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315A - 버피코트 추출키트 - Google Patents

버피코트 추출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315A
KR20140085315A KR1020130157370A KR20130157370A KR20140085315A KR 20140085315 A KR20140085315 A KR 20140085315A KR 1020130157370 A KR1020130157370 A KR 1020130157370A KR 20130157370 A KR20130157370 A KR 20130157370A KR 20140085315 A KR20140085315 A KR 20140085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y coat
plasma
section
erythrocyte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민용
Original Assignee
전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민용 filed Critical 전민용
Publication of KR2014008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containing, or adapted to contain, solid media
    • C12M1/18Multiple fields or compar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tube or bottle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피코트 추출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혈장층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갖는 원통 형상의 혈장부와, 상기 혈장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혈장부의 하부에 연통하며 길이 연장되고 버피코트층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갖는 원통 형상의 버피코트부와, 상기 버피코트부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버피코트부의 하부에 연통하며 길이 연장되고 적혈구층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갖는 원통 형상의 적혈구부를 구비하며, 상가 혈장부의 자유단부와 상기 적혈구부의 자유단부가 각각 개구된 키트몸체와; 상기 적혈구부에 기밀 유지하며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패킹과; 상기 하부패킹을 이동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피코트 추출키트{Extract kit of buffy coat}
본 발명은 버피코트 추출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가혈 피부재생 시술 및 세포재생시술을 위하여 혈액을 채혈하여 버피코트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버피코트 추출키트에 관한 것이다.
생물학적 물질의 분리는 모든 생물학 유전학이나 의학 등에 있어서 세포물질 분석뿐만 아니라 세포의 배양 및 DNA의 확인 및 증폭을 위한 가장 근본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의학에서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학에 전 세계가 경쟁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줄기세포를 얻기 위하여 발생초기의 배반포(Blstocyst)에서 얻어지는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와 발생과정이 끝난 성인 또는 태반에서 얻어지는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가 있다.
이 가운데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를 얻는 주된 3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째로 골수(bone marrow)를 통해서 얻을 수 있으며, 둘째로는 제대혈(umbilical cord blood)을 통해서 얻을 수 있으며, 다음으로 말초혈액(mesenchymal blood)을 통하여 쉽게 얻을 수 있다. 이 모든 방법들은 우선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 혈액내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으로 크게 나누어지는 성분을 분리한 다음, 단핵세포구인 줄기세포를 분리해 내는 작업이 따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종래의 원심분리 방법들을 고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여러 가지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있어서 특히 인간이나 동물의 혈액을 채취하여 원심 분리하게 되면, 혈액 속에 있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기타 혈장성분들은 각각의 고유한 비중차이에 의해서 원심분리기용 용기의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무거운 것 순으로 층층이 위치하게 된다.
먼저, 주사바늘을 통하여 채취한 말초혈액을 원심분리용기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는, 원심분리기용 용기의 마개를 열고 시린지의 니들을 원심분리기용 용기 안쪽으로 위치한 다음 주사기에 있는 말초혈액을 원심분리기용 용기로 이동시킨 후, 니들을 원심분리기용 용기로부터 격리 시킨 후 열려있던 마개를 닫은 다음, 원심분리기의 버킷에 원심분리기용 용기를 삽입시키고 원하는 시간과 회전속도(rpm) 또는 중력가속도(g) 값을 세팅하여 작동시킨다.
통상, 적혈구의 경우 혈액 중에서 가장 무거운 비중을 차지하며 아래쪽에 형성되는데, 남성의 경우 전체 혈액 중 47%를 차지하며 여성의 경우 42%를 차지한다. 그 위로는 백혈구와 혈소판이 차지하며 전체 혈액 가운데 약1% 정도를 차지하며, 여기에는 말초혈액 줄기세포인 단핵구(monocyte)들도 포함된다.
나머지는 그 상층에 혈장이라 불리는 세럼(serum)과 피브리노겐(fibrinogen)이 위치한다. 원심분리가 끝난 원심분리기용 용기를 꺼내어 다시 마개를 열어 피펫이나 모세관 또는 니들을 통하여 각 구성물질의 비중차에 의하여 분리된 물질 가운데 원하는 물질을 추출해낸 다음, 나머지 성분들은 따로 보관 하던지 폐기하거나 재활용하게 된다.
