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85151A1 - 원심분리기용 용기 - Google Patents

원심분리기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85151A1
WO2013085151A1 PCT/KR2012/009379 KR2012009379W WO2013085151A1 WO 2013085151 A1 WO2013085151 A1 WO 2013085151A1 KR 2012009379 W KR2012009379 W KR 2012009379W WO 2013085151 A1 WO2013085151 A1 WO 20130851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entrifuge
circumferential surface
accommodating portion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93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범하
이정민
Original Assignee
Lee Bum Ha
Lee Jung Mi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Bum Ha, Lee Jung Min filed Critical Lee Bum Ha
Priority to CN201280058773.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958069A/zh
Priority to EP12855007.6A priority patent/EP2772311A4/en
Priority to RU2014122776A priority patent/RU2014122776A/ru
Priority to US14/361,966 priority patent/US20140356254A1/en
Priority to JP2014544654A priority patent/JP2015502851A/ja
Publication of WO20130851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851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2Centrifug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parate bowls rotating round an axis situated between the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B01L2300/028Grad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81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squeezing of channels or chamb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used in a centrifuge for separating components having different components or specific gravity by using centrifugal force.
  • Blood a liquid tissue that flows through blood vessels, is roughly divided into blood cells and plasma.
  • Blood cells are composed of red blood cells,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and mainly water plasma contains blood coagulation factors and electrolytes essential for life support.
  • the container when the collected blood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the container is placed in a centrifuge, rotat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and then precipitated, and the components of the blood are separated by the specific gravity. That is, heavy blood cells are formed in layers at the bottom, light plasma is formed in layers at the top, and a buffy coat layer, which forms about 1% of blood, is formed between the blood cells and the plasma.
  • PRP Platinum Rich Plasma
  • the container 10 for a centrifuge includes a pipe-shaped body 11 having an open top surface and a stopper 15 hermetical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11.
  • the body 11 has a lower accommodating portion 11a, an upper accommodating portion 11b formed at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s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11a, and a connecting portion 11c connecting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11a an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11b. )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11c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11a an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11b.
  • the collected blood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10, the container 10 is placed in a centrifuge (not shown), rotat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and then precipitated, and the blood cells are accommodated in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11a.
  • the plasma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11b, and the buffy coat layer is accommodat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1c.
  • the buffy coat layer is taken out by extracting the buffy coat layer by a tornado method in which the needle is turned. That is, when the blood is placed in the container 10 and centrifuged, the buffy coat layer must be located at the connecting portion 11c, so that the buffy coat layer can be easily extracted and collected.
  • the buffy coat layer when the blood is centrifuged, the buffy coat layer may be located in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11a or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11b, depending on the amount of blood. If the buffy coat layer is located in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11a, the blood is further injected into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11a using a syringe, and if the buffy coat layer is located in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11b,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is used using a syringe. After removing the blood cells contained in (11a), centrifugation was performed again.
  • a container for a centrifugal separator which solves this probl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80245 under the name "integral separator”.
  • the integrated separation device 1 includes a connection neck 30 and a first connecting the first chamber 10 on the lower side, the second chamber 20 on the upper side, the first chamber 10 and the second chamber 20. It includes a lower cover portion 40 coupl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chamber (10).
  • the lower cover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first chamber 10 and the lower cap 41 is formed in the center, the adjustmen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lower plate 41 is interpos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rol plate 42 to shield the control hole , It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ap 41 so as to be movable, and has an adjusting member 43 located below the adjusting plate 42.
  • the position of the control mechanism 43 is coupled to the lower cap 41,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0, the position of the buffy coat layer is adjusted.
  • the conventional integrated separator as described above may be damaged when placed in a centrifuge (not shown) and rotated.
  • the integrated separator 1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ntrifuge and rotated,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2 is opened via a cylindrical bucket 2. It is inserted directly into the insertion hole and rotated.
