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048B1 - 성분 분리기 - Google Patents

성분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048B1
KR101313048B1 KR1020130038671A KR20130038671A KR101313048B1 KR 101313048 B1 KR101313048 B1 KR 101313048B1 KR 1020130038671 A KR1020130038671 A KR 1020130038671A KR 20130038671 A KR20130038671 A KR 20130038671A KR 101313048 B1 KR101313048 B1 KR 101313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eparator
upper chamber
chamber
diaphragm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김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우 filed Critical 김준우
Priority to KR102013003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048B1/ko
Priority to PCT/KR2013/010954 priority patent/WO20141683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rotatably mount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sterilisation, filtration or dialysi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8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hair re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ell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줄기세포 또는 혈액 등 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성분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한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부공간을 가지는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을 가지는 하부챔버; 및 상기 상부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사이를 폐쇄하여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을 격리시키고,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이 격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챔버에만 연통되는 격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분 분리기{Dividing device for cell fractions or blood elements}
본 발명은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줄기세포 또는 혈액 등 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성분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한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Stem cell)를 이용하는 치료 또는 시술 방법은 다양하다. 성형이나 미용 시술에 사용이 가능하며, 탈모치료와 만성 난치성 질환과 통증 치료에 사용되어 질 수 있다. 그 활용범위는 상당히 넓으며, 향후 그 활용범위는 더 많이 확장 될 것으로 보인다. 줄기세포란 자가증식(Self renewal) 할 수 있는 능력과 다른 세포로의 분화(Differentiation)가 가능한 능력을 가진 세포를 말한다.
줄기세포는 크게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와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분류로는 자가세포와 타가세포로 구분할 수 있으며, 타가 줄기세포군으로는 제대혈줄기세포, 제대줄기세포, 융모(태반) 줄기세포 등이 있으며, 자가 줄기세포군으로는 골수유래-줄기세포군(Bone marrow derived stem cells)과 지방유래-줄기세포군(Adipose derived stem cells, ADSC)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의 주된 세포는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 HSC)와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이다. 기존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은, 연구소에서 추출하는 방식을 응용하여 추출과정이 진행되는데, 그 추출방법이 많이 까다롭고, 배우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과, 더불어 추출과정 중 사소한 부주의에도 공기오염과 기구에 의한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과, 아울러 추출하는 사람에 따라서 효율에 상당한 차이가 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보다 쉽고 간단하면서도 오염을 방지하는 방법들에 대한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혈액의 구성성분의 하나인 혈소판 내에는 상처치유에 관계하는 PDGF, TGF-BETA 등 많은 종류의 성장인자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성장인자들을 이용하는 치료가 피부의 질환과 상처 치유에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 혈소판 내의 성장 인자들은 PRP( Platelet Rich Plasma:혈소판풍부혈장)의 형태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원심분리를 시행하면 대부분의 혈소판과 백혈구들은 혈구와 혈장의 경계면에 생성되는 버피코트(Buffy coat)층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혈액내의 혈장(Plasma, PPP(Platelet Poor Plasma:혈소판이 희박한 혈장))도 여러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 되어 지고 있다.
그래서 여러 의학적 목적으로 인해 세포들 간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혈액성분을 분리한 후 각 성분 요소를 추출하는 보다 편리하고 진보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줄기세포 또는 혈액의 분리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위 발명과 같은 간단한 키트에 대해서는 아직 제시된 바 없다. 특히,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경우 전체 원액(지방과 콜라게나제 용액의 혼합액)의 부피 대비 추출되는 양이 적어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고순도의 줄기세포를 얻기 곤란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체성분의 분리를 위하여 성분 분리기(특허등록 제10-1179548호)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위 발명에서는 성분분리시 별도의 성분 수집기가 필요하고, 이를 성분 분리기와 착탈해야 하는 불편함과 별도의 거름망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분리된 줄기세포 또는 혈액 등 성분의 순도를 보장할 수 있고, 성분분리과정동안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한 성분 분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상부공간을 가지는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을 가지는 하부챔버; 및 상기 상부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사이를 폐쇄하여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을 격리시키고,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이 격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챔버에만 연통되는 격리수단을 포함하는 성분 분리기이다.
