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39364A2 - 당 분해 억제성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 분해 억제성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39364A2
WO2013039364A2 PCT/KR2012/007424 KR2012007424W WO2013039364A2 WO 2013039364 A2 WO2013039364 A2 WO 2013039364A2 KR 2012007424 W KR2012007424 W KR 2012007424W WO 2013039364 A2 WO2013039364 A2 WO 201303936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gar
sweetness
preventing
material composition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74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39364A3 (ko
Inventor
김영재
박진희
김민회
김성보
황세희
이영미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주)
Priority to JP201453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4526258A/ja
Priority to EP12832598.2A priority patent/EP2756764B1/en
Priority to PL12832598T priority patent/PL2756764T3/pl
Priority to DK12832598.2T priority patent/DK2756764T3/en
Priority to NO12832598A priority patent/NO2756764T3/no
Priority to ES12832598.2T priority patent/ES2649407T3/es
Priority to US14/345,156 priority patent/US20140349950A1/en
Priority to CN201280054649.0A priority patent/CN103929977B/zh
Publication of WO201303936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39364A2/ko
Publication of WO201303936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39364A3/ko
Priority to US15/234,331 priority patent/US2016034630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9Addition of sweetness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4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7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eetening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which contains glucose and fructose absorption inhibiting component, and glycolytic inhibitory sugar or sugar alcohol as an active ingredient.
  • Suga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weeteners that contain sucrose as the main ingredient and add sweetness to food. Since sugar has an excellent sweetness, it has been considered as the most preferred sweetener in the past to be added to various foods and processed foods to improve the taste and taste of food. Recently, however, problems have been raised as the hazards of sugar continue to be revealed. Specifically, the excessive intake of sugar is pointed out as a major cause of various lifestyle diseases such as caries, obesity, diabetes, an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weeteners to replace this situation is emerging worldwide.
  • Pscicose is a functional sugar known as rare sugars as an epimer of D-fructose. It shows high sweetness of about 60 to 70% of sugar, but calories are almost zero calories, so adult diseases such as obesity It is known to be effective in treatment.
  • glucose, fructose and other properties such as inhibiting the absorption of sugar in the body is known to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and is known to be excellent in solubility is one of the materials that are being used in foo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eetening ma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glucose and fructose absorption inhibiting component, and glycolytic inhibitory sugar or sugar alcohol as an active ingredient, and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which improves the quality of sweetness while showing the effect of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weet material composition.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eetening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which contains a glucose and fructose absorption inhibitory component and a sugar degradation inhibitory sugar or a sugar alcoho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glucose and fructose absorption inhibitory component provides a sweetness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including a psychosis.
  • the sugar or sugar alcohols include obesity comprising at least one sugar or sugar alcoho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gatose, xylose, arabinose, ribose, xylitol and erythritol It provides a sweetening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 a sweetness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further comprising a high sweetness sweet material in the composition.
  • the high sweetness sweetening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high sweetness sweetening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viol glycosides, sucralose, aspartame, Nahan fruit extract, licorice extract and somartin It provides a sweetening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ogether a component that inhibits glucose and fructose absorption, and a sugar or a sugar alcohol that inhibits the decomposition of sugar, thereby primarily inhibiting the degradation of sugar introduced through food, and secondly the degraded glucose and By inhibiting the absorption of fructose to prevent the intake of a large amount of sugar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sweet material composition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obesity.
  • Rebaudioside A of the high sweetness sweet material especially bitterness, metallic taste peculiar to a high sweetness sweet material including steviol glycosides, which is a natural material Excludes and the like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sweetness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excellent in sweetness.
  • FIG. 1 is a graph showing a blood sugar chang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blood glucose area chang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2.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eetening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which contains a glucose and fructose absorption inhibiting component and a sugar degradation inhibitory sugar or a sugar alcohol as an active ingredient.
  • a sweetening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which includes using cycos as an inhibitor of glucose and fructose absorption.
  • the sugar degradation inhibitory sugar or sugar alcohols include at least one sugar or sugar alcoho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gatose, xylose, arabinose, ribose, xylitol, and erythritol. It provides a sweetness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 Tagatose (Tagatose) is a stereoisomer of galactose, it can be produced by the chemical isomerization method with Ca (OH) 2 from D-galactose or by the bioconversion method using isomerase with D-galactose solution.
  • the tagatose is known as a low-calorie natural sugar of about 1.5 kcal per 1 g while showing a high sweetness corresponding to about 90% of the sugar, and is also one of the functional sugars having high potential for use in various foods because there are few side effects.
  • Xylose is a natural sugar present in birch, corn, etc., which has a sweetness of about 40% of sugar, and is known as one of several sweet materials that can supplement the harmfulness of sugar by supplementing sugar.
