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245A - 일체형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245A
KR20110080245A KR1020100000391A KR20100000391A KR20110080245A KR 20110080245 A KR20110080245 A KR 20110080245A KR 1020100000391 A KR1020100000391 A KR 1020100000391A KR 20100000391 A KR20100000391 A KR 20100000391A KR 20110080245 A KR20110080245 A KR 20110080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hole
locking
cap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073B1 (ko
Inventor
방시열
Original Assignee
방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시열 filed Critical 방시열
Priority to KR102010000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0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A61M1/369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with means for adding or withdrawing liquid substances during the centrifugation, e.g. continuous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4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 B04B5/0442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with means for adding or withdrawing liquid substances during the centrifugation, e.g. continuous centrifu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15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6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 B01L2400/0633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with mov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중이 서로 다른 성분이 혼합된 물질에서 특정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리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혼합된 물질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챔버; 상측에 형성되고 제1챔버와 연통되어 내부에 혼합된 물질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챔버;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넥; 제1챔버의 하측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하부덮개부; 제2챔버의 상측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상부덮개부; 및 하부덮개부 또는 상부덮개부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연결넥의 내부를 밀폐하여 혼합된 물질이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일체형 분리장치{ONE BODY TYPE APPARATUS FOR SEPARATION OF LIQUID MIXTURE}
본 발명은 일체형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중이 서로 다른 성분이 혼합된 물질에서 특정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리장치로서, 특히 혈액에서 혈소판이 다량 농축된 혈장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미용 내지는 피부치료의 방법으로 PRP 시술(자가혈 피부재생술, 피주사)이 각광을 받고 있다. PRP(Platelet Rich Plasma) 시술이란, 혈소판 내에 풍부하게 있는 성장인자와 이 성장인자를 통한 줄기세포의 분화를 이용한 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피부에 채취한 혈소판을 주입하여 성장인자들로 하여금 줄기세포를 활성화시켜, 그 조직에 맞게 분화하여 피부의 성분이 되는 콜라겐과 탄력섬유 등을 새로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원리를 이용한 치료방법이다.
현재, PRP 시술은 기존의 레이저 시술로 처리할 수 없었던 부분을 보안해주고, 레이저와 병행 치료시 이상적인 조합을 만들 수 있는 시술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PRP 시술은, 인체로부터 채혈을 한 다음 PRP (Platelet Rich Plasma, 혈소판 풍부 혈장)을 만들어서 피부의 진피층에 이러한 PRP를 주입하는 시술을 말한다.
이처럼 PRP시술에서는 기본적으로 PRP가 마련되어야 하며, PRP(Platelet Rich Plasma, 혈소판 풍부 혈장)와 PPP(Platelet Poor Plasma, 혈소판이 거의 없는 혈장)를 구분하여 시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실질적으로 제대로 혈소판이 농축되지 않은 상태의 혈장, 즉 PPP를 시술에 사용하는 경우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PRP 시술에 앞서, 양호한 PRP의 획득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고농축 상태의 혈소판을 추출하여, 좋은 품질의 PRP를 만드는 것이 요구된다.
우리 몸의 혈액에는 1 마이크로 리터당 10~20 만개 정도의 혈소판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효과적인 PRP 시술을 위해서는, 1 마이크로 리터당 100 만개 이상의 혈소판이 포함되는 정도의 농축이 되어야 한다. 즉, 정상인의 피를 채취했을 때 보다 6~8배 정도로 혈소판이 농축이 되어야 좋은 품질의 PRP라고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고농축의 PRP를 얻기 위하여 통상, 채혈한 혈액을 용기에 주입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농도별로 분리되도록 하고, 층별로 나누어진 혈액에서 혈소판이 포함된 혈장을 추출하는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장치들은 원심분리기를 통하여 분리된 혈소판을 용이하게 추출하는데 곤란하게 이루어져 있을 뿐 아니라, 적혈구를 우선 분리하는 과정에서 공기와의 접촉이 이루어져 감염의 위험이 큰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혈액 중에서 혈소판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아 섬세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적절한 추출이 곤란한데, 종래의 장치들은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중이 서로 다른 성분이 혼합된 물질에서 특정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리장치로서, 특히 혈액에서 혈소판이 다량 농축된 혈장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농축된 혈소판의 정확한 추출이 가능하며, 공기 중의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비중이 서로 다른 성분이 혼합된 물질에서 특정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리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혼합된 물질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챔버; 상측에 형성되고 제1챔버와 연통 되어 내부에 혼합된 물질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챔버;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넥; 제1챔버의 하측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하부덮개부; 제2챔버의 상측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상부덮개부; 및 하부덮개부 또는 상부덮개부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연결넥의 내부를 밀폐하여 혼합된 물질이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 연결넥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록킹부를 이용하여 연결넥 내부가 선택적으로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1차 원심분리를 통하여 적혈구만의 배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2차 원심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혈소판의 추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우수한 품질의 PRP를 얻을 수 있다.
