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18200A2 -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18200A2
WO2012018200A2 PCT/KR2011/005637 KR2011005637W WO2012018200A2 WO 2012018200 A2 WO2012018200 A2 WO 2012018200A2 KR 2011005637 W KR2011005637 W KR 2011005637W WO 2012018200 A2 WO2012018200 A2 WO 201201820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uch
battery case
electrode
battery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56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18200A3 (ko
Inventor
조승수
윤유림
최승돈
전호진
최대식
권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180042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081161B/zh
Priority to JP2013523090A priority patent/JP5674936B2/ja
Priority to EP11814800.6A priority patent/EP2602840B1/en
Priority to US13/242,955 priority patent/US20120040235A1/en
Publication of WO201201820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18200A2/ko
Publication of WO201201820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1820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adhesiveness or hard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 having improved safety and a secondary battery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cathode / membrane / cathode structure.
  • a long sheet-shaped cathode and an anode are wound in a state where a separator is interposed therein.
  • Type) electrode assembly stacked (multi-layer)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cut in a predetermined size unit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or,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a predetermined unit are laminated with a separator
  • a stack / foldabl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bi-cell or full cells are wound.
  • FIG.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representativ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the conventional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200 disclosed in FIG. 1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40 and a pouch type battery case.
  • the electrode assembly 40 may be connected to electrode tabs 50 and 60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assembly 40 and electrode leads 70 and 80 welded to the electrode tabs 50 and 60.
  • the electrode tab or the electrode assembly may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or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lead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 the pouch-type battery case includes a lower battery case 20 and an upper battery case 30, wherein the pouch-type battery cas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battery case 30 and the lower battery case 20 are separated (Fig. 2) or 4 may be a structure (not shown) connected to any one surface. All or one of the lower or upper battery cases (FIG. 2) may hav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lso include a sealing portion for sealing the upper and lower battery cases.
  •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may be manufactured by sealing and sealing the sealing parts of the upper battery case 30 and the lower battery case 20 by heat fusion.
  • the electrode assembly 40 is a power generator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in a state where a separator i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has a jelly roll type, a stack type, or a stack / fold type structure.
  • the electrode tabs 50, 60 extend from each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40, and the electrode leads 70, 8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 tabs 50, 60 extending from each electrode plate, for example. ,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and part of the battery cases 20 and 30 are exposed to the outside.
  • an insulating film 90 is attached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leads 70 and 80 to increase the sealing degree with the battery cases 20 and 30 and to secure the electrical insulation state.
  • the upper and lower battery cases 20 and 30 include an aluminum laminate sheet and have a pouch shape as a whole,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packaged with the battery case is called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the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tabs 50 and the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tabs 60 may be, for example, an electrode lead 70 in the form of a weld portion integrally joined by welding. , 80).
  • the electrode leads 70 and 80 are sealed by the battery cases 20 and 30 in a state where the opposite ends to which the electrode tab welding parts are connected are exposed.
  • secondary batteries may be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s within the battery, which may be caused by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battery, such as internal short circuits, overcharge conditions exceeding the allowed currents and voltages,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deformation due to drops or external shocks, and High pressure can cause the battery to explode.
  • the risk of explosion can be said to be the most fatal drawback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Therefore, the essential consideration for the technology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s to ensure safet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s a high pressure at regular intervals in order to prevent the swelling of the battery due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side the battery and the resulting explosion of the battery It was just a technology to present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hich discharged gas inside or formed a passage through which gas can be vented.
  • the present invention transforms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to a predetermined form by using pressure or a force inside the battery such that the secondary battery swells or the sealing part bursts when gas is generated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uch-type battery case which can be blocked by the flow of current due to. That is, in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pouch-type battery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isk of the battery is caused by the generation of gas o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side the battery, the coupling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lead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separated. By designing a pouch-type battery case so that the flow of current can be cut of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pouch-type battery case and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to provide a medium-large battery pack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uch-type battery case inclu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an upper battery case, a lower battery case and a sealing portion for sealing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battery case.
  •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battery case provide a pouch-type battery case, which is formed of a folding-fold structure in which a corner of a space located in a direction in which an electrode lead of an electrode assembly protrudes is folded at least once.
  • the folding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structure once folded
  • the electrode lead of the electrode assembly protrudes in a single direction, and the space edges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protruding electrode leads are formed in a folded structure that is folded one or more times.
  •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side where the electrode lead is b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to face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lead.
  •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and bent, so that the folded portion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of the electrode assembly protrudes in both directions, the space edge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electrode lead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structure is folded one or more times.
  •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 is located in both directions protruding electrode lea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and folded parts are formed to fac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 is located in both directions protruding the electrode lea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to face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 the length of the folded portion folded by the folding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uncoated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battery case for the pouch is composed of a laminate sheet comprising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assembly is sealed by heat fusion after moun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space.
  • the laminate she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luminum laminate shee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battery case and an electrode assembly for the pouch.
  • the electrode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ld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end of the electrode tab and the end of the electrode lead,
  • the weld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face the bent surfaces by bending the ends of th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lead.
  • the electrode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fracture grooves at the end of the electrode tab or the end of the electrode lead.
  • the break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lectrode tab or the end of the electrode lead located in the battery case for the pouch.
  •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as a unit cell and stacking the secondary batteries in a wide surface direction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s of the secondary battery protrud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dium-large battery pack including a plurality of medium-large battery modules.
