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674B1 - 성분분리기 - Google Patents

성분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674B1
KR101371674B1 KR20130109109A KR20130109109A KR101371674B1 KR 101371674 B1 KR101371674 B1 KR 101371674B1 KR 20130109109 A KR20130109109 A KR 20130109109A KR 20130109109 A KR20130109109 A KR 20130109109A KR 101371674 B1 KR101371674 B1 KR 101371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mponent separator
neck
check valve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김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우 filed Critical 김준우
Priority to KR2013010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674B1/ko
Priority to PCT/KR2014/008032 priority patent/WO201503784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1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by centrifugation ; Cycl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8Flask, bottle or test tub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5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centrifug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을 가할 때만 개방되어 특히 원심분리시에만 상부챔버와 하부챔버가 연통될 수 있는 체크밸브관을 가지는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부공간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상부포트를 가지는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하부포트를 가지는 하부챔버; 및 상기 상부챔버에 형성된 목부를 개폐하여, 폐쇄시 상기 하부챔버에만 연통하는 체크밸브관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관은 상기 상부챔버에 관통하는 관본체와, 상기 관본체의 하부에 확장되어 상기 목부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상부챔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본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분분리기{Dividing device}
본 발명은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을 가할 때만 개방되어 특히 원심분리시에만 상부챔버와 하부챔버가 연통될 수 있는 체크밸브관을 가지는 성분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Stem cell)를 이용하는 치료 또는 시술 방법은 다양하다. 성형이나 미용 시술에 사용이 가능하며, 탈모치료와 만성 난치성 질환과 통증 치료에 사용되어 질 수 있다. 그 활용범위는 상당히 넓으며, 향후 그 활용범위는 더 많이 확장 될 것으로 보인다. 줄기세포란 자가증식(Self renewal) 할 수 있는 능력과 다른 세포로의 분화(Differentiation)가 가능한 능력을 가진 세포를 말한다.
줄기세포는 크게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와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분류로는 자가세포와 타가세포로 구분할 수 있으며, 타가 줄기세포군으로는 제대혈줄기세포, 제대줄기세포, 융모(태반) 줄기세포 등이 있으며, 자가 줄기세포군으로는 골수유래-줄기세포군(Bone marrow derived stem cells)과 지방유래-줄기세포군(Adipose derived stem cells, ADSC)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의 주된 세포는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 HSC)와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이다. 기존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은, 연구소에서 추출하는 방식을 응용하여 추출과정이 진행되는데, 그 추출방법이 많이 까다롭고, 배우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과, 더불어 추출과정 중 사소한 부주의에도 공기오염과 기구에 의한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과, 아울러 추출하는 사람에 따라서 효율에 상당한 차이가 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보다 쉽고 간단하면서도 오염을 방지하는 방법들에 대한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혈액의 구성성분의 하나인 혈소판 내에는 상처치유에 관계하는 PDGF, TGF-BETA 등 많은 종류의 성장인자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성장인자들을 이용하는 치료가 피부의 질환과 상처 치유에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 혈소판 내의 성장 인자들은 PRP( Platelet Rich Plasma:혈소판풍부혈장)의 형태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원심분리를 시행하면 대부분의 혈소판과 백혈구들은 혈구와 혈장의 경계면에 생성되는 버피코트(Buffy coat)층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혈액내의 혈장(Plasma, PPP(Platelet Poor Plasma:혈소판이 희박한 혈장))도 여러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 되어 지고 있다.
그래서 여러 의학적 목적으로 인해 세포들 간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혈액성분을 분리한 후 각 성분 요소를 추출하는 보다 편리하고 진보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줄기세포 또는 혈액의 분리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위 발명과 같은 간단한 키트에 대해서는 아직 제시된 바 없다. 특히,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경우 전체 원액(지방과 콜라게나제 용액의 혼합액)의 부피 대비 추출되는 양이 적어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고순도의 줄기세포를 얻기 곤란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체성분의 분리를 위하여 성분 분리기(특허등록 제10-1179548호)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위 발명에서는 성분분리시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원심분리를 하지만, 원심분리 후 전체 혈액(또는 체액)이 비중차로 분리된 상태이지만 약간의 외란에 의해서도 다시 서로 혼합될 수 있는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원하는 성분만을 분리할 때 상당히 주의를 기울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을 가할 때만 개방되어 특히 원심분리시에만 상부챔버와 하부챔버가 연통될 수 있는 체크밸브관을 가지는 성분 분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상부공간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상부포트를 가지는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하부포트를 가지는 하부챔버; 및 상기 상부챔버에 형성된 목부를 개폐하여, 폐쇄시 상기 하부챔버에만 연통하는 체크밸브관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관은 상기 상부챔버에 관통하는 관본체와, 상기 관본체의 하부에 확장되어 상기 목부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상부챔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본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성분 분리기이다.