  • Xylose inhibits the breakdown of sugar by inhibiting the activity of sucrase, a sugar-degrading enzyme, when it is ingested simultaneously with sugar, which inhibits the absorption of sugar in the body and releases it to the outside of the body. It is recognized.
  • arabinose is a natural sugar present in conifers and is generally found as a component of polysaccharides (hemicellulose, plant rubber, pectin, etc.) and refers to sugars also present in some bacteria.
  • Arabinose inhibits sugar uptake, so adding only about 3% of sugar specifically inhibits sucrase activity, which breaks down sugar in the small intestine. This also suppresses the rapid rise in blood sugar levels.
  • Ribose is a kind of five-carbon sugar.
  • Xylitol is one of sugar alcohols obtained by reducing xylose extracted from birch, corn, and the like. Xylitol is known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tooth decay because xylitol has a pentose structure. Tooth decay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ooth decay such as mutans or sorbin bacteria ingests glucose or fructose in a food and then discharges the resulting lactate to corrode the surface of the tooth.
  • xylitol which is a saccharide, so that it does not generate acid, which causes tooth decay, and prevents caries from being depleted of nutrients as the cavities are removed from the tooth surface.
  • xylitol has a sweetness that is almost similar to sugar, and also has a refreshing feeling that cools the mouth.
  • the erythritol is a kind of sugar alcohol obtained from lichens, mushrooms, fruits, etc., and can be industrially obtained by converting glucose from microorganisms using yeast of the genus Aureobasidium .
  • a sweetness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further comprising a high sweetness sweetening material.
  • the high sweetness sweet material refers to a sweet material exhibiting a high sweetness of several times to several hundred times or more of the sugar.
  • the high sweetness sweetening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kind, but is preferably a high sweetness sweetness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viol glycosides, sucralose, aspartame, Nahan fruit extract, licorice extract and somato It may be a material.
  • the steviol glycoside refers to a material obtained by processing a water-soluble extract extracted from the leaves of Stevia rebaudiana , preferably Rebaudioside A (Reb A). have.
  • Rebaudioside A a material obtained by processing a water-soluble extract extracted from the leaves of Stevia rebaudiana , preferably Rebaudioside A (Reb A).
  • the rebaudioside A as a high sweetness sweet material, the bitterness, metallic taste, etc. peculiar to the high sweetness sweetness material including steviol glycosides are excluded, thereby providing a sweetness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excellent in sweetness.
  • Sucralose is obtained by substituting hydrogen and oxygen present in sugar with chlorine, and refers to an artificial sweetener that is a modified substance of sugar.
  • Aspartame is an amino acid-based artificial sweetener made by synthesizing phenylalanine and aspartic acid.
  • the Siraitia grosvenori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the fruit of the perennial herb Nagiaceae plant.
  • the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extra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use an extract prepared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or similar field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corice (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the perennial licorice belonging to the rosacea legume.
  • the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extra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use an extract prepared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or similar field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aumatin refers to a protein-based sweetener obtained by extracting and refining the fruit of Thaumatococcus daniellii .
  • the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extra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use an extract prepared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or similar field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weetness preventing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based on the weight of the glucose and fructose absorption inhibitory component, preferably the sugar or sugar alcohol of the weight of the glucose and fructose absorption inhibitory component 0.01 to 200 times by weight, more preferably 0.01 to 100 time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0.1 to 50 times by weight.
  • the sweetness materi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based on the weight of the glucose and fructose absorption inhibitory component, preferably contains a high sweetness sweet material at 0.001 times to 2 times the weight of the glucose and fructose absorption inhibitory component It may be included, more preferably 0.001 times to 1.5 times by weight, more preferably 0.001 times to 1 times by weight.
  • sweetener composition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1.
  • Comparative Example 1 5 g of sugar was used as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sweetener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and Examples 1 and 2 were prepared as shown in Table 1 to show sweetness similar to the relative sweetness of 5 g of sugar. .
  • erythritol used in Comparative Example 2 corresponds to a material that provides only sweetness without affecting blood sugar as an ingredient almost close to calories.
  • Rebaudioside A used in Example 2 is one of the steviol glycosides, and is one of the natural high sweeteners made by extracting only a sweet sweet ingredient from the steviol glycosides.
  • the method of ingesting the sweetener composition proceeded in such a manner that firstly, the subjects were fed the same meal, and then after the meal, the coffee containing the sweetener composition was ingested.
  • the meal provided to the subject was composed of 75 g bread, 20 g ham, 20 g lettuce, 20 g strawberry jam, 30 g crab meat, 10 g cheddar cheese.
  • the meal was 356.4 kcal, consisting of 59.57% of the total calories, 18.14% protein, 22.27% lipid.
