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373B1 - 혈액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373B1
KR101626373B1 KR1020150017172A KR20150017172A KR101626373B1 KR 101626373 B1 KR101626373 B1 KR 101626373B1 KR 1020150017172 A KR1020150017172 A KR 1020150017172A KR 20150017172 A KR20150017172 A KR 20150017172A KR 101626373 B1 KR101626373 B1 KR 10162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platelet
case
open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1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09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는, 1,2차 원심 분리 후 혈액을 다른 용기로의 이동 없이 다혈소판혈장을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으로 제1밸브수단의 개방이 가능하여, 혈구 성분과 혈장 성분의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제2케이스와 제3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으로 제2밸브수단의 개방이 가능하여, 다혈소판 혈장과 빈혈소판 혈장의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제1,2밸브수단의 회전각도에 따라 개폐 정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혈장 성분과 혈구 성분의 경계면 또는 다혈소판 혈장과 빈혈소판 혈장의 경계면을 보다 쉽고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1,2밸브수단은 각각의 개구부의 연통시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개방되는 유로 면적이 최소화되어, 적은 양의 혈장 성분이나 다혈소판 혈장의 유출입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혈액 분리가 보다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2밸브수단은 회전각도에 따라 점차적으로 개방되었다가 점차적으로 차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적은 양의 혈장 성분이나 다혈소판 혈장의 유출입이 보다 서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계면의 분리가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케이스에 분리 수용된 다혈소판 혈장을 주사기를 이용해 추출하여 환자에게 바로 주입이 가능하므로, 공기의 노출이 없으며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액 분리 장치{Blood separating device}
본 발명은 혈액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혈액 중 다혈소판 혈장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혈액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액은 원심분리법이나 막분리법에 의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및 혈장 성분으로 분리한다. 혈액을 원심분리법에 의해 분리하면, 그 무게에 따라 혈구와 혈장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혈장은 다혈소판 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과 빈혈소판 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으로 구분된다. 상기 다혈소판 혈장은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 성분으로 혈액을 저속으로 원심 분리하여 얻으며, 상기 빈혈소판 혈장은 혈소판을 적게 함유하고 있는 혈장으로 혈액을 고속으로 원심 분리하여 얻는다. 상기 다혈소판 혈장내에는 상처 치유와 피부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소판들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최근 통증치료, 탈모치료, 피부재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혈액을 1차 원심분리하여 혈액으로부터 혈구와 혈장으로 분리한 후, 분리된 혈장을 다시 2차 원심분리하여, 다혈소판 혈장을 분리한다.
그러나, 종래의 혈액 분리 장치는, 1,2차 원심 분리시 혈액의 이동과정에서 혈액이 대기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농도의 다혈소판 혈장을 분리해내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0059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혈소판 혈장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는 혈액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는, 혈액의 1차 원심 분리시 혈구 성분과 혈장 성분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되고, 상기 혈장 성분이 유출되는 혈장 유출구가 형성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케이스내의 상기 혈장 성분이 상기 혈장 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밀어내는 제1수위상승부재과, 상기 제1케이스의 상기 혈장 유출구에 연통되는 혈장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혈장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혈장 성분이 2차 원심 분리시 다혈소판 혈장과 빈혈소판 혈장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되고, 분리된 상기 다혈소판 혈장과 상기 빈혈소판 혈장이 분리되어 유출되도록 혈장 분리구가 형성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상기 혈장 분리구에 연통되는 다혈소판혈장 분리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로 유입된 상기 다혈소판 혈장이 수용되는 제3케이스와, 상기 제3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3케이스내로 유입된 상기 빈혈소판 혈장이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밀어내는 제2수위상승부재과, 상기 혈장 유출구와 상기 혈장 유입구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혈장 유출구와 상기 혈장 유입구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제1밸브수단과, 상기 혈장 분리구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혈장 분리구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제2밸브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는, 혈액의 1차 원심 분리시 혈구 성분과 혈장 성분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되고, 상기 혈장 성분이 유출되는 혈장 유출구가 형성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케이스내의 상기 혈장 성분이 상기 혈장 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밀어내는 제1수위상승부재과, 상기 제1케이스의 상기 혈장 유출구에 연통되는 혈장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혈장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혈장 성분이 2차 원심 분리시 다혈소판 혈장과 빈혈소판 혈장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되고, 분리된 상기 다혈소판 혈장과 상기 빈혈소판 혈장이 분리되어 유출되도록 혈장 분리구가 형성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상기 혈장 분리구에 연통되는 다혈소판혈장 분리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로 유입된 상기 다혈소판 혈장이 수용되는 제3케이스와, 상기 제3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3케이스내로 유입된 상기 빈혈소판 혈장이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밀어내는 제2수위상승부재과, 상기 혈장 유출구와 상기 혈장 유입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혈장 