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651A -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651A
KR20110009651A KR1020100140348A KR20100140348A KR20110009651A KR 20110009651 A KR20110009651 A KR 20110009651A KR 1020100140348 A KR1020100140348 A KR 1020100140348A KR 20100140348 A KR20100140348 A KR 20100140348A KR 20110009651 A KR20110009651 A KR 20110009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main body
stopper
receiving space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사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사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사랑
Priority to KR102010014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651A/ko
Publication of KR2011000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5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A61M1/369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with means for adding or withdrawing liquid substances during the centrifugation, e.g. continuous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15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으로부터 PRP를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혈액으로부터 PRP의 추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및 혈액농축용기에 의해 고농축된 PRP를 쉽게 추출할 수 있고 환자마다 농축의 정도가 다른 PRP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A blood separating vial, a blood concentrating vial for extracting platelet rich plasma and a method for extracting PR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농축된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이하, 'PRP'로 약칭함)을 쉽게 추출할 수 있고 환자마다 농축의 정도가 다른 PRP를 추출할 수 있는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PRP는 자신의 혈액을 원심분리 하여 적혈구(red blood cell)를 없애고 혈소판(platelet)과 성장인자(growth factor)가 풍부한 버피코트(buffy coat)층을 분리한 혈액으로 혈소판과 성장인자가 고농축 되어있다. PRP는 원래 혈관 안의 손상된 부분을 재건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장인자를 고농축하여 피부재생을 촉진 시키거나 증식치료(prolotherapy)와 같이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촉진제(stimulants)로 사용하여 피부나 조직(인대, 건)을 재건 재생하므로 관절염, 만성허리통증, 골반통, 어깨나 무릎인대 손상 등에 효과가 있다. 이럴 경우 기존의 프롤로테라피보다 조직 재생능력이 탁월하여 빠른 치유력을 보이며 자가 혈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이나 감염(infection)이 적다.
종래의 PRP 추출방법은 튜브형 시험관을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다음의 단계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9는 종래의 튜브형 시험관을 사용하여 PRP를 추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로부터 채취된 혈액을 튜브형 시험관(80)에 주입하고 혈액이 주입된 시험관(80)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원심분리의 수행이 완료되면 적혈구(6)는 시험관(80)의 아래부분으로 내려가고 혈장(7)이 적혈구(6)의 위쪽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시험관(80)의 내부로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적혈구의 위쪽에 위치한 혈장을 흡입하여 추출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혈장을 다시 한 번 원심분리하면 시험관의 가장 아래쪽에 PRP가 모이게 되고 PRP의 위쪽으로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poor plasma, 이하 'PPP'로 약칭함)을 포함한 혈장의 나머지 부분이 모인다. 이후 주사기를 사용하여 시험관의 위쪽에 위치한 PPP를 포함한 혈장의 나머지 부분을 흡입하여 시험관에서 배출한 후 시험관에 남은 PRP를 새로운 주사기로 추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튜브형 시험관을 사용하는 PRP 추출은 여러가지 단점을 가진다.
첫째, 적혈구와 분리된 혈장을 추출할 때에 적혈구가 함께 주사기로 흡입되지 않도록 적혈구와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부분까지의 혈장만을 추출하며 적혈구와 경계부분에 있는 혈장은 적혈구가 혈장을 따라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추출하지 못한다. 따라서 추출하지 않고 버려두는 혈장이 많다.
둘째, 혈장을 원심분리하여 PRP를 추출할 때에 PPP를 먼저 흡입하여 배출시켜야 하는데 PRP와 PPP의 사이의 경계층의 부분에서 PPP와 PRP를 정확하게 분리하기가 어렵다.
