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560B1 -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560B1
KR101463560B1 KR1020120137685A KR20120137685A KR101463560B1 KR 101463560 B1 KR101463560 B1 KR 101463560B1 KR 1020120137685 A KR1020120137685 A KR 1020120137685A KR 20120137685 A KR20120137685 A KR 20120137685A KR 101463560 B1 KR101463560 B1 KR 101463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kit
bone marrow
filter
marrow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871A (ko
Inventor
황석현
신봉근
장상근
제이. 장 제니퍼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 레보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레보메드 filed Critical (주) 레보메드
Priority to KR1020120137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5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61M1/3633Blood component filters, e.g. leukocyt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0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여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여과 장치는 혈액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을 포함하는 챔버; 챔버 내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개구를 갖는 제1 필터; 제1 필터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개구를 갖되 개구는 제1 필터의 개구보다 촘촘한 형태를 갖는 제2 필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여과 장치를 구비하는 분리 장치는 내측에 혈액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단 및 하단, 측면 중 적어도 한 곳에 결합부를 갖는 분리키트를 포함한다. 결합부에는 분리키트의 내부로 혈액을 여과시키면서 주입하기 위한 여과장치가 결합된다. 이러한 여과 장치를 이용하면 인체로부터 혈액을 채집하거나 인체에 혈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즉시 혈액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여과 장치를 구비하는 분리 장치를 이용하면 분리 장치 내부로 혈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별도의 채집된 혈액의 여과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채집된 혈액을 분리 장치 내부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즉시 혈액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AN APPRATUS FOR SEPERATING BLOOD OR BONE MARROW FLUID}
본 발명은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수액이나 혈액을 채집하거나 주입하는 즉시 여과할 수 있는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혈소판 혈장(PRP, Patelet Rich Plasma)은 혈액을 특수 처리 후 원심 분리한 것을 말하는데, 일반 혈액보다 혈소판이 풍부하게 응축되게 만든 혈장 성분을 의미한다.
원래 혈소판은 여러 성장인자들을 함유하고 있어서 상처 치유와 피부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PRP 내에는 이러한 혈소판들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다양한 성장 인자들이 주변 세포들의 증식을 촉진하고 콜라겐 등의 성분들을 풍부히 합성하도록 자극해 주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요통과 같은 통증치료분야, 탈모치료, 피부재생이나 화상치료와 같은 피부질환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PRP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RP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채혈된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혈구성분과 빈혈소판 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을 분리하고 이를 다시 원심 분리하여 PRP만을 적출하는 방법이 있다.
원심 분리를 통하여 PRP를 분리하는 것에는 튜브 형태의 시험관이나, 혈액 분리 장치가 이용된다. 튜브 형태의 시험관 또는 혈액 분리 장치 내에는 인체로부터 채집된 혈액이 주입되게 된다.
인체로부터 채집된 혈액은 채집자의 혈관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 분리 장치로 채집된 혈액을 주입하기 위하여는 혈액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을 여과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했다. 그런데 혈액의 여과 과정은 채집 즉시 이루어지지 못하고 별도로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골수액를 채집하는 경우, 골수액의 골수 내에는 미세뼈조각, 응혈(clot), 섬유질(fibrous) 등의 이물질이 있어 골수액의 원활한 분리를 방해하기도 하며 때때로 최종 결과에 해당하는 버피 코트(buffy coat) 층에 일부가 포함되어 체내에 주입되었을 때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골수액 또는 혈액을 채집하거나 주입하는 과정에서 골수액 또는 혈액의 여과가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는 골수액 또는 혈액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을 포함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개구를 갖는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개구를 갖되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필터의 개구보다 촘촘한 형태를 갖는 제2 필터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는 골수액 또는 혈액을 수용하는 제 1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 1 키트; 상기 제 1 키트의 상단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 1 캡; 골수액 또는 혈액을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키트; 여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키트의 하단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 2 캡; 및 상기 제 1 키트 및 상기 제 2 키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키트 또는 상기 제 2 키트 각각에 구비된 개구부를 개폐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 장치는, 다수의 개구를 갖는 제 1 필터, 및 상기 제 1 필터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필터의 개구보다 촘촘한 다수의 개구를 갖는 제 2 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는 내측에 혈액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분리키트;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키트의 내부로 혈액을 여과시키면서 주입하기 위한 여과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주입되는 혈액 또는 골수액를 여과하는 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메쉬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에 의하면, 주사기 등의 골수액 또는 혈액 채집 또는 분리를 위한 기구들과 간편히 체결할 수 있으며, 인체로부터 골수액 또는 혈액을 채집하거나 인체에 골수액 또는 혈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즉시 골수액 또는 혈액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면, 상기 분리 장치 내부로 골수액 또는 혈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별도의 채집된 골수액 또는 혈액의 여과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채집된 골수액 또는 혈액을 상기 분리 장치 내부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즉시 골수액 또는 혈액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여과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의 정면 및 일부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의 제2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과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여과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는 챔버(110), 제1 필터(121), 제2 필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10)는 골수액이나 혈액이 내부로 주입되어 주입된 골수액 또는 혈액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110)는 골수액 또는 혈액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저면부(110a), 측면부(110b), 평면부(1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저면부(110a)는 원형 플레이트 또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면부(110b)는 저면부(110a)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평면부(110c)는 저면부(110a)와 대향하도록 측면부(110b)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원형 플레이트 또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 저면부(110a), 측면부(110b), 평면부(110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챔버(110)는 내부 공간으로 골수액이나 혈액이 주입되거나 외부로 골수액이나 혈액이 배출될 수 있다. 수용된 골수액 또는 혈액이 내부 공간으로 주입되거나 내부 공간에 수용된 골수액 또는 혈액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저면부(110a) 및 평면부(110c)의 중앙이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개구될 수 있다.