  • the adjuster 43 see the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 the connecting neck 30 is located outside the insertion hole or the bucket 2 of the centrifuge do.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neck 30 is not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centrifuge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cket 2, so that the outer or bucket 2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centrifuge is rotated when the centrifuge is rotated.
  • the integrated separation device 1 exposed to the outside of) may flow and be damaged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neck 30 is formed with a substantially arc-shaped reinforcing rib 70 recessed inwardly of the connecting neck 30, but the reinforcing rib 70 also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bucket 2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centrifuge. Since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n the centrifuge is rotated, the flow of the integrated separator 1 cannot be preven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into which the blood is injected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cket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centrifug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for a centrifuge that can prevent the container from being broken during rotation of the centrifuge.
  • the container for a centrifu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inserted into or supported by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ntrifuge or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insertion hole via a bucket.
  • Mixture is injected, the centrifuge container for separating the mixture by centrifugal force while rotating by the centrifuge,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located above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 a pipe-shaped body formed of a diameter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and a diameter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and hav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to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mixture is injected therein;
  • a lower cover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to open and close an open bottom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mixture injected into the body based on the lower end of the body; ;
  • the container for a centrifu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cket of the centrifuge, in which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supported, even if the lower cover coupled to the lower receiving portion of the body is lowered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 Then, even if the centrifuge rotates, the container does not flow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contain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for a conventional centrifug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centrifuge container.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for a centrif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for a centrif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 the centrifuge container 100 includes a body 110, the lower cover 120 and the upper cover 130.
  • the container 100 is directly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centrifuge (not shown), or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an insertion hole of the centrifuge through a bucket 50 (see FIG. 5).
  • a mixture of substance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or components, such as blood is injected, and the container 100 separates the mixtures by centrifugal force while rotating by the centrifuge.
  • Body 110 is formed in a pip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lower receiving portion 111, the upper receiving portion 114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111 and the upper receiving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receiving portion 111. It is formed between the 114 has a connecting portion 117 connecting the lower receiving portion 111 and the upper receiving portion 114.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portion 117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receiving portion 111 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receiving portion (111).
  • the lower cover 12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111, and opens and closes an open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111, which is an open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At this time, the lower cover 120 is coupled to the lower receiving portion 111 to be elevated. Therefore, as the position of the lower cover 120 coupled to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111 is adjusted, the height of the mixture injected into the body 110 is adjusted based on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 a plurality of protruding rails 123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over 120.
  • the protruding rail 123 prevents the user's hand from slipping when the user rotates by holding the lower cover 120 by hand.
  • a sealing member 141 such as an O-ring for sealing between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111 and the lower cover 120, is interposed.
  • a ring-shaped settling groove 111b (see FIG. 5)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111 to which the sealing member 141 is inserted. Since the sealing member 141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ettling groove 111b, the sealing member 141 is prevented from being lift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ower cover 120.
  • the upper cover 13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114 to open and close the open top surface of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114, which is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114 is also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145 such as an O-ring for sealing between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114 and the upper cover 130. 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114, the engaging frame 114a for preventing the sealing member 145, which is compres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by the upper cover 130 to escape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114. Is formed.
  •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frame 114a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jaw 131 (see FIG. 5)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over 130. Due to the catching frame 114a and the catching jaw 131, the upper cover 13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114.
  • Body 1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observe the mixture from the outsid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10 may be formed with a scale (110a) indicating the amount of the mixture.
  • the collected blood is injected into the body 110 using a syringe or the like, and the container 100 is put into a centrifuge to give a predetermined amount. It is rotated at a rotational speed and then precipitated.
  • the buffy coat layer may not be located at the connection part 117 due to the amount of blood first injected. If the buffy coat layer is located in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111, the lower cover 12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o be raised, and then the centrifugal sepa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buffy coat layer is positioned at the connecting portion 117. Then, when the buffy coat layer is located in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114, the lower cover 12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n subjected to centrifug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uffy coat layer is positioned at the connection part 117.
