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85688A1 -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85688A1
WO2020085688A1 PCT/KR2019/013249 KR2019013249W WO2020085688A1 WO 2020085688 A1 WO2020085688 A1 WO 2020085688A1 KR 2019013249 W KR2019013249 W KR 2019013249W WO 2020085688 A1 WO2020085688 A1 WO 20200856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p
cylindrical housing
sealing
sealing cap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32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란레옹
신봉근
Original Assignee
엑셀 메디컬 센드리안 버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셀 메디컬 센드리안 버허드 filed Critical 엑셀 메디컬 센드리안 버허드
Publication of WO20200856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856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8Flask, bottle or test tub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2Washing or rinsing blood or blood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8Caps; Covers; Plugs; Pour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14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with filters, sieves or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2Separating microorganisms from the culture medium; Concentration of biom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9/00Methods for the dissociation of cells, e.g. specific use of enzymes
    • C12N2509/10Mechanical dissoci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dipose stem cells from adipose tissue, and more specifically, adipose stem cells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extracted from adipose tissue by centrifuging the adipose stem cells (Stromal Vascular Fraction, SVF). It relates to a cell separation device.
  • stem cells are cells that have the ability to self-replicate and differentiate into two or more cells. Recentl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obtain stem cells in adipose tissues in addition to bone marrow.
  • Adipose-derived stem cells isolated from adipose tissue are pluripotent stem cells having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various types of cells such as adipocytes, muscle cells, cartilage cells, and bone cells.
  • adipose stem cells have superior self-renewal ability and easy in vitro culture compared to mesenchymal stem cells of bone marrow origin, and adipose tissue capable of separating adipose stem cells is abundant, and the collection method is simple and safe.
  • adipose stem cells In addition, almost all the characteristics of adipose stem cells, such as differentiation ability, cytological characteristics,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issue regeneration ability, are known to be the same as mesenchymal stem cells of bone marrow origin.
  • adipose stem cells are known to have considerable medical usefulness as stem cells with high potential to replace mesenchymal stem cells of bone marrow origin.
  • adipose stem cells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tissue accessibility, safety, efficacy, and economics because they have an advantage of being easy and safe in tissue acquisition process and have no limitation in tissue supply and demand compared to mesenchymal stem cells.
  • adipose stem cells which are commonly used, breaks tissues into collagenase by crushing inhaled or excised fat again, and then sedimented through centrifugation to separate the stromal vascular fraction (SVF) ), A method of culturing the cells is carried out.
  • SVF stromal vascular fraction
  • Patent Document 1 KR10-1749932 B1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simplify the process of extracting and separating fat stem cells (SVF) from fat can reduce the extraction time and cost, the extracted and separated fat To improve the filtration rate of stem cells (SVF), and to provide a fat stem cell separa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extraction amount.
  • the purpose is to simplify the process of extracting and separating fat stem cells (SVF) from fat can reduce the extraction time and cost, the extracted and separated fat to improve the filtration rate of stem cells (SVF), and to provide a fat stem cell separa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extraction amount.
  •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aling cap having an auxiliary cap for opening and closing a communication port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working bar of a certain length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 a first cylindrical housing forming a first space 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pened by the first sealing cap by forming a male screw portion screw-coupled with the femal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a second cylindrical housing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via a neck hol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in which the operation bar is disposed;
  • a cap connection unit assembled to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to form a second space between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It provides a fat stem cell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a; equipped with a sealing member that is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outlet formed through the cap connection to the cap sealing portion is assembled to the second sealing cap.
  • the operating bar is made of a bar member of a certain length forming a male screw portion screw-coupled with a female screw portion of a cap extension tube extending directly below the sealed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at a predetermined length, or the agent 1 It may be made of a bar member of a certain length forming a male screw portion screw-coupled with the female screw portion of the cap extension tub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irectly from the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sealed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cap to the lower portion.
  • the neck hole of the neck portion includes an upper guide tube extending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ar enters and is guided, and the upper guide tube may include at least one slit that is formed in an opening.
  • the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a certain height in the cen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cap to enter and seal the inner hole of the lower extension pi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let.
  • the outer side of the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connecting pipe forming a female screw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xtension pipe.
  • the second sealing cap includes a filtration unit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an objec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p connection unit, wherein the filtration unit is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of the cap connection unit
  • the upper cover provided in the, the filter body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lter tube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the upper cover and the open upper end is assembled and the filter body It may include a filtration housing having at least one outlet so that the filtered object is discharged while passing through.
  • the filter body includes an inner filtration network having an inlet end fixed to the end of the filtration tube, and an outer filtration network having a mesh siz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mesh size of the inner filtration network and disposed outside the inner filtration network. You can.
  • the outlet end of the inner filtration network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outlet end of the outer filtration network.
  •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neck part of the neck connecting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and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is easily performed by a precise and delicat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ng bar, thereby centrifuging the separated cell sediments into another space. Since it can be separated and transport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and purity of the separated stem cells.
  • adipose stem cells SVF
  •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ell sediments can be removed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thereby increasing the cleanliness of the finally obtained fat stem cells, and finally the extracted fat stem cells. It can improve the cleanliness and purity.
  • Figure 1a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t stem cell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t stem cell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t stem cell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operation bar employed in the adipose stem cell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and the cap connection of the fat stem cell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of the fat stem cell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tate diagram of applying a filter to the fat stem cell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A to 7H are use state diagrams of adipose stem cell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dipose stem cell sepa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a to Figure 2, the adipose stem cells from adipose tissue using a single container can be obtained by separating more easily It may include a 1 sealing cap 10, a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a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a cap connecting portion 40 and a second sealing cap 50.
  • the first sealing cap 1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ap 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munication port 11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ures 1a, 1b and 2, constant from the lower surface directly It is a cap member having an operation bar 13 extending in length to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 the auxiliary cap 12 may be formed of a cap member having a female screw portion screw-coupled with a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llow pipe 11a extend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communication port 11.
  • the operation bar 13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n upper e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10 to form a b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sealing cap.
  • the operation bar 13 is a male screw that is screwed with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extension tube 14 provided on the closed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10 It may be formed of a b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ming a portion at an upper end, or may be formed of a bar member having a constant length with an upper end integrally provided on a sealed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10.
