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512B1 - 혈액분리용기 - Google Patents

혈액분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512B1
KR101563512B1 KR1020150050436A KR20150050436A KR101563512B1 KR 101563512 B1 KR101563512 B1 KR 101563512B1 KR 1020150050436 A KR1020150050436 A KR 1020150050436A KR 20150050436 A KR20150050436 A KR 20150050436A KR 101563512 B1 KR101563512 B1 KR 101563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receiving portion
blood separation
sealing memb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 수 한
한상범
Original Assignee
기 수 한
한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수 한, 한상범 filed Critical 기 수 한
Priority to KR1020150050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512B1/ko
Priority to CN201610021568.0A priority patent/CN10604044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4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 B04B5/0407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for liquids contained in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혈액분리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상,하부수용부 및, 상기 상,하부수용부를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고, 혈액이 담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하부수용부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밀봉부재와, 상기 하부밀봉부재와 하부수용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부밀봉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원심분리된 혈액 중 버피층이 상기 목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위치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에는 상기 버피층이 확대되어 보이도록 하는 렌즈부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혈액분리용기{BLOOD SEPARATING VIAL}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에서 혈액을 원심분리하는 데에 사용되는 혈액분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을 상부밀봉부재와 하부밀봉부재로 외부와 밀폐되도록 하면서 하부밀봉부재를 위치조절부에 의해 용기본체 의 내부에서 이동시켜서, 원심분리된 혈액 중 버피층(Buffy Coat)이 용기본체의 목부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하고, 버피층을 렌즈부를 통해 확대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혈액분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혈액을 혈액분리용기에 담아서 원심분리기에 의해서 원심분리하면, 비중에 따라 적혈구와 버피층(Buffy Coat) 및 혈장으로 나뉜다.
이중, 버피층은 자가혈치료 등에 사용되는 혈소판풍부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와 관련되며 혈소판과 백혈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버피층을 주사기 등으로 혈액분리용기로부터 추출하여 혈소판풍부혈장을 이루어서 자가혈치료 등에 사용한다.
그러나, 버피층은 혈액의 약 1% 정도를 차지하기 때문에, 원심분리를 하면 혈액분리용기에 매우 얇은 층으로, 예컨대 얇은 띠로 형성된다. 따라서, 버피층을 추출하는 것에 숙련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숙련되지 않으면 버피층의 추출이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고자, 종래의 혈액분리용기(10)에서는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되며 상부는 상부덮개(30)에 의해서 닫히고 하부는 하부덮개(40)에 의해서 닫히는 용기본체(20)가 상부수용부(21)와 하부수용부(22) 및 목부(23)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용기본체(20)의 목부(23)의 직경은 상부수용부(21)와 하부수용부(22)의 직경보다 작게 하였다. 또한, 하부수용부(22)의 하부의 외주에 수나사산(22a)이 형성되고 하부덮개(40)의 내주에 암나사산(40a)이 형성되어 하부덮개(40)가 하부수용부(22)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하부수용부(22)의 하단부의 외주에는 오링(O)이 구비되어 하부수용부(22)와 하부덮개(40) 사이가 밀봉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부덮개(30)에는 주사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구멍(31,32)이 형성되고, 통과구멍(31,32)은 마개(33)에 의해서 개폐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인체로부터 주사기 등에 의해서 채혈된 혈액은 통과구멍(31,32) 중 하나를 마개(33)에 의해서 개방하고 주사바늘이 개방된 통과구멍(31,32)을 통과하여 용기본체(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본체(20)에 담긴다.
그리고, 혈액이 담긴 혈액분리용기(10)는 개방된 통과구멍(31,32)을 마개(33)로 닫은 후 원심분리기에 의해서 원심분리하여 성분별로 나뉘게 한다. 원심분리된 혈액 중 버피층이 목부(23)에 위치하면, 목부(23)의 직경이 다른 부분보다 작아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버피층의 두께가 상부수용부(21)나 하부수용부(22)에 위치할 때보다 두꺼워진다. 이에 따라, 통과구멍(31,32) 중 하나를 마개(33)로 개방하고 주사바늘이 개방된 통과구멍(31,32)을 통과하여 목부(23)에 위치한 상태에서 버피층을 목부(23)로부터 추출한다.