  • coffee was prepared by mixing 1.6 g of sugar-free coffee and sweetener composition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Examples 1 and 2, respectively, in 200 g of warm water, and ingesting the same in the test subjects. .
  • blood sugar was measured before meals, and then meals were provided. Then, coffee was immediately measured and blood glucose was measured at 30 minute intervals for 2 hours.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to measure the area under the curve of glucose (G-AUC) at 30 minutes intervals for 2 hours.
  • Obesity is the energy that is absorbed from various components of the food is more than the energy consumed in the active amount, and it is common to accumulate.
  • Comparative Example 1 showed the highest blood sugar increase due to the addition of blood sugar caused by the meal and the sugar in the coffee
  • Comparative Example 2 showed only the blood sugar rise due to the meal
  • Comparative Example 3 is the action of the psychos Inhibition of monosaccharides in the small intestine by the effect of lowering the blood sugar rise due to meals.
  • Examples 1 and 2 showed significantly lower blood sugar absorption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s showing a rapid increase in blood sugar due to a meal, which was increased in sweetness by using rebaudioside A as a high sweetness sweetener. We believe this is attributable to a decrease in the usage of and psychocos.
  •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was evaluated based on a perfect score of 5, and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are shown in Table 6 below.
  • the sweet mater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xcellent synergistic effect by appropriately exhibiting a monosaccharide absorption inhibitory effect in the small intestine of the psychos and a carbohydrate decomposition inhibitory effect in the small intestine of the tagatose. This results in a significantly lower blood sugar level after meals, as well as reducing sugar absorbed into the body as a whole, which is excellent for preventing obesity and / or preventing obesity. We believe this corresponds to the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easoning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 및 당 분해 억제성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감미 소재 조성물로서, 비만의 예방 및 개선 효능과 감미의 질이 향상된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 분해 억제성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본 발명은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 및 당 분해 억제성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설탕은 수크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음식에 첨가하여 단맛을 내는 대표적인 감미료 중의 하나이다. 설탕은 뛰어난 감미도를 지니고 있어 과거부터 여러 음식, 가공 식품 등에 첨가되어 음식의 맛을 좋게 하고 입맛을 돋우는 가장 선호되는 감미료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설탕의 유해성이 계속하여 밝혀짐에 따라 문제가 제기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탕의 과잉 섭취가 충치는 물론 비만, 당뇨병 등 각종 생활 습관병의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어 이를 대체할 만한 감미료 개발의 필요성이 전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이코스(Pscicose)는 과당(D-fructose)의 에피머로서 희소당으로 알려진 기능성 당류의 일종으로, 설탕의 약 60 내지 70%의 높은 감미도를 나타내면서도 열량은 거의 제로 칼로리에 가까워 비만 등의 성인병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포도당, 과당 등 당의 체내 흡수를 저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당뇨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용해성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식품에의 활용이 주목되고 있는 소재 중 하나이다.
그러나, 사이코스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식품 첨가용 감미료로 활용하는 것은 사이코스가 비교적 우수한 감미도를 나타내기는 하나 설탕에 비하여는 상대적으로 낮은 감미도를 갖는다는 점에서 기존의 설탕의 단맛에 익숙해진 소비자들의 입맛을 충족시키기 어려워 소비자 기호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사이코스를 단독으로 사용하면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즉 사이코스를 단독으로 사용하면서도 일반적인 소비자에게 요구되는 감미를 얻기 위해서는 사이코스의 사용량을 다량 증가시켜 활용해야 함이 불가피해 보이고, 이는 사이코스를 활용한 식품에 지나친 농후감을 부여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오히려 음식의 식감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저칼로리이면서도 비교적 우수한 감미도를 나타내는 사이코스를 이용하여 비만 환자들에게 적절히 공급될 수 있고 나아가 비만 억제 또는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감미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원 발명과 관련된 선행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2403호 A (2009.07.30.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5805호 A (2011.04.06.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79160호 B1 (2007.11.19.공고) 등이 있다.