유출구와 상기 혈장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제1밸브수단과, 상기 혈장 분리구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혈장 분리구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를 개폐시키는 제2밸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수단은, 상기 혈장 유출구에 구비되고, 제1개구부가 형성된 혈장 유출구 마개와, 상기 혈장 유입구에 구비되고, 제2개구부가 형성된 혈장 유입구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와 상기 혈장 유입구 마개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를 상대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가 연통되면 개방되고, 상기 제2밸브수단은, 상기 혈장 분리구에 구비되고, 제3개구부가 형성된 혈장 분리구 마개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에 구비되고, 제4개구부가 형성된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혈장 분리구 마개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를 상대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제3개구부와 상기 제4개구부가 연통되면 개방되고, 상기 혈장 유입구의 외주면과 상기 혈장 유출구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혈장 유입구가 상기 혈장 유출구에 내삽되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혈장 분리구의 외주면과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혈장 분리구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에 내삽되어 회전가능토록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는, 1,2차 원심 분리 후 혈액을 다른 용기로의 이동 없이 다혈소판혈장을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으로 제1밸브수단의 개방이 가능하여, 혈구 성분과 혈장 성분의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제2케이스와 제3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으로 제2밸브수단의 개방이 가능하여, 다혈소판 혈장과 빈혈소판 혈장의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제1,2밸브수단의 회전각도에 따라 개폐 정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혈장 성분과 혈구 성분의 경계면 또는 다혈소판 혈장과 빈혈소판 혈장의 경계면을 보다 쉽고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1,2밸브수단은 각각의 개구부의 연통시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개방되는 유로 면적이 최소화되어, 적은 양의 혈장 성분이나 다혈소판 혈장의 유출입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혈액 분리가 보다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2밸브수단은 회전각도에 따라 점차적으로 개방되었다가 점차적으로 차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적은 양의 혈장 성분이나 다혈소판 혈장의 유출입이 보다 서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계면의 분리가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케이스에 분리 수용된 다혈소판 혈장을 주사기를 이용해 추출하여 환자에게 바로 주입이 가능하므로, 공기의 노출이 없으며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2밸브 수단의 차폐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2밸브 수단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혈액 분리 장치에서 혈구와 혈장이 분리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혈액 분리 장치가 거꾸로 뒤집힌 상태에서 빈혈소판 혈장과 다혈소판 혈장이 분리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2밸브 수단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2밸브 수단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1)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1)는, 제1케이스(10), 제2케이스(20), 제3케이스(30), 제1수위상승부재(11), 제2수위상승부재(31), 제1밸브수단(110) 및 제2밸브수단(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2,3케이스(10)(20)(30)는 모두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에는 눈금(미도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는, 혈액의 1차 원심 분리시 혈구 성분(C)과 혈장 성분(P)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케이스(10)는,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11)가 결합되는 제1통부(10a)와, 상기 제1통부(10a)에서 상기 제2케이스(20)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 혈장 유출구(1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통부(10a)에는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11)가 결합된다. 상기 제1통부(10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1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11)는 상기 제1통부(10a)에 나사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하여 혈액을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21)는 피스톤 등 전후진 가능한 부재가 사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11)의 하부에는 손잡이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11)를 회전시키면, 상기 수위상승부재(11)가 상기 제1통부(10a)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케이스(10)내의 혈액을 밀어낸다.
상기 혈장 유출구(10b)는, 상기 혈장 성분(P)을 상기 제2케이스(20)로 유출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혈장 유출구(10b)는 상기 제1통부(10a)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10)는 상기 제1통부(10a)에서 상기 혈장 유출구(10b)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1통부(10a)의 단면적은 일정하고 상기 혈장 유출구(10b)의 단면적만 축소되는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혈장 유출구(10b)의 단면적이 작고 길이가 길수록 상기 혈구 성분(C)과 상기 혈장 성분(P)의 경계면을 찾아 분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상기 제1케이스(10)내에서 분리된 혈구 성분(C)을 추출하기 위한 주사기가 삽입되도록 주사기홀이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주사기홀은, 제1주사기홀캡(12)에 의해 봉인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케이스(10)나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11)의 일부분이 주사기의 바늘이 꽂아질 수 있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2케이스(20)는, 양단이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3케이스(30)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2케이스(20)는, 상기 제1케이스(10)로부터 유입된 혈장 성분이 2차 원심 분리시 다혈소판 혈장(PRP)과 빈혈소판 혈장(PPP)로 상하로 분리 적층되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케이스(20)는, 제2통부(20a), 혈장 유입구(20b) 및 혈장 분리구(20c)를 포함한다.
