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73458A2 -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73458A2
WO2012173458A2 PCT/KR2012/004818 KR2012004818W WO2012173458A2 WO 2012173458 A2 WO2012173458 A2 WO 2012173458A2 KR 2012004818 W KR2012004818 W KR 2012004818W WO 2012173458 A2 WO2012173458 A2 WO 201217345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ant cells
active substance
acid
plant cell
stabi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8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73458A9 (ko
WO2012173458A3 (ko
Inventor
김겸손
권이경
박홍근
박성일
김연준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JP201451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JP6151686B2/ja
Priority to CN201280035167.0A priority patent/CN103648481B/zh
Publication of WO201217345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73458A2/ko
Publication of WO2012173458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73458A9/ko
Publication of WO201217345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7345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tried to develop a method for stabilizing an active substance which is simpler and more biocompatible.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y identifying that the stability of the active substance is increased when the active substance is introduced into the plant cell, particularly in the cell wall.
  •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ctive substance stabilized in plant cell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plant cell comprising the stabilized active substance after stabilizing the active substanc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lant cell comprising a stabilized active material.
  • the active material of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philic material and a hydrophobic material.
  • the active substanc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gallic acid (Gallic acid), amino acids, phytic acid (Phytic acid), vitamin C, L-Ascorbic acid (L-Ascorbic acid), arbutin, fructose Diphosphate, trisodium fructose, 1, 6-diphosphate adenosine, niacinamide, genistein, flavonoids,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retinol, hesperidin, oleanolic acid, polymethyl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ate, thymol trimethoxycinnamate, red ginseng saponin, hydrolyzed ginseng saponin and ascorbyl glucoside.
  • the plant cell is preferably using a cell wall.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lant cell comprising the stabilized active material after stabilizing the active material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the active material of the method for producing plant cells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philic material and hydrophobic material.
  • the active material of the method for producing plant cells is gallic acid (Gallic acid), amino acids, phytic acid (Phytic acid), vitamin C, L-Ascorbic acid (L-Ascorbic acid), Arbutin, Fructose Diphosphate, Trisodium Fructose, 1, 6-Diphosphate Adenosine, Niacinamide, Genistein, Flavonoids,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Retinol, Hesperidin, Oleanolic Acid ), Polymethyl methacrylate, thymol trimethoxycinnamate, red ginseng saponin, hydrolyzed ginseng saponin and ascorbyl glucoside.
  • 1 is a proof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stabilizing active substances into plant cells.
  • 3A to 3C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the component analysis using HPLC chromatograms for Samples 5 to 7, which are hydrophobic active substanc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respective standard reagents.
  • 5A to 5C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formulation stability after introducing the hydrophobic active sub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plant cells.
  • the plant cells are preferably used after the attached multi-cells are made into single cells through pretreatment through a combination of enzymes.
  • the enzyme may be used any kind of enzyme selected in the art.
  • the term "active substance" refers to a substance that enhances or inhibits the function of a living body.
  • the active substanc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philic substance and a hydrophobic substance.
  • the active material may be a hydrophilic material.
  • Hydrophilic active subst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allic acid (Gallic acid), amino acids, phytic acid (vitamin), vitamin C, L- Ascorbic acid (L-Ascorbic acid), arbutin, fructose diphosphate, trisodium fructose, 1 , 6-diphosphate adenosine and niacinamide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ferably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allic acid (Gallic acid), amino acids, phytic acid and vitamin C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lant cells preferably use a cell wall.
  • solvent solvent refers to any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the active substance, and refers to water, ethanol, ethyl acetate, butylene glycol, methanol, propanediol, and the like.
  • the soluble solvent is water, ethanol, methanol, butanol, propanol, propanediol,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pentylene glycol, hexanediol, chloroform, ethyl acetate , Dichloromethane, hexane, petroleum ether and diethyl ether may be one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wo or more mixed solvents, preferably water, ethanol, methanol, more preferably water, ethanol.
  • the term 'high pressure condit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conditions suitable for the introduction of active substances into plant cells, specifically 0.01 MPa-500 MPa, more preferably 0.1 MPa-100 MPa, most preferably 0.5 MPa-20 MPa.
  • the method for stabilizing the active substance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causing a dehydration reaction from the plant cell into which the active substance is introduced in order to increase the intake rate of the active substance, Obtaining the introduced plant cells may be further included.
  • reverse osmosis refers to a process of sending a solvent to a lower concentration of solute by applying a pressure greater than osmotic pressure to a lower concentration of solute (Reverse Osmosis (R / O): Selecting a Reverse Osmosis) Unit By Arthur Fisher et.al.
  • a method of reverse osmosis can be used by adding a salt containing a sodium or potassium element.
  • Obtaining plant cells into which the active substance has been introduced includes methods for cell harvesting that are commonly used, but methods of obtaining through filters or / and centrifugation may be used. When using a filter, 1.2-50 um and 40-200 mesh are preferable, and when using centrifugation, 100-9,000 rpm and 0-25 degreeC are preferable.
  • the content of the stabilized active substance in the plant cells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1 to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t does not exhibit activity at 0.001% or less and the feeling of use of the formulation at 10% or more Affects stability.
  • Gallic acid (> 99%, Sigma, USA) was added to 10% by weight of tertiary distilled water and stirred for 30 minutes. Subsequently, 10% by weight of soluble gallic acid and 10% by weight of plant cells (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were added to 80%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and then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was used. And stirred at 800 rpm, 20 °C, conditions for 1 hour. After stirring, the plant cell mixture was added with high pressure at 20 MPa, 25 ° C. for 1 hour using a high pressure device (TFS-2L, TOYO KOATSU CO., LTD., JPN).
  •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 2%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NaCl) was added to the plant cell mixture, which was subjected to high pressure, using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to induce reverse osmosis for 1 hour at 800 rpm, 20 ° C., and dehydration. Thereafter, centrifuge (Supra 22K, Hanil, KOR) using a centrifuge at 9,000 rpm, 15 °C high-speed centrifugation for 20 minutes to obtain a plant cell in which the active material is introduced.
  •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 Amino acid (AAS, Agilent, USA) was added to 20%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and stirred for 30 minutes. Subsequently, 20% by weight of the amino acid solubles and 1% by weight of plant cells (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were added to 79%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and then 800rpm using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Stirred at 20 ° C. for 1 hour. After stirring, the plant cell mixture was added with high pressure at 20 MPa, 25 ° C. for 1 hour using a high pressure device (TFS-2L, TOYO KOATSU CO., LTD., JPN).
  • TFS-2L TOYO KOATSU CO., LTD., JPN
  • sample 2 The plant cells were washed with 100-fold saline (0.9% NaCl aqueous solution) and then centrifuged at 9,000 rpm and 15 ° C for 20 minutes using a centrifuge (Supra 22K, Hanil, KOR). Samples were obtained. This thus obtained was referred to as "sample 2" and was used in the following test example.
