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747B1 -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747B1
KR102365747B1 KR1020190172784A KR20190172784A KR102365747B1 KR 102365747 B1 KR102365747 B1 KR 102365747B1 KR 1020190172784 A KR1020190172784 A KR 1020190172784A KR 20190172784 A KR20190172784 A KR 20190172784A KR 102365747 B1 KR102365747 B1 KR 102365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material
source material
extraction
targe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808A (ko
Inventor
김홍
Original Assignee
(주)글로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로핀 filed Critical (주)글로핀
Priority to KR1020190172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747B1/ko
Priority to US17/783,513 priority patent/US20230012405A1/en
Priority to PCT/KR2020/018872 priority patent/WO2021133024A2/ko
Priority to EP20907807.0A priority patent/EP4059612A4/en
Publication of KR2021008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17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01L2300/0841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9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78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6Labware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fluids
    • B01L3/563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 B01L3/5635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connecting two containers face to face, e.g. comprising a fil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1)에 있어서,
일정량의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상기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의 단부에 결합, 고정되고,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함께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되는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구성되어,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소스물질채집수단(100) 및 목표물질추출수단(200) 내부에 층을 형성하여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용이하게 분리,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2)에 있어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소스물질채집단계(S100); 및 상기 소스물질채집단계(S100) 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이용하여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하는 목표물질추출단계(S200);로 구성되되,
소스물질채집단계(S100)는,
대상자로부터 소스물질을 채집할 수 있도록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준비하는 채집수단준비단계(S110);와, 대상자로부터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이용하여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소스물질충전단계(S120);로 구성되고,
목표물질추출단계(S200)는,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준비하는 추출수단준비단계(S210);와, 대상자로부터 채집한 소스물질이 충전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결합하는 추출수단결합단계(S220);와,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에 압력을 가하여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결합된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충전된 소스물질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이동시키는 원심분리준비단계(S230);와,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되기 전,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의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로부터 플런저요소(122)를 분리하는 플런저요소분리단계(S240);와,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가 분리된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하여, 소스물질을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S250);와,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층으로 나뉘어진 소스물질이 충전된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의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플런저요소(122)를 결합, 고정하는 플런저요소결합단계(S260);와,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결합, 고정된 플런저요소(122)에 압력을 가하여 전진시켜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 충전된 층이 분리된 소스물질의 일부를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로 주입시키는 제 1차목표물질추출단계(S270);와, 상기 제 1차목표물질추출단계(S270) 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부터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분리하고, 목표물질추출수단(200)에 목표물질이 충전될 주사기몸체(SY)를 결합, 고정하는 주사기몸체결합단계(S280);와, 재차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결합, 고정된 플런저요소(122)에 압력을 가하여 전진시켜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 잔여된 층이 분리된 소스물질의 일부를 주사기몸체(SY)로 주입시키는 제 2차목표물질추출단계(S290); 및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부터 주사기몸체(SY)를 분리하고 목표물질 추출작업을 마무리하는 목표물질준비마무리단계(S300);로 구성되어,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하는 추출작업에 있어, 용이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목표물질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환경 또한 개선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Kit for centrifugal separation and method for extractioning target material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층으로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되, 목표물질의 추출작업의 단순화로 인해 추출작업의 용이성 및 효율성이 제고되도록 하는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2013년 5월 31일에 출원하여, 2015년 9월 24일에 등록된 '원심분리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의 개량발명으로서,
전혈 또는 골수 등의 소스물질(source material)을 원심 분리하여, 소스물질로부터 특정 목표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을 제공하되,
종래의 추출키트에서 발생되었던 아쉬운 점 및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목표물질의 추출작업의 용이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발명이다.(간략하게는, 본 발명으로 목표물질의 추출작업이 단순화된다.)