상기 하부챔버에는 연결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의 사이에는 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챔버에는 주입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챔버에는 유출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챔버 내부에는 상기 주입포트로부터 공급되는 피분리물을 여과시키는 거름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격리수단은, 상기 상부챔버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내부에 연통홀이 형성되는 격리로드와, 상기 격리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사이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격리로드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챔버에는 상기 수나사에 나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격리로드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챔버에는 상기 수나사에 나합되는 회전너트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격리로드의 다이어프램에 형성된 가이드홈은 상기 상부챔버에 형성된 가이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상부챔버의 하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하부챔버의 상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챔버의 하부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경사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상부챔버의 측벽에 맞닿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가장자리에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격리로드의 상측에는 록너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격리수단은, 상기 상부챔버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내부에 연통홀이 형성되는 격리로드와, 상기 격리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사이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커버에는 주입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커버의 하부로 상기 주입포트로부터 공급되는 피분리물을 여과시키는 거름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커버에는 유출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줄기세포 및 혈액성분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등의 방법으로 지방채취부터 줄기세포 분리과정동안 세포 성분들이 외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오염과 기구에 기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포분리과정에서 세포의 오염시 예상될 수 있는 병원균의 감염 또는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원액 대비 극소량을 분리해 내기 위하여 줄기세포를 수집할 수 있는 형상(구조)을 채택하여 고순도의 줄기세포를 간단하게 추출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시, 치료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특히, 하나의 기구로 체성분을 분리하므로, 기구의 분해조립에 따른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서는 골수줄기세포와 PRP의 분리도 가능하다. 혈액 채혈부터 혈액 분리과정동안 혈액 성분이 성분분리기 내부에서 외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폐쇄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폐쇄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폐쇄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폐쇄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폐쇄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폐쇄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8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9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폐쇄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폐쇄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11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다이아프램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성분 분리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분 분리기를 지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100)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상부공간을 가지는 상부챔버(102)와, 상기 상부챔버(102)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을 가지는 하부챔버(104)와, 상기 상부챔버(102)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챔버(102)와 상기 하부챔버(104) 사이를 폐쇄하여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을 격리시키고,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이 격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챔버(104)에만 연통되는 격리수단(1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챔버(102)와 상기 하부챔버(104)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며, 상기 상부챔버(102)와 상기 하부챔버(104)의 사이에는 목부(10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격리수단(120)에 의해 상기 상부챔버(102)와 상기 하부챔버(104) 사이를 폐쇄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상기 하부챔버(104)의 벽체에는 연결포트(10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포트(108)는 연결포트마개(11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챔버(102)에는 주입포트(112)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포트(112)를 통해 지방 또는 혈액 등의 체액이 피분리물로써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주입포트(112) 역시 주입포트마개(11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 도시되지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상기 상부챔버(102)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추가적인 유출포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챔버(102) 내부에는 상기 주입포트(112)으로부터 공급되는 피분리물을 여과시키는 거름망(114)이 설치된다. 상기 거름망(114)은 상기 피분리물의 여과가 가능하다면 형상의 제한은 없다.
상기 격리수단(120)은, 상기 상부챔버(102)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연통홀(130)이 형성되는 격리로드(122)와, 상기 격리로드(1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챔버(102)와 상기 하부챔버(104) 사이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126)을 포함한다.