  • Phytic acid 50% (w / w), Sigma, USA was added to the tertiary distilled water at 10% by weight and stirred for 30 minutes. Thereafter, 10% by weight of phytic acid solubles and 10% by weight of plant cells (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were added to 80%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using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Stirred at 800 rpm, 20 ° C, conditions for 1 hour. After stirring, the plant cell mixture was subjected to high pressure for 1 hour at 20 MPa and 25 ° C using a high pressure device (TFS-2L, TOYO KOATSU CO., LTD., JPN).
  • a high pressure device TFS-2L, TOYO KOATSU CO., LTD., JPN
  • 2%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NaCl) was added to the plant cell mixture, which was subjected to high pressure, using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to induce reverse osmosis for 1 hour at 800 rpm, 20 ° C., and dehydration. Thereafter, centrifuge (Supra 22K, Hanil, KOR) using a centrifuge at 9,000 rpm, 15 °C high-speed centrifugation for 20 minutes to obtain a plant cell in which the active material is introduced.
  •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 sample 3 The plant cells were washed with 100-fold saline solution (0.9% NaCl solution) and then centrifuged (Supra 22K, Hanil, KOR) for 20 minutes at 9,000 rpm and 15 ° C using a centrifuge. To obtain a sample. This thus obtained was referred to as "sample 3" and was used in the following test example.
  • L-ascorbic acid > 99%, Samchun, KOR
  • 10% by weight of ascorbic acid solubles and 10% by weight of plant cells 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 BL3000, Heidon, JPN a propeller mixer
  • the plant cell mixture was subjected to high pressure for 1 hour at 20 MPa and 25 ° C using a high pressure device (TFS-2L, TOYO KOATSU CO., LTD., JPN).
  • 2%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NaCl) was added to the plant cell mixture, which was subjected to high pressure, using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to induce reverse osmosis for 1 hour at 800 rpm, 20 ° C., and dehydration. Thereafter, centrifuge (Supra 22K, Hanil, KOR) using a centrifuge at 9,000 rpm, 15 °C high-speed centrifugation for 20 minutes to obtain a plant cell in which the active material is introduced.
  •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 sample 4" The plant cells were washed with 100-fold saline (0.9% NaCl aqueous solution) and then centrifuged at 9,000 rpm and 15 ° C for 20 minutes using a centrifuge (Supra 22K, Hanil, KOR). Samples were obtained. This thus obtained was referred to as "sample 4" and was used in the following test example.
  • Genistein (> 99%, Sigma, USA) was added to 99.5% ethyl alcohol (Ethyl Alcohol, Ethanol) 5% by weight and stirred for 30 minutes. Subsequently, 10% by weight of Zenysteine solubles and 10% by weight of plant cells (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were added to 80%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and then 800 rpm using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Stirred at 20 ° C. for 1 hour. After stirring, the plant cell mixture was subjected to high pressure for 1 hour at 20 MPa and 25 ° C using a high pressure device (TFS-2L, TOYO KOATSU CO., LTD., JPN).
  • a high pressure device TFS-2L, TOYO KOATSU CO., LTD., JPN
  • 2%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NaCl) was added to the plant cell mixture, which was subjected to high pressure, using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to induce reverse osmosis for 1 hour at 800 rpm, 20 ° C., and dehydration. Thereafter, centrifuge (Supra 22K, Hanil, KOR) using a centrifuge at 9,000 rpm, 15 °C high-speed centrifugation for 20 minutes to obtain a plant cell in which the active material is introduced.
  •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 sample 5" The plant cells were washed with 100-fold saline (0.9% NaCl aqueous solution) and then centrifuged at 9,000 rpm and 15 ° C for 20 minutes using a centrifuge (Supra 22K, Hanil, KOR). Samples were obtained. This thus obtained was referred to as "sample 5" and was used in the following test example.
  • Epigallocatechin gallate > 99%, Sigma, USA was added to 5% by weight of 70% ethyl alcohol (Ethyl Alcohol,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stirred for 30 minutes. Then, 10% by weight of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solubles and 10% by weight of plant cells (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were added to 80%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and then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was stirred at 800 rpm, 20 °C, conditions for 1 hour. After stirring, the plant cell mixture was added with high pressure at 20 MPa, 25 ° C.
  •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
  • JPN propeller mixer
  • sample 6 The plant cells were washed with 100-fold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0.9% NaCl solution) and then centrifuged at 9,000 rpm and 15 ° C for 20 minutes using a centrifuge (Supra 22K, Hanil, KOR). Samples were obtained. This thus obtained was referred to as “sample 6", and was used in the following test examples.
  • Retinol (> 99%, Sigma, USA) was added to 5% by weight of 99.5% ethyl alcohol (Ethyl Alcohol,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stirred for 30 minutes. Subsequently, 10% by weight of retinol solubles and 10% by weight of plant cells (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were added to 80%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and 800 rpm using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Stirred at 20 ° C. for 1 hour.
  • ethyl alcohol Ethyl Alcohol, Ethanol
  • the plant cell mixture was subjected to high pressure for 1 hour at 20 MPa and 25 ° C using a high pressure device (TFS-2L, TOYO KOATSU CO., LTD., JPN).
  • 2%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NaCl) was added to the plant cell mixture, which was subjected to high pressure, using a propeller mixer (BL3000, Heidon, JPN) to induce reverse osmosis for 1 hour at 800 rpm, 20 ° C., and dehydration.
  •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Samples were prepared with a suitable concentration in each solvent, filtered through a 0.2 um disk filter, pretreated and injected into the instrument.
  • the instrument was analyzed in the UV 254-340 nm region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 and 2% using C18 column (Zorbax XDB-C18 4.6 x 250mm, Agilent, USA). It was analyzed by the gradient method using an acetic acid solvent and acetonitrile (ACN) solvent.
  • the solvent used in the analysis was an HPLC grade reagent, and the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allic acid (> 99%, Sigma, USA) as a standard.
  •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ure 2a], [Table 1].
  • the sample was prepared with a suitable concentration in each solvent, filtered through a 0.2 um disk filter, and after pretreatment, o-phthalaldehyde (o-phthalaldehyde, OPA Agilent), 9 Fluorescence detector (FL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 after formation of fluorescent isoindole using 9-fluorenylmethylchloroformate.FMOC derivative , Agilent Technologies, USA), and the calibration curve was prepared using a 250 pM Amino Acid Analysis Standard (AAS, Agilent, USA) as a standard, and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 2B] and [Table 1].
  • a sample was prepared with a suitable concentration in each solvent, filtered through a 0.2 um disk filter, and then subjected to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 the phytic acid was detected by using an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 (ELSD 3300, Alltech, USA) using HPLC, Agilent, USA.
  • the eluate was tertiary distilled water, the column temperature was 25 ° C, and the flow rate was 0.5 ml / min.
  • a calibration curve was prepared using L-ascorbic acid (> 99%, Samchun, KOR) as a standard, and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 2D] and [Table 1].