이때, 본 발명과 대비하여, 종래의 추출키트에 대한 아쉬운 점 및 문제점이라 함은,
1. 원심 분리 후, 원심분리튜브 내에는 적혈구(red blood cell)만 포집되므로,
2. 주사기 내부에 잔여된 적혈구(red blood cell)를 모두 바닥으로 적하시켜야 한다는 점,
3. 적혈구(red blood cell)를 모두 적하시킨 후, 주사기를 다시 원심 분리해야 하며,
4. 최종 목표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주삿바늘(needle)을 이용하여 별도의 주사기로 최종 목표물질 이외의 분리된 물질을 이동시켜야 하고,
5. 상기와 같은 추출작업을 위해 별도의 도구(재차 원심 분리를 위해 주사기를 기밀하는 캡, 최종 목표물질을 별도의 주사기로 이동시키기 위해 주사기와 주사기를 연결하는 주사기 커플러 등)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즉, 간략하게 요약하면,
최종 목표물질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두 번의 원심 분리가 필요했고,
적혈구를 적하시키는 드롭핑(dropping) 작업과, 목표물질 이외에 원심 분리에 의해 분리된 물질을 주삿바늘(needle)을 이용하여 채집하는 니들링(needling) 작업이 필요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대비하여, 목표물질 추출작업에 있어,
비교적 긴 작업시간이 필요하였으며,
드롭핑(dropping)으로 인해 미관상, 환경상 작업이 청결하지 못하였고,
전체적인 추출작업이 어수선하고, 작업순서가 복잡하고, 여러 번의 기밀, 원심 분리, 드롭핑(dropping)으로 인해 목표물질이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추출키트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목표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작업 순서를 간략화하고, 더욱 확실하고 용이하게 목표물질을 획득하기 위한 개량된 목표물질 추출키트가 필요하며, 본 발명은 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원심분리기형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먼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7190호의 "원심분리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소스물질을 수용하고, 원심분리를 통해 구분된 목표물질을 채집하는 주사기, 원심분리를 통해 구분된 목표물질 이외의 물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주사기의 장착부에 장착되는 원심분리튜브를 구비하는 원심분리키트에 있어서, 주사기는 장착부에 외경을 상부보다 하부의 외경이 작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고, 원심분리튜브는 장착부에서 걸림턱을 기준으로 외경이 작은 부위가 삽입되어 밀착하면서 수용공간과 통하도록 형성된 체결홀 및 결합홀에서 연장되면서 체결홀보다 더 큰 내경을 갖고, 걸림턱이 저면에 걸려 장착부에서 걸림턱을 기준으로 외경이 큰 부위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혈액 또는 골수 등의 소스물질로부터 혈소판 또는 줄기세포 등을 추출하는 원심분리 및 채집과정에서 채집 및 추출을 위한 단계를 간략히 하여 작업에 소용되는 시간을 줄임과 더불어 추출한 목표물질을 즉시 시술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이 감소되도록 하는, 원심분리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상술한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임.)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9877호의 "원심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이하, '선행기술 2'라 함.)으로서,
전혈이나 체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 튜브에 주사기를 설치하여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되는 목표 물질(혈소판 농축혈장이나 줄기세포)을 주사기에 직접 채집함으로써 목표 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원심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분야로서, 본 발명과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에 있어 상당 유사, 동일한 기술적 개념이 있지만, 이는, 응당, 동일한 기술분야라는 점에서 추출키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이다.
게다가,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본 출원인이 각각 2013년, 2009년에 출원한 기술로, 기술적 특징이 상당 유사, 동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를 바탕으로 추출키트와 더불어, 추출키트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을 더욱 단순화하되, 목표물질을 더욱 완벽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관련 기술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더 나은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7190호 (2015.09.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9877호 (2011.09.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추출키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출키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에 있어서,
일정량의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소스물질채집수단;
상기 소스물질채집수단의 단부에 결합, 고정되고, 소스물질채집수단과 함께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되는 목표물질추출수단;으로 구성되어,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소스물질채집수단 및 목표물질추출수단 내부에 층을 형성하여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용이하게 분리,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소스물질채집수단은,
일정량의 소스물질이 충전되는 소스물질채집배럴부;
상기 소스물질채집배럴부에 내삽되어, 전, 후진 이동되고, 전, 후진 이동으로 소스물질채집배럴부 내부에 일정량의 소스물질이 충전되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로 구성되되,
소스물질채집배럴부는,
일정량의 소스물질이 저장되는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
상기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일부가 목표물질추출수단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목표물질추출수단결합모듈;로 구성되고,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는,
소스물질채집배럴부 내부를 밀폐하여, 기밀을 생성시키는 제 1기밀패킹요소;