챔버(110)는 골수액 또는 혈액의 채집, 주입, 분리 등을 위한 다른 기구들과 연결될 수 있다. 챔버(110)가 다른 기구들과 연결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챔버(110)는 제1 연결관(111) 및 제2 연결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관(111)은 챔버(110)의 평면부(110c)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고, 평면부(110c) 중앙의 개구와 연통된다. 제2 연결관(112)은 챔버(110)의 저면부(110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고, 저면부(110a) 중앙의 개구와 연통된다.
이러한 챔버(110)는 내부가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가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필터(121)는 챔버(110)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되는 골수액이나 혈액을 1차로 여과시킨다. 제1 필터(121)는 골수액 또는 혈액 내의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여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가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필터(121)는 챔버(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1 필터(121)는 챔버(110)의 측면부(110b) 내벽의 대략 중간 지점에 배치될 수 있고, 챔버(110)의 평면부(110c)의 개구와 대향될 수 있다. 제1 필터(121)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직포 등의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면, 가요성 재질이 경질의 링 형태의 구조물에 부착되고 경질의 링 형태의 구조물은 챔버(110)의 측면부(110b) 내벽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 필터(122)는 제1 필터(121)를 통해 1차로 여과된 골수액 또는 혈액 내에 잔존하는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완전히 여과되도록 한다. 제2 필터(122)는 다수의 개구가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필터(122)는 제1 필터(121)를 통해 1차로 여과된 혈액 내에 잔존하는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완전히 여과되기 위하여, 다수의 개구가 배열된 형태가 제1 필터(121)가 갖는 다수의 개구가 배열된 형태보다 더욱 촘촘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필터(122)는 챔버(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2 필터(122)는 제1 필터(121)의 일측에서 제1 필터(121)와 대향하면서 챔버(110)의 저면부(110a)의 개구와 대향하도록 챔버(110)의 저면부(110a)와 제1 필터(12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122)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직포 등의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면, 가요성 재질이 경질의 링 형태의 구조물에 부착되고 경질의 링 형태의 구조물은 챔버(110)의 측면부(110b) 내벽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100)는 인체로부터 골수액이나 핼액을 채집하거나 인체에 골수액 또는 혈액을 주입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주사기와 결합하여 채집되거나 주입되는 골수액 또는 혈액을 여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골수액이나 혈액을 채집하고 주입하는 경우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인체로부터 혈액의 채집시, 예를 들면, 주사기 실린더(1)를 챔버(110)의 제2 연결관(112)에 연결하고, 주사기 바늘(2)을 챔버(110)의 제1 연결관(111)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주사기 바늘(2)을 인체에 주입한 후 주사기 실린더(1)에 구비된 피스톤(3)을 주사기 실린더(1)의 외측으로 당기면 주사기 바늘(2)을 통해 챔버(110) 내부로 혈액이 유입된다.
챔버(110) 내부로 혈액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혈액은 제1 필터(121)를 통과하면서 혈액 내의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1차로 여과된다. 제1 필터(121)를 통과한 혈액은 다시 제2 필터(122)를 통과한다. 이때, 제2 필터(122)의 개구들은 제1 필터(121)의 개구들보다 더욱 촘촘한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혈액이 제2 필터(1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 필터(121)를 통해 채 여과되지 못한 혈액 내에 잔존하는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혈액을 채집하는 과정에서 즉시 혈액을 여과하여 양질의 혈액을 채집할 수 있다.
인체에 혈액을 주입시, 예를 들면, 내부에 혈액이 수용되어 있는 주사기 실린더(1)를 챔버(110)의 제1 연결관(111)에 연결하고, 주사기 바늘(2)을 챔버(110)의 제2 연결관(112)에 연결한다. 즉, 인체로부터 혈액을 채집시 주사기 실린더(1) 및 주사기 바늘(2)을 결합하는 형태의 반대로 연결한다. 왜냐하면, 주사기 실린더(1) 내부로 채집되는 혈액이 제1 필터(121) 및 제2 필터(122)의 순으로 통과하면서 여과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상태에서 주사기 바늘(2)을 인체에 주입한 후 주사기 실린더(1)에 구비된 피스톤(3)을 주사기 실린더(1)의 전방측으로 밀면 혈액이 챔버(110) 내부로 유입된다.
