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36606A2 -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36606A2
WO2011136606A2 PCT/KR2011/003202 KR2011003202W WO2011136606A2 WO 2011136606 A2 WO2011136606 A2 WO 2011136606A2 KR 2011003202 W KR2011003202 W KR 2011003202W WO 2011136606 A2 WO2011136606 A2 WO 201113660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yringe
buffy coat
blood
plasma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32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136606A3 (ko
Inventor
신준호
주문귀
Original Assignee
Shin Jun-Ho
Joo Mun-Kwi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hin Jun-Ho, Joo Mun-Kwi filed Critical Shin Jun-Ho
Publication of WO201113660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6606A2/ko
Publication of WO201113660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660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finitions

  • the syringe pump can be used to finel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syringe, so that only the buffy coat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platelets can be extracted completely.
  • the blood components separated by the operator's mistake or the external shock are not mixed again, so it is very efficient.
  • FIG. 2 to 4 are perspective, exploded perspective and sectional views showing the syringe of FIG. 1.
  • the buffy coat extraction kit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yringe 100 which directly collects blood or contains collected blood, a centrifuge 200 which directly rotates the syringe 100 to separate blood by components, and a syringe. 2 includes a syringe pump 300 that moves the piston 100 of FIG. 2 to extract the buffy coat (B of FIG. 11) of the separated blood components.
  • the diameter of the lower cover 160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110). This is to allow the syringe 100 to be installed and fixed to the syringe pump (300 of FIG. 5) by a fixing nut (320 of FIG. 5) to be described later.
  • Fixing nut 320 is a disk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320, a thread 322 corresponding to the thread 314 of the mounting groove 312 is formed, and a coupling hole 324 is formed at the center to allow the syringe 100 to penetrate. . 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hole 324, the locking jaw 326 protrudes inward.
  • Fixing nut 320 of this shape is a means for fixing the syringe 100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312). That is, the fixing nut 320 is screwed into the mounting groove 312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nut 320 is inserted into the syringe 100, and the locking jaw 326 presses the lower cover 160 by fastening the fixing nut 320. Fix the syringe 11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취된 혈액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혈소판이 고농도로 함유된 버피코트를 완벽하게 추출할 수 있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피코트 추출키트는, 혈액을 직접 채취하거나 채취한 혈액을 담는 실린지와, 상기 실린지를 직접 회전시켜 혈액을 성분별로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와, 상기 실린지의 피스톤을 이동시켜 분리된 혈액 성분 중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실린지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버피코트 추출 방법은, 혈액을 채취하는 단계와, 채취된 혈액을 성분별로 분리하는 단계와, 혈장을 추출하는 단계와,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본 발명은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채취된 혈액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혈소판이 고농도로 함유된 버피코트를 완벽하게 추출할 수 있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액(blood)은 혈관 속을 흐르는 액상의 조직이며, 크게 혈구와 혈장으로 구분된다. 이 중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이루어지고, 혈장은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혈액응고인자, 전해질 등을 포함하는 수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혈액의 주된 역할은 각종 물질의 운반하는데 있다. 즉, 폐에서 흡입된 산소나 소화관에서 섭취된 영양소 등을 전신으로 보내고, 세포에서 만들어진 탄산가스나 노폐물을 폐, 신장, 피부 등으로 운반하여 몸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 골격근이나 간에서 발생한 열을 다른 부분으로 옮겨 체열이 균일하도록 하거나 림프와 함께 체내의 면역체계에도 관여한다.
