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873B1 -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3873B1 KR101583873B1 KR1020130126156A KR20130126156A KR101583873B1 KR 101583873 B1 KR101583873 B1 KR 101583873B1 KR 1020130126156 A KR1020130126156 A KR 1020130126156A KR 20130126156 A KR20130126156 A KR 20130126156A KR 101583873 B1 KR101583873 B1 KR 1015838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cells
- battery
- cutting module
- battery cell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적층되는 배터리 셀의 사이마다 개재된 홀더; 인접하는 홀더와 홀더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 및 설치공간에 삽입되며, 삽입된 일단부는 설치공간 내측에서 인접하는 셀 사이에 위치되며 홀더에 고정되고, 노출된 타단부에는 접합된 리드탭과 버스바의 사이를 향하도록 커터날이 형성되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는 복수의 경첩으로 연결되어, 셀의 측방 팽창시 경첩이 가압되어 펼쳐짐으로써 타단부가 외측으로 전개되어 리드탭과 버스바의 접합을 커터날이 분리시키도록 하는 커팅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은 가스발생량으로도 정확히 스웰링을 감지하고 충전회로를 끊을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 배터리시스템의 경우 과충전 안전장치가 고안되어야 한다. 과충전 안전 장치는 과충전 발생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열폭주를 방지하여 배터리시스템의 발화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기존의 passive 방식의 과충전 안전구조 구조는 셀 스웰링시 발생하는 팽창력을 이용한다. 셀 스웰링이 충분히 발생하였을 경우, 엔드플레이트 개구부에 의한 셀팽창이 유도되어 셀탭부 파단이 발생하며, 이를 통해 전류가 차단되어 안전성을 확보한다.
그러나, 이 구조는 충분한 셀 스웰링이 열폭주 발생전에 발생하여야 하는데 열폭주 발생전에 셀 스웰링이 충분치 않을 경우 열폭주와 동시에 작동하여, 전류가 차단되었다 하더라도, 열폭주가 발생하여 발화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셀 사양이 변경될 경우 가스발생량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경우 셀팽창력의 변동으로 인하여 설계변경을 필요로 한다. 즉, 셀 사양에 민감한 안전구조는 강건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능동적으로 릴레이를 차단하는 active 방식의 기술은 릴레이 융착 고장 발생시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passive 방식의 과충전 안전 구조가 필요하다.
본 기술은 과충전 상황 발생시 passive 방식을 이용한 과충전 안전 구조이며, 적은 가스 발생량을 이용한다. 적은 가스 발생량에 의한 셀팽창력으로 조기에 전류를 차단하는 과충전 안전 구조이다.
기존 passive 방식의 과충전 안전구조 구조는 셀 스웰링시 발생하는 배터리 면 방향의 팽창력을 이용한다. 셀 스웰링이 충분히 발생하였을 경우, 엔드플레이트 개구부에서 셀변형이 발생되고, 변형에 의해 셀탭부와 버스바의 용접점에 파단이 발생한다. 용접점/셀탭부 파단을 통해 전류가 차단되어 안전성을 확보한다.
그러나, 이 구조는 충분한 셀 스웰링이 열폭주 발생 전에 발생하여야 하는데 열폭주 발생 전에 면 방향으로의 셀 스웰링이 충분치 않을 경우 열폭주와 동시에 작동하여, 전류가 차단되었다 하더라도, 열폭주가 발생하여 발화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셀 사양이 변경될 경우 셀팽창력의 변동으로 인하여 설계변경을 필요로 한다.
기존 active 방식의 과충전 안전구조는 셀팽창을 감지하는 센서나 스위치를 장착하고 셀팽창 감지시 릴레이의 전원이 차단되는 방식이다. 릴레이의 전원이 차단되므로 배터리시스템의 전류흐름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릴레이를 전원을 차단하는 기술은 릴레이 융착 고장 발생시에는 전류흐름을 차단할 수 없다. 따라서 active 방식의 과충전 안전구조는 사고와 같은 응급상황에서 센서나 스위치 작동 불능의 경우, 전장품 고장의 경우와 동시 발생시에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 기술은 셀의 면팽창을 허용하는 공간을 만들어야 하므로 패키지공간이 따로 필요하여 부피당 에너지밀도에 불리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적은 가스발생량으로도 정확히 스웰링을 감지하고 충전회로를 끊을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는, 적층되는 배터리 셀의 사이마다 개재된 홀더; 인접하는 홀더와 홀더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 및 설치공간에 삽입되며, 삽입된 일단부는 설치공간 내측에서 인접하는 셀 사이에 위치되며 홀더에 고정되고, 노출된 타단부에는 접합된 리드탭과 버스바의 사이를 향하도록 커터날이 형성되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는 복수의 경첩으로 연결되어, 셀의 측방 팽창시 경첩이 가압되어 펼쳐짐으로써 타단부가 외측으로 전개되어 리드탭과 버스바의 접합을 커터날이 분리시키도록 하는 커팅모듈;을 포함한다.