  • the operation bar 13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integrally coupled to the sealed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and moved up and down by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irst sealing ca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sealing cap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and moved up and down.
  • the operation bar 13 as shown in Figures 3a and 3b,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extension tube 1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sealed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10 Consists of a bar member of a certain length having a male screw portion screw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bar 13 through the cap extension tube 14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10 External exposure.
  • the operation bar 13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neck hole 21 of the neck portion 20a to be described later. So it can be moved to Shanghai.
  •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as shown in Figures 1a, 1b, and 2, the first male cap portion (25) screwed with the female screw portion (15)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sealing cap (10) Is a hollow cylindrical member tha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 top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pened by the first sealing cap 10 and form a first space S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is preferably assembled and sealed with the first sealing cap 10 via the O-ring member 23 provid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 the first sealing cap 10 is provided with a silicone pad forming a cross-shaped slit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port opened and closed by the auxiliary cap, so that the syringe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opened by the separation of the auxiliary cap.
  • the first sealing cap 10 includes at least one one-way check valve forming a passage that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space S1 to the outside, so that the first space when injecting an object such as adipose stem cell extract Since the air in (S1)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internal pressure in the first space is unnecessary and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elevated.
  •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is a neck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in which the operation bar 13 is disposed, as shown in FIGS. 1A, 1B, 2 and 4. It is a hollow cylindrical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S1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via the neck hole 21 of 20a).
  • the neck portion 20a extends so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narrows from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to the neck hole 21 side, and then increases the inner diameter from the neck hole 21 toward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It may consist of a roughly hourglass cross section that extends to grow.
  • the neck hole 21 of the neck portion 20a includes an upper guide tube 22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ar 13 enters and is guided, and the upper guide tube 22 At least one slit 22a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so that the liquid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can be guided and discharged to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through the neck hole 21.
  • An opening is formed, and the neck hole 21 may include a lower guide tube 24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 the lower end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bar 13 may include at least one O-ring (13a)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neck hole 21 to generate a sealing force.
  •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and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neck portion 20a, and at the same time,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via the neck hole 21. ,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neck hole by the operating bar 13 that moves up and down during rotation.
  • the neck hole 21 is closed while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ar is the upper guide tube 22 ).
  • the liquid filled in the first space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is in contact with the slit 22a because the slit is partially ope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ar. It is possible to guide and discharge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through the neck hole 21.
  • the cap connecting portion 40 as shown in Figures 1a, 1b, 2 and 4, the second space (S2) having a relatively smaller volume than the first space (S1)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It is assembled so as to be detachable to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to be formed inside the (30).
  • the cap connection part 40 may include an assembly jaw that penetrates through the outlet 41 in the center of the body, and correspondingly engages an assembly groove formed in a lower outer frame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in an outer frame. .
  • the upper surface 43 of the cap connection part 4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increases the volume of the second space S2 formed between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41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inclined downward to the center through which it is formed.
  • the coupling between the open lower end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and the cap connecting portion 40 i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emale screw 35 and the cap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 lower end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It can be adjust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volume of the second space by screwing between the male screw portions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ssembly groov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and the cap connection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40) it can be assembled by elastic coupling between the assembly jaws.
  • the neck hole 21 and the slit 22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pward movement of the operation bar 13 where the lower end is located in the lower guide tube 24,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Some of the liquid filled in) is guided and discharged to the second space S2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through the neck hole 21.
  • the second layer (S2)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is centrifuged to separate the lower layer of the liquid to be layered. Only the liquid corresponding to can be filled separately.
  • the second sealing cap 50 as shown in Figures 1a, 1b, 2 and 4, the sealing member 51 correspondingly inserted into the outlet 41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cap connecting portion 40 ) Is a cap member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lower end of the cap connection part 40.
  • the sealing member 51 is fix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cap 50 so as to enter and seal the inner hole of the lower extension pipe 42 extending a certain length downward from the outlet 41 of the cap connection part 40 It may be provided in a column shape extending high.
  • a female screw portion 52a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crewed with a male screw portion 42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xtension pipe 42,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ealing cap 50 is formed. It may include a connector 52 that extends a certain height in the center of the surface.
  • the sealing member 51 locat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connection pipe 52 is preferably form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pipe 52 so that the end of the lower extension pipe 42 can be entered first Do.
  • the outer border of the second sealing cap 50 includes an outer skirt portion 54 that is bent upward to be coupled to the lower outer border of the cap connecting portion 40, and at least one O-ring member 53 therebetween. )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 the second sealing cap 50 is coupled to the cap connection part 40 by screwing the connection pipe 52 and the lower extension pipe 42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lower extension pipe 42 at the same time.
  • the outlet 41 of the cap connection part 40 is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51 to be sealed.
  • the second sealing cap 50 may include a filtration unit 60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at stem cells, which is the objec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41 of the cap connection portion 40 is separated. have.
  • the filtration unit 60 has an inlet 62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41 of the cap connection part 40 from which the second sealing cap is separ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t includes an upper cover 61 to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lter tube 63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61 corresponding to the inlet 62, the filter body 64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t may include.
  • An open lower end and an ope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61 are assembled so that the filter body 64 is disposed inside, and has at least one outlet 66 to discharge filtered flui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body. It may include a filtration housing (65).
  • the filter body 64 includes an inner filtration network 64a having an inlet end fixed at an end of the filtration tube 63, and has a mesh siz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mesh size of the inner filtration network 64a, thereby providing the inner filtration network. It may include an external filtering network (64b) disposed on the outside.
  • the exit end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inner filtration network 64a, is spaced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exit end,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outer filtration network 64b.
  • the inlet 6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that forms a female screw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so as to be screwed and assembled with the male screw portion 42a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xtension pipe 42 extending from the outlet 41. .
  • the inlet 62 when the inlet 62 is made of a hollow pipe forming a male screw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it may be assembled in communication through the lower extension pipe 42 forming the male screw portion 42a and a separate adapter pipe.
  • the outlet 66 is external to the male screw portion 66a which is screwed with the female screw portion formed at the inlet of the syringe 70 so as to collect the filtered object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body 64 of the filter portion 60.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formed on the surface.
  • fat stem cells which are the final object of separation remaining in the second space S2 formed between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and the cap connection part 40, ar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60. Then, it can be easily and quickly separated and extracted without contact with air in the air by a separate syringe 70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66.
