기 튜브나사의 나사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튜브나사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없는 오프셋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튜브나사의 하측으로 상기 튜브나사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튜브돌출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압튜브의 하부에는 튜브이탈방지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결합튜브의 외주면의 하부에는 상기 튜브이탈방지커버에 의해 상기 플런저결합튜브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튜브이탈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튜브이탈스토퍼와 상기 튜브이탈방지커버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튜브나사와 상기 플런저 나사부와의 탈부착을 쉽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압튜브에 형성되는 가압튜브돌기와 상기 플런저 결합튜브에 형성되는 튜브돌출스토퍼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튜브나사와 상기 플런저 나사부와의 탈부착을 쉽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혈액성분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비중이 가벼운 PPP, PRP 순으로 상측으로 압력을 가해 분리하는 것으로 인하여, 혈구의 혼입을 최소화 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어서 분리된 PRP와 PPP의 순도도 확실하다.
그리고, 혈액 채혈부터 혈액 분리과정동안 외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분리과정에서 혈액의 공기오염시 예상될 수 있는 병원균의 감염 또는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서는 줄기세포의 분리도 가능하다. 원액 대비 극소량을 분리해 내기 위하여, 줄기세포를 쉽게 추출 할 수 있게 하는 특수한 형태의 작동부재를 채택하여 고순도의 줄기세포를 간단하게 추출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시, 치료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도2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성분 분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분 분리기에 작동부재를 제거하고 하부마개를 삽입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성분분리기 내에 혈액을 장입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혈액이 장입된 성분분리기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층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성분분리기에 작동부재를 결합하고 작동부재를 상승시켜 성분분리기 상측의 혈액성분을 밀어 성분분리기와 연결된 성분수집기로 공급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순수지방과 콜라게나제 용액의 혼합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층분리시킨 상태의 성분분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성분분리기에 작동부재를 결합하고 작동부재를 상승시켜 성분분리기 상측의 상등액을 밀어 성분수집기로 배출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분분리기를 지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100)는 기본적으로, 일단부에 체액이 유통되는 유통관(108)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본체암나사부(142)가 배치되는 중공의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본체(102)의 본체공간(103)을 가변시키는 플런저(118)와, 상기 플런저(118)를 밀어올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플런저(118)를 잡아당기는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2)는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유통관(108)은 의해 다른 주사기 등과 연결되거나, 유통관마개(112)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2)의 타단부에는 상기 본체암나사부(142)가 배치된다. 상기 본체암나사부(142)는 상기 본체(102)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본체(102)의 하부에 착탈되는 본체커버(138)에 본체암나사부(142)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커버(138)는 상기 본체(102)의 하부에 형성되는 본체결합나사(110)에 나사결합되는 본체커버나사(140)에 의해 상기 본체(102)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본체암나사부(142)는 연속되는 나사산인 것도 가능하지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의 일부인 돌기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102)의 외주면에는 본체스토퍼(104)가 형성되고, 상기 유통관(108) 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스토퍼(104)를 향하여 상기 본체(102)를 외삽(外揷)하는 어댑터공간(115)을 가지는 관형의 본체어댑터(114)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 어댑터(114)는 상기 성분분리기(100)가 원심분리기(미도시)의 버킷에 삽입될때, 공차를 줄여서 흔들림을 줄일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본체어댑터(114)에는 눈금(116)이 형성되어, 본체(102) 내부 물질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어댑터(114)의 측부에는 결합홈(117)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홈(117)은 상기 본체(102)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106)와 결합된다. 이 결과, 상기 본체어댑터(114)가 상기 본체(10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118)는 상기 본체(102)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본체(102) 내부에 체액 등이 유입되는 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운동은 상기 플런저(118)의 직선운동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118)와 상기 유통관(108) 사이에 체액 등의 액체를 장입하거나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플런저(118)의 플런저헤드(124)의 상면에는 혈액 또는 체액 등과 맞닫는 수집부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헤드(124)와 일체로 형성되는 플런저하부(122)의 중심에는 플런저 나사부(126)가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는 상기 튜브나사(148)와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본체암나사부(142)와 나합가능한 가압나사부(130)를 가지는 가압튜브(128)와, 상기 가압튜브(128)의 내부에서 출몰하여 상기 플런저 하부(122)의 플런저 나사부(126)에 나사결합하는 플런저결합튜브(144)를 가진다.
