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869B1 - 원심분리용 용기 - Google Patents

원심분리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869B1
KR101848869B1 KR1020160105282A KR20160105282A KR101848869B1 KR 101848869 B1 KR101848869 B1 KR 101848869B1 KR 1020160105282 A KR1020160105282 A KR 1020160105282A KR 20160105282 A KR20160105282 A KR 20160105282A KR 101848869 B1 KR101848869 B1 KR 101848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hamber
container
centrifugal
centrifugal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632A (ko
Inventor
황의재
Original Assignee
(주) 굿모닝 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굿모닝 바이오 filed Critical (주) 굿모닝 바이오
Priority to KR1020160105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86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에 장착되는 원심분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혈액, 지방조직 또는 골수 등과 같은 생리학적 복합 유체에 원심력을 가하여 성분별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성분을 원심분리하여 얻고자하는 성분을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는 원심분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시 챔버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챔버 내부에서 자전하는 원심분리용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본체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원심분리용 대상물질의 성분별 분리율을 향상시켜 종래기술과 같이 공전만을 이용한 원심분리 방식에 비해 얻고자하는 성분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심분리용 용기{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에 장착되는 원심분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혈액, 지방조직 또는 골수 등과 같은 생리학적 복합 유체에 원심력을 가하여 성분별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성분을 원심분리하여 얻고자하는 성분을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는 원심분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혈액은 각종 질병이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주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부분도 있지만, 혈액 내에 성장 인자가 풍부하게 들어 있는 혈소판은 치료목적으로 사용된다. 혈소판은 주로 혈장에 존재하고, 혈장은 PRP(Platelet Rich Plasma)와 PPP(Platelet Poor Plasma)로 분류된다. 이 중 농축 혈소판인 PRP는 통증 부분, 특히 무릎 안좌, 인대 또는 근육 등에 이식되고, 이식되는 부분의 줄기세포를 자극하여 세포가 생성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치료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PRP는 추출량이 채취된 혈액의 1% 정도로 소량이고, 점도가 높아 적혈구로부터 분리가 어렵다. 적혈구는 인체에 투여되는 경우 상당한 고통을 야기하고,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어 PRP로부터 적혈구를 분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에 PRP를 적혈구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 추출하기 위해 원심분리기가 사용된다.
원심분리기는 일반적으로 물체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장치로서, 액체와 혼합되어 있는 세포 또는 액체보다 높은 비중과 부착력을 갖는 물질을 비중에 의해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심분리기는 혈액 이외에도, 지방조직 또는 골수 등과 같은 생리학적 복합 유체에 원심력을 가하여 성분별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성분을 서로 분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원심분리기는 시료의 양, 회전속도 및 로터의 유형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기본적으로 원심분리기 내에는 원심분리 대상물질이 수용된 원심분리용 용기가 장착되는 챔버를 포함한다. 챔버는 로터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 그 내부에 장착된 원심분리용 용기에 수용된 원심분리 대상물질, 즉 복합 유체의 각 성분별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복수 개의 층으로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 대상물질의 성분 분리시간은 시료의 양, 챔버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 등에 따라 결정된다. 즉, 시료의 양, 챔버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다량의 시료를 원심분리하거나, 혹은 회전속도가 느린 저성능의 원심분리기가 비치된 의료기관에서는 시료를 원심분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원심분리 대상물질로부터 얻고자 하는 성분을 신속 정확하게 수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KR 10-1197908 B1, 2012. 10. 30. KR 10-1197974 B1, 2012. 10. 30. KR 20-0462858 Y1, 2012. 09. 26.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량의 시료(원심분리 대상물질), 또는 비교적 회전속도가 느린 저성능의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하는 경우에도 시료의 원심분리 시간을 단축시켜 얻고자 하는 성분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는 원심분리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원심분리 대상물질이 내부에 수용되고, 원심분리기의 챔버 내부에 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본체의 상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챔버의 회전시 발생되는 양력에 의해 상기 본체를 상기 챔버로부터 부상(浮上)시키는 날개편; 상기 날개편의 상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 상기 날개편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상기 본체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이탈방지돌기를 연결하여 상기 밀폐부재의 분실을 방지하고 상기 챔버의 회전시 공기 저항으로 인해 상기 챔버로부터 부상된 상기 본체를 상기 챔버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뚜껑;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밀폐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용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주입구를 감싸도록 상기 날개편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돌출 형성된 결합편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를 