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401A -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 Google Patents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401A
KR20140111401A KR1020130025474A KR20130025474A KR20140111401A KR 20140111401 A KR20140111401 A KR 20140111401A KR 1020130025474 A KR1020130025474 A KR 1020130025474A KR 20130025474 A KR20130025474 A KR 20130025474A KR 20140111401 A KR20140111401 A KR 20140111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centrifuge
tube
centrifuge tube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
Original Assignee
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 filed Critical 김홍
Priority to KR102013002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1401A/ko
Publication of KR2014011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혈(whole blood)이나 체액(body fluid)을 원심분리할 때에 사용하는 원심분리 키트 및 원심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기로 전혈이나 체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 튜브에 주사기를 장착하여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되는 목표 물질(혈소판 농축혈장 이나 줄기세포)을 시술용 주사기에 직접 채집함으로써 목표 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원심분리 키트 및 원심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KIT FOR CENTRIFUGAL SEPARATION,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PLATELET RICH PLASMA GENERAT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혈액이나 체액을 원심분리할 때 사용되는 원심분리 키트 및 원심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심분리 튜브에 주사기를 설치하여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되는 목표 물질을 주사기에 채집함으로써 목표 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원심분리 키트 및 원심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줄기세포(stem cell)나 혈소판(platelet) 등 신체조직에 존재하는 유익한 성분을 이용하여 병을 치료하거나 이를 응용하여 시술하고 있다.
상기 줄기세포는 알려진 바와 같이, 배아 줄기세포와 성체 줄기세포로 나뉘며, 성체 줄기세포는 골수나 제대혈, 지방조직 등에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줄기세포는 세포를 반복하여 분열하는 자기재생(self renewal)과 여러 조직으로 분화하는 다분화능(multipotency),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하는 전능성(pluripotency)을 가진 세포로 정의된다.
또한, 혈소판(platelet)은 상처를 입었을 때 특히, 지혈 과정에서 일련의 연쇄과정(cascade process)을 통해 성장인자를 분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혈소판은 전혈(whole blood)에 포함된 혈소판 농축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인 것으로서, 전혈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혈소판 농축혈장은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PDGF)와 형질전환 성장인자(TGF), 상피 성장인자(EGF)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인자는 치유 과정시 조직의 재생에 필수적인 신생혈관의 촉진, 세포의 화학주성 및 분열촉진, 줄기세포의 자극 및 증식, 기질 합성 등을 조절하는 인자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상기 줄기세포 및 혈소판 농축혈장를 이용하여 각 분야별로 임상에서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줄기세포에서 타켓 세포를 추출하거나, 전혈에서 혈소판 자체나 혈소판 농축혈장을 효율적으로 획득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임상적으로 타켓 세포(성체 줄기세포)를 추출할 때는 지방 조직과 골수에서 추출하며, 골수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과정은 전혈에서 혈소판 농축혈장을 추출하는 과정과 거의 유사하다. 이에, 아래에서는 전혈에서 혈소판 농축혈장을 추출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주사기와 원심분리를 위한 원심분리 튜브가 준비된다. 이때, 상기 주사기는 주사바늘이 설치된 실린더와 플런저방식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주사기를 사용하며, 원심분리 튜브는 소정 물질을 수용하며 상부가 마개에 의해 밀폐되도록 이루어진 통상의 용기이다.
상기 혈액 채취용 주사기로 혈액(전혈)을 채취한다. 여기서 상기 주사기는 10cc용 채혈수사기를 사용한다. 예컨대, 항응고제인 ACD용액(Acid Citrat Dextrose solutions) 1.5cc를 함유하는 10cc 주사기로 8.5cc의 혈액을 채취한 다음 10cc용 원심분리 튜브에 담은 후 원심분리기 넣어 원심분리시킨다.
상기 혈액을 원심분리시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중에 의하여 원심분리 튜브(2)의 아래에서부터 적혈구층(RBC: red blood cell), 혈소판을 다량 포함한 혈소판 농축혈장(PRP)층, 혈소판 소량 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층의 3층으로 분리된다. 즉, 적혈구층(RBC)으로 이루어진 혈구성분과 혈소판 농축혈장 및 혈소판 소량혈장(PPP)으로 이루어진 혈장성분으로 혈액이 나뉘어진다. 이때, 상기 적혈구층(RBC)과 혈소판 소량혈장(PPP)을 제외한 가운데층에서 긴 스파이널 니들이 장착된 새로운 5cc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혈소판 농축혈장을 채취하게 된다.
한편, 혈소판의 농축을 위해서는 다시 한 번 원심분리 과정과 농축된 혈소판 농축혈장을 채취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혈소판 농축혈장을 채취 시에 적혈구층(RBC)이 함께 채취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즉, 혈소판 농축혈장만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혈소판 농축혈장을 채취하기 위한 키트가 다양한 가격과 그 성능으로 각 개원가의 실정에 맞춰 구비되고 있으나, 이러한 키트 역시 고가격과 소모품의 증가에 따라 사용하기 부담되는 실정이다.