셋째, 버피코트(백혈구 연층)는 보통 혈액의 0.1%정도를 차지하여 매우 소량이므로 튜브형 시험관에서는 버피코트를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버피코트를 확인하더라도 버피코트를 적혈구와 분리하여 추출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으로부터 쉽고 정확하게 혈장 또는 PRP를 분리하고 농축할 수 있는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혈액분리용기 및 혈액농축용기를 이용하여 PRP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부수용공간과 상기 상부수용공간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상부수용공간과 상기 하부수용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는 상부마개; 및 상기 본체부의 아래에서 상기 본체부에 진퇴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수용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하부수용공간에 밀착하는 패킹부가 형성된 하부마개를 포함하는 혈액분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용공간의 하단부분은 아래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고, 상기 하부수용공간의 상단부분은 위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분리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혈액분리용기에서 상부마개에는 마개로 개폐가능한 한 쌍의 노출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마개는 상기 본체부와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본체부에 진퇴하는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마개의 상기 패킹부는 중앙부분에 상기 중앙부분의 주변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바늘침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상부수용공간과 상기 상부수용공간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상부수용공간과 상기 하부수용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위에서 상기 본체부에 진퇴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수용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병목부의 상기 통로를 막을 수 있는 폐쇄봉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마개 및 상기 본체부의 아래에서 상기 본체부에 진퇴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수용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하부수용공간에 밀착하는 패킹부가 형성된 하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마개의 상기 패킹부는 중앙부분에 상기 중앙부분의 주변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바늘침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농축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혈액농축용기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상부수용공간과 상기 하부수용공간의 사이에는 아래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역원추형의 중공구조이며 하단에 통로가 형성된 역원추형 경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ⅰ) 상기 혈액분리용기에 채취된 혈액을 주입하는 단계;
ⅱ) 상기 혈액분리용기를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분리하여 적혈구층와 혈장층을 분리시키는 단계;
ⅲ) 하부마개를 진퇴시켜 버피코트층이 병목부의 상단부근 또는 상부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적혈구층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ⅳ) 상기 상부수용공간에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버피코트를 포함한 혈장층을 추출하는 단계;
ⅴ) 상기 추출된 혈장층을 상부수용공간과 상기 상부수용공간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상부수용공간과 상기 하부수용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위에서 상기 본체부에 진퇴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수용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병목부의 상기 통로를 막을 수 있는 폐쇄봉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마개 및 상기 본체부의 아래에서 상기 본체부에 진퇴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수용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하부수용공간에 밀착하는 패킹부가 형성된 하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마개의 상기 패킹부는 중앙부분에 상기 중앙부분의 주변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바늘침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농축용기의 상부수용공간에 주입하는 단계;
ⅵ) 상기 혈액농축용기를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분리하여, 혈소판 풍부 혈장층(이하, 'PRP층'으로 약칭)과 혈소판 결핍 혈장층(이하, 'PPP층'으로 약칭)을 분리하는 단계;
ⅶ) 상기 혈액농축용기의 하부마개를 진퇴시켜 상기 PPP층이 상기 혈액농축용기의 상부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PRP 층이 상기 혈액농축용기의 하부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단계;
ⅷ) 상기 혈액농축용기의 상부마개를 하강시켜 폐쇄봉이 혈액농축용기의 병목부의 통로를 막도록 하는 단계; 및