보호하는 한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에 비해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용기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원심분리기의 챔버 내부에 안착되되, 상기 본체가 상기 보호용기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용기의 내경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하부커버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는 직육면체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대적으로 넓은 면이 상기 챔버의 회전방향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챔버의 회전시 더 많은 공기 저항을 받도록 하여 회전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시 챔버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챔버 내부에서 자전하는 원심분리용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본체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원심분리용 대상물질의 성분별 분리율을 향상시켜 종래기술과 같이 공전만을 이용한 원심분리 방식에 비해 얻고자하는 성분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심분리용 용기를 각 구성별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심분리용 용기를 상하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심분리용 용기를 각 구성별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심분리용 용기를 상하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10)는 본체(11), 날개편(12), 이탈방지돌기(13), 뚜껑(14) 및 패킹부재(15)를 포함한다.
본체(11)는 도 3과 같이, 합성수지, 예를 들면,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는 내부에 원심분리 대상물질(미도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a)이 마련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원심분리 대상물질이 내부로 주입되는 주입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주입구(111)를 통해 내부로 주입된 상기 원심분리 대상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결합되는 패킹부재(15)에 의해 밀폐된다.
날개편(12)은 본체(11)의 상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날개편(12)은 본체(11)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편(12)은 도 5와 같이, 원심분리기(20)의 챔버(21) 회전시 본체(11)를 챔버(21)로부터 부상(浮上)시킨다. 즉, 날개편(12)은 챔버(21)의 회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챔버(21)의 회전시 수직방향, 즉 챔버(21)의 상부방향으로 양력을 유발시켜 본체(11)를 부상시킨다.
이탈방지돌기(13)는 주입구(111)와 나란하도록 날개편(12)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주입구(111)를 밀폐하는 뚜껑(14)이 본체(11)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탈방지돌기(13)는 도 2와 같이, 상부 둘레에 내측으로 함몰된 고정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3과 같이, 뚜껑(14)의 연결부재(142)는 타측부가 이탈방지돌기(13)의 고정홈(13a)에 끼워져 걸림된다.
뚜껑(14)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11)의 주입구(111)를 밀폐하는 밀폐부재(141)와, 밀폐부재(141)와 이탈방지돌기(1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42)를 포함한다. 또한, 밀폐부재(141)로부터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편(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재(141)는 도 3과 같이, 날개편(12)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본체(11)의 주입구(111)에 결합되어 주입구(111)를 밀폐한다. 이러한 밀폐부재(141)는 탄성 고무로 이루어져 주입구(111)의 외주면(또는 내주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물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밀폐부재(141)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주입구(111)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142)는 도 2와 같이, 밀폐부재(141)와 동일 재질로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42)는 일측부가 밀폐부재(141)로부터 연장되고, 타측부에는 결합공(142a)이 형성되어 이탈방지돌기(13)의 고정홈(13a)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연결부재(142)는 서로 높이 단차를 갖고 형성된 주입구(111)와 이탈방지돌기(13)를 상호 연결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42)는 챔버(21)의 회전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챔버(21)의 회전시 공기 저항으로 인해 챔버(21)로부터 부상된 본체(11)를 챔버(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연결부재(142)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직육면체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대적으로 넓은 면이 챔버(21)의 회전방향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챔버(21)의 회전시 더 많은 공기 저항을 받도록 함으로써 챔버(21) 회전시 챔버(21) 내에서 챔버(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편(143)은 도 2와 같이, 밀폐부재(142)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연장편(143)을 잡고 밀폐부재(141)를 주입구(111)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장편(143)은 연결부재(142)와 마찬가지로 밀폐부재(141)와 동일 재질로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부재(15)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체(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11)의 수용공간(11a)에 수용된 원심분리 대상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패킹부재(15)는 본체(11)의 하부 내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되거나, 혹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본체(11)의 하부 내측면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10)는 상부커버(17)와 하부커버(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커버(17)는 본체(11)의 상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날개편(12)의 상부에 주입구(111)를 감싸도록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돌출 형성된 결합편(16)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커버(17)는 원심분리시 본체(11)로부터 