혈액이 챔버(110) 내부로 유입되면, 위에서 설명한 혈액의 채집 과정과 같이 혈액은 제1 필터(121) 및 제2 필터(122)를 통과하면서 혈액 내의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여과된 후 인체로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혈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도 즉시 혈액을 여과하여 양질의 혈액을 인체에 주입할 수 있고, 인체에 주입되는 혈액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100)는 인체로부터 혈액을 채집하거나 인체에 혈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챔버의 제1 연결관 또는 제2 연결관에 골수액 채취용 주사기 바늘을 결합하여 골수액을 채집하는 과정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채집되는 골수액이 여과되는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혈액이 여과되는 과정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의 외면 둘레에는 통상의 루어락 팁 및 루어락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루어락 팁 및 루어락 홈은 주지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타고 오르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에 루어락 팁 및 루어락 홈이 각각 형성되는 경우, 루어락 팁 또는 루어락 홈을 갖는 주사기 실린더 및 주사기 바늘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의 정면 및 일부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200)는 분리키트(210), 여과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키트(210)는 내부에 혈액 또는 골수액을 수용하여 수용된 혈액이나 골수액이 분리되도록 한다. 일례로, 분리키트(210)는 저장챔버(211) 및 챔버마개(212), 결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챔버(21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혈액이나 골수액을 수용한다. 저장챔버(211)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상면이 개구된 긴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챔버(211)의 개구된 상단의 외경에는 챔버마개(21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저장챔버(211)는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챔버마개(212)는 저장챔버(211)의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저장챔버(211)의 개구된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례로, 챔버마개(212)는 저장챔버(211)의 개구된 상단의 외경에 접하는 외측부(212a)와, 저장챔버(211)의 개구된 상단의 내경에 접하는 내측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212a)의 내경에는 나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 나사부는 저장챔버(211)의 개구된 상단의 외경에 마련된 나사부에 회전하여 결합할 수 있다. 내측부(212b)는 외측부(212a)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212b)의 측면 외주면에 마련된 홈에 외측부(212a)의 측면 내주면에 마련된 돌출부가 끼워맞춤되어, 내측부(212b)와 외측부(212a)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212a)는 경질의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내측부(212b)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부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부(212b)를 통해 주사 바늘을 삽입함으로써, 분리키트(210)로부터 분리가 완료된 혈액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챔버마개(212)가 외측부(212a) 및 내측부(212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챔버마개(212)는 외측부(212a)가 생략되거나 내측부(212b)가 생략될 수도 있다. 내측부(212b)가 생략되는 경우, 외측부(212a)는 상면이 완전히 닫혀진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고, 외측부(212a)가 생략되는 경우, 내측부(212b)의 상면은 챔버마개(212)의 개구된 상단과 같은 크기를 갖거나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챔버마개(212)의 개구된 상단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결합부(213)는 분리키트(210)와 여과장치(220)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결합부(213)는 저장챔버(211)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13)는 저장챔버(211)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과장치(220)는 챔버(221), 제1 필터(224), 제2 필터(225)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221)는 혈액이나 골수액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저면부(221a), 측면부(221b), 평면부(221c)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221)는 분리키트(210) 및 다른 기구들과 연결되기 위하여, 제1 연결관(222) 및 제2 연결관(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관(223)은 분리키트(210)의 결합부(21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의해 여과장치(220)가 분리키트(210)와 착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연결관(223)이 결합부(213)와 착탈되기 위하여, 제2 연결관(223)은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부(2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관(223)의 내경과 결합부(213)의 외경에는 각각 서로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연결관(222)에는 마개(226)가 결합될 수 있다. 마개(226)는 제1 연결관(222)을 통해 여과장치(220) 및 분리키트(210)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분리키트(210)에 저장되는 혈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마개(226)는 제1 연결관(222)의 상단에 밀착 설치될 수 있다. 마개(226)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부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개(226)를 통해 주사 바늘을 여과장치(220)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분리키트(210) 및 여과장치(220) 내부로 혈액분리를 위한 채집된 혈액을 주입할 수 있다.
여과장치(220)의 챔버(221)를 형성하는 저면부(221a), 측면부(221b), 평면부(221c), 그리고 제1 필터(224) 및 제2 필터(225)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한 여과장치(100)의 챔버(110) 및 챔버(110)를 형성하는 저면부(110a), 측면부(110b), 평면부(110c), 그리고 제1 필터(121) 및 제2 필터(122)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200)를 이용하면, 분리키트(210)의 내부로 혈액을 주입할 때 즉시 혈액을 여과하면서 주입할 수 있다. 즉, 여과장치(220)의 제1 연결관(222)에 구비된 마개(226)를 통해 주사 바늘을 삽입한 후 혈액을 주입할 수 있다. 여과장치(220)를 통해 주입되는 혈액은 여과장치(220)에 마련된 제1 필터(224) 및 제2 필터(225)를 통과하면서 혈액 내의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여과될 수 있다. 따라서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200)의 내부에는 양질의 혈액이 주입될 수 있다.
분리키트(210) 내부로 혈액이 주입되면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200)는 원심분리기로 옮겨진다. 그리고 원심분리기에 의해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서 혈액이 다혈소판 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과 빈혈소판 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으로 층을 나누어 분리된다.