둘째, 1차 원심분리 및 2차 원심분리 과정에서 장치를 분리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 없게 되어 공기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연결넥을 제1챔버 및 제2챔버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하여, 록킹부가 용이하게 연결넥을 밀폐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량의 혈소판의 추출에 적합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제2챔버를 챔버코어 및 챔버바디로 구분되어 형성하고, 제1챔버 및 제2챔버가 경사진 형태로 직경이 변하도록 형성하여, 성분의 분리를 위한 조정이 용이하며 혈소판의 정확한 추출이 가능하다.
다섯째, 상부덮개부를 구성하는 상부캡에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주입막과 추출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채혈된 혈액의 주입 및 PRP의 추출이 용이하며, 밀폐가 보장된다.
여섯째, 록킹부를 구성하는 록킹팁의 하단 중앙에 압력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원심분리시 제1챔버 내부의 압력상승에 따른 장치의 구조불안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안정된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일곱째, 상부덮개부에 록킹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자동록킹장치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1차 원심분리 후 2차 원심분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분리과정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여덟째, 하부덮개부를, 제1챔버 내부의 용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판 및 조절구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투입된 혈액의 량 또는 분리된 혈액 성분 비율에 따라 혈소판을 비교적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분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도 1에서 도시된 일체형 분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c)는 도 1에서 도시된 록킹부를 작동시키는 자동록킹중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를 포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일체형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분리장치(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는 비중이 서로 다른 성분이 혼합된 물질에서 특정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리장치(1)에 있어서,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혼합된 물질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챔버(10);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10)와 연통되어 내부에 상기 혼합된 물질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챔버(20); 상기 제1챔버(10)와 제2챔버(20) 사이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넥(30); 상기 제1챔버(10)의 하측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하부덮개부(40); 상기 제2챔버(20)의 상측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상부덮개부(50); 및 상기 하부덮개부(40) 또는 상부덮개부(50)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넥(30)의 내부를 밀폐하여 상기 혼합된 물질이 상기 제1챔버(10)와 제2챔버(20)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는 다양한 농도의 성분이 혼재된 물질에서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이며, 원심분리기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각 성분이 농도별로 구분되도록 한 후 특정 성분을 추출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1)는 그 자체로 내부에 주입된 혼합 물질을 분리시키기보다는 원심분리기를 통하여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그 원심력을 이용하여 각 성분이 분리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는 특정 물질에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다만 특히 채혈된 혈액에서 혈소판을 추출하는데 적합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혈소판이 고농도로 농축된 PRP(Platelet Rich Plasma)를 얻는데 유용한 장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혼합된 물질을 채혈된 혈액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는, 내부에 채혈된 혈액이 투입되도록 하고 원심분리를 통하여 혈액의 각 성분인 적혈구, 혈소판, 혈장 등이 비중에 따라 층을 이루며 구분되도록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혈액이 저장되는 공간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1챔버(10) 및 제2챔버(20)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는 원심분리기에 적합하도록 대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챔버(10)는 하측에 위치하며, 내부에 혈액이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장치 내부로 최초 주입되는 혈액은 각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어, 상기 제1챔버(10)에 처음 주입되는 혈액 또한 균질한 상태를 이루게 되나, 원심분리를 거친 후에는 비중이 큰 적혈구가 상기 제1챔버(10)를 채우게 된다.
상기 제2챔버(20)는 상기 제1챔버(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챔버(10)와 같이 대체로 원통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챔버(20)는 원심분리를 거친 혈액 중에서 혈장 성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인체의 혈액에서, 적혈구는 대략 45%, 혈장은 55%, 그리고 백혈구 및 혈소판은 1% 미만의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1챔버(10)와 제2챔버(20)의 용적 비율은 대략 45%와 5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넥(30)은 상기 제1챔버(10) 및 제2챔버(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챔버(10) 및 제2챔버(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일체로 형성'된다고 함은, 구조적인 형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실질적인 사용형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원심분리를 통한 혈액의 분리과정에서 상기 연결넥(30) 부분의 분리가 필요없는 경우라면, 사실상 상기 연결넥(30) 부분이 상기 제1챔버(10) 및 제2챔버(20)와 구조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챔버(10)의 하측에는 상기 제1챔버(10)의 하단을 밀폐하는 하부덮개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20)의 상측에는 상기 제2챔버(20)의 상단을 밀폐하는 상부덮개부(50)가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덮개부(40) 및 상부덮개부(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록킹부(60)는 상기 하부덮개부(40) 또는 상부덮개부(50)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부(60)는 상기 연결넥(30)의 내부를 밀폐하여 상기 제1챔버(10)와 제2챔버(20)의 공간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동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혈액의 분리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장치 내부로 채혈된 혈액을 주입하여 상기 제1챔버(10) 및 제2챔버(20) 내부를 채운다. 이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회전시켜 혈액이 농도별로 구분되도록 한다. 이를 편의상 '1차 원심분리'로 칭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넥(30)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60)는 상기 연결넥(3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는 채혈된 전체 혈액이 장치 내부에서 성분별로 구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1차 원심분리를 거친 경우, 상기 제1챔버(10) 내부는 대부분 적혈구가 위치하며, 상기 제2챔버(20) 내부에는 하측에 백혈구 및 혈소판이 위치하고 상측에 혈장이 위치한다.