한편, 혈액의 양에 따라 원심분리 후 버피층이 목부(23)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버피층이 상부수용부(21)나 하부수용부(22)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피층이 목부(23)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면, 버피층의 두께가 두껍지 않아서 버피층의 추출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부덮개(4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하부덮개(40)를 승강시켜서 버피층이 목부(23)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혈액분리용기(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수용부(22)의 하단부 외주에 구비되는 오링(O)에 의해서 하부수용부(22)와 하부덮개(40) 사이가 밀봉되기 때문에, 용기본체(20)의 내부의 밀폐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마개(33)에 의해서 통과구멍(31,32)이 개폐되기 때문에, 통과구멍(31,32)이 열리면 외부의 세균 등이 통과구멍(31,32)을 통해 용기본체(20)의 내부공간에 담긴 혈액에 침투하여 혈액을 손상시켰다.
한편, 병원 등 혈액을 취급하는 곳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용 원심분리기나 범용 원심분리기 중 어느 하나를 가지고 있다.
전용 원심분리기의 경우에는 하부수용부(22)의 직경과 유사한 내경을 가지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용 원심분리기의 삽입공에 하부덮개(40)가 연결된 하부수용부(22)를 삽입하면, 원심분리시나 후에 혈액분리용기(10)가 요동하지 않고 안정되게 위치하기 때문에 원심분리된 혈액성분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범용 원심분리기의 경우에는 하부수용부(22)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버킷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부덮개(40)가 연결된 하부수용부(22)를 버킷에 삽입하면, 원심분리시나 후에 혈액분리용기(10)가 요동치는 것에 의해서, 원심분리된 혈액성분이 서로 섞이었다. 따라서, 범용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 때에는, 혈액분리용기(10)가 버킷에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하는 별도의 보조부재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혈액분리용기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하여 외부의 세균 등이 혈액분리용기에 담긴 혈액에 침투하여 혈액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버피층이 혈액분리용기의 목부에 용이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원심분리된 혈액 중 버피층을 렌즈부를 통해 확대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혈액분리용기로부터 용이하고 정확하게 추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전용 원심분리기뿐만 아니라 범용 원심분리기에도 별도의 보조부재 없이 혈액분리용기가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혈액분리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혈액분리용기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상,하부수용부 및, 상,하부수용부를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고, 혈액이 담기는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 및 하부수용부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밀봉부재와, 하부밀봉부재와 하부수용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밀봉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원심분리된 혈액 중 버피층이 목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위치조절부; 를 포함하며, 목부에는 버피층이 확대되어 보이도록 하는 렌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는 상단부가 하부밀봉부재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가 구비되고 하부수용부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수용부의 하부의 외주에는 제1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동부재의 내주에는 제1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1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상단부가 하부밀봉부재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끼움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하부수용부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제2수나사산이 형성되고 끼움부재에는 제2수나사산이 나사결합되는 제2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수용부의 외주에는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부의 직경은 상부수용부의 직경과 하부수용부의 직경보다 작고, 하부수용부의 직경은 상부수용부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부에는 하부수용부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가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 사이의 목부에는 하부수용부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조지지리브가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에 포함되는 이동부재 또는 회전부재의 외주에는 상부수용부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리브가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수용부의 하부의 내주에는 하부밀봉부재가 걸리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는 상부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부수용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의 상면에는 통과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과구멍은 덮개부재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주통과구멍과, 주통과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서 형성되는 보조통과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부수용부의 개방된 상부와 통과구멍을 밀봉하는 상부밀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재의 내주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수용부의 상부의 외주에는 고정돌기가 걸리어 고정되는 고정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혈액분리용기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하여 외부의 세균 등이 혈액분리용기에 담긴 혈액에 침투하여 혈액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피층이 혈액분리용기의 목부에 용이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심분리된 혈액 중 버피층을 렌즈부를 통해 확대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혈액분리용기로부터 용이하고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용 원심분리기뿐만 아니라 범용 원심분리기에도 별도의 보조부재 없이 혈액분리용기가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과 도12는 종래의 혈액분리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혈액분리용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혈액분리용기의 일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3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일실시예는 용기본체(200), 덮개부(300) 및, 위치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200)는 상,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용기본체(200)의 개방된 상부는 덮개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상부밀봉부재(320)의해서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200)의 개방된 하부는 위치조절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하부밀봉부재(410)에 의해서 밀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용기본체(200)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SY) 등에 의해서 용기본체(200)의 내부공간에 혈액(BL)이 담길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200)의 내부공간에 담긴 혈액(BL)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의 세균에 의해서 혈액(BL)이 감염되는 등, 외부요인에 의해서 용기본체(200)의 내부공간에 담긴 혈액(BL)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용기본체(200)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용기본체(20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혈액(BL)이 담길 수 있는 소재라면 주지의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용기본체(200)는 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200)에 담긴 혈액(BL)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자가혈치료 등에 사용되는 혈소판풍부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과 관련되며 혈소판과 백혈구를 포함하고 혈액(BL)의 원심분리에 의해서 나타나는 버피층(BC; Buffy Coat)을 용기본체(2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목부(230)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버피층(BC)은 목부(230)에 구비되는 후술할 렌즈부(232)를 통해 확대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혈액분리용기(100)로부터 용이하고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용기본체(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용부(210)와, 하부수용부(220) 및, 상부수용부(210)와 하부수용부(220)를 연결하는 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의 외주에는 고정턱(21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턱(211)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덮개부재(310)의 내주에 형성된 고정돌기(313)가 걸릴 수 있다.