본원 발명은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 및 당 분해 억제성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감미 소재 조성물로서, 비만의 예방 및 개선 효능을 나타내면서 감미의 질을 향상시킨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일 양태는,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 및 당 분해 억제성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은 사이코스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로 타가토스, 자일로스, 아라비노스, 라이보스, 자일리톨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추가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감미도 감미 소재로, 스테비올배당체, 수크랄로스, 아스파탐, 나한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쏘마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0 배 중량의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 및 0.001 내지 2배 중량의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은 포도당 및 과당 흡수를 저해하는 성분 및, 당 분해를 억제하는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1차적으로는 음식을 통해 유입된 당의 분해를 억제하고 2차적으로는 분해된 포도당 및 과당의 흡수를 저해하여 다량의 당 섭취를 방지함으로써 비만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 및 당 분해 억제성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특정 비율로 함유하여, 임의의 비율로 제조된 감미 소재 조성물에 비해 비만 예방 및 개선 효과가 현저히 뛰어난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특정한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추가로 첨가함으로써, 칼로리는 낮추되 감미도는 높이는, 감미의 질이 향상된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감미도 감미 소재 중 레바우디오사이드 A(Rebaudioside A)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천연 소재이면서 스테비올배당체를 포함하는 고감미도 감미 소재 특유의 쓴맛, 금속성 맛 등이 배제되어 감미질이 뛰어난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혈당 변화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 따른 혈당 면적 변화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원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 발명은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 및 당 분해 억제성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으로 사이코스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당 분해 억제성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로 타가토스, 자일로스, 아라비노스, 라이보스, 자일리톨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타가토스(Tagatose)는 갈락토스의 입체이성질체로, D-갈락토스로부터 Ca(OH)2를 촉매로 한 화학적 이성화법으로 생산하거나 D-갈락토스 용액을 가지고 이성화 효소를 이용한 생물전환법으로 생산할 수 있다.
상기 타가토스는 설탕의 약 90%에 해당하는 높은 감미도를 나타내면서도 1 g당 약 1.5 kcal인 저칼로리 천연당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부작용이 거의 없어 다양한 식품에의 활용 가능성이 큰 기능성 당류 중 하나이다.
상기 자일로스(Xylose)는 자작나무, 옥수수 등에 존재하는 천연 당으로서 설탕의 약 40% 정도의 감미도를 갖는 것으로 설탕을 보조하여 설탕의 유해성을 보완할 수 있는 여러 감미 소재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자일로스는 이를 설탕과 동시에 섭취하는 경우, 설탕 분해 효소인 수크라제(sucr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설탕의 분해를 방해하는 결과, 설탕의 체내 흡수를 억제하고 이를 체외로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상기 아라비노스(Arabinose)는 침엽수 속에 존재하는 천연 당으로서 일반적으로는 다당(헤미셀룰로스ㆍ식물고무질ㆍ펙틴질 등)의 성분으로 발견되며 일부의 세균에도 존재하는 당류를 말한다. 아라비노스는 설탕 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설탕에 대해 약 3% 정도의 양만 첨가하면 소장에서 설탕을 분해하는 수크라아제 활성을 특이적으로 저해한다. 또한 이로 인해 혈당치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한다.
상기 라이보스(Ribose)는 탄소가 다섯 개인 5탄당의 일종을 말한다.
상기 자일리톨(Xylitol)은 자작나무, 옥수수 등으로부터 추출한 자일로스를 환원시켜 얻는 당 알코올류의 하나이다. 자일리톨이 충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자일리톨이 5탄당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충치란 뮤탄스균 또는 소르비누스균 등의 충치균이 음식물에 들어 있는 포도당 또는 과당 등을 섭취하고나서 그 결과물로 배출하는 젖산이 치아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충치균은 6탄당은 쉽게 분해할 수 있지만 5탄당인 자일리톨은 분해하지 못하므로 충치의 원인이 되는 산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영양소를 공급받지 못한 충치균이 치아 표면에서 이탈되면서 치아의 우식을 방지하여 주는 것이다. 나아가, 자일리톨은 설탕과 거의 비슷한 감미도를 나타내면서, 입 안을 시원하게 해주는 청량감 또한 가지고 있어 일찍이 껌, 사탕 등에 활용되어 오고 있는 감미 소재의 하나이다.
상기 에리스리톨(Erythritol)은 지의류, 버섯류, 과실 등에서 얻을 수 있는 당 알코올류의 일종으로, 공업적으로는 아우레오바시듐(Aureobasidium) 속의 효모를 사용하여 포도당으로부터 미생물 변환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추가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감미도 감미 소재는 설탕의 수배 내지 수백 배 이상의 높은 감미도를 나타내는 감미 소재를 말한다.
상기 고감미도 감미 소재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스테비올배당체, 수크랄로스, 아스파탐, 나한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쏘마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감미도 감미 소재일 수 있다.
상기 스테비올배당체(Steviol glycoside)는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Stevia rebaudiana)의 잎에서 추출한 수용성 추출물을 가공하여 얻어지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Rebaudioside A; Reb A)를 사용할 수 있다. 고감미도 감미 소재로 상기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사용하는 경우 스테비올배당체를 포함하는 고감미도 감미 소재 특유의 쓴맛, 금속성 맛 등이 배제되어 감미질이 뛰어난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레바우디오사이드 A와 타가토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소재에 내재된 감미질의 단점을 보완해 주는 시너지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어, 타가토스의 감미 지속성이 부족한 점은 레바우디오사이드 A가 보완해주고,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약간의 쓴맛은 타가토스가 방지주며 상기 타가토스 및 레바우디오사이드 A와 함께 작용하여 입안에서의 묵직한 식감인 벌키(Bulky)한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수크랄로스(Sucralose)는 설탕에 존재하는 수소 및 산소를 염소로 치환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설탕의 변형 물질인 인공 감미료를 말한다.
