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773A - 혈액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773A
KR20130119773A KR1020120042832A KR20120042832A KR20130119773A KR 20130119773 A KR20130119773 A KR 20130119773A KR 1020120042832 A KR1020120042832 A KR 1020120042832A KR 20120042832 A KR20120042832 A KR 20120042832A KR 20130119773 A KR20130119773 A KR 20130119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opening
blood
closing member
lu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352B1 (ko
Inventor
황석현
신봉근
Original Assignee
(주) 레보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레보메드 filed Critical (주) 레보메드
Priority to KR102012004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35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 혈액 분리 장치는 내부에 혈액을 수용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숫형 루어락팁을 하부에 갖는 제1 챔버; 내부에 혈액을 수용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암형 루어락팁을 상부에 가지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제2 챔버; 내측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암형 루어락팁이 상부에 마련되고 내측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숫형 루어락팁이 하부에 마련되어 제1 챔버 및 제2 챔버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3 챔버; 제2 챔버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기 위한 챔버 캡; 제3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향하여 수평이동 되면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을 포함하며, 제3 챔버는 혈액의 원심분리 후 분리된 혈액 성분을 수용하고 폐쇄수단에 의해 내부가 폐쇄된 후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와 분리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혈액을 대기에 노출시키지 않은 채 원심 분리가 가능하며, PRP가 최종적으로 저장되어 내부가 폐쇄된 챔버를 다른 챔버들과 분리한 후 주사기 실린더 및 니들을 챔버에 직접 결합하여 인체에 직접 주입할 수 있으며, 인체에 PRP를 주입하기 위하여 혈액 분리 장치 내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PRP를 인출해내는 과정이 생략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혈액 분리 장치{BLOOD SEPA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혈액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심 분리에 혈액을 분리하여 PRP를 추출하고 혈액 분리 장치 내에 저장된 PRP를 인체에 직접 주입할 수 있는 혈액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은 혈장, 혈소판, 및 혈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혈소판은 인체 조직의 재생과 활성화에 필요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혈액을 원심 분리하게 되면, 그 무게에 따라 혈장, 혈소판, 혈구로 분리되는데, 이렇게 분리된 혈소판은 혈장이 풍부한 혈장, 즉 다혈소판 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과 혈장이 풍부하지 않은 혈소판, 즉 빈혈소판 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으로 구성된다. 혈소판은 여러 성장인자들을 함유하고 있어서 상처 치유와 피부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P 내에는 이러한 혈소판들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다양한 성장 인자들이 주변 세포들의 증식을 촉진하고 콜라겐 등의 성분들을 풍부히 합성하도록 자극해 주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요통과 같은 통증치료, 탈모치료, 피부재생이나 화상치료와 같은 피부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PRP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RP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체혈된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혈구성분과 빈혈소판 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을 분리하고 이를 다시 원심 분리하여 PRP만을 적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혈액 분리 장치를 이용한 분리 방법은 채혈 후 원심 분리용기로의 이동과정, 필터를 포함한 분리용기로의 이동과정에서 혈액이 대기에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혈액을 대기에 노출시키지 않은 채 원심 분리가 가능하며, 인체에 PRP를 주입하기 위하여 혈액 분리 장치 내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PRP를 인출해내는 과정이 생략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혈액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에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는, 내부에 혈액을 수용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숫형 루어락팁을 하부에 갖는 제1 챔버; 내부에 혈액을 수용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암형 루어락팁을 상부에 가지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제2 챔버; 내측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암형 루어락팁이 상부에 마련되고 내측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숫형 루어락팁이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3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기 위한 챔버 캡; 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챔버는 혈액의 원심분리 후 분리된 혈액 성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와 분리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액 분리 장치는, 상기 제3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수평이동 되면서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챔버는 다양한 용량을 가지도록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쇄수단은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에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막대부로 이루어지는 제1 폐쇄부재 및 제2 폐쇄부재, 상기 제1 폐쇄부재 및 제2 폐쇄부재의 설치 및 이동을 위해 상기 제3 챔버에 구비되는 가이드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제3 챔버 내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막대부를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제1 폐쇄부재 및 제2 폐쇄부재가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가이드, 상기 이동가이드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폐쇄부재 및 제2 폐쇄부재가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될 때 상기 제1 폐쇄부재 및 제2 폐쇄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제한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에 