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299B1 -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 - Google Patents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299B1
KR102661299B1 KR1020210117406A KR20210117406A KR102661299B1 KR 102661299 B1 KR102661299 B1 KR 102661299B1 KR 1020210117406 A KR1020210117406 A KR 1020210117406A KR 20210117406 A KR20210117406 A KR 20210117406A KR 102661299 B1 KR102661299 B1 KR 102661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p
extraction
platelet
room
p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4538A (ko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티라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라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라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2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4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72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or for conservation, e.g. freezing, drying or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ath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장에서 분리된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을 용이하게 주사기로 추출할 수 있는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원심분리된 적혈구(red blood cells RBC)와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 및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에서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을 추출하는 추출키트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어퍼룸(110)과 상기 어퍼룸(110)의 하부에 섹션플레이트(120)로 구획되어 원심분리된 적혈구(red blood cells RBC)와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 및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를 담는 로워룸(130) 및 상기 로워룸(130)의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를 상기 어퍼룸(110)으로 유입하도록 상기 섹션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유입공(121)을 갖는 바디(100), 상기 어퍼룸(1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바디(100)에 결합되어 탭홀(210) 및 추출구(220)를 갖는 톱커버(200), 상기 톱커버(200)의 추출구(220)에 근접되는 추출단부(310)를 갖도록 상기 섹션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워룸(130)에서 밀어올린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를 추출하는 추출튜브(300), 상기 추출튜브(300)와 상기 어퍼룸(110)으로 상기 로워룸(130)의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와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를 밀어올리도록 상기 바디(10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부재(400), 상기 피스톤부재(40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어퍼룸(110)으로 유입된 PPP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톱커버(200)의 탭홀(21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유입공(121)을 밀봉하는 밀봉스틱(500)을 포함하되, 상기 추출단부(310)의 내경은 상기 추출구(220)로 삽입된 주사기(10)의 팁(11)이 끼움결합되도록 하단에서 상단으로 내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하며 상기 추출단부(310)의 내경에 형성된 링홈(311)에 결합되어 주사기(10)의 팁(11)을 기밀히 밀봉하는 실링(320)을 더 포함되는 한편, 상기 실링(320)의 외경에는 상기 주사기(10)의 팁(11)을 결합할 때에 상기 링홈(311)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 베리어(32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Description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PLATELET RICH PLASMA EXTRACTION KIT}
본 발명은 PRP 추출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장에서 분리된 PRP를 용이하게 주사기로 추출할 수 있는 혈소판 풍부 혈장 (platelet rich plasma) PRP 추출키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가혈치료술은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해 원심분리기로 혈소판을 분리한 뒤 농축된 혈소판을 인대·연골에 주사하는 치료법이다.
그리고 혈소판은 주로 혈장에 존재하며 혈장은 혈소판 풍부 혈장 PRP(platelet rich plasma)층 및 혈소판 결핍 혈장 PPP(platelet poor plasma)층으로 나뉜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혈장의 PRP층과 PPP층을 분리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6770호(등록일자 2021년07월07일) ‘감염을 최소화시킨 PRP 추출키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6599호(등록일자 2011년03월25일)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 중 후자의 종래기술은 “내부 공간을 갖는 상부액실과, 상기 상부액실의 하측에 마련되는 하부액실과, 상기 상부액실과 하부액실을 구분하며 상기 상부액실의 혈액을 상기 하부액실의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입구를 갖는 집액부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배치되는 캡부재와; 하부가 상기 집액부 내에 배치되고 상부가 캡부재에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승강 동작으로 상기 집액부의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과; 상기 하부액실의 하부에 승강 동작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승강 동작으로 상기 하부액실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체적가변수단과; 상기 집액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액실과 하부액실을 연통시키는 유출구를 갖는 유체통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를 기술의 요지로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용기 본체의 가이드부를 통해 주사기를 진입시킨 후 유체통로부에 존재하는 PRP를 추출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주사기의 플런저를 당겨서 바늘을 통해 유체통로부에 존재하는 PRP를 추출하므로 유체통로부의 