상기 가압튜브(128)는 외주면에 가압나사부(130)가 형성되며, 상부에 가압튜브홀(136)이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결합튜브(144)의 튜브나사(148)가 삽입된다. 상기 가압나사부(130)의 전단에는 가압튜브돌기(132)가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 하부(122)의 저면과 맞닿는다. 그리고, 상기 가압튜브(128)의 후단에는 커버결합나사(134)가 형성되어, 튜브이탈방지커버(16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가압튜브(128)의 가압튜브돌기(132)와 상기 플런저 결합튜브(144)의 튜브돌출스토퍼(150)사이에 설치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플런저결합튜브(144)는 선단에 상기 가압튜브홀(136)을 통해 돌출될 수 있는 튜브나사(148)가 형성된다. 상기 튜브나사(148)는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와 결합된다. 또, 상기 튜브나사(148)의 선단에는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에 삽입되어 상기 플런저결합튜브(144)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의 내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오프셋(152)이 형성된다. 상기 튜브나사(148) 상부의 상기 오프셋(152)은 상기 튜브나사(148)가 플런저 나사부(126)에 나사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튜브(128) 선단의 상기 가압튜브돌기(132)보다 상부로 돌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튜브(128)을 회전시켜, 상기 플런저(118)을 상부로 전진시킬 경우에는 상기 플런저 하부(122)에 상기 오프셋(152)만이 단순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로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암나사부(142)와 상기 가압나사부(130)의 나사방향은,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와 상기 튜브나사(148)의 나사방향과 반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암나사부(142)와 상기 가압나사부(130)의 나사방향이 오른 나사 방향이라면,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와 상기 튜브나사(148)의 나사방향은 왼 나사 방향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상기 가압튜브(128)를 이용하여 상기 플런저(118)를 밀어올릴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와 상기 튜브나사(148)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플런저(118)을 잡아당겨서 후퇴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는,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와 상기 튜브나사(148)가 결합된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플런저(118)를 후퇴 시킬 경우,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와 상기 튜브나사(148)의 결합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튜브나사(148)의 돌출량을 제한하기 위해 플런저결합튜브바디(146)의 상기 튜브나사(148)의 하측으로 튜브돌출스토퍼(150)가 형성된다. 상기 튜브돌출스토퍼(150)는 고리 또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가압튜브(128)의 하부에는 상기 플런저결합튜브(144)의 일부가 관통가능한 튜브이탈방지커버홀(162)을 가지는 튜브이탈방지커버(160)가 설치된다. 상기 플런저결합튜브(144)의 외주면의 하부에는 상기 튜브이탈방지커버(16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튜브이탈스토퍼(154)가 상기 튜브돌출스토퍼(150)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돌출스토퍼(150)와 상기 튜브이탈스토퍼(154)의 외경은,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가압튜브홀(136)의 내경과 비슷하거나 조금 작은 것이 공차를 줄여 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결합튜브(144)의 하부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널링(knurling)가공된 튜브손잡이(156)를 가진다.