상기 관본체는 상기 목부를 관통하여 하단부에 형성된 다이어프램이 상기 목부의 하측 개구부를 개폐하고, 상기 관본체와 상기 목부 사이에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연통하도록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부는 상기 상부챔버의 목부의 하부측 벽면에 맞닿고, 상기 외주부에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관본체의 상부에는 웨이트마개가 결합되고, 상기 웨이트마개의 자중에 의해 원심분리시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여 상기 체크밸브관이 개방상태로 되어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이 연통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챔버는 상기 상부챔버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사이에는 착탈가능한 연결챔버가 개재되고, 상기 하부챔버는 상기 연결챔버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챔버의 목부를 폐쇄할 수 있는 플러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관본체에는 단면적이 확대되는 댐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체크밸브관에는 스크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원심분리시에만 체크밸브관이 열리도록 하여, 성분분리후 분리된 성분간 이동을 없애거나, 불필요한 성분의 대부분을 격리시키는 것에 의해 분리되는 성분의 순도를 높일 뿐 아니라, 번거로운 미세조정을 생략하여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성분분리기의 체크밸브관의 폐쇄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성분분리기의 체크밸브관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성분분리기의 하부챔버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성분분리기의 하부챔버의 폐쇄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1의 성분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성분분리기를 이용하여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성분분리기를 지시한다. 상기 성분분리기(100)는 체크밸브관(116)에 의해 원심분리시에만 열리도록 고안된 구조의 특징을 가진다.
상기 성분분리기(100)는 내부에 상부공간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상부포트(114)를 가지는 상부챔버(102)와, 상기 상부챔버(102)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하부포트(132.136)를 가지는 하부챔버(128)와, 상기 상부챔버(102)에 형성된 목부(106)를 개폐하여, 폐쇄시 상기 하부챔버(128)에만 연통하는 체크밸브관(116)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챔버(102)의 상부챔버본체(104)는 통상(筒狀)이며, 상측으로는 혈액 또는 체액을 주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상부포트(11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목부(10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목부(106)의 상측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체액 또는 혈액이 상기 목부(106)를 향해 모일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목부(106)의 하부는 평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포트(114)에는 상부포트마개(112)가 삽입되며, 상기 상부포트(114)와 상기 상부포트마개(112)의 결합방식은 나사결합을 사용하였으나, 공지의 다른 기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챔버(128)는 상기 상부챔버(102)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챔버연결부(108)에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상부챔버연결부(108)와 상기 하부챔버(128)의 상부에는 나사부(109,13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챔버(128)에는 하나 이상의 하부포트(132.136)를 가지며, 실시예1에서는 2개를 가진다. 상기 하부포트(132,136)는 하부포트마개(134,138)에 의해 폐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챔버(128)의 하부는 수집이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수집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체크밸브관(116)은 상기 상부챔버(102)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10)에 관통하는 관본체(118)와, 상기 관본체(118)의 하부에 확장되어 상기 목부(106)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122)과, 상기 상부챔버(10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본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체크밸브관(116)에는 단면적이 확대되는 댐핑부(120)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체액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댐핑부(120)에는 스크린(미도시)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체액 등의 엉킴을 방지하거나 불순물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122)은 상기 목부(106)의 상측개구부 또는 하측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으나, 실시예1에서는 상기 목부(106)가 상기 관본체(118)의 가이드역할을 하도록 상기 목부(106)를 관통하여 하측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관본체(118)에 의해서 상기 상부챔버(102)와 상기 하부챔버(128)의 연통이 가능하도록 연통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부(124)는 상기 관본체(118)의 상기 목부(106)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홈이며, 반대로 상기 목부(106)에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목부(106)와 상기 관본체(118)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연통부를 대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다이어프램(122)과 