  • the connection part 117 is outside the insertion hole of the centrifuge. Or located outside the bucket 50. Then,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centrifug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17, or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cket 5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17 is wide, and the container ( 100 may flow radially and be damaged.
  • a plurality of support ribs 150 are formed in the container 100 for centrifu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a plurality of support ribs 15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17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 the support rib 150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cket 50.
  • Reference numeral 133 of FIGS. 3 to 5 is a soft membrane for inserting the needle of the syri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원심분리기용 용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원심분리기용 용기는 몸체의 하측수용부에 결합된 하부덮개가 소정 이상 하강하여도, 연결부에 형성된 지지리브가 용기가 삽입 지지되는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의 내주면 또는 버켓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그러면, 원심분리기가 회전하여도 용기는 반경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므로, 용기의 파손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원심분리기용 용기
본 고안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성분이나 비중이 다른 물질들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에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혈관 속을 흐르는 액상의 조직인 혈액은 혈구와 혈장으로 대별된다.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주로 수분으로 이루어진 혈장에는 생명유지에 필수인 혈액응고인자 및 전해질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오늘날, 의학적 목적으로, 혈액의 성분을 분리하고, 혈액의 각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혈액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로, 원심력을 이용한 원심분리기가 사용되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채혈한 혈액을 용기에 주입하고, 용기를 원심분리기에 넣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킨 후 침전시키면, 혈액의 성분은 비중차에 의하여 층간 분리된다. 즉, 무거운 혈구는 하부에 층을 이루며 형성되고, 가벼운 혈장은 상부에 층을 이루며 형성되며, 혈구와 혈장 사이에는 혈액의 약 1% 정도를 이루는 버피코트(Buffy Coat)층이 형성된다.
버피코트층에는 세포의 증식, 상피세포 성장촉진, 혈관재생, 콜라겐 생산, 히알루론산 생산 및 상처치유 등을 촉진하는 줄기세포를 함유한 PRP(Platelet Rich Plasma : 혈소판 풍부 혈장)의 대부분이 모여 있다.
이로 인해, 손실 없이 버피코트층을 추출할 수 있는 원심분리기용 용기가 필요하다.
혈액의 버피코트층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원심분리기용 용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기용 용기(10)는 상면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의 몸체(11)와 몸체(11)의 상면에 밀폐 결합된 마개(15)를 포함한다.
몸체(11)는 하측수용부(11a), 하측수용부(11a)와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상측수용부(11b) 및 하측수용부(11a)와 상측수용부(11b)를 연결하는 연결부(11c)를 가진다. 이때, 연결부(11c)는 하측수용부(11a) 및 상측수용부(11b)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채혈한 혈액을 용기(10)에 주입하고, 용기(10)를 원심분리기(미도시)에 넣어서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킨 후 침전시키면, 혈구는 하측수용부(11a)에 수용되고, 혈장은 상측수용부(11b)에 수용되며, 버피코트층은 연결부(11c)에 수용된다.
그 후, 주사기의 바늘(미도시)을 버피코트층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바늘을 빙빙 돌리는 토네이도(Tornado) 방식으로 버피코트층을 추출하면 버피코트층이 채취된다. 즉, 혈액을 용기(10)에 넣고 원심분리하였을 때, 버피코트층이 연결부(11c)에 위치되어야만, 버피코트층을 용이하게 추출하여 채취할 수 있다.