한편, 혈소판은 다양한 성장인자들을 함유하고 있어 상처 치유와 피부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통증치료분야, 탈모치료, 피부재생이나 화상치료와 같은 피부질환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혈소판 혈장(Patelet Rich Plasma; PRP)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혈소판 혈장은 혈액을 특수 처리하여 분리한 것으로 일반 혈액보다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 성분이다. 이 다혈소판 혈장 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혈소판들이 고농도로 함유되므로 다양한 성장 인자들이 주변 세포들의 증식을 촉진하고 콜라겐 등의 성분들을 풍부히 합성하도록 자극해 주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다혈소판 혈장을 추출하는 방법은 물리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이 각각 제안되어 왔다. 통상의 물리적인 방법으로는 채혈된 혈액을 혈구성분과 빈혈소판 혈장(PPP, Platelet-Poor Plasma)으로 분리하고, 이를 필터를 이용하여 다혈소판 혈장만을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술한 방법은 혈액을 채취한 후 분리하는 과정에서 혈액이 외부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채취한 혈액을 분리장치로 옮기는 과정에서 외부의 세균 및 미생물에 의한 감염 및 오염의 우려가 있다. 또한, 혈소판과 적혈구의 비중차가 크지 않아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다혈소판 혈장을 완벽하게 추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채취된 혈액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혈소판이 고농도로 함유된 버피코트를 완벽하게 추출할 수 있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버피코트 추출 키트는, 혈액을 직접 채취하거나 채취한 혈액을 담는 실린지와, 상기 실린지를 직접 회전시켜 혈액을 성분별로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와, 상기 실린지의 피스톤을 이동시켜 분리된 혈액 성분 중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실린지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버피코트 추출 방법은, 실린지를 이용하여 혈액을 직접 채취하거나 채취한 혈액을 담는 단계와, 실린지의 밀대를 제거하고 원심분리기에 장착하는 단계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성분별로 분리하는 단계와, 실린지를 실린지 펌프에 설치하고 실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이동시켜 분리된 혈액 성분 중 혈장을 추출하는 단계와, 혈장이 제거된 상태에서 실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이동시켜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실린지를 이용하여 혈액을 직접 채취하거나 혈액을 채취한 실린지와 직접 연결되어 혈액을 밀봉된 상태로 담을 수 있으며, 혈액이 담긴 실린지가 원심분리기에 직접 장착되므로 혈액이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실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실린지에 담긴 혈액(분리된 상태의 혈액)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버피코트만을 완벽하게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실린지를 이용하여 혈액을 직접 채취하거나 혈액을 채취한 실린지와 직접 연결되어 혈액을 밀봉된 상태로 담을 수 있다. 따라서 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기로 옮기는 과정에서 혈액이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혈액이 담긴 실린지가 원심분리기에 직접 장착되므로 혈액이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세균 및 미생물에 의한 감염 및 오염의 우려가 없다.
또한, 실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실린지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혈소판이 고농도로 함유된 버피코트만을 완벽하게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실린지에 담긴 혈액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나 외부 충격에 의해 분리된 상태의 혈액 성분들이 다시 혼합될 우려가 없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 키트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실린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도 1의 실린지 펌프를 도시하는 사시도와 부분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 키트를 이용한 버피코트 추출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 키트의 온도조절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 키트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버피코트 추출 키트는, 혈액을 직접 채취하거나 채취한 혈액을 담는 실린지(100)와, 실린지(100)를 직접 회전시켜 혈액을 성분별로 분리하는 원심분리기(200)와, 실린지(100)의 피스톤(도 2의 120)을 이동시켜 분리된 혈액 성분 중 버피코트(도 11의 B)를 추출하는 실린지 펌프(300)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 중 원심분리기(200)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비중에 따라 혈액을 성분별로 분리하는 통상의 원심분리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버피코트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혈액을 액체 상태 또는 겔 상태로 분리할 수 있는 원심분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버피코트 추출 키트의 실린지(100) 및 실린지 펌프(30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실린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지(100)는 혈액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의 몸체(110)를 포함한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탄성체(130)가 결합된 피스톤(12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120)의 하부에는 밀대(140)가 결합된다. 또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덮개(150)와 하부 덮개(160)가 각각 결합된다.
