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91989A1 -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 Google Patents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91989A1
WO2017191989A1 PCT/KR2017/004666 KR2017004666W WO2017191989A1 WO 2017191989 A1 WO2017191989 A1 WO 2017191989A1 KR 2017004666 W KR2017004666 W KR 2017004666W WO 2017191989 A1 WO2017191989 A1 WO 201719198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ood
syringe
extraction
container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6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일희
Original Assignee
(주)조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아테크 filed Critical (주)조아테크
Publication of WO201719198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919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15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capable of precise PRP extraction, and more particularly, blood separation extract which provides a blood extraction unit at the center of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extract a specific component of blood, that is, PRP. It's about courage.
  • PRP platelet-rich plasma, hereinafter abbreviated as 'PRP'
  • PRP platelet-rich plasma, hereinafter abbreviated as 'PRP'
  • PRP obtained from a centrifuge using blood as its material contains platelets three to eight times the platelet level of plasma in normal blood.
  • Platelets function to release growth factors involved in the repair of damaged tissue. These growth factors promote the natural recovery of the organization. For example, the composition of the regeneration environment, the promotion of blood vessel production, the growth involvement of skin tissues and cells, the promotion of regeneration of connective tissue, and the like. Recently, it is also used in cosmetic surgery, and mainly used for the transplantation of tissues, such as fat or cartilage transplantation, PRP is known to increase the engraftment rate of tissues. It is also used for direct injection into the skin to avoid fine lines and to improve skin aging. Since PRP is an autologous blood component, side effects such as infection or rejection are rare during infusion, it has been used through many experiments and verification processes.
  • the conventional blood separation container is a method of inserting the needle of the syringe down from the upper lid, most of this type of blood separation container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PRP If the needle of the syringe is out of the PRP layer plasma or red blood cells It is likely that you will be extracting the ingredients. Thus, if the blood containing plasma or red blood cell components other than PRP is applied to human skin, it causes pai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blood extraction por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ateral side of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to penetrate the syringe in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a magnifying glass
  • the purpose is to precisely and easily extract the specific components of blood from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while visually checking the PRP layer.
  •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opper is coupled to the top and the upp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pace,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wall and a second support wall, And a blood extraction unit connected to the upper receiving portion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between the lower receiving portion and the upper receiving portion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extract a specific component of blood.
  • the blood extraction portion when the upper receiving portion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is combined, may further include a depression that is concave recessed from the outer side to be compressed or deformed.
  • the blood extrac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tube.
  • the flexible tub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licon material.
  •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wall and the second support wall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coupling portion
  •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coupling portion
  • the receiving portion coupling portion hook projection coupling It may include a portion or a guide groove
  •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protrusion or guide projection.
  • the magnifying glass may be formed on any one of the first support wall and the second support wall.
  • the stopper is formed with a blood inlet and an air outlet, the blood inlet and the air outle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or closing through the closing cover.
  •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wall, so that the needle does not need to be removed once the needle is inserted in the blood extraction process, thus reducing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f the syringe and repeatedly removing and inserting the syringe.
  • the work is omitted, simplifying blood extraction.
  •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magnifying glass on the support wall, the PRP layer located in the blood extracting part is enlarged through the magnifying glass, thereby extracting PRP with a syringe. It is easy to extract only PRP.
  • the blood extraction portion formed of transparent silicon of a single material is formed, the diffuse reflection and refraction of the light are significantly reduced, so that the boundary of the PRP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 the support wall and the receiving portion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upper receiving portion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lood extraction portion is damage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shown in FIG.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upper receiving portion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of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shown in FIG.
  •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eedle of the syringe penetrated the center of the blood extraction in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shown in FIG.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ise of the PRP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in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shown in FIG.
  •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the transmission state of the light of the conventional blood extraction vessel and the blood separation vessel shown in FIG.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between the conventional blood extraction vessel and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vessel shown in FIG.
  •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of FIG. 1 is stored in a container storage container in which a syringe needle is inserted;
  • Figure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yringe is horizontal in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of Figure 1 compared to the state in which the syringe is not horizontal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shown in FIG. 1
  • FIG. 3 is an upper portion of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receiving part and the lower receiving part
  •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needle of the syringe penetrated into the center of the blood extraction part in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shown in FIG. 1, and FIG.
  • th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ise of the PRP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in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shown.
  •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capable of precise PRP extraction in ter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pper 10, the upper receiving portion ( 20),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and the height adjusting unit 60.
  • the stopper 10 is coupled to the upper receiving part 20 in the configuration located on the top of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lood inlet 12 and the air outlet 13 formed in the stopper 10 is openable It is sealed or opened through the lid 11.
  • the blood collected by the syringe 70 is injected into the blood inlet 12.
  • the air outlet 13 is a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1 to the outside so that blood can be smoothly injected into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via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20 has a space in which blood is accommodated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for observing the inside, and an open upper end is coupled with a stopper 10.
  •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20 has an insertion part 21 having a reduced outer diameter than the upper part, and an upper bottleneck part 28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art 21.
  •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ttleneck 28 is connected to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 a pair of hook protrusions 22 ar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portion 21, and a pair of guide protrusions 23 are symmetrically formed between the pair of hook protrusions 22.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upper receiving part 20 and the lower receiving part 30, thereby changing only the size of the upper receiving part 20 in which blood is accommodated to accommodate blood of various capacitie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blood separation extraction vessel.
  •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30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blood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for observing the inside, and the open lower part is coupled with the height adjusting part 60 and the upper part is a lower bottleneck part 31. Formed. Lower bottleneck 31 is connected to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Support walls 32 and 35 are form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30, and accommodating part coupling parts 40 formed in a circular shape are formed on the support walls 32 and 35, respectively. The circumferential sides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coupling portion 40 is formed with a hook protrusion coupling portion 41 to which the above-described hook protrusion 22 is coupled, and guide grooves 43 into which the above-described guide protrusion 23 is inserted are formed.
  • the support wall 35 is composed of a second support wall 32 and a first support wall 35, and the magnifying glass 3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wall 32 and the first support wall 35 is formed on the support wall 35.
  • the mounting groove 36 for mounting the needle stopper 71 of the syringe 70 and the needle holder groove 37 for mounting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are formed.
  • Mounting groove 36 is a portion in which the needle stopper 71 of the syringe 70 is mounted on the blood extraction part 50 while passing the needle stopper 71 of the syringe 70 through the mounting groove 36. When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is inserted into the 50, the syringe 70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36.
  • the needle holder groove 37 is used to mount the needle of the syringe 70 when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is long, and the holder groove 36 is used when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is short. Used to mount the needle plug.
  • the mounting groove 36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enter of the blood extraction portion 5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agnifying glass and the mounting groove may be changed in position so that the magnifying glass is formed on the first support wall and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wall.
  • the mounting groove 36 is used for mounting the syringe 70 when the extractor needs to raise the position of the PRP 90 during the extraction of the PRP 90.
