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173B1 -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 Google Patents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5173B1 KR101145173B1 KR1020110102863A KR20110102863A KR101145173B1 KR 101145173 B1 KR101145173 B1 KR 101145173B1 KR 1020110102863 A KR1020110102863 A KR 1020110102863A KR 20110102863 A KR20110102863 A KR 20110102863A KR 101145173 B1 KR101145173 B1 KR 1011451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ntrifuge tube
- tube
- prp
- extraction kit
- inner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1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by centrifugation ; Cycl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rotatably mounted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2—Separating microorganisms from the culture medium; Concentration of biom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을 분리하여 그중 PRP 성분을 추출하는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혈액을 담아 원심분리기에 넣어 1차 원심분리를 하는 1차 원심분리관; 상하 부위가 깔대기 모양의 테이퍼부가 형성되어있고, 중앙은 모세관으로 상하 부위가 관통되어 있으며 상부의 실린더 덮개까지 뻗어있는 두 개의 날개가 있는 내부관; 내부관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고안된 나사식 덮개; 그리고 1차 원심분리관에서 추출한 혈청을 담아 2차 원심분리를 하기 위해 고안된 상부는 1차 원심분리관과 외경이 동일하나 그 하부의 모양이 깔대기 모양으로 좁아지다가 일정 길이의 모세관이 되고 끝은 원뿔형 첨단부로 되어있는 2차 원심분리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혈장추출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액의 특정 성분을 분리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추출하고자 하는 특정성분의 농축율과 순도를 높이기 위해 고안된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추출키트에 관한 것이다. 혈액 속에 있는 혈구세포들은 비중이 서로 다른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인데, 이를 원심분리 하게 되면 각각 종류별로 층을 이루어 모이게 된다. 이중 혈소판이 모여있는 혈장층을 추출해야 하는데 본 기구를 이용하면 기존의 장치보다 더욱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혈구 세포들이 포함되지 않는 순수한 혈소판 혈장을 고농도로 추출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혈액에 소량으로 들어있는 혈소판이 조직의 재생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퇴행성 변화로 인해 마모된 조직에 고농도로 농축된 혈소판 혈장을(PRP, Platelet Rich Plasma 혈소판 풍부 혈장, 이하 'PRP'라 한다) 투여함으로서 조직을 재생하는 치료방법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피부미용 및 피부 치료에도 적용되는 등 PRP투여는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는 치료방법이다.
혈소판이 재생효과를 나타내는 이유는 혈소판 세포 내에는 성장인자가 풍부하게 함유 되어있기 때문이다. 고농도의 혈소판을 치료부위에 주입하게 되면 혈소판의 성장인자들이 줄기세포를 활성화시켜 손상된 조직을 다시 생성하도록 하게 한다. PRP의 농축율이 높을수록 치료효과는 증대된다.
PRP를 추출하는 과정은 먼저 인체에서 혈액을 채혈하여 원심분리 한다. 혈액속에 는 여러 세포들이 혼재되어 있는데 원심분리를 하게 되면 동종의 세포들끼리 모이게 되고 비중에 따라 각각 층을 이루게 된다. 혈액의 구성은 용액성분과 혈구성분(알갱이 세포)으로 되어 있는데 혈구 성분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및 극소량의 항체들이 있으며, 이러한 혈구 세포들이 0.9%의 염도를 가진 용액 속에서 섞여서 떠다니고 있다. 이중 혈구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적혈구이다.
혈액을 원심분리하면 3개 층으로 분리가 되는데 비중이 가장 무거운 적혈구들는 원심 분리관의 제일 하부에 모이게 되고, 그 바로 윗층에 혈소판 및 백혈구들이 모여 얇은 층을 이루게 되며, 그 위쪽으로 나머지 알갱이가 거의 없는 용액 성분들이 위치하게 된다. 혈소판 및 백혈구들이 집중적으로 모여있는 가운데 얇은층을 PRP이라 명명하며 그 위쪽의 혈구 알갱이가 없이 용액으로만 이루어진 혈장층을 PPP(Platelet Poor Plasma, 혈소판 결핍 혈장, 이하 'PPP'라 한다) 라고 명명한다. 이중 PRP층을 선별추출하기 위한 여러 기구들,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PRP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고자 지금까지 많은 기구들이 고안되었으나 실제 임상에서 사용해 보면 아직도 순도 높은 PRP추출이 그리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포함되지 않아야 할 적혈구가 포함되어 추출되는 문제가 있고, 추출하는 과정이 매우 정밀하여 추출자에 따라서 PRP의 농도가 일정하지 않아 정도 관리상의 편차가 있으며, 추출과정이 섬세한 조작을 필요하다 보니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추출된 PRP의 농축율을 필요에 따라 고농도에서 저농도까지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기존의 PRP 추출용 원심분리관의 가격이 매우 고가인 문제들이 있다.