  • the content of the stabilizing sample in the hydrophilic active substance plant cell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s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is calculated and expressed based on Equation 1 below.
  •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Samples were prepared with appropriate concentrations in each solvent, filtered through a 0.2 um disc filter, pretreated and injected into the instrument.
  • the instrument was analyzed in the UV 254-340 nm region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 and 2% using C18 column (Zorbax XDB-C18 4.6 x 250mm, Agilent, USA). It was analyzed by the gradient method using an acetic acid solvent and acetonitrile (ACN) solvent.
  • ACN acetonitrile
  • the solvent used in the analysis was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class reagent, and the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enistein (> 99%, Sigma, USA) as a standard.
  • Genistein > 99%, Sigma, USA
  •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 3A] and [Table 2].
  •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
  •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Samples were prepared with a suitable concentration in each solvent, filtered through a 0.2 um disk filter, pretreated and injected into the instrument.
  • the instrument was analyzed in the UV 254-340 nm region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 and 2% using C18 column (Zorbax XDB-C18 4.6 x 250mm, Agilent, USA). It was analyzed by the gradient method using an acetic acid solvent and acetonitrile (ACN) solvent.
  • ACN acetonitrile
  • the solvent used in the analysis was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grade reagent, and the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pigallocatechin gallate (> 99%, Sigma, USA) as a standard.
  •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 3B] and [Table 2].
  •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the solvent used in the analysis was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grade reagent, and the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tinol (> 99%, Sigma, USA) as a standard.
  •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 3C] and [Table 2].
  • the content of the stabilizing sample in the hydrophobic active material plant cell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s shown in Table 2 below, an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was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1 above.
  • Component composition of the nutrient cream containing the gallic acid stabilized in the plant cell according to Example 1 was prepared by configuring as shown in Table 3 below.
  • the aqueous components of the raw materials 12 to 18 are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to 80 ° C., and then the raw materials 1 to 11 are heated to 80 ° C. and added to the solution of the raw materials 12 to 18 and homomixer (Homo Mixer Mark II, Primix, JPN) was emulsified at 3000 rpm for 15 minutes. Then, the raw material 19 was thrown in, stirred for 5 minutes, and cooled to room temperature.
  • homomixer Homo Mixer Mark II, Primix, JPN
  • Component composition of the nutrient cream containing amino acids stabilized in the plant cell according to Example 2 was prepared as shown in the [Table 4].
  • the aqueous components of the raw materials 12 to 18 are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to 80 ° C., and then the raw materials 1 to 11 are heated to 80 ° C. and added to the solution of the raw materials 12 to 18 and homomixer (Homo Mixer Mark II, Primix, JPN) was emulsified at 3000 rpm for 15 minutes. Then, the raw material 19 was thrown in, stirred for 5 minutes, and cooled to room temperature.
  • homomixer Homo Mixer Mark II, Primix, JPN
  • Component composition of the nutrient cream containing phytic acid stabilized in the plant cell according to Example 3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5 below.
  • the aqueous components of the raw materials 12 to 18 are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to 80 ° C., and then the raw materials 1 to 11 are heated to 80 ° C. and added to a solution of the raw materials 12 to 18 and homomixer (Homo Mixer Mark II, Primix, JPN) was emulsified at 3000 rpm for 15 minutes. Thereafter, the raw material 19 was added and stirred for 5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 homomixer Homo Mixer Mark II, Primix, JPN
  • Component composition of the nutrient cream containing vitamin C stabilized in the plant cell according to Example 4 was prepared by configuring as shown in Table 6.
  • composition of the nutrition cream including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stabilized in the plant cells according to Example 6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8 below.
  • the aqueous components of the raw materials 12 to 16 and 18 are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to 80 ° C., and then the raw materials 1 to 11 and 17 are heated to 80 ° C. to prepare the raw materials 12 to 16 and 18.
  • the solution was added and emulsified at 3000 rpm for 15 minutes using a Homo Mixer Mark II, Primix, JPN. Then, the raw material 19 was thrown in, stirred for 5 minutes, and cooled to room temperature.
  • Table 10 shows an example of the flexible longevity formulation [Formulation Example 1].
  • Table 11 shows the formulation examples of convergent longevity [Formulation Example 2].
  • Table 14 shows the formulation of the pack [Formulation 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 세포를 함유하는 조성물, 활성 물질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및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며, 활성 물질의 안정화를 높여줄 수 있으며, 기능성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의 성분으로 사용될 때 안정성이 높아, 활성성분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활성 물질을 안정화시킨 후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에 존재하는 동, 식물에는 각기 다른 수많은 활성 물질이 내재되어 있으며, 그 종류 또한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놀, 페놀, 아미노산, 리그난, 알칼로이드, 비타민, 카테킨 화합물 등 무수한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활성 물질들은 각각 서로 다른 약리적 작용을 가지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인체 내 생리학적 특성에 있어서 유용한 기능을 가지는 활성성분의 우수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활성 물질들은 그 안정성 면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최근 이들의 안정성 및 약물전달 개선을 위해 활성 물질에 인지질 혹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리포좀, 세라마이드를 이용한 안정화된 세라좀, 액정구조로 안정화시킨 액정좀, 모노글리세라이드를 이용한 입방상 큐보좀 적용 등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제조방법이 복잡하거나 화합물을 사용하여 생체적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보다 간편하면서도 생체 적합성이 높은 활성 물질을 안정화 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식물 세포 내에 특히 세포벽 내에 활성 물질을 인입시키는 경우 활성 물질의 안정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성 물질을 안정화시킨 후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 세포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활성 물질은 친수성 물질 및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활성 물질은 갈릭산(Gallic acid), 아미노산, 피트산(Phytic acid), 비타민 C,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알부틴, 프룩토스 디포스페이트, 트리소듐 프룩토스, 1, 6-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제니스테인(Genistein), 플라보노이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레티놀, 헤스페리딘, 올레아노릭산(Oleanolic Acid), 폴리메틸 메타크리레이트, 티몰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홍삼 사포닌, 하이드롤라이즈드 인삼사포닌 및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물 세포는 세포벽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활성 물질을 안정화시킨 후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 1 - 100 MPa 의 조건에서 식물 세포 내에 활성 물질을 인입시키는 단계.