몸체(110)의 상면에는 니들(도 8의 510) 또는 채혈용 실린지(도 8의 520)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팁(112)이 돌출되고, 상부 및 하부 외주면에는 상부 및 하부 덮개(150,16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14)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실린지(100)의 배출량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용량을 표시하는 눈금(116)이 형성된다.
도 8의 (a)와 같이 실린지(100)의 연결팁(112)에 니들(510)을 꽂으면 채혈용 실린지(520)를 사용하지 않고도 혈액을 직접 채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와 같이 채혈용 실린지(520)를 이용하여 채혈한 경우 연결팁(112)에 채혈용 실린지(520)를 꽂으면 채혈용 실린지(520)에 담긴 혈액을 간단하게 실린지(100)로 옮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팁(112)에 니들(510) 또는 채혈용 실린지(520)를 꽂아 사용할 경우 혈액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혈액을 옮기는 과정에서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의 감염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부 덮개(150)를 이용하여 연결팁(112)을 밀봉할 경우 혈액이 담긴 실린지(100)를 원심분리기(200)로 옮기는 과정에서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피스톤(120)은 다단의 원판 형상이다. 피스톤(120)의 상부에는 탄성체(130)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밀대(140)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밀대(140)를 이용하여 피스톤(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몸체(110)의 내부에서 흡입력 또는 압축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흡입력과 압축력에 의해 몸체(110)의 내부로 혈액이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된다.
밀대(140)는 소정 길이를 갖는 환봉이며, 피스톤(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20)과 밀대(140)가 나사 결합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밀대(140)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대(1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의 실린지(100)는 밀대(140) 제거시 원심분리기(200)에 직접 장착될 수 있으므로 성분 분리를 위한 샘플 튜브가 필요치 않다. 따라서 샘플 튜브로 혈액을 옮겨 담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혈액을 옮기는 과정에서 외부와의 접촉에 의한 감염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덮개(150)는 연결팁(112)을 포함한 몸체(1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뒤집힌 컵 형상이다. 상부 덮개(150)의 내측 상면 중 몸체(110)의 연결팁(112)과 접촉하는 위치에는 탄성돌기(152)가 형성된다. 이 탄성돌기(152)는 상부 덮개(150) 결합시 연결팁(112)에 삽입되어 밀봉하는 수단으로, 이 탄성돌기(152)를 이용할 경우 연결팁(112)의 밀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 덮개(160)는 몸체(110)의 하부를 덮을 수 있는 컵 형상이다. 하부 덮개(160)의 하부 중앙에는 관통공(162)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162)은 밀대(140)가 관통되는 부분이며, 관통공(162)을 통해 삽입된 밀대(140)의 상단이 피스톤(120)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관통공(162)의 직경은 다단으로 형성된 피스톤(120)의 대경부의 직경보다 작고 소경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관통공(162)의 직경이 피스톤(120)의 소경부 직경보다 클 경우 피스톤(120)의 하면이 관통공(16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므로 밀대(140)를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하부 덮개(160)의 직경은 몸체(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고정너트(도 5의 320)에 의해 실린지(100)가 실린지 펌프(도 5의 300)에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와 도 6은 도 1의 실린지 펌프를 도시하는 사시도와 부분단면사시도이다.
실린지 펌프(300)는, 장착홈(312)이 형성된 케이스(310)와, 장착홈(312)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320)와, 장착홈(312)의 중앙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축(330)과, 이송축(3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어수단(340)을 포함한다.
케이스(310)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이다. 케이스(310)의 상면에는 실린지(100)가 장착되는 장착홈(31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케이스(310)의 내부에 설치된 기어수단(340)을 회전시키는 핸들(316)이 설치된다. 이 중 장착홈(312)은 실린지(100)의 하부 덮개(160)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과 깊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314)이 형성된다.