혈액을 원심분리 하면 두가지 특징이 나타나는데 첫째는 원심분리 후 PRP는 아주 얇은 두께를 가진 층으로 나타나며, 바로 아래의 적혈구 층 전체에 얇고 넓게 도포되어 있는 모습으로 보이게 된다. 둘째는 제일 하부에 모이게 되는 적혈구층의 두께는 사람에 따라 다른데, 적혈구가 혈액 전체의 용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게는 25%에서 많게는 50%까지 넓은 편차를 보이고 있다. 위의 두가지 이유로 인해 순도높은 PRP를 추출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적혈구층 최상단 위에 얇게 퍼져있는 PRP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시험관 안으로 니들을 넣고 니들의 끝부분을 PRP층에 닿게 하여 흡입하는 방식으로 추출하게 되는데 이때 적혈구층의 상단부위를 긁어가며 추출할 수 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적지않은 적혈구들이 PRP와 함께 빨려 들어오게 되고, 이 적혈구들은 환자에게 시술할 때 PRP와 함께 조직에 주입되게 된다.
PRP에 빨려 들어온 적혈구들은 두가지 문제를 야기하는데 첫 번째는 그 적혈구 양이 많을수록 PRP의 농축율이 저하되어 치료효과를 떨어뜨리게 되며, 두 번째는 시술 후 환자들이 시술부위에 격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원인이 된다. 순수한 PRP를 주입해도 치료 후에 통증이 어느 정도 동반되는데 짧게는 1일, 길게는 1주일까지도 지속 되며 심할 경우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적혈구들이 같이 주입되게 되면 통증은 더욱 심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PRP 추출시 가능한 한 적혈구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을 동원하고 있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이 PRP층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되는 부분의 원심분리관 직경을 작게 만들어 줄어든 단면적에 비례하여 PRP가 두껍게 쌓이게 하여 적혈구층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인 뒤 추출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때 한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서로 다른 사람에게서 동일한 양의 혈액을 채혈하여 원심관에 넣어 원심분리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적혈구의 양이 사람마다 다름으로 인해 하부 적혈구층의 두께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PRP가 형성될 것으로 예측한 부위에 원심분리 후 PRP가 실제로 위치하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래서 분리장치 하부의 적혈구층의 높이를 조절하여 PRP를 직경이 좁은 넥부위에 위치하도록 해주는 보정 장치가 수반되어야 하는데 통상 원심분리관의 하부에 나사 형태로 되어있는 마개를 상황에 따라 잠금 방향이나 푸는 방향으로 돌리면서 적혈구층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원심분리관은 3000-4000RPM의 고속회전시 원심관 하부에는 혈액의 엄청난 탈출 압력이 걸리게 되어 나사부위를 통하여 혈액이 흘러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때문에 누액 방지를 위한 추가 부품들과 정밀한 구조 제작이 필요하게 되고 이는 제작단가 상승으로 이어져 원심분리관의 가격이 고가가 될 수밖에 없으며 결과적으로 최종 치료금액도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고안된 추출 장치들도 실제 임상에서 사용해 보면 넥 부분의 길이가 짧아서 PRP를 이 부분에 정확히 위치하게 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우며 하부의 나사장치를 돌려 층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PRP층이 어느 정도 흩어져 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상의 문제를 보완하여 종래에 개발된 PRP 추출장치보다 추출된 PRP가 순도성과 농축율은 증가 되고, 추출 조작의 용이성은 더 개선되며, 제작단가는 경감될 수 있는 혈장 추출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장치는 모양이 다른 두개의 원심관 실린더로 제공이 되며 각각 1차 원심분리관, 2차 원심분리관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각각의 모양이 추출과정에서 용이하게 사용되도록 고안된 상태로 제공된다.