혈액이 분리되면 챔버마개(212)의 내측부(212b)를 통하여 주사 바늘을 투입한 후 분리된 혈액 중의 PRP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의 제2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300)는 중심 셀(310), 제1 키트(320), 제2 키트(330), 여과장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 셀(310)은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300)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 셀(3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부(311), 중심부(312) 및 하단부(313)로 구성될 수 있다. 중심 셀(310)의 상단부(311)는 개방된 형태의 제1 개구부(311a)를 포함하고, 하단부(313)는 개방된 형태의 제2 개구부(31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311a) 및 제2 개구부(313a)를 통해 중심 셀(310) 내측과 외측이 연통될 수 있다. 중심 셀(310)의 내부 공간은 제1 개구부(311a) 및 제2 개구부(313a)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한편, 중심 셀(310)은 결합부(312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2a)는 중심 셀(310)에 여과장치(3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결합부(312a)는 중심 셀(310)의 중심부(312)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12a)는 중심 셀(3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312a)는 중심 셀(310)의 내측 공간과 연통한다.
제1 키트(320)는 중심 셀(310)의 상단부(31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단부(31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키트(32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키트(320)는 제1 스토퍼(321) 및 제1 회전캡(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321)는 제1 키트(32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스토퍼(321)는 제1 개구부(311a)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스토퍼(321)는 접촉부(321a) 및 관통홀(3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21a)는 제1 개구부(311a)와 접촉 가능하다. 관통홀(321b)은 접촉부(321a)와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스토퍼(321)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회전캡(322)은 제1 키트(320)의 일측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회전캡(322)은 회전 이동에 따라 제1 키트(320)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회전캡(322)은 제1 키트(320)의 일단에 형성된 핸들부(322a) 및 핸들부(322a)로부터 제1 키트(320) 내부로 연장되는 확장부(322b)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322a)는 양방향 회전 이동이 가능하고, 확장부(322b)는 핸들부(322a)의 회전 이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부(322a)의 일방향 회전을 통해, 확장부(322b)의 길이는 갈수록 점점 감소할 수 있으며,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확장부(322b)의 길이가 증가될 수도 있다.
제2 키트(330)는 중심 셀(310)을 중심으로 제1 키트(320)의 반대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중심 셀(310)의 하단부(313)는 제2 키트(330)에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심 셀(310)의 하단부(313)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키트(3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키트(330)는 제2 스토퍼(331) 및 제2 회전캡(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토퍼(331)는 상하 이동에 의해 제2 개구부(313a)를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을 참조하면, 제2 스토퍼(331)는 회전부(331a), 지지부(331b) 및 접촉부(331c)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331a)는 제2 회전캡(332)의 일단에 노출될 수 있다. 회전부(331a)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31b)는 회전부(331a)로부터 제2 키트(330) 내부로 연장되어 접촉부(331c)를 지지할 수 있으며, 회전부(331a)의 회전에 의해 제2 키트(330) 내부로 연장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접촉부(331c)는 제2 개구부(313a)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토퍼(331)의 상하 이동을 통해 제2 키트(330)와 중심 셀(310) 간의 혈액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회전부(331a)를 회전함으로써 제2 스토퍼(331)의 접촉부(331c) 및 제2 개구부(313a)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부(331a)의 회전에 의해 제2 스토퍼(331)의 접촉부(331c)는 중심 셀(310)의 제2 개구부(313a)와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개구부(313a)는 폐쇄되고, 제2 키트(330)와 중심 셀(310) 간의 혈액 이동은 차단될 수 있다.
제2 회전캡(332)은 제2 키트(330)의 일단에 형성된 핸들부(332a) 및 핸들부(332a)로부터 제2 키트(330) 내부로 연장된 확장부(332b)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332a)는 양방향 회전 이동 가능하고, 확장부(332b)는 핸들부(332a)의 회전이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다. 사용자는 제2 회전캡(332)의 확장부(332b)의 길이를 조절을 통해 제2 키트(330) 및 중심 셀(310)에 수용된 혈액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확장부(332b)는 제2 스토퍼(331)의 지지부(331b)가 연장되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중심 셀(310)은 제1 키트(320) 및 제2 키트(330)에 각각 삽입 결합된다. 예를 들어, 중심 셀(310)은 중심부(312)의 상측 또는 상단부(311)에 제1 나사산부(311b)를 포함하고, 중심부(312)의 하측 또는 하단부(313)에 제2 나사산부(3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사산부(311b)는 제1 키트(320)의 하단에 형성된 제1 나사골부(320a)와 체결될 수 있고, 제2 나사산부(313b)는 제2 키트(33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나사골부(330a)와 체결될 수 있다. 중심 셀(310) 및 제1 키트(320)의 결합 길이는 중심 셀(310) 및 제1 키트(32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이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중심 셀(310) 및 제2 키트(330)의 결합 길이는 중심 셀(310) 및 제2 키트(33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이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여과장치(340)는 챔버(341), 제1 필터(344), 제2 필터(345)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341)는 혈액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저면부(341a), 측면부(341b), 평면부(341c)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341)는 중심 셀(310) 및 다른 기구들과 연결되기 위하여, 제1 연결관(342) 및 제2 연결관(3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관(343)은 중심 셀(310)의 결합부(312a)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의해 여과장치(340)가 중심 셀(310)에 착탈될 수 있다.