덮개부재(310)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한 덮개부재(310)의 탄성영역 내에서의 변형에 의해서 고정돌기(313)가 상부수용부(210)의 고정턱(211)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에 덮개부재(310)가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한 덮개부재(310)의 탄성영역 내에서의 변형에 의해서 덮개부재(310)의 고정돌기(313)가 상부수용부(210)의 고정턱(211)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덮개부재(310)를 상부수용부(210)의 상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재(310)를 용이하게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연결시키거나 상부수용부(210)의 상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외에,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의 외주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덮개부재(310)의 내주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에 덮개부재(310)가 나사결합에 의해서 고정되게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에 덮개부재(310)가 고정되게 연결되고 분리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상부수용부(210)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BL)의 원심분리시 혈액성분 중 혈장(PL)이 위치할 수 있다.
하부수용부(220)의 하부의 외주에는 제1수나사산(2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나사산(221)에는 위치조절부(400)의 후술할 이동부(420)에 포함되는 이동부재(421)의 내주에 형성된 제1암나사산(421b)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421)가 하부수용부(22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동부재(421)는 회전하면서 회전방향에 따라 하부수용부(220)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421)가 회전하면서 소정 거리 하강하면, 이동부재(421)는 하부수용부(22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하부수용부(220)의 하부의 내주에는 걸림턱(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222)에 이동부(420)에 포함되며 하부수용부(22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후술할 하부밀봉부재(410)가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밀봉부재(410)가 하부수용부(220)의 내부에서 이동한다고 하더라도, 하부밀봉부재(410)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하부수용부(220)의 개방된 하부, 즉 용기본체(200)의 개방된 하부가 하부밀봉부재(410)에 의해서 항상 밀폐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수용부(220)에는 혈액(BL)의 원심분리시 혈액성분 중 적혈구(RB)가 위치할 수 있다.
목부(230)의 직경은 상부수용부(210)의 직경과 하부수용부(22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혈액(BL)의 약 1%를 차지하여 혈액(BL)의 원심분리시 매우 얇게, 예컨대 얇은 띠로 형성되는 버피층(BC)을 위치조절부(400)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230)에 위치하도록 하면, 같은 부피이지만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버피층(BC)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230)에 두껍게 위치하는 버피층(BC)을 목부(230)에 구비되는 후술할 렌즈부(232)를 통해 확대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주사기(SY)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하부수용부(220)의 직경은 상부수용부(21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즉, 하부수용부(220)의 직경은 상부수용부(210)의 직경과 목부(230)의 직경 사이의 크기일 수 있다.
예컨대, 하부수용부(220)의 직경은 전용 원심분리기(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되며 비교적 작은 크기인 삽입공(IS)의 내경과 유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수용부(220)가 전용 원심분리기의 삽입공(IH)에 삽입되어 안정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용 원심분리기에 의해서 혈액(BL)을 원심분리하는 도중이나 원심분리 후에 삽입공(IH)에 삽입된 하부수용부(220)가 요동치지 않기 때문에, 원심분리된 혈액성분이 서로 섞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전용 원심분리기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100)에 담긴 혈액(BL)을 원심분리하는 경우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수용부(220)를 전용 원심분리기의 삽입공(IS)에 삽입하면, 원심분리된 혈액성분이 서로 섞이지 않고 안정되게 원심분리될 수 있다.
