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356B1 -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 Google Patents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356B1
KR102161356B1 KR1020180147611A KR20180147611A KR102161356B1 KR 102161356 B1 KR102161356 B1 KR 102161356B1 KR 1020180147611 A KR1020180147611 A KR 1020180147611A KR 20180147611 A KR20180147611 A KR 20180147611A KR 102161356 B1 KR102161356 B1 KR 10216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hamber
buffy coat
blood
chamber
low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848A (ko
Inventor
황의재
Original Assignee
황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재 filed Critical 황의재
Priority to KR102018014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3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31Purification arrangements, e.g. solid phase extraction [S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성분이나 비중이 다른 물질들을 분리하는 원심 분리기에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한번 사용된 원심 분리 용기를 재사용하지 못하도록 원심 분리시 혈액이 내부에 스며들어 묻는 혈액마크를 형성하고 세척을 통해서도 묻은 혈액이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하여 원심 분리 용기의 재사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CENTRIFUGAL SEPARATOR VESSEL FOR EXTRACTING BUFFY COAT HAVING FUNCTION OF CHECKING RECYCLE OF THE SAME}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성분이나 비중이 다른 물질들을 분리하는 원심 분리기에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한번 사용된 원심 분리 용기를 재사용하지 못하도록 원심 분리시 혈액이 내부에 스며들어 묻는 혈액마크를 형성하고 세척을 통해서도 묻은 혈액이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하여 원심 분리 용기의 재사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혈액은 폐에서 받아들인 산소를 조직세포에 운반하고, 조직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폐로 운반하여 밖으로 방출시키고, 소화관에서 흡수된 영양소를 장기나 조직 세포로 운반하며, 조직의 분해 산물로서 생체에 불필요한 물질을 신장으로 운반하여 몸 밖으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내분비선에서 분비된 호르몬을 작용 기관·조직까지 운반하고, 체열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그 밖에 생체에 침입한 세균·이물질 등을 파괴·무독화(無毒化)시키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중 혈소판은 주로 혈장에 존재하며 혈장은 PRP(Platelet rich plasma) 및 PPP(Platelet poor plasma)로 구분되고, 특히 PRP는 통증부분 특히 무릎안좌, 인대, 근육 등에 이식되어 줄기세포의 자극을 통한 세포의 생성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치료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PRP는 자신의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적혈구를 제거하고, 혈소판과 성장인자가 풍부한 버피코트(Buffy coat)만을 분리한 혈액으로, 혈소판과 성장인자가 고농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일반 혈액보다 2~7배가 많은 혈소판이 존재하고,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PDGF)와 형질전환 성장인자(TGF), 상피 성장인자(EGF) 등을 포함한다.
PRP는 혈관 내부의 손상된 부분을 재건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장인자를 고농축하여 피부재생을 촉진시키거나 증식치료(Prolotherapy)와 같이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촉진제(simulants)로 사용하여 피부나 조직(인대, 건)을 재건 재생하므로 관절염, 만성허리통증, 골반통, 어깨나 무릎인대 손상 등에 효과가 있다.
이처럼 PRP는 기존의 프롤로테라피보다 조직 재생능력이 탁월하여 빠른 치유력을 보이며 자가 혈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이나 감염(infection)이 적다. 또한, PRP를 이용한 시술은 환자 자신의 혈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위험성이 적고, 과민 반응을 야기하지 않는다. 임상적으로 유용한 혈소판 개수는 1x106/㎕ 정도이며 성장인자를 분비하는 혈소판의 수가 농축과정을 통하면 더 많이 있기 때문에 환자의 혈액에서 PRP를 분리하여 주사하면 활발한 성장인자 분비를 통해 상처회복에 도움을 주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RP 분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RP 분리 용기를 통해 원심 분리된 버피코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PRP 분리 용기(10)는 상부액실(12)과 하부액실(13)로 분할되는 본체(11)와, 상부액실(12)의 상부를 덮는 상부마개(15)와, 하부액실(13)의 하부를 밀폐하고 상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외주면이 하부액실(13)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는 하부마개(16)와, 상부액실(12)과 하부액실(13)을 분할하고 중앙부에 상부액실(12)과 하부액실(13)을 연통시키는 유체통로(14a)가 상부로 돌출된 구조로 마련된 집액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1에서 미설명된 '17'은 패킹부재, '18'은 원심 분리기에 걸림되는 걸림턱을 나타낸다.