상기 제 1기밀패킹요소를 소스물질채집배럴부 내부에서 전, 후진 이동시키는 플런저요소;
단부는 상기 제 1기밀패킹요소가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플런저요소가 결합, 고정되어, 플런저요소의 전, 후진 이동에 따라 제 1기밀패킹요소가 동시에 전, 후진 이동되도록 하는 제 1기밀패킹-플런저커넥터요소;로 구성되고,
목표물질추출수단결합모듈은,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로부터 일정길이 연장, 돌출되고, 목표물질추출수단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목표물질추출수단과 결합되도록 하는 소스물질통로돌출요소;
상기 소스물질통로돌출요소와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 사이에 위치하되, 소스물질통로돌출요소의 외경보다 직경을 크게 하여,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턱요소;
상기 소스물질통로돌출요소를 관통하여,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과 연결되어,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로 소스물질이 유입되도록 하는 소스물질유동통로요소;로 구성되어,
소스물질을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도록 하고,
목표물질추출수단은,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분리된 목표물질이 포함된 소스물질이 수집되는 목표물질수용배럴부;
상기 목표물질수용배럴부에 내삽되어, 기밀이 형성되도록 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전, 후진 이동되어, 목표물질수용배럴부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키는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로 구성되되,
목표물질수용배럴부는,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분리된 목표물질이 포함된 소스물질이 저장되는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
상기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소스물질채집수단의 단부가 내삽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소스물질채집수단결합모듈;로 구성되고,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는,
목표물질수용배럴부 내부를 밀폐하여, 기밀을 생성시키는 제 2기밀패킹요소;
단부는 상기 제 2기밀패킹요소가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플런저요소가 결합, 고정되어, 플런저요소의 전, 후진 이동에 따라 제 2기밀패킹요소가 동시에 전, 후진 이동되도록 하는 제 2기밀패킹-플런저커넥터요소;로 구성되고,
소스물질채집수단결합모듈은,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로부터 일정길이 연장, 돌출되어, 소스물질채집수단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 고정되도록 하여, 소스물질채집수단과 결합되도록 하는 목표물질통로돌출요소;
상기 목표물질통로돌출요소를 관통하여,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과 연결되어,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에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물질유동통로요소;
소스물질채집수단의 단부가 내삽되는 상기 목표물질유동통로요소의 단부에 형성되되, 목표물질유동통로요소의 외경보다 직경을 크게 하여, 소스물질채집수단이 분리되었을 시에, 표면장력에 의해 소스물질 또는 목표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방지공간요소;로 구성되어,
목표물질수용배럴부에 위치한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은,
소스물질채집수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소스물질채집단계;
상기 소스물질채집단계 후, 목표물질추출수단을 이용하여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하는 목표물질추출단계;로 구성되되,
소스물질채집단계는,
대상자로부터 소스물질을 채집할 수 있도록 소스물질채집수단을 준비하는 채집수단준비단계;
대상자로부터 소스물질채집수단을 이용하여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소스물질충전단계;로 구성되고,
목표물질추출단계는,
목표물질추출수단을 준비하는 추출수단준비단계;
대상자로부터 채집한 소스물질이 충전된 소스물질채집수단에 목표물질추출수단을 결합하는 추출수단결합단계;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에 압력을 가하여 소스물질채집수단에 결합된 목표물질추출수단으로, 소스물질채집수단에 충전된 소스물질을 목표물질추출수단으로 이동시키는 원심분리준비단계;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되기 전, 소스물질채집수단의 소스물질채집배럴부로부터 플런저요소를 분리하는 플런저요소분리단계;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가 분리된 소스물질채집수단과 목표물질추출수단을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하여, 소스물질을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층으로 나뉘어진 소스물질이 충전된 목표물질추출수단의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에 플런저요소를 결합, 고정하는 플런저요소결합단계;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에 결합, 고정된 플런저요소에 압력을 가하여 전진시켜 목표물질수용배럴부에 충전된 층이 분리된 소스물질의 일부를 소스물질채집배럴부로 주입시키는 제 1차목표물질추출단계;
상기 제 1차목표물질추출단계 후, 목표물질추출수단으로부터 소스물질채집수단을 분리하고, 목표물질추출수단에 목표물질이 충전될 주사기몸체를 결합, 고정하는 주사기몸체결합단계;
재차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에 결합, 고정된 플런저요소에 압력을 가하여 전진시켜 목표물질수용배럴부에 잔여된 층이 분리된 소스물질의 일부를 주사기몸체로 주입시키는 제 2차목표물질추출단계;
목표물질추출수단으로부터 주사기몸체를 분리하고 목표물질 추출작업을 마무리하는 목표물질준비마무리단계;로 구성되어,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인해 단 한 번의 원심 분리로도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할 수 있다.
2. 또한,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인해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별도의 주삿바늘(needle)을 이용한 추출작업 과정이 생략된다.
3. 또한,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인해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별도의 드롭핑(dropping) 추출작업 과정이 생략된다.
4. 또한,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인해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할 수 있는 용량도 증가한다.