고정너트(320)는 원판 형상이다. 이 고정너트(320)의 외주면에는 장착홈(312)의 나사산(314)과 대응되는 나사산(32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실린지(1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결합공(324)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공(324)의 상단에는 걸림턱(326)이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형상의 고정너트(320)는 장착홈(312)에 설치되는 실린지(100)를 고정하는 수단이다. 즉, 고정너트(320)가 실린지(100)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홈(312)에 나사 결합되고, 고정너트(320)를 죔에 따라 걸림턱(326)이 하부 덮개(160)를 가압하여 실린지(110)를 고정한다.
이송축(330)은 장착홈(312)에 설치되는 실린지(100)의 피스톤(120)을 상승시키는 수단이다. 즉, 기어수단(340) 회전시 장착홈(312)을 통해 케이스(310)의 외부로 돌출(상승)하여 피스톤(120)을 상승시킨다. 이를 위해 이송축(330)의 일단은 장착홈(312)을 통해 케이스(3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기어수단(340)과 연결된다. 또한, 기어수단(340)과 연결되는 이송축(330)의 타단 외주면에는 나사산(332)이 형성된다.
케이스(310)의 내부, 좀 더 상세하게는 장착홈(312)의 수직방향 하부에는 원통형 하우징(360)이 설치되고, 하우징(350)의 내부에 기어수단(340)이 설치된다. 기어수단(340)은 원뿔모양의 수평 및 수직기어(342,344)가 직각으로 접촉하는 베벨기어이다. 이 중 기어수단(340)의 수평기어(342)에는 이송축(330)과 나사 결합되는 부시(350)가 설치된다.
이때, 케이스(310)의 일측에 설치된 핸들(316)은 동력전달을 위한 복수의 평기어 조합(370)을 통해 기어수단(340)과 연결된다. 즉, 핸들(316)을 조작할 경우 평기어 조합(370)을 통해 동력(회전력)이 전달되고, 이 동력에 의해 기어수단(340)이 회전하여 이송축(3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수단(340)을 원뿔모양의 수평 및 수직기어(342,344)가 직각으로 접촉하는 베벨기어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스퍼기어 및 스퍼기어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웜기어의 조합과 같은 교차축기어일 경우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316)을 이용하여 기어수단(340)을 회전시키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기어수단(340)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이송축(330)을 미세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스태핑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 키트를 이용한 버피코트 추출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버피코트 추출 방법은, 혈액을 채취하는 단계(S10)와, 채취된 혈액을 성분별로 분리하는 단계(S20)와, 혈장을 추출하는 단계(S30)와,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술한 각 단계를 실시하기 위해 버피코트 추출 키트가 사용된다. 즉, 혈액을 채취하는 단계(S10)에서는 실린지(100)가 사용되고, 원심분리기(200)는 혈액을 분리하는 단계(S20)에서 사용된다. 또한, 혈장 및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단계(S30,S40)에서는 실린지 펌프(300)가 사용된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버피코트 추출 키트를 이용한 버피코트 추출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실린지(100)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액을 채취한다(S10). 실린지(100)를 이용한 채혈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도 8의 (a)와 같이 실린지(100)의 연결팁(112)에 니들(510)을 꽂아 혈액을 직접 채취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도 8의 (b)와 같이 채혈용 실린지(520)를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한 후 실린지(100)의 연결팁(112)에 연결하여 옮기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연결팁(112)에 니들(510) 또는 채혈용 실린지(520)를 꽂아 사용할 경우 혈액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혈액을 옮기는 과정에서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의 감염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혈액이 채취되면 상부 덮개(150)를 결합하여 실린더(110)의 연결팁(112)을 밀봉한 후 밀대(도 8의 140)를 제거한다(도 9 참조).
이때, 상부 덮개(150)를 이용하여 연결팁(112)을 밀봉하는 이유는 혈액이 담긴 실린지(100)를 원심분리기(200)로 옮기는 과정에서 혈액이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밀대(140)를 제거하는 이유는 실린지(100)가 원심분리기(200)에 직접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린지(100)에 상부 덮개(150)를 결합하고 밀대(140)를 제거한 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기(200)에 장착하여 혈액을 성분별로 분리시킨다(S20).