ⅸ) 상기 혈액농축용기를 뒤집은 후 혈액농축용기의 하부마개에 주사기 바늘을 삽입하여 상기 PRP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으로부터 PRP 추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 및 혈액농축용기를 사용하면 원심분리 이후 하부수용공간과 상부수용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혈액을 미리 정해진 특정량만큼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의 상부수용공간과 하부수용공간이 병목부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병목부를 통해 적혈구와 혈장의 경계부분이나 또는 서로 다른 성분들의 경계부분이 매우 분명하게 보여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성분들을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병목부의 통로는 매우 작은 부피이지만 상하방향 길이는 길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성분들의 경계부분이 병목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하방향으로 긴 병목부의 구간에서 경계부분들이 위치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성분들의 경계부분이 병목부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하부마개를 돌려서 하부수용공간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경계부분을 병목부에 쉽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서로 다른 성분들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하부마개가 본체부와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마개의 1회전시 하부마개가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길이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하부수용공간의 부피를 매우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농축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농축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를 사용하여 혈액으로부터 적혈구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농축용기를 사용하여 혈장으로부터 농축된 PRP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농축용기를 사용하여 혈장으로부터 농축된 PRP를 추출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와 혈액농축용기를 사용하여 혈액으로부터 PRP를 추출하는 과정의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PRP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분리용기(1)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상부공간을 덮는 상부마개(20)와 본체부(10)의 하부공간을 덮는 하부마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는 대략 원통형의 상부수용공간(12)과 하부수용공간(13)을 가지며, 상부수용공간(12)과 하부수용공간(13)은 폭이 좁은 통로(16)가 형성된 병목부(15)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수용공간(12)은 하단에 인접한 부분이 아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하부수용공간(13)은 상단에 인접한 부분이 위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상부수용공간(12)은 하단에 인접한 부분이 아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하부수용공간(13)은 상단에 인접한 부분이 위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하부수용공간(13)의 상단에서부터 상부수용공간(12)은 하단의 사이의 상하구간의 부피가 다른 부분보다 작아서 적혈구와 혈장의 경계부분을 이루는 층의 상하두께가 더 커지므로 경계부분이 더 명확하게 잘 보인다.
상부마개(20)는 본체부(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본체부(10)의 상부를 덮는 마개이다. 상부마개(20)에는 2개의 노출공(23)들이 형성되고 각각의 노출공(23)은 노출공마개(24)를 구비한다.
하부마개(30)는 본체부(1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며, 하부마개(30)의 하단에는 본체부(10)의 하부수용공간(13)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부수용공간(13)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중공구조의 지지부(32)가 하부마개(30)의 하단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32)의 상단에는 본체부(10)의 하부수용공간(13)을 밀폐하는 패킹부(33)가 형성된다. 패킹부(33)는 본체부(10)의 하부수용공간(1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패킹부(33)의 둘레면이 하부수용공간(13)의 내측면에 밀착한다.
본체부(10)에 하부마개(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마개(30)에 형성된 패킹부(33)는 본체부(10)의 하부수용공간(13)을 아래방향에서 밀폐하고 있다. 하부마개(30)를 회전시켜서 하부마개(30)를 본체부(10)에 대하여 상승시키면 하부마개(30)와 함께 패킹부(33)가 상승하여 본체부(10)의 하부수용공간(13)의 부피를 감소시킨다. 하부마개(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마개(30)와 함께 패킹부(33)가 하강하여 본체부(10)의 하부수용공간(13)의 부피가 증가한다. 즉 하부마개(30)에 의해 본체부(10)의 하부수용공간(13)의 부피가 조절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농축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농축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농축용기(2)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부(50)와 본체부(50)의 상부수용공간(52)을 막는 상부마개(60)와 본체부(50)의 하부수용공간(53)을 막는 하부마개(70)로 구성된다.
본체부(50)의 상부수용공간(52)과 하부수용공간(53)은 대략 원통형이며, 상부수용공간(52)과 하부수용공간(53)은 역원추형 경계부(55)가 분리하고 있다. 역원추형 경계부(55)의 하단에는 통로(56)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수용공간(52)과 하부수용공간(53)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부수용공간(52)은 하단이 역원추형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며, 하부수용공간(53)은 상단이 상부수용공간(52)의 역원추형 공간을 둘러싸는 공간의 형상이다.
상부마개(60)는 본체부(5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본체부(50)의 상부를 덮는 마개이다. 상부마개(60)에는 2개의 노출공(63)들이 형성되고 각각의 노출공(63)은 노출공마개(64)를 구비한다.