즉, 주사바늘(needle)을 사용할 필요 없이, 단 한 번의 원심 분리만으로도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5. 또한, 추출작업 중,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한 원심 분리 작업을 한 번으로 단축하고, 주삿바늘(needle)을 이용하여 목표물질을 추출하는 니들링(needling),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소스물질의 일부를 소량으로 별도의 도구에 적하시키는 드롭핑(dropping) 작업이 생략되므로, 추출시간 및 시술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니들링(needling), 드롭핑(dropping) 작업이 생략되어, 추출작업 환경의 청결 및 위생을 도모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의 실시 예(제 1실시 예)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개념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기트의 또 다른 실시 예(제 3실시 예)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1)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2)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의 실시 예(제 1실시 예)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1)에 있어서,
일정량의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소스물질채집수단(100);
상기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의 단부에 결합, 고정되고,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함께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되는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구성되어,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소스물질채집수단(100) 및 목표물질추출수단(200) 내부에 층을 형성하여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용이하게 분리,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의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이용하여, 단 한 번의 원심 분리만으로도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되, 그 추출작업 환경에 있어서도 위생적인 추출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추출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추출작업 환경의 개선 또한 도모할 수 있는,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1)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실시 예 로서,
대상자로부터 목표물질이 포함된 일정량의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수단인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은,
일정량의 소스물질이 충전되는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
상기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에 내삽되어, 전, 후진 이동되고, 전, 후진 이동으로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 내부에 일정량의 소스물질이 충전되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로 구성되되,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는,
일정량의 소스물질이 저장되는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
상기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일부가 목표물질추출수단(200)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목표물질추출수단결합모듈(112);로 구성되고,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는,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 내부를 밀폐하여, 기밀을 생성시키는 제 1기밀패킹요소(121);
상기 제 1기밀패킹요소(121)를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 내부에서 전, 후진 이동시키는 플런저요소(122);
단부는 상기 제 1기밀패킹요소(121)가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플런저요소(122)가 결합, 고정되어, 플런저요소(122)의 전, 후진 이동에 따라 제 1기밀패킹요소(121)가 동시에 전, 후진 이동되도록 하는 제 1기밀패킹-플런저커넥터요소(123);로 구성되고,
목표물질추출수단결합모듈(112)은,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로부터 일정길이 연장, 돌출되고, 목표물질추출수단(200)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목표물질추출수단(200)과 결합되도록 하는 소스물질통로돌출요소(112a);
상기 소스물질통로돌출요소(112a)와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 사이에 위치하되, 소스물질통로돌출요소(112a)의 외경보다 직경을 크게 하여,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턱요소(112b);
상기 소스물질통로돌출요소(112a)를 관통하여,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과 연결되어,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로 소스물질이 유입되도록 하는 소스물질유동통로요소(112c);로 구성되어,
대상자로부터 소스물질을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대상자로부터 채집된 소스물질이 충전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의 일측과 결합, 고정되어,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되는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은,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분리된 목표물질이 포함된 소스물질이 수집되는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
상기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 내삽되어, 기밀이 형성되도록 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전, 후진 이동되어,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키는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로 구성되되,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는,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분리된 목표물질이 포함된 소스물질이 저장되는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
상기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의 단부가 내삽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소스물질채집수단결합모듈(212);로 구성되고,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는,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 내부를 밀폐하여, 기밀을 생성시키는 제 2기밀패킹요소(221);
단부는 상기 제 2기밀패킹요소(221)가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플런저요소(122)가 결합, 고정되어, 플런저요소(122)의 전, 후진 이동에 따라 제 2기밀패킹요소(221)가 동시에 전, 후진 이동되도록 하는 제 2기밀패킹-플런저커넥터요소(222);로 구성되고,
소스물질채집수단결합모듈(212)은,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로부터 일정길이 연장, 돌출되어,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 고정되도록 하여,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결합되도록 하는 목표물질통로돌출요소(212a);
상기 목표물질통로돌출요소(212a)를 관통하여,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과 연결되어,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에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물질유동통로요소(212b);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의 단부가 내삽되는 상기 목표물질유동통로요소(212b)의 단부에 형성되되, 목표물질유동통로요소(212b)의 외경보다 직경을 크게 하여,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이 분리되었을 시에, 표면장력에 의해 소스물질 또는 목표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방지공간요소(212c);로 구성되어,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 위치한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술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이용하여 대상자로부터 소스물질을 채집하고, 채집된 소스물질이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에 충전된 상태로, 목표물질추출수단결합모듈(112)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의 소스물질채집수단결합모듈(212)에 삽입, 고정하여,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분리되는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에 충전된 소스물질이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과,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관리자에 의해 결합된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은,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바닥으로 하여,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되고, 이후, 소스물질은 원심 분리(centrifugation)된다.