또한, 최근 자가혈 세포재생 시술("PRP((Platelet Rich Plasma, 혈소판 풍부 혈장)시술이라고도 함, 이하 이를 "PRP시술"이라 칭함.)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자신의 혈액에서 상기의 분리방법으로 PRP를 추출하여 세포조직이 손상된 부위에 주사하여 세포조직을 재생시킴으로써 상처를 치유하는 시술을 의미한다. PRP 시술은 손상된 연골을 재생시키는 치료와, 여드름 흉터와 같이 손상된 피부조직을 재생시켜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등의 치료분야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혈액의 혈소판에는 성장인자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혈소판에는 사람의 몸속에서 세포를 증식하고 콜라겐을 생성하며, 신생 혈관을 재생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혈액에는 1마이크로 리터당 10만 내지 20만 개 정도의 혈소판이 포함되어 있는데, PRP 시술이 효과적이려면 1마이크로 리터당 100만 개 이상의 혈소판이 포함될 정도로 혈소판을 농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혈소판을 농축하는 방법으로는 채혈한 혈액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층상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통상의 혈액을 원심분리기로 층상분리를 하면 제일 아래층에 적색의 적혈구층이 형성되고, 적혈구층 위에 백혈구와 혈소판으로 이루어지는 진노란색의 버피코트(buffy coat) 층이 형성되고, 버피코트) 층 위인 최상층에는 혈장으로 이루어지는 옅은 노란색의 혈장층으로 나누어진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혈액 각 층의 부피 비율은 평균적으로 적혈구층이 약 45%, 버피코트층이 1%, 혈장층이 54%이다. PRP 시술은 상기와 같이 분리된 혈액에서 혈소판이 풍부한 버피코트층을 추출하여 사용하는데, 그 비율이 1%에 불과하여, 통상의 혈액채취 키트로는 버피코트만을 정확히 추출하기 어렵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16106호의 혈소판 농축 혈장 조성용 조립체, 키트, 및 그 방법(출원인 : 에스타 테크날러지스 리미티드)에는 환자로부터 전혈을 추출하여 혈소판을 농축하여 분획(fraction)하는 원심분리용 시험관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원심분리용 시험관은 내부 지름이 균일한 원통형으로서 상기와 같이 버피코트만을 정확히 추출하는 것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45980호의 원심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출원인 : (주) 글로텍)에는 전혈이나 체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 튜브에 주사기를 설치하여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되는 목표 물질(혈소판 농축혈장이나 줄기세포)을 주사기에 직접 채집함으로써 목표 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원심분리 키트가 게시되어 있는데, 이 원심분리 키트 또한 원심분리 튜브가 내부 지름이 균일한 원통형으로서 버피코트의 채취시 버피코트외에 분리겔 또는 적혈구도 같이 채취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897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용 용기의 직경이 좁은 챔버를 형성하여 이곳에 버피코트를 형성시켜 분리할 수 있는 장치가 출원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 챔버 및 중간 챔버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를 형성하여 특히 앵글타입의 원심분리기에서 원심분리시에 좌우로 유동하는 현상을 막아, 원심분리기용 용기 속에 담긴 물질을 정밀하게 분리시켜 주는 버피코트 추출키트가 출원되어 있으나, 버피코트층이 하부 챔버에 수용될 경우 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부족하였다.