이후, 상기 록킹부(60)를 이동시켜 상기 연결넥(30)을 밀폐하도록 하며, 분리된 적혈구가 나머지 구성과 다시 섞이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다시 원심분리기를 통하여 원심분리가 행하여 지는데, 이를 '2차 원심분리'로 칭하도록 한다.
2차 원심분리 과정에서,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적혈구는 이동이 차단되고, 혈소판은 더욱 정교하게 분리되며 상기 제2챔버(20)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는, 상기 제1챔버(10)와 제2챔버(20) 사이에 상기 연결넥(3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록킹부(6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넥(30) 내부가 선택적으로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1차 원심분리를 통하여 적혈구만의 배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2차 원심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혈소판의 추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우수한 품질의 PRP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1차 원심분리 및 2차 원심분리 과정에서 장치를 분리하는 등의 과정(분리된 혈액의 중간에 위치하는 혈소판의 채취를 위한 분리 등)이 필요 없게 되어 공기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감염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에서, 상기 연결넥(30)은 상기 제1챔버(10) 및 제2챔버(20)보다 직경이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챔버(20)는, 상기 연결넥(30)과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10)보다는 직경이 작고 상기 연결넥(30)보다는 직경이 큰 챔버코어(21); 및 상기 챔버코어(21) 상측에 형성되되,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챔버바디(22);로 나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챔버코어(21) 중 일부는 상기 연결넥(30)과 이어지는 부분에서 테이퍼지게 이루어져 코어숄더(21a)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챔버(10) 중 일부는 상기 연결넥(30)과 이어지는 부분에서 테이퍼지게 이루어져 제1숄더(10a)를 형성하고, 상기 챔버바디(22) 중 일부는 상기 챔버코어(21)와 이어지는 부분에서 테이퍼지게 이루어져 제2숄더(22a)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넥(30)은 상기 제1챔버(10) 및 제2챔버(2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넥(30)은 1차 원심분리를 거친 후 1차적으로 구분되는 적혈구를 구분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연결넥(30)을 기준으로 비교적 명확한 구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넥(30)은 상기 록킹부(60)에 의하여 밀폐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연결넥(30)이 커지는 경우 상기 록킹부(60)의 확장 또한 불가피하며, 이에 따라 장치 제작의 용이성, 혈액 분리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상기 연결넥(30)은 상기 제1챔버(10) 및 제2챔버(20)보다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챔버(20)는, 상기 제1챔버(10)와 달리, 상기 챔버코어(21)와 챔버바디(22) 부분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코어(21)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비교적 작은 용적을 차지하며, 상기 챔버바디(22)는 상기 챔버코어(21) 상측에 위치하며 비교적 크게 형성된다. 상기 챔버코어(21)에는 채취의 대상인 혈소판이 위치하는 부분이며, 상기 챔버바디(22)는 혈장이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챔버코어(21)는 상기 연결넥(3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록킹부(60)가 상기 연결넥(30)의 내부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경우 상기 챔버코어(21)와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혈액에서 혈소판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작으며, 이러한 혈소판의 정확한 분리를 위해서는 상기 챔버코어(21)가 좁고 긴 형태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챔버(20)를 구성하는 상기 챔버코어(21) 및 챔버바디(22)는 단순히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하단부가 경사진 형태, 즉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챔버코어(21)의 하단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혈소판의 채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챔버코어(21)에서 경사진 하단은 상기 코어숄더(21a)에 해당하고, 상기 챔버바디(22)에서 경사진 하단은 제2숄더(22a)에 해당한다.