또, 상기 튜브이탈스토퍼(154)와 상기 튜브이탈방지커버(160) 사이에 스프링(158)이 설치되어 상기 튜브나사(148)와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와의 탈부착을 쉽게 유도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8)의 일단은 상기 튜브이탈스토퍼(154)에 닿고, 타단은 상기 튜브이탈방지커버(160)의 스프링자리(164)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158)의 양단은 상기 튜브이탈스토퍼(154)와 상기 튜브이탈방지커버(160)의 스프링자리(164)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성분 분리기(10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 의한 성분분리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혈액 성분을 PPP와 PRP로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버피코트(buffy coat)층(3)을 포함하는 혈장(4)을 PRP(Platelet Rich Plasma)라고 하며, 버피코트층(3)을 포함하지 않은 혈장(4)을 PPP(Platelet Poor Plasma)라고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10) 등을 이용하여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 혈액(1)을 장입한다. 혈액(1)이 장입된 성분 분리기(100)를 유통관마개(112)에 결합한 채로 원심분리를 하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혈액성분은 아래서부터 혈구(2), 버피코트층(3), 혈장(4)으로 층을 이룬 상태가 된다. 원심분리를 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2)의 하부에 본체마개(170)를 막아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마개(170)에는 본체마개결합부재(172)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2)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통관마개(112)를 제거하고 다른 주사기(20) 등을 상기 유통관(108)에 연결하고, 상기 본체(102)의 하부에 상기 작동부재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튜브(128)를 돌리면, 상기 본체암나사부(142)와 상기 가압나사부(130)가 결합하여 상기 가압튜브(128)가 상승하면서 상기 플런저(118)를 상승시킨다. 이 때,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와 상기 튜브나사(148)의 나사방향은 상기 본체암나사부(142)와 상기 가압나사부(130)와 반대이므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오프셋(152)이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에 삽입되어 상기 플런저결합튜브(144)가 흔들리지 않고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의 회전중심과 상기 플런저결합튜브(144)의 회전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혈장(4) 등 분리하고자 하는 성분을 상기 주사기(20)를 향해 배출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더욱 순도 높은 성분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지방을 흡입 등의 방법으로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지방을 디칸팅(decanting)과정 또는 원심분리과정을 거쳐서, 물부위를 제거하고 순수지방을 얻는다. 이후, 순수지방에 식염수와 콜라게나제를 섞은 콜라게나제 용액을 혼합하고, 지방세포들 사이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들이 충분히 유리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인큐베이션 과정)을 수행한 후, 줄기세포가 함유된 목적용액을 상기 유통관(108)을 통해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 장입한다. 또는, 순수지방과 콜라게나제 용액을 혼합한 뒤 상기 성분분리기(100)에 바로 넣어서, 지방세포들 사이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들을 유리시키는 인큐베이션 과정을 성분분리기(100) 내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성분분리기(100)를 원심분리기(미도시)에 삽입하여 목적용액을 층분리시킨다. 이 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줄기세포액(5)은 하측에, 상측에는 상등액(6)이 배치된다.(엄밀히 말하면, 플런저의 수집부(120)에 펠렛의 형태로 존재하는 세포들이 밀집된 덩어리는 줄기세포분획(fraction)이며, 이 줄기세포분획이 미량의 상등액(6)에 부유된 상태를 줄기세포액(fluid)이라고 할 수 있으나, 편의상 줄기세포분획과 줄기세포액 모두를 줄기세포액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를 이용하여 상등액(6)의 대부분을 배출시키고, 하부의 줄기세포액(5) 만을 남긴다.
그리고, 다시 세척액을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 추가 공급한다. 이 때, 상기 유통관(108)에 다른 주사기를 연결한 후 상부 주사기를 압박하여 세척액을 상기 본체(102) 내부로 장입하거나, 또는 세척액이 포함된 상부 주사기를 상기 유통관(108)에 연결 후 상기 작동부재를 후퇴시키는 방법으로 세척액의 장입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플런저결합튜브(144)를 회전시켜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와 상기 튜브나사(148)를 결합시키고, 상기 가압튜브(128)를 돌려 후퇴시킨다. 상기 튜브나사(148)와 상기 가압나사부(130)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방향을 가지므로 상기 가압튜브(128)가 회전해도 상기 플런저 나사부(126)와 상기 튜브나사(148)의 결합관계는 유지된다. 그리고 추가로 세척액이 장입된 성분 분리기(100)를 다시 원심분리기에 집어 넣고 층분리 과정을 시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3~4회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줄기세포액을 얻게 된다.