또한, 종래의 키트가 마개를 형성하여 직접 사람의 손으로 열어서 주사기로부터 혈액을 주입하고 난 뒤 다시 사람의 손으로 닫는 과정을 하고 있는데, 이는 매우 비위생적인 것으로서 혈액이 외부 공기와 노출되어 감염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생물학적인 세포물질의 분리 및 특히 최근의 PRP 시술을 위하여 원심분리기로 분리한 혈액에서 혈소판이 농축되어 있는 버피코트(buffy coat)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버피코트 추출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피코트 추출키트는 원심 분리된 혈액에서 버피코트층이 식별되기 용이하고, 주사기로 정확히 추출할 수 있는 버피코트 추출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혈액에는 사람에 따라 그리고 동일인이라도 채혈 당시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적혈구와 버피코트 그리고 혈장의 구성비가 균일하지 않은데, 이와 같이 혈액 중의 조성비가 달라도 항상 버피코트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버피코트 추출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람의 손이 직접 마개를 열고 닫음으로 외부공기와 노출되거나, 사람의 손과 접촉되어서 오염되는, 비위생적인 작업을 방지할 수 있는 버피코트 추출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심 회전시 키트의 좌우유동을 최대한 억제하여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버피코트층이 흐트러짐을 방지하여 정밀한 원심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버피코트 추출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혈장층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갖는 원통 형상의 혈장부와, 상기 혈장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혈장부의 하부에 연통하며 길이 연장되고 버피코트층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갖는 원통 형상의 버피코트부와, 상기 버피코트부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버피코트부의 하부에 연통하며 길이 연장되고 적혈구층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갖는 원통 형상의 적혈구부를 구비하며, 상가 혈장부의 자유단부와 상기 적혈구부의 자유단부가 각각 개구된 키트몸체와; 상기 적혈구부에 기밀 유지하며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패킹과; 상기 하부패킹을 이동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혈장부에 마련되어, 상기 혈장부의 개구를 밀폐하는 상부패킹과; 상기 혈장부의 개구에 결합되는 상부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가 인출입하는 인출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적혈구부의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패킹이 상기 적혈구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패킹과 상기 푸셔는 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패킹은, 상기 푸셔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적혈구부의 내주면에 밀착하며 상기 적혈구를 기밀 유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혈장부와 상기 버피코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키트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키트몸체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키트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패킹과 상기 푸셔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버피코트 추출키트는, 혈액을 원심분리기로 원심 회전하면, 비록 전체 혈액의 1%정도로 미량의 버피코트라도 버피코트층은 버피코트부에서 상당한 높이로 형성되므로 이를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주사기로 정확히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버피코트를 추출하려는 혈액에 따라 적혈구와 버피코트, 그리고 혈장의 구성비가 균일하지 않더라도 하부패킹을 밀어올려 버피코트층을 버피코트부에 오게 하여,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주사기로 정확히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마개를 열고 닫지 않는 클로즈 시스템으로 손쉽게 알코올 솜 등으로 소독한 뒤 혈액을 주입하거나 버피코트를 추출하므로, 뚜껑을 열거나 마개를 열고 닫을 때 외부공기와 노출되거나 사람 손에 있던 잡균 등과 혈액의 직접 접촉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버피코트의 보존 기간을 늘려줄 수 있다.
또한, 지지리브와 지지돌기로 인하여, 원심분리기 회전 시 일어나는 미세한 좌우유동 및 높은 중력가속도로 인한 키트의 변형 및 버피코트층이 흐트러져 분산되는 것을 막아 정밀한 추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밀대를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밀어올려 버피코트를 버피코트부에 안정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원심분리시 가해지는 하중으로 발생되는 하부패킹의 강한 밀착력으로 원심분리시 혈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를 이용하여 채혈한 혈액에서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버피코트 추출키트는 혈액을 주입하여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적혈구층, 버피코트층, 그리고 혈장층의 층상으로 분리하여 그 중 버피코트층의 버피코트를 정확히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a)는 키트몸체(11)와 하부패킹(31)과 푸셔(51)를 포함한다.
키트몸체(11)는 혈액이 담기는 통으로서 투명한 수지로 이루어진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지며, 혈장부(13)와 버피코트부(19)와 적혈구부(21)를 포함한다.
혈장부(13)는 혈액을 원심분리했을 때 혈액 속의 혈장이 모이는 곳으로서, 혈장층(5, 도 6 참조)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가진다. 혈장부(13)의 외주면에는, 예컨대 혈장부(13)의 개구(15)에 인접한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의 돌기부(17)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17)는 후술할 상부마개(71)의 걸림홈(73)에 결합된다.
한편, 상부마개(71)는 혈장부(13)와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버피코트부(19)는 혈장부(1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혈장부(13)의 하부에 연통하며 길이 연장되고 버피코트층(7, 도 6 참조)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가진다.
적혈구부(21)는 원심분리기의 버킷(미도시)에 직접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버피코트부(19)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버피코트부(19)의 하부에 연통하며 길이 연장되고 적혈구층(9, 도 6 참조)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가진다.