아울러, 시술시 필요한 혈소판 농축혈장을 추출하여 즉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혈소판 농축혈장 추출시에 대기시간이 증가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원심분리를 통해 목표 물질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원심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한 소모품을 사용함은 물론, 소모품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목표 물질을 주사기에 채집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 및 피시실자의 대기시간을 줄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심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원심분리 키트는, 원심분리기에 설치되어 전혈을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혈구 층으로 이루어진 혈구성분과, 혈소판 농축혈장(PRP)층 및 혈소판 소량혈장(PPP)층으로 이루어진 혈장성분으로 분리하도록 이루어진 원심분리 키트로서,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에 개방부가 구성되어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마개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집적관이 구성된 집적부가 설치되는 원심분리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집적부는 원심분리된 전혈의 적혈구 체적에 상응하는 공간이 직접부의 상부에 구성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원심분리 키트는, 원심분리기에 설치되어 전혈을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혈구 층으로 이루어진 혈구성분과, 혈소판 농축혈장(PRP)층 및 혈소판 소량혈장(PPP)층으로 이루어진 혈장성분으로 분리하도록 이루어진 원심분리 키트로서, 내부에는 집적관이 구성된 집적부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하는 튜브인입부가 구성된 결합부, 상부가 개방된 원심분리 튜브; 및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결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 인입부를 밀봉시키도록 체결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집적부는 원심분리된 전혈의 적혈구 체적에 상응하는 공간이 그 상부에 구성되며 2차 원심분리를 위해 보호 캡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에 개구부가 구성되어 개구된 상부로 고무패킹이 설치된 플런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부에는 인입부와 주사바늘 결합부가 구성되고, 내부에 전혈을 채혈하도록 이루어진 주사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가 분리되어 상기 주사기 내부에 고무패킹이 남고 주사바늘이 제거되어 상기 주사기의 하부가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원심분리기에 적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적부의 상부는 상기 주사기의 접촉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사기의 인입부가 집적관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심분리 튜브(120)의 집적관(124-1)의 길이는 주사기의 인입부의 길이 보다 길게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심분리 튜브(120)는 주사기가 분리되는 경우에 혈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 확대관(124-1)의 상기 공간의 표면적을 크게 하여 혈액의 표면장력에 의한 응집 효과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적부에는 원심분리 튜브로 전혈이 유입될 경우, 원심분리 튜브의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통기공이 구성되고, 상기 통기공은 주사기가 집적부에 밀착되어 설치됨에 따라 막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내측 면에는 원심분리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경사진 걸림 턱이 구성되고, 상기 집적부가 주사기로부터 가해진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 턱의 간격만큼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심분리 튜브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스타이렌 등의 투명한 재질로 제조되고, 채혈된 전혈의 적혈구의 용적에 따라 집적부의 위치가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 캡은 2차 원심분리 중에 주사기의 하부가 감싸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주사기의 인입부가 밀봉되어 체결되도록 보호캡 체결부가 구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 캡은 내부의 돌출된 체결부와 외부의 돌출된 결합부 사이에는 환형의 홈이 구비되어, 원심분리 튜브 또는 주사기와 체결 시에도 내부에 환형의 동공이 구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원심분리시 사용되는 보호 캡의 내부 체결부(439, 439-2)는 열가소성폴리우레탄이며, 외부 결합부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주사기 인입부가 주사기 장착부 보다 길게 구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원심분리 방법에 의하여 채집된 혈장성분이 담겨 있는 상기 주사기로부터 혈소판 농축혈장만을 별도의 시술용 주사기로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커플러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플러는 상기 커플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상기 주사기 및 별도의 시술용 주사기의 각 주사바늘 장착부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결합하여 밀봉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커플러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구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원심분리 키트를 이용한 원심분리방법은, 원심분리 튜브와 주사기를 준비하는 S11단계와, 상기 주사기로 전혈을 채취하는 S12단계와, 전혈을 채혈한 주사기를 원심분리 튜브에 설치하는 S13단계와, 주사기가 설치된 원심분리 튜브를 원심분리기에 적재하는 S14단계와, 원심분리기를 작동시켜 혈장성분을 주사기에 채집하는 S1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13단계에서, 전혈을 채혈한 주사기의 고무패킹이 주사기에 존재하도록 플런저 및 주사바늘을 제거한 뒤, 원심분리 튜브에 주사기를 삽입하여 집적부에 안착시키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내측 면에는 원심분리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경사진 걸림턱이 구성되고, 상기 집적부가 주사기로부터 가해진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턱의 간격만큼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원심분리 키트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은, 원심분리 튜브와 주사기를 준비하는 S21단계와, 상기 주가기로 전혈을 채취하는 S22단계와, 원심분리 튜브의 하측에 보호캡을 설치하는 S23단계와, 전혈을 채혈한 주사기를 원심분리 튜브에 설치하는 S24단계와, 채혈한 주사기에서 플랜저를 제거하는 단계와, 주사기가 설치된 원심분리 튜브를 원심분리기에 적재하는 S25단계 및 원심분리기를 작동시켜 혈장성분을 주사기에 채집하는 S26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24단계에서, 전혈을 채혈한 주사기의 고무패킹이 주사기에 존재하도록 플런저 및 주사바늘을 제거한 뒤, 마개가 제거된 원심분리 튜브에 주사기를 삽입하여 집적부에 안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적부의 상부는 상기 주사기의 접촉면과 상응하도록 급 확대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사기의 주사바늘 장착부가 집적관으로 삽입되어 밀착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내부 직경은 주사기의 외부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되, 상기 주사기의 외주면이 원심분리 튜브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1차 원심분리에 의하여 상기 주사기에 채집된 혈장성분으로부터 고농도의 혈소판 농축혈장을 집적하기 위한 2차 원심분리 방법은 먼저 채취한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 내의 공기를 빼내는 단계를 거처,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와 보호캡을 준비하는 S31단계와, 상기 주사기의 하측에 보호캡을 장착하는 S32단계와, 보호캡이 장착된 주사기를 원심분리기에 적재하는 S33단계 및 원심분리기를 작동시켜 고농도의 혈소판 농축혈장을 채집하는 S34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취한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 내의 공기를 빼내는 단계에서 채취한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를 뒤집어서 주사기 인입부가 상부로 위치하도록 하고 플런저를 위로 눌러서 주사기 내의 공기를 주사기 인입부 끝까지 제거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32단계에서, 채취된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의 고무패킹이 주사기에 존재하도록 플런저를 제거한 뒤, 상기 주사기의 하부가 감싸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주사기의 주사바늘장착부가 밀봉되도록 보호캡을 장착한다.