하층부에 있는 적혈구 RBC(red blood cells)가 혼합되어 순수한 PRP만을 추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6770호(등록일자 2021년07월07일)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6599호(등록일자 2011년03월25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장에서 분리된 순수한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만을 용이하게 주사기로 추출할 수 있는 PRP 추출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심분리된 적혈구(red blood cells RBC)와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 및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에서 PRP를 추출하는 추출키트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어퍼룸(110)과 상기 어퍼룸(110)의 하부에 섹션플레이트(120)로 구획되어 원심분리된 RBC와 PPP 및 PRP를 담는 로워룸(130) 및 상기 로워룸(130)의 PPP를 상기 어퍼룸(110)으로 유입하도록 상기 섹션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유입공(121)을 갖는 바디(100), 상기 어퍼룸(1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바디(100)에 결합되어 탭홀(210) 및 추출구(220)를 갖는 톱커버(200), 상기 톱커버(200)의 추출구(220)에 근접되는 추출단부(310)를 갖도록 상기 섹션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워룸(130)에서 밀어올린 PRP를 추출하는 추출튜브(300), 상기 추출튜브(300)와 상기 어퍼룸(110)으로 상기 로워룸(130)의 PPP와 PRP를 밀어올리도록 상기 바디(10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부재(400), 상기 피스톤부재(40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어퍼룸(110)으로 유입된 PPP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톱커버(200)의 탭홀(21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유입공(121)을 밀봉하는 밀봉스틱(500)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단부(310)의 내경은 상기 추출구(220)로 삽입된 주사기(10)의 팁(11)이 끼움결합되도록 하단에서 상단으로 내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단부(310)의 내경에 형성된 링홈(311)에 결합되어 주사기(10)의 팁(11)을 기밀히 밀봉하는 실링(320)을 더 포함되는 한편, 상기 실링(320)의 외경에는 상기 주사기(10)의 팁(11)을 결합할 때에 상기 링홈(311)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 베리어(32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 사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커버(42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동을 통해 혈장에서 분리된 순수한 PRP를 편리하게 주사기(10)로 추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종방향 단면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종방향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9는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RP 추출키트는, 상부가 개방된 어퍼룸(110)과 그 하부에 섹션플레이트(120)로 구획되어 원심분리된 RBC(red blood cells)와 PPP(platelet poor plasma) 및 PRP(platelet rich plasma)를 담는 로워룸(130) 및 로워룸(130)의 PPP를 어퍼룸(110)으로 유입하도록 섹션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유입공(121)을 갖는 바디(100), 어퍼룸(1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바디(100)에 결합되어 탭홀(210) 및 추출구(220)를 갖는 톱커버(200), 톱커버(200)의 추출구(220)에 근접되는 테이퍼진 추출단부(310)를 갖도록 섹션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로워룸(130)에서 밀어올린 PRP를 추출하는 추출튜브(300), 추출튜브(300)와 어퍼룸(110)으로 로워룸(130)의 PPP와 PRP를 밀어올리도록 바디(10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부재(400), 피스톤부재(400)의 상승에 의해 어퍼룸(110)으로 유입된 PPP를 분리하기 위해 톱커버(200)의 탭홀(210)에 나사결합되어 유입공(121)을 밀봉하는 밀봉스틱(500)을 포함한다.
바디(100)는 섹션플레이트(120)에 의해 형성된 어퍼룸(110)과 로워룸(130) 및 섹션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디(100)는 내부의 혈액이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에 의해 내부가 빈 원형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100)에는 섹션플레이트(120)를 통해 상부가 개방된 어퍼룸(110)과 하부가 개방된 로워룸(130)이 구획된다.
섹션플레이트(120)의 일측에는 어퍼룸(110)과 로워룸(130)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유입공(121)이 형성되어 로워룸(130)의 PPP가 어퍼룸(11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바디(100)의 외경 하부에는 수나사(101)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승강커버(420)의 암나사(421)가 나사결합된다.
톱커버(200)는 바디(1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어퍼룸(1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톱커버(200)의 일측에는 섹션플레이트(120)의 유입공(121)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탭홀(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톱커버(200)의 타측에는 주사기(10)를 삽입하여 추출튜브(300)를 통해 PRP를 추출하는 추출구(220) 및 주사기(10)를 삽입하여 혈액을 주입하거나 어퍼룸(110)의 PPP를 인출하는 주입구(230)가 형성된다.
또한, 추출구(220)는 추출마개(221)로 개폐되고 주입구(230)는 주입마개(231)로 개폐된다.
추출튜브(300)는 섹션플레이트(120)의 일측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로워룸(130)에서 밀어올린 PRP를 추출하도록 밀봉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추출튜브(300)의 내경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taper)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추출튜브(300)의 추출단부(310)는 톱커버(200)의 추출구(220)에 근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추출구(220)로 삽입되는 주사기(10)의 팁(11)이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추출튜브(300)의 상단과 추출구(220) 하단 사이의 간극(G)은 범용으로 나오는 주사기(10)의 팁(11) 길이를 고려하여 10~1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추출단부(310)의 내경은 추출튜브(300)와 달리 하단에서 상단으로 내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주사기(10)의 팁(11)을 용이하게 끼움결합할 수 있다.