이렇게,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소스물질은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과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에 층을 형성하여 분리되고,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층이 형성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1)를 구성적인 면에서 좀 더 설명하면,
목표물질 추출작업(2) 순서에 따라 제 1기밀패킹-플런저커넥터요소(123)와, 제 2기밀패킹-플런저커넥터요소(222)에 결합, 분리되는 플런저요소(122)는,
예를 들어, 관리자에 의해 제 1기밀패팅-플런저커넥터요소(123) 및 제 2기밀패킹-플런저커넥터요소(222)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암나사, 수나사 결합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의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와,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의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는,
소스물질 및 목표물질이 충전되도록 일정 부피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 및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의해 개방, 기밀, 밀폐된다.
또한,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에는,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 및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에 대한 관리자의 취급이 용이하고, 안정되도록,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의 타단부 외주연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제 1배럴손잡이(113);와,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의 타단부 내주연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에 의한 기밀성 및 밀폐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로부터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기밀돌출요소(114);가 더 포함, 구성되어,
관리자에 의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의 취급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역할로,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도,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의 타단부 내주연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의한 기밀성 및 밀폐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로부터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기밀돌출요소(214);가 더 포함, 구성되어,
관리자에 의한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의 취급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로부터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가,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로부터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가 임의로 분리된다 함은,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쉽게 분리되는 것을 말하며, 관리자가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를 고의적으로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 및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 이외에, 의도치 않은 힘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의 단부측에 제 1경사면(111a);이 형성되어,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의 이동 및 소스물질의 이동, 목표물질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즉, 소스물질유동통로요소(112c)와 연결된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의 단부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순간적으로 큰 압력이 생성되어야만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가 이동하므로, 관리자가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의 이동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제 1경사면(111a)을 통해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111) 내부의 압력을 분산시켜 관리자가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의 이동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일하게,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의 단부측에 제 2경사면(211a);이 형성되어,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의 이동 및 소스물질의 이동, 목표물질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제 2경사면(211a)은 제 1경사면(111a)과 대비하여 좀 더 가파른 각도(a1≥a2)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는, 소량의 목표물질을 완벽하게 추출하기 위함이다.
즉,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에 위치한 소량의 목표물질은, 관리자에 의해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점점 상승하고, 제 2경사면(211a)에 의해 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는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의 단부로 목표물질이 이동되면서 관리자가 추출해야 할 목표물질의 층이 점점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목표물질의 가시성이 극대화되는 효과.)
따라서, 제 2경사면(211a)은 상기 제 1경사면(111a)의 역할과 같이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211) 내부의 압력을 분산시켜 관리자가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00)의 이동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추출되어야 할 목표물질의 가시성을 극대화한다.
이를,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2)을 통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2)은 도 4에 간략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소스물질채집단계(S100);
상기 소스물질채집단계(S100) 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이용하여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하는 목표물질추출단계(S200);로 구성되되,
소스물질채집단계(S100)는,
대상자로부터 소스물질을 채집할 수 있도록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준비하는 채집수단준비단계(S110);
대상자로부터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이용하여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소스물질충전단계(S120);로 구성되고,
목표물질추출단계(S200)는,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준비하는 추출수단준비단계(S210);