  • the method of separating the adipose stem cells using the adipose stem cell separat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performed by sequentially performing the preparation step, the adipose stem cell extraction step, the first washing step and the second washing step, thereby finalizing the fat stem cells. Will be extracted.
  • the preparation step is first to extract a certain amount of adipose tissue from the human body using a luer lock syringe, wherein the extracted adipose tissue is extracted repeatedly by a certain amount once.
  • the extracted adipose tissue is put into the inside of another syringe, stored, and then, when the adipose tissue is precipitated by shaking the syringe, the inside of the syringe is separated into a blood layer, a fat extract layer and an oil layer by specific gravity difference. You can.
  • the operator separates and extracts only the layer of fat extract separated from the blood layer and the oil layer in the syringe by the piston operation of the syringe.
  • the adipose stem cell extraction step is to extract adipose stem cells from the adipose extract obtained in the preparation step.
  • the auxiliary cap 12 of the first sealing cap 10 that seals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is opened, and the neck of the neck portion 20a is opened.
  • the ball 21 is in a closed state by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ar 13, the first space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1 opening the fat extract (P1) layer-separated from the syringe ( S1), and then a certain amount of an enzyme solution, such as a collagenase solution, which is an enzyme that hydrolyzes collagen or gelatin components,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S1.
  • an enzyme solution such as a collagenase solution, which is an enzyme that hydrolyzes collagen or gelatin components
  • the operation of injecting the fat extract liquid (P1) into the first space (S1)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is performed by the operator discharging and treating the liquid layer deposited on the lowermost layer of the syringe by the piston operation of the syringe to the outside. Only the fat extract layer deposited on the intermediate layer by the piston operation of the syringe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S1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through the open communication port.
  • the sepa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port 11 is sealed by closing the auxiliary cap 12 is loaded in a shaking incubator, and then the enzymatic reaction between the fat extract and the enzyme solution is stirred. Performs a shaking process to accelerate.
  • the enzymatically reacted adipose tissue fluid undergoes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fter the first centrifugation.
  • the cell sediment (P) containing adipose stem cell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pace (S1)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and the enzymatically reacted enzyme reaction solution (C) are sequentially separated.
  •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ar is slit 22a of the upper guide tube 22 by the operator by rotating the first sealing cap 10 or the operation bar 13. Raise to be positioned at.
  • the cell sediment (P) of the lowermost layer is the second space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through the partially opened slit (22a) and the fully opened neck hole (21). It is transferred to (S2) and filled.
  • the boundary layer (B) between the cell sediment (P) and the enzyme reaction solution (C) layer-separa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ylindrical housings and the neck portion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be visually visible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to the neck hole 21.
  •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ar 13 is lowered to be located in the neck hole 21 to seal the open neck hole.
  • the neck hole is closed by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bar and at the same time the enzymatic reaction solution (C)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is blocked from entering the second space (S2)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Only the enzyme reaction liquid (C) remains in the first space (S1) of the cylindrical housing, and the cell precipitate (P) is filled in the second space (S2)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thereby separating the enzyme reaction solution and the cell precipitate. Is done.
  • the operation bar 13 that moves up and down in the neck hole forms a receiving portion 13b with an open lower end inside the body, so that a portion of the cell sediment separated into a larger capacity than the inner volume of the second space is accommodated.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portion (13b) to increase the separation efficiency.
  • the cell precipitate P filled in the second space S2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separation of the second sealing cap 50, as shown in FIG. 7C. It is extracted to the outside using a syringe 71 assembl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xtension tube 42 of the cap connection part 40.
  • the enzyme reaction solution (C) remaining in the first space (S1)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opening the auxiliary cap 12 or opening the first sealing cap 10. Can be processed.
  • the second sealing It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made by a syringe 71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xtension tube 42 in a state in which the cap is remov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sembling the second sealing cap 50 In one state, the sealing member 51 correspondingly inserted into the lower extension tube 42 may be performed without contact with air by another syringe through which the injection needle passes.
  • the sealing member 51 through which the injection needle is penetrated is formed of a hollow tube pillar shape having a blocking area 51a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with an interrupted length, and the blocking area is integral with the sealing member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It may be made or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press-fitting member, and the material of the blocking region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having rigidity through which the injection needle can penetrate.
  • the cell sediment P is washed as the first washing solution W1 in the first space S1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It is to extract only the cell precipitate (P) from which impurities have been removed by washing.
  • the washing solution may be used by selecting a saline solution mixed at a predetermined ratio with respect to the extracted cell precipit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washing solution may be selectively used.
  • the primary washing solution W1 is quantitatively dos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amount and constant ratio of the cell sediment P to be washed.
  • the cell sediment (P) is washed with the primary washing solution (W1) and adipocytes contained in the cell sediment , It removes contaminants, such as enzymatic reaction solution attached to adipocytes and stem cells, to separate them.
  • the cell sediment (P) and the primary washing solution (W1) wash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 the first space (S1)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by centrifugation are specific gravity.
  • the layers are sequentially separated by differences.
  • the first washing solution (P) in the first space S1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is washed with a second washing solution.
  • (W2) it is washed secondarily, and only the cell precipitate (P) from which impurities have been removed by washing is separated and extracted to the outside.
  • the secondary cap 12 is opened and the second cleaning solution W2, such as a saline solution in a predetermined amount, is ope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1 to open the first space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It is introduced into (S1) and mixed with the cell sediment (P) remaining in the first space at a constant ratio.
  • the second cleaning solution W2 such as a saline solution in a predetermined amount
  • the operation bar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first sealing cap or the operation bar, as shown in FIG. 7G, the first and second space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completely opening the neck hole.
  • the cell precipitate (P) is washed with a secondary washing solution (W2), adipocytes contained in the cell precipitate, It is to remove and separate contaminants such as enzymatic reaction solution attached to adipocytes and stem cells.
  • a portion of the cell sediment hav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compared to the internal volume in the second space may be filled and introduced into the inner hole formed to be open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ar.
  • the secondary cleaning solution W2 that remains in the first space S1 of the first cylindrical housing 20 is external by opening the auxiliary cap 12 or opening the first sealing cap 10.