목부(230)에는 하부수용부(220)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231)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231)는, 예컨대 3개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지지리브(231)의 개수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라면 2개 이상의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며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전용 원심분리기의 삽입공(IH)에는 전술한 하부수용부(220) 뿐만 아니라 목부(230)도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목부(230)도 전용 원심분리기의 삽입공(IH)에 삽입되는 경우에,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231)에 의해서 목부(230)도 전용 원심분리기의 삽입공(IH)에 안정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전용 원심분리기에 의한 혈액(BL)의 원심분리시 분리된 혈액성분이 서로 섞이지 않고 분리된 채로 안정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231)는 방사상으로 목부(23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231)가 목부(230)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부(230)로부터 하부수용부(220)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231) 사이의 목부(230)에는 하부수용부(220)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조지지리브(23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보조지지리브(231a)에 의해서, 목부(230)가 전용 원심분리기의 삽입공(IH)에 보다 안정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보조지지리브(231a)의 개수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라면 2개 이상의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며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보조지지리브(231a)는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231) 사이의 목부(230)에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보조지지리브(231a)가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231) 사이의 목부(230)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부(230)로부터 하부수용부(220)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목부(23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피층(BC)이 확대되어 보이도록 하는 렌즈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렌즈부(232)는 예컨대 볼록렌즈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버피층(BC)의 추출시 사용자는 렌즈부(232)를 통해 버피층(BC)을 확대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버피층(BC)의 추출을 더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목부(230)에 렌즈부(232)가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의 렌즈가 목부(230)에 구비되거나 목부(230)에 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목부(230)의 렌즈부(232)의 두께를 목부(23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하여 렌즈부(232)가 볼록렌즈의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덮개부(300)는 용기본체(2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덮개부(300)는 덮개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재(31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200)의 상부수용부(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덮개부재(310)의 내주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3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200)의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의 외주에는 고정턱(2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력에 의한 덮개부재(310)의 탄성영역 내에서의 변형에 의해서 덮개부재(310)의 고정돌기(313)가 상부수용부(210)의 고정턱(211)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덮개부재(310)가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한 덮개부재(310)의 탄성영역 내에서의 변형에 의해서 덮개부재(310)의 고정돌기(313)가 상부수용부(210)의 고정턱(211)에 걸리지 않게 하는 것으로, 덮개부재(310)를 상부수용부(2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덮개부재(310)가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의 외주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덮개부재(310)의 내주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덮개부재(310)가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에 나사결합에 의해서 고정되게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덮개부재(310)의 상면에는 통과구멍(311,312)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310)의 통과구멍(311,312)을 통해 도3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주사바늘(ND)이 통과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로부터 채혈되어 주사기(SY)에 담긴 혈액(BL)이 용기본체(200)에 담길 수 있다. 또한, 원심분리되고 위치조절부(400)에 의해서 용기본체(200)의 목부(230)로 위치조절된 버피층(BC)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SY)로 추출하거나, 원심분리되어 용기본체(200)의 상부수용부(210)에 위치하는 혈장(PL)을 주사기(SY)로 추출할 수 있다.
통과구멍(311,312)은 주통과구멍(311)과 보조통과구멍(312)을 포함할 수 있다. 주통과구멍(311)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31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주통과구멍(311)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200)에 혈액(BL)이 담기도록 하거나, 원심분리되고 위치조절부(400)에 의해서 목부(230)에 위치된 버피층(BC)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보조통과구멍(312)은 주통과구멍(311)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통과구멍(312)은 혈장(PL)을 추출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통과구멍(312)은 용기본체(200)에 혈액(BL)이 담기도록 할 때, 용기본체(200)에 있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ND)이 주통과구멍(311)을 통과한 주사기(SY)를 통해 용기본체(200)에 혈액(BL)을 담는 동안에, 주사바늘(ND)이 보조통과구멍(312)을 통과한 다른 주사기(SY)를 통해 용기본체(200)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보조통과구멍(312)은 위치조절부(400)에 의해서 버피층(BC)을 목부(230)로 위치하도록 할 때, 용기본체(200)의 상부수용부(210)에 압축된 공기를 주사기(SY)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덮개부재(3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술한 통과구멍(311,312)의 개수나 형성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나 위치라도 가능하다.