이러한 PRP 분리 용기(10)를 이용한 버피코트 추출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체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하부액실(13)에 주입한 후 혈액이 주입된 PRP 분리 용기(10)를 원심 분리기에 안착시켜 원심 분리를 수행한다. 이후, 원심 분리가 완료되면 비중차에 의해 하부액실(13)에는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혈구(2), PRP 및 혈장(3)이 3단으로 분리된다. 이때, PRP는 혈소판과 백혈구로 형성된 흰색의 층으로 구분되는 경계층인 버피코트(1)를 포함한다. 이렇게 3단으로 분리된 구조에서 버피코트(1)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승부재를 이용하여 버피코트(1)를 집액부(14)로 상승시킨 후 주사기를 이용하여 버피코트(1)를 선택적으로 흡입 추출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PRP 분리 용기는 하부마개(16)를 상승시켜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분리 용기의 재사용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는 있으나, 버피코트 추출을 위해 상승된 하부마개(16)를 하강시켜 다시 용기를 재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남에 따라 한번 사용한 용기를 쉽게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용기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KR 10-1334087 B1, 2013. 11. 22. KR 10-2002-0053210 A, 2002. 07. 05. KR 10-2009-0114804 A, 2009. 11. 04.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한번 사용된 용기를 재사용을 위해 인위적으로 세척을 하는 경우에도 원심 분리시 묻은 혈액이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용기 내면에 원심 분리시 혈액이 내부로 깊숙이 스며들어 묻도록 하는 혈액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원심 분리 용기의 재사용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가능하여 용기의 재사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별도의 하부마개나 상승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원심 분리와 동시에 버피코트의 추출이 용이한 지점에 자동 위치 및 정렬시킴으로써 하부마개나 상승부재의 미사용으로 인한 구조 단순화를 통해 제조 원가를 낮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원심 분리 후 특정 지점에 자동 분리된 버피코트를 추출하기 위해 주사기를 용기의 내부로 꽂아 삽입하는 경우 주사기의 삽입과 동시에 주사기와 버피코트가 분리된 지점이 자동 정렬되도록 하여 버피코트 추출시 작업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얇은 직경으로 형성된 집액실의 측부에 대칭 구조, 혹은 방사상으로 날개편을 형성하여 집액실의 양측부를 보강하는 한편, 원심력이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집액실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원심 분리를 제공하는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원심 분리 후 특정 지점에 다른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는 버피코트 확인창을 형성함으로써 특정 지점에 자동 분리된 버피코트의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가능하도록 하여 주사기를 이용한 버피코트 추출시 작업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액실; 상부액실; 하단이 상기 하부액실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액실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하부액실과 상기 상부액실을 상호 연통 연결하는 집액실; 상기 하부액실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액실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면과 상기 하부액실의 하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혈액마크용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판; 및 상기 상부액실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혈액마크용 틈새는 원심 분리시 내부로 스며들어 묻은 혈액이 세척에도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1mm~3mm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판은 판 구조로 별도로 제작된 후 열 융착을 통해 상기 하부액실의 하단부에 접합되고, 그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액실의 하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구조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판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의 내부로 끼워져 상기 하부액실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두께는 상기 결합홈의 깊이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의 내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밀폐판의 상면과 상기 하부액실의 하단부 사이에는 원심 분리시 혈액이 내부로 스며들도록 상기 혈액마크용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내측면에 원심 분리시 혈액이 내부로 깊숙이 스며들어 묻도록 하는 혈액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원심 분리 용기의 재사용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가능하여 원심 분리 용기의 재사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액실과 하부액실 사이에 상기 상부액실과 상기 하부액실을 상호 연결하는 집액실을 상기 상부액실과 상기 하부액실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원심 분리와 동시에 상기 집액실의 특정 지점(추출이 용이한 지점)에 버피코트가 자동 위치 및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별도의 하부마개와 상승부재를 사용하여 버피코트를 원하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구조)에 비해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원가를 낮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집액실의 양측부에 서로 대칭하도록 날개편을 형성하거나, 혹은 방사상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날개편을 형성함으로써 고속으로 원심 분리할 