(b)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로부터 역삼투화를 이용해 탈수반응을 일으키는 단계 ; 및
(c)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의 활성 물질은 친수성 물질 및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의 활성 물질은 갈릭산(Gallic acid), 아미노산, 피트산(Phytic acid), 비타민 C,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알부틴, 프룩토스 디포스페이트, 트리소듐 프룩토스, 1, 6-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제니스테인(Genistein), 플라보노이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레티놀, 헤스페리딘, 올레아노릭산(Oleanolic Acid), 폴리메틸 메타크리레이트, 티몰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홍삼 사포닌, 하이드롤라이즈드 인삼사포닌 및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의 식물 세포는 세포벽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방법보다 간편한 방법을 사용하여 활성 물질의 안정화를 높여줄 수 있으며, 기능성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의 성분으로 사용하면 안정성이 높아, 활성성분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활성 물질을 식물 세포 내에 인입하여 안정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프루우 차트이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에 사용된 친수성 활성 물질인 시료 1 내지 시료 4에 대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성분분석을 한 결과 각각의 표준시약과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사용된 소수성 활성 물질인 시료 5 내지 시료 7에 대하여 HPLC 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하여 성분분석을 한 결과 각각의 표준시약과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 물질을 식물 세포 내에 인입한 후 제형 안정도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소수성 활성 물질을 식물 세포 내에 인입한 후 제형 안정도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식물 세포내에서 안정화된 상태로 인입된 갈릭산 시료에 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식물 세포는 당업계에서 선택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식물 세포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물 세포는 붙어 있는 다 세포를 효소의 조합을 통한 전처리를 통하여 단일 세포로 만든 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효소는 당업계에서 선택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효소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활성 물질”이란 생체의 기능을 증진시키거나 혹은 억제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물질은 친수성 물질 및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물질은 친수성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 물질은 갈릭산(Gallic acid), 아미노산, 피트산(Phytic acid), 비타민 C,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알부틴, 프룩토스 디포스페이트, 트리소듐 프룩토스, 1, 6-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및 나이아신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갈릭산(Gallic acid), 아미노산, 피트산(Phytic acid) 및 비타민 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물질은 소수성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수성 활성 물질은 제니스테인(Genistein), 플라보노이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레티놀, 헤스페리딘, 올레아노릭산(Oleanolic Acid), 폴리메틸 메타크리레이트, 티몰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홍삼 사포닌, 하이드롤라이즈드 인삼사포닌 및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 세포는 세포벽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활성 물질을 안정화시킨 후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 1 - 100 MPa 의 조건에서 식물 세포 내에 활성 물질을 인입시키는 단계.
(b)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로부터 역삼투화를 이용해 탈수반응을 일으키는 단계 ; 및
(c)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용용매’는 활성 물질을 녹일 수 있는 모든 용매를 지칭하는것으로 물,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뷰틸렌글라이콜, 메탄올, 프로판다이올등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활성 물질을 가용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용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산디올,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용매 또는 2이상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메탄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이다.
본 발명의 활성 물질 용액을 식물 세포와 함께 혼합하는 단계에 있어서 혼합방법은 당업계에서 2이상의 물질을 혼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행하여 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활성 물질과 식물 세포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용기에 투입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용해공정을 통해 형성된 활성 물질 가용물은 식물 세포와 함께 수용액상에서 혼합되어 교반에 의한 자연 삼투압으로 용액 상태에서 평형화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세포의 함량은 총 중량대비 0.1 - 30 중량%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이하의 경우 식물 세포 삼투압율 저하문제가 있으며, 30 중량% 이상의 경우 식물 세포로 인입되는 액티브 물질 함량감소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활성 물질의 최적의 함량은 총 중량대비 0.01 -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물질에 따라서 효능을 나타내는 최적의 농도가 각기 다르고, 이 임계 범위에서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활성 물질 용액을 식물 세포와 함께 혼합하는 단계에서 활성 물질이 식물 세포 내로 일부 인입되며, 본 발명의 고압의 조건에서 식물 세포 내에 활성 물질을 인입시키는 단계에서 있어서, 고압을 가함으로써 활성 물질의 인입율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압의 조건’은 식물 세포 내에 활성 물질의 인입이 일어나는데 적절한 조건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0.01 MPa - 500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MPa - 100 MPa,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MPa - 20 MPa이다. 0.5 MPa 이하일 때에는 활성 물질의 인입이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며, 20 MPa 이상일 때에는 세포벽의 파괴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활성 물질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활성 물질의 인입율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로부터 탈수반응을 일으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탈수반응’이란 유기화합물의 분자 내에서 물이 분리되는 반응 및 유기화합물 2분자에서 물이 이탈하여 축합하는 반응을 의미한다. 탈수반응은 친수성 물질을 이용하거나 가열하는 등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탈수반응은 역삼투화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역삼투화’란 용질의 농도가 낮은 쪽에 삼투압보다 더 큰 압을 가하여 용매를 용질의 농도가 낮은 쪽으로 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Reverse Osmosis (R/O): Selecting a Reverse Osmosis Unit By Arthur Fisher et. al.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나트륨 또는 칼륨 원소를 포함하는 염을 첨가하여 역삼투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역삼투화를 시키는 과정에서 식물 세포 내에 활성 물질을 남겨둔 채 저농도(식물 세포 내의 액장)에서 고농도(혼합액)로 탈수가 일어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최적의 가용성 염 첨가는 총 중량대비 0.5 - 40 중량%의 비율로 식물 세포 밖으로의 탈수를 유도하여 세포 내에 인입율을 극대화 한다. 자연상태에서는 바깥에 있는 물이 세포벽안으로 들어가는 것(삼투압)이 정상이지만 인위적으로 세포밖에 염을 첨가하여 세포 내에 있는 물을 탈수 시키는 것이 역삼투압이다.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포수득을 위한 방법을 포함하나 필터 또는/및 원심분리를 통한 수득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1.2 - 50 um 및 40 - 200 mesh가 바람직하며, 원심분리를 사용하는 경우 100 - 9,000 rpm, 0 - 25℃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회수 공정을 통해 수득된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는 표면의 불순물 및 인입되지 못한 활성 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류수에 0.1 - 20 중량%의 염이 포함된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01% 이하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며 10% 이상에서는 제형의 사용감과 안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친수성 활성 물질의 안정화
<실시예 1> 페놀성 화합물 갈릭산의 안정화
갈릭산(>99%, Sigma, USA)을 3차 증류수에 10 중량%로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갈릭산 가용물 10 중량%와 식물 세포(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10 중량%를 증류수 80 중량%에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을 이용하여 800 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뒤 식물 세포 혼합액을 고압 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PN)를 이용하여 20 MPa, 25℃, 1시간 조건으로 고압을 가하였다. 고압을 거친 식물 세포 혼합액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을 2 중량%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을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역삼투를 유도, 탈수반응 시켰다. 그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 세포에 100배의 생리식염수(0.9 % NaCl 수용액)를 이용하여 표면을 세척 후 다시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시료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1"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아미노산의 안정화
아미노산(AAS, Agilent, USA)을 3차 증류수에 20 중량%로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아미노산 가용물 20 중량%와 식물 세포(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1 중량%를 증류수 79 중량%에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뒤 식물 세포 혼합액을 고압 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PN)를 이용하여 20 MPa, 25℃, 1시간 조건으로 고압을 가하였다. 고압을 거친 식물 세포 혼합액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을 2 중량%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역삼투를 유도, 탈수반응 시켰다. 그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 세포에 100배의 생리식염수(0.9 % NaCl 수용액)를 이용하여 표면을 세척 후 다시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시료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2"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유기산 피트산의 안정화