  •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includes a power tool; Electric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including E-bikes and E-scooters; Electric golf carts; Electric trucks; Characterized in that used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commercial vehicles.
  • Electric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including E-bikes and E-scooters; Electric golf carts; Electric trucks; Characterized in that used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commercial vehicles.
  •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installation process or installation space when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bu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life and safety of the battery by blocking the flow of current at the time of internal gas generation of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low manufacturing cost, low
  •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easily changing the weight, the shape of a battery, and the like can be provid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structure of a typical representativ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ssembl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by an expansion force of an internal gas to separate an electrode lead and an electrode tab.
  • FIG. 5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FIG. 3.
  • FIG. 6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FIG. 4.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fracture groove is formed in FIG. 2.
  • FIG. 8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8 de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internal gas to separate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
  • FIG. 10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structure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tab and an electrode lead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10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 are separated by being de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internal gas.
  • FIG. 12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various structures of the welded portion in which th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lead is welded in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ouch type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FIG. 2.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ouch type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FIG. 10.
  • the pouch type battery case inclu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the upper battery case, the lower battery case and the sealing portion for sealing the upper and lower battery case, wherein the upper battery case and the lower battery case is an electrode assembly Pouch-type battery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lding structure folded in the corner of the space portion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protrudes.
  • FIGS. 3 and 4 are assembled perspective views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when a case is extend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lead are separated.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space 110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upper battery case 30 'and the lower battery case 20' A pouch-type battery case including a sealing part for sealing a seal), wherein the pouch-type battery case is an upper battery positio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s 70 'and 80' of the electrode assembly 40 'protrude.
  • the space edge 130 of the case or the space edge 130 of the lower battery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folded structure folded at least one time.
  • the folding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a pouch-type battery case constituting a space portion is formed by being indented and bent in on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pouch-type battery case is indented and bent may be at least one or more times, except that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the pouch-type battery case.
  • the thickness and the storage space of the preferably may be a folding structure bent once indented.
  • gas i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by forming at least one folding structur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s protrude on the upper battery case 30 'and the lower battery case 20' as described above.
  •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easily de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including a medium-large module, or a medium-large module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se unit cells stacked and packaged us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unit cell, rather than a single secondary battery is used as a unit cell It is effective in the case.
  •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stacked and assembled with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unit cell,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overlap or are stacked and assembled in the z direction in the plan view of FIG. Even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increases or internal gas is generated, it is difficult for the unit cell to swell in the z direction or to deform.
  •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deform the unit cell in the z-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medium-large module or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in which the unit cells are stacked, and when high pressure gas is generated in the unit cell, FIG. In the plan view of FIG. 5, a high expansion stress is applied in the x direction so that the unit cell is deformed in a previously predicted form.
  •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rection in which electrode leads are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s of the lower battery case 20 ′ and the upper battery case 30 ′, that is, the x direction.
  • the space portion may be a folding structure formed on the corners.
  • the expansion stress applied in the x direction is a force for unfolding the foldable structure formed on the edge of the pouch-shaped battery case space, and thus the battery case protrudes in the x direction.
  • the electrode leads sealed toge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pouch-type battery cases are pulled together when the battery case protrudes in the x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as a result, the electrode leads are pulled out of the battery.
  • the electrode lead is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tab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 the electrode tab or the electrode lead of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may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or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when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 protrudes in different directions, It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directions, or when the electrode lead protrudes in the same direction, it may be formed only in the folding structure or in one direction.
  • the folding structure is folded at both the lower battery case 20 'and the upper battery case 30' in the space edges 120 and 1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protrudes. Should be formed.
  • the shape, size, or size of the foldable structure formed at the space edge 130 of the upper battery case and the space edge 120 of the lower battery case are the same value. It is preferred to form.
  • a folding structure (120, 130)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pace corners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is folded inwardly from the outside inward, the battery case is indented inward
  • the degre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folding structu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space portion of the lower battery case 20 'and the upper battery case 30' in on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positioned is at least when the folding structure is fully extended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 the leads should be indented to the extent that they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tabs.
  • the degree in which the foldable structure is indented inward may be formed to be indented inwardly from the outside to a portion where the electrode unaware is formed on the electrode assembly.
  • th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s a portion where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coated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is a space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electrode tab. Therefore, the space in which th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s formed is an area that is irrelevant to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while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battery is underway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space as much as possible, the minimum space required for the process must be maintained.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utilize it in other direc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he space in which th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s formed, as a space in which the folding structure formed at the corner of the space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battery cases is indented.
  •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pouch is preferably filled up as much as possible.
  • the degree to which the foldable structure is indented there is a limit to the degree to which the foldable structure is indented, and the design of the secondary battery to be indented in a limit that utilizes the space where the electrode ignorance part is formed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electrode assembly.
  •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space edges 120 and 130 of the upper battery case 30 ′ and the lower battery case 20 ′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s are positioned. I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known pouch type battery case except that the folding structure is formed.
  • the battery case has a space 110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upper battery case 30 'and the lower battery case 20' in the sealing portion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ace to the heat sealing It is combined with the pouch shape as a whole.
  • the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particularly limited if the bent surface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 a bent surface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electrode lead, and the bent and folded portions face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dented so as to 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or may be formed to fa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nt and folded parts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S.
  • the bent surface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and is indented and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side where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 the folded portion may be formed to 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or indented and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from where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so that the folded portion is opposite to the side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It may be formed so as to face in the direction.
  • the folding structure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heating and press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attery case using a heating ji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attery case may be applied to a pouch type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in particular, an aluminum laminate sheet.