상기 제2통부(20a)는 단면적이 일정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혈장 유입구(20b)와 상기 혈장 분리구(20c)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혈장 유입구(20b)는, 상기 혈장 유출구(10b)에서 유출된 상기 혈장 성분(P)이 유입되는 통로이다. 상기 혈장 유입구(20b)는, 상기 제2통부(20a)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혈장 유입구(20b)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상기 혈장 성분(P)의 분리가 용이하다.
상기 혈장 유입구(20b)는, 상기 제2통부(20a)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10)의 상기 혈장 유출구(10b)에 내삽되어 결합된다. 상기 혈장 유입구(20b)의 외주면과 상기 혈장 유출구(10b)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돌기(51)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1돌기(51)가 삽입되는 제1홈(5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혈장 유입구(20b)의 외주면에 제1돌기(51)가 형성되고, 상기 혈장 유출구(10b)의 내주면에 제1홈(52)이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돌기(51)와 상기 제1홈(52)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혈장 유입구(20b)와 상기 혈장 유출구(10b)가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혈장 유입구(20b)와 상기 혈장 유출구(10b)사이에는 다양한 종류의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실링부재 이외에도 제1홈(52)과 제1돌기(51)가 래비린스 실(labyrinth seal)과 같이 다단 구조가 되어,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혈장 유입구(20b)는 상기 혈장 유출구(10b)에 외삽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혈장 분리구(20c)는, 상기 제2통부(20a)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3케이스(30)의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에 내삽되어 결합된다. 상기 혈장 분리구(20c)의 외주면과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2돌기(61)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2돌기(61)가 삽입되는 제2홈(6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혈장 분리구(20c)의 외주면에 제2돌기(61)가 형성되고,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의 내주면에 상기 제2홈(62)이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2돌기(61)와 상기 제2홈(62)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혈장 분리구(20c)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가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혈장 분리구(20c)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 사이에는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혈장 분리구(20c)는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에 외삽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혈장 분리구(20c)는, 상기 2차 원심분리시 분리된 다혈소판혈장(PRP)을 상기 제3케이스(30)로 유출시키거나 상기 제3케이스(30)내로 유입된 빈혈소판혈장(PPP)을 상기 제2통부(20a)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상기 혈장 분리구(20c)는, 상기 제2통부(20a)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혈장 분리구(20c)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상기 다혈소판혈장(PRP)의 분리가 용이하다.
상기 제3케이스(30)는, 상기 제2케이스(20)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3케이스(30)는 상기 제2케이스(20)에 회전가능하되 회전시 직선이동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3케이스(30)의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와 상기 제2케이스(20)의 상기 혈장 분리구(20c)가 상기 제2돌기(61)와 상기 제2홈(62)으로 상대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제3케이스(30)가 상기 제2케이스(20)에 회전가능하다.
상기 제3케이스(30)는, 상기 다혈소판혈장(PRP)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3통부(30a)와, 상기 제3통부(30a)에서 상기 제2케이스(20)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를 포함한다.