의하면, 혈액을 대기에 노출시키지 않은 채 원심 분리가 가능하며, PRP가 최종적으로 저장되어 내부가 폐쇄된 챔버를 다른 챔버들과 분리한 후 주사기 실린더 및 니들을 챔버에 직접 결합하여 인체에 직접 주입할 수 있으며, 인체에 PRP를 주입하기 위하여 혈액 분리 장치 내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PRP를 인출해내는 과정이 생략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혈액 분리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의 챔버 캡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의 폐쇄부재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의 제3 챔버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혈액 분리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의 챔버 캡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챔버(10), 제2 챔버(20), 제3 챔버(30), 챔버 캡(40), 폐쇄수단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제1 챔버(1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혈액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챔버(10)의 상부는 밀폐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제1 챔버(10)의 하부 중앙에는 내측에 개구부(11a)를 형성하는 제1 숫형 루어락팁(1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숫형 루어락팁(11)의 외면에는 숫형 루어락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숫형 루어락팁(11)은 숫형 루어락나사부가 후술하는 제3 챔버(30)의 상부에 마련된 제2 암형 루어락팁(33)의 내면에 형성되는 암형 루어락나사부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제2 암형 루어락팁(33)과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제1 챔버(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혈액은 제1 숫형 루어락팁(11)이 갖는 개구부(11a) 및 후술하는 제3 챔버(30)의 제2 암형 루어락팁(33)의 제1 개구부(33a)를 통해 제3 챔버(30)의 내부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챔버(10)의 상면에는 혈액을 주입하기 위한 상면개구부(12)가 형성된다. 이 상면개구부(12)에는 개구부 캡(C)이 밀착 설치될 수 있다. 이 개구부 캡(C)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주사기 내의 혈액을 혈액 분리 장치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제1 챔버(10)의 일측면에는 측면개구부(13)가 형성된다. 측면개구부(13)에는 오염방지용 필터(14)가 밀착 설치되고, 필터(14) 상에 실링 링(O)이 고정 결합된다. 또한 실링 링(O) 상에 개구부 캡(C)이 마련된다.
이로써, 개구부 캡(C)을 열고 필터(14)를 통해 혈액 분리 장치 내에 공기 연통이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상면개구부(12)를 통해 혈액을 혈액 분리 장치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제2 챔버(2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하부에 후술하는 챔버 캡(40)을 결합하여 내부에 혈액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챔버(20)의 하부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챔버 캡(40)의 나사부(40a)와 결합하는 나사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챔버(20)의 상부는 혈액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챔버(20)의 상부 중앙에는 내측에 개구부(21a)를 형성하는 제1 암형 루어락팁(2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암형 루어락팁(21)의 내면에는 암형 루어락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암형 루어락팁(21)은 암형 루어락나사부가 후술하는 제3 챔버(3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 숫형 루어락팁(34)의 내면에 형성되는 숫형 루어락나사부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제2 숫형 루어락팁(34)과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제2 챔버(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혈액은 제1 암형 루어락팁(21)이 갖는 개구부(21a) 및 후술하는 제3 챔버(30)의 제2 숫형 루어락팁(34)의 제2 개구부(34a)를 통해 제3 챔버(30)의 내부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챔버(3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혈액을 수용할 수 있다. 제3 챔버(30)는 하부몸체(32)와, 하부몸체(32)에 나사결합되는 상부몸체(31)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몸체(31)의 내면 하부에는 나사부(31a)가 마련되고, 외면 상부 중앙에는 전술한 제1 챔버(10)의 제1 숫형 루어락팁(11)과 결합하는 내측에 제1 개구부(33a)를 형성하는 제2 암형 루어락팁(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암형 루어락팁(33)의 내면에는 전술한 제1 챔버(10)의 제1 숫형 루어락팁(11) 외면의 숫형 루어락나사부와 결합되는 암형 루어락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몸체(32)의 외면 상부에는 상부몸체(31)의 내면 하부에 마련된 나사부(31a)와 회전 결합하는 나사부(32a)가 마련되고, 외면 하부 중앙에는 전술한 제2 챔버(20)의 제1 암형 루어락팁(21)과 결합하는 내측에 제2 개구부(34a)를 형성하는 제2 숫형 루어락팁(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숫형 루어락팁(34)의 외면에는 전술한 제2 챔버(20)의 제1 암형 루어락팁(21) 내면의 암형 루어락나사부와 결합되는 돌출된 숫형 루어락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의 사이에는 실링 링(O)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실링 링(O)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부재로서, 이에 의해 상부몸체(31) 및 하부몸체(32)의 사이로 제2 챔버(20) 내의 혈액이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몸체(31) 및 하부몸체(32)가 결합된 상태의 제3 챔버(30)는 다양한 용량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2cc의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혈액 성분의 추출양에 따라 1cc, 3cc, 4cc의 용량을 갖는 것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혈액 성분의 농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3 챔버(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모양의 일체형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부몸체(31)의 하부 일측 및 하부몸체(32)의 상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폐쇄수단의 설치를 위한 삽입구멍(31b, 3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구멍(31b, 32b)은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의 막대부(54, 54')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져서 막대부(54, 54')를 내측에 수용한다. 삽입구멍(31b, 32b)에 폐쇄수단이 설치되는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폐쇄수단은 제3 챔버(30)의 내부에 설치된다. 폐쇄수단은 제3 챔버(30)의 내부 상, 하측에 설치되는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와,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의 설치 및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수단(60)을 포함한다.