  • the laminate sheet is composed of an outer coating layer of a polymer film, a barrier layer of a metal foil, and an inner sealant layer of a polyolefin series, and the outer coating layer must have excellent resistanc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us, it is necessary to have a predetermined tensile strength and weather resistance.
  • a stretched nylon film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y be preferably used as the polymer resin of the outer resin layer.
  • the barrier layer is preferably aluminum may be used to exhibit a function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battery case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inflow or out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gas, moisture.
  • the inner sealant layer has a heat sealability (heat adhesiveness) and a low hygroscopicity to suppress the invas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polyolefin resin that is not expanded or eroded by the electrolyte may be preferably used, more preferably unstretched Polypropylene (cPP) can be used.
  • An insulating film 90 ' is attached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leads 70' and 80 'in order to increase the sealing degree with the upper and lower battery cases 20' and 30 'and to secure an electrical insulation state.
  • Pouch-type battery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manufactured so that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more protruded to the outside than the folding structur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edge 130 of the upper battery case and the space portion edge 120 of the lower battery case. desirable.
  • the sealing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to the outside than the foldable structure, so that the process of sealing the upper battery case 30 'and the lower battery case 20' by thermal fusion may be performed more easily afte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Because it can.
  • the method of forming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a pouch type battery case pre-folded in a folding structure, and then the upper battery case and the lower battery case are heat-sealed. It can be formed by sealing.
  • the pouch-type battery case may be a pouch-type battery cas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including an open portion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projected.
  • the opening portion may include a battery cell sealing process afte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 a pouch-type battery case may be used in which a broken portion having a dotted line is formed in a bent portion in advance so that the folding structure can be easily formed.
  • a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to expand the folding structure formed at the corner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 space portion, and a force applied to the electrode lead to the outside is applied.
  • at least one fracture groove 180 may be formed at a welding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 so that the welding portion to which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 are connected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break grooves 18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the break grooves 180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 and the break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electrode tab or the electrode lead. It is only required to be located at the portion,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welded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electrode tab and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battery case are unfolded in a similar time.
  • the electrode leads are satisfied as long as they are formed in such a size that they can be separated more easily.
  • FIG. 12 shows a plurality of structures of the welded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 having the fracture groove 200 and the welded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
  • the welded portion may be welded by soldering welding or ultrasonic welding by applying end portions of th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lead as shown in 10a) of FIG. 12, or bending surfaces of the electrode tab or the electrode lead by bending the end portions of the electrode tab or the electrode lead as shown in 10C). It can also weld by facing.
  •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consisting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 a structure of folding type, stacked type or stack / folding type, and stack / z-folding type may be mentioned.
  •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particularly, may be preferably applied to a so-called lithium ion polymer battery in which a lithium-containing electrolyte is impregnated into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form of a ge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s a unit cell.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electrode leads protrude in both directions
  • FIG. 14 is a pouch-type second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electrode leads protrude in either direction.
  • the plurality of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included in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may all be made of a pouch-type battery case having the same folding structure, or include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pouch-type battery case having a different type of folding structure. It may b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dium-large battery pack including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used in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battery requiring a long life and excellent durability, or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or a medium-large battery pack including a plurality of such cells as a unit cell.
  •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includes a power tool; Electric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including E-bikes and E-scooters; Electric golf carts; Electric trucks; It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commercial vehicles.
  • Electric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including E-bikes and E-scooters; Electric golf carts; Electric trucks; It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commercial veh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 대한 것으로, 과충전 등으로 인하여 파우치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경우, 파우치의 형태가 변형되도록 설계하고 이에 따라 전극리드와 전극탭의 연결 부분이 분리되도록 구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제조시 별도의 재료나 장치 등이 필요치 아니하면서도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내부 가스 발생시 원천적으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전지의 수명 및 안전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낮은 제조비, 적은 중량, 전지의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이 가능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본 출원은 2010년 8월 5일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0-0075468호 및 2011년 5월 27일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1-0050759호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전지팩에 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그 중 고에너지 밀도와 높은 방전 전압을 나타내는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며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며,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가 분해 사시도로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200)는 전극조립체(40) 및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조립체(40)는 전극조립체(4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탭(50, 60), 상기 전극탭(50, 60)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리드(70, 80)가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전극탭 또는 전극조립체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극탭 및 전극리드가 돌출된 경우에 대한 예이다.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하부 전지케이스(20) 및 상부전지케이스(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상부 전지케이스(30)와 하부 전지케이스(20)가 분리되어 있는 구조(도 2) 또는 4면 중 어느 한 면이 연결된 구조(미도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또는 상부 전지케이스 모두(도 2) 또는 어느 하나에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및 하부 전지케이스를 밀봉하기 위해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부에 전극조립체(40)를 수납한 후에는 상부 전지케이스(30) 및 하부 전지케이스(20)의 실링부를 열융착에 의하여 실링하여 밀봉함으로써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40)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발전소자로서, 젤리 롤형,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탭들(50, 60)은 전극조립체(40)의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전극리드(70, 80)는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된 복수개의 전극탭들(50, 60)과,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지케이스(20, 3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전극리드(70,80)의 상하면 일부에는 전지케이스(20, 30)와의 밀봉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절연필름(90)이 부착되어 있다.
상, 하부전지케이스(20, 30)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파우치 형상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전지케이스로 포장된 이차전지는 소위 파우치형 이차전지라고 칭하기도 한다.