상기 제3통부(30a)에는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31)가 결합된다. 상기 제3통부(30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3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31)는 상기 제3통부(30a)에 나사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하여 혈액을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31)는 피스톤 등 전후진 가능한 부재가 사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31)의 상부에는 손잡이부(31a)가 형성된다.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3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31)가 상기 제3통부(30a)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3케이스(30)로 유입된 상기 빈혈소판혈장(PPP)을 밀어낼 수 있다.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는, 상기 제3통부(30a)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3케이스(30)는 상기 제3통부(30a)에서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3통부(30a)의 단면적은 일정하고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의 단면적만 축소되는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의 단면적이 작고 길이가 길수록 상기 다혈소판혈장(PRP)과 상기 빈혈소판혈장(PPP)의 경계면을 찾아 분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상기 제3케이스(30)에는 상기 제3케이스(30)에 수용된 다혈소판혈장(PRP)을 추출하기 위한 주사기가 삽입되도록 주사기홀이 형성된다. 상기 주사기홀은 제3주사기홀캡(32)에 의해 봉인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3케이스(30)나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31)의 일부분이 주사기의 바늘이 꽂아질 수 있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1밸브수단(110)은, 상기 혈장 유출구(10b)와 상기 혈장 유입구(20b)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혈장 유출구(10b)와 상기 혈장 유입구(20b)를 개폐한다. 상기 제1밸브수단(110)은, 상기 혈장 유출구(10b)에 구비되고 제1개구부(111a)가 형성된 혈장 유출구 마개(111)와, 상기 혈장 유입구(20b)에 구비되고, 제2개구부(112a)가 형성된 혈장 유입구 마개(112)를 포함한다.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111)는, 상기 혈장 유출구(10b)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10)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111)는 상기 제1개구부(111a)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개구부(111a)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혈장 유입구 마개(112)는, 상기 혈장 유입구(20b)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111)와 상하방향으로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혈장 유입구 마개(112)는 상기 제2개구부(112a)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2개구부(112a)는 상기 제1개구부(111a)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형상이나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개구부(112a)는 상기 제1개구부(111a)와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개구부(112a)의 부채꼴 형상의 중심점(c1)과 상기 제1개구부(111a)의 부채꼴 형상의 중심점(c2)은 서로 일치하지 않고 소정간격(d) 이격되게 형성되어, 차폐시 서로 일부분이 겹쳐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밸브수단(110)은, 상기 제1개구부(111a)와 상기 제2개구부(112a)가 연통되면 개방되고, 상기 제1개구부(111a)와 상기 제2개구부(112a)가 연통되지 않으면 차폐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케이스(10)가 회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제1케이스(10)의 회전시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111)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111)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개구부(111a)의 위치가 바뀌면서 상기 제2개구부(112a)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에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회전 각도나 상기 제1개구부(111a)와 상기 제2개구부(112a)의 위치를 표시하는 눈금이나 표시선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수단(120)은, 상기 혈장 분리구(20c)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혈장 분리구(20c)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를 연통시키거나 차폐한다. 상기 제2밸브수단(120)은, 상기 혈장 분리구(20c)에 구비되고 제3개구부(121a)가 형성된 혈장 분리구 마개(121)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에 구비되고 상기 제4개구부(122a)가 형성된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122)를 포함한다.
상기 혈장 분리구 마개(121)는, 상기 혈장 분리구(20c)의 단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혈장 분리구 마개(121)는 상기 제3개구부(121a)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3개구부(121a)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122)는,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3케이스(30)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제3케이스(30)의 회전시,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122)가 회전하면서 상기 다혈소판 분리구 마개(122)의 제4개구부(122a)가 상기 제3개구부(121a)에 연통되면 개방된다.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122)는, 상기 혈장 분리구 마개(121)와 상하방향으로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122)는 상기 제4개구부(122a)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4개구부(122a)는 상기 제3개구부(121a)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형상이나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개구부(122a)는 상기 제3개구부(121a)와 동일한 크기의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3개구부(121a)의 부채꼴 형상의 중심점(c1)과 상기 제4개구부(122a)의 부채꼴 형상의 중심점(c2)은 서로 일치하지 않고 소정간격(d)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2밸브수단(120)은, 상기 제3개구부(121a)와 상기 제4개구부(122a)가 연통되면 개방되고, 상기 제3개구부(121a)와 상기 제4개구부(122a)가 연통되지 않으면 차폐된다. 상기 제2밸브수단(120)의 개폐 방식은 상기 제1밸브수단(110)의 개폐방식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케이스(20)와 상기 제3케이스(30)에는 상기 제3케이스(30)의 회전 각도나 상기 제3개구부(121a)와 상기 제4개구부(122a)의 위치를 표시하는 눈금이나 표시선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혈액 분리 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혈액 분리 장치에서 혈구와 혈장이 분리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혈액을 1차 원심 분리하면, 도 4a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0)내에 상기 혈구 성분(C)과 상기 혈장 성분(P)이 상하방향으로 분리 적층된다. 이 때, 상기 혈구 성분(C)과 상기 혈장 성분(P)이 이루는 층은 색상에 의해 눈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해칭으로 구분 표시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1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11)가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제1케이스(10)내의 상기 혈구 성분(C)과 상기 혈장 성분(P)을 상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11)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혈장 성분(P)의 높이가 점차 올라가게 된다. 이 때, 상기 혈장 유출구(10b)의 단면적이 좁을수록 상기 혈장 성분(P)의 높이가 눈에 띄게 나타날 수 있으며, 추후 상기 혈구 성분(C)과 상기 혈장 성분(P)의 경계면의 분리가 용이하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혈장 성분(P)의 상면이 상기 제1밸브수단(110)에 도달하면, 상기 제1밸브수단(110)을 개방한다. 상기 제1밸브수단(110)이 개방되면 상기 혈장 성분(P)이 상기 혈장 유입구(20b)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20)로 유입된다.