하부마개(70)는 본체부(5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며, 하부마개(70)의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원주상의 걸림플랜지(72)가 형성되고, 걸림플랜지(72)에는 본체부(50)의 하부수용공간(53)을 아래방향에서 밀폐하도록 패킹부(73)가 결합된다. 패킹부(73)는 중앙부분에 주사기의 주사바늘이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바늘침투부(74)가 형성된다. 하부마개(70)는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본체부(50)는 외측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하부마개(70)가 본체부(50)의 하단을 외부에서 둘러싸고 있으므로 하부마개(70)를 손으로 잡고 돌리기에 편리하다. 또한 본체부(50)의 외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내측은 매끄러운 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마개(70)의 패킹부(73)는 본체부(5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므로 하부마개(70)의 패킹부(73)는 하부마개(70)의 나사선의 상하방향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하부마개(70)의 나사선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패킹부(73)를 포함하는 하부마개(70)의 상하방향 길이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본체부(50)에 상부마개(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마개(60)를 돌려서 본체부(50)의 위로 상부마개(60)를 상승시키면 상부마개(60)에 형성된 폐쇄봉(61)이 상부마개(60)와 함께 상승하면서 역원추형 경계부(55)의 통로(56)가 열려지게 된다. 상부마개(6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상부마개(60)를 하강시키면 폐쇄봉(61)이 함께 하강하여 경계부(55)의 통로(56)를 막게된다.
본체부(50)에 하부마개(7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마개(70)에 형성된 패킹부(73)는 본체부(50)의 하부수용공간(53)을 아래방향에서 밀폐하고 있다. 하부마개(70)를 회전시켜서 하부마개(70)를 본체부(50)에 대하여 상승시키면 하부마개(70)와 함께 패킹부(73)가 상승하여 본체부(50)의 하부수용공간(53)의 부피를 감소시킨다. 하부마개(7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마개(70)와 함께 패킹부(73)가 하강하여 본체부(50)의 하부수용공간(53)의 부피가 증가한다. 즉 하부마개(70)에 의해 본체부(50)의 하부수용공간(53)의 부피가 조절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와 혈액농축용기를 사용하여 혈액중에서 PRP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와 혈액농축용기를 사용하여 혈액으로부터 PRP를 추출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주사기로 혈액을 체취하기 전에 주사기로 항응고제를 흡입한다. 항응고제의 분량은 채취할 혈액의 양의 약 10%정도가 적당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응고제가 흡입된 주사기로 사람으로부터 혈액을 체취한다(S1).
혈액을 체취한 주사기의 주사바늘이 형성된 부분을 혈액분리용기(1)의 상부마개(20)의 하나의 노출공(23)을 열고서 그 노출공(23)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노출공(23)을 열고 주사기로 혈액분리용기(1)의 내부로 혈액을 주입한다.
이 때 하나의 노출공(23)에 주사바늘이 형성된 부분을 밀착시키는 것은 주사기에서 분출되는 혈액이 혈액분리용기(1)의 외부로 잘못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하나의 노출공(23)을 열어주는 것은 혈액이 혈액분리용기(1)의 내부로 주입될 때에 혈액분리용기(1)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서 주사기의 혈액이 원활하게 혈액분리용기(1)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를 사용하여 혈액으로부터 적혈구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으로 혈액분리용기(1)의 노출공(23)을 하나만 열어놓고 병목부(15)의 통로(16)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혈액(5)이 주입된 혈액분리용기(1)를 2000rpm의 속도로 약 2분 30초간 원심분리를 수행한다(S2). 이 때 적혈구(6)는 혈액분리용기(1)의 하부수용공간(13)으로 내려가고, 혈장(7)은 적혈구보다 위쪽인 병목부(15)에서부터 위쪽으로 위치한다. 원심분리를 한 상태에서 적혈구(6)를 제외한 혈장(7)이 혈액분리용기(1)의 병목부(15)의 위쪽에 모여있게 된 이유는 원심분리의 이전에 본체부(10)의 하부마개(30)를 조절하여 주입되는 혈액에서 혈장이 차지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하부수용공간(13)의 부피를 설정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더욱 더 정밀하게 혈장을 적혈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1차 원심분리가 완료된 혈액분리용기(1)의 하부마개(30)를 다시 한 번 조절하여 혈장과 적혈구의 경계부분을 병목부(15)의 위쪽인 상부수용공간(12)의 하단부근까지 밀어올린 후 2차로 다시 2000rpm으로 약 2분 30초간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혈액분리용기(1)의 하부마개(3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혈장과 적혈구의 경계부분을 다시 아래로 하강시키면 적혈구와 혈장의 사이에 위치한 버피코트(buffy coat)층(8)이 병목부(15)의 상단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버피코트층(8)이 병목부(15)의 상단부근에 위치한 상태에서 버피코트를 포함한 혈장(7)을 적혈구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는 상부마개(20)의 노출공(23)을 통해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혈액분리용기(1)의 상부수용공간(12)으로 삽입하여 버피코트층(8)을 포함하는 적혈구가 제거된 혈장(7)을 추출한다.