여과장치(340)의 챔버(341)를 형성하는 저면부(341a), 측면부(341b), 평면부(341c), 그리고 제1 필터(344) 및 제2 필터(345)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한 여과장치(100)의 챔버(110) 및 챔버(110)를 형성하는 저면부(110a), 측면부(110b), 평면부(110c), 그리고 제1 필터(121) 및 제2 필터(122)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제2 연결관(343)이 결합부(312a)와 착탈되는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한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200)의 제2 연결관(223) 및 결합부(213)가 착탈되는 구성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추가적으로, 제1 연결관(342)에는 마개(346)가 결합될 수 있다. 마개(346)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한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200)의 마개(226)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312a)가 중심 셀(310)에 형성되어 여과장치(340)가 중심 셀(3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키트(320) 또는 제2 키트(33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여과장치(340)가 제1 키트(320) 또는 제2 키트(33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300)를 이용하면, 상기 분리 장치(300)의 내부로 골수액이나 혈액을 주입할 때 즉시 이들을 여과하면서 주입할 수 있다. 즉, 여과장치(340)의 제1 연결관(342)에 구비된 마개(346)를 통해 주사 바늘을 삽입한 후 혈액을 주입할 수 있다. 여과장치(340)를 통해 주입되는 골수액이나 혈액은 여과장치(340)에 마련된 제1 필터(344) 및 제2 필터(345)를 통과하면서 혈액 내의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여과될 수 있다. 따라서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300)의 내부에는 양질의 혈액이 주입될 수 있다.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300) 내부, 즉 여과장치(340)를 통해 중심 셀(310)의 내부로 혈액이 주입되면, 분리 장치(300)를 뒤집어 제1 키트(320)가 중심 셀(3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 후 원심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토퍼(321)는 제1 개구부(311a)를 개방하고, 제2 스토퍼(331)는 제2 개구부(313a)를 폐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회전캡(322)을 이용하여, 혈장 및 버피 코트는 중심 셀(310)에 위치하도록 하고, 혈구는 제1 키트(320)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후, 제1 키트(320) 또는 중심 셀(310)을 회전하여 제1 스토퍼(321)가 제1 개구부(311a)를 폐쇄하도록 한다. 그 후, 다시 분리 장치(300)를 뒤집어 2차 원심 분리를 하면, 농축된 다혈소판 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과 빈혈소판 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이 층을 나뉘어 형성된다. 제2 회전캡(332)을 이용하여, PRP의 위치를 조절한 후, 제2 회전캡(332)을 회전하여 제2 개구부(313a)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골수액이나 혈액은,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300) 내부에서 2회 원심 분리가 가능하여 외부 대기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골수액 또는 혈액 분리시 이들의 대기 노출에 따른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400)는 상부캡(410), 제1 키트(420), 스토퍼(430), 제2 키트(440), 제2 캡(450), 여과 장치(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들에 의해서 골수액이나 혈액의 분리에 이용되는 총 3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들 공간부는 각각 서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상부캡(410)은 제1 키트(420)의 상단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상부캡(410)은 후술하는 제1 키트(420)의 상측 원통부(421)의 외경에 접하는 외측부(411), 및 이 외측부(411)에 고정 결합되며 제1 키트(420)의 상측 원통부(421)의 내경에 접하는 내측부(412)를 포함한다.
상부캡(410)의 외측부(411)의 내경에는 나사부(413)가 마련되며, 이 나사부(413)는 후술하는 제1 키트(420)의 상측 원통부(421)에 마련된 나사부(426)와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제1 키트(420)에 대하여 상부캡(410)을 회전함으로써, 상부캡(410)은 제1 키트(42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키트(420)의 내측 공간(제1 공간)에 수용되는 골수액이나 혈액의 양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상부캡(410)의 내측부(412)는 외측부(411)에 고정 결합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413)의 측면 외주면에 마련된 홈에 외측부(411)의 측면 내주면에 마련된 돌출부가 끼워맞춤되어, 내측부(412)와 외측부(411)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412)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 예컨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부재일 수 있다. 내측부(412)를 통해 주사 바늘을 삽입함으로써, 분리 장치(400)의 내부에 골수액이나 혈액을 주입할 수도 있고, 분리 장치(400)로부터 분리가 완료된 골수액 또는 혈액을 추출할 수도 있다. 내측부(412)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측부(412)는 제1 키트(420)의 상측 원통부(421)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캡(410)과 제1 키트(420) 사이에서 별도의 실링 부재 없이도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이 이루어진다.
제1 키트(420)는 상부캡(410)의 하측에 배치되며, 그 내측에 골수액 또는 혈액을 수용하는 제1 공간을 포함한다. 제1 키트(420)는 상측 원통부(421), 이 상측 원통부(421)에 일체로 연결되는 하측 원통부(422), 상측 원통부(421) 및 하측 원통부(422)의 사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 원뿔부(423), 내측 원뿔부(423)의 상측에 형성되는 목부(424)를 포함한다. 목부(424)에는 제1 개구부(424a)가 마련되며, 이 제1 개구부(424a)에 의해 제1 공간이 상측 공간(420a)과 하측 공간(420b)으로 상하 분리된다.