혈액의 양, 장치의 크기 등에 따라, 원심분리 후 혈소판이 농축된 혈장부분은 상기 챔버코어(21) 내지는 상기 챔버바디(22)와의 경계부분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챔버코이 및 챔버바디(22)의 하단을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혈소판과 혈장과의 구분이 더욱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혈소판의 마지막 량까지 정밀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2숄더(22a)를 형성함으로써, 혈장과 혈소판의 비중을 고려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양자간의 경계가 더욱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숄더(21a)를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량의 혈소판을 채취함에 있어서 마지막까지 정밀하게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0)의 상단에는 상기 제2숄더(22a)와 유사한 형태로 제1숄더(10a)가 형성된다. 이는 역시 혈액 중에서 적혈구의 비중을 고려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연결넥(30) 부분에서 좀더 명확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상기 연결넥을 상기 제1챔버(10) 및 제2챔버(20)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록킹부(60)가 용이하게 상기 연결넥(30)을 밀폐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량의 혈소판의 추출에도 적합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챔버(20)를 상기 챔버코어(21) 및 챔버바디(22)로 구분되어 형성하고, 상기 제1챔버(10) 및 제2챔버(20)가 경사진 형태로 직경이 변하도록 형성하여, 성분의 분리를 위한 조정이 용이하며 혈소판의 정확한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에서, 상기 연결넥(30)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10) 및 제2챔버(20)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리브(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챔버(10), 제2챔버(20) 및 연결넥(30)은 투명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넥(30)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원심분리 과정에서 많은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넥(30) 주변으로 상기 보강리브(70)가 형성되며, 장치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상기 보강리브(70)은 상기 제1숄더(10a), 연결넥(30), 챔버코어(21) 및 제2숄더(22a) 외주면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70)는 상기 연결넥(30)의 주변으로 다수개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된 형태(2개, 3개, 4개 등)로 형성된다.
상기 제1챔버(10), 제2챔버(20) 및 연결넥(30)은 내부의 혈액이 분리되는 것이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 원심분리 후 각 성분간의 경계가 외부에서 명확하게 인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3(a) 와 도 3(b)는 도 1에서 도시된 일체형 분리장치(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c)는 도 1에서 도시된 록킹부(60)를 작동시키는 자동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에서, 상기 상부덮개부(50)는, 상기 제2챔버(20)에 결합되고,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캡(51); 상기 관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캡(51)에 고정형성되고,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주입추출막;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에서, 상기 상부덮개부(50)는, 상기 제2챔버(20)에 결합되고, 제1관통공(51a) 및 제2관통공(51b)이 형성되는 상부캡(51); 상기 제1관통공(51a)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캡(51)에 고정형성되고,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주입막(52); 상기 제2관통공(51b)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캡(51)에 고정형성되고,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추출막(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캡(51)은 상기 제2챔버(20)와 나사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에서, 상기 상부캡(51)에는 하나의 관통공 또는 두 개의 관통공(51a, 51b)이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은 제1관통공(51a) 및 제2관통공(51b)이 된다. 그리고 하나로 이루어지는 상기 관통공을 밀폐하기 위하여 하나의 상기 주입추출막이 구비되게 되고, 상기 관통공이 두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제1관통공(51a) 및 제2관통공(51b)) 상기 주입막(52)과 추출막(53)이 구분되어 구비되게 된다.
즉 상기 상부캡에는, 채혈된 혈액을 장치(1) 내부로 주입하고 아울러 분리된 혈액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이 경우 하나의 상기 주입추출막을 통하여 혈액의 주입 및 추출이 모두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달리 두 개의 개별적인 관통공(51a, 51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추출막은 상기 주입막(52) 또는 추출막(53)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경우(주입막(52) 과 추출막(53)이 개별적으로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덮개부(50)는 상부캡(51)과, 주입막(52)과, 추출막(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캡(51)은 상기 제2챔버(2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덮개부(5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이며, 상기 제2챔버(20)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상부캡(51)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챔버(20)의 상부를 밀폐한다.
상기 상부캡(51)의 테두리 외주연에는 결합홈(5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55)은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며(도면상 ┘형태), 이는 후술하는 자동록킹장치(80)가 결합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자동록킹장치(80)에는 상기 결합홈(55)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상기 결합홈(55)에 끼워진 후(상기 결합홈(55)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진 부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서로 걸림되어(상기 결합홈(55)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진 부분)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부캡(51)에는 상기 제1관통공(51a) 및 제2관통공(51b)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관통공(51a)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 내부에 채혈된 혈액을 주입하기 위한 통로에 해당한다. 다만, 상기 제1관통공(51a)은 상기 주입막(52)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으므로, 혈액 주입용 주사기(100) 등의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상기 주입막(52)을 뚫고 주입하게 된다.