피스톤부재(400)는 바디(10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로워룸(130)에 담긴 PPP와 PRP를 추출튜브(300)와 어퍼룸(110)으로 밀어올리는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피스톤부재(400)는 로워룸(130)의 개방된 하단 내경을 따라 승강하는 피스톤(410), 피스톤(410)의 하부에 회전축(411)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디(100)의 수나사(101)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421)를 갖는 승강커버(420)를 포함한다.
피스톤(410)은 기밀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로워룸(130)의 개방된 하부의 밀봉을 유지하면서 승강커버(420)의 회전에 의해 원심분리된 RBC와 PRP 및 PPP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된다.
승강커버(420)는 승강커버(420)를 밀어올리거나 원위치로 하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승강커버(420)는 내부 중심에 회전축(411)을 갖는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회전축(411)의 상단은 피스톤(4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승강커버(420)의 내경에는 암나사(421)가 구비되어 바디(100)의 수나사(101)게 나사결합된다.
즉, 승강커버(420)를 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암나사(421)와 수나사(101)의 나사결합에 의해 바디(100)의 상부로 상승하고, 이와 함께 피스톤(410)은 로워룸(130)에 담긴 PPP와 PRP를 밀어올려서 추출튜브(300)와 어퍼룸(110)으로 각각 분리된다.
밀봉스틱(500)은 섹션플레이트(120)의 유입공(121)을 밀봉하여 어퍼룸(110)으로 유입된 PPP를 분리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밀봉스틱(500)은 손잡이(510)가 달린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기밀성을 갖는 하단부(520)가 유입공(121)을 열거나 밀봉한다.
이러한 밀봉스틱(500)의 상부 외경에는 수나사(530)가 구비되어 톱커버(200)의 탭홀(210)에 나사결합된다.
즉, 손잡이(510)를 잡고 밀봉스틱(500)을 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단부(520)가 유입공(121)을 밀봉하고, 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단부(520)가 유입공(121)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심분리기에 의해 로워룸(130)에 담긴 RBC와 PRP 및 PPP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다.
이어서, 밀봉스틱(500)을 회전시켜서 유입공(121)을 개방한 상태에서 승강커버(420)를 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결합에 의해 승강커버(420)와 피스톤(410)이 동시에 바디(100)의 상부로 상승되어 RBC와 PRP 및 PPP를 밀어올리게 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의 PPP의 일부는 유입공(121)을 통해 어퍼룸(110)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추출튜브(300)의 오버플로우를 통해 어퍼룸(110)으로 유입된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튜브(300)의 상단와 하단 사이에 PRP가 찰 때까지 승강커버(420)를 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밀봉스틱(500)을 회전시켜서 유입공(121)을 밀봉한다.
다음, 추출마개(221)를 열어서 추출구(220)를 개방한 후 주사기(10)의 팁(11)을 추출튜브(300)의 추출단부(310)에 끼움결합한다.
이후, 승강커버(420)를 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튜브(300) 내의 PRP는 팁(11)을 통해 주사기(10)의 내부로 추출된다.
이때, 바디(100)의 내부는 밀봉된 상태이므로 승강커버(420)를 왼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PRP를 주사기(10)로 추출할 때에 플런저(12)는 자동으로 상승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커버(42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동을 통해 혈장에서 분리된 순수한 PRP를 편리하게 주사기(10)로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추출단부(310)의 내경에 결합되어 주사기(10)의 팁(11)을 기밀히 밀봉하는 실링(3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링(320)은 추출단부(310)의 내경에 형성된 링홈(311)에 결합된다.