이와 같이, 키트몸체(11)는 정상적인 혈액의 적혈구와 버피코트, 그리고 혈장의 구성비를 고려하여, 혈액을 원심분리 했을 때 버피코트층(7)이 버피코트부(19)의 중간부위 또는 최소한 적혈구부(21)에 형성되도록 혈장부(13)와 버피코트부(19), 그리고 적혈구부(21)의 직경과 길이를 정하며, 혈장부(13)의 자유단부와 적혈구부(21)의 자유단부에는 개구(15,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키트몸체(11)의 혈장부(13)와 버피코트부(19) 그리고 버피코트부(19)와 적혈구부(21)의 연결부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되어, 키트몸체(11)의 내부에서 혈액들의 유동이 잘 일어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a)는 적혈구부(21)의 직경이 혈장부(13)의 직경보다 작다. 통상 많은 양의 혈액이 투입되면 많은 양의 버피코트를 획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a)는 원심분리기의 버킷에 끼워져서 회전되는데, 버킷의 내부 체적은 한정되어 있으나 외부는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혈장부(13)의 직경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가분수 모양으로 버피코트 추출키트(10a)가 형성되게 되므로, 예컨대 혈장부(13)의 직경이 적혈구부(21)의 직경보다 크므로, 원심분리기가 회전될 때 좌우 유동현상이 더욱 심해지게 되어, 미세한 분량의 버피코트층(7)이 흔들리면서 흩어지게 되어 이를 정밀하게 모아서 추출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원심 분리시 키트몸체(11)에 가해지는 높은 중력 가속도로 인한 파손과 변형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버피코트 추출키트(10a)의 좌우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a)는 버피코트부(19)의 외주면에 지지리브(25)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리브(25)는 버피코트부(19)의 외주면으로부터 키트몸체(11)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일정 폭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리브(25)는 키트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버피코트부(19)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리브(25)는 혈장부(13)의 외주면에 키트몸체(11)의 길이방향 또는 키트몸체(11)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리브(25)는 버킷의 내주면에 이르도록 혈장부(13)와 버피코트부(19)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각 원심분리기회사 마다 그 내부 직경이 조금씩 다르게 제작된 원심분리기의 버킷에 있어서, 직경이 조금 작은 버킷에 삽입될 시는 약간의 힘을 가하여 슬라이딩시키면서 손쉽게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직경이 조금 더 큰 버킷의 경우 원심분리기 버킷의 내측면에 좀 더 가깝게 삽입되므로 원심분리기 회전시 발생되는 버피코트 추출키트(10a)의 좌우 유동현상을 방지되어, 버피코트층(7)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부패킹(31)은 적혈구부(21)에 기밀 유지하며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즉, 하부패킹(31)은 적혈구부(21) 내에 마련되어 키트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하며, 그 외주면이 키트몸체(11)의 내주면과 밀착된다.
하부패킹(31)은, 푸셔(5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33)와, 커넥터(33)에 결합되어 적혈구부(21)의 내주면에 밀착하며 적혈구를 기밀 유지하는 실링부재(41)를 포함한다.
커넥터(33)는 커넥터(33)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안착홈(35)이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33)의 내주면에는 푸셔(51)가 착탈되는 착탈홈(37)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33)의 착탈홈(37)의 내주면에 암나사(39)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부재(41)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링 형상을 가진다. 실링부재(41)는 커넥터(33)의 안착홈(35)에 안착되어, 커넥터(33)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실링부재(41)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링부재(41)의 외주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푸셔(51)는 하부패킹(31)의 커넥터(33)의 착탈홈(37)에 착탈하며, 착탈홈(37)에 결합되어 하부패킹(31)을 버피코트부(19)를 향해 이동시킨다. 커넥터(33)의 착탈홈(37)에 결합되는 푸셔(51)의 단부에는 착탈홈(37)의 암나사(39)의 규격에 대응하는 수나사(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푸셔(51)는 하부패킹(31)에 나사결합되면서 하부패킹(31)을 키트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금씩 밀어올려 이동시킨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부패킹(31)이 커넥터(33)와 실링부재(41)로 구성되고, 푸셔(51)가 하부패킹(31)의 커넥터(33)에 착탈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패킹(31)은 실링부재(41)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부패킹(31)은 푸셔(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a)는 적혈구부(21)의 개구(23)에 결합되어, 하부패킹(31)이 적혈구부(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마개(61)를 더 포함한다. 하부마개(61)에는 푸셔(51)의 인출입이 가능한 인출입공(63)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마개(61)의 직경은 적혈구부(21)의 외경보다 크지 않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적혈구부(21)의 외경이 최대한 버킷의 내경과 근접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적혈구부(21)에 최대한의 혈액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작은 원심분리기로도 최대한의 버피코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부마개(61)는 적혈구부(21)의 개구(23)에 착탈되거나, 또는 초음파 융착 등의 방식으로 적혈구부(21)의 개구(23)에 융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a)는 혈장부(13)의 개구(15)를 밀폐하는 상부패킹(65)과, 상부패킹(65)을 수용하며 혈장부(13)의 개구(15)에 결합되는 상부마개(71)를 더 포함한다.