원심분리 방법에 의하여 채집된 혈장성분이 담겨 있는 상기 주사기로부터 혈소판 농축혈장만을 추출하는 방법은,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 별도의 시술용 주사기 및 커플러를 준비하는 S41단계와, 상기 커플러를 사이에 두고 상부에 상기 주사기를 하부에 상기 시술용 주사기를 상호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커플러가 각 주사기의 주사바늘 장착부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연결하여 밀봉하는 S42단계 및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를 아래로 눌러 혈소판 농축혈장만을 하부의 시술용 주사기로 옮겨 담는 S4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혈소판 농축혈장은 주사기에 항응고제를 채취하고 나비침을 사용하여 전혈을 채취하는 채혈단계와, 주사기와 원심분리 튜브를 결합하고 밀대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 제거하여 주사기가 설치된 원심분리 튜브를 여러번 흔들어 혈액과 항응고제가 혼합 되도록 하는 원심분리 튜브 결합 단계와, 무게 밸런스를 주사기 키트의 반대편에 대칭이 되도록 삽입함과 동시에 원심분리기를 동작시키는 1차 원심분리단계와, 무게 밸런스와 함께 주사기가 장착된 원심분리 튜브를 원심분리기에서 꺼낸 후 주사기에서 원심분리 튜브를 분리하는 단계와, 플렌지를 가볍게 눌러서 농축혈장으로부터 적혈구를 제거하고, 주사기 키트를 뒤집어 키트 내에 남아있는 공기를 제거하고 주사기에 보호캡을 체결하고 플렌저를 제거함으로써 적혈구를 제거하는 단계와, 주사기 키트와 함께 무게 밸런스를 원심분리기에 대칭되게 삽입하여 2차 원심분리 단계를 거처 주사기에 플렌저를 연결하고 키트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보호 캡을 분리하여 주사기에 커플러를 연결함과 동시에 커플러 하부에 시술용 주사기를 연결하여 농축혈장을 집적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혈액에서 혈소판 풍부혈장(PRP)을 추출하거나 골수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원심분리 과정 및 채집과정을 간략화 하여 작업에 소용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시술자와 피시술자의 단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원하는 목표 물질을 주사기에 안정적으로 채집하도록 이루어져 실험의 신뢰성 및 수술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목표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별도의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소모품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심분리 튜브에 전혈이 원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에 구비된 주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에 구비된 원심분리 튜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은 도 2의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혈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6는 도 5의 조립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원심 분리된 원심분리 키트에 본 발명의 가정에 의한 일실시 예.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에 구비된 다른 원심분리 튜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는 도 10의 원심분리 튜브에 주사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에 구비된 또 다른 원심분리 튜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은 도 12의 원심분리 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원심분리 키트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14(a)는 도 13(a)의 조립 단면도.
도 14(b)는 도 13(b)의 조립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원심분리 키트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a) 및 1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원심분리 키트에 구비된 보호캡이 주사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캡을 이용한 2차 원심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하여 채집 혈장성분이 담겨 있는 상기 주사기로부터 혈소판 농축혈장을 시술용 주사기로 추출하기 위한 주사기, 커플러 및 시술용 주사기의 조립도.
도 1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하여 채집 혈장성분이 담겨 있는 상기 주사기로부터 혈소판 농축혈장을 시술용 주사기로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0는 채혈 혈액, 1차 원심분리 및 2차 원심분리 후의 혈소판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1는 1차 원심분리로 상층부에 집적된 혈장에 분포하는 혈소판 수밀도와 1차 원심분리로 채집된 상층부의 혈장만을 다시 샘플링하여 동일조건으로 2차 원심분리를 실시한 후의 혈장에 분포하는 혈소판의 수밀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심분리 튜브에 전혈이 원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에 구비된 주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에 구비된 원심분리 튜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원심분리 키트(도 5의 '100' 참조)는 주사기(110) 및 상기 주사기(110)가 설치될 수 있는 원심분리 튜브(120)를 구비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주사기(110)는 그 하부에 인입부(112)와 주사바늘 장착부(117)가 구성되고 상부에 개구부(113)가 구성된 실리더(111), 상기 실린더(111)의 개구된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실린더(1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 플런저(115) 및, 상기 실린더(111)의 하부에 설치된 주사바늘(114)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주사기(1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실린더(111)의 내부에 혈액을 채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런저(115)에 설치된 고무패킹(116)은 플런저(11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플런저(115)와 고무패킹(116)이 분리 시에 주사기(110)의 내부에 고무패킹(116)이 존재하도록 하여 플런저(115)를 제거한다.