피트산(50 %(w/w), Sigma, USA)을 3차 증류수에 10 중량%로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피트산 가용물 10 중량%와 식물 세포(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10 중량%를 증류수 80 중량%에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뒤 식물 세포 혼합액을 고압 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PN)를 이용하여 20 MPa, 25℃ 조건에서 1시간 동안 고압을 가하였다. 고압을 거친 식물 세포 혼합액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을 2 중량%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역삼투를 유도, 탈수반응 시켰다. 그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 세포에 100배의 생리식염수(0.9 % NaCl 수용액)를 이용하여 표면을 세척한 후 다시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시료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3"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수용성 비타민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의 안정화
L-아스코르브산(>99%, Samchun, KOR)을 3차 증류수에 20 중량%로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아스코르브산 가용물 10 중량%와 식물 세포(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10 중량%를 증류수 80 중량%에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뒤 식물 세포 혼합액을 고압 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PN)를 이용하여 20 MPa, 25℃ 조건에서 1시간 동안 고압을 가하였다. 고압을 거친 식물 세포 혼합액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을 2 중량%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역삼투를 유도, 탈수반응 시켰다. 그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 세포에 100배의 생리식염수(0.9 % NaCl 수용액)를 이용하여 표면을 세척 후 다시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시료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4"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소수성 활성 물질의 안정화
<실시예 5>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Genistein)의 안정화
제니스테인(>99%, Sigma, USA)을 99.5 % 에틸알코올(Ethyl Alcohol,Ethanol)에 5 중량%로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제니스테인 가용물 10 중량%와 식물 세포(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10 중량%를 증류수 80 중량%에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뒤 식물 세포 혼합액을 고압 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PN)를 이용하여 20 MPa, 25℃ 조건에서 1시간 동안 고압을 가하였다. 고압을 거친 식물 세포 혼합액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을 2 중량%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역삼투를 유도, 탈수반응 시켰다. 그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 세포에 100배의 생리식염수(0.9 % NaCl 수용액)를 이용하여 표면을 세척 후 다시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시료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5"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6> 플라보노이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의 안정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99%, Sigma, USA)를 70% 에틸알코올(Ethyl Alcohol,Ethanol) 수용액에 5 중량%로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가용물 10 중량%와 식물 세포(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10 중량%를 증류수 80 중량%에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뒤 식물 세포 혼합액을 고압 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PN)를 이용하여 20 MPa, 25℃, 1시간 조건으로 고압을 가하였다. 고압을 거친 식물 세포 혼합액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을 2 중량%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역삼투를 유도, 탈수반응 시켰다. 그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 세포에 100배의 생리식염수(0.9 % NaCl 수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을 세척 후 다시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시료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6"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7> 지용성 비타민 레티놀의 안정화
레티놀(>99%, Sigma, USA)을 99.5 % 에틸알코올(Ethyl Alcohol,Ethanol) 수용액에 5 중량%로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레티놀 가용물 10 중량%와 식물 세포(Black soybean unicell, Healthy food ingredient Co., Ltd., JPN) 10 중량%를 증류수 80 중량%에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뒤 식물 세포 혼합액을 고압 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PN)를 이용하여 20 MPa, 25℃ 조건에서 1시간 동안 고압을 가하였다. 고압을 거친 식물 세포 혼합액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을 2 중량%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JPN)을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역삼투를 유도, 탈수반응 시켰다. 그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 세포에 100배의 생리식염수(0.9 % NaCl 수용액)를 이용하여 표면을 세척 후 다시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를 이용하여 9,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시료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7"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성분분석
본 발명의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의 봉입효율 및 성분분석을 위해 하기와 같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친수성 활성 물질]
(1) 페놀성 화합물 갈릭산
본 발명의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갈릭산의 봉입효율 및 성분분석을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료는 각 용매로 적당 농도를 제조 하여 0.2 um 디스크 필터에 여과, 전처리 후 기기에 주입하였다. 기기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를 사용하여 UV 254 ~ 340 nm영역에서 분석하였으며, C18컬럼(Zorbax XDB-C18 4.6 x 250mm, Agilent, USA)을 사용하여 2% 아세트산용매와 아세토나이트릴(ACN)용매를 사용한 기울기 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용매는 HPLC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표준물질로는 갈릭산(>99%, Sigma, USA)를 사용하여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2a], [표 1]과 같다.
(2) 아미노산
본 발명의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아미노산의 봉입효율 및 성분분석을 위하여 시료를 각 용매로 적당 농도를 제조하여 0.2 um 디스크 필터에 여과, 전처리 후 o-프탈알데히드(o-phthalaldehyde, OPA Agilent), 9-풀루오레닐메틸클로로포름(9-fluorenylmethylchloroformate.FMOC) 유도체를 사용하여 형광을 띄는 이소인돌(isoindole)을 형성시킨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를 이용한 형광검출기(FLD, Agilent Technologies, USA)에서 아미노산을 검출하였으며 표준물질로 250 pM 표준 아미노산 분석(Amino acid Analysis Standard; AAS, Agilent, USA)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2b], [표 1]에 나타내었다.
(3) 유기산 피트산
본 발명의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피트산의 봉입효율 및 성분분석을 위하여 시료를 각 용매로 적당 농도를 제조하여 0.2 um 디스크필터(disk filter)에 여과, 전처리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를 이용한 증기화광산란검출기(Eraporative Light Scaterring Detector; ELSD 3300, Alltech, USA)를 통해 피트산을 검출하였으며 용출액은 3차 증류수, 컬럼온도는 25℃, 유속은 0.5 ml/min, 가스유속은 1.4 L/min, 게인(Gain)은 1로 고정하고, 표준물질로 피트산(Sigma, USA)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2c], [표 1]에 나타내었다.
(4)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 C
본 발명의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비타민 C의 봉입효율 및 성분분석을 위하여 시료를 각 용매로 적당 농도를 제조하여 0.2 um 디스크 필터에 여과, 전처리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를 이용하여 다이오드 배열 검출기(Diode Array Detector, DAD; UV, 254nm)로 분석하였고, 이동상은 0.05M KH2PO4 : ACN = 60 : 40 (v/v)으로 고정하여 1.0 ml/min의 유속으로 흘려주었다. 표준물질로 L-아스코르브산(>99%, Samchun, KOR)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2d], [표 1]에 나타내었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를 이용한 친수성 활성 물질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 시료의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으며, 봉입효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2004818-appb-I000001
표 1
시 료 활성 물질 종류 함량 (%) 봉입효율 (%) 비고
시료 1 갈릭산 2.80 28.0
시료 2 아미노산 0.03 37.5
시료 3 피트산 0.54 10.8
시료 4 비타민C 3.11 15.6
[소수성 활성 물질]
(5)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Genistein)
본 발명의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제니스테인의 봉입효율 및 성분분석을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료는 각 용매로 적당 농도를 제조 하여 0.2 um 디스트 필터에 여과, 전처리 후 기기에 주입하였다. 기기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를 사용하여 UV 254 ~ 340 nm영역에서 분석하였으며, C18컬럼(Zorbax XDB-C18 4.6 x 250mm, Agilent, USA)을 사용하여 2% 아세트산 용매와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ACN)용매를 사용한 기울기 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용매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표준물질로는 제니스테인(>99%, Sigma, USA)를 사용하여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3a], [표 2]과 같다.