그런데, 혈액을 원심분리하였을 때, 혈액의 양 등에 따라, 버피코트층이 하측수용부(11a)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측수용부(11b)에 위치될 수도 있다. 버피코트층이 하측수용부(11a)에 위치된 경우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하측수용부(11a)로 혈액을 더 주입하고, 상측수용부(11b)에 위치된 경우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하측수용부(11a)에 수용된 혈구를 제거한 후, 다시 원심분리를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심분리기용 용기(10)는 버피코트층이 하측수용부(11a) 또는 상측수용부(11b)에 위치되었을 때, 버피코트층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아무런 수단이 없으므로, 주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더 주입하거나 혈구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한 원심분리기용 용기가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80245호에 "일체형 분리장치"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체형 분리장치(1)는 하측의 제1챔버(10), 상측의 제2챔버(20), 제1챔버(10)와 제2챔버(20)를 연결하는 연결넥(30) 및 제1챔버(10)의 하단부측에 결합된 하부덮개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덮개부(40)는 제1챔버(10)에 결합되고 중앙에 조절홀이 형성된 하부캡(41), 하부캡(41)의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조절홀을 차폐하는 조절판(42), 상하이동가능하게 하부캡(41)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조절판(42)의 하측에 위치된 조절구(43)를 가진다. 그리하여, 하부캡(41)에 결합되는 조절구(43)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챔버(10)의 내용적을 조절하여, 버피코트층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체형 분리장치는 원심분리기(미도시)에 넣어서 회전시킬 때, 손상될 우려가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분리장치(1)는 상기 원심분리기에 형성된 삽입공에 직접 삽입되어 회전되거나,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버켓(2)을 매개로 상기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에 직접 삽입되어 회전된다. 그런데, 하부덮개(40)의 조절구(43)(공개특허공보 참조)가 소정 이하로 하강하였을 경우, 연결넥(30)이 상기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의 외측 또는 버켓(2)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러면, 연결넥(30)의 외주면이 상기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의 내주면 또는 버켓(2)의 내주면에 지지되지 못하므로, 상기 원심분리기의 회전시, 상기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의 외측 또는 버켓(2)의 외측으로 노출된 일체형 분리장치(1)는 반경방향으로 유동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다.
연결넥(30)의 외주면에 연결넥(30)의 내측으로 함몰된 대략 호형상의 보강리브(70)가 형성되어 있으나, 보강리브(70)도 상기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의 내주면 또는 버켓(2)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원심분리기의 회전시, 일체형 분리장치(1)의 유동을 방지하지 못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혈액이 주입되는 용기의 외주면이 버켓의 내주면 또는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의 내주면에 항상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원심분리기의 회전시 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심분리기용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원심분리기용 용기는, 원심분리기에 형성된 삽입공에 직접 삽입 지지되거나 버켓(Bucket)을 매개로 상기 삽입공에 삽입 지지되고, 내부에는 비중 또는 성분이 상이한 물질들이 혼합된 혼합물질이 주입되며,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혼합물질들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로서, 하측수용부, 상기 하측수용부의 상측에 위치된 상측수용부 및 상기 하측수용부의 직경과 상기 상측수용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수용부와 상기 상측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 며, 상기 혼합물질이 주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하측수용부의 외주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측수용부의 개방된 하단면(下端面)을 개폐하며, 상기 몸체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에 주입된 상기 혼합물질의 높이를 조절하는 하부덮개;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 또는 상기 버켓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심분리기용 용기는 몸체의 하측수용부에 결합된 하부덮개가 소정 이상 하강하여도, 연결부에 형성된 지지리브가 용기가 삽입 지지되는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의 내주면 또는 버켓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그러면, 원심분리기가 회전하여도 용기는 반경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므로, 용기의 파손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원심분리기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원심분리기용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기용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부호의 설명>
110: 몸체
111: 하측수용부
114: 상측수용부
117: 연결부
120: 하부덮개
130: 상부덮개
150: 지지리브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호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특정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길이, 면적, 두께 및 형태는, 편의상,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기용 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기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기용 용기(100)는 몸체(110), 하부덮개(120) 및 상부덮개(130)를 포함한다. 용기(100)는 원심분리기(미도시)에 형성된 삽입공에 직접 삽입 지지되거나, 버켓(Bucket)(50)(도 5 참조)을 매개로 상기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에 삽입 지지된다. 용기(100)의 내부에는 혈액 등과 같이 비중 또는 성분이 상이한 물질들이 혼합된 혼합물질이 주입되고, 용기(100)는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혼합물질들을 분리한다.