각 원심분리관의 입구는 덮개(40, 40')에 의해 밀폐되고, 덮개의 중앙부위는 주사바늘이 들어갈 수 있는 천공 구멍(42, 42')이 형성되어있고, 상부 덮개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천공구멍을 통해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혈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 감염으로부터 안전하도록 상기 덮개는 연질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원심관 덮개는 원심분리관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 있는데 그 표면은 나사산(41, 41')이 형성되어 있다.
1차 원심분리관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관(20)이 삽입되어 있으며 그 내부관(20)의 중앙에는 상기 내부관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길고 좁은 직경의 모세관(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모세관의 위쪽과 아래쪽 끝부분에서는 직경이 점점 좁아지거나 점차 넓어지는 깔대기 모양의 테이퍼부(2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 원심분리관과 상기 내부관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 모세관에 있는 혈액 성분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삽입된 상기 내부관은 원심분리관의 내경과 정확하게 외접하여 밀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깔대기 모양의 테이퍼부의 경사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다르게 설계되어 있다.
상술한 상기 내부관의 상단부에는 두 개의 폭이 좁고 긴 막대기 형태의 날개(24)가 위로 뻗어있는데 상기 덮개까지 이르고 있으며 그 끝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체결돌기(25)가 형성되어 덮개 하단부의 나사산(26)에 물릴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덮개(40)를 돌리게 되면 날개에 연결된 하부의 상기 내부관이 덮개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면서 높이가 변하게 된다. 덮개의 측면은 회전시 마찰력을 높이기위해 요철(43)로 되어있다
상기 내부관은 덮개에 날개로 연결되어 있을 때 1차 원심관의 바닥면까지 내려와 있지 않고 중간에 떠있는 상태이다. 상기 내부관이 위치하는 부분의 실린더 상단, 하단에는 일정 거리만큼 간격을 두고 걸림턱(27)이 만들어져 있어 원통구조물이 바닥에 닿거나 위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계를 두고 있는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내부관의 하부 공간(30)은 원심분리시 적혈구가 모이는 공간이며 각 사람의 적혈구 양의 다양성을 계산하여 적절한 용량의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2차 원심분리관(2)은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상부보다 직경이 작은 좁은 제 2 모세관(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모세관(71)의 끝단부분에는 원뿔형으로 되어 직경이 더 작아지다가 끝은 꼭지점으로 끝나는 첨단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순도 높은 고농도의 PRP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고, 추출 과정에서 적혈구를 거의 배제하고 추출할 수 있으며, 조작자에 따른 정도 편차가 적고 추출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원심분리관의 제작단가를 낮추어 시술자들의 치료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혈장추출키트를 이용하여 PRP를 추출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모세관이 상하에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중앙부분이 기다랗게 형성되어 있어 적혈구양의 변화에 따른 편차를 대부분 수용할 수 있어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기 때문에 PRP를 추출하는 시간이 단축이 된다.
둘째 적혈구량의 변화가 편차를 벗어나게 되어 PRP가 기다랗게 형성된 모세관의 수용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실린더 덮개를 돌려 높이 조정을 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2차 보정장치가 있다. 이때에도 모세관이 길므로 시술자의 조작 오차 범위가 넓어 추출이 용이하고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1차 원심분리 후 PRP, PPP를 추출할 때 같이 포함되어 추출할 수 밖에 없는 소량의 적혈구는 2차 원심분리관을 통해 배제할 수 있으므로 적혈구가 포함되지 않는 순도높은 PRP를 추출할 수 있다.
넷째 고안된 2차 원심분리관을 사용하게 되면 상술한 대로 PRP의 농축율 조절이 가능하다
다섯째 1차, 2차 원심분리관 모두 뚜껑을 열지 않고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외부 감염에 대해 안전하다.