(6) 플라보노이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본 발명의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의 봉입효율 및 성분분석을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료는 각 용매로 적당 농도를 제조 하여 0.2 um 디스크 필터에 여과, 전처리 후 기기에 주입하였다. 기기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를 사용하여 UV 254 ~ 340 nm영역에서 분석하였으며, C18컬럼(Zorbax XDB-C18 4.6 x 250mm, Agilent, USA)을 사용하여 2% 아세트산용매와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ACN)용매를 사용한 기울기 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용매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표준물질로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99%, Sigma, USA)를 사용하여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3b], [표 2]와 같다.
(7) 지용성 비타민 레티놀
본 발명의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레티놀의 봉입효율 및 성분분석을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료는 각 용매로 적당 농도를 제조 하여 0.2 um 디스크 필터에 여과, 전처리 후 기기에 주입하였다. 기기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를 사용하여 UV 325 nm영역에서 분석하였으며, 유속 1 ml/min, 컬럼온도 25℃, C18컬럼(Zorbax XDB-C18 4.6 x 150mm, Agilent, USA)을 사용하여 90% 메탄올(MeOH) 수용액 용매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용매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표준물질로는 레티놀(>99%, Sigma, USA)를 사용하여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3c], [표 2]과 같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를 이용한 소수성 활성 물질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 시료의 함량은 하기 표 2와 같으며, 봉입효율은 상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표 2
시 료 활성 물질 종류 함량(%) 봉입효율(%) 비고
시료 5 제니스테인 0.35 7.0
시료 6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1.21 24.2
시료 7 레티놀 0.41 8.2
[제형실시예 1 및 제형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갈릭산를 포함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3]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표 3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 스테아린산 1.5 1.5
3 세테아릴 알콜 2.2 2.2
4 밀납 1.0 1.0
5 스쿠알란 3.0 3.0
6 경화식물유 1.0 1.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0.6
8 광물유 5.0 5.0
9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0 디메치콘 1.0 1.0
11 트리옥타노인 5.0 5.0
12 베타인 3.0 3.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4 글리세린 5.0 5.0
1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3.0
16 시료 1 2.0 -
17 갈릭산 - 2.0
18 증류수 잔량 잔량
19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상기 표 3의 조성으로 구성된 성분 중에서 먼저 원료 12 내지 18의 수성성분을 80 ℃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 다음, 원료 1내지 11을 80 ℃로 가온하여 상기 원료 12 내지 18의 용액에 투입하고 호모믹서(Homo Mixer Mark Ⅱ, Primix, JPN)를 이용하여 3000 rpm에서 15분간 유화시켰다. 그 후, 원료 19를 투입하여 5분간 교반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제형실시예 2 및 제형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아미노산을 포함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4]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표 4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 스테아린산 1.5 1.5
3 세테아릴 알콜 2.2 2.2
4 밀납 1.0 1.0
5 스쿠알란 3.0 3.0
6 경화식물유 1.0 1.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0.6
8 광물유 5.0 5.0
9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0 디메치콘 1.0 1.0
11 트리옥타노인 5.0 5.0
12 베타인 3.0 3.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4 글리세린 5.0 5.0
1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3.0
16 시료 2 2.0 -
17 아미노산 표준물 - 2.0
18 증류수 잔량 잔량
19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상기 표 4의 조성으로 구성된 성분 중에서 먼저 원료 12 내지 18의 수성성분을 80 ℃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 다음, 원료 1내지 11을 80 ℃로 가온하여 상기 원료 12 내지 18의 용액에 투입하고 호모믹서(Homo Mixer Mark Ⅱ, Primix, JPN)를 이용하여 3000 rpm에서 15분간 유화시켰다. 그 후, 원료 19를 투입하여 5분간 교반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제형실시예 3 및 제형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피트산를 포함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5]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표 5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 스테아린산 1.5 1.5
3 세테아릴 알콜 2.2 2.2
4 밀납 1.0 1.0
5 스쿠알란 3.0 3.0
6 경화식물유 1.0 1.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0.6
8 광물유 5.0 5.0
9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0 디메치콘 1.0 1.0
11 트리옥타노인 5.0 5.0
12 베타인 3.0 3.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4 글리세린 5.0 5.0
1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3.0
16 시료 3 2.0 -
17 피트산 - 2.0
18 증류수 잔량 잔량
19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상기 표 5의 조성으로 구성된 성분 중에서 먼저 원료 12 내지 18의 수성성분을 80 ℃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 다음, 원료 1내지 11을 80 ℃로 가온하여 상기 원료 12 내지 18의 용액에 투입하고 호모믹서(Homo Mixer Mark Ⅱ, Primix, JPN)를 이용하여 3000 rpm에서 15분간 유화시켰다. 그 후, 원료 19를 투입하여 5분간 교반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제형실시예 4 및 제형비교예 4]
상기 실시예 4에 따른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비타민C를 포함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6]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표 6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 스테아린산 1.5 1.5
3 세테아릴 알콜 2.2 2.2
4 밀납 1.0 1.0
5 스쿠알란 3.0 3.0
6 경화식물유 1.0 1.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0.6
8 광물유 5.0 5.0
9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0 디메치콘 1.0 1.0
11 트리옥타노인 5.0 5.0
12 베타인 3.0 3.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4 글리세린 5.0 5.0
1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3.0
16 시료 4 2.0 -
17 비타민C - 2.0
18 증류수 잔량 잔량
19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상기 표 6의 조성으로 구성된 성분 중에서 먼저 원료 12 내지 18의 수성성분을 80 ℃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 다음, 원료 1내지 11을 80 ℃로 가온하여 상기 원료 12 내지 18의 용액에 투입하고 호모믹서(Homo Mixer Mark Ⅱ, Primix, JPN)를 이용하여 3000 rpm에서 15분간 유화시켰다. 그 후, 원료 19를 투입하여 5분간 교반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제형실시예 5 및 제형비교예 5]