상기 격리로드(122)의 상하이동은 단순히 상기 상부챔버(102)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기 격리로드(122)가 끼워진 상태로 마찰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로 움직이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격리로드(12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2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챔버(102)에는 상기 수나사(124)에 나합되는 암나사(118)가 형성된다. 이 결과, 상기 격리로드(122)를 상기 상부챔버(102)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격리로드(12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격리로드(122)의 상단에는 격리로드(122)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1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130)은 상기 격리로드(122)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며, 별도의 연통홀마개(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연통홀(130)을 개폐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챔버(102)의 하부는 경사면(103)을 가지고, 상기 다이어프램(126)은 상기 경사면(103)에 맞닿는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126)은 상기 목부(106)의 상측을 덮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챔버(102)와 상기 하부챔버(104) 사이를 폐쇄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격리로드(122)의 연통홀(130)은 상기 하부챔버(104)와 연통되고, 상기 상부챔버(102)는 상기 연통홀(130) 및 상기 하부챔버(104)와 격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성분 분리기(10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 의한 성분분리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지방을 흡입 등의 방법으로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지방을 디칸팅(decanting)과정 또는 원심분리과정을 거쳐서, 물부위를 제거하고 순수지방을 얻는다. 이후, 순수지방에 식염수와 콜라게나제를 섞은 콜라게나제 용액을 혼합하고, 지방세포들 사이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들이 충분히 유리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인큐베이션 과정)을 수행한 후, 다시 디칸팅 또는 원심분리를 한 후, 하측에 모인 줄기세포가 함유된 목적용액을 주입포트(112) 또는 연통홀(130)을 통해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 장입한다. 또는, 순수지방과 콜라게나제 용액을 혼합한 뒤 상기 성분분리기(100)에 바로 넣어서, 지방세포들 사이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들을 유리시키는 인큐베이션 과정을 성분분리기(100) 내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챔버(102), 상기 연통홀(130), 상기 하부챔버(104)는 서로 연통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성분 분리기(100)의 주입포트(112), 연결포트(108), 및 상기 연통홀(130)을 각각 주입포트마개(116), 연결포트마개(110), 및 연통홀마개(미도시)로 닫는다.
그리고, 상기 성분분리기(100)를 원심분리기(미도시)에 삽입하여 목적용액을 층분리시킨다. 이 결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챔버(104)의 바닥에 펠렛(Pellet)의 형태로 위치하는 줄기세포분획(1)과, 상기 줄기세포분획(1)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상등액(2)으로 나누어진다. 이어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챔버(102)와 하부챔버(104)를 격리수단(120)을 이용하여 격리시킨 후, 상기 상부챔버(102)의 상기 연통홀(130)과 하부챔버(104)의 연결포트(108)에 주사기(미도시)를 연결하여, 하부 챔버(104)의 바닥에 펠렛(Pellet)의 형태로 위치하는 줄기세포분획을 상등액에 부유시켜서 줄기세포액을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 처럼 하부챔버(104)의 바닥이 둥글거나 또는 하부챔버(104)의 바닥에 수집부(미도시) 또는 수집홈(미도시)이 있어서, 하부챔버(104)의 바닥에 위치하는 펠렛형태의 줄기세포분획의 수집이 완성되었음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하부챔버(104)의 연결포트(108)가 하부챔버(104)의 가장아래쪽 바닥보다는, 펠렛(줄기세포분획)이 형성되는 지점의 상부인 하부챔버(104)의 측벽 또는 상부벽에 만들어지는 것이, 최종적으로 줄기세포 추출의 효율을 증가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새로운 성분분리기(100) 또는 세척된 성분분리기(100)에 위에서 얻은 줄기세포액을 넣고, 다시 세척액을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 공급한다. 세척액이 장입된 성분 분리기(100)를 다시 원심분리기에 집어 넣고 층분리를 한다.
그리고 하부챔버(104)의 바닥에 펠렛의 형태로 위치하는 줄기세포분획(1)을 다시 상등액(2)에 부유시켜서 줄기세포액을 추출한다. 다시 세척액을 주입하여, 원심분리기에서 층분리를 하는 작업을 3~4회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줄기세포액을 얻게 된다.