제1 폐쇄부재(50)는 제1 개구부(33a)에 근접하도록 제1 개구부(33a)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2 폐쇄부재(50')는 제2 개구부(34a)에 근접하도록 제2 개구부(34a)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는 각각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를 향해 수평이동 되어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를 폐쇄한다.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는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가 갖는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원판 형태를 갖는 마개부(51, 51')와, 마개부(51, 51')의 일측, 즉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어서 연장되는 막대부(54, 54')로 이루어져 있다.
마개부(51, 51')는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가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를 향해 수평이동되면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를 폐쇄한다.
막대부(54, 54')는 상면에 제3 챔버(30)의 삽입구멍(31b, 32b) 내면 상측 및 가이드수단(60)의 이동가이드(61)의 내면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홈(63a) 및 제2 체결홈(63b)에 체결되는 제1 이탈방지돌기(52a, 52a') 및 제2 이탈방지돌기(53a, 53a')가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이탈방지돌기(52a, 52a') 및 제2 이탈방지돌기(53a, 53a'), 제1 체결홈(63a) 및 제2 체결홈(63b)의 체결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막대부(54, 54')는 마개부(51, 51')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제1 부재(52, 52')와, 제1 부재(52, 52')에 결합되는 제2 부재(53, 5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재(52, 52') 및 제2 부재(53, 53')의 결합을 위하여 제1 부재(52, 52')의 끝단에는 일측으로 걸림편을 갖는 결합후크(52b)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부재(53, 53')의 선단에는 일측으로 걸림턱을 갖는 체결구멍(5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막대부(54, 54')는 상호 결합되는 제1 부재(52, 52') 및 제2 부재(53, 53')로 구성되어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를 제3 챔버(3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를 제3 챔버(30)의 내부에 설치할 때 제1 부재(52, 52') 및 제2 부재(53, 53')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부재(53, 53')를 후술하는 가이드수단(60)의 이동가이드(61) 및 삽입구멍(31b, 32b) 내에 먼저 삽입한 후 제1 부재(52, 52')를 제3 챔버(30)의 내부에서 제2 부재(53, 53')와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협소한 제3 챔버(30)의 내부 공간에서 후술하는 가이드수단(60)의 간섭없이 제3 챔버(30)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2 부재(53, 53')는 끝단측이 제3 챔버(30)의 삽입구멍(31b, 32b)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전술한 제1 이탈방지돌기(52a, 52a')이 형성된다. 제1 부재(52, 52')의 상면에는 전술한 제2 이탈방지돌기(53a, 53a')가 형성된다. 제2 부재(53, 53')는 일측으로 절첩부(53c, 53c')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2 부재(53, 53')의 끝단측 상면에는 양면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3 챔버(30)의 삽입구멍(31b, 32b) 외측으로 노출되는 절첩부(53c, 53c')의 후방을 제3 챔버(30)의 외측에서 절첩부(53c, 53c')를 기준으로 접어 올려서 제3 챔버(30)의 외면에 양면테이프로 부착시킬 수 있다.