분리되고, 원심분리 전/후에는 날개편(1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편(16)에 결합되어 본체(11)의 상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주입구(111)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편(16)은 날개편(12)의 상부 외측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주입구(111)를 둘러싸도록 날개편(12)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하부커버(18)는 본체(11)를 원심분리기(20)의 챔버(21)에 안착시켜 원심분리할 때, 구조적으로 강도가 약한 본체(11)의 하부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1)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부커버(18)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본체(11)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b)과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원심분리용 용기를 원심분리기의 챔버에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10)는 직접 원심분리기(20)의 챔버(21) 내부에 삽입시켜 안착시키거나, 혹은 원심분리용 용기(10)가 챔버(2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날개편(12)과 뚜껑(14)의 연결부재(142)에 의해 챔버(21) 내부에서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호용기(19)의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로 챔버(21)의 내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보호용기(19)는 도 5와 같이, 본체(11)에 비해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본체(11)가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일반적인 시험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원심분리용 용기(10)가 보호용기(19)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보호용기(19)의 내경은 원심분리용 용기(10)의 본체(11) 또는 하부커버(17)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보호용기(19)의 내경은 본체(11) 또는 하부커버(17)의 외경에 비해 2mm 내지 5mm 정도 크게 형성한다. 이를 통해 원심분리기(20)의 로터에 의한 챔버(21) 회전시, 공기 저항에 의해 원심분리용 용기(10)가 보호용기(19)의 내부에서 챔버(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보호용기(19)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10)는 원심분리용 대상물질, 예를 들면 혈액, 지방조직 또는 골수 등과 같은 생리학적 복합 유체에 원심력을 가하여 원심분리용 대상물질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서로 분리한다.
이러한 원심분리용 용기(10)는 도 5와 같이, 상부커버(17)를 본체(11)로부터 분리시킨 후 보호용기(19)의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로 원심분리기(20)의 챔버(21)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원심분리기(20)의 로터를 구동시켜 챔버(21)를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켜 챔버(21) 내부에 수용된 원심분리용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원심분리용 대상물질을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용 대상물질의 성분들을 서로 분리한다.
원심분리용 용기(10)가 챔버(21)에 의해 회전할 때, 원심분리용 용기(10)에는 날개편(12)에 의해 양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양력에 의해 원심분리용 용기(10)는 챔버(21)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높이로 부상(浮上)한다. 그리고, 원심분리용 용기(10)에는 뚜껑(14)의 연결부재(142)에 의해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공기저항이 걸려 원심분리용 용기(10)는 챔버(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원심분리용 용기(10)는 도 6과 같이, 챔버(21)의 회전으로 인해 원심분리기(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챔버(21)의 회전방향으로 공전하고, 공전하는 과정에서 날개편(12)에 의해 걸리는 양력으로 인해 부상하는 한편, 뚜껑(14)의 연결부재(142)에 걸리는 공기저항으로 인해 챔버(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10)는 원심분리기(20)를 이용한 원심분리시 챔버(21)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챔버(21) 내부에서 자전함으로써 본체(11)의 수용공간(11a) 내부에 수용된 원심분리용 대상물질의 성분별 분리율을 향상시켜 종래기술과 같이 공전만을 이용한 원심분리 방식에 비해 얻고자하는 성분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원심분리용 용기 11 : 본체
12 : 날개편 13 : 이탈방지돌기
14 : 뚜껑 15 : 패킹부재
16 : 결합편 17 : 상부커버
18 : 하부커버 19 : 보호용기
20 : 원심분리기 21 : 챔버
141 : 밀폐부재 142 : 연결부재
143 : 연장편

Claims (5)

  1. 원심분리 대상물질이 내부에 수용되고, 원심분리기의 챔버 내부에 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본체의 상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챔버의 회전시 발생되는 양력에 의해 상기 본체를 상기 챔버로부터 부상(浮上)시키는 날개편;
    상기 날개편의 상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
    상기 날개편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상기 본체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이탈방지돌기를 연결하여 상기 밀폐부재의 분실을 방지하고 상기 챔버의 회전시 공기 저항으로 인해 상기 챔버로부터 부상된 상기 본체를 상기 챔버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뚜껑;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밀폐하는 패킹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주입구를 감싸도록 상기 날개편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돌출 형성된 결합편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를 보호하는 한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에 비해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용기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원심분리기의 챔버 내부에 안착되되, 상기 본체가 상기 보호용기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용기의 내경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하부커버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직육면체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대적으로 넓은 면이 상기 챔버의 회전방향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챔버의 회전시 더 많은 공기 저항을 받도록 하여 회전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용기.