상부챔버(102)의 내부에는 거름망(114)이 설치되어 있어, 별도의 세포여과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과, 더불어 추출작업의 시간을 줄여 줄 수 있으며 공기 및 기구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혈액 성분을 PPP와 PRP로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버피코트(buffy coat)층(5,8)을 포함하는 혈장(6,9)을 PRP(Platelet Rich Plasma)라고 하며, 버피코트층(5,8)을 포함하지 않은 혈장(6,9)을 PPP(Platelet Poor Plasma)라고 한다. 먼저 상기 성분 분리기(100)에 혈액을 장입한다. 혈액이 장입된 성분 분리기(100)를 원심분리를 하면 혈액성분은 아래서부터 혈구(4), 버피코트층(5), 혈장(6)으로 층을 이룬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성분 분리기(100)를 원심분리기에 장착할 때에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챔버(102)가 상측에 하부챔버(104)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세워서 장착한다.
이 경우 버피코트층이 상부챔버(102)와 하부챔버(104) 중 어디에 존재하느냐에 따라 성분분리기(100)를 이용하는 방법은 조금 다르다. 먼저 버피코트층(5)이 목부(106) 또는 하부챔버(104)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겠다.
혈액을 성분분리기(100)에 장입 후 원심분리를 시행하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는데,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리수단(120)을 이용하여 상부챔버(102)와 하부챔퍼(104)를 격리한다. 이후 상기 연통홀(130)을 통하여 스포이드 또는 긴 주사 바늘을 가진 주사기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목부(106) 또는 하부챔버(104) 내의 혈장(6)을 상부에서 하부로, 버피코트층(5) 전체를 포함하여 추출함으로서 PRP를 추출 할 수 있다. 도 25에서는 주사기(30)는 연결피펫(32)에 연결되어 상기 연통홀(130)을 통해 상기 하부챔버(104)에 연통된다.
다음으로 원심분리(1차원심분리)후 버피코트층(8)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챔버(102)에 위치하는 경우를 설명하겠다. 이 경우에는 상부챔버(102)와 하부챔버(104)를 격리수단(120)을 이용하여 도 27과 같이 격리시키거나 또는 도 26과 같이 격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연통홀(130)이나, 주입포트(112), 상기 상부챔버(102)에 추가로 설치되는 유출포트(미도시)를 통해, 스포이드 또는 긴 주사 바늘을 가진 주사기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상부챔버(102) 내의 혈장(9)을 상부에서 하부로, 버피코트층(8) 전체를 포함할 때까지 추출한다(일차추출). 도 28에서는 주사기(40)가 연결피펫(42)에 연결돼서 상기 주입포트(112)를 통해 상기 상부챔버(102) 내부에 연통된다. 주입포트(112)을 통해 스포이드 또는 긴 주사 바늘을 가진 주사기를 주입할 경우에는, 주입포트(112) 아래의 거름망(114)이 없는 성분분리기(100)를 이용하거나 또는 거름망(114)의 길이가 경사면(103)까지 연장된 형태의 성분분리기(100)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후 새로운 성분분리기(100) 또는 세척된 성분분리기(100)에 다시 일차 추출된 혈장전체를 장입하게 된다. 이후 이차 원심분리를 하게 되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챔버(102)에는 혈장(PPP)(9) 만이, 하부챔버(104)에는 버피코트층(8)을 포함하는 PRP가 모이게 된다. 이 경우 격리수단(120)을 이용하여 도 30과 같이 상부챔버(102)와 하부챔버(104)를 격리시킨 후, 상기에서 설명한 지방유래 줄기세포 추출법과 동일하게,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130)과 연결포트(108)에 주사기(50,60)를 직접연결하거나 연결피펫(62)을 이용하여 연결한 후 하부 챔버(104)내의 PRP를 추출 할 수 있다.(2차추출)
다음으로,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골수유래 줄기세포의 경우에는 먼저 장골(iliac bone) 등의 부위에서 특수한 골수 추출용 바늘을 이용하여 골수를 추출한다. 골수 추출물은 혈액과 비슷한 양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에서 언급한 혈액성분분리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의 서술된 방법을 이용하면, 임파구세포, 면역세포, 제대혈줄기세포 등도 세포들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분리가 가능하다. 즉 동종세포이거나 또는 이종세포들도 세포들의 비중차를 이용한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면 분리가 가능해 진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성분분리기(200)를 도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20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1의 성분분리기(100)와 동일하나(동일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이어프램(226)이 목부(206)에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상부챔버(202)와 하부챔버(204)를 격리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이어프램(226)이 쐐기형태를 가지고, 상기 목부(206)가 상기 다이어프램(226)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 삽입이 용이하고 폐쇄효과가 좋아지게 된다. 도 4는 상기 다이어프램(226)이 상승한 개방상태이고, 도 5는 상기 다이어프램(226)이 하강하여 상기 목부(206)에 삽입된 폐쇄상태이다.