상기 아스파탐(Aspartame)은 페닐알라닌 및 아스파르트산을 합성하여 만든 아미노산계 인공 감미료를 말한다.
상기 나한과(Siraitia grosvenori) 추출물은 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나한과 식물의 과실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말한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추출물은 그 추출 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추출물은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감초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말한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추출물은 그 추출 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쏘마틴(Thaumatin)은 타우마토코쿠스 다닐엘리이(Thaumatococcus daniellii)의 열매를 추출한 후 정제함으로써 얻어지는 단백질계 감미료를 말한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추출물은 그 추출 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은 상기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의 중량의 0.01 배 내지 200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배 내지 100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배 내지 50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은 상기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의 중량의 0.001 배 내지 2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배 내지 1.5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배 내지 1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감미료 섭취 시 소장에서의 단당류 흡수 억제 효과 및 소장 내에서의 탄수화물 분해 억제 효과가 적절히 발휘되어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발현하고, 이로써 식사 후 급격히 증가하는 혈당을 유의적으로 낮추어 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체내에 흡수되는 당을 줄여줌으로써 비만의 개선 및/또는 비만을 예방하는 데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이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기술함으로써 본원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원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
감미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감미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로 설탕 5 g을 사용하였고, 비교예 2, 3 및 실시예 1, 2의 감미료 조성물은 설탕 5 g의 상대 감미도와 유사한 감미도를 나타내도록 하기 표 1과 같이 배합하여 감미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원료(g) 공급사 원료 1 g당상대 감미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설탕 CJ 제일제당 1 5 - - - -
에리스리톨 Zivogreen 0.63 - 8 - - -
사이코스 CJ 제일제당 0.56 - - 9 4 2.1
타가토스 CJ 제일제당 0.92 - - - 3 2
레바우디오사이드 A GLG 200 - - - - 0.01
감미료 조성물의 상대 감미도 5 5.04 5.04 5 5.02
상기 감미료 조성물 중, 비교예 2에서 사용한 에리스리톨은 거의 제조 칼로리에 가까운 성분으로서 혈당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감미만을 제공하는 소재에 해당한다. 실시예 2에서 사용한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스테비올 배당체의 하나로 스테비올 배당체 중 순수한 단맛을 내는 성분만을 추출하여 만든 천연 고감미료의 하나이다.
실험예 1
혈당 변화 측정
(1) 혈당 측정을 위한 시료 준비 및 섭취 방식
상기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각각의 감미료 조성물을 섭취한 후의 혈당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공복 시 혈당 지수가 100 mg/dL 이하인 정상인 군 20~40 대 남자 5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감미료 조성물의 섭취 방식은, 우선 피실험자들에게 동일한 식사를 제공하고 식후 상기 감미료 조성물이 각각 함유된 커피를 섭취하게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피실험자에게 제공된 식사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재료 사용량 (g)
식빵 75
20
양상추 20
딸기잼 20
게맛살 30
체다치즈 1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실험자에게 제공된 식사는 식빵 75 g, 햄 20 g, 양상추 20 g, 딸기잼 20 g, 게맛살 30 g, 체다 치즈 10 g으로 구성되었다. 우리 나라 식품 성분표 (Can pro 3.0, 한국영양학회)를 dl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기 식사는 총 356.4 kcal로, 총 열량 중 당질 59.57%, 단백질 18.14%, 지질 22.27%로 구성되었다.
상기의 식사를 제공한 후, 따뜻한 물 200 g에 무설탕 커피 1.6 g 및 상기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감미료 조성물을 각각 혼합하여 커피를 제조하고 이를 피실험자들에서 섭취하도록 하였다.
제공된 커피 조성물은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원료(g) 공급사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커피 동서식품 1.6 1.6 1.6 1.6 1.6
설탕 CJ 제일제당 5 - - - -
에리스리톨 Zivogreen - 8 - - -
사이코스 CJ 제일제당 - - 9 4 2.1
타가토스 CJ 제일제당 - - - 3 2
레바우디오사이드 A GLG - - - - 0.01
피실험자들의 식후 혈당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식사 전 혈당을 측정한 후 식사를 제공한 다음, 바로 커피를 제공하여 2 시간 동안 30분 간격으로 혈당을 측정하였다.
식사 및 커피 섭취 후의 혈당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도 1 참조).