상부패킹(65)은 주사기(1, 도 6 참조)의 바늘(3)이 쉽게 통과하고 기밀유지가 가능하도록,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부마개(71)의 내주면에는 혈장부(13)의 돌기부(17)가 결합되는 걸림홈(73)이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잇다.
또한, 상부마개(71)의 중앙에는 상부패킹(65)이 부분 노출되는 노출공(7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패킹(65)의 부분 노출되는 영역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부마개(71)의 노출공(75)에 끼움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패킹(65)의 노출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되며 노출공(75)에 결합됨으로써, 사용 전에 손쉽게 알코올이나 베타딘 등으로 상부패킹(65)의 노출된 부위를 소독 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패킹(65)의 노출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패킹(65)의 부분 노출되는 영역은 개구(15)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노출공(75)을 차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a)는 혈장부(13)의 개구(15)를 상부마개(71) 및 상부패킹(65)으로 차폐하고, 적혈구부(21)는 하부패킹(31)에 의해 기밀 유지함으로써 외부와 단절된 구조를 갖게 되어, 외부에서 혈액을 투입시켜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외부 공기와의 노출을 막아주어 혈액의 변질을 막아주며, 혈액의 보존기간을 더욱 연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하부패킹(31)의 실링부재(41)의 상단부가 버피코트부(19)를 향해 원추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c)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하부패킹(31)과 푸셔(51)가 나사결합되지 않고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c)의 커넥터(33)의 착탈홈(37)은 사각단면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푸셔(51)의 단부는 사각단면형상으로 돌출된 돌출턱(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푸셔(51)의 돌출턱(55)을 커넥터(33)의 착탈홈(37)에 끼움결합하여, 하부패킹(31)을 키트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금씩 밀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d)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는 달리, 커넥터(33)의 상부가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대표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키트(10a)를 사용하여 혈액중의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알코올솜 등으로 상부패킹(65)의 노출된 부위를 소독하고 나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1)의 바늘(3)로 상부패킹(65)을 관통하여 원심분리하고자 하는 혈액을 버피코트 추출키트(10a)에 주입하고, 주사기(1)를 제거한다.
다음, 혈액이 주입된 버피코트 추출키트(10a)를 원심분리기의 버킷에 장착하여, 혈액을 혈장층(5), 버피코트층(7), 적혈구층(9)의 순서로 층상으로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혈액을 원심분리기로 층상으로 분리하면, 정상적인 혈액의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피코트층(7)이 버피코트부(19)를 벗어난 적혈구부(21)에 형성된다.