  • Blood extraction unit 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tube, through which the inside can be visually observed and may have a circular tube shape.
  • the flexible tube may b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known flexible material, and preferably, a transparent silicone material.
  • Blood extraction unit 50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formed at a height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receiving part 20 and the lower receiving part 30 so that the blood when the upper receiving part 20 and the lower receiving part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 Extraction unit 50 is coupled while being compressed between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 the upper surface 51 and the lower surface 52 of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are tapered inclined inward.
  • the inner side of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allows the movement of blood as a penetrated structure.
  • the blood extracting unit 50 deforms while being concave recess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od extracting unit 50. ) Is formed.
  • the height adjusting part 6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30.
  • the height adjustment unit 60 is provided with a packing portion 67 screwed to the adjustment bolt 61 and the packing portion 67 is raised or lowered by rotating the adjustment bolt 61. Since the packing part 67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30, when the packing part 67 is raised or lowered, the internal volum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30 is changed.
  • the lowermost adjustment bolt 61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quid inside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1) by the user is located.
  • the adjustment bolt 61 is formed with a snap ring seating portion 63 on which the snap ring 65 can be seated, so that the snap ring 65 is seated when engaged. Accordingly, the snap ring 65 is positioned between the male screw portion 62 and the fixing bracket 64 to fix the male screw portion 62 with respect to the fixing bracket 64.
  • the fixing bracket 64 is fixed to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30. As it is fixed to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the fixing bracket 64 guides the adjustment bolt 61 to be rotated in place without changing its position when the adjustment bolt 61 is rotated.
  • the female screw portion 66 coupled to the male screw portion 62 of the adjustment bolt 61 is coupled to the packing portion 67 around them to move together.
  • the male screw portion 62 fixed in position by the fixing bracket 64 rotates, the male screw portion 62 does not move, and only the female screw portion 66 is moved to move up and down. Since the female thread part is tightly coupled to the packing part 67 and the packing part 6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30, when the adjusting bolt 61 is rotated, the female thread part does not rotate but is moved up and down. Only to get on and off.
  • the height of the PRP 90 is lowered with respect to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 the packing unit 67 is rais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60. In this case, the packing part 67 pushes up the blood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30 so that the PRP rises and the PRP rises again to a horizont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lood extraction part 50.
  • a blood extraction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bottleneck part 31 and the upper bottleneck part 28.
  • Place (50)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ttleneck 28 and the lower end of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ttleneck 31.
  • the guide protrusion 23 of the insertion portion 21 of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is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43 of the receiving portion coupling portion 40 and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is lowered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coupling portion 40 and the hook protrusion 22 of the insertion portion 21 is connected to the hook protrusion coupling portion 41 of the receiving portion coupling portion 40. The fastening is made while being caught.
  • the upper bottleneck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bottleneck 28 and the lower bottleneck 31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as described above
  • the upper bottleneck 28 and the lower bottleneck 31 are coupled to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while the portion 28 and the lower bottleneck portion 31 are fitted to each other.
  • the upper surface 51 and the lower surface 52 of the blood extraction portion 50 has a tapered structure inwar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bottleneck portions 28 and the lower bottleneck portion of the blood extraction portion 50 are formed.
  • bottlenecks are induced to the inside of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to induce accurate coupling.
  • the height of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formed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ottleneck of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upper end of the bottleneck of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lower receiving
  •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excessively com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open outwards, and as shown in FIG. 3,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vertically downward.
  • the depression 55 guides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direction.
  •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lood extraction part 50.
  •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compressed while being coupled between the upper receiving unit 20 and the lower receiving unit 30,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and the upper receiving unit 20 and the lower receiving unit 30 The airtight performance between them becomes excellent.
  • Figure 4 in the blood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yringe through the mounting groove of the second support wall to the blood extraction unit to allow the needle of the syringe to penetrate the blood extraction unit and blood extraction through the magnifying glass of the first support wall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extracts PRP precisely with a syringe, looking at the enlarged part.
  •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enters the syringe 70 through the mounting groove 36 of the second support wall 35, the syringe to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 the needle 75 of 70 is inserted and the PRP can be extracted while looking at the magnifying glass 33 formed on the first support wall 32.
  •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by enlarging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through the magnifying glass 33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wall 32, and the PRP layer occupies a very small amount of blood components; The boundary between the different blood components is clearly visible to the naked eye by the image enlarged by the magnifying glass 33.
  • the thickness of the PRP layer is reduced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PRP with the syringe 70,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PRP while viewing the enlarged image through the magnifying glass 33, so that the needle of the syringe is correctly positioned on the PRP layer.
  • the extraction can be done while checking to ensure that other components of the blood are extracted. In other words, when the PRP is mostly extracted and only a very small amount remains, the PRP can be enlarged through the magnifying glass 33 so that the last remaining PRP can be accurately extracted.
  •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raising the position of the PRP by adjust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for the extraction of additional PRP after extracting a certain amount of PRP in the extraction process of the PRP using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blood is injected into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1 through a stopper 10.
  • the air outlet 13 formed in the stopper 10 facilitates the injection of blood by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1 during blood injection.
  •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vessel After injecting the blood,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vessel is rotated through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the red blood cells are collected in the lowermost layer of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vessel (1), and the buffy coat containing some of the white blood cells and plasma forms a layer on the red blood cells. Plasma is layered on the stomach. In addition, plasma is again layered by PRP 90 at the bottom and PPP at the top.
  • the adjustment bolt 61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60 is rotated to change the volum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30. That is, as the adjusting bolt 61 is rotated, the packing part 67 is raised to position the PRP layer in the blood extraction part 50, and then the syringe 70 is inserted to extract the PRP 90.
  • the PRP located in the lower accommodating unit 30 should be raised again.
  • the syringe 70, the mounting groove 36 is formed in the support wall 35 of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to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to the blood extraction portion 50 of the blood separation container. Once plugged in,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 syringe 70 until all extraction is complete.
  • the blood of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should be raised upward by turning the adjusting bolt 61.
  • the syring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had to be pulled out and placed on the tray. After returning the adjusting bolt, the needle wa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again to perform the next extraction.
  • this method requires the needle of the syring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 needle of the syringe may be contaminated.
  •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is removed from the container until all the extraction operations are completed. You do not have to do. This is because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or the needle stopper 71 of the syringe 7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36 of the support wall 35. Even when turning the adjustment bolt 61 of the container, the syringe 70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36, and then the adjustment bolt 61 is rotated, and the extraction operation has to be done as soon as shown in FIG.
  • the container 70 After placing the syringe 70 in the mounting groove 36, the container 70 is simp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82 of the container storage box 80 as it is. Therefore, if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is plugged into the container storage box 80,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can be safely stored without extracting the syringe 70 from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may be contaminated to the outside since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does not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during the operation of extracting the PRP from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Decreases. In particular, since PRP extracted from blood is widely used as a way to put it back into the body, extracted PRP should be very careful about contam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is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since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is not removed from the container during extraction.