가이드수단(60)은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를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가이드(61)와,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리브(62)를 포함한다.
이동가이드(61)는 제3 챔버(30)의 내부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된다. 즉, 제3 챔버(30)의 상부몸체(31) 및 하부몸체(32)의 내부에서 삽입구멍(31b, 32b)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삽입구멍(31b, 32b)와 인접하는 내벽으로부터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가이드(61)는 단면 형상이 'ㄱ'자 형태를 갖는 제1 가이드부재(61a) 및 제2 가이드부재(61b)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고, 제1 가이드부재(61a) 및 제2 가이드부재(61b)가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의 막대부(54, 54')의 양측면부와 접하여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를 가이드한다.
이동제한리브(62)는 제3 챔버(30)의 내부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된다. 즉, 제3 챔버(30)의 상부몸체(31) 및 하부몸체(32)의 내부에서 이동가이드(61)와 마주하도록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동제한리브(62)는 단면 형상이 'ㄱ'자 형태를 가지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제한리브(62)는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가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를 폐쇄하기 위하여 수평이동 될 때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의 마개부(51, 51')가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의 상부에 정위치시킨다.
또한, 가이드수단(60)은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가 이동가이드(61) 및 제3 챔버(30)의 삽입구멍(31b, 32b) 내에서 자유 이동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 체결홈(63a) 및 제2 체결홈(63b)을 포함한다.
제1 체결홈(63a)은 제3 챔버(30)의 삽입구멍(31b, 32b)의 내면 상측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의 막대부(54, 54')의 제1 이탈방지돌기(52a, 52a')과 체결되어 막대부(54, 54')의 제2 부재(53, 53')를 지지한다.
제2 체결홈(63b)은 이동가이드(61)의 제1 가이드부재(61a) 및 제2 가이드부재(61a)의 내면 상측에서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와 근접한 일측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의 막대부(54, 54')의 제2 이탈방지돌기(53a, 53a')와 체결되어 막대부(54, 54')의 제1 부재(52, 52')를 지지한다.
챔버 캡(40)은 제2 챔버(2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2 챔버(20)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챔버 캡(40)은 내면 상부에 나사부(40a)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나사부(40a)는 전술한 제2 챔버(20)에 형성된 나사부(21b)과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제2 챔버(20)에 대하여 챔버 캡(40)을 회전함으로써, 챔버 캡(40)은 도 4와 같이 제2 챔버(2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챔버(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혈액의 양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제2 챔버(20)와 챔버 캡(40)의 사이에는 실링 링(O)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실링 링(O)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부재로서, 이에 의해 제2 챔버(20)와 챔버 캡(40)의 사이로 제2 챔버(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혈액이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혈액 분리 장치는, 혈액의 원심 분리가 완료된 후 분리된 혈액 성분을 제3 챔버(30) 내부에 수용시키고,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로 제3 챔버(30)의 내부 공간을 폐쇄한 후 제3 챔버(30)를 제1 챔버(10) 및 제2 챔버(20)와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챔버(10), 제2 챔버(20), 제3 챔버(30) 중 하나 이상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혈액의 양이나 분리 상태를 손쉽게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제2 챔버(20) 및 제3 챔버(30)에는 눈금선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2 챔버(20)의 내부 공간의 부피를 정확히 측정하거나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3 챔버(30)의 내부에 수용되는 분리된 혈액 성분 각각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의 막대부(54, 54')가 제1 부재(52, 52') 및 제2 부재(53, 53')로 구성되어 상호 분리 및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막대부(54, 54') 전체가 마개부(51, 51')에서 일체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막대부(54, 54')를 수용하여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61)의 길이는 막대부(54, 54')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변경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의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부각되도록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혈액 원심 분리를 행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의 폐쇄부재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장치의 제3 챔버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먼저, 채혈한 혈액을 제1 챔버(10)의 상면개구부(12)를 통해 혈액 분리 장치 내부로 주입한다. 이때, 제1 챔버(10)의 개구부(11a), 제2 챔버(20)의 개구부(21a), 제3 챔버(30)의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는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혈액 분리 장치 내부로 채혈한 혈액이 완전히 주입되면 원심 분리를 실시한다. 원심 분리가 완료되면 제2 챔버(20) 내에는 하부에서부터 혈구, 다혈소판 혈장(PRP), 빈혈소판 혈장(PPP)이 층을 나누어 형성되는 형태로 혈액 성분이 분리된다.