버피코트층이란 혈액을 원심분리하였을 때에 적혈구층 위에 생기는 담황색의 얇은 백혈구층을 의미한다. 혈액을 원심분리하였을 때에 가장 아래에 적혈구층이 위치하고, 그 위로 버피코트층이 위치하며, 그 위로 혈소판 풍부 혈장층(PRP, platelet rich plasma)이 위치하고, 그 위로 혈소판 결핍 혈장층(PPP, platelet poor plasma)이 위치한다.
그런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를 혈액농축용기(2)의 상부마개(20)의 노출공(23)에 삽입하여 혈액분리용기(1)로부터 추출한 버피코트를 포함하는 적혈구가 제거된 혈장(7)을 혈액농축용기(1)의 상부수용공간(12)으로 주입한다.
적혈구가 제거된 혈장을 혈액농축용기(2)의 내부로 주입하기 이전에 혈액농축용기(2)의 하부마개(70)를 조절하여 혈액농축용기(2)의 하부수용공간(53)의 부피를 혈액농축용기(2)의 내부로 주입된 혈장중에서 PRP가 차지하는 양만큼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농축용기를 사용하여 혈장으로부터 농축된 PRP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농축용기(2)로 혈장(7)을 주입한 후 상부마개(60)의 하나의 노출공(63)을 열어놓고 혈액농축용기(2)의 경계부(55)의 하단의 통로(56)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4000rpm의 속도로 5분간 원심분리를 수행한다(S3).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혈액농축용기(2)의 하부수용공간(53)에는 PRP(7a)가 모이게 된다. 원심분리가 완료된 후 상부마개를 돌려서 폐쇄봉(61)이 경계부(55)의 하단의 통로(56)를 막으면, 하부수용공간(53)에는 PRP(7a)만이 분리되어 존재하고 상부수용공간(52)에는 PPP층을 포함한 나머지 혈장(7b)이 위치한다.
도 7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농축용기를 사용하여 혈장으로부터 농축된 PRP를 추출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농축용기(2)의 상하를 뒤집어서 하부마개의 패킹부(73)의 바늘침투부(74)로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관통하여 혈액농축용기(2)의 하부수용공간(53)에 모여있는 PRP를 흡입하여 추출한다(S4).
PRP를 추출할 때에 혈액농축용기(2)의 상하를 뒤집으면 하부수용공간(53)의 상하가 뒤집어져서 원추형 경계부(55)를 둘러싼 부분이 아래로 위치하게 되어 하부수용공간(53)의 아래바닥의 면적이 좁아지게 되어 PRP가 아래로 잘 모이게 되므로 PRP를 추출하기가 쉬워진다.

Claims (4)

  1. 상부수용공간과 상기 상부수용공간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상부수용공간과 상기 하부수용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는 상부마개; 및
    상기 본체부의 아래에서 상기 본체부에 진퇴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수용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하부수용공간에 밀착하는 패킹부가 형성된 하부마개를 포함하는 혈액분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용공간의 하단부분은 아래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고, 상기 하부수용공간의 상단부분은 위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분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개에는 마개로 개폐가능한 한 쌍의 노출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분리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마개는 상기 본체부와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본체부에 진퇴하는 길이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분리용기.