때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상기 집액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원심력이 균일하게 전달되어 안정적으로 원심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버피코트의 추출 시간을 단축시키는 한편, 버피코트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원심 분리 후 특정 지점에 자동 분리된 버피코트를 추출하기 위해 주사기를 용기의 내부로 꽂아 삽입하는 경우 주사기의 삽입과 동시에 주사기와 버피코트가 분리된 지점이 자동 정렬되도록 하여 버피코트 추출 작업이 편리하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집액실에 버피코트를 확인할 수 있는 버피코트 확인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집액실의 특정 지점에 자동 분리된 버피코트의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가능하도록 하여 버피코트 추출시 작업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RP 분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RP 분리 용기를 통해 원심 분리된 버피코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심 분리 용기의 뚜껑과 마개가 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원심 분리 용기의 내부 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원심 분리 용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를 이용한 버피코트 추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원심 분리 용기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원심 분리 용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심 분리 용기의 뚜껑과 마개가 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원심 분리 용기의 내부 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원심 분리 용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20)는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일체로 이루어지고, 하부액실(21)과, 상부액실(22)과, 하부액실(21)과 상부액실(22)을 상하로 연통 연결하는 집액실(23)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액실(2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부액실(22)을 밀폐하는 뚜껑(24)을 더 포함한다.
하부액실(21)은 도 5와 같이, 내측 바닥면 또는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원심 분리 중 혈액이 내부로 스며들어 묻을 수 있도록 혈액마크(211)가 형성된다.
혈액마크(211)는 일정 깊이를 갖는 홈 구조로서, 원형, 다각형 또는 다양한 형상(문양/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심 분리 과정에서 혈액이 내부로 스며들어 묻은 후 세척시 혈액마크(211)에 묻은 혈액이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원심 분리기의 회전방향으로 휘어진 회오리 형상 또는 나선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혈액마크(211)는 일례로 도 5와 같이, 하부액실(21)의 내측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홈(211a)과, 중앙홈(221a)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복수 개의 확장홈(21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중앙홈(211a)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확장홈(211b)은 중앙홈(211a)과 연통하고 중앙홈(211a)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삼각형, 나선형 또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혈액마크(211)는 수직으로 파여진 수직홈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원심 분리시 원심력에 의해 혈액이 내측으로 쏠려 유입되도록 하부액실(21)의 내측 바닥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사홈을 통해 내측에 묻은 혈액이 세척시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혈액마크(211)는 도 5와 같이, 홈 형태의 음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하부액실(21)의 내측 바닥면에서 돌출된 양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부액실(21)과 상부액실(22)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액실(22)은 원심 분리 후 원심 분리 용기(20) 내에서 분리된 버피코트(1)가 자동으로 하부액실(21)과 상부액실(22) 사이의 집액실(23)에 위치되도록 하부액실(21)에 비해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6과 같이, 상부액실(22)의 상단부와 집액실(23)의 중앙 간의 길이(L1)와, 하부액실(21)의 하단과 집액실(23)의 중앙 간의 길이(L2) 간의 비율이 5.5~6.5(L1):3.5~4.5(L2)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부액실(22)과 하부액실(21)의 체적 비율, 즉 상부액실(22)의 상단과 집액실(23)의 중앙 간의 길이(L1)와, 하부액실(21)의 하단과 집액실(23)의 중앙 간의 길이(L2) 간의 비율이 5.5~6.5(L1):3.5~4.5(L2)가 되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원심 분리 후 버피코트(1)가 자동으로 집액실(23) 내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인체에서 채취한 혈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 분리 후 순차적으로 적혈구/PRP(버피코트)/혈장이 3단으로 적층된 구조로 분리된다. 이때, 전체 혈액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체적 비율은 대략 40% 정도이고, 나머지는 PRP와 혈장이 차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원심 분리 용기(10)의 전체 체적을 원심 분리를 하고자 하는 혈액의 양에 110% 내지 120%으로 형성하고, 이때, 상부액실(22)과 하부액실(21)의 체적비는 대략 5.5~6.5(L1):3.5~4.5(L2)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를 통해 원심 분리와 동시에 버피코트(1)가 자동으로 집액실(23)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서 원심 분리 후 버피코트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하부마개나 상승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버피코트를 추출이 용이한 집액실(23)에 위치시킬 수 있다.