홀더는 셀의 테두리를 두르는 프레임 형상으로써 인접하는 셀들은 상호 홀더를 관통하여 면접촉될 수 있다.
설치공간은 인접하는 홀더의 측단부에 각각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홀더의 조립시 하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커팅모듈의 일단부에는 설치공간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힌지축이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셀은 스웰링시 측방으로 팽창되며 설치공간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경첩을 가압할 수 있다.
커팅모듈의 복수의 경첩은 접혀진 상태로 설치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커팅모듈의 일단부에는 셀측으로 노치가 형성되고 노치는 인접하는 셀과 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커팅모듈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홀더에는 돌출 형성되어 관통홀을 관통한 후 마주보는 홀더에 접촉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설치공간의 폭이 확보될 수 있다.
커팅모듈의 복수의 경첩은 복수의 힌지축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일련의 경첩이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커팅모듈의 복수의 경첩은 커팅모듈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각 꼭지점에 힌지축이 구비된 마름모 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배터리는, 면접촉되며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 셀; 적층되는 배터리 셀의 사이마다 개재된 홀더; 인접하는 홀더와 홀더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 셀로부터 연장되며 설치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리드탭; 리드탭과 접점을 이루는 버스바; 및 설치공간에 삽입되며, 삽입된 일단부는 설치공간 내측에서 인접하는 셀 사이에 위치되며 홀더에 고정되고, 노출된 타단부에는 접합된 리드탭과 버스바의 사이를 향하도록 커터날이 형성되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는 복수의 경첩으로 연결되어, 셀의 측방 팽창시 경첩이 가압되어 펼쳐짐으로써 타단부가 외측으로 전개되어 리드탭과 버스바의 접합을 커터날이 분리시키도록 하는 커팅모듈;을 포함한다.
리드탭과 버스바는 복수의 이격된 용접점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커터날에는 각 용접점의 사이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커팅모듈의 전개시 걸림돌기가 용접점의 사이 지점에 삽입될 수 있다.
배터리 셀은 파우치로 포장되며 파우치는 셀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홀더는 셀을 두르는 프레임 형상으로써, 셀은 홀더를 관통하여 인접하는 셀끼리 면접촉 하고 홀더는 인접하는 홀더끼리 파우치의 연장된 부분을 사이에 두고 압착될 수 있다.
파우치의 연장된 일단부가 인접하는 홀더의 일단부를 두르며 감싸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인접하는 홀더끼리 압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에 따르면, 적은 가스발생량으로도 정확히 스웰링을 감지하고 충전회로를 끊을 수 있게 된다.
기존 장치는 작동시 면 방향 팽창을 허용할 수 있도록 패키지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기존 방식대비 본 발명은 패키지 공간을 줄여 컴팩트한 모듈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배터리시스템의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증가하면 차량 상품성이 증대된다.
모듈의 부피가 줄어들면 전체 팩의 부피도 줄어들어, 팩의 기구물 사이즈도 감소하게 되고, 기존 모듈 설계에 들어가는 셀간 알루미늄 커버가 삭제되어 커버 금형비 및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다.
기존 장치는 팽창을 위한 가스발생량이 많이 필요하지만 본 기술은 적은 가스발생량에서 높은 압력을 유도하므로 조기에 작동하여 전류를 차단시키는 장점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측방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측방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측방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배터리는, 면접촉되며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 셀(100a,100b); 적층되는 배터리 셀(100a,100b)의 사이마다 개재된 홀더(200a,200b,200c,200d); 인접하는 홀더(200b)와 홀더(200c)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210); 셀(100)로부터 연장되며 설치공간(2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리드탭(130); 리드탭(130)과 접점을 이루는 버스바(400); 및 설치공간(210)에 삽입되며, 삽입된 일단부(330)는 설치공간(210) 내측에서 인접하는 셀(100) 사이에 위치되며 홀더(200)에 고정되고, 노출된 타단부(310)에는 접합된 리드탭(130)과 버스바(400)의 사이를 향하도록 커터날(340)이 형성되며, 일단부(330)와 타단부(310) 사이는 복수의 경첩(361,362,363)으로 연결되어, 셀(100)의 측방 팽창시 경첩(360)이 가압되어 펼쳐짐으로써 타단부(310)가 외측으로 전개되어 리드탭(130)과 버스바(400)의 접합을 커터날이 분리시키도록 하는 커팅모듈(300);을 포함한다.