덮개부(300)는 상부밀봉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밀봉부재(320)에 의해서 상부수용부(210)의 개방된 상부, 즉 용기본체(200)의 개방된 상부와 전술한 통과구멍(311,312)이 밀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밀봉부재(320)는 덮개부재(310)와 용기본체(200)의 상부수용부(21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판일 수 있다. 예컨대, 상부밀봉부재(320)는 원형판일 수 있다. 그러나, 상부밀봉부재(3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덮개부재(310)와 용기본체(200)의 상부수용부(21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상부밀봉부재(320)는 덮개부재(310)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310)가 용기본체(200)의 상부수용부(2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연결되면, 상부수용부(210)의 상단부가 상부밀봉부재(32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밀봉부재(320)의 테두리 부분은 덮개부재(310)와 상부수용부(210)의 상단부 사이에 밀착되게 위치될 수 있다.
통과구멍(311,312)에 대응되는 상부밀봉부재(320)의 부분은 통과구멍(311,312)에 일부가 삽입되면서도 상부밀봉부재(320)의 다른 부분보다 얇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밀봉부재(320)에 의해서 통과구멍(311,312)이 밀봉되면서도 주사바늘(ND)이 용이하게 통과구멍(311,312)과 상부밀봉부재(320)를 통과하여 용기본체(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주사바늘(ND)이 용기본체(200)로부터 빠져나온다고 하더라도, 상부밀봉부재(320)의 탄성에 의해서 용기본체(200)의 개방된 상부는 계속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200)에 담긴 혈액(BL)이 외부의 세균 등에 의해서 감염되는 등 외부의 요인에 의해서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상부밀봉부재(320)에 의해서 상부수용부(210)의 개방된 상부와 통과구멍(311,312)이 밀봉되는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상부밀봉부재(320)는, 예컨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부밀봉부재(32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부수용부(210)의 개방된 상부와 통과구멍(311,312)을 밀봉할 수 있는 소재라면 주지의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위치조절부(400)는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된 혈액(BL) 중 버피층(BC)이 목부(230)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위치조절부(400)는 하부밀봉부재(410)와 이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밀봉부재(410)는 용기본체(200)의 하부수용부(22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밀봉부재(410)에 의해서 하부수용부(220)의 개방된 하부, 즉 용기본체(200)의 개방된 하부가 밀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200)의 개방된 상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300)의 상부밀봉부재(320)에 의해서 밀봉되고, 용기본체(200)의 개방된 하부는 하부밀봉부재(410)에 의해서 밀봉되어, 용기본체(200)의 내부공간은 외부와 밀폐될 수 있다.
또한, 하부밀봉부재(410)가 이동부(420)에 의해서 하부수용부(220)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원심분리된 혈액(BL)의 버피층(BC)이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200)의 목부(230)에 용이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밀봉부재(410)는, 예컨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하부밀봉부재(41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부수용부(220)의 개방된 하부를 밀봉하면서 하부수용부(22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이동부(420)는 하부밀봉부재(410)와 하부수용부(22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혈액(BL)의 원심분리를 위해서, 비교적 내경이 작은 삽입공(IH)이 형성된 전용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부(420)를 하부밀봉부재(410)와 하부수용부(22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 원심분리기의 삽입공(IH)에 용기본체(200)의 하부수용부(220)를 삽입한다. 이에 의해서, 혈액(BL)의 원심분리시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100)의 일실시예가 전용 원심분리기에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혈액(BL)의 원심분리를 위해서 비교적 내경이 큰 버킷(BK)이 구비된 범용 원심분리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후술할 제2지지리브(421c)가 구비된 이동부재(421)를 포함하는 이동부(420)를 하부밀봉부재(410)와 하부수용부(220)에 연결한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용 원심분리기의 버킷(BK)에 이동부(420)를 삽입한다. 이에 의해서, 혈액(BL)의 원심분리시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100)의 일실시예가 범용 원심분리기에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100)의 일실시예를 비교적 내경이 작은 삽입공(IH)이 형성된 전용 원심분리기에도 원심분리된 혈액성분의 섞임 없이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보조부재 없이도 비교적 내경이 큰 버킷(BK)이 구비된 범용 원심분리기에도 원심분리된 혈액성분의 섞임 없이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동부(420)는 하부밀봉부재(4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된 혈액(BL) 중 버피층(BC)을 용기본체(200)의 목부(230)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동부(420)는 이동부재(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421)에는 끼움부(421a)가 구비될 수 있다. 끼움부(421a)는 이동부재(421)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끼움부(421a)의 상단부는 하부밀봉부재(41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예컨대, 끼움부(421a)의 상단부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하부밀봉부재(410)에는 끼움부(421a)의 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부(421a)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T'자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끼움부(421a)의 구비위치와 이의 상단부의 형상 및 이에 대응되도록 하부밀봉부재(410)에 형성되는 홈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움부(421a)의 상단부가 하부밀봉부재(41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위치와 형상이라면 어떠한 위치나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동부재(421)의 끼움부(421a)의 상단부가 하부밀봉부재(410)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21)의 이동에 따라 하부밀봉부재(410)도 용기본체(200)의 하부수용부(22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421)가 하부수용부(220)를 따라 소정 거리 하강하면, 하부밀봉부재(410)는 하부수용부(220)의 걸림턱(222)에 걸리게 된다. 