상기 목부(106)의 하측개구부의 기밀성 또는 수밀성을 가지도록 고무 등의 패드가 상기 다이어프램(122)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0)은 상기 관본체(118) 상단의 플랜지(149)와 상기 상부챔버(102)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50)은 압축되면 상측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 결과, 외력이 제공되지 않으면 상기 다이어프램(122)은 상기 목부(106)의 하측 개구부를 항상 폐쇄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또, 상기 관본체(118)의 상부에는 웨이트마개(142)가 결합되고, 상기 웨이트마개(142)의 자중에 의해 원심분리시 상기 스프링(150)을 압박하여 상기 체크밸브관(116)이 개방상태로 되어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이 연통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웨이트마개(142)는 중량이 큰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마개본체(144)에 웨이트(146)를 매설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마개(142)와 상기 체크밸브간(116)의 결합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나사(126,148)의 나사결합에 의하거나, 다른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성분분리기(200)를 설명한다. 상기 성분분리기(200)의 상부챔버(102)는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2에서 체크밸브관(154)은 실시예1의 체크밸브관(116)에 비해 2가지 차이점을 가진다. 하나는, 체크밸브관(154)의 관본체(156)에 스크린(160)을 형성하여 이동하는 체액 등을 여과시키거나 엉김을 방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160)은 상기 관본체(156)의 댐핑부(158)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크밸브관(154)에 주사기(20)를 연결하고, 상기 주사기(20)의 푸시로드(22)를 가압하여 체액 등을 강제 주입하는 것으로 엉김 방지 또는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차이점은, 다이어프램(162)의 외주부는 상기 상부챔버(102)의 목부의 하부측 벽면에 맞닿고, 상기 외주부에는 관통홈(166)이 형성된다. 이 결과, 상기 다이어프램(162)에 의한 기밀성 또는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챔버(102)와 하부챔버(178) 사이에는 착탈가능한 연결챔버(170)가 개재된다. 상기 연결챔버(170)는 상기 상부챔버(102)의 상부챔버연결부(108)와 나사부(109,172)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연결챔버(170)는 하부에 목부(174)를 가진다.
상기 하부챔버(178)는 상기 연결챔버(170)의 목부(174)와 결합되며,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거리 조절은, 상기 목부(174)와 상기 하부챔버(178)에 형성된 조절나사(176,180)의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지의 다른 기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챔버(178)에는 플러그(194)가 플러그프레임(192)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목부(174)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194)는 상기 목부(174)의 상측개구부 또는 하측개구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실시예2에서는 상기 플러그(194)가 상기 목부(174)의 상측개구부에 접촉하여 개폐한다. 상기 하부챔버(178)에는 하나 이상의 하부포트(182.186)를 가진다. 상기 하부포트(182.186)는 하부포트마개(184,188)에 의해 폐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챔버(178)의 하부는 수집이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수집부(19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1,2에 따른 성분분리기(100,20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다음으로, 실시예1에 따른 성분 분리기(100)를 이용하여 체액을 분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별도의 주사기로 채혈을 하여, 상기 성분 분리기(100)의 상부챔버(102) 내에 혈액(1)을 장입한다. 상기 성분분리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관(116)의 다이어프램(122)이 상측으로 상기 목부(106)의 하측개구부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부포트마개(112)와 하부포트마개(134,138)를 상기 성분분리기(100)에 장착하고, 원심분리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성분 별로 층을 이룬 상태를 만든다. 따라서, 상기 성분 분리기(100)를 원심분리기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상부챔버(102)가 상측이 되고 상기 하부챔버(128)가 하측이 되는 자세로 장착한다. 이 결과, 아래서부터 혈구(4), PRP(3), PPP(2)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크밸브관(116)에 피펫(10) 등을 삽입하거나, 하부포트(132,136)에 별도의 주사기 등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목적하는 성분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1의 성분분리기(100)를 이용하여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것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추가로 체크밸브관(116)의 댐핑부(120)에 스크린(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추출의 마지막과정에서 체크밸브관(116)의 상단에 별도의 주사기를 연결한 후, 상기 성분분리기(100)를 뒤집고, 줄기세포액을 댐핑부(120) 내부의 스크린(미도시)에 통과시켜서, 세포추출과정의 마지막인 세포여과 과정을 완성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별도의 세포여과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더불어 상기 성분분리기(100)내에서 모든 추출과정이 완성되므로, 공기나 기구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어서, 실시예2의 성분분리기(200)를 이용하여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하여 인체에서 지방을 흡입 등의 방법으로 획득한다.