상기 제1밸브수단(110)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를 상대로 회전시켜 상기 제1개구부(111a)와 상기 제2개구부(112a)의 적어도 일부분을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케이스(1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혈장 유입구(10b)와 상기 혈장 유출구(20b)는 상기 제1돌기(51)와 상기 제1홈(52)으로 결합되어 상대회전가능하다. 상기 제1케이스(10)를 회전시키면,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111)가 일체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111)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제1밸브수단(110)의 개폐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111)가 소정의 각도 이상 회전되면, 상기 제1개구부(111a)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개구부(112a)에 연통되기 시작한다. 상기 제1개구부(111a)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개구부(112a)에 연통되기 시작한 순간부터 상기 제1밸브수단(110)이 일부 개방되어, 상기 혈장 성분(P)이 상기 제2케이스(20)로 서서히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111)가 계속해서 회전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구부(111a) 전체가 상기 제2개구부(112a) 전체와 연통되어, 상기 제1밸브수단(110)이 완전히 개방된다. 상기 제1밸브수단(110)이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혈장 성분(P)이 상기 제2케이스(20)로 계속해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밸브수단(110)이 상기 제1개구부(111a)와 상기 제2개구부(112a)의 연통 면적에 따라 점차적으로 서서히 개방됨으로써, 상기 혈장 성분(P)이 서서히 유입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혈장 성분(P)과 상기 혈구 성분(C)의 경계면이 상기 제1밸브수단(110)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밸브수단(110)의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혈장 성분(P)과 상기 혈구 성분(C)의 경계면이 상기 제1밸브수단(110)에 도달하면, 상기 제1밸브수단(110)을 차폐하여 상기 혈구 성분(C)이 상기 제2케이스(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케이스(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개구부(111a)가 상기 제2개구부(112a)와 연통되지 않는 위치로 점차 회전되어, 상기 제1밸브수단(110)이 점차적으로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제2케이스(20)에는 상기 혈장 성분(P)이 유입되고,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상기 혈구 성분(C)만이 남게 된다. 상기 제1케이스(10)에 수용된 상기 혈구 성분(C)은 상기 주사기홀을 통해 추출이 가능하다. 상기 제2케이스(20)에 수용된 상기 혈장 성분(P)은 2차 원심 분리 후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과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으로 분리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혈장 성분(P)과 상기 혈구 성분(C)의 경계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밸브수단(110)을 회전시켜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혈장 성분(P)과 상기 혈구 성분(C)의 경계면의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1밸브수단(110)의 회전각도에 따라 개폐 정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상기 혈장 성분(P)과 상기 혈구 성분(C)의 경계면의 분리가 보다 쉽고 정밀하게 가능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혈액 분리 장치가 거꾸로 뒤집힌 상태에서 빈혈소판 혈장과 다혈소판 혈장이 분리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혈장 성분(P)과 상기 혈구 성분(C)을 분리하고 나면, 상기 혈액 분리 장치(1)를 거꾸로 뒤집는다. 상기 혈액 분리 장치(1)를 거꾸로 뒤집으면, 상기 제3케이스(30)가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케이스(10)가 상측에 위치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케이스(20)에는 상기 혈장 성분(P)이 수용된 상태에서 2차 원심 분리를 하면, 상기 혈장 성분(P)은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과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으로 상하 분리 적층된다. 이 때,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과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이 이루는 층은 색상에 의해 눈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서로 다른 해칭으로 구분 표시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밸브수단(120)을 개방하여, 상기 제2케이스(20)로부터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을 상기 제3케이스(30)로 분리한다. 상기 제2밸브수단(120)이 개방되면,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이 상기 혈장 분리구(20b)를 통해 상기 제3케이스(30)로 유입된다.