  • the operator When the blood is extracted from the container, the operator extracts while looking at the blood boundary with his eyes, so the blood boundary at the point of extraction needs to be visually seen well. In other words, visibility should be good.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the transmission state of light between the conventional blood extraction vessel and the blood separation vessel shown in FIG.
  •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comprises a blood extracting portion 50 between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0 and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30 as a single component. That is, the part connected between the upper receiving part 20 and the lower receiving part 30 is connected to only the blood extraction part 50 made of transparent silicon. Therefore, since the point of extracting the blood of the container is made of only a single transparent silicon, optically diffuse reflection or light refraction hardly occurs or is minimized. In other words, since it is a single component made of transparent silicon, light reflection, light refraction, or reflection may be minimized.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between the conventional blood extraction container and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shown in FIG. 1.
  • the entir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by the insert injection method (a) in FIG. 7), in this structure, the hardness of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is shown. And lack of rigidity,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connection is high, and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blood leakage is increased. Since silicon is a flexible material, its rigidity is weak, and it lacks the force to maintain its shape against external force. 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is generated, it is easy to cause damage due to the bending or peeling of the silicon connection par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part is composed only of silicon.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od extraction portion 50, which is a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of pure silicon material, which is mutually coupled to the upper accommodation portion 20 and the lower accommodation portion 30 separately from the blood extraction portion 50. It is possible because there is a support wall (32, 35) and the receiving portion engaging portion 40 for. Since the coupling part and the support walls 32 and 35 bear almost all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lood separation container, the blood extraction part 50 of the silicon material is not directly applied. Therefore,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may be made of pure silicon to ensure structural visibility of the container while ensuring excellent visibility.
  •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formed of a transparent silicone material for the following reason. Centrifuging the blood, the middle layer is made up of a buffy coat layer consisting of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Since the buffy coat layer is a very small amount of blood, the needle 75 of the syringe 70 can be inserted at a desired point while looking at the naked ey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formed of a transparent silicone material.
  • FIG. 9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yringe is horizontal in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of FIG. 1 and a state in which the syringe is not horizontal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passes the needle stopper 71 of the syringe 70 through the mounting groove 36 of the support wall 35, and then the needle of the syringe 70.
  • the horizontal of the needle 75 with respect to the blood extraction part 50 is necessarily obtained.
  • the needle plug 71 of the needle 75 with respect to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released unless the needle stopper 71 of the syringe 70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groove 36. Horizontally invasive state is maintained.
  • the needle 75 is horizontally maintained with respect to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extraction of the PRP can be accurately performed. That is, when the user extracts the PRP from the container, the PRP is extracted while visually checking the upper and lower boundary lines of the PRP lay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standing vertically, wherein the needle 75 is horizontal to the blood extraction part 50. Only the components of the PRP layer can be extracted accurately when they are inserted.
  •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are each formed as a separate structure to b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a container, in the process of mutual coupling between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therebetween When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automatically made in the process of coupling. If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and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are formed integrally, the operation of coupling the blood extraction part between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and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becomes very difficult and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airtightness.
  •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coupled in an excessively compressed state, the airtight performance of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and the upper accommodation unit 20 (or the lower accommodation unit 30) will be improved, but a human hand While excessively compressing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t is very difficult to enter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n the later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0 to be coupled.
  •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is naturally compressed while being excessively compresse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upper accommodation unit 20 and the lower accommodation unit 30, so that the operation of combining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may be easy.
  • excellent airtight performance due to excessive compression since both ends of the blood extraction part 50 are tapered downward, the ends of the receiving parts may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lood extraction part 50.
  • Blood separation extracting container 1 can accurately extract the PRP (90) by the desired amount.
  • red blood cells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buffy coat and plasma are sequentially placed on the blood vessel, and the plasma is separated into PRP 90 and PPP.
  • Conventional blood separation container has no means of accurately guiding the needle position of the syringe, and the needle of the syringe is positioned depending on the operator's sensation. This could happen.
  • the position of the syringe needle may be changed due to the shaking of the operator's hand.
  • the blood separation extraction container 1 guides the syringe 70 horizontally through the mounting groove 36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lood extraction portion 50, so that the blood extraction portion 50 is precisely centered. Since the needle 75 is easy to insert, and the syringe 70 is inserted into the blood extraction unit 50, the mounting groove 36 supports the syringe 70. Compared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syringe is held by hand in the absence of state, the needle 70 of the syringe 70 can be stably held at the correct position. According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lood separation container, the needle 70 of the syringe 70 can be positioned exactly horizontally at the intended point of the blood extraction part 50, and the PRP 90 can be easily maintained. ) Can be extracted as precisely as desired. In addition, the blood can be extracted by inserting the syringe in any direction, maximizing user conveni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혈액분리추출용기의 중앙에 관구조 회전체의 투명한 실리콘재질의 혈액추출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제작의 용이함과 동시에 혈액 추출을 위한 주사기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제고할 수 있다. 나아가 지지벽에 주사기를 거치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거치홈에 주사기를 거치함으로써 혈액의 추출과정에서 주사기의 바늘을 한 번 꽂으면 빼낼 필요가 없으므로 주사기의 오염가능성이 적고 주사기를 반복적으로 빼고 꽂는 작업이 생략되어 혈액의 추출작업이 간단해진다.

Description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본 발명은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혈액분리추출용기 중심부에 혈액추출부를 마련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혈액의 특정성분 즉 PRP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혈액분리추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PRP(platelet-rich plasma, 이하 'PRP'로 약칭함)는 혈장의 혈소판이 풍부한 부분을 일컫는 용어로써, 특별한 가공을 하거나 만들어내는 물질이 아니라 본인의 혈액 속에서 얻어 낼 수 있는 성분이다. 본인 혈액을 재료로 하여 원심분리기를 통해 얻어낸 PRP는 정상 혈액에서 혈장이 포함하고 있는 혈소판 수치의 3~8배의 혈소판이 포함되어 있다.