상기 실시예 5에 따른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제니스테인을 포함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7]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표 7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 스테아린산 1.5 1.5
3 세테아릴 알콜 2.2 2.2
4 밀납 1.0 1.0
5 스쿠알란 3.0 3.0
6 경화식물유 1.0 1.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0.6
8 광물유 5.0 5.0
9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0 디메치콘 1.0 1.0
11 트리옥타노인 5.0 5.0
12 베타인 3.0 3.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4 글리세린 5.0 5.0
1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3.0
16 시료 5 2.0 -
17 제니스테인 - 2.0
18 증류수 잔량 잔량
19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상기 표 7의 조성으로 구성된 성분 중에서 먼저 원료 12 내지 16, 18의 수성성분을 80 ℃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 다음, 원료 1내지 11, 17을 80 ℃로 가온하여 상기 원료 12 내지 16, 18의 용액에 투입하고 호모믹서(Homo Mixer Mark Ⅱ, Primix, JPN)를 이용하여 3000 rpm에서 15분간 유화시켰다. 그 후, 원료 19를 투입하여 5분간 교반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제형실시예 6 및 제형비교예 6]
상기 실시예 6에 따른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를 포함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8]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표 8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 스테아린산 1.5 1.5
3 세테아릴 알콜 2.2 2.2
4 밀납 1.0 1.0
5 스쿠알란 3.0 3.0
6 경화식물유 1.0 1.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0.6
8 광물유 5.0 5.0
9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0 디메치콘 1.0 1.0
11 트리옥타노인 5.0 5.0
12 베타인 3.0 3.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4 글리세린 5.0 5.0
1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3.0
16 시료 6 2.0 -
17 EGCG - 2.0
18 증류수 잔량 잔량
19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상기 표 8의 조성으로 구성된 성분 중에서 먼저 원료 12 내지 18의 수성성분을 80 ℃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 다음, 원료 1내지 11을 80 ℃로 가온하여 상기 원료 12 내지 18의 용액에 투입하고 호모믹서(Homo Mixer Mark Ⅱ, Primix, JPN)를 이용하여 3000 rpm에서 15분간 유화시켰다. 그 후, 원료 19를 투입하여 5분간 교반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제형실시예 7 및 제형비교예 7]
상기 실시예 7에 따른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레티놀을 포함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9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표 9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 스테아린산 1.5 1.5
3 세테아릴 알콜 2.2 2.2
4 밀납 1.0 1.0
5 스쿠알란 3.0 3.0
6 경화식물유 1.0 1.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0.6
8 광물유 5.0 5.0
9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0 디메치콘 1.0 1.0
11 트리옥타노인 5.0 5.0
12 베타인 3.0 3.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4 글리세린 5.0 5.0
1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3.0
16 시료 7 2.0 -
17 레티놀 - 2.0
18 증류수 잔량 잔량
19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상기 표 9의 조성으로 구성된 성분 중에서 먼저 원료 12 내지 16, 18의 수성성분을 80 ℃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 다음, 원료 1내지 11, 17을 80 ℃로 가온하여 상기 원료 12 내지 16, 18의 용액에 투입하고 호모믹서(Homo Mixer Mark Ⅱ, Primix, JPN)를 이용하여 3000 rpm에서 15분간 유화시켰다. 그 후, 원료 19를 투입하여 5분간 교반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시험예 2] 제형 안정도 실험
본 발명의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의 제형 내에 안정도 실험을 위해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각 제형실시예 및 제형비교예를 90℃ 가혹조건 하에 시간별로 샘플링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 후 시간 흐름에 따른 활성성분의 임의적 단위(Arbitary unit. A.U.) 감소로 안정도를 나타내었다(도 4a 내지 도 4d 및 도 5a 내지 도 5c 참조).
[시험예 3] 염색법에 의한 현미경 세포관찰
본 발명의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의 세포관찰을 위해 하기와 같이 현미경 관찰을 수행하였다. 현미경 관찰은 염색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료 1을 100배의 3차 증류수로 희석, 30초간 실험용 교반기를 이용하여 섞은(Vortexing) 후 메틸렌블루(Sigma, USA)를 이용하여 염색을 하였다. 염색 후 광학 현미경(Eclipse E600, Nikon, JPN)을 이용하여 최종배율 100배에서 관찰하였으며, 영상을 캡쳐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유연 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 화장수, 마사지 크림, 에센스 및 팩을 예시하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의 통상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표 10은 유연화장수 제형예를 나타낸다[제형예1].
표 10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5.00
2 1,3-부틸렌 글라이콜 3.00
3 PEG 1500 1.00
4 알란토인 0.10
5 DL-판테놀 0.30
6 EDTA-2Na 0.02
7 벤조페논-9 0.04
8 에탄올 10.00
9 옥틱도데세스-16 0.20
10 폴리솔베이트 20 0.20
11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5.0
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3 증류수 잔량
표 11은 수렴화장수의 제형예를 나타낸다[제형예2].
표 11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2.00
2 1,3-부틸렌 글라이콜 2.00
3 알란토인 0.10
4 DL-판테놀 0.30
5 EDTA-2Na 0.02
6 벤조페논-9 0.04
7 에탄올 15.00
8 폴리솔베이트 20 0.20
9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3.0
10 구연산 미량
11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2 증류수 잔량
표 12는 영양화장수의 제형예를 나타낸다[제형예3].
표 12
번호 성 분 함량(%)
1 세테아릴 알콜 1.0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0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0
6 스쿠알란 4.00
7 샤플라워오일 4.00
8 부틸렌글라이콜 4.00
9 글리세린 4.00
10 카보머 0.10
11 트리에탄올아민 0.10
12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1.00
1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4 증류수 잔량
표 13은 에센스의 제형예를 나타낸다[제형예4].
표 13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10.00
2 베타인 5.00
3 PEG 1500 2.00
4 알란토인 0.10
5 DL-판테놀 0.30
6 EDTA-2Na 0.02
7 벤조페논-9 0.04
8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0
9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0
10 트리에탄올아민 0.18
11 옥틸도데칸올 0.30
12 옥틸도데세스-16 0.40
13 에탄올 6.00
14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5.00
15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6 증류수 잔량
표 14는 팩의 제형예를 나타낸다[제형예5].