이후, 이동부재(421)가 더 하강하면, 이동부재(421)의 끼움부(421a)는 하부밀봉부재(410)로부터 분리되며 이동부재(421)도 하부수용부(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동부재(421)는 용기본체(200)의 하부수용부(22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부재(4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수용부(220)에서의 이동, 즉 하부수용부(220)를 따른 하강에 의해서 하부밀봉부재(410)와 용기본체(200)의 하부수용부(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421)가 하부밀봉부재(410)와 용기본체(200)의 하부수용부(22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전술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수용부(220)를 전용 원심분리기의 삽입공(IH)에 삽입하여 혈액(BL)을 안정되게 원심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421)의 하부수용부(220)에서의 이동에 의해서 전술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밀봉부재(410)가 하부수용부(220)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동부재(421)의 내주에는 하부수용부(220)의 하부의 외주에 형성된 제1수나사산(221)과 나사결합되는 제1암나사산(42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421)는 회전방향에 따라 하부수용부(220)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부재(421)의 이동에 의해서 이동부재(421)의 끼움부(421a)에 끼워진 하부밀봉부재(410)도 하부수용부(220)의 내부에서 승강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421)의 외주에는 상부수용부(210)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리브(421c)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지지리브(421c)는, 예컨대 3개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2지지리브(421c)의 개수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라면 2개 이상의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며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러한 복수개의 제2지지리브(421c)를 잡고 이동부재(4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이동부재(4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범용 원심분리기에 구비된 비교적 내경이 큰 버킷(BK)에 하부수용부(220)에 연결된 이동부재(421)를 삽입하는 경우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리브(421c)에 의해서 이동부재(421)가 버킷(BK)에 안정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혈액(BL)의 원심분리시 별도의 보조부재 없이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100)를 사용하여 범용 원심분리기에서 혈액(BL)을 혈액성분의 섞임 없이 원심분리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지지리브(421c)는 방사상으로 이동부재(421)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제2지지리브(421c)가 이동부재(421)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부수용부(210)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혈액분리용기의 다른 실시예
이하, 도8 내지 도10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9는 도8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의 일실시예와 이동부(42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100)의 다른 실시예의 이동부(42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재(423)와, 회전부재(424)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재(423)는 상단부가 하부밀봉부재(41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예컨대, 끼움부재(423)의 상단부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하부밀봉부재(410)에는 끼움부재(423)의 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부재(423)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T'자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끼움부재(423)의 상단부의 형상 및 이에 대응되도록 하부밀봉부재(410)에 형성되는 홈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움부재(423)의 상단부가 하부밀봉부재(41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끼움부재(423)에는 제2암나사산(423a)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재(423)의 제2암나사산(423a)에는 회전부재(424)에 구비되는 후술할 연결부(424a)에 형성되는 제2수나사산(424b)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424)는 용기본체(200)의 하부수용부(22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재(424)에는 연결부(424a)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424a)에는 끼움부재(423)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424a)는 회전부재(424)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424a)에는 전술한 끼움부재(423)의 제2암나사산(423a)이 나사결합되는 제2수나사산(424b)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424)의 내주에는 가이드돌기(424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200)의 하부수용부(220)의 외주에는 가이드돌기(424c)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재(423)와 회전부재(424)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끼움부재(423)와 회전부재(424)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외력에 의한 회전부재(424)의 탄성영역 내에서의 변형에 의해서, 회전부재(424)의 가이드돌기(424c)가 하부수용부(220)의 가이드홈(223)에 삽입되도록 하면, 회전부재(424)가 하부수용부(2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한 회전부재(424)의 탄성영역 내에서의 변형에 의해서 회전부재(424)의 가이드돌기(424c)가 하부수용부(220)의 가이드홈(223)에서 분리되도록 하면, 회전부재(424)가 하부수용부(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424)가 하부수용부(220)를 중심으로,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부재(424)에 구비된 연결부(424a)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서, 끼움부재(423)와 함께 하부밀봉부재(410)가 하강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424)가 하부수용부(220)를 중심으로,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부(424a)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서 끼움부재(423)와 함께 하부밀봉부재(410)가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밀봉부재(410)를 이동시켜서 원심분리된 혈액(BL) 중 버피층(BC)이 용기본체(200)의 목부(230)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회전부재(424)의 외주에는 상부수용부(210)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리브(424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2지지리브(424d)는 방사상으로 회전부재(424)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경이 비교적 작은 삽입공(IH)이 형성된 전용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부재(424)와 함께 끼움부재(423)를 용기본체(200)의 하부수용부(220)로부터 분리한 후, 전용 원심분리기의 삽입공(IH)에 하부수용부(220)를 삽입하여 혈액을 원심분리할 수 있다.