상기 제2관통공(51b)은 각 성분별로 분리된 혈액에서 혈소판 등을 채취하기 위한 통로이며, 상기 추출막(53)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다. 역시 혈액 추출용 주사기(200) 등의 니들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막(53)을 뚫고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부(50) 중앙에는 후술할 가이드홀(5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들홀을 통하여 상기 록킹부(60)가 지지된다.
상기 주입막(52)과 추출막(53)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데,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막(52)과 추출막(53)은 원심분리 과정에서 내부의 혈액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주사기의 니들에 의해 일부에 구멍이 형성되더라도 적당한 밀폐가 보장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에서, 상기 상부덮개부(50) 중앙에는 가이드홀(54)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60)는, 상기 가이드홀(54)에 밀착되게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는 록킹로드(61); 상기 록킹로드(61) 상단에서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록킹헤드(62); 상기 록킹로드(61)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넥(30)의 내부를 밀폐하는 록킹팁(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록킹로드(61) 하단 중앙에는 상하로 길게 압력홀(64)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는, 작동신호를 감지하는 제어부(81)와, 상기 제어부(81)의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부(82)와, 상기 구동부(82)와 연동하여 상기 록킹헤드(62)를 가압하는 누름부(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록킹장치(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덮개부(50) 중앙에는 상기 록킹부(60)가 승강하는데 있어서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5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54)은 상기 록킹부(60)의 록킹로드(61)가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록킹로드(61)는 상하로 긴 봉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상기 록킹헤드(62)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록킹팁(63)이 결합된다.
상기 록킹헤드(62)는 상기 록킹로드(61)와 일체로 형성되며,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록킹로드(61)가 하강하여 상기 록킹팁(63)이 상기 연결넥(30)의 내부를 밀폐하는 경우, 상기 상부캡(51)의 상단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1차 원심분리를 거친 후, 상기 제1챔버(10) 내부가 적혈구로 채워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챔버(10)와 상기 제2챔버(20)의 공간이 서로 차단되도록 분리하여야 하며, 상기 록킹팁(63)이 상기 연결넥(30)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하여 적혈구가 상기 제2챔버(20)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즉, 1차 원심분리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록킹헤드(62)의 상단을 아래로 눌러 상기 록킹로드(61)가 하강하도록 하며, 상기 록킹팁(63)에 의한 상기 연결넥(30)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록킹팁(63)은 상기 록킹로드(61) 하단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록킹로드(6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록킹팁(63)은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주면 둘레에 플랜지 형태의 돌기가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연결넥(30)의 밀폐가 더욱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록킹로드(61) 하단 중앙 내부에는 상하로 길게 압력홀(64)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홀(64)은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압력이 과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압력 상승에 따라 상기 록킹팁(63)이 상기 연결넥(30)을 밀폐하지 못하고 위로 밀려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1차 원심분리가 끝난 후 상기 록킹부(60)는 아래로 눌려져, 상기 록킹팁(63)이 상기 연결넥(30)에 안착되며 상기 제1챔버(10)와 제2챔버(20) 간의 공간을 차단하게 된다. 이후 2차 원심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 중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혈액에서 회전운동에 따른 압력상승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과압이 상기 록킹팁(63)을 상측으로 밀어버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분리된 혈액이 다시 섞이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며, 상기 압력홀(64)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록킹로드(61)의 상측에는 상기 록킹로드(61)가 상기 가이드홀(54)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도면부호 미표시)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록킹로드(61)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 또한 상기 록킹팁(63)이 상기 연결넥(30)을 안정되게 밀폐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의 문제점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원심분리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록킹부(60)는 눌려지며, 상기 제1챔버(10)와 제2챔버(20)의 공간이 차단되면 2차 원심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록킹부(60)를 누르는 동작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할 수 있으나, 1차 원심분리가 종료된 경우 자동으로 눌려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록킹장치(80)에 의하여 1차 원심분리, 록킹부(60)의 하강 및 1차 원심분리가 사람의 관여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자동록킹장치(80)는 제어부(81), 구동부(82) 및 누름부(83)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부(83)는 상기 록킹헤드(62)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록킹헤드(62)를 눌러 하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82)는 상기 누름부(83)가 하강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며, 구동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81)는 1차 원심분리가 종료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82)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1차 원심분리가 종료되는 신호는, 타이머에 의한 일정한 시간에 의해 주어지거나, 특정 rpm(revolution per minute) 및 시간이 주어질 수 있다. 대략 1800 rpm에서 12분 가량 행하여진 경우 1차 원심분리가 종료되며, 이러한 조건에서 상기 제어부(81)에 작동신호가 주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부(50)에 상기 록킹부(6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자동록킹장치(8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1차 원심분리 후 2차 원심분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분리과정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에서, 상기 하부덮개부(40)는, 상기 제1챔버(10) 하단 테두리에 결합되고 중앙에 조절홀이 마련되는 하부캡(41); 및 상기 하부캡(4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홀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조절구(4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용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덮개부(40)는 상기 하부캡(41)과 조절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조절판(42)이 배제되고, 상기 하부캡(41)과 조절구(43)만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구(43)는 상기 조절홀을 차폐하여 상기 제1챔버(10) 하단을 밀폐하도록 이루어지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캡(41)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조절구(43)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제1챔버(40) 내부의 용적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캡(41)과 조절구(4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일체형 분리장치(1)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장치(1)에서, 상기 하부덮개부(40)는, 상기 제1챔버(10) 하단 테두리에 결합되고 중앙에 조절홀(도면부호 미표시)이 마련되는 하부캡(41); 테두리가 상기 제1챔버(10)와 하부캡(41) 사이에 개재되어 밀착되고, 중앙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조절홀을 차폐하는 조절부(42a)가 구비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조절판(42); 상기 조절판(42)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캡(4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절부(42a)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조절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절구(43)와 하부캡(41)은 나사결합된다.