표 4
시간 (분) 0 (식사 전) 30 60 90 120
혈당(mg/dL) 비교예 1 93.1 139.1 123.7 98.5 96.7
비교예 2 92.8 137.1 121.6 97.7 97.2
비교예 3 92.4 123.3 114.5 93.1 94.1
실시예 1 92.9 *114.3 *105.5 *93.4 92.8
실시예 2 93.2 *118.3 *109.5 *92.9 92.4
*는 실시예 1 및 2 중, 비교예 1(설탕) 대비 p < 0.01 이하로 유의차를 나타내는 구간을 표시한 것이다.
실험예 2
혈당 면적 변화 측정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2 시간 동안 30분 간격으로 피실험자들의 혈당 면적(Area under the curve of glucose; G-AUC)을 측정하였다.
혈당 면적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시간 (분) 30 60 90 120
혈당 면적(mg/dL x 분) 비교예 1 3483 7425 10758 13686
비교예 2 3449 7329 10619 13542
비교예 3 3236 6803 9917 12725
실시예 1 3108 6405 9389 12182
실시예 2 3173 6590 9626 12405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비교할 때 실시예 1 및 2에서 모두 120 분간 혈당 면적에서 유의적 감소를 보였다(도 2 참조).
상기 실험예 1 및 2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식후에 식사로 인한 혈당 상승 구간이 약 60 분까지 진행되었고, 식후 60 분 이후부터는 혈당이 다시 공복 시의 수준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을 보였다.
식사 후 감미료 조성물이 함유된 커피 섭취로 인한 혈당 변화를 살펴보면, 커피 섭취 후 약 60 분까지의 혈당 상승치는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3, 실시예 2, 실시예 1 순서로 나타났다.
비만은 음식물의 여러 성분으로부터 흡수되는 에너지가 활동량으로 소모되는 에너지보다 많고 그것이 누적되어 생기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비교예 1은 식사로 인한 혈당과 커피 내 함유된 설탕에 의한 혈당 상승이 더해져서 가장 높은 혈당 상승을 나타내었고, 비교예 2는 식사로 인한 혈당 상승만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3은 사이코스의 작용에 의한 소장 내 단당류의 흡수 억제로 식사로 인한 혈당 상승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및 2는 식사로 인한 급격한 혈당 상승을 나타내는 비교예들과 비교할 때, 상당히 낮은 혈당 흡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감미도 감미 소재로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사용함으로써 감미도가 높아져 타가토스와 사이코스의 사용량이 줄어든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감미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감미료 조성물의 관능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20~50 대의 성인 남녀 총 25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험예 1에서 커피를 제조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탕 커피(상기 실험예 1의 비교예 1에 해당) 및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감미료 조성물을 각각 함유한 커피를 제조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평가 점수는 5 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가되었으며, 상기 관능 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전반 기호도 색상 기호도 전반 향 기호도 맛 기호도 뒷맛 기호도
설탕커피 3.30 3.62 3.52 3.34 3.22
실시예 1 3.15 3.60 3.35 3.28 3.22
실시예 2 3.32 3.55 3.50 3.35 3.25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를 살펴볼 때, 본원 발명의 감미 소재 조성물은 사이코스의 소장에서의 단당류 흡수 억제 효과 및 타가토스의 소장 내에서의 탄수화물 분해 억제 효과가 적절히 발휘되어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발현하고, 이로써 식사 후 급격히 증가하는 혈당을 유의적으로 낮추어 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체내에 흡수되는 당을 줄여줌으로써 비만의 개선 및/또는 비만을 예방하는 데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비만의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6)

  1.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 및 당 분해 억제성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은 사이코스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는 타가토스, 자일로스, 아라비노스, 라이보스, 자일리톨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추가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감미도 감미 소재는, 스테비올배당체, 수크랄로스, 아스파탐, 나한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쏘마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0배 중량의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 및 0.001 내지 2배 중량의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PCT/KR2012/007424 2011-09-15 2012-09-17 당 분해 억제성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WO2013039364A2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30600A JP2014526258A (ja) 2011-09-15 2012-09-17 糖分解抑制性成分を含有する肥満予防及び改善用甘味素材組成物
EP12832598.2A EP2756764B1 (en) 2011-09-15 2012-09-17 Sweetener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containing glycolysis inhibitor ingredient
PL12832598T PL2756764T3 (pl) 2011-09-15 2012-09-17 Kompozycja środka słodzącego do zapobiegania i zmniejszania otyłości, zawierająca składnik będący inhibitorem glikolizy
DK12832598.2T DK2756764T3 (en) 2011-09-15 2012-09-17 Sweetener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Relief of Obesity Containing Glucolysis Ingredient
NO12832598A NO2756764T3 (ko) 2011-09-15 2012-09-17
ES12832598.2T ES2649407T3 (es) 2011-09-15 2012-09-17 Composición edulcorantes para prevenir y mejorar la obesidad, que contiene ingrediente inhibidor de la glucólisis
US14/345,156 US20140349950A1 (en) 2011-09-15 2012-09-17 Sweetener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containing glycolysis inhibitor ingredient