몸체(110)는 상하면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수용부(111), 하측수용부(111)의 상측에 위치된 상측수용부(114) 및 하측수용부(111)와 상측수용부(114) 사이에 형성되어 하측수용부(111)와 상측수용부(114)를 연결하는 연결부(117)를 가진다. 이때, 연결부(117)의 직경은 하측수용부(111)의 직경 및 상측수용부(111)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하부덮개(120)는 하측수용부(11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몸체(110)의 개방된 하면인 하측수용부(111)의 개방된 하단면(下端面)을 개폐한다. 이때, 하부덮개(120)는 하측수용부(1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하측수용부(111)에 결합되는 하부덮개(120)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몸체(110)에 주입된 혼합물질의 높이는, 몸체(110)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조절된다.
하측수용부(111)의 외주면에 결합된 하부덮개(12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측수용부(111)의 외주면과 하부덮개(120)의 내주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나선(螺旋)(111a, 121)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하측수용부(111)를 기준으로 하부덮개(120)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하부덮개(120)가 하측수용부(111)를 따라 승강한다.
하부덮개(12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출레일(123)이 형성된다. 돌출레일(123)은 사용자가 손으로 하부덮개(120)를 잡고서 회전시킬 때,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하측수용부(111)의 외주면에는 하측수용부(111)와 하부덮개(120) 사이를 실링하는 오링 등과 같은 실링부재(141)가 개재된다. 그리고, 하측수용부(111)의 외주면에는 실링부재(141)가 삽입 안치되는 링형상의 안치홈(111b)(도 5 참조)이 형성된다. 실링부재(141)가 안치홈(111b)에 삽입 지지되므로, 하부덮개(120)의 승강에 의하여 실링부재(141)가 승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부덮개(130)는 상측수용부(114)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몸체(110)의 개방된 상면인 상측수용부(114)의 개방된 상단면(上端面)을 개폐한다.
상측수용부(114)의 외주면에도 상측수용부(114)와 상부덮개(130) 사이를 실링하는 오링 등과 같은 실링부재(145) 개재된다. 그리고, 상측수용부(114)의 외주면에는, 상부덮개(130)에 의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압착되는 실링부재(145)가 상측수용부(114)의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테(114a)가 형성된다.
걸림테(114a)의 하면에는 상부덮개(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31)(도 5 참조)이 걸린다. 걸림테(114a)와 걸림턱(131)으로 인하여 상부덮개(130)가 상측수용부(1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몸체(110)는 외부에서 혼합물질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혼합물질의 양을 표시해주는 눈금(110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의 사용방법을 혈액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부덮개(120) 및 상부덮개(130)로 몸체(110)를 밀폐한 상태에서, 채혈한 혈액을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몸체(110)에 주입하고, 용기(100)를 원심분리기에 넣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킨 후 침전시킨다.
그러면, 무거운 혈구는 하측수용부(111)에 층을 이루며 형성되고, 가벼운 혈장은 상측수용부(114)부에 층을 이루며 형성되며, 혈구와 혈장 사이에 형성되는 버피코트(Buffy Coat)층은 연결부(117)에 위치되므로, 토네이도(Tornado) 방식으로 연결부(117)에 위치된 버피코트층을 추출하면 된다.
그런데, 최초로 주입된 혈액의 양 등에 의하여 버피코트층이 연결부(117)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버피코트층이 하측수용부(111)에 위치되면, 하부덮개(1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승시킨 다음 버피코트층이 연결부(117)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다시 원심분리를 한다. 그리고, 버피코트층이 상측수용부(114)에 위치되면, 하부덮개(1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캉시킨 다음 버피코트층이 연결부(117)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다시 원심분리를 한다.