상기 하부덮개부(40)는 상기 제1챔버(10)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용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챔버(10)는 하단이 완전히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덮개부(40)가 상기 제1챔버(10)의 하단면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덮개부(40)는 하부캡(41), 조절판(42) 및 조절구(43)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판(42) 및 조절구(43)는 상기 하부캡(41)에 의하여 상기 하부덮개부(40)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캡(41)은 중앙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덮개부(40)에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캡(41)의 중앙 개구부가 상기 조절홀(도면부호 미표시)에 해당하며, 상기 조절홀에 상기 조절판(42)의 조절부(42a)가 위치한다. 상기 조절구(43) 또한 상기 하부캡(41)에 나사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하부캡(41)에는 두 개의 나사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판(42)은 상기 하부캡(41)과 제1챔버(10)의 하단 테두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제1챔버(10)의 하단을 밀폐한다. 상기 조절판(42)은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판(42)은 테두리가 상기 제1챔버(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은 하측으로 볼록한 반구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판(42)의 테두리는 상기 제1챔버(10)와 하부캡(41)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나, 상기 조절판(42)의 중앙은 형태가 가변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구(43)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절구(43)는 상기 하부캡(4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부캡(41)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절판(42)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구(43)의 상단이 상기 조절판(42)의 중앙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절구(43)의 중앙 하측에는 외부로 노출된 판형의 손잡이가 형성되며, 이 손잡이를 회전시켜 승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조절구(43)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절판(42)의 중앙 하단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절판(42)의 중앙은 위로 밀리게 된다.
1차 원심분리가 종료된 경우, 상기 제1챔버(10)의 내부에는 혈액 중 적혈구 부분만이 위치하여야 하며, 혈소판이 형성된 층이 위치하는 경우 분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혈소판의 정밀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덮개부(40)를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조절구(43)를 회전시켜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용적을 조절토록 하고 있다.
즉, 조절구(43)를 회전시켜 적혈구와 혈소판이 이루는 경계가 상기 제1챔버(10)의 상단에 인접하도록 조정하고, 이때 상기 록킹부(60)를 하강시켜 상기 제1챔버(10)와 제2챔버(20) 사이의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여 혈소판층을 적혈구층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하부덮개부(40)를,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용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판(42) 및 조절구(43)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투입된 혈액의 량 또는 분리된 혈액 성분 비율에 따라 혈소판을 매우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우수한 품질의 PRP를 얻을 수 있다.