  • the cell sediment (P) separated and transferred to the second space (S2) of the second cylindrical housing 30 is discharged to the cap connection part 40 exposed to the outside by separation of the second sealing cap 50 )
  • the filter portion 60 assembled with the lower extension tube (42) By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ell sediment (P) by the filter portion 60 assembled with the lower extension tube (42) to extract the outside.
  • the inlet provided in the upper cover of the filtration unit is screwed with the lower extension pipe 42 extending from the outlet 41 of the cap connection par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econd sealing cap is separated.
  • the outlet which is provided in the filtration housing 65 of the filtration unit, is communicated with the syringe 70 for extraction.
  • the cell sediment (P)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unit 60 is continuously passed through the filter body 64 consisting of the inner filtration network 64a and the outer filtration network 64b, and foreign matter is removed.
  • This removed cell sediment (P) is extracted in full by an extraction syringe coupled to the outle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ltration housing to end the separation of fat stem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연통구를 개폐하는 보조캡을 갖추고,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작동바를 갖는 제1밀봉캡; 상기 제1밀봉캡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상단 외주면에 형성하여 제1밀봉캡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1원통하우징; 상기 작동바가 배치되는 제1원통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되는 네크부의 네크공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원통하우징과 연통되는 제2원통하우징; 상기 제2원통하우징과의 사이에 제2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원통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조립되는 캡연결부; 상기 캡연결부에 관통형성된 배출구에 대응삽입되는 밀폐부재를 갖추어 상기 캡연결부에 조립되는 제2밀봉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본 발명은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줄기세포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원심분리기를 통해 원심 분리된 지방줄기세포(Stromal Vascular Fraction, SVF)를 지방조직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기세포는 자기 복제 능력을 가지면서 둘 이상의 세포들로 분화되는 능력을 갖는 세포이다. 최근에는 골수 외에 지방조직에서도 줄기세포를 획득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방조직에서 분리한 지방유래 줄기세포는 지방세포, 근육 세포, 연골 세포, 뼈 세포 등 다양한 종류의 세포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다분화능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이다.
이러한 지방줄기세포는 골수 기원의 간엽 줄기세포와 비교하여 자가 재생능력이 우수하고 체외 배양이 용이하며, 지방줄기세포를 분리할 수 있는 지방조직은 풍부하고 채취방법이 간단하며 안전하다.
또한, 지방줄기세포는 분화능력, 세포학적 특성, 면역학적 특성, 조직재생능력 등 거의 모든 특성이 골수 기원의 간엽 줄기세포와 동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즉, 지방줄기세포는 골수 기원의 간엽 줄기세포를 대체할 수 있는 높은 가능성을 가진 줄기세포로서 의학적 유용성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지방줄기세포는 간엽 줄기세포에 비해서 조직 취득과정이 용이하고 안전하여 조직수급의 제한이 없는 장점을 갖고 체외 배양이 용이하여 조직 접근성, 안전성, 유효성 및 경제적 측면에서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줄기세포의 분리 및 배양법은 흡입되거나 절제된 지방을 다시 잘게 부수어 콜라게나제(collagenase)로 조직을 분해한 후에, 원심분리를 통해 침전되어 분리되는 기질혈관획분(stromal vascular fraction; SVF)에서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1개의 분리 용기에서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줄기세포가 분리되는 모든 과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과정 중 생성되는 생성물의 배출 및 폐기 등으로 인해 공정이 복잡해진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2개의 분리 용기를 이용하여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줄기세포가 분리되는 과정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즉, 2개의 분리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1개의 분리용기에서는 지방조직을 처리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1개의 분리 용기에서는 분리된 줄기세포를 처리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되는 소모품인 분리용기의 개수가 증가하고 분리 용기를 회전시키는데에 이용되는 구성요소도 증가하게 되어, 분리시간 및 분리를 위한 장치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 KR10-1749932 B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방으로부터 지방줄기세포(SVF)를 추출하여 분리하는 과정을 간소화하여 추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추출분리된 지방줄기세포(SVF)의 여과율을 향상시키고, 추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 시예는,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연통구를 개폐하는 보조캡을 갖추고,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작동바를 갖는 제1밀봉캡 ; 상기 제1밀봉캡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상단 외주면에 형성하여 제1밀봉캡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1원통하우징 ; 상기 작동바가 배치되는 제1원통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되는 네크부의 네크공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원통하우징과 연통되는 제2원통하우징 ; 상기 제2원통하우징과의 사이에 제2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원통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조립되는 캡연결부 ; 상기 캡연결부에 관통형성된 배출구에 대응삽입되는 밀폐부재를 갖추어 상기 캡연결부에 조립되는 제2밀봉캡;을 포함하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바는 상기 제1밀봉캡의 밀폐된 하부면에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캡연장관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상부단에 형성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밀봉캡의 밀폐된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캡연장관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길이중간에 형성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크부의 네크공은 상기 작동바의 하부단이 진입되어 안내되도록 일정높이 연장되는 상부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안내관에는 개구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하향연장되는 하부연장관의 내부공으로 진입되어 밀폐하도록 상기 제2밀봉캡의 상부면에 중앙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원기둥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하부연장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밀봉캡이 분리된 상기 캡연결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대상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캡연결부의 배출구와 연통연결되는 유입구를 상부면 중앙에 구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유입구와 대응하는 상부커버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여과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체 및 상기 상부커버와 개방된 상부단이 조립되고 상기 여과체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대상물이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를 갖는 여과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여과체는 상기 여과관의 단부에 입구단이 고정되는 내부여과망과, 상기 내부여과망의 메쉬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메쉬크기를 갖추어 상기 내부여과망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여과망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여과망의 출구단은 상기 외부여과망의 출구단과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원통하우징과 제2원통하우징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네크부의 네크공에 대한 개방과 폐쇄를 작동바의 정밀하고 섬세한 회전조작에 의해서 간편하게 수행함으로써 원심분리되어 층분리된 세포침전물을 다른 공간으로 분리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방줄기세포의 분리추출량 및 순도를 높일 수 있다.