원심분리를 거쳐 혈액이 성분별로 분리되면 최하층에는 혈구(C)가 위치되고, 최상층에는 혈장(빈혈소판 혈장, P)이 위치되며, 혈구와 혈장 사에 버피코트(B)가 위치된다(도 12 참조).
혈액의 성분별 분리가 완료되면, 실린지(100)를 실린지 펌프(300)에 설치하고, 실린지 펌프(300)를 구동하여 혈장(P)과 버피코트(B)를 차례로 추출한다(S30,S40). 즉, 실린지 펌프(330)의 핸들(316)을 회전시키면 평기어 조합(370)을 통해 기어수단(340)으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수직기어(344)와 수직기어(344)에 교합된 수평기어(342)가 회전한다. 수평기어(342)가 회전하면 수평기어(342)에 설치된 부시(350)가 함께 회전하며 이송축(330)을 케이스(310)의 외부로 상승시킨다(도 11 참조).
결국,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는 이송축(330)이 실린지(100)의 피스톤(120)을 밀면 혈장(P)과 버피코트(B)가 차례로 배출되고, 실린지(100)의 연결팁(112)에 추출용 실린지(미도시)를 꽂으면 혈장(P)과 버피코트(B)를 간단하게 추출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실린지(100)에 형성된 눈금(116)을 이용하면 혈장(P)과 버피코트(B)의 배출량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혈장(P)과 버피코트(B)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혈소판이 고농도로 함유된 버피코트(B)만을 완벽하게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 이외에 혈장(P)과 버피코트(B)를 겔 상태로 원심 분리하여 추출하는 방법도 있다. 즉, 실린지(100)를 도 12의 (a)와 같은 상태로 원심분리기(200)에 장착하고, 혈액 성분이 겔 상태가 될 때까지 원심 분리한 후 하부 덮개(160), 밀대(140), 피스톤(120)을 차례로 제거한 상태에서 핀셋 등을 이용하여 혈장(P)과 버피코트(B)를 추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추출된 혈장(P)과 버피코트(B)는 치과용 등의 다혈소판 혈장 시술용으로 사용된다.
다른 한편, 실린지 펌프(300)에 의해 추출된 혈장(P)과 버피코트(B) 중 혈장(빈혈소판 혈장, P)은 후술할 온도조절기(도 13의 400)를 거쳐 필러(filler)로 사용된다. 도 13을 참조하여 온도조절기(40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 키트의 온도조절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온도조절기(400)는, 추출된 혈장(도 12의 P)을 가열하는 가열부(410)와, 가열된 혈장(P)을 냉각하는 냉각부(420)와, 가열부(410) 및 냉각부(42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때, 상술한 제어부는 PID 제어부로 가열부(410) 및 냉각부(420)의 온도 정보를 지속적으로 피드백하여 항상 일정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가열부(410)의 온도가 85~95℃로 유지되도록, 그리고 냉각부(420)의 온도가 3~7℃로 유지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열부(410)의 온도가 90℃, 냉각부(420)의 온도가 5℃인 것이 좋다.