이러한, 주사기(110)를 이용하여 전혈(Wb)을 채혈하게 된다(도 4 참조).
도 3(a)와 같이 상기 원심분리 튜브(120)는 소정 물질을 수용하도록 상부에 개방부(123)가 구성되고 하부가 밀폐된 튜브몸체(121)와, 상기 튜브몸체(121)의 내부에 마련된 집적부(125) 및, 상기 상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마개(126)를 구비한다.
상기 튜브몸체(121)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상부에 마개(126)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121')이 구성되어 마개(126)와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마개(126)가 결합된 상부 즉, 집적부(125)를 기준으로 상측부분은 지지부(122)이다. 상기 지지부(122)는 주사기(110)가 원심분리 튜브(120)에 삽입시 주사기(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122)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집적부(125)는 그 중심부에 집적부(125)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을 연통하는 집적관(124)이 구성된다. 상기 집적관(124)의 상부는 급확대관의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원심분리 튜브(120)의 상부 개구부는 급확대관의 형상으로 상기 주사기의 하부 외주면이 원심분리 튜브(120)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급확대관의 하부에는 집적부(125)가 구비되어 상기 주사기 하부의 주사바늘 결합부가 원심분리 튜브 집적부의 집적관(124) 내부에 밀착된다.
또한 도3(b)는 또 다른 원심분리 키트의 일실시 예로서 전혈이 채취된 주사기를 직접 원심분리 용기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으로, 상기 주사기의 인입부와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급 확대관 사이는 상호 밀착되지 않고 일정한 공간을 포함하며, 이는 주사기(110)를 원심분리 튜브(12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혈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급 확대관(124-1)의 상기 공간의 표면적을 크게 하여 혈액의 표면장력에 의한 응집 효과를 이용하는 구조로 구성된다.(도 6(b)참조)
또한,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원심분리 튜브(120)의 급확대관(124-1)의 길이는 도 4의 주사기(110)의 인입부(112)의 길이 보다 길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집적관(124, 124-1)은 목표 물질을 용이하게 모을 수 있으며, 정밀한 채취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원심분리 튜브(120)의 내부 직경은 주사기(110) 즉, 실린더(111)의 외부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구성한다. 일 예로, 상기 주사기(110)의 외주면이 원심분리 튜브(12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원심분리 튜브(120)의 내부 직경이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혈(Wb)의 원심분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원심 분리시 집적부(125)에 설치된 주사기(110)에 혈장성분(Vp)이 채집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원심분리 튜브(120)에 집적부(125)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에서는 집적부(125)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실시 예와 함께 원심분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5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원심분리 튜브(120)와 주사기(110)를 준비한다(S11).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110)로 전혈(Wb)을 채취한다(S12).
계속해서, 전혈(Wb)을 채혈한 주사기(110)를 원심분리 튜브(120)에 설치한다(S13). 이때, 상기 주사기(110)는 도 5(a), (b) 및 도 6(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114) 및 플런저(115)가 제거된 상태이다. 여기서, 플런저(115)를 제거 시에 고무패킹(116)이 주사기(110)에 존재하도록 플런저(115)를 제거하여야 한다.(도 4 참조)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고무패킹(미도시)으로 주사기(110) 상부를 패킹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사바늘(114) 및 플런저(115)가 제거된 주사기(110)는 도 3(a)의 원심분리 키트에 마개(126)가 제거된 원심분리 튜브(1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주사바늘(114)을 제거하는 것은 원심분리 튜브(120)에 주사기(110)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며, 상기 고무패킹(116)을 제외한 플런저(115)를 제거하는 것은 추후 원심분리기(미도시)에 원심분리 키트(100)를 용이하게 적재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주사기(110)는 원심분리 튜브(120)의 상부에 구성된 지지부(122)에 의하여 긴밀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주사기(110)의 외주면이 원심분리 튜브(120)의 내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지지부(122)의 길이만큼 주사기(110)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사기(110)의 주사바늘 장착부(117)는 집적관(124)에 삽입되며, 주사기(110)가 설치된 원심분리 튜브(120)를 원심분리기에 적재시킨다(S14).
다음으로, 원심분리기를 작동시켜 전혈(Wb)을 혈구성분( Vb)과 혈장성분(Vp)으로 분리한다(S15). 상기 원심분리에 의하여 비중이 높은 물질은 아래에 위치하고 비중이 작은 물질은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직접관(124)을 기준으로 하측에는 혈구성분(Vb)이 구성되고, 상측에는 혈장성분(Vp)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원심분리와 동시에 주사기(110)에 혈장성분(Vp)이 채집되면, 곧 바로 혈장성분(Vp)의 사용이 가능해져 혈장성분(Vp)을 이용한 의료 시술 및 생명 공학적 활용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혈장성분(Vp)을 추출하기 위한 별도의 주사기 사용이 배제되어 소모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5(b) 및 도 6(b)는 또 다른 원심분리 키트의 실시 예로서 혈장성분(Vp)을 보다 용이하게 채취하기 위한 구조로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으므로 원심분리 키트(100)를 용이하게 적재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경계선은 본 발명의 가정에 의해 정하여진 혈구성분(Vb)과 혈장성분(Vp)의 경계로서, 사용되는 주사기와 원심분리 튜브의 종류 및 사용되는 용적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설정된 조건을 통하여 집적부(125)의 상부인 주사기(110) 아랫부분에 혈장성분(Vp)이 채집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사기(110)하부에 채집된 소량의 혈구성분Vb)을 제거하면, 목적으로 하는 혈장성분(Vp)이 주사기(110)에 채집되어 즉시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대기 작업시간이 감소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키트에 구비된 다른 원심분리 튜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는 도 9의 원심분리 튜브에 주사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심분리 키트(200)는 주사기(110) 및 통기공(227)이 구성된 집적부(225)가 내부에 구성된 원심분리 튜브(1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원심분리 키트(200)의 구성요소 중에서 주사기(110)는 도 8에 도시된 주사기(11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6(a, b)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즉, 집적부(225)에 통기공(227)이 구성된 것을 제외하곤 앞선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집적부(225)에는 통기공(227)이 구성된다. 상기 통기공(227)은 주사기(110)를 원심분리 튜브(120)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즉, 주사기(110)로부터 전혈이 적하됨에 따라 원심분리 튜브(120)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전혈(Wb)이 용이하게 적하되도록 한다.