븍, 본 발명의 배터리는 차량용 배터리에 과충전 방지장치가 결합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면접촉되며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 셀(100a,100b)과 적층되는 배터리 셀(100)의 사이마다 개재된 홀더(200)가 마련된다.
배터리 셀(100)은 파우치(110)로 포장되며 파우치(110)는 셀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홀더(200)는 셀(100)을 두르는 프레임 형상으로써, 셀(100)은 홀더(200)를 관통하여 인접하는 셀(100a,100b)끼리 면접촉 하고 홀더(200)는 인접하는 홀더(200a,200b,200c,200d)끼리 파우치(110)의 연장된 부분을 사이에 두고 압착될 수 있다.
그리고 파우치(110)의 연장된 일단부(330)가 인접하는 홀더(200)의 일단부(330)를 두르며 감싸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인접하는 홀더(200)끼리 압착될 수 있다. 그리고 셀(100)과 홀더(200)가 상호 중첩되며 결합된 후에는 양 측방에서 엔드플레이트를 통해 압착되며 체결됨으로써 면 방향으로의 팽창을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그리고 테두리 부분 역시 홀더(200)에 의해 단단히 막히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결국 과충전 방지장치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으로 민감하게 팽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작은 양의 스웰링만으로도 충분히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는, 적층되는 배터리 셀(100a,100b)의 사이마다 개재된 홀더(200a,200b,200c,200d); 인접하는 홀더(200b)와 홀더(200c)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210); 및 설치공간에 삽입되며, 삽입된 일단부는 설치공간 내측에서 인접하는 셀(100a,100b) 사이에 위치되며 홀더(200)에 고정되고, 노출된 타단부에는 접합된 리드탭(130)과 버스바(400)의 사이를 향하도록 커터날(340)이 형성되며, 일단부(330)와 타단부(310) 사이는 복수의 경첩(361,362,363)으로 연결되어, 셀(100)의 측방 팽창시 경첩(360)이 가압되어 펼쳐짐으로써 타단부(310)가 외측으로 전개되어 리드탭(130)과 버스바(400)의 접합을 커터날(340)이 분리시키도록 하는 커팅모듈(30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에는 인접하는 홀더(200b)와 홀더(200c)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210)을 포함한다. 설치공간(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셀(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리드탭(130)이 위치되는 지점에서 형성되며, 그 지점에서 마주보는 홀더(200b,200c)의 사이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홀더(200)는 셀(100)의 테두리를 두르는 프레임 형상으로써 인접하는 셀(100a,100b)들은 상호 홀더(200a,200b,200c,200d)를 관통하여 면접촉되는데, 설치공간(210)은 인접하는 홀더(200b,200c)의 측단부에 각각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홀더(200)의 조립시 하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200)는 압착력을 유지하여 팽창을 억제하되 설치공간(210) 상으로는 셀(100)의 팽창을 허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커팅모듈(300)은 설치공간(210)에 삽입된다. 커팅모듈(300)의 삽입된 일단부(330)는 설치공간(210) 내측에서 인접하는 셀(100a,100b) 사이에 위치되며 홀더(200)에 고정된다. 그리고 노출된 커팅모듈(300)의 타단부(310)에는 접합된 리드탭(130)과 버스바(400)의 사이를 향하도록 커터날(3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팅모듈(300)의 이격된 일단부(330)와 타단부(310) 사이는 복수의 경첩(361,362,363)으로 연결되어, 셀(100)이 설치공간(210)에서 측방으로 팽창시 셀(100)에 경첩(360)이 가압되어 밀려 펼쳐짐으로써 커팅모듈(300)의 타단부(310)가 외측으로 전개되어 리드탭(130)과 버스바(400)의 접합을 커터날(340)이 분리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커팅모듈(300)의 복수의 경첩(361,362,363)은 접혀진 상태로 설치공간(210)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셀(100)은 스웰링시 측방으로 팽창되며 설치공간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경첩(360)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감하게 팽창되는 셀(100)의 압력에 의해 기구적인 구성을 통해 리드탭(130)과 버스바(400)를 절연하는바, 전기적인 액티브 방식에 비해 안전하고 종래의 패시브 방식에 비해 민감도가 향상되며 성능이 일정하게 보장되는 것이다.