표 14
번호 성 분 함량(%)
1 폴리비닐 알콜 15.00
2 셀룰로오스 검 0.15
3 글리세린 3.00
4 PEG 1500 2.00
5 시이크데스트린 0.15
6 DL-판테놀 0.30
7 알란토인 0.10
8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20
9 니코틴 아미드 0.40
10 에탄올 5.00
11 PEG 40 경화피마자유 0.30
12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1.00
1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4 증류수 잔량

Claims (8)

  1.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 세포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물질은 친수성 물질 및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물질은 갈릭산(Gallic acid), 아미노산, 피트산(Phytic acid), 비타민 C,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알부틴, 프룩토스 디포스페이트, 트리소듐 프룩토스, 1, 6-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제니스테인(Genistein), 플라보노이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레티놀, 헤스페리딘, 올레아노릭산(Oleanolic Acid), 폴리메틸 메타크리레이트, 티몰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홍삼 사포닌, 하이드롤라이즈드 인삼사포닌 및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세포는 세포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활성 물질을 안정화시킨 후 안정화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a) 1-100 MPa 의 조건에서 식물 세포 내에 활성 물질을 인입시키는 단계 ;
    (b)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로부터 역삼투화를 이용해 탈수반응을 일으키는 단계 ; 및
    (c) 활성 물질이 인입된 식물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물질은 친수성 및 소수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물질은 갈릭산(Gallic acid), 아미노산, 피트산(Phytic acid), 비타민 C,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알부틴, 프룩토스 디포스페이트, 트리소듐 프룩토스, 1, 6-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제니스테인(Genistein), 플라보노이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레티놀, 헤스페리딘, 올레아노릭산(Oleanolic Acid), 폴리메틸 메타크리레이트, 티몰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홍삼 사포닌, 하이드롤라이즈드 인삼사포닌 및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세포는 세포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PCT/KR2012/004818 2011-06-16 2012-06-18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및 그 제조방법 WO2012173458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15767A JP6151686B2 (ja) 2011-06-16 2012-06-18 植物細胞内において安定化した活性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280035167.0A CN103648481B (zh) 2011-06-16 2012-06-18 在植物细胞中保持稳定的活性物质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758A KR101855919B1 (ko) 2011-06-16 2011-06-16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2011-0058758 2011-06-16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3458A2 true WO2012173458A2 (ko) 2012-12-20
WO2012173458A9 WO2012173458A9 (ko) 2013-03-07
WO2012173458A3 WO2012173458A3 (ko) 2013-04-25

Family

ID=4735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818 WO2012173458A2 (ko) 2011-06-16 2012-06-18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51686B2 (ko)
KR (1) KR101855919B1 (ko)
CN (1) CN103648481B (ko)
WO (1) WO2012173458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475A (ko)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8190A (ko) 2014-12-05 2016-06-15 코웨이 주식회사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의 안정화 방법
KR20160106268A (ko) 2015-03-02 2016-09-12 코웨이 주식회사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588100A (zh) * 2020-12-04 2022-06-07 韩国百鸥思特公司 大量含有愈伤组织代谢产物的愈伤组织溶解产物及其制备方法
US11980733B2 (en) 2014-08-19 2024-05-14 Lutronic Corporation Apparatus for forming delivery path for composition for treatment and auxiliary assembly for skin treatment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4497B2 (ja) * 2020-03-04 2023-10-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緑茶抽出物含有組成物、機能性食品
CN115778891A (zh) * 2022-12-26 2023-03-14 新生活化妆品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化妆品原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以及化妆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547A (ko) * 1998-10-24 2000-05-25 손경식 싱글셀-식물로부터 회수한 유용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KR20050041259A (ko) * 2003-10-30 2005-05-04 윤성용 천연 화장품 개발을 위한 캘러스의 용도
KR20060118571A (ko) * 2003-12-29 2006-11-23 바이오테크마린 피부 탈색 및/또는 미백 목적의 탈분화된 식물 세포의동결건조물의 용도
WO2008148828A1 (en) * 2007-06-08 2008-12-11 Nestec S.A. Fruit fiber ge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8342C1 (ko) * 1990-12-01 1992-01-16 Boehringer Ingelheim Kg, 6507 Ingelheim, De
JP3142245B2 (ja) * 1996-06-28 2001-03-07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2002193734A (ja) * 2000-12-27 2002-07-10 Shiseido Co Ltd 外用組成物
KR100463167B1 (ko) * 2001-04-13 2004-12-23 주식회사 태평양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한 경피흡수제 및 이를 함유한외용제 조성물
JP3793465B2 (ja) * 2002-01-28 2006-07-05 株式会社オードファブール 大豆を単細胞に分離して得られる粉末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939936B2 (ja) * 2003-06-27 2012-05-30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生理活性成分を含有する自己集合性高分子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得られた自己集合性高分子ナノ粒子を含有する外用剤組成物
CN101732228B (zh) * 2010-02-01 2011-12-21 云南龙润茶业集团有限公司 一种茶面膜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547A (ko) * 1998-10-24 2000-05-25 손경식 싱글셀-식물로부터 회수한 유용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KR20050041259A (ko) * 2003-10-30 2005-05-04 윤성용 천연 화장품 개발을 위한 캘러스의 용도
KR20060118571A (ko) * 2003-12-29 2006-11-23 바이오테크마린 피부 탈색 및/또는 미백 목적의 탈분화된 식물 세포의동결건조물의 용도
WO2008148828A1 (en) * 2007-06-08 2008-12-11 Nestec S.A. Fruit fiber ge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475A (ko)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980733B2 (en) 2014-08-19 2024-05-14 Lutronic Corporation Apparatus for forming delivery path for composition for treatment and auxiliary assembly for skin treatment including same
KR20160068190A (ko) 2014-12-05 2016-06-15 코웨이 주식회사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의 안정화 방법
KR20160106268A (ko) 2015-03-02 2016-09-12 코웨이 주식회사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588100A (zh) * 2020-12-04 2022-06-07 韩国百鸥思特公司 大量含有愈伤组织代谢产物的愈伤组织溶解产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48481A (zh) 2014-03-19
KR20120139137A (ko) 2012-12-27
WO2012173458A9 (ko) 2013-03-07
JP2014530800A (ja) 2014-11-20
CN103648481B (zh) 2016-11-09
WO2012173458A3 (ko) 2013-04-25
KR101855919B1 (ko) 2018-05-09
JP6151686B2 (ja)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73458A9 (ko)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0793912B1 (ko) 베타 엔돌핀의 생성을 유도하는 올리고당의 용도
WO2016200190A1 (ko) 칠엽담으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6159665A2 (ko) 베리과 열매를 섭취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026855A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20122360A1 (ko) 트리신 함량이 증가된 고장초 효소 처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미백, 주름 개선, 항염증, 항알러지, 보습용 조성물
WO2022050559A1 (ko) 데이노잔틴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데이노잔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76101A1 (ko)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WO2010064878A2 (ko) 레온토포딕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WO2021029541A1 (ko) 수크로오스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200288A1 (ko)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0058982A2 (en)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processed peony, polygonati rhizoma or lily
WO2019088402A1 (ko) 뷔베리신 또는 뷔베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8139809A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인삼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WO2014168433A2 (ko)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WO2017119535A1 (ko) 카노신, 대두 펩타이드 및 천심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23171873A1 (ko) 고형 지질 복합 나노 에토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27239A2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7090970A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WO2016017894A1 (ko)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9338A (ko) 개나리 꽃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095966A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1038472A1 (pt) Estrato vegetal padronizado, processo para preparaçâo de extrato de plantas do gênero sclerolobium, composiçâo cosmética,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 do referido extrato
WO2018151563A1 (ko)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3120763A1 (ko) 자연유래 식물 핑거루트의 피부탄력 성분 소재를 활용한 에멀젼 제형의 피부탄력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에멀젼 제형 피부탄력 개선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009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1576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2/04/2014)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009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