혈소판은 손상 입은 조직의 회복에 관여하는 성장인자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성장인자는 조직의 자연회복능력을 촉진시킨다. 예를 들면, 재생 환경의 조성, 혈관 생성 촉진, 피부 조직 및 세포의 성장관여, 결합 조직의 재생 촉진 등이 있다. 최근에는 미용 성형에도 사용이 되고 있는데, 주로 지방이나 연골 이식과 같은 조직 이식을 할 때 PRP를 같이 사용하게 되어, 조직의 생착률을 높힌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에 직접 주입하여 잔주름을 피고, 피부 노화를 개선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RP는 자가 혈액 성분이기 때문에 주입과정에서 감염 또는 거부반응과 같은 부작용이 드물기 때문에 많은 실험과 검증과정을 거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종래에는 혈액을 원심분리기에 돌려 혈장을 추출할 때 적혈구와의 경계를 이루는 혈장의 부분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만 혈장을 추출하고 나머지는 버리게 되어 원하는 양만큼 추출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추출하는 주사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워 정밀하게 추출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간혹 혈장과 함께 다른 성분들도 추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혈액 중의 PRP(농축혈소판)성분은 매우 소량이기 때문에 혈액분리추출용기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서 층이 얇다. 그런데 종래의 혈액분리추출용기는 상부 뚜껑에서 주사기의 바늘을 아래로 삽입하는 방식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형태의 혈액분리추출용기에서는 PRP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자칫하면 주사기의 바늘이 PRP층을 벗어나서 혈장이나 적혈구 성분을 추출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PRP이외에 혈장이나 적혈구의 성분이 포함된 혈액을 사람의 피부에 시술하게 되면 통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혈액 중에서 PRP를 추출하는 과정은 혈액의 다른 성분들이 포함되지 않도록 PRP만을 정밀하게 추출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한편, 혈액분리추출용기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09651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혈액분리추출용기의 측방향의 중심부에 혈액추출부를 마련하여 주사기를 혈액분리추출용기에 측방향에서 침투시키고, 확대경을 통해 PRP층을 정밀하게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혈액분리추출용기로부터 혈액의 특정성분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추출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는 상부에 마개가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부수용부, 높이조절부가 하부에 결합되고 제1지지벽 및 제2지지벽을 포함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부수용부 및 상기 상부수용부 및 하부수용부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수용부 및 하부수용부에 연결되어 혈액의 특정성분을 추출하는 혈액추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수용부 및 하부수용부가 결합될 때 상기 혈액추출부가 압착 또는 변형되어 외측에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액추출부는 가요성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요성 튜브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벽 또는 제2지지벽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주사기를 거치하는 거치홈이 형성되며, 주사기의 바늘을 상기 혈액추출부에 침투시킬 때 상기 주사기의 바늘마개를 상기 거치홈에 통과시켜 상기 주사기의 바늘이 상기 혈액추출부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벽 및 제2지지벽의 상단은 수용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용부의 하부에는 상기 수용부결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결합부에는 후크돌기 결합부 또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에는 후크돌기 또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벽 또는 제2지지벽 중 어느 하나에는 확대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에는 혈액주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혈액주입구 및 공기배출구는 개폐식덮개를 통하여 밀폐 또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혈액분리추출용기는 지지벽에 형성된 거치홈에 주사기를 거치함으로써 혈액의 추출과정에서 주사기의 바늘을 한 번 꽂으면 빼낼 필요가 없으므로 주사기의 오염가능성이 적고 주사기를 반복적으로 빼고 꽂는 작업이 생략되어 혈액의 추출작업이 간단해진다.
둘째, 본 발명의 혈액분리추출용기는 지지벽에 확대경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혈액추출부에 위치하는 PRP층을 확대경을 통해 확대하여 보면서 주사기로 PRP를 추출하게 되므로 혈액의 다른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PRP만을 추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셋째, 단일 재질의 투명실리콘으로 형성된 혈액추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의 난반사 및 굴절이 현저히 감소하여 육안으로 PRP의 경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넷째, 상부수용부와 하부수용부를 결합하는 지지벽과 수용부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혈액분리추출용기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혈액추출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지지벽의 거치홈에 의해 주사기의 바늘이 정확하게 수평한 상태로 혈액추출부에 침투되기 때문에 PRP의 정밀한 추출이 가능하다.
여섯째, 상부수용부와 하부수용부가 분리된 구조인 상태에서 상호 결합할 때에 혈액추출부가 양자의 사이에 압착결합되기 때문에 혈액추출부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일곱째, 작업자의 손떨림 등의 동작의 실수를 방지하여 PRP의 정밀한 추출이 가능하다.
여덟째, 지지벽에 형성된 확대경에 의해 PRP의 경계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PRP의 정밀한 추출이 가능하다.
아홉째, 상부수용부 및 하부수용부 사이에 관구조 회전체의 혈액추출부를 구비시킴으로써 제작이 보다 용이함과 동시에 어느 방향에서도 주사기를 통해 혈액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열째, 혈액분리추출용기를 상부수용부, 하부수용부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혈액추출부로 구분함으로써, 혈액이 수용되는 상부수용부의 크기만을 변경하여 다양한 용량의 혈액을 수용할 수 있는 혈액분리추출용기를 제작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의 상부수용부와 하부수용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에서 주사기의 바늘을 혈액추출부의 중앙에 침투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에서 높이조절부의 조작에 따른 PRP의 상승을 도시한 단면도.
도6은 종래의 혈액추출용기와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의 광의 투과상태를 비교하여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종래의 혈액추출용기와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의 손상가능성을 비교하여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도1의 혈액분리추출용기를 주사기 바늘이 꽂혀진 상태에서 용기보관함에 보관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1의 혈액분리추출용기에서 주사기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와 종래의 용기에서 주사기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비교하여 도시한 개념도.
<부호의 설명>
1 혈액분리추출용기
10 마개
20 상부수용부
21 삽입부
28 상부병목부
30 하부수용부
32, 35 지지벽
36 거치홈
37 바늘거치홈
33 확대경
40 수용부결합부
50 혈액추출부
55 함몰부
60 높이조절부
70 주사기
80 용기보관함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의 상부수용부와 하부수용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에서 주사기의 바늘을 혈액추출부의 중앙에 침투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5는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에서 높이조절부의 조작에 따른 PRP의 상승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면에서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1)(이하 '혈액분리추출용기'라 함)는 마개(10), 상부수용부(20), 하부수용부(30), 혈액추출부(50) 및 높이조절부(60)를 포함한다.
마개(10)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1)의 최상부에 위치한 구성으로 상부수용부(20)에 결합되고 마개(10)에 형성된 혈액주입구(12) 및 공기배출구(13)는 개폐식덮개(11)을 통하여 밀폐 또는 개방된다. 주사기(70)로 채취한 혈액은 혈액주입구(12)로 주입된다. 이 때 공기배출구(13)는 혈액이 상부수용부(20)을 거쳐 하부수용부(30)으로 원활히 주입될 수 있도록 혈액분리추출용기(1)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상부수용부(20)는 혈액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위쪽은 마개(10)가 결합된다. 상부수용부(20)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서 외경이 감소한 삽입부(21)를 가지며 삽입부(21)의 하단에 상부병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병목부(28)의 하단은 후술할 혈액추출부(50)와 연결된다. 삽입부(21)의 외측 둘레에는 한 쌍의 후크돌기(22)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후크돌기(22)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23)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수용부(20) 및 하부수용부(30)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 인해, 혈액이 수용되는 상부수용부(20)의 크기만을 변경하여 다양한 용량의 혈액을 수용할 수 있는 혈액분리추출용기를 제작할 수 있다.