또한, 내경이 비교적 큰 버킷(BK)이 구비된 범용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부재(424)와 함께 끼움부재(423)를 용기본체(200)의 하부수용부(220)에 연결한 후, 버킷(BK)에 회전부재(424)를 삽입하여 제2지지리브(424d)에 의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용기(100)가 안정되게 지지되는 상태에서, 혈액의 원심분리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용기를 사용하면, 혈액분리용기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하여 외부의 세균 등이 혈액분리용기에 담긴 혈액에 침투하여 혈액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버피층이 혈액분리용기의 목부에 용이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원심분리된 혈액 중 버피층을 렌즈부를 통해 확대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혈액분리용기로부터 용이하고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전용 원심분리기뿐만 아니라 범용 원심분리기에도 별도의 보조부재 없이 혈액분리용기가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혈액분리용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100 : 혈액분리용기 20, 200 : 용기본체
21, 210 : 상부수용부 211 : 고정턱
22, 220 : 하부수용부 22a : 수나사산
221 : 제1수나사산 222 : 걸림턱
223 : 가이드홈 23, 230 : 목부
231 : 제1지지리브 231a : 보조지지리브
232 : 렌즈부 30 : 상부덮개
33 : 마개 300 : 덮개부
310 : 덮개부재 311 : 주통과구멍
312 : 보조통과구멍 313 : 고정돌기
320 : 상부밀봉부재 40 : 하부덮개
40a : 암나사산 400 : 위치조절부
410 : 하부밀봉부재 420 : 이동부
421 : 이동부재 421a : 끼움부
421b : 제1암나사산 421c, 424d : 제2지지리브
423 : 끼움부재 423a : 제2암나사산
424 : 회전부재 424a : 연결부
424b : 제2수나사산 424c : 가이드돌기
BL : 혈액 BC : 버피층
RB : 적혈구 PL : 혈장
IH : 삽입공 BK : 버킷
SY : 주사기 ND : 주사바늘
O : 오링

Claims (16)

  1. 상,하부가 개방되며, 상,하부수용부 및, 상기 상,하부수용부를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고, 혈액이 담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하부수용부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밀봉부재와, 상기 하부밀봉부재와 하부수용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부밀봉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원심분리된 혈액 중 버피층이 상기 목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에는 상기 버피층이 확대되어 보이도록 하는 렌즈부가 구비되며,
    상기 목부의 직경은 상기 상부수용부의 직경과 하부수용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하부수용부의 직경은 상기 상부수용부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목부에는 상기 하부수용부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에 포함되는 이동부재 또는 회전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상부수용부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리브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혈액분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단부가 상기 하부밀봉부재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수용부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혈액분리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용부의 하부의 외주에는 제1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내주에는 상기 제1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1암나사산이 형성되는 혈액분리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단부가 상기 하부밀봉부재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수용부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혈액분리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제2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에는 상기 제2수나사산이 나사결합되는 제2암나사산이 형성되는 혈액분리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수용부의 외주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혈액분리용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 사이의 상기 목부에는 상기 하부수용부의 직경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조지지리브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혈액분리용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용부의 하부의 내주에는 상기 하부밀봉부재가 걸리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혈액분리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부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상부수용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혈액분리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의 상면에는 통과구멍이 형성되는 혈액분리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구멍은 상기 덮개부재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주통과구멍과, 상기 주통과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서 형성되는 보조통과구멍을 포함하는 혈액분리용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부수용부의 개방된 상부와 상기 통과구멍을 밀봉하는 상부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혈액분리용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의 내주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용부의 상부의 외주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걸리어 고정되는 고정턱이 형성되는 혈액분리용기.