그런데, 하부덮개(120)를 소정 이상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용기(100)를 상기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에 삽입하거나, 버켓(50)에 삽입하면, 연결부(117)가 상기 원심분리기의 삽입공 외측 또는 버켓(50)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러면, 상기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의 내주면과 연결부(117)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 또는 버켓(50)의 내주면과 연결부(117)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 상기 원심분리기의 회전에 의하여 용기(100)가 반경방향으로 유동하여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기용 용기(100)에는 복수의 지지리브(150)가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부(117)의 외주면에는, 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지리브(150)가 형성된다. 지지리브(150)는 상기 원심분리기기의 삽입공의 내주면 또는 버켓(50)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그러면, 하부덮개(120)가 소정 이상 하강하여도, 지지리브(150)가 상기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의 내주면 또는 버켓(50)의 내주면과 접촉하므로, 용기(100)는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용기(100)의 파손이 방지된다.
도 3 내지 도 5의 미설명부호 133은 주사기의 바늘을 삽입하기 위한 연질의 막이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하여,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Claims (10)

  1. 원심분리기에 형성된 삽입공에 직접 삽입 지지되거나 버켓(Bucket)을 매개로 상기 삽입공에 삽입 지지되고, 내부에는 비중 또는 성분이 상이한 물질들이 혼합된 혼합물질이 주입되며,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혼합물질들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로서,
    하측수용부, 상기 하측수용부의 상측에 위치된 상측수용부 및 상기 하측수용부의 직경과 상기 상측수용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수용부와 상기 상측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혼합물질이 주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하측수용부의 외주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측수용부의 개방된 하단면(下端面)을 개폐하며, 상기 몸체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에 주입된 상기 혼합물질의 높이를 조절하는 하부덮개;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 또는 상기 버켓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수용부의 상단면(上端面)은 개방되고,
    상기 상측수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측수용부의 상단면(上端面)을 개폐하는 상부덮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수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측수용부와 상기 하부덮개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수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삽입 안치되는 링형상의 안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수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측수용부와 상기 상부덮개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수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상측수용부의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테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수용부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덮개의 내주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나선(螺旋)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출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용 용기.
PCT/KR2012/009379 2011-12-06 2012-11-08 원심분리기용 용기 WO20130851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58773.4A CN103958069A (zh) 2011-12-06 2012-11-08 离心分离器用容器
EP12855007.6A EP2772311A4 (en) 2011-12-06 2012-11-08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ORS
RU2014122776A RU2014122776A (ru) 2011-12-06 2012-11-08 Контейнер для центробежного сепаратора
US14/361,966 US20140356254A1 (en) 2011-12-06 2012-11-08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or
JP2014544654A JP2015502851A (ja) 2011-12-06 2012-11-08 遠心分離機用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834 2011-12-06
KR2020110010834U KR200462858Y1 (ko) 2011-12-06 2011-12-06 원심분리기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5151A1 true WO2013085151A1 (ko) 2013-06-13

Family

ID=4756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9379 WO2013085151A1 (ko) 2011-12-06 2012-11-08 원심분리기용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56254A1 (ko)
JP (1) JP2015502851A (ko)
KR (1) KR200462858Y1 (ko)
CN (1) CN103958069A (ko)
RU (1) RU2014122776A (ko)
WO (1) WO2013085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0590B2 (en) * 2013-01-18 2017-04-04 Ziad Hamandi Centrifugal separating assembly with a container body having a common inlet-outlet port
WO2014165498A1 (en) * 2013-04-02 2014-10-09 Alliance Partners Llc Fluids concentration cup assembly with hourglass shape
KR101588754B1 (ko) * 2014-07-08 2016-01-26 (주)시지바이오 원심분리용 튜브