  4. ⅰ)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혈액분리용기에 채취된 혈액을 주입하는 단계;
    ⅱ) 상기 혈액분리용기를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분리하여 적혈구층와 혈장층을 분리시키는 단계;
    ⅲ) 하부마개를 진퇴시켜 버피코트층이 병목부의 상단부근 또는 상부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적혈구층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ⅳ) 상기 상부수용공간에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버피코트를 포함한 혈장층을 추출하는 단계;
    ⅴ) 상기 추출된 혈장층을 상부수용공간과 상기 상부수용공간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상부수용공간과 상기 하부수용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위에서 상기 본체부에 진퇴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수용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병목부의 상기 통로를 막을 수 있는 폐쇄봉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마개 및 상기 본체부의 아래에서 상기 본체부에 진퇴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수용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하부수용공간에 밀착하는 패킹부가 형성된 하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마개의 상기 패킹부는 중앙부분에 상기 중앙부분의 주변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바늘침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농축용기의 상부수용공간에 주입하는 단계;
    ⅵ) 상기 혈액농축용기를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분리하여, 혈소판 풍부 혈장층(이하, 'PRP층'으로 약칭)과 혈소판 결핍 혈장층(이하, 'PPP층'으로 약칭)을 분리하는 단계;
    ⅶ) 상기 혈액농축용기의 하부마개를 진퇴시켜 상기 PPP층이 상기 혈액농축용기의 상부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PRP 층이 상기 혈액농축용기의 하부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단계;
    ⅷ) 상기 혈액농축용기의 상부마개를 하강시켜 폐쇄봉이 혈액농축용기의 병목부의 통로를 막도록 하는 단계; 및
    ⅸ) 상기 혈액농축용기를 뒤집은 후 혈액농축용기의 하부마개에 주사기 바늘을 삽입하여 상기 PRP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으로부터 PRP 추출방법.
KR1020100140348A 2010-12-31 2010-12-31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Ceased KR20110009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348A KR20110009651A (ko) 2010-12-31 2010-12-31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348A KR20110009651A (ko) 2010-12-31 2010-12-31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699A Division KR101110576B1 (ko) 2009-03-16 2009-03-26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51A true KR20110009651A (ko) 2011-01-28

Family

ID=4361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348A Ceased KR20110009651A (ko) 2010-12-31 2010-12-31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651A (ko)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163B1 (ko) * 2011-09-22 2012-03-23 황의재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140551B1 (ko) * 2011-09-20 2012-05-02 (주) 메트리젠 자가혈 피부재생 시술을 위한 버피코트추출키트
KR101145173B1 (ko) * 2011-10-10 2012-05-14 류종현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KR101277993B1 (ko) * 2013-04-11 2013-06-27 황의재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WO2013055070A3 (ko) * 2011-10-10 2013-07-04 Reu Jong-Hyun 혈장 추출 키트
WO2013100700A1 (ko) * 2011-12-29 2013-07-04 (주)알메디카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1279652B1 (ko) * 2013-04-11 2013-07-05 (주) 굿모닝 바이오 응고 촉매체를 구비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이를 이용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 및 응고방법
WO2013141436A1 (ko) * 2012-03-19 2013-09-26 (주)세원메디텍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KR200471024Y1 (ko) * 2013-08-21 2014-01-27 황의재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기
KR200471027Y1 (ko) * 2013-10-28 2014-01-27 황의재 응고 촉매체를 구비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기
WO2014104640A1 (ko) * 2012-12-27 2014-07-03 Jeon Min-Yong 버피코트 추출키트