버피코트층(7)이 적혈구부(21)에 형성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51)로 하부패킹(31)을 밀어올려 버피코트층(7)이 직경이 좁은 버피코트부(19)에 오도록 하면 버피코트층(7)이 쉽게 보여지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1)의 바늘(3) 끝을 상부패킹(65)의 노출된 부위를 통해 버피코트층(7)에 이르도록 찔러, 버피코트를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버피코트 추출키트(10a)로 추출한 버피코트는 매우 정확하게 버피코트를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우수한 품질의 PRP(Platelet Rich Plasma, 혈소판 풍부 혈장)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혈장부와 버피코트부와 적혈구부로 이루어진 키트몸체의 적혈구부에 하부패킹을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고, 푸셔로 하부패킹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버피코트를 추출하려는 혈액에 따라 적혈구와 버피코트, 그리고 혈장의 구성비가 균일하지 않더라도 하부패킹을 밀어올려 버피코트층을 버피코트부에 오게 하여,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주사기로 정확히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마개를 열고 닫지 않는 클로즈 시스템으로 손쉽게 알코올 솜 등으로 소독한 뒤 혈액을 주입하거나 버피코트를 추출하므로, 뚜껑을 열거나 마개를 열고 닫을 때 외부공기와 노출되거나 사람 손에 있던 잡균 등과 혈액의 직접 접촉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버피코트의 보존 기간을 늘려줄 수 있다.
또한, 지지리브와 지지돌기로 인하여, 원심분리기 회전시 일어나는 미세한 좌우유동 및 높은 중력가속도로 인한 키트의 변형 및 버피코트층이 흐트러져 분산되는 것을 막아 정밀한 추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밀대를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밀어올려 버피코트를 버피코트부에 안정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원심분리시 가해지는 하중으로 발생되는 하부패킹의 강한 밀착력으로 원심분리시 혈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1 : 키트몸체 13 : 혈장부
19 : 버피코트부 21 : 적혈구부
25 : 지지리브 31 : 하부패킹
33 : 커넥터 41 : 실링부재
51 : 푸셔 61 : 하부마개
65 : 상부패킹 71 : 상부마개

Claims (8)

  1. 혈장층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갖는 원통 형상의 혈장부와, 상기 혈장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혈장부의 하부에 연통하며 길이 연장되고 버피코트층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갖는 원통 형상의 버피코트부와, 상기 버피코트부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버피코트부의 하부에 연통하며 길이 연장되고 적혈구층을 형성하는 내부 용적을 갖는 원통 형상의 적혈구부를 구비하며, 상가 혈장부의 자유단부와 상기 적혈구부의 자유단부가 각각 개구된 키트몸체와;
    상기 적혈구부에 기밀 유지하며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패킹과;
    상기 하부패킹을 이동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부에 마련되어, 상기 혈장부의 개구를 밀폐하는 상부패킹과;
    상기 혈장부의 개구에 결합되는 상부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가 인출입하는 인출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적혈구부의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패킹이 상기 적혈구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킹과 상기 푸셔는 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킹은,
    상기 푸셔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적혈구부의 내주면에 밀착하며 상기 적혈구를 기밀 유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부와 상기 버피코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키트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키트몸체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키트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킹과 상기 푸셔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피코트 추출키트.
KR1020130157370A 2012-12-27 2013-12-17 버피코트 추출키트 KR201400853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144 2012-12-27
KR20120154144 2012-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315A true KR20140085315A (ko) 2014-07-07

Family

ID=517349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782A KR20140085284A (ko) 2012-12-27 2013-08-29 버피코트추출키트
KR1020130157370A KR20140085315A (ko) 2012-12-27 2013-12-17 버피코트 추출키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782A KR20140085284A (ko) 2012-12-27 2013-08-29 버피코트추출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0852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508B1 (ko) * 2018-06-25 2020-08-20 송미희 버피코트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284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5517B2 (ja) 遠心分離キ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遠心分離方法
US96429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fluids containing multiple components
EP15093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platelets from blood
EP16386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uid components
US8241592B2 (en) Cell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289535B1 (ko) 원심분리관
WO2014104640A1 (ko) 버피코트 추출키트
US20070131612A1 (en) Cell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338283B2 (en) Kit for centrifugal separation of biological fluid components and a method for centrifugal separation of biological fluid components
KR101333789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20140085315A (ko) 버피코트 추출키트
KR20140058032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KR20140111401A (ko)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KR101371674B1 (ko) 성분분리기
KR20150008548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KR101749932B1 (ko)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 분리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의 분리 방법
US2023001072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entrifuging a Physiological Fluid
KR101433821B1 (ko) 항응고제 자동 주입형 혈소판 농축세트
KR20150029261A (ko) 성장인자 추출키트
KR101333788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20190034928A (ko) 혈소판 농축 물질 추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