이와 같이 혈액 성분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2 챔버(2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챔버 캡(40)을 회전시켜서 제2 챔버(20) 내부 공간의 부피를 조절한다. 이때, 제2 챔버(20) 내부 공간의 부피가 점차 줄어들도록 챔버 캡(40)을 회전시키면 제2 챔버(20) 내의 혈구, 다혈소판 혈장(PRP), 빈혈소판 혈장(PPP)이 점차 상측, 즉 제3 챔버(30)측으로 이동한다.
제2 챔버(20)의 부피조절은 제2 챔버(20) 내부 공간의 빈혈소판 혈장(PPP) 및 다혈소판 혈장(PRP)이 제3 챔버(30) 내부로 이동될 때까지 챔버 캡(40)을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빈혈소판 혈장(PPP) 및 다혈소판 혈장(PRP)은 제3 챔버(30)의 제2 개구부(34a)를 통해 제3 챔버(3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제3 챔버(30)로 이동된 빈혈소판 혈장(PPP)는 상측에 위치하며, 그 하측에 다혈소판 혈장(PRP)이 위치된다.
이와 같이 제3 챔버(30) 내에 다혈소판 혈장(PPP) 및 다혈소판 혈장(PRP)이 수용되면 복수의 폐쇄부재(50)로 제3 챔버(30)의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를 닫는다.
즉,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의 막대부(54, 54') 중 삽입구멍(31b, 32b)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3 챔버(3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2 부재(53, 53')의 일부를 제3 챔버(30)의 외면에서 떼어낸 후 도 5와 같이 제1 부재(52, 52')와 수평이 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2 부재(53, 53')를 제3 챔버(30)의 내측을 향하여 밀면 제1 이탈방지돌기(52a, 52a') 및 제2 이탈방지돌기(53a, 53a')가 제1 체결홈(63a) 및 제2 체결홈(63b)으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이동가이드(61)에 의해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측으로 가이드되면서 전진된다.
전진되는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는 마개부(51, 51')가 이동제한리브(62)의 내측으로 진입되면서 이동제한리브(62)에 의해 전진 과정이 멈추고, 이에 의해 도 6과 같이 마개부(51, 51')는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의 상측에 정위치되어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를 닫는다. 이때, 제2 부재(53, 53') 상면의 제1 이탈방지돌기(52a, 52a')는 제2 체결홈(63b)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제3 챔버(30)의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가 폐쇄되면 제3 챔버(30) 내에 수용된 혈액 성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로 제3 챔버(30)를 제1 챔버(10) 및 제2 챔버(20)와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3 챔버(30)가 제1 챔버(10) 및 제2 챔버(20)와 분리되면 도 7과 같이 제3 챔버(30)의 제2 숫형 루어락팁(34)에 암형 루어락팁을 갖는 주사기 실린더(70)를 결합하고, 제3 챔버(30)의 제2 암형 루어락팁(33)에는 연결부의 내측에 숫형 루어락나사부를 갖는 니들(80)을 결합하고, 제1 폐쇄부재(50) 및 제2 폐쇄부재(50')를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로부터 이격시켜서 폐쇄된 제1 개구부(33a) 및 제2 개구부(34a)를 오픈하여 제3 챔버(30) 내에 수용된 다혈소판 혈장(PRP)을 인체에 직접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챔버(30) 내에 수용되는 다혈소판 혈장(PRP)을 제3 챔버(30) 내에서 추출하는 과정 없이 제3 챔버(30) 내에 수용된 다혈소판 혈장(PRP)을 인체에 직접 주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챔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8과 같이 제3 챔버(130)가 원통 형상의 한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3 챔버(130)는 최초 제작시 동일한 직경을 갖는 두 몸체로 제작한 후 그 몸체들 내부에 밀폐부재(150, 150')들을 설치한 후 초음파 융착의 방법으로 두 몸체를 융착하여 한 몸체로 구성할 수 있다.