도 6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성분분리기(300)를 도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30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1의 성분분리기(100)와 동일하나, 연결포트(308)가 길게 연장되어 상기 상부챔버(302)를 관통해 형성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등을 연결할 때, 연결포트(308), 주입포트(312), 연통홀(330)의 높이가 비슷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성분분리기(500)를 도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50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1의 성분분리기(100)와 동일하나(동일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포트(508)에 연장관(509)을 설치하여 상기 상부챔버(502)의 상측으로 연장시킨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등을 연결할 때, 연통홀(530), 주입포트(512), 연장관(509)의 상단의 높이가 비슷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성분분리기(600)를 도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60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1의 성분분리기(100)와 동일하나(동일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격리로드(622)의 다이어프램(626)이 상기 하부챔버(604)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리로드(622)가 하강시에 개방상태이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로드(622)가 상승시에 폐쇄상태가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성분분리기(700)를 도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70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2의 성분분리기(200)와 동일하나(동일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격리로드(722)의 다이어프램(726)이 상기 하부챔버(704)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리로드(722)가 하강시에 개방상태이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로드(722)가 상승시에 폐쇄상태가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성분분리기(800)를 도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80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5의 성분분리기(600)와 동일하나(동일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격리로드(822)의 상측으로 록너트(832)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격리로드(822)의 위치를 강하게 고정하여, 외란에도 그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8에 따른 성분분리기(900)를 도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90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5의 성분분리기(600)와 동일하나(동일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거름망(914)이 상부챔버(902)의 내부에 단면이 도리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거름망(914) 내부의 용적이 늘어서 거름망(914)의 여과속도를 향상시키고, 한번에 많은 양의 피분리물을 처리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9에 따른 성분분리기(1000)를 도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1000)는 격리수단(1020)이 실시예1~8과는 상이하다. 상부챔버(1002)와 하부챔버(1004) 사이에 목부가 없고 다이어프램(1026)을 확대하여, 상기 상부챔버(1002)의 경사면(1003)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챔버(1002)와 상기 하부챔버(1004)의 격리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1026)이 설치되는 격리로드(1022)는 커버(1028)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1028)는 상기 상부챔버(1002)의 상단부에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챔버(1002)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28)를 상기 상부챔버(1002)에 대해 상승시켜 개방상태로 되거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28)를 상기 상부챔버(1002)에 대해 하강시켜 폐쇄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1028)에는 주입포트(1030)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1028)의 하면에는 상기 주입포트(1030)로 공급되는 피분리물을 여과하는 거름망(1032)이 설치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상부챔버(1002)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1028)에 추가적인 유출포트(10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챔버(1004)에는 연결포트(1008)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포트(1008)는 연결포트마개(101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따른 성분분리기(1100)를 도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110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9의 성분분리기(1000)와 동일하나(동일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챔버(1104)에 연결포트가 생략되고 한쌍의 격리로드(1122,1140)를 설치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한쌍의 격리로드(1122,1140)를 통해 공기 또는 액체의 주입 및 하부챔버(1104)로부터 수집된 액체의 추출이 가능하다.