대상자로부터 채집한 소스물질이 충전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결합하는 추출수단결합단계(S220);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에 압력을 가하여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결합된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충전된 소스물질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이동시키는 원심분리준비단계(S230);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되기 전,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의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로부터 플런저요소(122)를 분리하는 플런저요소분리단계(S240);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가 분리된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하여, 소스물질을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S250);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층으로 나뉘어진 소스물질이 충전된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의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플런저요소(122)를 결합, 고정하는 플런저요소결합단계(S260);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결합, 고정된 플런저요소(122)에 압력을 가하여 전진시켜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 충전된 층이 분리된 소스물질의 일부를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로 주입시키는 제 1차목표물질추출단계(S270);
상기 제 1차목표물질추출단계(S270) 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부터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분리하고, 목표물질추출수단(200)에 목표물질이 충전될 주사기몸체(SY)를 결합, 고정하는 주사기몸체결합단계(S280);
재차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결합, 고정된 플런저요소(122)에 압력을 가하여 전진시켜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 잔여된 층이 분리된 소스물질의 일부를 주사기몸체(SY)로 주입시키는 제 2차목표물질추출단계(S290);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부터 주사기몸체(SY)를 분리하고 목표물질 추출작업을 마무리하는 목표물질준비마무리단계(S300);로 구성되어,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소스물질은 혈액, 혈액으로부터 추출하고자 하는 목표물질이 혈소판농축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 및 혈소판소량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일 경우,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a)는,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대상자의 혈액을 채취한 상태이고,
(b)는, 대상자의 혈액이 채취된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결합한 상태이고,
(c)는,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충전된 혈액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일정량 이동시켜, 원심 분리할 준비를 하는 상태(원심 분리 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일정량의 혈액을 이동시킨 상태)이고,
(d)는, 상기 (c)에서 플런저요소(122)를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로부터 분리,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넣어 혈액을 원심 분리한 후의 상태이고,
(e)는, 상기 (c)에서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로부터 분리한 플런저요소(122)를 제 2기밀패킹-플런저커넥터요소(222)에 결합하여, 목표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작업의 시작이 준비된 상태이고,
(f)는, 상기 (e)에서 플런저요소(122)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여, 관리자에 의한 추출작업 행위로 제 1차 목표물질인 혈소판소량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이 추출되는 상태이고,
(g)는, 상기 (f)에서 추출된 제 1차 목표물질인 혈소판소량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이 충전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이고,
(h)는, 제 2차 목표물질인 혈소판농축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이 추출될 주사기몸체(SY)를 준비하는 상태이고,
(i)는, 목표물질추출수단(200)에 주사기몸체(SY)를 결합한 상태이고,
(j)는, 상기 (f)와 같이, 제 2기밀패킹-플런저커넥터요소(222)에 결합된 플런저요소(122)를 재차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여, 관리자에 의한 추출작업 행위로 제 2차 목표물질인 혈소판농축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이 주사기몸체(SY)로 추출되는 상태이고,
(k)는, 제 2차 목표물질인 혈소판농축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이 충전된 주사기몸체(SY)를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후에, 혈액으로부터 제 1차 목표물질(PPP)과 제 2차 목표물질(PRP)을 모두 추출하고 잔여된 적혈구(red blood cell)는, 목표물질추출수단(200)에 그대로 잔여되어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와 같은 목표물질의 추출방법(2)으로 인해 주삿바늘(needle)을 이용하여 목표물질을 추출하는 니들링(needling) 작업, 소스물질을 일정 소량 바닥에 적하시켜 제거하는 드롭핑(dropping) 작업이 생략되어, 추출작업 환경의 청결 및 위생을 도모, 목표물질의 추출작업의 용이성이 극대화된다.
참고하여, 본 발명인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작업(2) 중, 추출수단준비단계(S210)에서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의 준비라 함은,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가 특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결합되도록 준비(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00)의 특정 위치라 함은,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00)가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결합된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이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장 윗단에 위치되는 것을 말한다.)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결합될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의 내부에 최소한의 공기가 잔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소스물질채집수단(100) 및 목표물질추출수단(200) 내부에 작용되는 압력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플런저요소(122)를 이용하여 제 1기밀패킹요소(121) 및 제 2기밀패킹요소(221)의 위치를 변화시킬 때, 제 1기밀패킹요소(121) 및 제 2기밀패킹요소(221)의 위치를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대상자의 혈액을 채집할 시에는, 항응고제가 일정량 포함되어야 한다.(혈액의 응고를 방지.)