KR101563512B1 (ko) * 2015-04-09 2015-10-28 기 수 한 혈액분리용기
ES2846863T3 (es) * 2015-12-11 2021-07-29 Babson Diagnostics Inc Recipiente para muestras y método para separar suero o plasma de la sangre completa
WO2018042537A1 (ja) * 2016-08-31 2018-03-08 三浦工業株式会社 容器
KR200492392Y1 (ko) * 2018-11-26 2020-09-29 황의재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KR102161356B1 (ko) * 2018-11-26 2020-09-29 황의재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KR102407040B1 (ko) 2020-05-22 2022-06-08 황의재 원심분리용 용기
WO2022086059A1 (ko) * 2020-10-19 2022-04-28 전민용 세포 활성화부를 구비한 혈액분리 튜브
KR102490576B1 (ko) * 2020-10-19 2023-01-19 전민용 세포 활성화부를 구비한 혈액분리 튜브
KR102302773B1 (ko) * 2021-03-08 2021-09-15 주식회사 싸이토딕스 원심 분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한 원심 분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3131A2 (en) * 1993-09-09 1995-03-15 COPAN ITALIA S.p.A. Device for sample collection and in vitro transport, mainly for diagnostic use
KR20100105282A (ko) * 2009-03-16 2010-09-29 문상호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KR101026599B1 (ko) * 2010-12-30 2011-04-04 문상호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KR20110080245A (ko) 2010-01-05 2011-07-13 방시열 일체형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0502A (en) * 1970-12-21 1973-03-13 Beckman Instruments Inc Centrifuge test tube stopper
JPS4731487U (ko) * 1971-01-18 1972-12-08
US3965889A (en) * 1971-11-26 1976-06-29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Apparatus for the sampling of blood and the separation of plasma under anaerobic conditions
US4698311A (en) * 1985-10-30 1987-10-06 Ortho Diagnostic Systems Inc. Particle washing and separation method
JPH01199159A (ja) * 1988-02-04 1989-08-10 Kosumitsuku:Kk 遠心チューブ
JP2010039136A (ja) * 2008-08-04 2010-02-18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KR101049201B1 (ko) * 2009-10-29 2011-07-14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KR101289535B1 (ko) * 2009-12-07 2013-07-24 전민용 원심분리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3131A2 (en) * 1993-09-09 1995-03-15 COPAN ITALIA S.p.A. Device for sample collection and in vitro transport, mainly for diagnostic use
KR20100105282A (ko) * 2009-03-16 2010-09-29 문상호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KR20110080245A (ko) 2010-01-05 2011-07-13 방시열 일체형 분리장치
KR101026599B1 (ko) * 2010-12-30 2011-04-04 문상호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772311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858Y1 (ko) 2012-10-05
JP2015502851A (ja) 2015-01-29
RU2014122776A (ru) 2016-02-10
US20140356254A1 (en) 2014-12-04
CN103958069A (zh)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5151A1 (ko) 원심분리기용 용기
WO2014168409A1 (ko) 자가 혈소판 추출을 위한 혈액 분리 용기
WO2013100700A1 (ko)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WO2019103313A2 (ko)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WO2011052948A2 (ko) 재생성 세포 추출유닛 및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WO2013141436A1 (ko)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CA1316513C (en) Blood centrifugation cell
EP16386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uid components
ES2960487T3 (es) Centrífuga
US20090250413A1 (en) Sterile Blood Separating System
WO2013094819A1 (ko) 혈액 분리 장치
WO2011136606A2 (ko)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WO2011052927A2 (ko)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WO2013042862A1 (ko) 자가 혈소판 추출을 위한 혈액 분리 용기 및 자가 혈소판 추출 장치
KR101563512B1 (ko) 혈액분리용기
WO2013066014A1 (ko) 신속한 원심분리가 가능한 원심분리용 용기
WO2011071353A2 (ko) 원심분리관
US4854933A (en) Plasma separator
WO2013133529A1 (ko) 성분 분리기
CN108654141B (zh) 一种富血小板血浆制备装置
RU2629389C2 (ru) Набор для выделения лейкоцитарной пленки
WO2015178709A1 (ko) 피알피 추출키트
KR102100665B1 (ko) 원심분리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21054667A1 (ko)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JP2012044876A (ja) 遠心分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550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550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550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4465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6196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122776

Country of ref document: RU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