집액실(23)은 도 3과 같이, 상부액실(22)과 하부액실(21)을 상하로 일체로 연결하여 원심 분리 용기(20)의 내부로 주입된 혈액이 유동하는 연결 통로로서, 상단이 상부액실(22)의 하단과 연결되고, 하단이 하부액실(21)의 상단과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집액실(23)은 상부액실(22)과 하부액실(21)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혈액에서 채취되는 버피코트의 양은 대략 전체 혈액에서 1% 내외로 비교적 적은 양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집액실(23)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집액실(23)의 직경을 너무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부액실(22)과 하부액실(21) 간에 혈액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원심 분리시 상부액실(22)에 채워진 혈액과 하부액실(21)에 채워진 혈액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이로 인해, 원심 분리 용기(20) 내의 혈액에 대해 균일한 원심 분리가 어려워 버피코트의 회수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버피코트의 회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회전수나 회전속도, 시간 등을 증가시켜 원심 분리를 수행함에 따라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원심 분리 시간이 증가하여 효율성이 저하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집액실(23)을 3mm 내지 7m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4.6mm로 형성한다.
그 이유는, 집액실(23)의 직경이 3mm 미만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균일한 원심 분리가 어려워 버피코트의 분리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7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심 분리 후 집액실(23)에 비교적 얇은 두께로 버피코트가 분리됨에 따라 주사기를 이용한 추출시 적혈구나 혈장이 섞여 버피코트의 회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실제로, 집액실(23)의 직경이 3mm로 미만인 원심 분리 용기를 사용하여 동일 조건 하에서 원심 분리를 수행한 경우 정상적인 원심 분리 용기(집액실의 직경이 3mm 내지 7mm)에 비해 버피코트의 회수율이 10% 가량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액실(23)의 직경이 7mm를 초과한 원심 분리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심 분리하고자 하는 혈액의 양이 적은 경우, 예를 들면, 15cc인 경우 집액실(23) 내에서 분리된 버피코트 층이 적혈구와 혈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버피코트를 추출하는 작업이 어려웠다.
그리고, 집액실(23)은 그 직경이 3mm 내지 7mm 내에서 상부액실(22)과 하부액실(21)의 직경에 비해 1/4~1/3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하거나, 체적이 1/4~1/3 정도로 형성한다. 또한, 상부액실(22)과 집액실(23), 그리고 하부액실(22)과 집액실(23) 사이의 경계부는 원심 분리시 혈액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이들 사이의 경계부에서 60°~85°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집액실(23)은 원심 분리 후 그 내부에 자동 분리된 버피코트(1)를 육안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버피코트 확인창(23a)이 형성될 수 있다.
버피코트 확인창(23a)은 집액실(23) 전체에 형성되거나, 혹은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피코트 확인창(23a)은 집액실(23)의 하단으로부터 20mm 높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피코트 확인창(23a)은 집액실(23)이 상부액실(22)과 하부액실(21)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다른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투명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버피코트 확인창(23a)은 집액실(23)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 형상(볼록 렌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액실(23)의 내부에서 분리된 버피코트는 볼록 구조의 버피코트 확인창(23a)으로 인해 실제 크기보다 크게 확대된 상태로 외부로 표출될 수 있다.
그리고, 버피코트 확인창(23a)은 적어도 일부가 주사기를 꽂아 직접 집액실(23)의 측면에서 버피코트를 추출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뚜껑(24)은 상부액실(22)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액실(22)의 상부를 밀폐한다.