한편, 커팅모듈(300)의 일단부(330)에는 설치공간(210)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힌지축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팅모듈(300)의 일단부(330)에는 셀(100)측으로 노치(n)가 형성되고 노치(n)는 인접하는 셀(100a)과 셀(100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치(n)를 기준으로 양 측에 위치되는 마주보는 셀(100a,100b)은 독립적으로 팽창하며 경첩(36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힌지축이 설치공간(210)의 내측에서 홀더(200)에 결합되고 노치(n)에 의해 마주보는 셀(100a,100b)의 사이에서 커팅모듈(300)의 일단부(330)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에 따라 셀(100)이 팽창하더라도 커팅모듈(300)의 일단부(330)는 고정되고 상대적으로 복수의 경첩(361,362,363)이 전개되며 커팅모듈(300)의 타단부(310)가 전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로서, 커팅모듈(300)에는 관통홀(322)이 형성되고 홀더(200b)에는 돌출 형성되어 관통홀(322)을 관통한 후 마주보는 홀더(200c)에 접촉되는 돌기부(220)가 형성되어 설치공간(210)의 폭이 확보될 수 있다. 즉, 배터리의 조립시에는 면 방향의 가압력이 강하기 때문에 셀(100)이 팽창되더라도 경첩(360)이 눌려져 전개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공간에서 마주보는 홀더(200b)에는 돌기부(220)가 형성되고 그 돌기부(220)는 커팅모듈(300) 중앙의 관통홀(322)을 통하여 마주보는 홀더(200c)에 지지됨으로써 설치공간(210)이 어느 정도의 고정된 공간을 확보하고, 경첩(360)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커팅모듈(300)의 복수의 경첩(361,362,363)은 복수의 힌지축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일련의 경첩(360)이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공간(210)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지그재그로 접혀있어 리드탭(130)과 버스바(400)의 용접이 접점을 이루다가 셀(100)의 팽창시 경첩(360)과 커팅모듈(300)이 전개되며 튀어나가 용접점(w)을 파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로서, 커팅모듈(300)의 복수의 경첩(361,362,363)은 커팅모듈(300)의 일단부(330)와 타단부(310) 사이에서 각 꼭지점에 힌지축이 구비된 마름모 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마름모를 유지하는 상태로 접혀져 있다가 셀(100)의 팽창시 그 마름모가 길어지는 형상으로 전개되며 커팅모듈(300)이 용접점(w)을 파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리드탭(130)과 버스바(400)는 복수의 이격된 용접점(w)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커터날(340)에는 각 용접점(w)의 사이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기(343)가 돌출 형성되어 커팅모듈(300)의 전개시 걸림돌기(343)가 용접점(w)의 사이 지점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용접점(w)의 파단이 용이하고, 커터날(340)과 용접점(w)이 정확히 제자리에서 매칭되어 파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에 따르면, 적은 가스발생량으로도 정확히 스웰링을 감지하고 충전회로를 끊을 수 있게 된다.
기존 장치는 작동시 면 방향 팽창을 허용할 수 있도록 패키지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기존 방식대비 본 발명은 패키지 공간을 줄여 컴팩트한 모듈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배터리시스템의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증가하면 차량 상품성이 증대된다.
모듈의 부피가 줄어들면 전체 팩의 부피도 줄어들어, 팩의 기구물 사이즈도 감소하게 되고, 기존 모듈 설계에 들어가는 셀간 알루미늄 커버가 삭제되어 커버 금형비 및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다.