지방흡입술로 얻어진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줄기세포(SVF)만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과정을 간소화하여 추출시간과 비용을 감소시켜 사용상 편리성을 높이고, 수요가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세척용액에 의해서 세척된 세포침전물에 최종적으로 분리추출하는 과정에서 여과부를 통과함으로써 세포침전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지방줄기세포의 청결도를 높이고, 최종적으로 추출된 지방줄기세포에 대한 청결도 및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1b 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에서 채용되는 작동바의 다른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의 제2원통하우징과 캡연결부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의 여과부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에 여과부를 적용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 a ~ 도 7h 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100)는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줄기세포를 하나의 용기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분리하여 취득할 수 있도록 제1밀봉캡(10), 제1원통하우징(20), 제2원통하우징(30), 캡연결부(40) 및 제2밀봉캡(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밀봉캡(10)은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1)를 개폐하는 보조캡(12)을 갖추고, 하부면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작동바(13)를 갖추어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의 개방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캡부재이다.
상기 보조캡(12)은 상기 연통구(11)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중공관(11a)의 외부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캡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바(13)는 상기 제1밀봉캡(10)의 하부면에 상단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밀봉캡과 더불어 이동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작동바(13)는 도 1b 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밀봉캡(10)의 밀폐된 하부면에 구비되는 캡연장관(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상부단에 형성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밀봉캡(10)의 밀폐된 하부면에 상부단이 일체로 구비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바(13)는 상기 제1밀봉캡의 밀폐된 하부면에 상부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제1밀봉캡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하이동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밀봉캡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조작되어 상하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바(13)는 도 3a 와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밀봉캡(10)의 밀폐된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으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캡연장관(14)의 내부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갖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바(13)의 상부단 일부는 상기 캡연장관(14)을 통하여 제1밀봉캡(10)의 상부면으로 외부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밀봉캡(10) 또는 상기 작동바(13)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작동바(13)는 후술하는 네크부(20a)의 네크공(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하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은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밀봉캡(10)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5)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25)를 개방된 상단 외주면에 형성하여 제1밀봉캡(10)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일정크기의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중공형 원통부재이다.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은 상단 외부면에 구비되는 오링부재(23)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밀봉캡(10)과 조립되어 실링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밀봉캡(10)에는 상기 보조캡에 의해서 개폐되는 연통구와 대응하는 영역에 열십자형 슬릿을 형성하는 실리콘 패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캡의 분리에 의해서 개방되는 연통구를 통한 주사기의 주입구를 통한 지방줄기세포 추출물과 같은 주입대상물의 주입시 외부의 공기가 제1공간으로 내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밀봉캡(10)에는 상기 제1공간(S1)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방향 체크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지방줄기세포 추출물과 같은 주입대상물의 주입시 제1공간(S1)의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제1공간의 내부압이 불필요하고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은 도 1a, 도 1b ,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바(13)가 배치되는 제1원통하우징(20)의 하단에 형성되는 네크부(20a)의 네크공(21)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의 제1공간(S1)과 연통되는 중공형 원통부재이다.
상기 네크부(20a)는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으로부터 네크공(21)측으로 내경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연장된 다음, 상기 네크공(21)으로부터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연장되는 대략 모래시계 단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크부(20a)의 네크공(21)은 상기 작동바(13)의 하부단이 진입되어 안내되도록 일정높이 연장되는 상부안내관(2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안내관(22)의 외부면에는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액체를 상기 네크공(21)을 통하여 상기 제1원통하우징(20) 측으로 안내배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22a)을 개구형성하며, 상기 네크공(21)은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부안내관(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바(13)의 하부단 외부면에는 상기 네크공(21)의 내부면에 접하여 실링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1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원통하우징(20)과 제2원통하우징(30)은 상기 네크부(20a)를 매개로 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네크공(21)을 매개로 서로 연통되고, 회전조작시 상하이동되는 작동바(13)에 의해서 상기 네크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작동바(13)의 하부단이 네크공(21)이나 하부안내관(24)에 위치되면 상기 네크공(21)은 폐쇄되는 반면에 상기 작동바의 하부단이 상부안내관(22)의 슬릿(22a)에 위치되면, 상기 작동바의 하부단의 위치에 따라 슬릿이 부분적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의 제1공간에 채워져 있는 액체는 상기 슬릿(22a)과 네크공(21)을 통하여 제2원통하우징(30)측으로 안내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캡연결부(40)는 도 1a, 도 1b,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간(S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을 갖는 제2공간(S2)을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의 내부에 형성하도록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의 개방된 하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이러한 캡연결부(40)는 몸체 중앙에 배출구(41)를 관통형성하고, 외측테두리에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의 하단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는 조립홈과 대응 결합되는 조립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원통하우징(30)과 대응하는 캡연결부(40)의 상부면(43)은 상기 제2원통하우징(3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S2)의 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41)가 관통형성되는 중앙으로 하향경사진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의 개방된 하부단과 상기 캡연결부(40)와의 결합은 상기 제2원통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35)와 상기 캡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2공간의 체적을 늘리거나 줄이면서 조절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의 하부단에 형성되는 조립홈과 상기 캡연결부(40)의 외주면에 조립턱간의 탄력적으로 결합에 의해서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안내관(24)에 하부단이 위치하고 있던 작동바(13)의 상향이동에 의해서 상기 네크공(21)과 슬릿(22a)이 서로 연통연결되면,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에 채워져 있던 액체 중 일부는 상기 네크공(21)을 통하여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의 제2공간(S2)으로 안내배출되어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13)의 하향 복귀이동에 의해서 상기 네크공(21)이 밀폐되면,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의 제2공간(S2)에는 원심분리되어 층분리가 이루어지는 액체의 하부층에 해당하는 액체만이 분리되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제2밀봉캡(50)은 도 1a, 도 1b,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연결부(40)의 몸체중앙에 관통형성된 배출구(41)에 대응삽입되는 밀폐부재(51)를 갖추어 상기 캡연결부(40)의 하부단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캡부재이다.