KR101416481B1 (ko) * 2013-06-04 2014-07-14 김홍 고농도의 혈소판을 포함하는 혈소판농축섬유소의 추출 및 절단방법
WO2014168409A1 (ko) * 2013-04-11 2014-10-16 (주)굿모닝바이오 자가 혈소판 추출을 위한 혈액 분리 용기
KR101489461B1 (ko) * 2013-05-15 2015-02-03 (주) 메트리젠 자가혈 피부재생 시술을 위한 버피코트 추출키트
WO2015178709A1 (ko) * 2014-05-23 2015-11-26 (주)라온 피알피 추출키트
KR101601255B1 (ko) * 2015-03-24 2016-03-08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소판 농축 혈장의 분리 장치
KR20170002162A (ko) * 2015-06-29 2017-01-06 노정자 혈액 분리 키트 및 혈액 분리 방법
CN107377238A (zh) * 2017-08-15 2017-11-24 维堪医美(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富血小板血浆分离提取装置
KR101979382B1 (ko) * 2018-11-30 2019-05-17 (주)레보메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체액세포 분리 및 농축키트
CN110064230A (zh) * 2019-05-31 2019-07-30 朱德新 一种富血小板血浆采集分离容器
CN110252525A (zh) * 2019-04-22 2019-09-20 福州比华利美容医院有限公司 血液成分分离器具
KR20200037973A (ko) 2018-10-02 2020-04-10 김동석 혈액 처리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액 처리방법
KR102175581B1 (ko) * 2019-09-18 2020-11-09 주식회사 메디사랑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WO2020234623A1 (en) * 2019-05-20 2020-11-26 Ghanbari Ahmad Apparatus and equipment for the extraction of platelet-rich plasma (prp) from blood
KR20210072633A (ko) * 2019-12-09 2021-06-17 문상호 다중 혈액유로를 갖는 혈소판 활성화 키트
CN114100871A (zh) * 2021-11-21 2022-03-01 黄红 血液分离器具

Cited B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51B1 (ko) * 2011-09-20 2012-05-02 (주) 메트리젠 자가혈 피부재생 시술을 위한 버피코트추출키트
WO2013042862A1 (ko) * 2011-09-22 2013-03-28 Hwang Eui Jae 자가 혈소판 추출을 위한 혈액 분리 용기 및 자가 혈소판 추출 장치
KR101128163B1 (ko) * 2011-09-22 2012-03-23 황의재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145173B1 (ko) * 2011-10-10 2012-05-14 류종현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WO2013055070A3 (ko) * 2011-10-10 2013-07-04 Reu Jong-Hyun 혈장 추출 키트
CN103842001A (zh) * 2011-12-29 2014-06-04 阿梅迪卡株式会社 用于血液分离及prp浓缩的一体型试剂盒及提取方法
US9757506B2 (en) 2011-12-29 2017-09-12 Rmedica Co., Ltd. Integrated kit for separating blood and concentrating PRP and method for extracting PRP using the same
WO2013100700A1 (ko) * 2011-12-29 2013-07-04 (주)알메디카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WO2013141436A1 (ko) * 2012-03-19 2013-09-26 (주)세원메디텍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WO2014104640A1 (ko) * 2012-12-27 2014-07-03 Jeon Min-Yong 버피코트 추출키트
US9775942B2 (en) 2012-12-27 2017-10-03 Min-Yong Jeon Buffy coat extraction kit
US9421319B2 (en) 2013-04-11 2016-08-23 Good Morning Bio Co., Ltd. Blood separation container for extracting self-platelet
WO2014168409A1 (ko) * 2013-04-11 2014-10-16 (주)굿모닝바이오 자가 혈소판 추출을 위한 혈액 분리 용기
KR101279652B1 (ko) * 2013-04-11 2013-07-05 (주) 굿모닝 바이오 응고 촉매체를 구비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이를 이용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 및 응고방법
KR101277993B1 (ko) * 2013-04-11 2013-06-27 황의재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489461B1 (ko) * 2013-05-15 2015-02-03 (주) 메트리젠 자가혈 피부재생 시술을 위한 버피코트 추출키트
KR101416481B1 (ko) * 2013-06-04 2014-07-14 김홍 고농도의 혈소판을 포함하는 혈소판농축섬유소의 추출 및 절단방법
KR200471024Y1 (ko) * 2013-08-21 2014-01-27 황의재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기
KR200471027Y1 (ko) * 2013-10-28 2014-01-27 황의재 응고 촉매체를 구비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기
WO2015178709A1 (ko) * 2014-05-23 2015-11-26 (주)라온 피알피 추출키트
KR20150134894A (ko) * 2014-05-23 2015-12-02 주식회사 라온 Prp 추출키트
US10058799B2 (en) 2014-05-23 2018-08-28 Laon Co., Ltd. PRP extraction kit