그리고 실링(320)의 외경에는 이탈방지 베리어(3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주사기(10)의 팁(11)을 결합할 때에 링홈(311)에서 실링(320)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주사기 11 : 팁
100 : 바디 110 : 어퍼룸
120 : 섹션플레이트 121 : 유입공
130 : 로워룸 200 : 톱커버
220 : 추출구 300 : 추출튜브
310 : 추출단부 320 : 실링
400 : 피스톤부재 410 : 피스톤
420 : 승강커버 500 : 밀봉스틱

Claims (3)

  1. 원심분리된 적혈구(red blood cells RBC)와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 및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에서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을 추출하는 추출키트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어퍼룸(110)과 상기 어퍼룸(110)의 하부에 섹션플레이트(120)로 구획되어 원심분리된 적혈구(red blood cells RBC)와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 및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를 담는 로워룸(130) 및 상기 로워룸(130)의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를 상기 어퍼룸(110)으로 유입하도록 상기 섹션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유입공(121)을 갖는 바디(100), 상기 어퍼룸(1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바디(100)에 결합되어 탭홀(210) 및 추출구(220)를 갖는 톱커버(200), 상기 톱커버(200)의 추출구(220)에 근접되는 추출단부(310)를 갖도록 상기 섹션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워룸(130)에서 밀어올린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을 추출하는 추출튜브(300), 상기 추출튜브(300)와 상기 어퍼룸(110)으로 상기 로워룸(130)의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 와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을 밀어올리도록 상기 바디(10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부재(400), 상기 피스톤부재(40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어퍼룸(110)으로 유입된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톱커버(200)의 탭홀(21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유입공(121)을 밀봉하는 밀봉스틱(500)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단부(310)의 내경은 상기 추출구(220)로 삽입된 주사기(10)의 팁(11)이 끼움결합되도록 하단에서 상단으로 내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단부(310)의 내경에 형성된 링홈(311)에 결합되어 주사기(10)의 팁(11)을 기밀히 밀봉하는 실링(320)을 더 포함되는 한편, 상기 실링(320)의 외경에는 상기 주사기(10)의 팁(11)을 결합할 때에 상기 링홈(311)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 베리어(32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
  2. 삭제
  3. 삭제
KR1020210117406A 2021-09-03 2021-09-03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 KR102661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406A KR102661299B1 (ko) 2021-09-03 2021-09-03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406A KR102661299B1 (ko) 2021-09-03 2021-09-03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538A KR20230034538A (ko) 2023-03-10
KR102661299B1 true KR102661299B1 (ko) 2024-04-26

Family

ID=8551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406A KR102661299B1 (ko) 2021-09-03 2021-09-03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2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99B1 (ko) * 2010-12-30 2011-04-04 문상호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KR101162750B1 (ko) 2012-03-19 2012-07-05 (주)세원메디텍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JP2014190522A (ja) * 2013-03-28 2014-10-06 Kitz Corp 管継手と管継手用シールリング並びに管継手の管接続方法
KR102175581B1 (ko) 2019-09-18 2020-11-09 주식회사 메디사랑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KR102218140B1 (ko) * 2020-05-27 2021-02-19 이재영 원심분리기용 일체형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혈액 원심분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877B1 (ko) * 2018-08-19 2021-03-09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원심분리용기 조립체
KR102323493B1 (ko) * 2019-11-11 2021-11-09 이준석 체액 성분 분리 장치
KR102276770B1 (ko) 2021-01-06 2021-07-13 주식회사 유스템바이오메디칼 감염을 최소화시킨 prp 추출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99B1 (ko) * 2010-12-30 2011-04-04 문상호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KR101162750B1 (ko) 2012-03-19 2012-07-05 (주)세원메디텍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JP2014190522A (ja) * 2013-03-28 2014-10-06 Kitz Corp 管継手と管継手用シールリング並びに管継手の管接続方法
KR102175581B1 (ko) 2019-09-18 2020-11-09 주식회사 메디사랑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KR102218140B1 (ko) * 2020-05-27 2021-02-19 이재영 원심분리기용 일체형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혈액 원심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538A (ko)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5302B1 (en) Bio-device for extracting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mesenchymal stem cells in peripheral blood
KR101162750B1 (ko)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KR101128163B1 (ko)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026599B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KR101194044B1 (ko)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1125073B1 (ko) 일체형 분리장치
KR102119835B1 (ko)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KR101626373B1 (ko) 혈액 분리 장치
CN108654141B (zh) 一种富血小板血浆制备装置
KR20160125850A (ko) 혈소판추출키트
KR101406574B1 (ko) 혈액의 혈소판 농축 혈장 분리용 수집용구
CN106669875A (zh) 一种富血小板血浆离心管及其提取方法
CN105596014B (zh) 一种双套管离心注射器
KR102661299B1 (ko)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
KR101333789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101504819B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102323493B1 (ko) 체액 성분 분리 장치
CN206526826U (zh) 一种富血小板血浆离心管
CN218106820U (zh) 一种血液分离装置
CN108290086B (zh) 用于提取富含血小板的生长因子的血液分离机提取装置
JP7388621B2 (ja) 幹細胞を含む体液抽出用バイオキット
CN216573622U (zh) 一次性富血小板血浆分离装置
KR101313048B1 (ko) 성분 분리기
KR20190010176A (ko) 피알피와 버피 코트의 믹싱이 가능한 원심분리용기 조립체
KR101367829B1 (ko) 버피코트 추출용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