여섯째 원심분리 때 가장 많은 탈출 압력이 걸리는 원심분리관의 하부가 연결부위가 없는 밀폐형으로 되어있어 혈액 누출의 위험이 없다
일곱째 하부에 높이 조절용 나사가 달려있는 기존의 혈액 분리 장치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적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1차 원심분리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1차 원심 분리관의 내부에 삽입하는 내부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1차 원심분리 후 나타나는 혈액층의 단면도,
도 5는 1차 PRP 및 PPP 추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1차 원심분리 후 적혈구 과다 혈액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1차 원심분리 후 적혈구 과소 혈액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2차 원심분리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2차 원심분리 후 나타나는 혈액층의 단면도,
도 10은 상층의 PPP를 추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남은 소량의 PPP, PRP, 소량의 적혈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최종적인 PRP를 추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1차 원심분리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1차 원심 분리관의 내부에 삽입하는 내부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1차 원심분리 후 나타나는 혈액층의 단면도,
도 5는 1차 PRP 및 PPP 추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1차 원심분리 후 적혈구 과다 혈액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1차 원심분리 후 적혈구 과소 혈액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2차 원심분리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2차 원심분리 후 나타나는 혈액층의 단면도,
도 10은 상층의 PPP를 추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남은 소량의 PPP, PRP, 소량의 적혈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최종적인 PRP를 추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PRP를 추출하기 위한 원심분리는 통상적으로 2차례를 실시한다. 1차 원심분리 후 상층의 혈장과 하층의 적혈구 비율을 측정하고 그 위치를 조절한 뒤 2차 원심분리를 실시하는데 지금까지 개발된 제품들은 일체형 원심관에서 2차례 모두 실행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는 1차 원심분리와 2차 원심분리를 각기 다른 원심분리관에서 시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각 원심분리관의 입구는 덮개(40, 40')에 의해 밀폐되고, 덮개의 중앙부위는 주사바늘이 들어갈 수 있는 천공 구멍(42, 42')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천공구멍을 통해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혈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 감염으로부터 안전하도록 상기 덮개는 연질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원심분리관 덮개는 원심분리관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 있는데 그 표면은 나사산(41, 41')이 형성되어 있다.
PRP를 추출하기 위한 원심분리는 통상적으로 2차례를 실시한다. 1차 원심분리 후 상층의 혈장과 하층의 적혈구 비율을 측정하고 그 위치를 조절한 뒤 2차 원심분리를 실시하는데 지금까지 개발된 제품들은 일체형 원심관에서 2차례 모두 실행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는 1차 원심분리와 2차 원심분리를 각기 다른 원심분리관에서 시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각 원심분리관의 입구는 덮개(40, 40')에 의해 밀폐되고, 덮개의 중앙부위는 주사바늘이 들어갈 수 있는 천공 구멍(42, 42')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천공구멍을 통해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혈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 감염으로부터 안전하도록 상기 덮개는 연질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원심분리관 덮개는 원심분리관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 있는데 그 표면은 나사산(41, 41')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의 적혈구의 양은 각각 다르므로 이 편차의 범위를 수용해서 수월한 추출을 하도록 고안된 것이 1차 원심분리관(1)이다.
1차 원심분리관(1)은 위에서부터 상부공간(10), 내부관(20), 하부공간(30)으로 나뉘어진다. 원심분리 후 상부공간(10)은 혈장이 모이는 구간이고, 하부공간(30)은 적혈구가 모이는 공간이며, 내부관(20)은 두 층의 경계부위를 이루도록 설계되어있다. 내부관의 상단(21)과 하단이 직경이 점차 작아지거나 점차 커지는 깔대기 모양의 테이퍼부(21, 22)가 형성되어 원심 분리시 혈구 성분들이 잘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1차 원심분리관과 상기 내부관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 모세관에 있는 혈액 성분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삽입된 상기 내부관은 원심분리관의 내경과 정확하게 외접하여 밀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깔대기 모양의 테이퍼부의 경사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다르게 설계되어 있다.
상술한 상기 내부관의 상단부에는 두 개의 폭이 좁고 긴 막대기 형태의 날개(24)가 위로 뻗어있는데 상기 덮개까지 이르고 있으며 그 끝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체결돌기(25)가 형성되어 덮개 하단부의 나사산(26)에 물릴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덮개(4)를 돌리게 되면 날개에 연결된 하부의 상기 내부관이 덮개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면서 높이가 변하게 된다. 덮개의 측면은 회전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요철(43)로 되어있다.