상기 제2밸브수단(120)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케이스(20)와 상기 제3케이스(30)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를 상대로 회전시켜 상기 제3개구부(121a)와 상기 제4개구부(122a)의 적어도 일부분을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케이스(3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혈장 분리구(20c)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30b)는 상기 제2돌기(61)와 상기 제2홈(62)으로 결합되어 상대회전가능하다. 상기 제3케이스(30)를 회전시키면,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122)가 일체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122)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제2밸브수단(120)의 개폐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122)가 소정의 각도 이상 회전되면, 상기 제3개구부(121a)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4개구부(122a)에 연통되기 시작한다. 상기 제3개구부(121a)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4개구부(122a)에 연통되기 시작한 순간부터 상기 제2밸브수단(120)이 일부 개방되어,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이 상기 제3케이스(3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이 서서히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122)가 계속해서 회전되면, 상기 제3개구부(121a)의 전체가 상기 제4개구부(122a) 전체와 연통되어, 상기 제2밸브수단(120)이 완전히 개방된다. 상기 제2밸브수단(120)이 완전히 개방되어,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이 상기 제3케이스(30)로 계속해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과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의 경계면이 상기 제2밸브수단(120)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2밸브수단(120)의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과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의 경계면이 상기 제2밸브수단(120)에 도달하여, 상기 제2밸브수단(120)을 차폐한 상태이다.
한편,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의 일부가 상기 제3케이스(30)내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31)를 회전시켜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31)가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과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의 경계면을 상향 이동시킨다.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과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의 경계면이 상기 제2밸브수단(120)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31)를 회전시킨다.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의 상면이 상기 제2밸브수단(120)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수단(120)을 개방한다. 상기 제2밸브수단(120)이 개방되면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이 상기 혈장 분리구(20c)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20)로 유입된다.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과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의 경계면이 상기 제2밸브수단(120)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수단(120)을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제2케이스(20)에는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이 분리 수용되고, 상기 제3케이스(30)에는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만이 남게 된다. 상기 제3케이스(30)에 수용된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은 상기 주사기홀을 통해 추출하여 환자에게 직접 투여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과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의 경계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밸브수단(120)을 회전시켜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과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의 경계면의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2밸브수단(120)의 회전각도에 따라 개폐 정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상기 빈혈소판 혈장(PPP)과 상기 다혈소판 혈장(PRP)의 경계면의 분리가 보다 쉽고 정밀하게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2밸브 수단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밸브수단(210)은, 상기 혈장 유출구(10b)에 설치되고 제1개구부(211a)가 형성된 제1마개(211)와, 상기 혈장 유입구(20b)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구부(211a)와 연통되도록 제2개구부(212a)가 형성된 제2마개(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구부(211a)는 원형의 홀이고, 상기 제2개구부(212a)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상기 일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20)와 상기 제3케이스(30)사이에 설치된 제2밸브수단은 상기 제1밸브수단(2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마개(211)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1개구부(211a)와 상기 제2개구부(212a)의 적어도 일부분이 연통되어 개방되거나 차폐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개구부(211a)와 상기 제2개구부(212a)의 연통시 개방되는 유로 면적이 상기 제1개구부(211a)의 면적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제1개구부(211a)가 원형의 홀로 형성됨으로써, 개방되는 유로 면적이 최소화되어, 적은 양의 혈장 성분이나 다혈소판 혈장의 유출입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혈액 분리가 보다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2밸브 수단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밸브수단(310)은, 상기 혈장 유출구(10b)에 설치되고 제1개구부(311a)가 형성된 제1마개(311)와, 상기 혈장 유입구(20b)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구부(311a)와 