또, 상기 성분분리기(1100)의 다이어프램(1126)은 상기 상부챔버(1102)의 내측벽에 맞닿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도 18과 같은 개방상태에서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1126)에 관통홈(1138)이 형성된다. 도 19와 같은 폐쇄상태에서는 상기 다이어프램(1126)의 저면이 상기 상부챔버(1102)의 경사면(1103)에 맞닿아 상기 상부챔버(1102)와 상기 하부챔버(1104)가 격리되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11에 따른 성분분리기(1200)를 도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120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9의 성분분리기(1000)와 동일하나(동일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너트(1236)에 의해 격리로드(122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차이가 있다.
상기 성분분리기(1200)는 상부챔버(1202)의 상부를 격리로드(1222)가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챔버(1202)의 상측에 형성된 회전너트자리(120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너트(1236)와 상기 격리로드(12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224)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너트(1236)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격리로드(1222)는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격리로드(1222)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상기 격리로드(1222)의 단부에 형성된 다이어프램(1226)의 측부에는 가이드홈(124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240)은 상기 상부챔버(1202) 내부의 가이드(1238)와 맞닿아서 상기 다이어프램(1226)은 회전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하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부챔버(1202)에는 주입포트(123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챔버(1202)의 내부에는 상기 주입포트(1230)로 공급되는 피분리물을 여과하는 거름망(123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챔버(1204)에는 연결포트(1208)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포트(1208)는 연결포트마개(121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줄기세포분획
2: 상등액
4.7: 혈구
5,8: 버피코트층
6,9: 혈장
10,20,30,40,50,60: 주사기
32,42,62: 연결피펫
100,200,300,500,600,700,800,900,1000,1100,1200: 성분 분리기
102,202,302,502,602,702,802,902,1002,1102,1202: 상부챔버
103,203,303,503,603,703,803,903,1003,1103,1203: 경사면
104,204,304,504,604,704,804,904,1004,1104,1204: 하부챔버
106,206,306,506,606,706,806,906: 목부
108,208,308,508,608,708,808,908,1008,1208: 연결포트
110,210,310,510,610,710,810,910,1010,1210: 연결포트마개
112,212,312,512,612,712,812,912,1030,1130,1230: 주입포트
114,214,314,514,614,714,814,914,1032,1132,1232: 거름망
116,216,316,516,616,716,816,916: 주입포트마개
118,218,318,518,618,718,818,918: 암나사
120,220,320,520,620,720,820,920,1020,1120,1220: 격리수단
122,222,322,522,622,722,822,922,1022,1122,1140,1222: 격리로드
124,224,324,524,624,724,824,924,1224: 수나사
126,226,326,526,626,726,826,926,1026,1126,1226: 다이어프램
128,228,328,528,628,728,828,928: 손잡이
130,230,330,530,630,730,830,930,1034,1134,1136,1234: 연통홀
509: 연장관
832: 록너트
1024,1124: 유출포트
1028,1128: 커버
1138: 관통홈
1201: 회전너트자리
1236: 회전너트
1238: 가이드
1240: 가이드홈

Claims (18)

  1. 내부에 상부공간을 가지는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을 가지는 하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사이를 폐쇄하여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을 격리시키고,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이 격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챔버에만 연통되는 격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격리수단은, 상기 상부챔버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내부에 연통홀이 형성되는 격리로드와, 상기 격리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사이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챔버의 하부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경사면에 맞닿는 것과 동시에 상기 상부챔버의 측벽에 맞닿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가장자리에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에는 연결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의 사이에는 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에는 주입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 내부에는 상기 주입포트로부터 공급되는 피분리물을 여과시키는 거름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에는 유출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로드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챔버에는 상기 수나사에 나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로드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챔버에는 상기 수나사에 나합되는 회전너트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격리로드의 다이어프램에 형성된 가이드홈은 상기 상부챔버에 