CN201280054649.0A CN103929977B (zh) 2011-09-15 2012-09-17 含糖解抑制剂成分的预防和改善肥胖症的甜味剂组合物
US15/234,331 US20160346305A1 (en) 2011-09-15 2016-08-11 Sweetener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containing glycolysis inhibitor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800 2011-09-15
KR20110092800 2011-09-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345,156 A-371-Of-International US20140349950A1 (en) 2011-09-15 2012-09-17 Sweetener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containing glycolysis inhibitor ingredient
US15/234,331 Continuation US20160346305A1 (en) 2011-09-15 2016-08-11 Sweetener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containing glycolysis inhibitor ingred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9364A2 true WO2013039364A2 (ko) 2013-03-21
WO2013039364A3 WO2013039364A3 (ko) 2013-05-10

Family

ID=4788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7424 WO2013039364A2 (ko) 2011-09-15 2012-09-17 당 분해 억제성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40349950A1 (ko)
EP (1) EP2756764B1 (ko)
JP (2) JP2014526258A (ko)
KR (1) KR101466260B1 (ko)
CN (1) CN103929977B (ko)
DK (1) DK2756764T3 (ko)
ES (1) ES2649407T3 (ko)
NO (1) NO2756764T3 (ko)
PL (1) PL2756764T3 (ko)
WO (1) WO201303936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5487A (ja) * 2014-05-20 2017-06-15 テート アンド ライル イングリーディエンツ アメリカズ エルエルシー 改善された甘味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81534B1 (en) * 2015-03-20 2019-05-08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 Erythritol-containing sweetener composition
CN104739848A (zh) * 2015-04-07 2015-07-01 福州乾正药业有限公司 L-阿拉伯糖与塔格糖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药物应用
CN109152382A (zh) * 2016-05-04 2019-01-04 Cj第制糖株式会社 用于抑制血糖升高的包含咖啡和塔格糖的功能性保健食品
KR101876534B1 (ko) * 2016-09-02 2018-07-13 주식회사 삼양사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04914B1 (ko) * 2016-10-10 2019-07-30 씨제이제일제당 (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식물 담금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4778B1 (ko) 2016-11-16 2017-12-06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기능성 희소당 알룰로스의 생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6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WO2018097623A1 (ko) * 2016-11-24 2018-05-31 씨제이제일제당(주) 품질이 개선된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JP7102943B2 (ja) * 2018-05-28 2022-07-2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有機ビヒクル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ペースト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60B1 (ko) 2005-12-29 2007-11-28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타가토스를 함유하는 저혈당지수 혼합 조성물
KR20090082403A (ko) 2006-11-17 2009-07-30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징 카가와다이가쿠 글루코키나아제의 핵으로부터 세포질로의 이행의 촉진화제로서, 희소당의 기능의 이용
KR20110035805A (ko) 2009-09-30 2011-04-06 씨제이제일제당 (주) 사이코스-에피머화 효소의 고정화 및 이를 이용한 사이코스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080A (ja) * 1992-03-10 1994-03-08 Godo Shiyusei Kk α−グルコシダ−ゼ阻害剤を含有する、過血糖付随疾患の予防・治療剤、および保健食
JP2002500028A (ja) * 1998-01-05 2002-01-08 エムディ フーズ エイ.エム.ビィ.エイ. 相乗剤及びフレーバー強化剤としてのd−タガトースの使用
WO2002058710A1 (en) * 2001-01-25 2002-08-01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Tagatose as a novel treatment for metabolic syndrome x, dyslipidemia, and coronary artery disease
EP3175858B1 (en) * 2002-05-22 2019-08-21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 Therapeutic use of d-allose for the treatment of liver cancer or skin cancer
JP2005145905A (ja) * 2003-11-18 2005-06-0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血圧降下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5421512B2 (ja) * 2004-01-30 2014-02-19 帝國製薬株式会社 D−プシコースの血糖上昇抑制効果の利用
EP1817964A1 (en) * 2006-02-13 2007-08-15 Sweetwell NV Functional sugar replacement
US8071558B2 (en) * 2005-03-23 2011-12-06 Rare Sugar Production Technical Research Laboratories, Llc. Application of D-psicose to suppression of abnormal circadian increase in blood glucose level
US8512789B2 (en) * 2005-11-23 2013-08-20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dietary fiber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JP4942001B2 (ja) * 2006-11-10 2012-05-30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D−プシコース含有甘味料およびそれを使用して得られた飲食品など
US20080226773A1 (en) * 2007-03-14 2008-09-18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Sweetened with Rebaudioside A