도 1에서와 같은 적층형 전극조립체(40)의 경우, 다수의 양극 탭들(50)과 다수의 음극 탭들(60)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 용착부의 형태로 전극리드(70, 8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전극리드(70, 80)는 전극탭 용착부가 연결되어 있는 대향 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전지케이스(20, 30)에 의해 밀봉된다.
이러한 이차전지에서 주요 연구 과제 중의 하나는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차전지는 내부 단락, 허용된 전류 및 전압을 초과한 과충전 상태, 고온에의 노출, 낙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 등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상태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전지 내부의 고온 및 고압에 의해 전지의 폭발이 초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폭발의 위험성은 리튬 이차전지가 가지고 있는 가장 치명적인 단점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의 기술에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특히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전원으로서 중대형 전지팩에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장기간의 수명이 요구되고 다수의 전지셀들이 밀집되는 특성상 안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전지의 사용에 따라 가스의 발생 또는 예기치 못한 상황의 전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고압가스에 의하여 전지셀의 발화 내지 폭발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지의 수명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종래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지 내부의 고온 고압에 따른 전지의 부풀림 현상 및 이로 인한 전지의 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주기마다 고압의 내부 가스를 배출하거나 가스가 배출(venting)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시하는 기술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차전지 내부의 가스 발생시 이차전지가 부풀어 오르거나 실링 부위가 터져 가스가 밖으로 배출될 수 있는 정도의 전지 내부의 압력 또는 힘을 이용하여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예정하는 형태로 변형시키고 이로 인하여 전류의 흐름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전지 내부에 가스 발생 또는 고온 및 고압에 의해 전지의 위험이 초래되는 경우, 전극조립체의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결합부위가 분리될 수 있도록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설계하여, 원천적으로 전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이를 다수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 모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중대형 전지 모듈을 다수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공간부, 상부 전지케이스, 하부 전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 전지케이스를 밀봉하기 위해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 전지케이스는 전극조립체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공간부 모서리가 1회 이상 접힌접철식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접철식 구조는 1회 접힌 접철식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은 단일 방향으로서, 돌출된 전극리드 위, 아래에 위치하는 공간부 모서리는 1회 이상 접힌 접철식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접철식 구조는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쪽에서 그 반대되는 방향으로 만입되어 절곡된 것으로, 접힌 부분이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접철식 구조는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쪽과 반대되는 쪽에서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만입되어 절곡된 것으로, 접힌 부분이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쪽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은 양 방향으로서, 양 방향으로 돌출된 전극리드 위, 아래에 위치하는 공간부 모서리는 1회 이상 접힌 접철식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접철식 구조는 전극리드가 돌출된 양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절곡되어 접힌 부분이 서로 상반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접철식 구조는 전극리드가 돌출된 양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절곡되어 접힌 부분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접철식 구조에 의해 절곡되어 접힌 부분의 길이는 전극조립체의 전극 무지부와 대응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용 전지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공간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 후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파우치용 전지케이스 및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극탭의 말단과 전극리드의 말단을 연결하는 용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착부는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말단을 절곡하여 절곡된 면끼리 마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극탭의 말단 또는 전극리드의 말단에 하나 이상의 파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단홈은 파우치용 전지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탭의 말단 또는 전극리드의 말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차전지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의 넓은 면 방향으로 상기 이차전지를 적층한 구조의 중대형 전지 모듈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중대형 전지 모듈을 다수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한다.
상기 중대형 전지팩은 파워 툴(power tool); 전기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하는 전기차; E-bike, 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기 트럭; 전기 상용차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제조시 별도의 설치 공정이나 설치공간이 필요치 아니하면서도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내부 가스 발생시 원천적으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전지의 수명 및 안전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낮은 제조비, 적은 중량, 전지의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이 가능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내부 가스의 팽창력에 의해 예정된 형태로 변형되어 전극리드와 전극탭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 파단홈이 형성된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내부 가스의 팽창력에 의해 예정된 형태로 변형되어 전극리드와 전극탭이 분리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전극탭 및 전극리드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구조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 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내부 가스의 팽창력에 의해 예정된 형태로 변형되어 전극리드와 전극탭이 분리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있어 전극탭과 전극리드가 용착되는 용착부의 다양한 구조에 대한 측면도 및 평면도들이다.