상측 원통부(421)의 외측면 상단부에는 전술한 상부캡(410)의 나사부(413)와 결합되는 상측 나사부(426)가 마련된다. 하측 원통부(422)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스토퍼(430)의 상측 나사부(435)와 결합하는 하측 나사부(427)가 마련된다. 하측 원통부(422)와 스토퍼(430) 사이의 나사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내측 원뿔부(423)는 상측 원통부(421)와 하측 원통부(422)가 접하는 부분에서 내측 공간(제1 공간)을 향하여 상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모양으로 형성된다. 내측 원뿔부(423)의 상단에는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튜브 형상의 목부(424)가 마련된다. 이 목부(424)를 통해 제1 공간이 상하측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골수액이나 혈액의 원심 분리시 혈액의 구성 성분들이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골수액이나 혈액의 원심 분리가 완료될 경우 이 목부(424)를 폐쇄함으로써 골수액이나 혈액을 공간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스토퍼(430)는 제1 키트(420)와 제2 키트(4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스토퍼(430)는 외측 원통부(431), 외측 원통부(431)의 내경 중앙부에 위치한 플레이트(432), 플레이트(432)의 중앙부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설치된 제1 바(bar)(433), 플레이트(432)의 중앙부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설치된 제2 바(434)를 포함한다.
외측 원통부(431)의 내측면 상측에는 전술한 제1 키트(420)의 하측 나사부(427)와 결합하는 상측 나사부(435)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430)와 제1 키트(420)가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됨으로써, 스토퍼(430)에 대해 제1 키트(42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제1 키트(420)의 제1 개구부(424a)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외측 원통부(431)의 내측면 하측에는 후술할 제2 키트(440)의 상측 나사부(447)와 결합하는 하측 나사부(436)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430)와 제2 키트(440)가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됨으로써, 스토퍼(430)에 대해 제2 키트(44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제2 키트(440)의 제2 개구부(443a)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스토퍼(430)에 대해 제1 키트(4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키트(420)의 제1 개구부(424a)가 개방될 수 있으며, 또한 스토퍼(430)에 대해 제2 키트(4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키트(440)의 제2 개구부(443a)가 개방될 수 있다.
다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토퍼(430)와 제1 키트(420)의 사이에는 실링 링(46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실링 링(460)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부재로서, 이에 의해 스토퍼(430)와 제1 키트(420)의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이 이루어진다.
또한, 스토퍼(430)와 제2 키트(440)의 사이에도 실링 링(47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실링 링(470)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부재로서, 이에 의해 스토퍼(430)와 제2 키트(440)의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이 이루어진다.
플레이트(432)는 얇은 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 플레이트(432)에는 상하로 관통된 연통홀(432a)이 마련된다. 연통홀(432a)은 상면에서 보아 구형, 부채꼴, 또는 반달형일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통홀(432a)에 의하여 전술한 제1 키트(420)의 내측 공간(제1 공간)과 후술한 제2 키트(440)의 내측 공간(제2 공간)이 유체 연통된다. 즉, 제1 키트(420)의 하측 공간(420b)은 후술할 제2 키트(440)의 상측 공간(440a)과 실질적으로 일체로 작용하게 된다.
제1 바(433) 및 제2 바(434)는 직경이 일정한 긴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바(433)와 제2 바(434)의 단부는 제1 개구부(424a)와 제2 개구부(443a)와 접하여 혈액의 흐름을 방지하게 되며, 이러한 골수액 또는 혈액 흐름 방지 기능을 위해 제1 바(433)와 제2 바(434)의 단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키트(440)는 스토퍼(430)의 하측에 배치되며, 그 내측에 골수액이나 혈액을 수용하는 제2 공간을 포함한다. 제2 키트(420)는 상측 원통부(441), 이 상측 원통부(441)에 일체로 연결되며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상측 연결부(442), 이 상측 연결부(442)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튜브 형상의 목부(443), 이 목부(443)에 일체로 연결되며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하측 연결부(444), 이 하측 연결부(444)에 일체로 연결되는 하측 원통부(445)를 포함한다. 목부(443)에는 제2 개구부(443a)가 마련되며, 이 제2 개구부(443a)에 의해 제2 공간이 상측 공간(440a)과 하측 공간(440b)으로 상하 분리된다. 즉, 제2 키트(440)는 상측 공간(440a)과 하측 공간(440b)으로 분리되는 모래시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측 원통부(441)의 외측면 상단부에는 전술한 스토퍼(430)의 나사부(436)와 결합되는 상측 나사부(447)가 마련된다. 하측 원통부(445)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 캡(450)의 나사부(452)와 결합하는 하측 나사부(448)가 마련된다. 하측 원통부(445)와 제2 캡(450) 사이의 나사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2 키트(440)의 목부(443)를 통해 제2 공간이 상하측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골수액이나 혈액의 원심 분리시 이들의 구성 성분들이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골수액이나 혈액의 원심 분리가 완료될 경우 이 목부(443)를 폐쇄함으로써 골수액 또는 혈액을 공간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제2 캡(450)은 제2 키트(44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2 키트(440)의 하단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제2 캡(450)은 전술한 제2 키트(440)의 하측 원통부(445)의 외경에 접하는 외측부(451)를 포함한다.