형성된 가이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상부챔버의 하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하부챔버의 상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로드의 상측에는 록너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상기 상부챔버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내부에 연통홀이 형성되는 격리로드와, 상기 격리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사이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주입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부로 상기 주입포트로부터 공급되는 피분리물을 여과시키는 거름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유출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KR1020130038671A 2013-04-09 2013-04-09 성분 분리기 KR101313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671A KR101313048B1 (ko) 2013-04-09 2013-04-09 성분 분리기
PCT/KR2013/010954 WO2014168311A1 (ko) 2013-04-09 2013-11-29 성분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671A KR101313048B1 (ko) 2013-04-09 2013-04-09 성분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048B1 true KR101313048B1 (ko) 2013-09-30

Family

ID=4945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671A KR101313048B1 (ko) 2013-04-09 2013-04-09 성분 분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3048B1 (ko)
WO (1) WO20141683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920B1 (ko) 2013-12-13 2014-04-30 김준우 지방파쇄기 및 지방파쇄가 가능한 성분분리기
KR101440754B1 (ko) 2014-04-03 2014-09-17 주식회사 올비메디칼 세포 농축형 분리기 및 분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279A1 (ja) * 2016-01-21 2017-07-27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液成分分離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952A (ko) * 2009-02-23 2010-09-01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분리용 분리장치 및 원심 분리방법
KR20100105282A (ko) * 2009-03-16 2010-09-29 문상호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KR20110080245A (ko) * 2010-01-05 2011-07-13 방시열 일체형 분리장치
KR101049201B1 (ko) * 2009-10-29 2011-07-14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671B1 (ko) * 2009-10-27 2016-11-28 도병록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952A (ko) * 2009-02-23 2010-09-01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분리용 분리장치 및 원심 분리방법
KR20100105282A (ko) * 2009-03-16 2010-09-29 문상호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KR101049201B1 (ko) * 2009-10-29 2011-07-14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KR20110080245A (ko) * 2010-01-05 2011-07-13 방시열 일체형 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920B1 (ko) 2013-12-13 2014-04-30 김준우 지방파쇄기 및 지방파쇄가 가능한 성분분리기
WO2015088194A1 (ko) * 2013-12-13 2015-06-18 김준우 지방파쇄기 및 지방파쇄가 가능한 성분분리기
KR101440754B1 (ko) 2014-04-03 2014-09-17 주식회사 올비메디칼 세포 농축형 분리기 및 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8311A1 (ko)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599B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KR101179548B1 (ko) 성분 분리기
JP6452695B2 (ja) 骨髄脂肪部分単離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1170146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장치
KR101982766B1 (ko)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KR101313048B1 (ko) 성분 분리기
KR101433293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KR101489264B1 (ko) 줄기세포 분리 키트 및 줄기세포 분리 방법
EP3174973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extraction of regenerative cellular components from adipose tissue
KR101306455B1 (ko) 줄기세포 분리 키트
KR101333789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101371674B1 (ko) 성분분리기
WO2012121452A1 (ko) 혈액 분리 및 농축 용기
KR101409443B1 (ko) 성분 분리기
KR101343577B1 (ko) 성분 분리기
KR101847471B1 (ko) 성분 분리기, 이를 포함하는 성분 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성분 분리방법
KR101472821B1 (ko) 성분 분리기
KR101463560B1 (ko)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KR101378014B1 (ko) 성분분리기
KR20140111401A (ko)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CN216396710U (zh) 血液分离器具
KR101749932B1 (ko)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 분리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의 분리 방법
CN114100871A (zh) 血液分离器具
KR101013927B1 (ko) 줄기세포 분리방법
KR101569172B1 (ko) 성분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