도 13은 도 2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다수 포함하고 있는 전지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다수 포함하고 있는 전지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200, 210 : 파우치형 이차전지
20, 20' 하부 전지케이스
30, 30' 상부 전지케이스
40, 40' 전극조립체
50, 50' 양극탭
60, 60' 음극탭
70, 70' 양극리드
80, 80' 음극리드
90, 90' 절연테입
110: 전극조립체 공간부
120: 하부 전지케이스의 공간부 모서리
130: 상부 전지케이스의 공간부 모서리
41: 전극무지부
180: 파단홈 300: 중대형 전지모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공간부, 상부 전지케이스, 하부 전지케이스 및 상기 상, 하부 전지케이스를 밀봉하기 위해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지케이스와 하부 전지케이스는 전극조립체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공간부 모서리가 1회 이상 접힌 접철식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하기 도면들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도면에 형상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2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조립된 사시도 및 전지 내부 가스의 팽창력으로 인하여 파우치형 전지케이스가 예정된 방향으로 펼쳐져 전극탭 및 전극리드가 분리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간부(110), 및 상부 전지케이스(30')와 하부 전지케이스(20')를 밀봉하기 위해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전극조립체(40')의 전극리드(70', 80')가 돌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부 전지케이스의 공간부모서리(130) 또는 하부 전지케이스의 공간부 모서리(130)가, 1회 이상 접힌 접철식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철식 구조는 공간부를 이루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가 어느 한 방향으로 만입되어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구조로서, 만입되어 절곡된 횟수는 적어도 1회 이상일 수 있으며, 다만,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두께 및 수납공간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1회 만입 되어 절곡된 접철식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상기와 같이 상부 전지케이스(30')와 하부 전지케이스(20') 상에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식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전지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거나 전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이차 전지가 미리 예정된 형태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가 단일로 사용되는 경우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하여 이들 단위전지들을 다수 적층하고 포장한 중대형 모듈, 또는 이와 같은 중대형 모듈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에 이용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를 단위전지로 하여 적층 및 조립한 중대형 전지 모듈 또는 전지팩은, 도 5에 도시된 평면도에서 z 방향으로는 다수의 단위전지들이 겹치거나 적층되어 조립되는 바, 단위전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거나 내부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z 방향으로 단위전지가 부풀어 오르거나 형태가 변형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단위전지를 적층 배열한 중대형 모듈 또는 중대형 전지팩 내에서 상기와 같이 단위전지가 z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단위전지의 내부에서 고압 가스가 발생하였을 때, 도 5의 평면도에서 x 방향으로 높은 팽창 응력이 인가되어 미리 예상한 형태로 단위 전지가 변형이 되도록 설계한 것이다.
도 5의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하부 전지케이스(20')와 상부 전지케이스(30')의 공간부에 있어서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방향 즉, x 방향의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 공간부의 모서리에 접철식 구조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철식 구조가 형성된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 모듈 또는 전지팩에서 단위전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y 및 z 방향으로는 다수의 단위전지가 적층되어 있어 압력이 인가되므로 해당방향으로는 단위전지의 형태 변형이 어려워지고, 결국 내부 가스에 의한 팽창력은 x 방향으로 집중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가해진 팽창 응력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공간부의 모서리상에 형성된 접철식 구조를 펼치는 힘이 되고, 이에 따라 전지케이스는 x 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상, 하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와 함께 실링된 전극리드는 상기와 같이 전지케이스가 x방향으로 돌출될 때 함께 당겨지게 되어, 이는 결과적으로 전극리드를 전지의 외부로 당기는 힘이 된다.
따라서, 단위전지 즉, 이차전지가 x 방향의 전지 외부로 계속적인 팽창하고 이에 따라 접철식 구조가 펼쳐지면서 정점에 이르면, 전극리드는 전극탭으로부터 분리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전극탭 또는 전극리드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으므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접철식 구조는 전극리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경우, 2 이상의 방향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전극리드가 동일한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된 경우에는 상기 접철식 구조 또는 어느 한 방향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철식 구조가 내부 가스의 팽창력에 의하여 펼쳐지기 위해서는 전극리드가 돌출된 방향의 하부전지케이스(20')와 상부전지케이스(30') 공간부 모서리(120, 130)에 모두에 접철식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접철식 구조가 팽창되어 펼쳐지면서 전극리드를 전극탭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전극리드를 당기는 힘의 균형이 유지되어야 가장 큰 응력이 인가될 수 있으며, 상부 전지케이스 또는 하부 전지케이스 어느 한쪽에만 접철식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상시 내부 가스의 팽창력에 의하여 전지케이스의 접철부가 펼쳐지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전극리드를 외부로 당기는 힘이 최대가 되기 위해서는 상부 전지케이스의 공간부 모서리(130)와 하부 전지케이스의 공간부 모서리(120)에 형성되는 접철식 구조의 모양이나 크기 또는 사이즈는 동일한 수치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상하부 공간부 모서리에 형성된 접철식 구조(120, 130)는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만입되어 접힌 구조로서, 전지케이스가 내측으로 만입되는 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만입되는 정도가 너무 작으면 전극리드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비상시 전류를 확실히 차단하기 어렵고, 반대로 만입된 정도가 너무 큰 접철식 구조의 경우에는, 전지 내부의 가스 발생 및 고압에 의하여 빠르게 전지의 형태 변형이 이뤄지지가 힘들다. 따라서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어느 한 방향의 하부 전지케이스(20') 및 상부 전지케이스(30')의 공간부 모서리에 형성된 접철식 구조는, 적어도 상기 접철식 구조가 완전히 펼쳐져서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전극리드가 전극탭으로부터 완벽하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만입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철식 구조가 내측으로 만입된 정도는, 외측으로부터 전극조립체상에 전극무지부가 형성된 부분까지 내측으로 만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집전체상에 전극무지부를 형성하는 방법이나 형성된 형태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전극무지부는 전극집전체상에 전극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전극집전체와 전극탭을 연결하기 위한 공간이다. 따라서, 전극무지부가 형성된 공간은 이차 전지의 실제 성능과는 무관한 영역으로서 가능한 한 이 공간을 줄이는 방향으로 이차 전지의 개발이 진행 중이나, 공정상 필요한 최소의 공간을 유지되어야 하는바, 이 공간을 다른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극무지부가 형성되는 공간을, 상하부 전지케이스의 공간부 모서리에 형성된 접철식 구조가 만입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지케이스의 접철식 구조가 내부로 만입되는 공간이 클수록, 유사시에 전극탭이 분리되기 유리할 것이므로, 되도록 파우치의 접철식 구조가 최대한 만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차 전지의 컴팩트한 구성을 위해서는 상기 접철식 구조가 만입되는 정도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전극무지부가 형성된 공간을 활용하는 한도에서 만입되도록 하는 것이 전극조립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이차전지의 컴팩트한 설계를 위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케이스는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부 전지케이스(30') 및 하부 전지케이스(20')의 공간부 모서리(120, 130)에 접철식 구조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공지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전지케이스는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실링부에서 상부 전지케이스(30')와 하부 전지케이스(20')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파우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구조는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절곡면이 형성되도록 한다면 특별히 그 형태는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전극리드가 