또한, 본 발명에서의 '소스물질'이라 함은,
상기 도 4 설명 시 예를 든 것과 같이, 주로, 혈액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목표물질'이라 함은,
혈액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혈소판농축혈장(platelet rich plasma) 및 혈소판소량혈장(platelet poor plasm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선행기술 1을 개량한 개량발명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부족한 설명은 선행기술 1의 기술내용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1)는,
선행기술 1과 대비하여,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에 채집할 수 있는 소스물질의 용량이 20[ml]로,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의 용량이 12.5[ml]로 증가, 형성되어,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 내에 100[%]의 적혈구(RBC, red blood cell)와, 100[%]의 혈소판농축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과, 혈소판소량혈장(PPP, platelet poor plasma)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목표물질 추출방법(2)에 의해 용이하게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 로서는,
상술한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 형성된 소스물질채집수단결합모듈(212)이 루어록 팁(luer-lock tip) 구조로 이루어져,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에 형성된 목표물질추출수단결합모듈(112)과의 결합력을 향상, 밀폐력을 극대화하여 소스물질 및 목표물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소스물질채집수단결합모듈(212)이 루어록 팁(luer-lock tip) 구조로 이루어지면, 목표물질추출수단결합모듈(112) 또한, 이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 3실시 예 는,
상술한 제 1실시 예와, 제 2실시 예 중, 어느 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로 삽입되는 플런저요소(12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하단부의 일정구간이 수나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 삽입, 목표물질의 추출작업이 보다 정교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표물질추출작업전용플런저요소(122');와,
상기 목표물질추출작업전용플런저요소(122')와 대응되도록,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의 내주연면 상부의 일정구간이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목표물질추출작업전용플런저요소(122')의 전, 후 이동이 보다 정교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런저미세조절구간모듈(213);이 더 포함, 구성되어,
목표물질의 추출작업의 정확성, 세밀함, 정교함 및 용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추출키트를 제작하는 제작, 제조업 및 판매업, 본 발명인 추출키트를 이용하여 목표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병원, 연구소 등, 의료 산업 및 연구 산업 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2: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100: 소스물질채집수단 110: 소스물질채집배럴부
111: 소스물질채집공간모듈 111a: 제 1경사면
112: 목표물질추출수단결합모듈 112a: 소스물질통로돌출요소
112b: 단턱요소 112c: 소스물질유동통로요소
113: 제 1배럴손잡이 114: 제 1기밀돌출요소
120: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 121: 제 1기밀패킹요소
122: 플런저요소 123: 제 1기밀패킹-플런저커넥터요소
200: 목표물질추출수단 210: 목표물질수용배럴부
211: 목표물질수용공간모듈 211a: 제 2경사면
212: 소스물질채집수단결합모듈 212a: 목표물질통로돌출요소
212b: 목표물질유동통로요소 212c: 유출방지공간요소
213: 플런저미세조절구간모듈 214: 제 2기밀돌출요소
220: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 221: 제 2기밀패킹요소
222: 제 2기밀패킹-플런저커넥터요소
S100: 소스물질채집단계 S110: 채집수단준비단계
S120: 소스물질충전단계 S200: 목표물질추출단계
S210: 추출수단준비단계 S220: 추출수단결합단계
S230: 원심분리준비단계 S240: 플런저요소분리단계
S250: 원심분리단계 S260: 플런저요소결합단계
S270: 제 1차목표물질추출단계 S280: 주사기몸체결합단계
S290: 제 2차목표물질추출단계 S300: 목표물질준비마무리단계
SY: 주사기몸체
a1: 제 1경사면(111a)이 이루는 각도
a2: 제 2경사면(211a)이 이루는 각도
122': 목표물질추출작업전용플런저요소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2)에 있어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소스물질채집단계(S100);
    상기 소스물질채집단계(S100) 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이용하여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분리된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추출하는 목표물질추출단계(S200);로 구성되되,
    소스물질채집단계(S100)는,
    대상자로부터 소스물질을 채집할 수 있도록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준비하는 채집수단준비단계(S110);
    대상자로부터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이용하여 소스물질을 채집하는 소스물질충전단계(S120);로 구성되고,
    목표물질추출단계(S200)는,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준비하는 추출수단준비단계(S210);
    대상자로부터 채집한 소스물질이 충전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결합하는 추출수단결합단계(S220);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에 압력을 가하여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결합된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소스물질채집수단(100)에 충전된 소스물질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 이동시키는 원심분리준비단계(S230);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되기 전,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의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로부터 플런저요소(122)를 분리하는 플런저요소분리단계(S240);
    소스물질채집플런저부(120)가 분리된 소스물질채집수단(100)과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을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삽입하여, 소스물질을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S250);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에 의해 층으로 나뉘어진 소스물질이 충전된 목표물질추출수단(200)의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플런저요소(122)를 결합, 고정하는 플런저요소결합단계(S260);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결합, 고정된 플런저요소(122)에 압력을 가하여 전진시켜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 충전된 층이 분리된 소스물질의 일부를 소스물질채집배럴부(110)로 주입시키는 제 1차목표물질추출단계(S270);