이러한 뚜껑(24)의 중앙에는 집액실(23)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추출공(24a)이 형성되어 있고, 추출공(24a)은 연질의 마개(25)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밀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뚜껑(24)의 중앙에 집액실(23)의 상단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추출공(24a)을 형성하고, 이 추출공(24a)을 연질의 마개(25)로 끼워 밀폐함으로써 원심 분리 후 집액실(23)에 분리된 버피코트를 보다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원심 분리 용기를 이용한 버피코트 추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혈액을 원심 분리 용기(10)에 채운 후 원심 분리를 수행하면, 혈액은 비중 차이로 인해 적혈구(2), 버피코트(1) 및 혈장(3) 순으로 분리된다(도 2참조).
이때, 상부액실(22)과 하부액실(21)의 체적비가 혈액을 구성하는 적혈구와 혈장의 비율에 대응하여 대략 6:4의 비율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심 분리 후 버피코트(1)는 상부액실(22)과 하부액실(21) 사이의 집액실(23) 내에 자동 정렬되게 된다.
이후, 주사기(30)를 연질의 마개(25)에 꽂은 후 주사기 바늘이 집액실(23) 내부에 분리된 버피코트(1)에 다다를 까지 인입시킨 후 흡입하여 버피코트(1)를 추출한다.
이때, 마개(25)를 뚜껑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주사기(30)를 마개(25)에 꽂은 후 수직으로 하강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주사기의 바늘이 수직으로 하강하면서 집액실(23)에 수직으로 정렬 인입되어 보다 간편하게 버피코트(1)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원심 분리 후 하부액실(21)에 형성된 혈액마크(211)에는 원심 분리 과정에서 혈액이 묻어 있어 추후 사용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원심 분리 용기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원심 분리 용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30)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20)와 마찬가지로, 하부액실(31), 상부액실(32), 집액실(33) 및 뚜껑(34)을 포함한다.
하부액실(31)은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밀폐판(35)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밀폐판(35)은 일례로 열 융착방식을 통해 하부액실(31)에 결합될 수 있다.
밀폐판(35)는 원판 구조로 별도로 제작한 후 열 융착을 통해 하부액실(31)에 접합되고, 그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결합돌기(3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액실(31)의 하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구조로 결합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결합홈(31a)에는 밀폐판(35)의 결합돌기(35a)가 끼워져 결합된다.
도 8과 같이, 밀폐판(35)의 상면과 하부액실(31)의 하단면 사이에는 일정한 틈새(g)가 형성되도록 결합돌기(35a)의 두께(t)는 결합홈(31a)의 깊이(d)에 비해 크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35a)의 두께(t)는 0.4mm~0.6mm, 바람직하게는 0.5mm로 형성하고, 결합홈(31a)의 깊이(d)는 0.2mm~0.4mm, 바람직하게는 0.3mm로 형성한다.
밀폐판(35)과 하부액실(31) 사이에 틈새(g)는 대략 0.1mm~0.3mm, 바람직하게는 0.2mm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밀폐판(35)과 하부액실(31) 사이에 틈새(g)를 형성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설명한 혈액마크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즉, 원심 분리 과정에서 하부액실(31)에 채워진 혈액이 밀폐판(35)과 하부액실(31) 사이의 틈새(g) 내부로 스며들어 묻은 후 세척시 묻은 혈액이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30)는 집액실(33)의 양측부에 서로 대칭 구조로 형성된 날개편(36)을 더 포함한다. 날개편(36)은 판 형상으로 집액실(33)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날개편(36)은 상부액실(32)과 하부액실(31)에 비해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집액실(33)의 양측부에 대칭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집액실(33)의 양측부의 강도를 보강하여 원심 분리시 집액실(33)이 부러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날개편(36)은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원심 분리시 원심력이 원심 분리 용기(30)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원심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날개편(36)은 내측단부가 집액실(33)의 양측부에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상부액실(32)과 하부액실(31) 사이를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관(37)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관(37)의 직경은 상부액실(32)과 하부액실(31)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날개편(36)은 집액실(33)의 양측부에 대칭 구조로 한 쌍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적어도 3개 이상이 일정한 각도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버피코트
2 : 적혈구
3 : 혈장
20, 30 : 원심 분리 용기
21, 31 : 하부액실
22, 32 : 상부액실
23, 33 : 집액실
23a : 버피코트 확인창
24, 34 : 뚜껑
25 : 마개
30 : 주사기
35 : 밀폐판
35a : 결합돌기
31a : 결합홈
36 : 날개편
37 : 연결관
211 : 혈액마크

Claims (3)

  1. 삭제
  2. 하부액실;
    상부액실;
    하단이 상기 하부액실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액실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하부액실과 상기 상부액실을 상호 연통 연결하는 집액실;
    상기 하부액실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액실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면과 상기 하부액실의 하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혈액마크용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판; 및