EP2156751B8 (en) * 2007-05-18 2018-11-14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 Novel sweetener having sugar-like taste and production method and use of the same
US20080292765A1 (en) * 2007-05-22 2008-11-27 The Coca-Cola Company Sweetness Enhancers, Sweetness Enhanced Sweetener Compositions,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WO2009006200A1 (en) * 2007-06-29 2009-01-08 Mcneil Nutritionals, Llc Erythritol and stevia (rebaudioside a) containing tabletop sweetener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20090162487A1 (en) * 2007-12-21 2009-06-25 The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products and flavor systems having a non-sweetening amount of rebaudioside 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60B1 (ko) 2005-12-29 2007-11-28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타가토스를 함유하는 저혈당지수 혼합 조성물
KR20090082403A (ko) 2006-11-17 2009-07-30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징 카가와다이가쿠 글루코키나아제의 핵으로부터 세포질로의 이행의 촉진화제로서, 희소당의 기능의 이용
KR20110035805A (ko) 2009-09-30 2011-04-06 씨제이제일제당 (주) 사이코스-에피머화 효소의 고정화 및 이를 이용한 사이코스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756764A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5487A (ja) * 2014-05-20 2017-06-15 テート アンド ライル イングリーディエンツ アメリカズ エルエルシー 改善された甘味料
AU2015263073B2 (en) * 2014-05-20 2018-11-29 Tate & Lyle Solutions Usa Llc Improved sweetener
EP3154378B1 (en) 2014-05-20 2020-07-08 Tate & Lyle Ingredients Americas LLC Improved sweetener
JP2020171296A (ja) * 2014-05-20 2020-10-22 テート アンド ライル イングリーディエンツ アメリカズ エルエルシー 改善された甘味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35122A (ja) 2016-07-28
US20140349950A1 (en) 2014-11-27
EP2756764A4 (en) 2015-06-03
KR20130029753A (ko) 2013-03-25
JP6401193B2 (ja) 2018-10-03
JP2014526258A (ja) 2014-10-06
CN103929977B (zh) 2016-08-10
PL2756764T3 (pl) 2018-03-30
EP2756764A2 (en) 2014-07-23
DK2756764T3 (en) 2018-01-22
KR101466260B1 (ko) 2014-11-28
WO2013039364A3 (ko) 2013-05-10
ES2649407T3 (es) 2018-01-11
US20160346305A1 (en) 2016-12-01
CN103929977A (zh) 2014-07-16
EP2756764B1 (en) 2017-10-18
NO2756764T3 (ko) 2018-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39364A2 (ko) 당 분해 억제성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WO2013039365A2 (ko) 지소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US20200325515A1 (en) Methods for the Enzymatic Modification of Steviol Glycosides, Modified Steviol Glycosides Obtainable Thereby, and the Use Thereof as Sweeteners
US8501261B2 (en) High-purity Rebaudioside C and process for purification of the same
Carakostas et al. Steviol glycosides
BR122019003378B1 (pt) composição ingerível doce, produto alimentício ou de bebida, preparado de droga, farmacêutico ou cosmético, edulcorante e produto compreendendo a composição ingerível doce
CN108484698A (zh) 用于提高莱鲍迪苷x溶解度的组合物和方法
CA2968973C (en) Novel diterpene glycosides, compositions and purification methods
BR112019024859B1 (pt) Composição modificadora de doçura, composição adoçada compreendendo a mesma e uso de 11-omogrosídeo v
WO2018066825A1 (ko)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 토마토 케첩
Sharma et al. Chemistry and in vivo profile of ent-kaurene glycosides of Stevia rebaudiana Bertoni—An overview
US20220211088A1 (en) Scutellar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aste modulation
EP392210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fructose-transferred steviol glycoside
WO2020184994A1 (ko) 당전이 스테비오사이드 및 당전이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1040255A1 (ko) 신규한 저혈당지수 감미제
Junbi et al. Biological properties of Stevia sweetener and egg replacers products on serum biochemical markers of diabetic rats
Muñoz-Labrador et al. A review of the state of sweeteners science: the natural versus artificial non-caloric sweeteners debate. Stevia rebaudiana and Siraitia grosvenorii into the spotlight
WO2023101398A1 (ko) 밀크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hoo et al. Emerging natural and high-phenolic sweet substances: a review.
Rayo-Mendez et al. Natural Sweeteners
WO2018079977A1 (ko) 타가토스를 포함하는 식물 담금청 및 이의 제조방법
Fullas Structure elucidation of bioactive constituents of Baccharis gaudichaudi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325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3060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4515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32598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