먼저, 흡입한 지방을 디칸팅(decanting)과정 또는 원심분리과정을 거쳐서, 물부위를 제거하고 순수지방을 얻는다.
그리고, 순수지방에 식염수와 콜라게나제를 섞은 콜라게나제 용액을 혼합하여, 다시 디칸팅 또는 원심분리를 한 후, 하측에 모인 줄기세포가 함유된 목적용액을 상기 성분 분리기(100)의 상부챔버(102)에 장입한다.
그리고, 상기 성분분리기(100)를 원심분리기(미도시)에 삽입하여 목적용액을 층분리시킨다. 도 7은 목적용액이 층분리되어서, 상기 수집부(190)에 수집되는 줄기세포액(5)과, 상기 줄기세포액(5)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상등액(6)으로 나누어지는 모습을 보여 준다(엄밀히 말하면, 하부챔버의 바닥에 펠렛의 형태로 존재하는 세포들이 밀집된 덩어리는 줄기세포분획(fraction)이며, 이 줄기세포분획이 미량의 상등액에 부유된 상태를 줄기세포액(fluid)이라고 할 수 있으나, 편의상 줄기세포분획과 줄기세포액 모두를 줄기세포액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하부챔버(178)를 거리조절하여 플러그(194)에 의해 연결챔버(170)와의 연통을 차단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하부챔버(178)의 하부포트(182,186)를 통해 수집부(190)에 위치하는 줄기세포액(5)과 약간의 상등액(6)을 뽑아낸다.
그리고, 상기 성분분리기(200)를 다시 원심분리기에 집어 넣고 층분리를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챔버(178)에 모인 상기 줄기세포액(5)과 미량의 상등액(6)을 제외하고 모두 배출하고, 다시 세척액을 주입하여, 원심분리기에서 층분리를 하는 작업을 3~4회 반복한 후 줄기세포액을 피펫 또는 주사기 등으로 상기 하부챔버(178)의 하부포트(182,186)를 통해 추출한다.
상기 하부챔버(178) 바닥에 펠렛(pellet)의 형태로 존재하는 줄기세포액(5)을 상기 하부포트(182,186)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상등액(6)에 부유 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크밸브관(154)의 상단에 별도의 주사기를 연결하고, 플러그(194)를 열어둔 상태에서, 상기 성분분리기(200)를 뒤집게 되면, 상기 하부챔버(178)내의 줄기세포액은 상기 체크밸브관내의 댐핑부(158) 내에 존재하는 스크린(160)을 통과하여 주사기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세포여과 과정을 완성한다.
상기 스크린(160)에 걸러주는 의미는, 비록 콜라게나제 효소 처리를 하더라도, 일부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은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존재 할 수 있는데, 인체주입 시 이로 인한 혈관폐쇄나, 또는 세포들 끼리 서로 엉켜서 생긴 세포덩어리로 인한 혈전형성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있다.
더불어 상기의 서술된 방법을 이용하면, 골수줄기세포, 임파구세포, 면역세포, 제대혈줄기세포 등도 세포들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분리가 가능하다. 즉 동종세포이거나 또는 이종세포들도 세포들의 비중차를 이용한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면 분리가 가능해 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혈액 2: PPP
3: PRP 4: 혈구
5: 줄기세포액 6: 상등액
10: 피펫 20: 주사기
22: 푸시로드 100,200: 성분 분리기
102: 상부챔버 104: 상부챔버본체
106,174: 목부 108: 상부챔버연결부
109,130,172: 나사부 110: 관통홀
112: 상부포트마개 114: 상부포트
116,154: 체크밸브관 118,156: 관본체
120,158: 댐핑부 122,162: 다이아프램
124,164: 연통부 126,148: 체결나사
128,178: 하부챔버 132,136,182,186: 하부포트
134,138,184,188: 하부포트마개 140,190: 수집부
142: 웨이트마개 144: 마개본체
146: 웨이트 149,169: 플랜지
150: 스프링 160: 스크린
166: 관통홈 170: 연결챔버
176,180: 조절나사 192: 플러그프레임
194: 플러그

Claims (8)

  1. 내부에 상부공간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상부포트를 가지는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하부포트를 가지는 하부챔버; 및
    상기 상부챔버의 하부에 형성된 목부를 개폐하여, 폐쇄시 상기 하부챔버에만 연통하는 체크밸브관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관은 상기 상부챔버에 관통하는 관본체와, 상기 관본체의 하부에 확장되어 상기 목부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상부챔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본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성분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본체는 상기 목부를 관통하여 하단부에 형성된 다이어프램이 상기 목부의 하측 개구부를 개폐하고, 상기 관본체와 상기 목부 사이에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연통하도록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부는 상기 상부챔버의 목부의 하부측 벽면에 맞닿고, 상기 외주부에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본체의 상부에는 웨이트마개가 결합되고, 상기 웨이트마개의 자중에 의해 원심분리시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여 상기 체크밸브관이 개방상태로 되어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이 연통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는 상기 상부챔버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사이에는 착탈가능한 연결챔버가 개재되고, 상기 하부챔버는 상기 연결챔버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챔버의 하부에 형성된 목부를 폐쇄할 수 있는 플러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본체에는 단면적이 확대되는 댐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관에는 스크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분리기.