    상기 상부액실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 을 포함하고,
    상기 혈액마크용 틈새는 원심 분리시 내부로 스며들어 묻은 혈액이 세척에도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1mm~3mm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3. 하부액실;
    상부액실;
    하단이 상기 하부액실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액실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하부액실과 상기 상부액실을 상호 연통 연결하는 집액실;
    상기 하부액실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액실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면과 상기 하부액실의 하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혈액마크용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판; 및
    상기 상부액실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 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판은 판 구조로 별도로 제작된 후 열 융착을 통해 상기 하부액실의 하단부에 접합되고, 그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액실의 하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구조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판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의 내부로 끼워져 상기 하부액실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두께는 상기 결합홈의 깊이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의 내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밀폐판의 상면과 상기 하부액실의 하단부 사이에는 원심 분리시 혈액이 내부로 스며들도록 상기 혈액마크용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KR1020180147611A 2018-11-26 2018-11-26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KR102161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11A KR102161356B1 (ko) 2018-11-26 2018-11-26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11A KR102161356B1 (ko) 2018-11-26 2018-11-26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848A KR20200061848A (ko) 2020-06-03
KR102161356B1 true KR102161356B1 (ko) 2020-09-29

Family

ID=7108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611A KR102161356B1 (ko) 2018-11-26 2018-11-26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3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858Y1 (ko) * 2011-12-06 2012-10-05 이정민 원심분리기용 용기
CN104624265A (zh) * 2013-11-14 2015-05-20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离心试管套件与离心试管套件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616B1 (ko) 2000-12-27 2003-02-05 주식회사 하림 닭간을 이용한 간조림 제조방법
KR100983839B1 (ko) 2008-04-30 2010-09-2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돈간을 이용한 간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334087B1 (ko) 2012-01-04 2013-11-29 한국식품연구원 퍼짐형 오리간 소시지 조성물, 오리간 소시지의 제조방법 및 퍼짐형 오리간 소시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858Y1 (ko) * 2011-12-06 2012-10-05 이정민 원심분리기용 용기
CN104624265A (zh) * 2013-11-14 2015-05-20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离心试管套件与离心试管套件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848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1319B2 (en) Blood separation container for extracting self-platelet
US9757506B2 (en) Integrated kit for separating blood and concentrating PRP and method for extracting PRP using the same
KR101110576B1 (ko)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US9463270B2 (en) Ingredient separator
KR101026599B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CN106582908B (zh) 一种富血小板血浆快速分离装置及方法
KR101433293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KR101406574B1 (ko) 혈액의 혈소판 농축 혈장 분리용 수집용구
CN106310720A (zh) 一种富血小板血浆分离器
KR102161356B1 (ko)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WO2012121452A1 (ko) 혈액 분리 및 농축 용기
KR200492392Y1 (ko)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US20180010086A1 (en) Novel syringe system for fluid separation
CN108290086B (zh) 用于提取富含血小板的生长因子的血液分离机提取装置
CN206793925U (zh) 富血小板血浆离心装置
CN105498293A (zh) 一种浮标悬浮式富血小板血浆分离提取装置
KR101367829B1 (ko) 버피코트 추출용 키트
CN205287728U (zh) 一种浮标悬浮式富血小板血浆分离提取装置
US20200360609A1 (en) Novel syringe system for fluid separation
CN204073509U (zh) 用于制备富血小板凝胶的分离枪
CN115141721A (zh) 用于提取包含干细胞的体液的生物试剂盒
CN209065896U (zh) 一种脂肪组织提取装置
CN218167377U (zh) 一种prp制备装置
CN218167376U (zh) 一种prp制备装置
KR20230062731A (ko)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