이러한 밀폐부재(51)는 상기 캡연결부(40)의 배출구(41)로부터 일정길이 하향연장되는 하부연장관(42)의 내부공으로 진입되어 밀폐하도록 상기 제2밀봉캡(50)의 상부면 중앙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기둥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51)의 외측에는 상기 하부연장관(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42a)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52a)를 형성하고, 상기 제2밀봉캡(50)의 상부면 중앙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연결관(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52)의 내부중심에 위치하는 밀폐부재(51)는 상기 하부연장관(42)의 단부가 먼저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5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밀봉캡(50)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캡연결부(40)의 하단 외측테두리와 결합되도록 상향절곡되는 외측스커트부(54)를 포함하고, 이들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부재(53)를 구비하여 실링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밀봉캡(50)은 상기 연결관(52)과 하부연장관(42)과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캡연결부(40)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연장관(42)의 내부로 진입되는 밀폐부재(51)에 의해서 상기 캡연결부(40)의 배출구(41)를 밀봉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밀봉캡(50)이 분리된 캡연결부(40)의 배출구(4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대상물인 지방줄기세포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부(60)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밀봉캡이 분리된 캡연결부(40)의 배출구(41)와 연통연결되는 유입구(62)를 상부면 중앙에 구비하는 상부커버(61)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62)와 대응하는 상부커버(61)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여과관(63)의 단부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체(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61)의 개방된 하부단과 개방된 상부단이 조립되어 상기 여과체(64)가 내부배치되고, 상기 여과체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66)를 갖는 여과하우징(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체(64)는 상기 여과관(63)의 단부에 입구단이 고정되는 내부여과망(64a)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여과망(64a)의 메쉬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메쉬크기를 갖추어 상기 내부여과망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여과망(6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여과망(64a)의 하단인 출구단은 상기 외부여과망(64b)의 하단인 출구단과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62)는 상기 배출구(41)로부터 연장되는 하부연장관(42)의 외부면에 형성된 수나사부(42a)와 나사결합되어 조립되도록 내부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는 중공관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62)가 외부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는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수나사부(42a)를 형성하는 하부연장관(42)과 별도의 어댑터관을 매개로 하여 연통조립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66)는 상기 여과부(60)의 여과체(64)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대상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주사기(70)의 주입구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66a)를 외부면에 형성한 중공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원통하우징(30)과 캡연결부(4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S2)에 잔류하는 최종적인 분리대상물인 지방줄기세포는 상기 여과부(6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다음 상기 유출구(66)와 연통결합되는 별도의 주사기(70)에 의해서 대기중의 공기와의 접촉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추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지방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은 준비단계, 지방줄기세포 추출단계, 1차 세척단계 및 2차 세척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지방줄기세포를 최종적으로 추출하게 된다.
상기 준비단계는 먼저 인체로부터 루어락(luer lock) 주사기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지방조직을 추출하는 것이며, 이때 추출된 지방조직은 1회 일정량씩 다수회 반복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지방조직은 다른 주사기의 내부에 투입하여 저장한 다음, 주사기를 쉐이킹하여 지방조직을 침전시키면, 상기 주사기의 내부에는 비중차이에 의해서 혈액층, 지방추출액층 및 오일층으로 층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상기 주사기에서 상기 혈액층과 오일층사이에 층분리된 지방추출액층만을 상기 주사기의 피스톤 조작에 의해서 분리하여 추출한다.
상기 지방줄기세포 추출단계는 상기 준비단계에서 얻어지는 지방추출액으로부터 지방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것이다.
즉,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제1밀봉캡(10)의 보조캡(12)을 개방하고, 상기 네크부(20a)의 네크공(21)은 작동바(13)의 하부단에 의해서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주사기에서 층분리된 지방추출액(P1)을 개방시킨 연통구(11)를 통하여 제1원통하우징의 제1공간(S1)으로 투입한 다음, 콜라켄이나 젤라틴 성분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제(collagenase)용액과 같은 효소용액을 제1공간(S1)으로 일정량 투입한다.
이때, 상기 지방추출액(P1)을 제1원통하우징의 제1공간(S1)으로 투입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주사기의 피스톤 조작에 의해서 주사기의 최하층에 침전된 핼액층을 외부로 배출처리한 다음, 상기 주사기의 피스톤 조작에 의해서 중간층에 침전된 지방추출액층만을 개방된 연통구를 통하여 제1원통하우징의 제1공간(S1)으로 투입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보조캡(12)을 닫아 연통구(11)를 밀봉한 본 발명의 분리장치(100)를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 적재한 다음, 교반함으로써 상기 지방추출액과 효소용액간의 효소반응을 촉진시키는 쉐이킹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인출된 본 발명의 분리장치(100)를 원심분리기에서 일정세기의 원심력으로 일정시간 동안 1차 원심분리를 수행하게 되면, 효소반응된 지방조직액은 1차 원심분리후 비중차이에 의해서 제1원통하우징(20)의 제1공간(S1)의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지방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침전물(P)과 효소반응된 효소반응액(C)이 순차적으로 층분리된다.
연속하여,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제1밀봉캡(10)이나 작동바(13)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작동바의 하부단이 상부안내관(22)의 슬릿(22a)에 위치되도록 상승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심분리기에서 2차 원심분리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최하층의 세포침전물(P)은 일부개방되는 슬릿(22a)과 완전개방되는 네크공(21)을 통하여 제2원통하우징의 제2공간(S2)으로 이송되어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외부에서 육안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2원통하우징 및 네크부를 통하여 층분리된 세포침전물(P)과 효소반응액(C)간의 경계층(B)이 네크공(21)에 위치됨이 확인되면, 상기 작동바(13)의 하부단이 네크공(21)에 위치되도록 하강시켜 개방된 네크공을 밀폐한다.
이에 따라, 제1원통하우징의 효소반응액(C)이 상기 제2원통하우징의 제2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네크공은 작동바의 하부단에 의해서 밀폐됨과 동시에 상기 제1원통하우징의 제1공간(S1)에는 효소반응액(C)만이 잔류하고, 상기 제2원통하우징의 제2공간(S2)에는 세포침전물(P)이 채워지면서 상기 효소반응액과 세포침전물을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네크공에서 상하이동되는 작동바(13)는 몸체내부에 하부단이 개구된 수용부(13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공간의 내부체적보다 큰 용량으로 분리된 세포침전물의 일부가 수용부(13b)내로 유입되어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의 제2공간(S2)에 채워진 세포침전물(P)은 도 7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밀봉캡(50)의 분리에 의해서 외부노출되는 캡연결부(40)의 하부연장관(42)과 연통연결되도록 조립되는 주사기(71)를 이용하여 외부로 추출한다.