혈장(P)을 이용하여 필러를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면, 추출된 혈장(도 12의 P)을 온도조절기(400)의 가열부(410)에 장착한 후 90℃로 10분간 가열한 후 냉각부(420)에 장착하여 5℃로 5분가 가열한다. 이럴 경우 혈장(P)에 막이 형성되고, 이를 추출한 것이 필러로 사용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혈액을 직접 채취하거나 채취한 혈액을 담는 실린지;
    상기 실린지를 직접 회전시켜 혈액을 성분별로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및
    상기 실린지의 피스톤을 이동시켜 분리된 혈액 성분 중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실린지 펌프를 포함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지는,
    혈액을 직접 채취하거나 채취한 혈액을 담을 수 있도록 니들 또는 다른 주사기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팁이 돌출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흡입력 또는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및
    상기 실린지가 상기 원심분리기에 직접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지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밀봉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밀대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밀대가 상기 피스톤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의 내측 상면에 상기 연결팁을 밀봉하는 탄성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린지 펌프는,
    상기 실린지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장착홈에 설치된 상기 실린지를 고정하는 고정너트,
    상기 장착홈 중앙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축,
    상기 이송축에 나사 결합되는 부시, 및
    상기 이송축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부시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송축이 승강하며 상기 실린지의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가 상기 몸체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고정너트의 중앙에 상기 실린지가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지의 하부 덮개와 접촉되는 걸림턱이 상기 결합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은 원뿔모양의 수평 및 수직기어가 직각으로 접촉하는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기어의 중앙에 상기 부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은, 스퍼기어와, 상기 스퍼기어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퍼기어의 중앙에 상기 부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상기 기어수단을 작동시키는 핸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기어수단을 작동시키는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스태핑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지 펌프에 의해 추출된 혈액 성분 중 혈장을 가열 및 냉각하는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기는, 추출된 혈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된 혈장을 냉각하는 냉각부와, 상기 가열부 및 냉각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PID 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키트.
  17. 실린지를 이용하여 혈액을 직접 채취하거나 채취한 혈액을 담는 단계;
    실린지의 밀대를 제거하고 원심분리기에 장착하는 단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성분별로 분리하는 단계;
    실린지를 실린지 펌프에 설치하고, 실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이동시켜 분리된 혈액 성분 중 혈장을 추출하는 단계; 및
    혈장이 제거된 상태에서 실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이동시켜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피코트 추출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액체 상태로 분리하고, 상기 실린지에 추출용 실린지를 꽂아 혈장 및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겔 상태로 분리하고, 핀셋을 이용하여 혈장 및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방법.
  20.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온도조절기를 이용하여 추출된 혈장을 가열 및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피코트 추출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혈장의 가열온도는 85~95℃이고, 가열시간은 8~12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혈장의 냉각온도는 3~7℃이고, 가열시간은 3~7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 방법.
PCT/KR2011/003202 2010-04-29 2011-04-29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WO2011136606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278A KR101145388B1 (ko) 2010-04-29 2010-04-29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KR10-2010-0040278 2010-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6606A2 true WO2011136606A2 (ko) 2011-11-03
WO2011136606A3 WO2011136606A3 (ko) 2012-04-19

Family

ID=4486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3202 WO2011136606A2 (ko) 2010-04-29 2011-04-29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5388B1 (ko)
WO (1) WO201113660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4359A1 (en) * 2012-01-31 2013-08-08 Estar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interleukin receptor antagonist (ira)
CN114308410A (zh) * 2021-12-20 2022-04-12 常州天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肿瘤细胞样本前处理提取试剂盒
CN117619573A (zh) * 2024-01-25 2024-03-01 科泰(山东)健康营养有限公司 一种半乳甘露聚糖实验用离心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829B1 (ko) * 2012-05-23 2014-02-26 임덕식 버피코트 추출용 키트