이러한 통기공(227)은 주사기(110)가 집적부(225)의 상부에 밀착되어 안착됨에 따라 막히게 되어 전혈(Wb)이 통기공(227)을 통하여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통기공(227)의 대안으로서 주사기(110)에 홀(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주사기(110)의 상측 부분에 홀이 구성됨에 따라 원심분리 튜브(120)로의 전혈(Wb)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기공(227)이 구성된 집적부(225)는 미리 지정된 위치에 마련되어, 전술된 원심분리 방법을 통하여 주사기(110)에 혈장성분(Vp)이 채집되도록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집적부(125)(225)의 높이를 설정조건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집적부(125)(22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 튜브(320)의 내부에 걸림턱(328)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 11에 도시된 원심분리 키트(300)는 원심분리 튜브(320)가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6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도 12은 도 11의 원심분리 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원심분리 튜브(320)에 구성된 걸림턱(328)은 상기 원심분리 튜브(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즉, 상기 집적부(325)는 주사기(110)로부터 가압되어 걸림턱(328)의 간격만큼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하측으로 이동되는 집적부(325)는 상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주사기(110)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집적관(324)과 결합된 주사기(110)의 인입부(112) 사이에 채집된 혈소판 농축혈장이 집적부(325)의 이동에 의해 다른 층과 섞이지 않도록 평온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원심분리 키트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14은 도 13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원심분리 키트(400)는 주사기(110), 상기 주사기(110)가 설치될 수 있는 원심분리 튜브(420) 및, 상기 원심분리 튜브(420)의 하측에 설치되는 보호캡(430, 43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원심분리 키트(400)의 구성요소 중에서 주사기(110)는 도 6에 도시된 주사기(11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3 및 도 14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6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원심분리 튜브(420)는 상부에 개방부가 구성되고 하부에 튜브 인입부(429')가 구성된 튜브몸체(421) 및 상기 튜브몸체(421)의 내부에 마련된 집적부(425)를 구비한다.
상기 튜브몸체(421)의 상부 개방된 부분을 통해 주사기(110)가 삽입되어 집적부(425)에 안착된다. 이때, 주사기(110)는 그 외주면이 튜브몸체(421)의 내주면과 밀착됨으로써 긴밀하게 설치된다.
상기 튜브몸체(421)의 하부에는 튜브인입부(429')가 구성된 결합부(429)가 마련된다. 상기 튜브인입부(429')는 튜브몸체(42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캡(430, 430)은 상기 튜브인입부(429')를 밀봉시키도록 체결부(439', 439-2)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429)에 설치되는 튜브결합부(439, 439-1)를 구비한다.
이에, 튜브몸체(421)는 보호캡(430, 430)의 결합에 의하여 튜브인입구(429')가 밀봉되게 된다. 즉, 상기 튜브몸체(421)에 보호캡(430, 430)을 설치함으로써 하부가 밀폐된 원심분리 튜브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원심분리 키트(400)를 이용하여 원심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 방법은 6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원심분리 튜브(420)와 주사기(110)를 준비하는 S21단계와, 상기 주사기(110)로 전혈을 채취하는 S22단계와, 원심분리 튜브(420)의 하측에 보호캡(430, 430)을 설치하는 S23단계와, 전혈을 채혈한 주사기(110)를 원심분리 튜브(420)에 설치하는 S24단계와, 주사기(110)가 설치된 원심분리 튜브(420)를 원심분리기(미도시)에 적재하는 S25단계 및 원심분리기를 작동시켜 혈장성분을 주사기에 채집하는 S26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430, 430)은 가변되는 혈소판 농축혈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혈소판 농축혈장이 집적부(425)의 하방에 위치되면 보호캡을 튜브몸체(421)에 좀더 밀착하여 결합하고, 반대일 경우 보호캡을 튜브몸체(421)에 밀착되지 않게 결합하여 장착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보호캡은 단순히 주사바늘 장착부를 밀봉하도록 주사기(11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16(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430, 430)은 주사기(110)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주사기(110)의 인입부(112)가 보호캡의 체결부(439', 439-2)와 결합되며, 보호캡(430, 430)이 주사기의 하부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상기 보호캡(430) 내부의 돌출된 체결부(439', 439-2)와 외부의 돌출된 결합부(429)는 위생적으로 안전하며, 탄성력이 있어 충분한 밀착력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랍직하며, 돌출된 체결부(439', 439-2)와 외부의 돌출된 결합부(429)의 사이에는 환형의 홈이 구비되어, 원심분리 튜브(420) 또는 주사기(110)와 체결 시에도 내부에 환형의 동공이 구성되도록 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는 원심분리 튜브(420) 또는 주사기(110)와의 장착시 결합력을 높이면서도 탈착이 용이하게 하며, 혈소판 농축혈장을 채집한 후에 주사기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앞부분에 여분의 공간이 있어서 혈소판 농축혈장이 누출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보호캡과 주사기(110)의 결합은 2차적으로 혈소판을 농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2차적으로 혈소판 농축혈장을 농축할 때 이미 혈소판 농축혈장이 추출된 주사기(110)에 따른 보호캡을 설치하여 원심분리 시킨다. 2차 원심분리 되면, 주사기 하부에 고농도의 혈소판 농축혈장이 집적되고, 주사기(110)의 상부에 혈소판 소량혈장이 집적된다.