KR1020160105282A 2016-08-19 2016-08-19 원심분리용 용기 KR101848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282A KR101848869B1 (ko) 2016-08-19 2016-08-19 원심분리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282A KR101848869B1 (ko) 2016-08-19 2016-08-19 원심분리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632A KR20180020632A (ko) 2018-02-28
KR101848869B1 true KR101848869B1 (ko) 2018-04-13

Family

ID=6140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282A KR101848869B1 (ko) 2016-08-19 2016-08-19 원심분리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224A (ko) 2020-05-22 2021-11-30 황의재 원심분리용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341B1 (ko) 2000-06-21 2002-09-30 이순욱 상하 개폐식 원심 분리 튜브
JP2009268825A (ja) 2008-05-09 2009-11-19 Olympus Corp 遠心分離装置
JP2013086063A (ja) 2011-10-21 2013-05-13 Kansai Enshinbunriki Seisakusho:Kk 円筒型遠心分離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341B1 (ko) 2000-06-21 2002-09-30 이순욱 상하 개폐식 원심 분리 튜브
JP2009268825A (ja) 2008-05-09 2009-11-19 Olympus Corp 遠心分離装置
JP2013086063A (ja) 2011-10-21 2013-05-13 Kansai Enshinbunriki Seisakusho:Kk 円筒型遠心分離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224A (ko) 2020-05-22 2021-11-30 황의재 원심분리용 용기
KR102407040B1 (ko) 2020-05-22 2022-06-08 황의재 원심분리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632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29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fluids containing multiple components
US9050403B2 (en) Platelet-rich plasma separator and platelet-rich plasma separation method
US20160030661A1 (en) Blood separation container for extracting self-platelet
JP4983204B2 (ja) 遠心分離容器及び遠心分離方法
KR101197974B1 (ko) 신속한 원심분리가 가능한 원심분리용 용기
US20140205514A1 (en) Blood separating vessel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KR101930290B1 (ko) 체액 분리 장치
JP2015502851A (ja) 遠心分離機用容器
WO2014104640A1 (ko) 버피코트 추출키트
AU202220008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uid components
KR101848869B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101277993B1 (ko)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US11896984B2 (en) Container for centrifugation
RU2698723C1 (ru) Система стерильная для сепарирования крови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богащенной тромбоцитами плазмы из цельной крови
KR101489461B1 (ko) 자가혈 피부재생 시술을 위한 버피코트 추출키트
US9718003B1 (en) Centrifuge tube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40131211A (ko) 원심분리용 용기
KR101291386B1 (ko) 혈액 검사용 용기
RU2740100C1 (ru) Вакуумная пробир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огащённой тромбоцитами аутологичной плазмы
KR102407040B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101457935B1 (ko) 지방의 세포분리를 위한 용기 및 그 이용방법
KR101990633B1 (ko) 혈소판 농축 물질 추출 장치
RU27163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бора и разделения крови на компоненты
KR20140085315A (ko) 버피코트 추출키트
KR101892197B1 (ko) 혈소판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