EP3212249B1 (en) 2014-10-31 2019-12-04 Eltek S.p.A. Medical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a concentrate of cells
DE112016006997A5 (de) * 2016-06-24 2019-03-14 Arthrogen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Gewinnung von Serum aus Blut
CN106597986B (zh) * 2017-01-23 2023-05-16 重庆师范大学 一种基于pid的双级推料离心机控制装置及方法
KR200486998Y1 (ko) * 2017-04-24 2018-07-24 주식회사 씨피엘 특정성분 추출이 가능한 의료용 주사기 키트
WO2021096107A1 (ko) * 2019-11-11 2021-05-20 이준석 체액 성분 분리 장치
KR102323493B1 (ko) * 2019-11-11 2021-11-09 이준석 체액 성분 분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5332A1 (en) * 1987-01-13 1988-07-28 Mclaughlin, William, F. Continuous centrifug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ly deriving intermediate density material from a suspension
WO2001041644A1 (en) * 1999-12-13 2001-06-14 Sterling Medivations, Inc. Constant speed blood sample collection system
KR20100006440A (ko) * 2008-07-09 2010-01-19 이희영 주사기 선단의 구심 방향 장착을 위한 원심분리기
KR100988221B1 (ko) *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기
KR100988220B1 (ko) *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5332A1 (en) * 1987-01-13 1988-07-28 Mclaughlin, William, F. Continuous centrifug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ly deriving intermediate density material from a suspension
WO2001041644A1 (en) * 1999-12-13 2001-06-14 Sterling Medivations, Inc. Constant speed blood sample collection system
KR20100006440A (ko) * 2008-07-09 2010-01-19 이희영 주사기 선단의 구심 방향 장착을 위한 원심분리기
KR100988221B1 (ko) *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기
KR100988220B1 (ko) *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4359A1 (en) * 2012-01-31 2013-08-08 Estar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interleukin receptor antagonist (ira)
US10167310B2 (en) 2012-01-31 2019-01-01 Estar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interleukin receptor antagonist (IRA)
US10519196B2 (en) 2012-01-31 2019-12-31 Estar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interleukin receptor antagonist (IRA)
US11905311B2 (en) 2012-01-31 2024-02-20 Estar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interleukin receptor antagonist (IRA)
CN114308410A (zh) * 2021-12-20 2022-04-12 常州天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肿瘤细胞样本前处理提取试剂盒
CN114308410B (zh) * 2021-12-20 2023-11-10 常州天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肿瘤细胞样本前处理提取试剂盒
CN117619573A (zh) * 2024-01-25 2024-03-01 科泰(山东)健康营养有限公司 一种半乳甘露聚糖实验用离心设备
CN117619573B (zh) * 2024-01-25 2024-03-26 科泰(山东)健康营养有限公司 一种半乳甘露聚糖实验用离心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729A (ko) 2011-11-04
KR101145388B1 (ko) 2012-05-15
WO2011136606A3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6606A2 (ko)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WO2011118907A2 (ko) 혈액성분 분리방법
JP6398104B2 (ja) 遠心機デバイス、遠心機、および遠心機を含む検査キット
WO2011052948A2 (ko) 재생성 세포 추출유닛 및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WO2013100700A1 (ko)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0988221B1 (ko) 혈액성분 분리기
US20050123895A1 (en) Fat collection and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1008642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separating regenerative cells from adipose tissue
ES2780057T3 (es) Método para la preparación de al menos un compuesto a partir de sangre, y dispositivos de muestreo para ser utilizado en la ejecución de dicho método
WO2010131880A2 (ko) 분리가능한 원심분리기용 시험관
WO2013085151A1 (ko) 원심분리기용 용기
WO2014168409A1 (ko) 자가 혈소판 추출을 위한 혈액 분리 용기
US20070178018A1 (en) Disposable container for centrifuging and treating a fluid biological material
WO2013066014A1 (ko) 신속한 원심분리가 가능한 원심분리용 용기
US20080146917A1 (en) Fat Collection and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KR20100054019A (ko) 다혈소판 혈장의 제조방법
CN108272477B (zh) 一种消化内科用多功能活体取样分析装置
WO2011062313A1 (ko) 줄기세포 분리방법
JP4239220B2 (ja) 成分採取デバイス
KR101031460B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추출용 장치
WO2015108273A1 (ko) 혈소판 농축 혈장 추출용 혈액분리장치 및 방법
KR101008583B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WO2016195126A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WO2015174671A1 (ko) 성분 분리기
WO2013058600A2 (ko) 혈소판 축출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753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7753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