1 : 일체형 분리장치 10 : 제1챔버
10a : 제1숄더 20 : 제2챔버
21 : 챔버코어 21a : 코어숄더
22 : 챔버바디 22a : 제2숄더
30 : 연결넥 40 : 하부덮개부
41 : 하부캡 42 : 조절판
42a : 조절부 43 : 조절구
50 : 상부덮개부 51 : 상부캡
51a : 제1관통공 51b : 제2관통공
52 : 주입막 53 :추출막
54 : 가이드홀 55 : 결합홈
60 : 록킹부 61 : 록킹로드
62 : 록킹헤드 63 : 록킹팁
64 : 압력홀 70 : 보강리브
80 : 자동록킹장치
100 : 주입용 주사기 200 : 추출용 주사기

Claims (18)

  1. 비중이 서로 다른 성분이 혼합된 물질에서 특정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리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혼합된 물질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챔버;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어 내부에 상기 혼합된 물질 중 일부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넥;
    상기 제1챔버의 하측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하부덮개부;
    상기 제2챔버의 상측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상부덮개부; 및
    상기 하부덮개부 또는 상부덮개부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넥의 내부를 밀폐하여 상기 혼합된 물질이 상기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넥은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보다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연결넥과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보다는 직경이 작고 상기 연결넥보다는 직경이 큰 챔버코어; 및
    상기 챔버코어 상측에 형성되되,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챔버바디;로 나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코어 중 일부는 상기 연결넥과 이어지는 부분에서 테이퍼지게 이루어져 코어숄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바디 중 일부는 상기 챔버코어와 이어지는 부분에서 테이퍼지게 이루어져 제2숄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중 일부는 상기 연결넥과 이어지는 부분에서 테이퍼지게 이루어져 제1숄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넥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제2챔버 및 연결넥은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부는,
    상기 제2챔버에 결합되고,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캡;
    상기 관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캡에 고정형성되고,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주입추출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부는,
    상기 제2챔버에 결합되고,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캡;
    상기 제1관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캡에 고정형성되고,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주입막;상기 제2관통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캡에 고정형성되고,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추출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상기 제2챔버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부 중앙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밀착되게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는 록킹로드;
    상기 록킹로드 상단에서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록킹헤드;
    상기 록킹로드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넥의 내부를 밀폐하는 록킹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로드 하단 중앙에는 상하로 길게 압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작동신호를 감지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록킹헤드를 가압하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록킹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부는,
    상기 제1챔버 하단 테두리에 결합되고 중앙에 조절홀이 마련되는 하부캡; 및
    상기 하부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홀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조절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 내부의 용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부는,
    상기 제1챔버 하단 테두리에 결합되고 중앙에 조절홀이 마련되는 하부캡;
    테두리가 상기 제1챔버와 하부캡 사이에 개재되어 밀착되고, 중앙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조절홀을 차폐하는 조절부가 구비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조절판;
    상기 조절판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절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와 하부캡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물질은 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장치.
KR1020100000391A 2010-01-05 2010-01-05 일체형 분리장치 KR101125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391A KR101125073B1 (ko) 2010-01-05 2010-01-05 일체형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391A KR101125073B1 (ko) 2010-01-05 2010-01-05 일체형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245A true KR20110080245A (ko) 2011-07-13
KR101125073B1 KR101125073B1 (ko) 2012-03-21

Family

ID=4491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391A KR101125073B1 (ko) 2010-01-05 2010-01-05 일체형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073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73B1 (ko) * 2011-10-10 2012-05-14 류종현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KR101250353B1 (ko) * 2011-10-19 2013-04-09 최득수 혈소판 축출 키트
WO2013085151A1 (ko) 2011-12-06 2013-06-13 Lee Bum Ha 원심분리기용 용기
WO2013100514A1 (ko) * 2011-12-26 2013-07-04 Son Younghee 혈액 검사용 용기
WO2013100700A1 (ko) * 2011-12-29 2013-07-04 (주)알메디카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WO2013141436A1 (ko) * 2012-03-19 2013-09-26 (주)세원메디텍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KR101313048B1 (ko) * 2013-04-09 2013-09-30 김준우 성분 분리기