양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2와 같이, 절곡면이 각각의 전극리드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절곡되어 접힌 부분이 서로 상반된 방향을 향하도록, 즉,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만입된 구조로 형성될 수 도 있으며, 또는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절곡되어 접힌 부분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극리드가 단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절곡면이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며,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쪽에서 그 반대되는 방향으로 만입되어 절곡됨으로써, 접힌 부분이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쪽과 반대쪽에서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만입되어 절곡되어, 접힌 부분이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쪽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접철식 구조의 형성은, 예를 들어, 상기 접철식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의 히팅 지그를 사용하여 전지케이스의 예정 부위를 가열 가압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지만,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고분자 필름의 외부 피복층, 금속박의 베리어층, 및 폴리올레핀 계열의 내부 실란트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피복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수한 내성을 가져야 하므로, 소정 이상의 인장강도와 내후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측면에서 외측 수지층의 고분자 수지로는 연신 나일론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층은 가스, 습기 등 이물질의 유입 내지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 전지케이스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실란트층은 열융착성(열접착성)을 가지고 전해액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흡습성이 낮으며 전해액에 의해 팽창하거나 침식되지 않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리드(70', 80')의 상하면 일부에는 상부 및 하부 전지케이스(20', 30')와의 밀봉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절연필름(90')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상부 전지케이스의 공간부 모서리(130)에 형성된 접철식 구조와 하부 전지케이스의 공간부 모서리(120)에 형성된 접철식 구조보다 외주면의 실링부가 외부로 더욱 돌출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주면의 실링부가 접철식 구조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에 상부 전지케이스(30')와 하부전지케이스(20')를 열융착에 의하여 실링하는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미리 접철식 구조로 제단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 상부 전지케이스와 하부 전지케이스를 열융착에 의해 실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전극 리드의 돌출이 예정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직육면체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일 수 있으며, 상기 개방부에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 전지케이스의 밀봉 공정과 함께, 접철식 구조의 형성이 용이할 수 있도록 미리 절곡 부위에 점선 형태의 파단부를 형성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여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공간부 모서리에 형성된 접철식 구조가 펼쳐지면서 전극 리드에 외부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될 경우, 전극 리드와 전극 탭들이 연결된 용착부가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전극 리드와 전극 탭의 용착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단홈(1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단홈(180)의 위치나 개수 등은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전극리드와 전극탭의 용착부에 양쪽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파단홈은 파우치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탭이나 전극리드 부분에만 위치하면 되고 용착부와의 이격 거리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파단홈(180)의 크기 및 안쪽으로 파단 된 길이에도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이차 전지의 수명이나 기능에 부정적 영향이 없으면서도, 유사시에 상기 전지케이스의 접철식 구조가 펼쳐짐에 따라 전극탭과 전극리드가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기만 하면 만족된다.
도 12에는 파단홈(200)이 형성된 전극리드와 전극탭의 용착부 및 상기 전극리드와 전극탭의 용착부의 구조에 대해 다수 도시하였다.
상기 용착부는 도 12의 10a)와 같이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말단부를 덧대어 납땜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 등으로 용착할 수도 있으며, 또는 10C)와 같이 전극탭 또는 전극리드의 말단부를 절곡하여 절곡면끼리 마주하도록 하여 용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는 양극과 음극 및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딩형,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스택/z-폴딩형의 구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으며, 특히, 리튬 함유 전해액이 겔의 형태로 전극조립체에 함침되어 있는 이른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서 포함하고 있는 중대형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도 13은 양 방향으로 전극리드가 돌출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다수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어느 한 방향으로 전극리드가 돌출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다수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중대형 전지모듈에 포함되는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모두 동일한 접철식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다른 형태의 접철식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포함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중대형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특히, 장시간의 수명과 우수한 내구성이 요구되는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 또는 이러한 전지를 단위전지로서 다수개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또는 중대형 전지팩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대형 전지팩은 파워 툴(power tool); 전기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하는 전기차; E-bike, 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기 트럭; 전기 상용차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대형 전지 모듈 또는 중대형 전지팩의 구조 및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1)

  1.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공간부, 상부 전지케이스, 하부 전지케이스 및 상기 상, 하부 전지케이스를 밀봉하기 위해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로서,
    상기 상부 전지케이스와 하부 전지케이스는 전극조립체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공간부 모서리가 1회 이상 절곡된 접철식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구조는 만입되어 접힌 횟수가 1회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전지케이스 공간부 모서리와 하부 전지케이스의 공간부 모서리에 형성된 접철식 구조는 전극조립체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리드는 단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접철식 구조는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쪽에서 그 반대되는 방향으로 만입되어 절곡된 것으로, 접힌 부분이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접철식 구조는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쪽과 반대되는 쪽에서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만입되어 절곡된 것으로, 접힌 부분이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쪽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은 양 방향으로서, 양 방향으로 돌출된 전극리드 위, 아래의 공간부 모서리는 어느 한 방향으로 만입되어 접힌 접철식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접철식 구조는 전극리드가 돌출된 양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절곡되어 접힌 부분이 상반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접철식 구조는 전극리드가 돌출된 양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절곡되어 접힌 부분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구조에 의해 절곡되어 접힌 부분의 길이는 전극조립체의 전극 무지부와 대응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전지케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용 전지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공간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 후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전지케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전지케이스.