제2 캡(450)의 외측부(451)의 내경에는 나사부(452)가 마련되며, 이 나사부(452)는 전술한 제2 키트(440)의 하측 원통부(445)에 마련된 나사부(448)와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제2 키트(440)에 대하여 제2 캡(450)을 회전함으로써, 제2 캡(450)은 제2 키트(44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키트(440)의 내부 공간부에 수용되는 골수액 또는 혈액의 양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도 3에서는 제2 캡(450)이 제2 키트(440)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하측 공간(440b)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도 4에서는 제2 캡(450)이 제2 키트(440)에 대해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하측 공간(440b)의 부피가 작아지게 된다.
제2 캡(450)과 제2 키트(440)의 사이에는 실링 링(48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실링 링(480)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부재로서, 이에 의해 제2 캡(450)과 제2 키트(440)의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이 이루어진다.
여과 장치(460)는 골수액 또는 혈액 내의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을 여과할 수 있고, 제2 캡(45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여과 장치(460)는 제2 캡(450)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과 장치(460)는 골수액 또는 혈액 내의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을 여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를 갖는 필터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는 메쉬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과 장치(460)를 통해 여과된 골수액 또는 혈액은 제2 캡(45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제2 캡(450)의 내부로 골수액이나 혈액이 주입되는 경우, 스토퍼(430)에 대해 제2 키트(4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키트(440)의 제2 개구부(443a)가 개방된 상태로 주입될 수 있고, 제2 개구부(443a)가 개방됨에 따라 여과 장치(460)를 통해 여과되면서 주입되는 골수액 또는 혈액은 제2 키트(440)의 상측 공간(440a)에 주입될 수 있다.
제2 캡(450)의 내부로 골수액이나 혈액을 여과하여 주입하기 위해, 제2 캡(450)의 하단부에는 연결관(45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관(453)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관(453)의 외면 둘레에는 통상의 루어락 팁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53)에 루어락 팁이 형성되는 경우, 주사기 실린더의 전단부에는 루어락 팁과 결합될 수 있는 루어락 홈이 형성된 주사기 실린더가 결합될 수 있다. 루어락 팁 및 루어락 홈은 주지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연결관 및 주사기 실린더의 전단부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타고 오르는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연결관(453)은 루어락 팁이 없는 원기둥 형상일 수도 있다.
연결관(453)에는 제2 캡(450)의 내부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47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개(470)는 고무 또는 실린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53)에 마개(470)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주사기 실린더에 주사 바늘을 결합한 후 주사 바늘을 마개(470)에 관통하여 제2 캡(450)의 내부로 삽입한 후 골수액이나 혈액을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400)는 2회의 원심 분리를 통해 혈액을 분리할 수 있다.
골수액이나 혈액 분리를 위하여, 먼저, 채혈된 골수액이나 혈액이 저장된 주사기 실린더를 제2 캡(450)의 하단부에 마련된 연결관(453)에 직접 결합하거나, 연결관(453)에 마개(470)가 결합된 경우, 주사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주사 바늘을 결합하여, 제2 캡(450)의 내부로 골수액 또는 혈액을 주입한다. 이들이 주입되는 과정에서 여과 장치(460)인 필터에 의해 골수액 또는 혈액에 포함된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여과될 수 있다.
필터에 의해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여과된 골수액 또는 혈액은, 제2 개구부(443a)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 캡(450)의 내부로부터 제2 키트(450)의 상측 공간(440a)으로 주입되면, 제1 키트(420)의 제1 개구부(424a)는 스토퍼(430)의 제1 바(433)에 의해 폐쇄되고, 제2 키트(440)의 제2 개구부(443a)는 개방된 상태에서 1차로 원심 분리를 행한다. 1차 원심 분리가 완료되면 혈액 중의 혈장 및 버피 코트는 제2 키트(440)의 상측 공간(440a)에 위치하고, 혈구는 하측 공간(440b)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2 캡(450)을 회전시켜 하측 공간(440b)의 부피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혈액 성분을 정확히 분리하게 된다. 이후, 제2 키트(440)의 제2 개구부(443a)를 스토퍼(430)의 제2 바(434)에 의해 폐쇄한다. 다음으로, 혈액 분리 장치(400)를 뒤집은 후, 즉 제1 키트(420)가 제2 키트(440)에 대해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제1 키트(420)의 제1 개구부(424a)를 개방한 상태로 2차 원심 분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다혈소판 혈장(PRP)과 빈혈소판 혈장(PPP)이 층을 나뉘어 형성된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 상부캡(410)을 회전시켜 제1 키트(420)의 상측 공간(420a)의 부피를 적절히 조정한 후, 제1 키트(420)에 대해 스토퍼(430)를 회전시켜 제1 키트(420)의 제1 개구부(424a)를 폐쇄한다. 이렇게 하여 분리된 혈액 중의 PRP를 제1 캡(410)의 내측부(412)를 통해 주사기를 이용하여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400)를 이용하면, 분리 장치(400)의 내부로 골수액이나 혈액을 주입할 때 즉시 이들을 여과하면서 주입할 수 있다. 즉, 여과장치(460)의 연결관(453)을 통해 골수액이나 혈액을 주입할 수 있다. 연결관(453)를 통해 주입되는 골수액이나 혈액은 여과장치(460)인 필터를 통과하면서 골수액 또는 혈액 내의 이물질, 응집 덩어리 등이 여과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 장치(400)의 내부에는 양질의 혈액이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여과 장치(4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100, 220, 340 : 여과장치 110, 221, 341 : 챔버