하부수용부(30)는 혈액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아래쪽은 높이조절부(60)가 결합되고 위쪽에는 하부병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병목부(31)는 후술할 혈액추출부(50)와 연결된다. 하부수용부(30)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지지벽(32, 35)이 형성되고 각각의 지지벽(32, 35)의 위쪽에는 원형으로 형성된 수용부결합부(40)가 형성된다. 수용부결합부(40)의 둘레 양측에는 전술한 후크돌기(22)가 결합되는 후크돌기 결합부(41)가 형성되고 전술한 가이드돌기(23)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벽(35)은 제2지지벽(32)과 제1지지벽(35)으로 구성되며 제2지지벽(32)에는 중앙에 확대경(33)이 형성되어 있고 제1지지벽(35)에는 주사기(70)의 바늘마개(71)를 거치하는 거치홈(36)과 주사기(70)의 바늘(75)을 거치하는 바늘거치홈(37)이 형성되어 있다. 거치홈(36)은 혈액추출부(50)에 주사기(70)의 바늘마개(71)가 거치되는 부분으로서 주사기(70)의 바늘마개(71)를 거치홈(36)을 통과시키면서 혈액추출부(50)에 주사기(70)의 바늘(75)을 꽂으면 주사기(70)가 거치홈(36)에 거치된다. 바늘거치홈(37)은 주사기(70)의 바늘(75)이 긴 경우에 주사기(70)의 바늘을 거치하는데 사용되고 거치홈(36)은 주사기(70) 바늘(75)이 짧은 경우에 주사기의 바늘마개를 거치하는데 사용된다. 거치홈(36)은 혈액추출부(50)의 상하방향의 중앙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확대경과 거치홈은 위치를 바꾸어 확대경은 제1지지벽에 거치홈은 제2지지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거치홈(36)은 추출하는 사람이 PRP(90)를 추출하는 도중에 PRP(90)의 위치를 상승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주사기(70)를 거치하는 용도로 사용됨으로써 작업자는 주사기(70)를 잡고 있던 손으로 높이조절부(60)를 조절할 수 있다. 즉, PRP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거치홈(36)이 없다면 작업자의 한손은 혈액분리추출용기(1)를 잡고 있고 다른 한손은 주사기(70)를 잡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높이조절부(6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혈액분리추출용기(1)로부터 주사기(70)를 뽑아서 안전한 곳에 놓고서 주사기(70)를 잡던 손으로 높이조절부(60)를 조작하여 혈액분리추출용기(1)에서 PRP(90)의 높이를 조절한 뒤 다시 주사기(70)를 혈액추출부(50)에 꽂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혈액분리추출용기(1)에 주사기(7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홈(36)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혈액분리추출용기(1)에 주사기(70)를 거치해 놓고 주사기(70)를 잡던 손으로 높이조절부(60)을 사용하여 PRP(90)의 위치를 상승시키면 되기 때문에 주사기(70)를 혈액분리추출용기(1)로부터 뽑아 분리하지 않고도 높이조절부(60)를 조작하여 PRP를 상승시킨 후 다시 PRP(90)의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혈액추출부(50)는 가요성 튜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원형의 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요성 튜브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공지의 가요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혈액추출부(50)는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의 사이를 연결한다. 혈액추출부(50)는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의 사이의 간격보다 큰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가 상호간에 결합될 때에 혈액추출부(50)가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의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결합된다. 혈액추출부(50)의 상단면(51) 및 하단면(52)은 안쪽으로 경사지게 테이퍼져 있다. 혈액추출부(50)의 내측은 관통된 구조로서 혈액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혈액추출부(50)가 상부수용부(20) 및 하부수용부(30)에 결합되면 혈액추출부(50)가 변형하면서 혈액추출부(50)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55)가 형성된다.
높이조절부(60)는 하부수용부(30)의 하단에 결합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60)는 조절볼트(61)에 나사결합된 패킹부(67)를 구비하며 조절볼트(61)를 회전시키면 패킹부(67)가 상승 또는 하강한다. 패킹부(67)는 하부수용부(3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부(67)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하부수용부(30)의 내부 체적이 변화된다. 높이조절부(60)의 구조를 살펴보면, 최하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혈액분리추출용기(1) 내부 액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볼트(61)가 위치한다. 조절볼트(61)에는 스냅링(65)이 안착할 수 있는 스냅링 안착부(63)가 형성되어 결합 시 스냅링(65)이 안착된다. 따라서 스냅링(65)은 수나사부(62)와 고정브라켓(64) 사이에 위치하여 수나사부(62)를 고정브라켓(64)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브라켓(64)은 하부수용부(30)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부수용부(30)에 고정됨에 따라 고정브라켓(64)은 조절볼트(61)가 회전할 때 조절볼트(61)를 위치변경 없이 제자리에서 회전만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조절볼트(61)의 수나사부(62)에 결합된 암나사부(66)는 그 둘레에 패킹부(67)가 결합되어 이들이 함께 움직인다. 고정브라켓(6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수나사부(62)가 회전하면 수나사부(62)는 움직이지 않고 암나사부(66)만 움직여 상승과 하강을 할 수 있다. 암나사부는 패킹부(67)와 밀착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패킹부(67)는 하부수용부(30)의 내측면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조절볼트(61)를 회전시키면 암나사부는 회전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승강만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조절볼트(61)를 회전시켜 암나사부(66)에 결합된 패킹부(67)로 하여금 하부수용부(30)의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적혈구 위에 위치한 PRP(90)를 혈액추출부(50)까지 그 위치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PRP(90)를 주사기(70)로 추출하는 것이다.
즉 처음 PRP 추출작업을 통해 PRP(90)가 추출되면 혈액추출부(50)에 대하여 PRP(9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데, 높이조절부(60)의 조작을 통해 패킹부(67)를 상승시키면, 패킹부(67)가 하부수용부(30)의 혈액을 위로 밀어 올림으로써 PRP가 상승하여 PRP는 혈액추출부(50)에 대하여 다시 수평인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의 결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수용부(30)와 상부수용부(20)를 가이드돌기(23)와 가이드홈(43)을 마주보게 정렬시킨 후 하부병목부(31)와 상부병목부(28)의 사이에 혈액추출부(50)를 위치시킨다. 이 때 혈액추출부(50)의 상단은 상부병목부(28)의 하단과 인접한 상태이고 혈액추출부(50)의 하단은 하부병목부(31)의 상단과 인접한 상태이다.
이후 상부수용부(20)를 아래로 눌러주면 상부수용부(20)의 삽입부(21)의 가이드돌기(23)가 수용부결합부(40)의 가이드홈(43)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부수용부(20)가 하강하여 삽입부(21)가 수용부결합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삽입부(21)의 후크돌기(22)가 수용부결합부(40)의 후크돌기 결합부(41)에 걸리면서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부병목부(28)와 하부병목부(3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던 혈액추출부(50)의 상단과 하단에 상부병목부(28)와 하부병목부(31)가 끼워지고 밀착되면서 혈액추출부(50)에 대한 상부병목부(28)와 하부병목부(31)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때 혈액추출부(50)의 상단면(51) 및 하단면(52)은 내측으로 테이퍼진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혈액추출부(50)의 상단 및 하단을 상부병목부(28)와 하부병목부(31)가 가압하면 병목부들이 혈액추출부(50)의 내측으로 유도되면서 정확한 결합을 유도하게 된다.