KR101601255B1 (ko) * 2015-03-24 2016-03-08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소판 농축 혈장의 분리 장치
KR20170002162A (ko) * 2015-06-29 2017-01-06 노정자 혈액 분리 키트 및 혈액 분리 방법
CN107377238A (zh) * 2017-08-15 2017-11-24 维堪医美(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富血小板血浆分离提取装置
KR20200037973A (ko) 2018-10-02 2020-04-10 김동석 혈액 처리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액 처리방법
KR101979382B1 (ko) * 2018-11-30 2019-05-17 (주)레보메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체액세포 분리 및 농축키트
CN110252525A (zh) * 2019-04-22 2019-09-20 福州比华利美容医院有限公司 血液成分分离器具
WO2020234623A1 (en) * 2019-05-20 2020-11-26 Ghanbari Ahmad Apparatus and equipment for the extraction of platelet-rich plasma (prp) from blood
CN110064230A (zh) * 2019-05-31 2019-07-30 朱德新 一种富血小板血浆采集分离容器
KR102175581B1 (ko) * 2019-09-18 2020-11-09 주식회사 메디사랑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WO2021054667A1 (ko) * 2019-09-18 2021-03-25 주식회사 메디사랑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US11660253B2 (en) 2019-09-18 2023-05-30 Medisarang Co., Ltd. Device for extracting platelet rich plasma
KR20210072633A (ko) * 2019-12-09 2021-06-17 문상호 다중 혈액유로를 갖는 혈소판 활성화 키트
CN114100871A (zh) * 2021-11-21 2022-03-01 黄红 血液分离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9651A (ko)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1110576B1 (ko)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KR101194044B1 (ko)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1125073B1 (ko) 일체형 분리장치
KR101049201B1 (ko)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KR101406574B1 (ko) 혈액의 혈소판 농축 혈장 분리용 수집용구
JP2015502851A (ja) 遠心分離機用容器
WO2012121452A1 (ko) 혈액 분리 및 농축 용기
KR101333789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CN113456910A (zh) 一种采用物理(冷冻)抗凝的富血小板血浆采集分离装置
CN106310720A (zh) 一种富血小板血浆分离器
EP4032565B1 (en) Device for extracting platelet-rich plasma and extraction method using same
KR101267379B1 (ko) 혈장 추출 키트
KR101225664B1 (ko) 피알피 클롯을 이용한 피브린 생성방법
JP7388621B2 (ja) 幹細胞を含む体液抽出用バイオキット
KR102218140B1 (ko) 원심분리기용 일체형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혈액 원심분리방법
KR20180025656A (ko) 골수 및 혈액 농축키트
KR200455871Y1 (ko) 혈액분리기
KR20200021033A (ko) 원심분리용기 조립체
KR101145173B1 (ko)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KR20200037973A (ko) 혈액 처리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액 처리방법
KR20130005456A (ko) 치료용 혈소판 농축 혈장 분리용 주사기
KR101130341B1 (ko) 플라즈마 겔을 이용한 생체필러 제조방법
KR20180050260A (ko) 골수 및 혈액 농축키트
KR101990633B1 (ko) 혈소판 농축 물질 추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23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09032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09002569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906

Appeal identifier: 2011101009187

Request date: 201111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128

Effective date: 2012090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90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11128

Decision date: 20120906

Appeal identifier: 201110100918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12090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20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125

Appeal identifier: 2012201009068

Request date: 20121008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130125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21008

Decision date: 20130125

Appeal identifier: 2012201009068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