다음으로,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골수유래 줄기세포의 경우에는 먼저 장골(iliac bone) 등의 부위에서 특수한 골수 추출용 바늘을 이용하여 골수를 추출한다. 골수 추출물은 혈액과 비슷한 양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에서 언급한 혈액성분분리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의 서술된 방법을 이용하면, 임파구세포, 면역세포, 제대혈줄기세포 등도 세포들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분리가 가능하다. 즉 동종세포이거나 또는 이종세포들도 세포들의 비중차를 이용한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면 분리가 가능해 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혈액 2: 혈구
3: 버피코트층 4: 혈장
5: 줄기세포액 6: 상등액
10,20: 주사기 12,22: 플런저
100: 성분분리기 102: 본체
103: 본체공간 104: 본체스토퍼
106: 결합돌기 108: 유통관
110: 본체결합나사 112: 유통관마개
114; 본체어댑터 115: 어댑터공간
116: 눈금 117: 결합홈
118: 플런저 120: 수집부
122: 플런저 하부 124: 플런저 헤드
126: 플런저 나사부 128: 가압튜브
130: 가압나사부 132: 가압튜브돌기
134: 커버결합나사 136: 가압튜브홀
138: 본체커버 140: 본체커버나사
142: 본체암나사부 144: 플런저결합튜브
146: 플런저결합튜브바디 148: 튜브나사
150: 튜브돌출스토퍼 152: 오프셋
154: 튜브이탈스토퍼 156: 튜브손잡이
158: 스프링 160: 튜브이탈방지커버
162: 튜브이탈방지커버홀 164: 스프링자리
170: 본체마개 172: 본체마개결합부재

Claims (7)

  1. 일단부에 체액이 유통되는 유통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본체암나사부가 배치되는 중공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본체의 본체공간을 가변시키는 플런저: 및
    상기 본체암나사부와 나합가능한 가압나사부를 가지는 가압튜브와, 상기 가압튜브의 내부에서 출몰하여 상기 플런저 하부의 플런저 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튜브나사가 형성된 플런저결합튜브를 가지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암나사부와 상기 가압나사부의 나사방향은, 상기 플런저 나사부와 상기 튜브나사의 나사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나사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없는 오프셋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나사의 하측으로 상기 튜브나사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튜브돌출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튜브의 하부에는 튜브이탈방지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결합튜브의 외주면의 하부에는 상기 튜브이탈방지커버에 의해 상기 플런저결합튜브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튜브이탈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이탈스토퍼와 상기 튜브이탈방지커버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튜브나사와 상기 플런저 나사부와의 탈부착을 쉽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분리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튜브에 형성되는 가압튜브돌기와 상기 플런저 결합튜브에 형성되는 튜브돌출스토퍼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튜브나사와 상기 플런저 나사부와의 탈부착을 쉽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분리기.
KR1020140057912A 2014-05-14 2014-05-14 성분 분리기 KR101472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912A KR101472821B1 (ko) 2014-05-14 2014-05-14 성분 분리기
ES15793305T ES2784278T3 (es) 2014-05-14 2015-05-04 Separador de componentes
EP15793305.2A EP3144019B1 (en) 2014-05-14 2015-05-04 Component separator
CN201580025038.7A CN106456851B (zh) 2014-05-14 2015-05-04 成分分离器
US15/310,817 US20170113219A1 (en) 2014-05-14 2015-05-04 Component Separator
PCT/KR2015/004463 WO2015174671A1 (ko) 2014-05-14 2015-05-04 성분 분리기
JP2016567818A JP6348991B2 (ja) 2014-05-14 2015-05-04 成分分離器
JP2018052336A JP6648177B2 (ja) 2014-05-14 2018-03-20 成分分離器
US16/037,938 US10668465B2 (en) 2014-05-14 2018-07-17 Component sepa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912A KR101472821B1 (ko) 2014-05-14 2014-05-14 성분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821B1 true KR101472821B1 (ko) 2014-12-16

Family

ID=5267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912A KR101472821B1 (ko) 2014-05-14 2014-05-14 성분 분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70113219A1 (ko)
EP (1) EP3144019B1 (ko)