상기 보호캡(430, 430)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원심분리 하여 고농도의 혈소판 농축혈장을 집적하는 방법에 대해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원심분리 방법은 4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110)와 보호캡(430)을 준비하는 S31단계, 상기 주사기(110)의 하측에 보호캡(430)을 장착하는 S32단계, 보호캡이 장착된 주사기(110)를 원심분리기에 적재하는 S33단계 및 원심분리기를 작동시켜 고농도의 혈소판 농축혈장을 주사기(110)에 채집하는 S34단계로 진행된다.
상기 S31단계에서, 주사기의 혈장성분 중에는 버피코트(Buffy Coat)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버피코트에는 혈소판이 농축되어 있을 뿐만이 아니라 백혈구도 포함되어 있어서, 치료시에 염증 또는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므로, 치료분야에 따라 버피코트(Buffy Coat)의 포함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S32단계에서,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의 고무패킹(116)이 주사기(110)에 존재하도록 플런저(115)를 제거한 뒤, 상기 주사기의 하부가 감싸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주사기의 인입부가 밀봉되도록 보호 캡이 장착된다.
원심분리 방법에 의하여 채집된 혈소판 농축혈장이 담겨 있는 주사기(110)로부터 별도의 시술용 주사기(600)로 추출하기 위하여 커플러(500)가 사용된다.
상기 커플러(500)를 이용하여 채집된 혈소판 농축혈장이 담겨 있는 주사기(110)로부터 별도의 시술용 주사기(600)로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도 1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플러(500)는 상호 대향하는 상기 주사기(110) 및 별도의 시술용 주사기(600)의 각 주사바늘 장착부(117)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결합하여 밀봉하며, 위생적으로 안전하며, 탄성력이 있어 충분한 밀착력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본 발명의 커플러(500)을 이용하여 혈소판 농축혈장이 담겨 있는 주사기(110) 또는 보호캡(430)으로부터 별도의 시술용 주사기(600)로 추출하는 방법은 3단계로 이루어지며, 도 1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110), 별도의 시술용 주사기(600) 및 커플러를 준비하는 S41단계, 상기 커플러(500)를 사이에 두고 상부에 상기 주사기(110)를 하부에 상기 시술용 주사기(600)를 상호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커플러(500)가 각 주사기의 주사바늘 장착부(117)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연결하여 밀봉하는 S42단계 및 상기 주사기(110)의 플런저(115)를 아래로 눌러 농도가 높은 순으로 구분되는 혈소판 농축혈장만을 하부의 시술용 주사기(600)로 옮겨 담는 S43단계로 진행된다.
도 20는 초기 채혈 혈액으로부터 1차 원심분리 및 2차 원심분리 후의 혈소판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초기 채혈된 혈액의 상태에서는 백혈구, 혈소판 및 적혈구가 혼재되어 있으며, 1차 원심분리 후에는 하층에 적혈구 및 백혈구가 분리되고 중간층에 혈소판과 백혈구 분포되는데, 적혈구를 제외한 혈소판이 포함된 혈장만을 샘플링하여 2차 원심분리를 실시한 후에는 하층에 혈소판이 밀집되어 분포하게 되어 비로서 고농도의 혈소판 농축혈장을 채집할 수 있게 된다.