반면에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의 제1공간(S1)에 잔류된 효소반응액(C)은 상기 보조캡(12)의 개방이나 제1밀봉캡(10)의 개방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의 제2공간(S2)에 잔류하게 되는 세포침전물(P)을 세척하는 공정을 위해서 외부로 추출하는 작업은 도 7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밀봉캡을 분리한 상태에서 하부연장관(42)에 연통조립되는 주사기(71)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밀봉캡(50)을 조립한 상태에서 하부연장관(42)에 대응삽입되는 밀폐부재(51)를 주사바늘이 관통하는 다른 주사기에 의해서 공기와의 접촉없이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주사바늘이 관통되는 밀폐부재(51)는 길이중간이 차단된 일정두께의 차단영역(51a)을 갖는 중공관 기둥상으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차단영역은 중공관 형태의 밀폐부재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압입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차단영역의 소재는 주사바늘이 관통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연질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1차 세척단계는 도 7d 와 도 7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의 제1공간(S1)에서 세포침전물(P)을 1차 세척용액(W1)으로서 세척하고, 세척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세포침전물(P)만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척용액은 추출된 세포침전물에 대하여 일정비율로 혼합되는 식염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세척용액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새롭게 준비된 분리장치의 제1원통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제1밀봉캡(10)의 보조캡(12)을 개방하고, 개방된 연통구(11)를 통하여 상술한 줄기지방세포 추출공정에서 추출된 일정량의 세포침전물(P)과 일정량의 식염수와 같은 1차 세척용액(W1)을 상기 제1원통하우징의 제1공간(S1)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채운다.
이때, 상기 1차 세척용액(W1)은 세척하고자 하는 세포침전물(P)의 투입량과 일정비율에 맞추어 정량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심분리기에서 일정세기의 원심력으로 일정시간동안 3차 원심분리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세포침전물(P)이 1차 세척용액(W1)에 의해서 세척되면서 상기 세포침전물에 포함된 지방세포, 지방전구세포 및 줄기세포에 부착되어 있던 효소반응액과 같은 오염물을 제거하여 분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심분리에 의해서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의 제1공간(S1)에는 도 7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세척된 세포침전물(P)과 1차 세척용액(W1)이 비중차이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층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의 제1공간(S1)에서 층분리된 1차 세척용액(W1)은 도 7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캡이 개방된 연통구(11)를 통하여 진입되는 주사기의 주사바늘에 의해서 흡입되어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1공간(S1)에는 세포침전물(P)만이 잔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공간에서 세포침전물(P)과 1차 세척용액(W1)을 층분리하기 위한 원심분리공정은 상기 네크공(21)이 작동바(13)의 하부단에 의해서 밀폐되어 제2공간의 청결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세척단계는 도 7f, 도 7g 및 도 7h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의 제1공간(S1)에 1차 세척된 세포침전물(P)을 2차 세척용액(W2)으로서 2차로 세척하고, 세척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세포침전물(P)만을 분리하여 외부로 추출하는 것이다.
즉, 도 7f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캡(12)을 개방하여 개방된 연통구(11)를 통하여 일정량의 식염수와 같은 2차 세척용액(W2)을 상기 제1원통하우징의 제1공간(S1)으로 투입하여 제1공간에 잔류하는 세포침전물(P)과 일정비율로 혼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밀봉캡이나 작동바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작동바가 상승이동되면, 도 7g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네크공을 완전개방시켜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서로 연통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원심분리기에서 일정세기의 원심력으로 일정시간동안 4차 원심분리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세포침전물(P)이 2차 세척용액(W2)에 의해서 세척되면서 상기 세포침전물에 포함된 지방세포, 지방전구세포 및 줄기세포에 부착되어 있던 효소반응액과 같은 오염물을 다시한번 제거하여 분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심분리에 의해서 상기 제1,2원통하우징(20,30)의 제1,2공간(S1,S2)에는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세척된 세포침전물(P)과 2차 세척용액(W2)이 비중차이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층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13)를 하강이동시켜 작동바의 하부단이 네크공에 위치되어 네크공을 밀폐시키면, 2차 세척용액은 제1원통하우징의 제1공간에 잔류하게 되고, 상기 제2원통하우징의 제2공간에는 세척된 세포침전물이 잔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공간에서 내부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세포침전물의 일부는 상기 작동바의 하부단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내부공의 내부에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원통하우징(20)의 제1공간(S1)에 잔류하게 되는 2차 세척용액(W2)은 보조캡(12)의 개방이나 제1밀봉캡(10)의 개방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처리되는 반면에 상기 제2원통하우징(30)의 제2공간(S2)에 분리이송된 세포침전물(P)은 상기 제2밀봉캡(50)의 분리에 의해서 외부노출되는 캡연결부(40)의 하부연장관(42)과 조립되는 여과부(60)에 의해서 세포침전물(P)에 함유되어 있던 이물질을 여과하면서 외부로 추출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의 상부커버에 구비되는 유입구는 상기 제2밀봉캡의 분리시 외부노출되는 캡연결부의 배출구(41)로부터 연장되는 하부연장관(42)과 나사결합되어 연통되고, 상기 여과부의 여과하우징(65)에 구비되는 유출구는 추출용 주사기(70)와 결합되어 연통된다.