111, 222, 342 : 제1 연결관 112, 223, 343 : 제2 연결관
121, 224, 344 : 제1 필터 122, 225, 345 : 제2 필터
200, 300 :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210 : 분리키트
211 : 저장챔버 212 : 챔버마개
213, 312a : 결합부 310 : 중심 셀
311 : 상단부 312 : 중심부
313 : 하단부 311a : 제1 개구부
313a : 제2 개구부 320 : 제1 키트
321 : 제1 스토퍼 322 : 제1 회전캡
331 : 제2 스토퍼 332 : 제2 회전캡

Claims (4)

  1.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골수액 또는 혈액을 수용하는 제 1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 1 키트;
    상기 제 1 키트의 상단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 1 캡;
    골수액 또는 혈액을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키트;
    여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키트의 하단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 2 캡; 및
    상기 제 1 키트 및 상기 제 2 키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키트 또는 상기 제 2 키트 각각에 구비된 개구부를 개폐가능한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 장치는, 다수의 개구를 갖는 제 1 필터, 및 상기 제 1 필터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필터의 개구보다 촘촘한 다수의 개구를 갖는 제 2 필터를 포함하는,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및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여과 장치 내부로 주입되는 혈액 또는 골수를 여과하는,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및 상기 제 2 필터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메쉬망인,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4. 삭제
KR1020120137685A 2012-11-30 2012-11-30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KR101463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685A KR101463560B1 (ko) 2012-11-30 2012-11-30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685A KR101463560B1 (ko) 2012-11-30 2012-11-30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71A KR20140069871A (ko) 2014-06-10
KR101463560B1 true KR101463560B1 (ko) 2014-11-20

Family

ID=5112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685A KR101463560B1 (ko) 2012-11-30 2012-11-30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5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751B1 (ko) * 2016-05-04 2016-08-08 (주)조아테크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WO2021101068A1 (ko) * 2019-11-19 2021-05-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액성분 분리용 다중필터 및 그를 이용한 질병 진단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937B1 (ko) * 2015-09-11 2016-08-29 주식회사 싸이퍼롬 의료용 필터링 장치
KR101979382B1 (ko) * 2018-11-30 2019-05-17 (주)레보메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체액세포 분리 및 농축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814A (ja) 2001-08-17 2003-02-25 Terumo Corp 血小板捕捉フィルターおよび血小板因子回収装置
JP2004344874A (ja) 2002-11-19 2004-12-09 Sekisui Chem Co Ltd 血漿もしくは血清分離膜、及び血漿もしくは血清分離膜を用いたフィル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814A (ja) 2001-08-17 2003-02-25 Terumo Corp 血小板捕捉フィルターおよび血小板因子回収装置
JP2004344874A (ja) 2002-11-19 2004-12-09 Sekisui Chem Co Ltd 血漿もしくは血清分離膜、及び血漿もしくは血清分離膜を用いたフィル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751B1 (ko) * 2016-05-04 2016-08-08 (주)조아테크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WO2017191989A1 (ko) * 2016-05-04 2017-11-09 (주)조아테크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WO2021101068A1 (ko) * 2019-11-19 2021-05-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액성분 분리용 다중필터 및 그를 이용한 질병 진단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71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548B1 (ko) 성분 분리기
KR101463560B1 (ko)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KR101170028B1 (ko) 혈액 분리 장치
JP6092898B2 (ja) 遠心機
JP4983204B2 (ja) 遠心分離容器及び遠心分離方法
AU2935702A (en) Blunt cannula and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with point-of-care testing cartridge
CN110026297A (zh) 体液分离装置
AU202220008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uid components
KR101333789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CN115501923B (zh) 一种离心分离管及其使用方法与应用
KR101378014B1 (ko) 성분분리기
KR101371674B1 (ko) 성분분리기
CN212702463U (zh) 一种富血小板血浆离心装置
CN212702460U (zh) 一种连体式富血小板血浆离心装置
KR20130119773A (ko) 혈액 분리 장치
KR101409443B1 (ko) 성분 분리기
KR20180025656A (ko) 골수 및 혈액 농축키트
CN205949080U (zh) 一种富血小板血浆分离提取装置
KR101043231B1 (ko) 원심분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어댑터
US20140274649A1 (en) Bone Marrow Concentrator
TWM466716U (zh) 分離自體血液濃縮器
CN220634800U (zh) 一种简便组配式prp制备用离心管、离心装置
KR101990633B1 (ko) 혈소판 농축 물질 추출 장치
CN218026086U (zh) 组织成分制备装置
BR102017028497A2 (pt) Separador de gordura por filtragem assistida, pressão negativa e capilarid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