KR20130109109A 2013-09-11 2013-09-11 성분분리기 KR101371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109A KR101371674B1 (ko) 2013-09-11 2013-09-11 성분분리기
PCT/KR2014/008032 WO2015037845A1 (ko) 2013-09-11 2014-08-28 성분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109A KR101371674B1 (ko) 2013-09-11 2013-09-11 성분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674B1 true KR101371674B1 (ko) 2014-03-10

Family

ID=5064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109A KR101371674B1 (ko) 2013-09-11 2013-09-11 성분분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1674B1 (ko)
WO (1) WO20150378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4715A (zh) * 2019-12-30 2020-04-14 安徽惠恩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干细胞采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2121B2 (en) 2016-01-21 2021-12-07 Transell Co., Ltd. Blood component separator with slider for sealing
CN114100871A (zh) * 2021-11-21 2022-03-01 黄红 血液分离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621A (ko) * 2009-10-29 2011-05-06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KR101170146B1 (ko) 2011-11-30 2012-07-31 (주)알엠바이오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장치
KR20120103032A (ko) * 2011-03-09 2012-09-19 (주)바이오버드 혈액 분리 및 농축 용기
KR101194044B1 (ko) 2011-12-29 2012-10-24 (주) 알메디카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073B1 (ko) * 2010-01-05 2012-03-21 방시열 일체형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621A (ko) * 2009-10-29 2011-05-06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KR20120103032A (ko) * 2011-03-09 2012-09-19 (주)바이오버드 혈액 분리 및 농축 용기
KR101170146B1 (ko) 2011-11-30 2012-07-31 (주)알엠바이오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장치
KR101194044B1 (ko) 2011-12-29 2012-10-24 (주) 알메디카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4715A (zh) * 2019-12-30 2020-04-14 安徽惠恩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干细胞采集装置
CN111004715B (zh) * 2019-12-30 2023-05-05 安徽国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干细胞采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7845A1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599B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JP5725517B2 (ja) 遠心分離キ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遠心分離方法
RU25784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высоко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ой плазмы из цельной крови
KR101179548B1 (ko) 성분 분리기
US20140205514A1 (en) Blood separating vessel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KR101371674B1 (ko) 성분분리기
EP2940119B1 (en) Buffy coat extraction kit
KR101406574B1 (ko) 혈액의 혈소판 농축 혈장 분리용 수집용구
KR101433293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KR101982766B1 (ko)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CN113164836A (zh) 分离系统、装置及使用方法
KR101489264B1 (ko) 줄기세포 분리 키트 및 줄기세포 분리 방법
KR101208880B1 (ko) 자가혈 세포재생 시술을 위한 버피코트 추출키트
KR101333789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101313048B1 (ko) 성분 분리기
CN207533415U (zh) 富血小板血浆处理装置
KR101847471B1 (ko) 성분 분리기, 이를 포함하는 성분 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성분 분리방법
KR20140111401A (ko) 원심분리 키트. 원심분리 방법 및 혈소판 농축혈장
KR101378014B1 (ko) 성분분리기
KR101409443B1 (ko) 성분 분리기
KR101343577B1 (ko) 성분 분리기
JP2017518806A (ja) 成分分離器
KR20200037973A (ko) 혈액 처리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액 처리방법
KR20140058032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CN206706092U (zh) 一种离心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