KR1020150050436A 2015-04-09 2015-04-09 혈액분리용기 KR101563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436A KR101563512B1 (ko) 2015-04-09 2015-04-09 혈액분리용기
CN201610021568.0A CN106040444A (zh) 2015-04-09 2016-01-13 血液分离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436A KR101563512B1 (ko) 2015-04-09 2015-04-09 혈액분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512B1 true KR101563512B1 (ko) 2015-10-28

Family

ID=5442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436A KR101563512B1 (ko) 2015-04-09 2015-04-09 혈액분리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3512B1 (ko)
CN (1) CN10604044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033A (ko) * 2018-08-19 2020-02-27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원심분리용기 조립체
KR20200001153U (ko) * 2018-11-26 2020-06-03 황의재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WO2022124918A1 (en) * 2020-12-11 2022-06-16 Biovico Sp. Z O. O. Tube
WO2022211293A1 (ko) 2021-03-30 2022-10-06 (주) 레보메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체액 추출용 바이오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713252D0 (en) * 2017-08-18 2017-10-04 Biosafe Sa Piston movement
KR101930290B1 (ko) * 2018-01-12 2018-12-18 (주)레보메드 체액 분리 장치
CN110433969A (zh) * 2018-05-04 2019-11-12 百泽生医科技股份有限公司 液体分离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0732A (ja) * 2009-02-18 2010-09-02 Beckman Coulter Inc 血液検査用マイクロ反応容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3579A (zh) * 2008-08-29 2011-09-28 奥林巴斯株式会社 检查体用容器
KR101049201B1 (ko) * 2009-10-29 2011-07-14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JP5051557B2 (ja) * 2010-11-09 2012-10-17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分離容器および分離方法
KR200462858Y1 (ko) * 2011-12-06 2012-10-05 이정민 원심분리기용 용기
KR101170028B1 (ko) * 2011-12-20 2012-08-01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KR101406574B1 (ko) * 2012-08-02 2014-06-27 조희민 혈액의 혈소판 농축 혈장 분리용 수집용구
CN103657756A (zh) * 2012-09-10 2014-03-26 杨朝城 离心管结构
ES2711828T3 (es) * 2012-12-27 2019-05-07 Jeon Min Yong Kit de extracción de capa leucocitaria
CN104704106B (zh) * 2013-04-11 2016-08-24 早安生物株式会社 提取自血小板的血液分离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0732A (ja) * 2009-02-18 2010-09-02 Beckman Coulter Inc 血液検査用マイクロ反応容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033A (ko) * 2018-08-19 2020-02-27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원심분리용기 조립체
KR102223877B1 (ko) 2018-08-19 2021-03-09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원심분리용기 조립체
KR20200001153U (ko) * 2018-11-26 2020-06-03 황의재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KR200492392Y1 (ko) * 2018-11-26 2020-09-29 황의재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WO2022124918A1 (en) * 2020-12-11 2022-06-16 Biovico Sp. Z O. O. Tube
WO2022211293A1 (ko) 2021-03-30 2022-10-06 (주) 레보메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체액 추출용 바이오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40444A (zh)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512B1 (ko) 혈액분리용기
KR200462858Y1 (ko) 원심분리기용 용기
US90118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iological materials
KR101125073B1 (ko) 일체형 분리장치
KR101170028B1 (ko) 혈액 분리 장치
KR101197974B1 (ko) 신속한 원심분리가 가능한 원심분리용 용기
KR101128163B1 (ko)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609226B1 (ko) 생물학적 유체의 성분들을 분리 및 격리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421319B2 (en) Blood separation container for extracting self-platelet
US4111355A (en) Multi-compartment centrifuge rotor liner
KR102119835B1 (ko)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US9296526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utomatic cap for liquid vessel
CA2997415C (en) Filtering syringe
JP2020510520A (ja) 医療試験管
KR101646751B1 (ko)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KR20140131211A (ko) 원심분리용 용기
RU2698723C1 (ru) Система стерильная для сепарирования крови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богащенной тромбоцитами плазмы из цельной крови
KR101473352B1 (ko) 혈액 분리 장치
CN216396710U (zh) 血液分离器具
KR101291386B1 (ko) 혈액 검사용 용기
KR101749932B1 (ko)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 분리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의 분리 방법
KR101848869B1 (ko) 원심분리용 용기
EP2772311A1 (en)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or
KR102540325B1 (ko) 분리형 내외관이 구비된 prp키트
KR102661299B1 (ko)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