  13. 제 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우치용 전지케이스 및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극탭의 말단과 전극리드의 말단을 연결하는 용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는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말단을 절곡하여 절곡된 면끼리 마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극탭의 말단 또는 전극리드의 말단에 하나 이상의 파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홈은 파우치용 전지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탭의 말단 또는 전극리드의 말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9. 제13항에 따른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의 넓은 면 방향으로 상기 이차전지를 적층한 구조의 중대형 전지 모듈.
  20. 제19항에 따른 중대형 전지 모듈을 다수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 전지팩은 파워 툴(power tool); 전기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하는 전기차; E-bike, 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기 트럭; 전기 상용차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PCT/KR2011/005637 2010-08-05 2011-07-30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WO2012018200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80042802.3A CN103081161B (zh) 2010-08-05 2011-07-30 具有改进稳定性的二次电池袋、使用这种二次电池袋的袋型二次电池以及中大型电池组
JP2013523090A JP5674936B2 (ja) 2010-08-05 2011-07-30 安全性が向上した二次電池用ポーチ及びこれを利用したポーチ型二次電池、中大型電池パック
EP11814800.6A EP2602840B1 (en) 2010-08-05 2011-07-30 Secondary battery pouch having improved stability, pouch-type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and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pack
US13/242,955 US20120040235A1 (en) 2010-08-05 2011-09-23 Pouch having improved safety,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dium-to-large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5468 2010-08-05
KR10-2010-0075468 2010-08-05
KR10-2011-0050759 2011-05-27
KR1020110050759A KR101252981B1 (ko) 2010-08-05 2011-05-27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242,955 Continuation US20120040235A1 (en) 2010-08-05 2011-09-23 Pouch having improved safety,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dium-to-large battery p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8200A2 true WO2012018200A2 (ko) 2012-02-09
WO2012018200A3 WO2012018200A3 (ko) 2012-05-03

Family

ID=4555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5637 WO2012018200A2 (ko) 2010-08-05 2011-07-30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40235A1 (ko)
EP (1) EP2602840B1 (ko)
JP (1) JP5674936B2 (ko)
KR (1) KR101252981B1 (ko)
CN (1) CN103081161B (ko)
WO (1) WO201201820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0410B2 (ja) * 2011-08-02 2014-06-04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US8758931B2 (en) * 2011-12-02 2014-06-24 Lenovo (Singapore) Pte. Ltd. Electrochemical cell package
KR101417280B1 (ko) * 2012-05-30 2014-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14178590A1 (ko)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패키징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577387B1 (ko) * 2013-05-06 2015-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및 이차전지 팩
WO2014182058A1 (ko) * 2013-05-07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CN204464387U (zh) 2013-05-07 2015-07-08 株式会社Lg化学 线缆型二次电池
EP2830126B1 (en) 2013-05-07 2019-07-03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WO2014182059A1 (ko) 2013-05-07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CN204441378U (zh) 2013-05-07 2015-07-01 株式会社Lg化学 二次电池用电极以及包含其的二次电池和线缆型二次电池
WO2014182063A1 (ko) 2013-05-07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 그의 제조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4182064A1 (ko) 2013-05-07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 그의 제조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케이블형 이차전지
KR20140136831A (ko) * 2013-05-21 2014-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06103A (ko) * 2013-07-05 2015-0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직접 수냉 방식을 활용한 이차전지 모듈 및 이의 냉각방법
KR20150030861A (ko) 2013-09-13 2015-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케이스, 전지셀 및 전지셀의 제조방법
KR101583873B1 (ko) * 2013-10-22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
JP5687795B1 (ja) * 2013-11-19 2015-03-18 古河電池株式会社 金属空気電池
KR101500222B1 (ko) 2013-12-18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US9362535B2 (en) * 2013-12-19 2016-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uch-type wrap for battery cell
KR101551036B1 (ko) 2013-12-30 2015-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101558709B1 (ko) * 2013-12-30 2015-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US10886517B2 (en) * 2014-02-11 2021-0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ell spacer
EP3161899A4 (en) 2014-06-30 2017-12-27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for a cordless power tools
JP6202753B2 (ja) * 2014-07-01 2017-09-27 藤森工業株式会社 電池容器、フィルム包装電池及び電池容器の製造方法
WO2016027673A1 (ja) * 2014-08-19 2016-02-2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流遮断機能を有す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04129B1 (ko) 2014-11-20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웰링 cid
KR102249894B1 (ko) 2014-11-21 2021-05-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357772B1 (ko) 2014-11-27 2022-01-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704162B1 (ko) 2015-01-20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충전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 전지
US10629857B2 (en) * 2015-02-12 2020-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US10811669B2 (en) 2015-02-17 2020-10-20 Nec Corporation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818630B1 (ko) * 2015-04-22 2018-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2080903B1 (ko) 2015-06-08 2020-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005488B1 (ko) * 2015-06-16 2019-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셀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2017010828A (ja) * 2015-06-24 2017-01-12 古河電池株式会社 金属空気電池
KR102288544B1 (ko) * 2015-06-29 2021-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3554B1 (ko) * 2015-08-19 2019-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파우치
US10109842B2 (en) 2015-10-16 2018-10-23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cell
KR101724929B1 (ko) * 2015-10-16 2017-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
KR101755861B1 (ko) * 2015-10-16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
KR101927262B1 (ko) 2015-11-03 2018-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KR101734703B1 (ko) * 2015-11-04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