연통되도록 제2개구부(312a)가 형성된 제2마개(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개(311)의 일측은 상기 혈장 유출구(10b)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혈장 유입구(20b)에 내삽되도록 상기 혈장 유입구(20b)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마개(312)는 상기 혈장 유입구(20b)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 상기 일 실시예와 상이하며,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20)와 상기 제3케이스(30)사이에 설치된 제2밸브수단은 상기 제1밸브수단(3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마개(311)의 일부분이 상기 혈장 유입구(20b)에 내삽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혈장 유출구(10b)와 상기 혈장 유입구(20b)의 연결부분을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분리를 위해 상기 혈장 유출구(10b)와 상기 혈장 유입구(20b)의 단면적을 축소하더라도 상기 제1마개(311)와 상기 제2마개(312)에 의해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장 유출구(10b)와 상기 혈장 유입구(20b)의 단면적을 늘리더라도 상기 제1마개(311)와 상기 제2마개(312)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개구부(311a)와 상기 제2개구부(312a)의 연통시 개방되는 유로 면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케이스 10b: 혈장 유출구
20: 제2케이스 20b: 혈장 유입구
20c: 혈장 분리구 30: 제3케이스
30b: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51: 제1돌기
52: 제1홈 61: 제2돌기
62: 제2홈 110: 제1밸브수단
111: 혈장 유출구 마개 111a: 제1개구부
112: 혈장 유입구 마개 112a: 제2개구부
120: 제2밸브수단 121: 혈장 분리구 마개
121a: 제3개구부 122: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
1223a: 제4개구부

Claims (13)

  1. 혈액의 1차 원심 분리시 혈구 성분과 혈장 성분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되고, 상기 혈장 성분이 유출되는 혈장 유출구가 형성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케이스내의 상기 혈장 성분이 상기 혈장 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밀어내는 제1수위상승부재와;
    상기 제1케이스의 상기 혈장 유출구에 내삽되게 결합되고 상기 혈장 유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혈장 성분이 유입되는 통로인 혈장 유입구가 형성되고, 2차 원심 분리시 상기 혈장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혈장 성분이 다혈소판 혈장과 빈혈소판 혈장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되고, 분리된 상기 다혈소판 혈장과 상기 빈혈소판 혈장이 분리되어 유출되도록 혈장 분리구가 형성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상기 혈장 분리구에 연통되는 다혈소판혈장 분리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로 유입된 상기 다혈소판 혈장이 수용되는 제3케이스와;
    상기 제3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3케이스내로 유입된 상기 빈혈소판 혈장이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밀어내는 제2수위상승부재와;
    상기 혈장 유출구와 상기 혈장 유입구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혈장 유출구와 상기 혈장 유입구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제1밸브수단과;
    상기 혈장 분리구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혈장 분리구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제2밸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혈장 유출구는, 상기 제1케이스에서 상기 제1수위상승부재가 나사결합되는 제1통부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통부에서 상기 제2케이스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혈장 유입구는, 상기 제2케이스에서 단면적이 일정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통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2통부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혈장 유출구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밸브수단의 개폐시 상기 혈장 유출구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여 회전시 직선이동하지 않도록 결합되고,
    상기 혈장 분리구는, 상기 제2통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2통부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밸브수단의 개폐시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여 회전시 직선이동하지 않도록 결합되고,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는, 상기 제3케이스에서 상기 제2수위상승부재가 나사결합되는 제3통부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통부에서 상기 제2케이스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수단은, 상기 혈장 유출구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며 제1개구부를 갖는 혈장 유출구 마개와, 상기 혈장 유입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의 회전시 상기 제1개구부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통되어 개방되는 제2개구부를 갖는 혈장 유입구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혈장 유출구 마개는,
    일측은 상기 혈장 유출구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혈장 유입구에 내삽되도록 상기 혈장 유입구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혈장 유출구와 상기 혈장 유입구의 연결부분을 보강하는 혈액 분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장 유입구 마개는,
    상기 혈장 유입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혈장 유입구를 보강하는 혈액 분리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장 유입구는 상기 혈장 유출구에 내삽되고,
    상기 혈장 유입구의 외주면과 상기 혈장 유출구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혈액 분리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수단은,