KR101409443B1 (ko) * 2013-09-26 2014-06-20 김준우 성분 분리기
WO2014178570A1 (ko) * 2013-05-03 2014-11-06 (주)동구바이오제약 성분 분리기
WO2015037845A1 (ko) * 2013-09-11 2015-03-19 (주)동구바이오제약 성분분리기
EP2772311A4 (en) * 2011-12-06 2015-08-05 Bum Ha Lee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ORS
KR101632731B1 (ko) * 2015-03-12 2016-06-23 (주) 메트리젠 자가혈 피부재생 시술을 위한 버피코트 추출키트
JP2019122757A (ja) * 2018-01-12 2019-07-25 レヴ−メド株式会社Rev−Med, Inc. 体液分離装置
CN114423395A (zh) * 2019-09-18 2022-04-29 株式会社美迪爱 用于提取富血小板血浆的装置及利用其的提取方法
CN115445683A (zh) * 2022-09-24 2022-12-09 北京市美嘉亿盛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prp试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76B1 (ko) 2011-09-20 2013-07-09 호경에스엠티 주식회사 순수지방 및 자가 농축혈소판 추출장치
CN104884602A (zh) * 2012-12-27 2015-09-02 全玫墉 血沉棕黄层提取试剂盒
KR101493830B1 (ko) 2013-03-18 2015-02-24 주식회사 메디사랑 혈액성분 분리장치
US9168528B2 (en) 2013-04-02 2015-10-27 Alliance Partners, Llc Fluids concentration cup assembly with hourglass shape
KR102407040B1 (ko) * 2020-05-22 2022-06-08 황의재 원심분리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8393A (en) 1980-05-05 1981-05-19 The Institutes Of Medical Sciences Apparatus for centrifugal separation of platelet-rich plasma
US20020104808A1 (en) 2000-06-30 2002-08-08 Lou Blasetti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latelet rich plasma and/or platelet concentrate
KR101110576B1 (ko) * 2009-03-16 2012-02-15 주식회사 메디사랑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KR100917795B1 (ko) 2009-03-25 2009-09-21 김홍달 혈액 내 적혈구 분리 장치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73B1 (ko) * 2011-10-10 2012-05-14 류종현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KR101250353B1 (ko) * 2011-10-19 2013-04-09 최득수 혈소판 축출 키트
WO2013085151A1 (ko) 2011-12-06 2013-06-13 Lee Bum Ha 원심분리기용 용기
EP2772311A4 (en) * 2011-12-06 2015-08-05 Bum Ha Lee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ORS
CN103958069A (zh) * 2011-12-06 2014-07-30 李範夏 离心分离器用容器
JP2015502851A (ja) * 2011-12-06 2015-01-29 バム ハ リー, 遠心分離機用容器
WO2013100514A1 (ko) * 2011-12-26 2013-07-04 Son Younghee 혈액 검사용 용기
US20140371048A1 (en) * 2011-12-29 2014-12-18 Rmedica Co., Ltd. Integrated kit for separating blood and concentrating prp and method for extracting prp using the same
WO2013100700A1 (ko) * 2011-12-29 2013-07-04 (주)알메디카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US9757506B2 (en) 2011-12-29 2017-09-12 Rmedica Co., Ltd. Integrated kit for separating blood and concentrating PRP and method for extracting PRP using the same
WO2013141436A1 (ko) * 2012-03-19 2013-09-26 (주)세원메디텍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KR101313048B1 (ko) * 2013-04-09 2013-09-30 김준우 성분 분리기
WO2014168311A1 (ko) * 2013-04-09 2014-10-16 주식회사 동구바이오제약 성분 분리기
WO2014178570A1 (ko) * 2013-05-03 2014-11-06 (주)동구바이오제약 성분 분리기
WO2015037845A1 (ko) * 2013-09-11 2015-03-19 (주)동구바이오제약 성분분리기
KR101409443B1 (ko) * 2013-09-26 2014-06-20 김준우 성분 분리기
KR101632731B1 (ko) * 2015-03-12 2016-06-23 (주) 메트리젠 자가혈 피부재생 시술을 위한 버피코트 추출키트
JP2019122757A (ja) * 2018-01-12 2019-07-25 レヴ−メド株式会社Rev−Med, Inc. 体液分離装置
CN114423395A (zh) * 2019-09-18 2022-04-29 株式会社美迪爱 用于提取富血小板血浆的装置及利用其的提取方法
EP4032565A4 (en) * 2019-09-18 2023-10-04 Medisarang Co., Ltd. PLATELET-RICH PLASMA EXTRACTION DEVICE AND EXTRACTION METHOD USING SAME
CN115445683A (zh) * 2022-09-24 2022-12-09 北京市美嘉亿盛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prp试管
CN115445683B (zh) * 2022-09-24 2023-08-22 北京市美嘉亿盛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prp试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073B1 (ko)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073B1 (ko) 일체형 분리장치
KR101194044B1 (ko)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US11167292B2 (en) Centrifuge
KR101170028B1 (ko) 혈액 분리 장치
KR101162750B1 (ko)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KR101128163B1 (ko)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026599B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US8317672B2 (en) Centrifuge method and apparatus
KR20110009651A (ko)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1197974B1 (ko) 신속한 원심분리가 가능한 원심분리용 용기
KR101170146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장치
KR20100105282A (ko)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KR101179548B1 (ko) 성분 분리기
KR101197908B1 (ko) 원심분리용 용기
WO2014104640A1 (ko) 버피코트 추출키트
KR101504819B1 (ko) 원심분리용 용기
EP338013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uid components
US11660253B2 (en) Device for extracting platelet rich plasma
JP7388621B2 (ja) 幹細胞を含む体液抽出用バイオキット
KR101722223B1 (ko) 원심분리기
KR101489461B1 (ko) 자가혈 피부재생 시술을 위한 버피코트 추출키트
CN220176135U (zh) 一种血液prp分离提取瓶
KR101928515B1 (ko) 원심분리방법
KR102407040B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20200021033A (ko) 원심분리용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