상기 1차 원심분리관과 상기 내부관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 모세관에 있는 혈액 성분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삽입된 상기 내부관은 원심분리관의 내경과 정확하게 외접하여 밀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깔대기 모양의 테이퍼부의 경사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다르게 설계되어 있다.
상술한 상기 내부관의 상단부에는 두 개의 폭이 좁고 긴 막대기 형태의 날개(24)가 위로 뻗어있는데 상기 덮개까지 이르고 있으며 그 끝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체결돌기(25)가 형성되어 덮개 하단부의 나사산(26)에 물릴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덮개(4)를 돌리게 되면 날개에 연결된 하부의 상기 내부관이 덮개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면서 높이가 변하게 된다. 덮개의 측면은 회전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요철(43)로 되어있다.
상기내부관이 상기 1차 원심분리관의 바닥까지 내려가거나 위쪽으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1차 원심분리관의 내부에는 함몰된 걸림턱(27)이 만들어져 있다.
또한, 상기 1차 원심분리관은 평균 적혈구량을 기준으로 전체의 상위 및 하위 80-90%의 분포도를 보이는 범위의 적혈구가는 하부공간(30) 및 상기 내부관의 좁고 길다란 모세관(23)에 수용될 수 있도록 용량이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1차 원심분리를 하고 나면 적혈구 최상층의 위치가 모세관내의 어느 한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 바로 위쪽으로 PRP가 원심분리관의 단면적이 적어진 만큼 밀집되어 두껍게 쌓여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내부관의 높이 조절이 필요없이 바로 니들을 삽입하여 PRP를 포함한 그 위쪽의 PPP를 모두 한꺼번에 추출한다.
이 때 적혈구 상층면과 PRP 하층면의 경계부위에서는 적혈구와 혈소판 두 종류의 혈구가 서로 얽혀있는데 이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가능한 한 적혈구를 포함하지 않고 추출하기 위해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며, 조작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추출액의 품질에 편차가 생기게 된다. 적혈구를 흡입하지 않기 위해서는 경계면에서 적혈구와 엉켜있는 상당량의 혈소판 추출을 포기해야 하고, 혈소판의 추출율을 높이고 싶으면 어쩔수 없이 적혈구를 같이 흡입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장치에서는 2차례의 공정을 통해 흡입된 적혈구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상층의 적혈구층을 포함하여 경계부위의 PRP와 함께 모든 PRP 및 PPP를 신속하게 흡입하면 되고 이로서 1차 원심분리관에서의 공정은 끝이 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 원심분리 후 사람에 따라 과도하게 많은 적혈구나 과소한 적혈구로 인해 기다란 모세관이 수용하지 못하는 범위에 있게 되면 상기 덮개(41)를 돌려 상기 내부관의 높이를 조절하여 PRP층을 모세관내의 어느 한 부분에 위치하게 하고 상술한 방법대로 PRP 및 PPP를 추출한다.
이때에도 모세관의 길이가 매우 길어 위치조정을 조금만 하여도 PRP의 위치가 모세관의 수용 범위 내에 들어오므로 모세관의 길이가 좁은 제품과 다르게 훨씬 용이한 추출이 가능하다.
이렇게 추출한 PPP, PRP 및 소량의 흡입된 적혈구를 2차 원심분리관(2)으로 옮겨 2차 원심분리를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원심분리관(2)은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상부보다 직경이 작은 좁은 제 2 모세관(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모세관(71)의 끝단부분에는 원뿔형으로 되어 직경이 더 작아지다가 끝은 꼭지점으로 끝나는 첨단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특수하게 고안된 2차 원심분리관으로 원심분리를 하게 되면 상부부터 PPP, PRP 그리고 같이 흡입된 소량의 적혈구층이 형성된다.
상부의 PPP(81)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소량만 남기고 추출한 뒤 폐기한다.
이제 남은 것은 위쪽부터 소량의 PPP(82), PRP(83), 소량의 적혈구(84)이다.
가장 하부의 적혈구는 소량이므로 2차 원심분리관의 상기 첨단부(72) 안에 모두 수용되어진다.