상기 제1밀봉캡(10)이나 보조캡(12)의 개방에 의해서 제1원통하우징(2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바의 하부단이 상부안내관(22)의 슬릿(22a)에 위치되면, 세척용액이 외부로 제거된 제1원통하우징(20)의 제1공간(S1)과 세척된 세포침전물이 잔류하는 제2원통하우징(30)의 제2공간(S2)이 서로 연통되기 때문에 상기 추출용 주사기의 당김작동시 세포침전물(P)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유입구를 갖는 여과부의 내부로 이송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여과부(60)의 내부로 이송된 세포침전물(P)은 상기 내부여과망(64a)과 외부여과망(64b)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체(64)를 연속하여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세포침전물(P)은 여과하우징의 하부단에 구비된 유출구와 결합되는 추출용 주사기에 의해서 전량 추출되어 지방줄기세포 분리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연통구를 개폐하는 보조캡을 갖추고,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작동바를 갖는 제1밀봉캡 ;
    상기 제1밀봉캡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상단 외주면에 형성하여 제1밀봉캡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1원통하우징 ;
    상기 작동바가 배치되는 제1원통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되는 네크부의 네크공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원통하우징과 연통되는 제2원통하우징 ;
    상기 제2원통하우징과의 사이에 제2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원통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조립되는 캡연결부 ;
    상기 캡연결부에 관통형성된 배출구에 대응삽입되는 밀폐부재를 갖추어 상기 캡연결부에 조립되는 제2밀봉캡;을 포함하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는 상기 제1밀봉캡의 밀폐된 하부면에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캡연장관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상부단에 형성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밀봉캡의 밀폐된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캡연장관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길이중간에 형성하는 일정길이의 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네크공은 상기 작동바의 하부단이 진입되어 안내되도록 일정높이 연장되는 상부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안내관에는 개구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하향연장되는 하부연장관의 내부공으로 진입되어 밀폐하도록 상기 제2밀봉캡의 상부면 중앙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기둥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하부연장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봉캡이 분리된 상기 캡연결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대상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캡연결부의 배출구와 연통연결되는 유입구를 상부면 중앙에 구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유입구와 대응하는 상부커버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여과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체 및 상기 상부커버와 개방된 상부단이 조립되고 상기 여과체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대상물이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를 갖는 여과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체는 상기 여과관의 단부에 입구단이 고정되는 내부여과망과, 상기 내부여과망의 메쉬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메쉬크기를 갖추어 상기 내부여과망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여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여과망의 출구단은 상기 외부여과망의 출구단과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PCT/KR2019/013249 2018-10-22 2019-10-10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WO202008568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857 2018-10-22
KR1020180125857A KR101982766B1 (ko) 2018-10-22 2018-10-22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5688A1 true WO2020085688A1 (ko) 2020-04-30

Family

ID=6665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3249 WO2020085688A1 (ko) 2018-10-22 2019-10-10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982766B1 (ko)
CN (1) CN111073802B (ko)
MY (1) MY180739A (ko)
TW (1) TWI720658B (ko)
WO (1) WO2020085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7543B2 (en) * 2015-11-19 2019-05-14 Miltenyi Biotec, Gmbh Process and device for isolating cells from biological tissue
KR101982766B1 (ko) * 2018-10-22 2019-05-28 엑셀 메디컬 센드리안 버허드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DE102020123643B4 (de) * 2020-09-10 2024-02-15 Emz-Hanauer Gmbh & Co. Kgaa Luftaufbereitungsvor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CN112375654B (zh) * 2020-11-20 2023-12-05 广州穗阳生物学研究有限公司 一种脂肪干细胞分离装置及分离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714A (ko) * 2010-07-19 2012-02-01 (주)차바이오메드 원심분리용 셀 스트레이너 및 셀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원심분리방법
KR101306455B1 (ko) * 2011-11-07 2013-09-09 노정자 줄기세포 분리 키트
KR101489264B1 (ko) * 2013-09-16 2015-02-04 노정자 줄기세포 분리 키트 및 줄기세포 분리 방법
KR101694422B1 (ko) * 2016-06-28 2017-01-10 (주) 굿모닝 바이오 지방줄기세포 여과용기
WO2017194386A1 (fr) * 2016-05-09 2017-11-16 Euromi Appareil pour le prélèvement de cellules souches adipeuses
KR101829261B1 (ko) * 2017-11-01 2018-02-19 이정민 줄기세포 분리키트
KR101982766B1 (ko) * 2018-10-22 2019-05-28 엑셀 메디컬 센드리안 버허드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23B1 (ko) * 2013-01-17 2014-12-04 주식회사 휴림바이오셀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
KR101749932B1 (ko) * 2015-09-25 2017-06-23 주식회사 엔바이오텍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 분리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의 분리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714A (ko) * 2010-07-19 2012-02-01 (주)차바이오메드 원심분리용 셀 스트레이너 및 셀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원심분리방법
KR101306455B1 (ko) * 2011-11-07 2013-09-09 노정자 줄기세포 분리 키트
KR101489264B1 (ko) * 2013-09-16 2015-02-04 노정자 줄기세포 분리 키트 및 줄기세포 분리 방법
WO2017194386A1 (fr) * 2016-05-09 2017-11-16 Euromi Appareil pour le prélèvement de cellules souches adipeuses
KR101694422B1 (ko) * 2016-06-28 2017-01-10 (주) 굿모닝 바이오 지방줄기세포 여과용기
KR101829261B1 (ko) * 2017-11-01 2018-02-19 이정민 줄기세포 분리키트
KR101982766B1 (ko) * 2018-10-22 2019-05-28 엑셀 메디컬 센드리안 버허드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80739A (en) 2020-12-08
CN111073802B (zh) 2024-01-16
KR101982766B1 (ko) 2019-05-28
TW202015778A (zh) 2020-05-01
CN111073802A (zh) 2020-04-28
TWI720658B (zh) 202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85688A1 (ko)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WO2011052948A2 (ko) 재생성 세포 추출유닛 및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WO2011052946A2 (ko)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WO2013133529A1 (ko) 성분 분리기
KR101026599B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WO2013100700A1 (ko)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WO2011071294A2 (ko) 지방 조직 이식용 주사기 및 이를 갖는 지방 조직 분배 장치
WO2014168409A1 (ko) 자가 혈소판 추출을 위한 혈액 분리 용기
WO2014112794A1 (ko)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
WO2011136606A2 (ko)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WO2019103313A2 (ko)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WO2017213305A1 (ko) 원심 분리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svf 분리 방법
KR101489264B1 (ko) 줄기세포 분리 키트 및 줄기세포 분리 방법
KR101306455B1 (ko) 줄기세포 분리 키트
EP3174973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extraction of regenerative cellular components from adipose tissue
WO2014168311A1 (ko) 성분 분리기
WO2017051969A1 (ko)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 분리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의 분리 방법
KR101847471B1 (ko) 성분 분리기, 이를 포함하는 성분 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성분 분리방법
KR101316574B1 (ko)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WO2015037845A1 (ko) 성분분리기
WO2016195126A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WO2016006850A1 (ko) 세포분리 용기, 세포분리 시스템 및 세포분리 방법
CN211896902U (zh) 一种干细胞分离装置
CN104745473B (zh) 一种羊膜细胞分离收集纯化套装
CN104830682B (zh) 一种生物治疗用闭合式多功能集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73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1.09.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73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