KR102084150B1 (ko) * 2016-02-25 2020-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및 이러한 배터리 셀의 제조 방법
CN109716574B (zh) * 2016-07-29 2022-01-18 三星Sdi株式会社 可再充电电池
KR102097084B1 (ko) * 2016-09-05 2020-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80033972A (ko) * 2016-09-27 2018-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
US10686228B2 (en) 2016-12-14 2020-06-16 Pacesetter, Inc. Pouch battery for use in implantable electronic devices
KR102065372B1 (ko) * 2017-02-02 2020-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단락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18231605A1 (en) * 2017-06-15 2018-12-20 A123 Systems Llc Stacked prismatic architecture for electrochemical cell
KR102320114B1 (ko) * 2017-06-21 2021-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류 차단구조
KR102261683B1 (ko) * 2017-07-06 2021-06-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비대칭 노치가 형성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143625B1 (ko) * 2017-11-14 2020-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미실링부를 갖는 파우치 타입 이차 전지
KR102203839B1 (ko) * 2018-01-09 2021-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히든형 가스 포켓부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415150B1 (ko) * 2018-02-05 2022-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475343B1 (ko) * 2018-03-02 2022-12-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0571364B (zh) * 2018-06-05 2023-09-19 Sk新能源株式会社 袋型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JP7133488B2 (ja) * 2019-01-29 2022-09-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KR20210051733A (ko) * 2019-10-31 2021-05-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FR3106939B1 (fr) 2020-01-31 2022-01-14 Accumulateurs Fixes Element electrochimique de type pochette de format semi-circulaire
CN113597701B (zh) * 2020-03-24 2023-04-18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以及电子装置
US20230335839A1 (en) * 2020-09-28 2023-10-19 Lg Energy Solution, Ltd. Pouch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DE102021200558A1 (de) * 2021-01-21 2022-07-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Pouch-Gehäuse
JP2022131624A (ja) * 2021-02-26 2022-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ウチセル
EP4191755A1 (de) * 2021-12-01 2023-06-07 Hilti Aktiengesellschaft Energieversorgungsvorrichtung mit einer flexiblen aussenhülle und werkzeugmaschine mit einer solchen energieversorgungsvorrichtung
EP4191756A1 (de) * 2021-12-01 2023-06-07 Hilti Aktiengesellschaft Energieversorgungsvorrichtung mit einer zelle ohne überdruckventil und werkzeugmaschine mit einer solchen energieversorgungsvorrichtung
WO2023127721A1 (ja) * 2021-12-28 2023-07-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4097A (ja) * 1997-02-24 1998-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薄型電池
JP2000260668A (ja) 1999-01-07 2000-09-22 Ngk Insulators Ltd 電気化学キャパシタ
US6653018B2 (en) * 2000-03-17 2003-11-25 Tdk Corporation Electrochemical device
JP4132588B2 (ja) * 2000-06-16 2008-08-13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JP2003007345A (ja) * 2001-04-16 2003-01-10 Mitsubishi Chemicals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
JP4720065B2 (ja) * 2001-09-04 2011-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池及び組電池
KR100889765B1 (ko) * 2001-10-30 2009-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KR100428974B1 (ko) * 2001-11-08 2004-04-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채용한 이차전지
JP3695435B2 (ja) * 2002-09-03 2005-09-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外装扁平型電池
JP3789439B2 (ja) * 2003-03-03 2006-06-21 Necラミリオンエナジー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積層型組電池
KR100876455B1 (ko) * 2006-07-31 2008-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147605B1 (ko) * 2006-10-16 2012-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1123061B1 (ko) * 2006-10-23 2012-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이차전지
US8697275B2 (en) * 2009-03-04 2014-04-1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n extendable case region
JP5459398B2 (ja) * 2010-05-19 2014-04-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二次電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602840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2840A2 (en) 2013-06-12
WO2012018200A3 (ko) 2012-05-03
JP5674936B2 (ja) 2015-02-25
EP2602840A4 (en) 2014-06-25
CN103081161A (zh) 2013-05-01
CN103081161B (zh) 2016-05-18
JP2013535791A (ja) 2013-09-12
KR101252981B1 (ko) 2013-04-15
KR20120013883A (ko) 2012-02-15
EP2602840B1 (en) 2015-07-08
US20120040235A1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18200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WO2011115464A2 (ko) 파우치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2161423A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WO2019208911A1 (ko)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13180482A1 (ko) 전극탭 접합성이 우수한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09484A1 (ko) 열수축성 튜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9050152A1 (ko) 벤팅 가스를 이용하여 커넥터를 파단시키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WO2009157676A9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WO2019009625A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9245214A1 (ko) 이차 전지 및 버스바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WO2018225920A1 (ko) 배터리 모듈
WO2014030910A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WO2014038891A1 (ko) 이차전지
WO2015152527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2030839A1 (ko) 단선 방지층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203593A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221836A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15881A1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225168A1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215443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05233A1 (ko)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45530A1 (ko) 내부 플레이트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WO2016200147A1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2225172A1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3059009A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0042802.3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148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52309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14800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