이 때 혈액추출부(50)의 높이는 상부수용부(20)의 병목부 하단과 하부수용부(30)의 병목부의 상단의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가 상호간에 결합을 하면 혈액추출부(50)는 수직방향으로 과도하게 압착되면서 상부수용부(20) 및 하부수용부(30)와 결합을 하게 된다. 이렇게 혈액추출부(50)가 과도하게 압착되면서 결합을 하게 되면 혈액추출부(50)의 상단 및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도 3에서 보여지듯이 혈액추출부(50)의 외측 둘레면은 상하방향으로의 중앙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함몰부(55)를 형성한다. 즉 혈액추출부(50)의 외측면에 중앙을 저점으로 하는 함몰부(55)가 형성됨에 따라 함몰부(55)가 주사기(70)의 바늘(75)을 상하방향 기준의 중앙으로 안내하게 되어 주사기(70)의 바늘(75)을 혈액추출부(50)의 중앙에 꽂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혈액추출부(50)가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의 사이에 압착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혈액추출부(50)와 상부수용부(20) 및 하부수용부(30)의 사이의 기밀성능이 우수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에서 제2지지벽의 거치홈을 통해 주사기를 혈액추출부에 접근시켜 주사기의 바늘이 혈액추출부에 침투하게 하고 제1지지벽의 확대경을 통해 혈액추출부를 확대하여 보면서 주사기로 PRP를 정밀하게 추출하도록 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는 제2지지벽(35)의 거치홈(36)을 통해 주사기(70)를 진입시켜 혈액추출부(50)에 주사기(70)의 바늘(75)을 꽂고 제1지지벽(32)에 형성된 확대경(33)을 보면서 PRP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는 제2지지벽(32)에 형성된 확대경(33)을 통해 혈액추출부(50)를 확대하여 볼 수 있으므로, 혈액의 성분들 중에 극히 미량을 차지하는 PRP층과 다른 혈액성분들의 사이의 경계선이 확대경(33)에 의해 확대된 상에 의해 육안으로도 명확하게 보여진다.
따라서 주사기(70)로 PRP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PRP층의 두께가 감소하더라도 확대경(33)을 통해 확대된 상을 보면서 PRP를 추출하는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사기의 바늘이 정확하게 PRP층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면서 추출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혈액의 다른 성분들이 추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PRP가 대부분 추출되어 매우 소량만 남아있는 경우에는 확대경(33)을 통해서 PRP를 확대하여 볼 수 있기 때문에 마지막 남은 PRP까지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를 이용한 PRP의 추출작업 과정에서 일정량 PRP를 추출한 후 추가적인 PRP의 추출을 위해 높이조절부를 조정하여 PRP의 위치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최초에 마개(10)를 통해 혈액분리추출용기(1)에 혈액을 주입한다. 마개(1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3)는 혈액 주입 시 혈액분리추출용기(1)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서 혈액의 주입을 용이하게 한다.
혈액을 주입한 후 혈액분리추출용기를 원심분리장치를 통해 회전시키면 혈액분리추출용기(1) 최하층에 적혈구가 모이고, 적혈구 위에는 백혈구 및 혈장이 일부 포함된 버피코트가 층을 형성하며, 버피코트의 위에는 혈장이 층을 이룬다. 또한, 혈장은 다시 PRP(90)가 아래쪽에, PPP가 위쪽으로 나뉘어 층을 이룬다. 이 때 PRP(90)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높이조절부(60)의 조절볼트(61)를 회전시켜 하부수용부(30)의 체적을 변화시킨다. 즉, 조절볼트(61)를 회전시킴에 따라 패킹부(67)를 상승시켜 PRP층을 혈액추출부(50)에 위치시킨 후 주사기(70)를 꽂아 PRP(90)를 추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혈액추출부(50)에 위치한 PRP(90)를 거의 모두 추출한 이후에는 하부수용부(30)에 위치한 PRP를 위로 다시 상승시켜주어야 한다. 이 때 혈액추출부(50)에 주사기(70) 바늘(75)을 꽂아둔 상태에서 지지벽(35)의 거치홈(36)에 주사기(70)의 바늘(75)이나 주사기(70)의 앞쪽 바늘마개(71) 부분을 거치시킨 후 주사기(70)에서 손을 떼고 그 손으로 높이조절부(60)의 조절볼트(61)를 회전시켜서 하부수용부(30)에 위치하는 PRP를 혈액추출부(50)의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그리고 다시 주사기(70)로 혈액추출부(50)에 위치한 PRP를 추출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수용부(30)의 지지벽(35)에 주사기(70) 거치홈(36)이 형성되어 있어서 혈액분리추출용기의 혈액추출부(50)에 주사기(70)의 바늘(75)을 한 번 꽂으면 추출을 모두 완료할 때까지 주사기(70)를 빼낼 필요가 없다.
혈액분리추출용기에서 혈액의 특정 부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일정량 혈액을 추출한 이후에는 조절볼트(61)를 돌려서 하부수용부(30)의 혈액을 위쪽으로 상승시켜 주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용기의 조절볼트를 돌려주기 위해서는 용기에 꽂아진 주사기를 뽑아서 트레이에 놓고서 한 손으로 용기를 잡고 한 손으로 조절볼트를 돌려주어야 했다. 조절볼트를 돌려준 이후에는 다시 용기에 주사기의 바늘을 꽂아서 다음의 추출작업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주사기의 바늘을 뽑아서 외부에 노출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사기의 바늘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작업을 하다가 피치 못할 사정으로 갑자기 다른 일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용기로부터 주사기를 뽑아놓고 용기와 주사기를 보관함이나 트레이에 보관해야 했다. 이후 다시 추출작업을 시작할 때에는 용기에 주사기의 바늘을 다시 꽂아서 추출작업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는 추출작업을 위해 한 번 주사기(70)의 바늘(75)을 꽂으면 추출작업이 모두 완료될 때까지 용기로부터 주사기(70)의 바늘(75)을 뽑아서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주사기(70)의 바늘(75)이나 주사기(70)의 바늘마개(71)를 지지벽(35)의 거치홈(36)에 거치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용기의 조절볼트(61)를 돌릴 때에도 거치홈(36)에 주사기(70)를 거치한 후 조절볼트(61)를 돌리면 되고, 추출작업을 하다가 급히 다른 일을 해야할 경우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70)를 거치홈(36)에 거치시킨 후 주사기(70)가 그대로 꽂힌 상태의 용기를 용기보관함(80)의 장착홈(82)에 그대로 꽂아놓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이렇게 용기보관함(80)에 혈액분리추출용기를 꽂아놓으면 혈액분리추출용기로부터 주사기(70)를 뽑아내지 않고도 혈액분리추출용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렇게 혈액분리추출용기로부터 PRP를 추출하는 작업의 도중에 혈액분리추출용기로부터 주사기(70)의 바늘(75)을 뽑아서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주사기(70)의 바늘(75)이 외부에 오염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한다. 특히 혈액에서 추출된 PRP는 다시 자신의 신체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널리 이용되기 때문에 추출된 PRP는 오염을 매우 조심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추출과정에서 주사기(70)의 바늘(75)을 용기로부터 뽑아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오염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추출작업을 중단하였다가 다시 추출작업을 시작하는 경우에도 용기로부터 주사기(70)의 바늘(75)을 뽑아서 분리하였다가 다시 용기에 꽂아서 작업을 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어서 추출작업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해진다.