    상기 혈장 분리구에 고정 설치되고 제3개구부를 갖는 혈장 분리구 마개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3케이스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며 회전시 상기 제3개구부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통되어 개방되는 제4개구부를 갖는 다혈소판혈장 분리구 마개를 포함하는 혈액 분리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장 분리구는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에 내삽되고,
    상기 혈장 분리구의 외주면과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혈액 분리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혈장 분리구 마개는,
    일측은 상기 혈장 분리구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에 내삽되도록 상기 다혈소판혈장 분리구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 혈액 분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17172A 2015-02-04 2015-02-04 혈액 분리 장치 KR101626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172A KR101626373B1 (ko) 2015-02-04 2015-02-04 혈액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172A KR101626373B1 (ko) 2015-02-04 2015-02-04 혈액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373B1 true KR101626373B1 (ko) 2016-06-01

Family

ID=5613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172A KR101626373B1 (ko) 2015-02-04 2015-02-04 혈액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3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197B1 (ko) * 2018-06-20 2018-08-28 (주)웰포트 혈소판 추출장치
KR101979382B1 (ko) * 2018-11-30 2019-05-17 (주)레보메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체액세포 분리 및 농축키트
WO2019210086A1 (en) * 2018-04-25 2019-10-31 Ge Healthcare Bio-Sciences Corp. Storage vial
KR102218140B1 (ko) * 2020-05-27 2021-02-19 이재영 원심분리기용 일체형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혈액 원심분리방법
CN114100871A (zh) * 2021-11-21 2022-03-01 黄红 血液分离器具
KR20230021856A (ko) * 2021-08-06 2023-02-14 김낭래 분리형 prp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970B1 (ko) 2002-11-19 2011-01-05 가부시키가이샤 아이 디자인 혈장 또는 혈청 분리막, 및 혈장 또는 혈청 분리막을이용한 필터 장치
KR101128087B1 (ko) * 2010-11-12 2012-03-22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KR101170028B1 (ko) * 2011-12-20 2012-08-01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JP3188213U (ja) * 2013-10-25 2014-01-09 永康醫材科技股▲ふん▼有限公司 密閉式血小板濃縮器
KR20140114166A (ko) * 2013-03-18 2014-09-26 주식회사 메디사랑 혈액성분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970B1 (ko) 2002-11-19 2011-01-05 가부시키가이샤 아이 디자인 혈장 또는 혈청 분리막, 및 혈장 또는 혈청 분리막을이용한 필터 장치
KR101128087B1 (ko) * 2010-11-12 2012-03-22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KR101170028B1 (ko) * 2011-12-20 2012-08-01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KR20140114166A (ko) * 2013-03-18 2014-09-26 주식회사 메디사랑 혈액성분 분리장치
JP3188213U (ja) * 2013-10-25 2014-01-09 永康醫材科技股▲ふん▼有限公司 密閉式血小板濃縮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0086A1 (en) * 2018-04-25 2019-10-31 Ge Healthcare Bio-Sciences Corp. Storage vial
US20210291162A1 (en) * 2018-04-25 2021-09-23 Global Life Sciences Solutions Usa Llc Storage Vial
KR101892197B1 (ko) * 2018-06-20 2018-08-28 (주)웰포트 혈소판 추출장치
KR101979382B1 (ko) * 2018-11-30 2019-05-17 (주)레보메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체액세포 분리 및 농축키트
JP2020081881A (ja) * 2018-11-30 2020-06-04 レブ−メッ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幹細胞を含む体液細胞分離および濃縮キット
KR102218140B1 (ko) * 2020-05-27 2021-02-19 이재영 원심분리기용 일체형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혈액 원심분리방법
KR20230021856A (ko) * 2021-08-06 2023-02-14 김낭래 분리형 prp키트
KR102540325B1 (ko) * 2021-08-06 2023-06-02 김낭래 분리형 내외관이 구비된 prp키트
CN114100871A (zh) * 2021-11-21 2022-03-01 黄红 血液分离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373B1 (ko) 혈액 분리 장치
KR101170028B1 (ko) 혈액 분리 장치
KR101125073B1 (ko) 일체형 분리장치
KR101194044B1 (ko)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1563512B1 (ko) 혈액분리용기
KR102119835B1 (ko)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US10618044B1 (en) Centrifuge tube assembly
US9696242B2 (en) Fixed chamber separator with adjustment withdrawal member
US20140356254A1 (en)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or
KR101197908B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20160125850A (ko) 혈소판추출키트
KR101504819B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101493830B1 (ko) 혈액성분 분리장치
RU2740100C1 (ru) Вакуумная пробир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огащённой тромбоцитами аутологичной плазмы
US20220133962A1 (en) Body fluid component separating device
JP7388621B2 (ja) 幹細胞を含む体液抽出用バイオキット
KR101489461B1 (ko) 자가혈 피부재생 시술을 위한 버피코트 추출키트
KR102323493B1 (ko) 체액 성분 분리 장치
KR101128087B1 (ko) 혈액 분리 장치
CN211358875U (zh) 一种组配式一次性使用prp制备用离心管和离心装置
KR101928515B1 (ko) 원심분리방법
KR101291386B1 (ko) 혈액 검사용 용기
KR102407040B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101367829B1 (ko) 버피코트 추출용 키트
CN220143429U (zh) 一种离心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