이제 니들을 PRP 층에 닿게 하여 하부의 적혈구를 제외한 나머지 액을 추출하게 되는데 하부의 적혈구는 매우 좁은 공간에만 모여 있으므로 이들을 거의 건드리지 않고 소량의 PPP 및 PRP만을 극도로 선별하여 추출할 수 있게 되어 고순도, 고농축율의 PRP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제일 먼저 맨 아래층의 첨단부 공간의 적혈구층까지 니들을 넣어 적혈구를 추출하고 폐기한 뒤, 두 번째로 상층의 PPP를 추출하고 폐기하면 소량의 PPP, PRP만 남게 된다. 이로써 시간을 들여 세심하게 추출할 필요없이 실린더에 남아있는 모든 용액을 한꺼번에 쭉 추출하면 고순도, 고농축율의 PRP 치료액이 만들어진다.
어느 방법으로 하던지 적혈구를 배제하고 PRP를 추출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이렇게 추출된 PRP는 적혈구가 거의 없는 고농도의 순수한 PRP가 된다.
본 장치를 이용할 때 또 하나의 장점은 PRP의 농축율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상층의 PPP를 추출할 때 남기는 PPP양에 따라 PRP의 농축율이 변하게 된다.
정상인의 혈소판 숫자가 1마이크로 리터당 10만개에서 20만개 정도인데 PRP시술로서 치료효과를 얻으려면 통상 그 5배인 100만개 이상으로 농축되어야 한다.
PPP를 남기지 않고 거의 제거한 뒤 순수 PRP만 추출해 보면 혈소판 숫자가 160만개에서 180만개 까지도 이를 수 있으나 이 경우 PRP로만 이루어진 최종 치료액은 그 용량이 너무 적어 치료 부위가 매우 좁은 부위에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적정 용량의 PRP 주입액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량의 PPP를 포함하여 PRP를 추출하게 되는데 농축율을 다르게 추출하고 싶으면 2차 원심분리 후 상층부의 PPP를 추출할 때, 남기는 PPP의 양을 조절하면 된다. PPP를 많이 남기면 최종 치료주입액의 용량은 늘어나지만 저농축율의 PRP가 되고, PPP를 적게 남기면 치료주입액의 용량은 적지만 고농축율의 PRP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최종 치료주입액 용량을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시술하는 의사가 치료 부위의 면적에 따라 결정하게 되는데 본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이와 같이 그 농축율 조절을 매우 간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차 원심분리관 2차 원심분리관 모두 하부가 연결부위가 없는 밀폐형으로 제작되므로 고속회전에 의해 혈액 누출의 염려가 없는 견고한 구조로 되어있는 것도 특징이다.
1 : 1차 원심분리관
2 : 2차 원심분리관
20 : 내부관
21, 22 : 테이퍼부
23 : 모세관
24 : 날개
25 : 체결돌기
27 : 걸림턱
30 : 하부공간
40, 40' : 덮개
41, 41' : 나사산
42, 42' : 천공구멍
71 : 제 2 모세관
72 : 첨단부
2 : 2차 원심분리관
20 : 내부관
21, 22 : 테이퍼부
23 : 모세관
24 : 날개
25 : 체결돌기
27 : 걸림턱
30 : 하부공간
40, 40' : 덮개
41, 41' : 나사산
42, 42' : 천공구멍
71 : 제 2 모세관
72 : 첨단부
Claims (9)
- 혈액으로부터 혈장 성분을 추출하는 혈장 추출 키트에 있어서, 주입된 혈액을 원심분리하는 1차 원심분리관과, 상기 1차 원심분리관에 의해 원심분리된 혈액의 PPP와 PRP와 적혈구로부터 원심분리에 의해 혈장을 더욱 추출하는 2차 원심분리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차 원심분리관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를 밀폐하는 덮개와, 상기 1차 원심분리관 내에 삽입되는 내부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원심분리관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부관을 일정 위치에 유지하도록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상단 및 하단에는 직경이 점차 작아지거나 점차 증가하는 깔대기 모양의 테이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은 상기 내부관을 관통하여 상기 1차 원심분리관내의 상기 내부관의 상부 및 하부에 연통하고 상기 테이퍼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기다란 모세관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1차 원심분리관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 원심분리관은 일끝단은 상기 내부관에 연결되고 타끝단은 절곡되어 상기 나사산에 맞물리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기다란 막대형상의 날개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원심분리관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2차 원심분리관의 하단부에는 상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 2 모세관(71)과, 상기 제 2 모세관(71)의 끝단부분에는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첨단부(7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2863A KR101145173B1 (ko) | 2011-10-10 | 2011-10-10 |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
PCT/KR2012/008148 WO2013055070A2 (ko) | 2011-10-10 | 2012-10-09 | 혈장 추출 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2863A KR101145173B1 (ko) | 2011-10-10 | 2011-10-10 |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5173B1 true KR101145173B1 (ko) | 2012-05-14 |
Family