용기에서 혈액 추출을 할 때에 작업자는 눈으로 혈액의 경계를 보면서 추출을 하기 때문에, 추출하는 지점의 혈액의 경계가 시각적으로 잘 보여질 필요가 있다. 즉 시인성이 좋아야 한다.
도6은 종래의 혈액추출용기와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의 광의 투과상태를 비교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는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의 사이의 혈액추출부(50)를 단일의 부품으로 구성하였다. 즉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의 사이의 연결되는 부분을 투명실리콘 재질의 혈액추출부(50)만으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용기의 혈액을 추출하는 지점이 단일한 투명실리콘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학적으로 난반사나 광의 굴절이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최소화 된다. 즉 투명실리콘 재질의 단일부품이기 때문에 광의 난반사나 광의 굴절이나 난반사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혈액을 추출하는 지점이 이종재질의 부품이 함께 결합된 경우에는 이종재질의 부품의 경계에서 난반사나 굴절이 크게 발생하여 혈액의 층별 경계부분의 시인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예를 들면 도 6의 a)와 같은 종래의 용기는 실리콘 재질을 인서트 사출하는 경우에는 실리콘재질(100)과 사출재료(101)의 재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 경계지점에서 광의 난반사나 광의 굴절을 크게 일으키게 되어 혈액의 경계부분의 시인성을 나쁘게하고 결과적으로 추출작업을 어렵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도 7은 종래의 혈액추출용기와 도1에 도시된 혈액분리추출용기의 손상가능성을 비교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사출방법으로 상부수용부와 하부수용부의 사이의 연결부분 전체를 실리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도 7의 a) 형태), 이러한 구조에서는 혈액분리추출용기의 경도 및 강성이 부족하여 연결부분의 파손가능성이 크고 그 결과 혈액의 누설가능성이 높아진다. 실리콘은 유연한 재질이기 때문에 강성이 약하여 외력에 저항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는 힘이 부족하다. 따라서 외력발생시 실리콘 연결부분이 꺾이거나 박리되어 손상이 발생하기 쉬워서 연결부분을 실리콘만으로 구성하는 것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결부분인 혈액추출부(50)를 순수한 실리콘재질로 형성한 것이 특징인데, 이는 혈액추출부(50)와는 별도로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의 상호 결합을 위한 지지벽(32, 35)과 수용부결합부(40)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결합부와 지지벽(32, 35)이 혈액분리추출용기에 가해지는 외력을 거의 모두 모두 부담하기 때문에 실리콘재질의 혈액추출부(50)는 외력이 직접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혈액추출부(50)를 순수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여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하면서도 용기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수용부(20) 및 하부수용부(30) 사이에 관구조 회전체의 혈액추출부(50)를 구비시킴으로써 제작이 보다 용이함과 동시에 어느 방향에서도 주사기를 꽂아 혈액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혈액추출부(50)를 투명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혈액을 원심분리하면 중간층은 백혈구와 혈소판으로 이뤄진 층인 buffy coat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버피코트층은 혈액중 아주 작은 미량이므로 육안으로 정밀하게 보면서 주사기(70)의 바늘(75)을 원하는 지점에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혈액추출부(50)를 투명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한 것이다.
도 9는 도1의 혈액분리추출용기에서 주사기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와 종래의 용기에서 주사기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비교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는 지지벽(35)의 거치홈(36)에 주사기(70)의 바늘마개(71)를 통과시킨 후 주사기(70)의 바늘(75)을 혈액추출부(50)의 외측면 중앙의 오목한 함몰부(33)의 중앙에 침투시키면 필연적으로 혈액추출부(50)에 대한 바늘(75)의 수평이 얻어진다. 혈액추출부(50)에 바늘(75)을 침투한 이후에는 주사기(70)의 바늘마개(71)를 거치홈(36)에서 이탈시키지 않는 한 혈액추출부(50)에 대한 바늘(75)의 수평 침습상태는 계속해서 유지된다.
이렇게 혈액추출부(50)에 대하여 바늘(75)이 수평으로 유지됨에 따라 PRP의 추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용기로부터 PRP를 추출할 때에는 용기를 수직하게 세워놓은 상태에서 PRP층의 상하 경계선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PRP의 추출을 하게 되는데, 이 때 바늘(75)이 혈액추출부(50)에 수평하게 삽입된 상태가 되어야만 PRP층의 성분만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만약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의 바늘이 혈액추출부에 경사지게 꽂아져 있는 경우에는 PRP층이 아닌 다른 성분들을 추출하게 될 위험이 있다. 그 이유는 혈액추출부에 일단 주사기의 바늘이 침투되면 바늘의 끝단의 정확한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혈액추출부(50)에 대하여 바늘(75)이 수평상태이면 바늘(75)의 끝단이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더라도 바늘(75)의 끝단의 위치가 혈액추출부(50)의 꽂아진 높이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바늘(75)의 끝단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추출부에 바늘이 경사지게 꽂아진 경우에는 육안으로 바늘 끝단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바늘의 끝단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혈액으로부터 정밀하게 PRP만을 추출하기가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가 각각 독립적인 구성으로서 상호간에 결합하여 용기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호 결합의 과정에서 혈액추출부(50)를 그 사이에 두고 결합을 시키면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혈액추출부(5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만약 상부수용부와 하부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라면 상부수용부와 하부수용부의 사이에 혈액추출부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고 기밀성을 증가시키기가 어렵다. 즉 혈액추출부(50)가 과도하게 압착된 상태로 결합될수록 혈액추출부(50)와 상부수용부(20)(또는 하부수용부(30))와의 기밀성능은 향상될 것이지만, 사람이 수작업으로 혈액추출부(50)를 이렇게 과도하게 압착시키면서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의 사이에 측방향에서 혈액추출부(50)를 진입시켜 결합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부수용부(20)와 하부수용부(30)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혈액추출부(50)가 과도하게 압착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혈액추출부(50)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과도한 압착에 따른 우수한 기밀성능까지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혈액추출부(50)의 양단이 내측으로 하향 테이퍼진 형상이기 때문에 수용부들의 단부가 혈액추출부(5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1)는 PRP(90)를 원하는 양만큼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다.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된 혈액의 성분 중 적혈구는 용기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그 위에는 버피코트와 혈장이 차례로 위치하는데, 혈장은 PRP(90)와 PPP로 분리된다. 종래의 혈액분리추출용기는 주사기의 바늘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는 수단이 없고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주사기의 바늘을 위치시키기 때문에 간혹 주사기의 바늘을 잘못 위치시키면 혈액중에서 PRP뿐만 아니라 적혈구까지 추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손의 떨림 등으로 인해 주사기 바늘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혈액분리추출용기(1)는 혈액추출부(50)의 측방향에서 거치홈(36)을 통해 주사기(70)를 수평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혈액추출부(50)의 중앙에 정확하게 바늘(75)을 꽂기가 용이하고, 주사기(70) 바늘(75)이 혈액추출부(50)에 꽂은 이후에는 거치홈(36)이 주사기(70)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지지수단이 없는 상태에서 손으로 주사기를 잡고 있는 상황과 비교하여 주사기(70) 바늘(75)을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혈액분리추출용기와 비교하여 주사기(70) 바늘(75)을 혈액추출부(50)의 의도한 지점에 정확하게 수평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그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PRP(90)를 원하는 양만큼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어느 방향에서도 주사기를 꽂아 혈액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혈액분리추출용기를 통해 혈액의 성분들중에서 PRP를 추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혈액성분들 중의 PRP성분을 추출하는데 사용이 국한되지 않고 혈액의 다른 특정성분을 추출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혈액의 PRP만을 추출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상부에 마개가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부수용부;