도 21는 상기 도 20와 같이 1차 원심분리로 상층부에 집적된 혈장에 분포하는 혈소판 수밀도와 1차 원심분리로 채집된 혈소판이 포함된 혈장만을 다시 샘플링 하여 동일조건으로 2차 원심분리를 실시한 후의 혈장에 분포하는 혈소판의 수밀도를 비교한 시험 결과로서, 2차 원심분리를 통하여 2배 이상으로 고농도 혈소판 농축혈장을 채집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원심분리 키트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혈장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술된 각 실시예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각 실시예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원심분리 키트 110 : 주사기 111 : 실린더
112 : 인입부 113 : 개구부 114 : 주사바늘
115 : 플런저 116 : 고무패킹 117 : 주사바늘 장착부
120 : 원심분리 튜브 121 : 튜브몸체 121' : 나사산
122 : 지지부 123 : 상부 개방부 124 : 집적관
124-1 : 급확대관 125 : 집적부 126 : 상부 마개
200 : 원심분리 키트 220 : 원심분리 튜브 224 : 집적관 225 : 집적부 227 : 통기공 300 : 원심분리 키트
320 : 원심분리 튜브 324 : 집적관 325 : 집적부
328 : 걸림턱 400 : 원심분리 키트 420 : 원심분리 튜브
421 : 튜브몸체 425 : 집적부 429 : 결합부
429' : 체결부 430 : 보호캡 439, 439-1 : 결합부
439', 439-2 : 체결부 500 : 커플러 600 : 시술용 주사기

Claims (26)

  1. 원심분리기에 설치되어 전혈을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혈구층으로 이루어진 혈구성분과, 혈소판 농축혈장(PRP) 층 및 혈소판 소량혈장(PPP)층으로 이루어진 혈장성분으로 분리하도록 이루어진 원심분리 키트로서,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에 개방부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집적관이 구성된 집적부가 설치되어 있는, 1차 원심분리 된 전혈의 적혈구를 모을 수 있는 원심분리 튜브 및 2차 원심분리 할 때 주사기 혹은 집적부의 하부에 체결되는 보호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2. 원심분리기에 설치되어 전혈을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혈구 층으로 이루어진 혈구성분과, 혈소판 농축혈장 층 및 혈소판 소량혈장(PPP)층으로 이루어진 혈장성분으로 분리하도록 이루어진 원심분리 키트로서, 내부에는 집적관이 구성된 집적부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하는 튜브인입부가 구성된 결합부, 상부가 개방된 원심분리 튜브; 및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결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인입부를 밀봉시키도록 체결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집적부는 원심분리된 전혈의 적혈구 체적에 상응하는 공간에 구성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가 구성되어 개구된 상부로 고무패킹이 설치된 플런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부에는 인입부와 주사 바늘이 설치되는 주사바늘 장착부가 구성되고, 내부에 전혈을 채혈하도록 이루어진 주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플런저가 분리되어 상기 주사기 내부에 고무패킹이 남고 주사바늘이 제거되어 상기 주사기의 하부가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원심분리기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부의 상부는 상기 주사기의 접촉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사기의 인입부가 집적관으로 삽입되어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관(124-1)의 길이는 주사기의 인입부의 길이 보다 길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7.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원심분리 튜브(120)는 주사기가 분리되는 경우에 혈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적관(124-1)의 상기 공간의 표면적을 크게 하여 혈액의 표면장력에 의한 응집 효과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부에는 원심분리 튜브로 전혈이 유입될 경우 원심분리 튜브의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통기공이 구성되고, 상기 통기공은 주사기가 집적부에 밀착되어 설치됨에 따라 막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내측 면에는 원심분리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경사진 걸림턱이 구성되고, 상기 집적부가 주사기로부터 가해진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턱의 간격만큼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주사기의 하부가 감싸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주사기의 인입부가 밀봉되어 체결되도록 보호캡 체결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내부의 돌출된 체결부와 외부의 돌출된 결합부 사이에는 환형의 홈이 구비되어, 원심분리 튜브 또는 주사기와 체결 시에도 내부에 환형의 동공이 구성되도록 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내부 체결부는 열가소성폴리우레탄이며, 외부 결합부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심분리 방법에 의하여 채집된 혈장성분이 담겨 있는 상기 주사기로부터 혈소판 농축혈장만을 별도의 시술용 주사기로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커플러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커플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상기 주사기 및 별도의 시술용 주사기의 각 주사바늘 장착부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결합하여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16. 제1항에 기재된 원심분리 키트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에 있어서, 원심분리 튜브와 주사기를 준비하는 S11단계; 상기 주사기로 전혈을 채취하는 S12단계; 전혈을 채혈한 주사기를 원심분리 튜브에 설치하는 S13단계; 주사기가 설치된 원심분리 튜브를 원심분리기에 적재하는 S14단계; 원심분리기를 작동시켜 혈장성분을 주사기에 채집하는 S1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S13단계에서, 전혈을 채혈한 주사기의 고무패킹이 주사기에 존재하도록 플런저 및 주사바늘을 제거한 뒤, 원심분리 튜브에 상기 주사기를 삽입하여 집적관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내측면에는 원심분리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경사진 걸림턱이 구성되고, 상기 집적부가 주사기로부터 가해진 압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턱의 간격만큼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방법.
  19. 제2항에 기재된 원심분리 키트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에 있어서, 원심분리 튜브와 주사기를 준비하는 S21단계; 상기 주사기로 전혈을 채취하는 S22단계; 원심분리 튜브의 하측에 보호캡을 설치하는 S23단계; 전혈을 채혈한 주사기를 원심분리 튜브에 설치하는 S24단계; 주사기가 설치된 원심분리 튜브를 원심분리기에 적재하는 S25단계; 및 원심분리기를 작동시켜 혈장성분을 주사기에 채집하는 S2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S24단계에서, 전혈을 채혈한 주사기의 고무패킹이 주사기에 존재하도록 플런저 및 주사바늘을 제거한 뒤, 원심분리 튜브에 상기 주사기를 삽입하여 집적부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방법.
  21. 제3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상부 개구부는 급확대관의 형상으로 상기 사기의 하부 외주면이 원심분리 튜브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급 확대관의 하부에는 집적부가 구비되어 주사기 하부의 주사바늘 결합부가 원심분리 튜브 집적부의 집적관 내부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 튜브의 급확대관의 길이는 주사기의 인입부의 길이 보다 길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키트.