ID=4627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2863A KR101145173B1 (ko) | 2011-10-10 | 2011-10-10 |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517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34623A1 (en) * | 2019-05-20 | 2020-11-26 | Ghanbari Ahmad | Apparatus and equipment for the extraction of platelet-rich plasma (prp) from blood |
KR20230021856A (ko) * | 2021-08-06 | 2023-02-14 | 김낭래 | 분리형 prp키트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1436A (ko) * | 2008-10-14 | 2010-04-22 | 이희영 | 다혈소판 혈장의 제조방법 |
KR20110009651A (ko) * | 2010-12-31 | 2011-01-28 | 주식회사 메디사랑 |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
KR20110045980A (ko) * | 2009-10-28 | 2011-05-04 | (주) 글로텍 | 원심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 |
KR20110080245A (ko) * | 2010-01-05 | 2011-07-13 | 방시열 | 일체형 분리장치 |
-
2011
- 2011-10-10 KR KR1020110102863A patent/KR1011451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1436A (ko) * | 2008-10-14 | 2010-04-22 | 이희영 | 다혈소판 혈장의 제조방법 |
KR20110045980A (ko) * | 2009-10-28 | 2011-05-04 | (주) 글로텍 | 원심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 |
KR20110080245A (ko) * | 2010-01-05 | 2011-07-13 | 방시열 | 일체형 분리장치 |
KR20110009651A (ko) * | 2010-12-31 | 2011-01-28 | 주식회사 메디사랑 |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34623A1 (en) * | 2019-05-20 | 2020-11-26 | Ghanbari Ahmad | Apparatus and equipment for the extraction of platelet-rich plasma (prp) from blood |
KR20230021856A (ko) * | 2021-08-06 | 2023-02-14 | 김낭래 | 분리형 prp키트 |
KR102540325B1 (ko) * | 2021-08-06 | 2023-06-02 | 김낭래 | 분리형 내외관이 구비된 prp키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0576B1 (ko) |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 |
KR101194044B1 (ko) |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 |
EP2495302B1 (en) | Bio-device for extracting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mesenchymal stem cells in peripheral blood | |
KR101128163B1 (ko) |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 |
KR101162750B1 (ko) |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 |
KR101170146B1 (ko) |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장치 | |
KR101026599B1 (ko) |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 |
KR20110009651A (ko) |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 |
US9421319B2 (en) | Blood separation container for extracting self-platelet | |
KR101433293B1 (ko) |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 |
KR101406574B1 (ko) | 혈액의 혈소판 농축 혈장 분리용 수집용구 | |
CN111013197A (zh) | 一次性富血小板血浆分离装置 | |
KR101666451B1 (ko) |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 |
KR101333789B1 (ko) |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 |
KR101279652B1 (ko) | 응고 촉매체를 구비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이를 이용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 및 응고방법 | |
KR101145173B1 (ko) |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 |
CN210935419U (zh) | 一种富血小板血浆离心装置 | |
KR101284876B1 (ko) | 순수지방 및 자가 농축혈소판 추출장치 | |
WO2012121452A1 (ko) | 혈액 분리 및 농축 용기 | |
KR101267379B1 (ko) | 혈장 추출 키트 | |
KR200471024Y1 (ko) |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기 | |
WO2016192502A1 (zh) | 用于提取富含血小板的生长因子的血液分离机提取装置 | |
US11660253B2 (en) | Device for extracting platelet rich plasma | |
JP7388621B2 (ja) | 幹細胞を含む体液抽出用バイオキット | |
WO2013055070A2 (ko) | 혈장 추출 키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