    상기 제 1차목표물질추출단계(S270) 후,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부터 소스물질채집수단(100)을 분리하고, 목표물질추출수단(200)에 목표물질이 충전될 주사기몸체(SY)를 결합, 고정하는 주사기몸체결합단계(S280);
    재차 목표물질배출플런저부(220)에 결합, 고정된 플런저요소(122)에 압력을 가하여 전진시켜 목표물질수용배럴부(210)에 잔여된 층이 분리된 소스물질의 일부를 주사기몸체(SY)로 주입시키는 제 2차목표물질추출단계(S290);
    목표물질추출수단(200)으로부터 주사기몸체(SY)를 분리하고 목표물질 추출작업을 마무리하는 목표물질준비마무리단계(S300);로 구성되어,
    소스물질로부터 목표물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KR1020190172784A 2019-12-23 2019-12-23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KR102365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784A KR102365747B1 (ko) 2019-12-23 2019-12-23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US17/783,513 US20230012405A1 (en) 2019-12-23 2020-12-22 Target material extraction kit for centrifugal separator, and method for extracting target material by using same
PCT/KR2020/018872 WO2021133024A2 (ko) 2019-12-23 2020-12-22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EP20907807.0A EP4059612A4 (en) 2019-12-23 2020-12-22 TARGET MATERIAL EXTRACTION KIT FOR CENTRIFUGAL SEPARATOR, AND TARGET MATERIAL EXTRACTION METHOD IMPLEMEN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784A KR102365747B1 (ko) 2019-12-23 2019-12-23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808A KR20210080808A (ko) 2021-07-01
KR102365747B1 true KR102365747B1 (ko) 2022-02-22

Family

ID=7657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784A KR102365747B1 (ko) 2019-12-23 2019-12-23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12405A1 (ko)
EP (1) EP4059612A4 (ko)
KR (1) KR102365747B1 (ko)
WO (1) WO2021133024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21B1 (ko) *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9718A (en) * 1980-05-05 1981-05-26 The Institutes Of Medical Sciences Process and device for centrifugal separation of platelets
JP4983204B2 (ja) * 2006-10-27 2012-07-25 ニプロ株式会社 遠心分離容器及び遠心分離方法
KR101069877B1 (ko) 2009-10-28 2011-10-05 임기표 원심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
US9555171B2 (en) * 2010-09-30 2017-01-31 Depuy Mitek, Llc Methods and devices for collecting separate components of whole blood
KR20120119262A (ko) * 2011-04-21 2012-10-31 (주) 글로텍 혈소판 농축혈장 생성방법
KR20130091514A (ko) * 2012-02-08 2013-08-19 조희민 혈액의 적혈구 분리 수집용구
KR101162750B1 (ko) * 2012-03-19 2012-07-05 (주)세원메디텍 혈액 원심분리용 용기
KR101557190B1 (ko) * 2013-05-31 2015-10-02 김홍 원심분리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EP3470142A1 (de) * 2017-10-11 2019-04-17 Orthogen AG Vorrichtung mit einer ersten kammer zur aufnahme eines körperflui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21B1 (ko) * 2010-03-23 2010-10-18 김준우 혈액성분 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808A (ko) 2021-07-01
EP4059612A2 (en) 2022-09-21
EP4059612A4 (en) 2023-12-27
WO2021133024A2 (ko) 2021-07-01
WO2021133024A3 (ko) 2021-08-19
US20230012405A1 (en)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85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a component of a fluid
US90284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a fluid
EP2413989B1 (en) All-in-one means of separating blood components
US20130011311A1 (en) Blood Component Separator
EP1202758B1 (en) Platelet concentration syringe kit and method
JP4983204B2 (ja) 遠心分離容器及び遠心分離方法
JP5340273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遠心分離器
EP2823832B1 (en) Component separator
JP2008104789A (ja) 多血小板血漿分離方法及び多血小板血漿分離装置
CN110026297B (zh) 体液分离装置
HUT77766A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fibrin I elkülönítésére vérplazmából
US103912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blood using a centrifuge
CA2982894A1 (en) A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 processing and separation of biological fluids into components
KR101666451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JP2022520710A (ja) 多血小板血漿を濃縮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WO2005087292A1 (en) Method for obtaining an intermediate fraction in the centrifugal separation of blood
KR102365747B1 (ko) 원심분리기용 목표물질 추출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KR101416623B1 (ko) Prp 혈액 성분 분리를 위한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EP2696912B1 (en) Centrifugation system with red blood cell barrier
CN108290086B (zh) 用于提取富含血小板的生长因子的血液分离机提取装置
JP7376587B2 (ja) 血漿分離及び保管用の装置及び方法
WO2022224656A1 (ja) 筒体キットおよびガスケット
KR101557190B1 (ko) 원심분리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EP3288607B1 (en) Separating and transferring phases of a fluid through centrifugation
KR20190010176A (ko) 피알피와 버피 코트의 믹싱이 가능한 원심분리용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