JP (2) JP6348991B2 (ko)
KR (1) KR101472821B1 (ko)
CN (1) CN106456851B (ko)
ES (1) ES2784278T3 (ko)
WO (1) WO2015174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9877B1 (fr) * 2016-04-12 2018-04-13 Gilson Sas Pipette pour le prelevement d'une plage etendue de volumes de liquide
BR112023000697B1 (pt) 2020-07-15 2023-12-19 Prp Technologies, Inc Dispositivo, kit e métodos para criar plasma rico em plaqueta
US11135580B1 (en) 2020-07-15 2021-10-05 Prp Technologies Inc Device, kit and methods for creating platelet rich plasm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21B1 (ko)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기
KR101179548B1 (ko) 2012-03-05 2012-09-05 김준우 성분 분리기
KR101378014B1 (ko) 2013-09-11 2014-03-27 김준우 성분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0310A (en) * 1982-12-20 1985-02-1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riable sealing pressure plunger rod assembly
CA1257163A (en) 1985-09-23 1989-07-11 Bruce Rosenberg Tamper evident injection syringe
US5030208A (en) * 1989-03-22 1991-07-09 Novacek Laurel A Safety syringe needl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and retractable needle platform
US6123687A (en) * 1996-10-30 2000-09-26 Cohesion Technologies, Inc. Cell separation device and metering syringe
US6171285B1 (en) * 1999-10-06 2001-01-09 R. Steven Johnson Retractable syringe
CN1603820A (zh) * 2003-09-29 2005-04-06 株式会社立佳 一种分离生物样品的仪器及其分离方法
EP2077115B1 (en) * 2006-10-27 2016-12-14 Nipro Corporation Platelet-rich plasma separator and platelet-rich plasma separation method
KR100988220B1 (ko) *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방법
DE102011077134A1 (de) * 2011-06-07 2012-12-13 Robert Bosch Gmbh Kartusche, Zentrifuge sowie Verfahren zum Mischen einer ersten und zweiten Komponente
JP6298946B2 (ja) * 2011-12-08 2018-03-28 ユーエヌエ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エルシーUNL Holdings LLC 正確な投与制御機構及び薬物送達用注射器
KR20130091514A (ko) * 2012-02-08 2013-08-19 조희민 혈액의 적혈구 분리 수집용구
US9889248B2 (en) * 2012-05-21 2018-02-13 Baxalta GmbH Syringe storage tr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21B1 (ko)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기
KR101179548B1 (ko) 2012-03-05 2012-09-05 김준우 성분 분리기
KR101378014B1 (ko) 2013-09-11 2014-03-27 김준우 성분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8806A (ja) 2017-07-13
CN106456851A (zh) 2017-02-22
US20170113219A1 (en) 2017-04-27
JP6648177B2 (ja) 2020-02-14
US10668465B2 (en) 2020-06-02
ES2784278T3 (es) 2020-09-23
EP3144019A1 (en) 2017-03-22
JP6348991B2 (ja) 2018-06-27
EP3144019B1 (en) 2020-02-12
JP2018130548A (ja) 2018-08-23
CN106456851B (zh) 2018-06-08
US20180318830A1 (en) 2018-11-08
EP3144019A4 (en) 2018-02-14
WO2015174671A1 (ko)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548B1 (ko) 성분 분리기
AU2004242150B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uid components
CA2198606C (en) Centrifuge syringe apparatus and method
KR101472821B1 (ko) 성분 분리기
KR101378014B1 (ko) 성분분리기
KR101313048B1 (ko) 성분 분리기
KR101371674B1 (ko) 성분분리기
KR101569172B1 (ko) 성분 분리장치
KR20140058032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TWM483797U (zh) 血液分離裝置
EP3302397B1 (en) Syringe for cell isolation
KR101409443B1 (ko) 성분 분리기
KR101990633B1 (ko) 혈소판 농축 물질 추출 장치
KR101343577B1 (ko) 성분 분리기
CN218026086U (zh) 组织成分制备装置
KR101333788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20140085284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