    높이조절부가 하부에 결합되고 제1지지벽 및 제2지지벽을 포함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부수용부; 및
    상기 상부수용부 및 상기 하부수용부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수용부 및 상기 하부수용부에 연결되어 혈액의 특정성분을 추출하는 혈액추출부;를 포함하는 혈액분리추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용부 및 상기 하부수용부가 결합될 때 상기 혈액추출부가 압착 또는 변형되어 외측에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분리추출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추출부는 가요성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분리추출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튜브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분리추출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벽 또는 상기 제2지지벽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주사기를 거치하는 거치홈이 형성되며,
    주사기의 바늘을 상기 혈액추출부에 침투시킬 때 상기 주사기의 바늘마개를 상기 거치홈에 통과시켜 주사기의 바늘이 상기 혈액추출부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분리추출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벽 및 상기 제2지지벽의 상단은 수용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용부의 하부에는 상기 수용부결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결합부는 후크돌기 결합부 또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후크돌기 또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분리추출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벽 또는 상기 제2지지벽 중 어느 하나에는 확대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분리추출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에는 혈액주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혈액주입구 및 상기 공기배출구는 개폐식덮개를 통하여 밀폐 또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분리추출용기.
PCT/KR2017/004666 2016-05-04 2017-05-02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WO201719198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266 2016-05-04
KR1020160055266A KR101646751B1 (ko) 2016-05-04 2016-05-04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1989A1 true WO2017191989A1 (ko) 2017-11-09

Family

ID=5671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666 WO2017191989A1 (ko) 2016-05-04 2017-05-02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6751B1 (ko)
WO (1) WO20171919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4045A (zh) * 2018-11-30 2020-06-09 瑞崴制造股份有限公司 包含干细胞的体液细胞分离及浓缩试剂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751B1 (ko) * 2016-05-04 2016-08-08 (주)조아테크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KR101892197B1 (ko) * 2018-06-20 2018-08-28 (주)웰포트 혈소판 추출장치
KR102230939B1 (ko) * 2019-01-03 2021-03-23 김형섭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KR102339809B1 (ko) * 2021-03-30 2021-12-16 (주)레보메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체액 추출용 바이오 키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814A (ja) * 2001-08-17 2003-02-25 Terumo Corp 血小板捕捉フィルターおよび血小板因子回収装置
JP2004344874A (ja) * 2002-11-19 2004-12-09 Sekisui Chem Co Ltd 血漿もしくは血清分離膜、及び血漿もしくは血清分離膜を用いたフィルタ装置
KR101031460B1 (ko) * 2011-02-21 2011-04-26 문상호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추출용 장치
JP2014079442A (ja) * 2012-10-17 2014-05-08 Jms Co Ltd 血液成分分離用装置及びその姿勢保持具
KR101463560B1 (ko) * 2012-11-30 2014-11-20 (주) 레보메드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KR101646751B1 (ko) * 2016-05-04 2016-08-08 (주)조아테크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022A (ja) * 1984-10-12 1986-05-12 株式会社 サト−ゴ−セ− 結束方法およびその工具
JP4431929B2 (ja) 2001-03-29 2010-03-17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液成分分離用血液バッグ及び血液分離方法
JP5860326B2 (ja) * 2012-03-30 2016-02-16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液成分分離用装置の姿勢保持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814A (ja) * 2001-08-17 2003-02-25 Terumo Corp 血小板捕捉フィルターおよび血小板因子回収装置
JP2004344874A (ja) * 2002-11-19 2004-12-09 Sekisui Chem Co Ltd 血漿もしくは血清分離膜、及び血漿もしくは血清分離膜を用いたフィルタ装置
KR101031460B1 (ko) * 2011-02-21 2011-04-26 문상호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추출용 장치
JP2014079442A (ja) * 2012-10-17 2014-05-08 Jms Co Ltd 血液成分分離用装置及びその姿勢保持具
KR101463560B1 (ko) * 2012-11-30 2014-11-20 (주) 레보메드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KR101646751B1 (ko) * 2016-05-04 2016-08-08 (주)조아테크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4045A (zh) * 2018-11-30 2020-06-09 瑞崴制造股份有限公司 包含干细胞的体液细胞分离及浓缩试剂盒
CN111254045B (zh) * 2018-11-30 2023-07-11 瑞崴制造股份有限公司 包含干细胞的体液细胞分离及浓缩试剂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751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1989A1 (ko)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US8241592B2 (en) Cell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1052927A2 (ko)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WO2011118907A2 (ko) 혈액성분 분리방법
US7488427B2 (en) Fat collection and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WO2013141436A1 (ko)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WO2014209012A1 (ko) 임플란트 보관용 앰플
BR112013019152B1 (pt) conector
WO2013133529A1 (ko) 성분 분리기
WO2013085151A1 (ko) 원심분리기용 용기
US20070131612A1 (en) Cell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80146917A1 (en) Fat Collection and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WO2019103313A2 (ko)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BR112019014436A2 (pt) Dispositivo recipiente para coletar, armazenar e processar sangue ou um composto de sangue
US20190025162A1 (en) Blood and Marrow Draw Processing Devices and Methods
WO2015174671A1 (ko) 성분 분리기
WO2016195126A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WO2014168311A1 (ko) 성분 분리기
CN216396710U (zh) 血液分离器具
KR200486998Y1 (ko) 특정성분 추출이 가능한 의료용 주사기 키트
WO2015111900A1 (ko) 다성분사출성형공법을 이용한 검체 채취 스왑 및 그 제조 방법
CN215140988U (zh) 一种封闭式离心套管装置
US202003609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entrifuging A Biologic
WO2013100514A1 (ko) 혈액 검사용 용기
CN217447805U (zh) 一种新型收集富血小板血浆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928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928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