10 : 제1 챔버 11 : 제1 숫형 루어락팁
11a : 개구부 20 : 제2 챔버
21 : 제1 암형 루어락팁 21a : 개구부
21b : 나사부 30, 130 : 제3 챔버
31 : 상부몸체 31a : 나사부
32 : 하부몸체 32a : 나사부
31b, 32b : 삽입구멍 33 : 제2 암형 루어락팁
33a : 제1 개구부 34 : 제2 숫형 루어락팁
34a : 제2 개구부 40 : 챔버 캡
40a : 나사부 50 : 제1 폐쇄부재
50' : 제2 폐쇄부재 51, 51' : 마개부
54, 54' : 막대부 52, 52' : 제1 부재
52a, 52a' : 제1 이탈방지돌기 52b, 52b' : 결합후크
53, 53' : 제2 부재 53a, 53a' : 제2 이탈방지돌기
53b : 체결구멍 53c, 53c' : 절첩부
60 : 가이드수단 61 : 이동가이드
61a : 제1 가이드부재 61b : 제2 가이드부재
62 : 이동제한리브 63a : 제1 체결홈
63b : 제2 체결홈 70 : 주사기 실린더
80 : 니들

Claims (3)

  1. 내부에 혈액을 수용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숫형 루어락팁을 하부에 갖는 제1 챔버;
    내부에 혈액을 수용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암형 루어락팁을 상부에 가지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제2 챔버;
    내측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암형 루어락팁이 상부에 마련되고 내측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숫형 루어락팁이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3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기 위한 챔버 캡;
    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챔버는 혈액의 원심분리 후 분리된 혈액 성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와 분리 사용이 가능한, 혈액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수평이동 되면서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을 더 포함하는, 혈액 분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챔버는 다양한 용량을 가지도록 교체될 수 있는, 혈액 분리 장치.
KR1020120042832A 2012-04-24 2012-04-24 혈액 분리 장치 KR101473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32A KR101473352B1 (ko) 2012-04-24 2012-04-24 혈액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32A KR101473352B1 (ko) 2012-04-24 2012-04-24 혈액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773A true KR20130119773A (ko) 2013-11-01
KR101473352B1 KR101473352B1 (ko) 2014-12-16

Family

ID=4985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832A KR101473352B1 (ko) 2012-04-24 2012-04-24 혈액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255B1 (ko) 2015-03-24 2016-03-08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소판 농축 혈장의 분리 장치
US11224368B2 (en) * 2018-11-30 2022-01-18 Rev-Med, Inc. Kit for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body fluid cel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197B1 (ko) * 2018-06-20 2018-08-28 (주)웰포트 혈소판 추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2994B2 (ja) 2002-09-13 2008-05-28 ニプロ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キット
KR101110576B1 (ko) 2009-03-16 2012-02-15 주식회사 메디사랑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KR101128087B1 (ko) * 2010-11-12 2012-03-22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255B1 (ko) 2015-03-24 2016-03-08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소판 농축 혈장의 분리 장치
US11224368B2 (en) * 2018-11-30 2022-01-18 Rev-Med, Inc. Kit for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body fluid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352B1 (ko)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028B1 (ko) 혈액 분리 장치
KR101110576B1 (ko)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KR101128163B1 (ko)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US9757506B2 (en) Integrated kit for separating blood and concentrating PRP and method for extracting PRP using the same
EP2495302B1 (en) Bio-device for extracting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mesenchymal stem cells in peripheral blood
KR20110009651A (ko) Prp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용기, 혈액농축용기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US20130011311A1 (en) Blood Component Separator
US20050261620A1 (en) Syringe and a method for its utilization in analysis
KR101179548B1 (ko) 성분 분리기
KR20130119773A (ko) 혈액 분리 장치
AU2013312546A1 (en) Centrifuge tube structure
BR112017025837B1 (pt) Dispositivo para a coleta de sangue ou de um composto sanguíneo
CN106139290A (zh) 一体化自体富血小板血浆制备用套装
KR101666451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KR20130123727A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KR101333789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20110012312A (ko) 혈액 원심 분리형 주사기
KR101463560B1 (ko) 골수액 또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KR101250353B1 (ko) 혈소판 축출 키트
KR101267379B1 (ko) 혈장 추출 키트
KR101416623B1 (ko) Prp 혈액 성분 분리를 위한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KR101493830B1 (ko) 혈액성분 분리장치
JP7388621B2 (ja) 幹細胞を含む体液抽出用バイオキット
KR101313048B1 (ko) 성분 분리기
WO2013055070A3 (ko) 혈장 추출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