  23. 1차 원심분리에 의하여 상기 주사기에 채집된 혈장성분으로부터 고농도의 혈소판 농축혈장을 집적하기 위한 2차 원심분리 방법에 있어서,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와 보호캡을 준비하는 S31단계; 상기 주사기의 하측에 보호캡을 장착하는 S32단계; 보호캡이 장착된 주사기를 원심분리기에 적재하는 S33단계; 및 원심분리기를 작동시켜 고농도의 혈소판 농축혈장을 시술용 주사기에 채집하는 S3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S32단계에서, 채취된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의 고무패킹이 주사기에 존재하도록 플런저를 제거한 뒤, 상기 주사기의 하부가 감싸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주사기의 인입부가 밀봉되도록 보호캡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방법.
  25. 원심분리 방법에 의하여 채집된 혈장성분이 담겨 있는 상기 주사기로부터 혈소판 농축혈장만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혈장성분이 담긴 주사기, 별도의 시술용 주사기 및 커플러를 준비하는 S41단계; 상기 커플러를 사이에 두고 상부에 상기 주사기를 하부에 상기 시술용 주사기를 상호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커플러가 각 주사기의 인입부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연결하여 밀봉하는 S42단계; 및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를 아래로 눌러 혈소판 농축혈장만을 하부의 시술용 주사기로 옮겨 담는 S4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농축혈장 추출 방법.
  26. 혈소판 농축혈장은 주사기에 항응고제를 채취하고 나비침을 사용하여 전혈을 채취하는 채혈단계와, 주사기와 원심분리 튜브를 결합하고 밀대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 제거하여 주사기가 설치된 원심분리 튜브를 여러번 흔들어 혈액과 항응고제가 혼합 되도록 하는 원심분리 튜브 결합 단계와, 무게 밸런스를 주사기 키트의 반대편에 대칭이 되도록 삽입함과 동시에 원심분리기를 동작시키는 1차 원심분리단계와, 무게 밸런스와 함께 주사기가 장착된 원심분리 튜브를 원심분리기에서 꺼낸 후 주사기에서 원심분리 튜브를 분리하는 단계와, 플렌지를 가볍게 눌러서 농축혈장으로부터 적혈구를 제거하고, 주사기 키트를 뒤집어 키트 내에 남아있는 공기를 제거하고 주사기에 보호캡을 체결하고 플렌저를 제거함으로써 적혈구를 제거하는 단계와, 주사기 키트와 함께 무게 밸런스를 원심분리기에 대칭되게 삽입하여 2차 원심분리 단계를 거처 주사기에 플렌저를 연결하고 키트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보호 캡을 분리하여 주사기에 커플러를 연결함과 동시에 커플러 하부에 시술용 주사기를 연결하여 농축혈장을 집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농축혈장 추출 방법.


KR1020130025474A 2013-03-11 2013-03-11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KR20140111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474A KR20140111401A (ko) 2013-03-11 2013-03-11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474A KR20140111401A (ko) 2013-03-11 2013-03-11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401A true KR20140111401A (ko) 2014-09-19

Family

ID=5175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474A KR20140111401A (ko) 2013-03-11 2013-03-11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14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1828A (zh) * 2015-05-07 2015-10-14 上海交通大学附属第六人民医院 用于分离血液成分的离心装置及富血小板血浆的制作方法
KR101636197B1 (ko) * 2015-02-27 2016-07-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비액 채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비액 채집 방법
CN110251995A (zh) * 2019-06-17 2019-09-20 郭钦 一种富血小板血浆的经济制备方法
CN111558474A (zh) * 2020-04-13 2020-08-21 郭燕庆 一种组配式一次性使用prp制备用注射器及prp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197B1 (ko) * 2015-02-27 2016-07-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비액 채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비액 채집 방법
CN104971828A (zh) * 2015-05-07 2015-10-14 上海交通大学附属第六人民医院 用于分离血液成分的离心装置及富血小板血浆的制作方法
CN110251995A (zh) * 2019-06-17 2019-09-20 郭钦 一种富血小板血浆的经济制备方法
CN110251995B (zh) * 2019-06-17 2021-05-14 郭钦 一种富血小板血浆的经济制备方法
CN111558474A (zh) * 2020-04-13 2020-08-21 郭燕庆 一种组配式一次性使用prp制备用注射器及prp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5517B2 (ja) 遠心分離キ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遠心分離方法
KR101194044B1 (ko)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1179548B1 (ko) 성분 분리기
EP15093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platelets from blood
EP2413989A1 (en) All-in-one means of separating blood components
US11338283B2 (en) Kit for centrifugal separation of biological fluid components and a method for centrifugal separation of biological fluid components
KR20140111401A (ko)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RU2629389C2 (ru) Набор для выделения лейкоцитарной пленки
KR101406574B1 (ko) 혈액의 혈소판 농축 혈장 분리용 수집용구
KR101504819B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101557190B1 (ko) 원심분리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KR101277993B1 (ko)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20140058032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KR20180025656A (ko) 골수 및 혈액 농축키트
KR200486998Y1 (ko) 특정성분 추출이 가능한 의료용 주사기 키트
KR20150008548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KR101990633B1 (ko) 혈소판 농축 물질 추출 장치
KR20140085315A (ko) 버피코트 추출키트
KR20120078608A (ko) 혈액 검사용 용기
US2023001072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entrifuging a Physiological Fluid
KR101433821B1 (ko) 항응고제 자동 주입형 혈소판 농축세트
KR20170006820A (ko) 혈소판 농축 방법 및 이를 위한 농축기구
KR20230061187A (ko) 혈소판 농축 혈장 추출용 혈액분리장치
KR20230023274A (ko)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방법
KR101333788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