기존 장치는 팽창을 위한 가스발생량이 많이 필요하지만 본 기술은 적은 가스발생량에서 높은 압력을 유도하므로 조기에 작동하여 전류를 차단시키는 장점 또한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배터리 셀 200 : 홀더
210 : 설치공간 300 : 커팅모듈
340 : 커터날
210 : 설치공간 300 : 커팅모듈
340 : 커터날
Claims (15)
- 면접촉되며 적층된 배터리 셀의 사이마다 개재된 홀더;
인접하는 홀더와 홀더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 및
설치공간에 삽입되며, 삽입된 일단부는 설치공간 내측에서 인접하는 셀 사이에 위치되며 홀더에 고정되고, 노출된 타단부에는 접합된 리드탭과 버스바의 사이를 향하도록 커터날이 형성되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는 복수의 경첩으로 연결되어, 셀이 적층된 방향의 측방으로 팽창시 경첩이 가압되어 펼쳐짐으로써 타단부가 외측으로 전개되어 리드탭과 버스바의 접합을 커터날이 분리시키도록 하는 커팅모듈;을 포함하고,
배터리 셀은 파우치로 포장되며 파우치는 셀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홀더는 셀을 두르는 프레임 형상이며, 셀은 홀더를 관통하여 인접하는 셀끼리 면접촉 하고, 홀더는 인접하는 홀더끼리 파우치의 연장된 부분을 사이에 두고 압착됨으로써 배터리 셀이 적층된 방향인 면 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저지하고,
설치공간은 인접하는 홀더의 측단부에 각각 마주보도록 홈이 형성되어 홀더의 조립시 마주하는 홈이 모여 하나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되고,
배터리 셀은 적층된 방향인 면 방향으로는 인접하는 배터리 셀에 의해 팽창이 저지되고, 테두리 방향으로는 홀더에 의해 팽창이 저지되며, 설치공간으로는 팽창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팅모듈의 일단부에는 설치공간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힌지축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배터리 셀은 스웰링시 측방으로 팽창되며 설치공간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경첩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팅모듈의 복수의 경첩은 접혀진 상태로 설치공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팅모듈의 일단부에는 셀측으로 노치가 형성되고 노치는 인접하는 셀과 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팅모듈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홀더에는 돌출 형성되어 관통홀을 관통한 후 마주보는 홀더에 접촉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설치공간의 폭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팅모듈의 복수의 경첩은 복수의 힌지축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일련의 경첩이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공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팅모듈의 복수의 경첩은 커팅모듈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각 꼭지점에 힌지축이 구비된 마름모 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 면접촉되며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 셀;
적층되는 배터리 셀의 사이마다 개재된 홀더;
인접하는 홀더와 홀더의 일측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
셀로부터 연장되며 설치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리드탭;
리드탭과 접점을 이루는 버스바; 및
설치공간에 삽입되며, 삽입된 일단부는 설치공간 내측에서 인접하는 셀 사이에 위치되며 홀더에 고정되고, 노출된 타단부에는 접합된 리드탭과 버스바의 사이를 향하도록 커터날이 형성되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는 복수의 경첩으로 연결되어, 셀이 적층된 방향의 측방으로 팽창시 경첩이 가압되어 펼쳐짐으로써 타단부가 외측으로 전개되어 리드탭과 버스바의 접합을 커터날이 분리시키도록 하는 커팅모듈;을 포함하고,
배터리 셀은 파우치로 포장되며 파우치는 셀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홀더는 셀을 두르는 프레임 형상이며, 셀은 홀더를 관통하여 인접하는 셀끼리 면접촉 하고, 홀더는 인접하는 홀더끼리 파우치의 연장된 부분을 사이에 두고 압착됨으로써 배터리 셀이 적층된 방향인 면 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저지하고,
설치공간은 인접하는 홀더의 측단부에 각각 마주보도록 홈이 형성되어 홀더의 조립시 마주하는 홈이 모여 하나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되고,
배터리 셀은 적층된 방향인 면 방향으로는 인접하는 배터리 셀에 의해 팽창이 저지되고, 테두리 방향으로는 홀더에 의해 팽창이 저지되며, 설치공간으로는 팽창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 청구항 11에 있어서,
리드탭과 버스바는 복수의 이격된 용접점을 통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 청구항 12에 있어서,
커터날에는 각 용접점의 사이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커팅모듈의 전개시 걸림돌기가 용접점의 사이 지점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 삭제
- 청구항 11에 있어서,
파우치의 연장된 일단부가 인접하는 홀더의 일단부를 두르며 감싸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인접하는 홀더끼리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6156A KR101583873B1 (ko) | 2013-10-22 | 2013-10-22 |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 |
US14/334,149 US9425488B2 (en) | 2013-10-22 | 2014-07-17 |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ing of battery and battery comprising the apparatus |
CN201410387099.5A CN104577225B (zh) | 2013-10-22 | 2014-08-07 | 用于防止电池的过度充电的装置和包括该装置的电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6156A KR101583873B1 (ko) | 2013-10-22 | 2013-10-22 |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6661A KR20150046661A (ko) | 2015-04-30 |
KR101583873B1 true KR101583873B1 (ko) | 2016-01-08 |
Family
ID=52826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6156A KR101583873B1 (ko) | 2013-10-22 | 2013-10-22 |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425488B2 (ko) |
KR (1) | KR101583873B1 (ko) |
CN (1) | CN10457722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2908B1 (ko) | 2015-09-14 | 2019-04-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스웰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KR102163656B1 (ko) * | 2017-06-27 | 2020-10-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KR102256605B1 (ko) * | 2017-07-06 | 2021-05-2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KR102371373B1 (ko) * | 2018-12-06 | 2022-03-0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
KR102423608B1 (ko) | 2019-02-18 | 2022-07-2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DE102021104722A1 (de) | 2021-02-26 | 2022-09-01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Batteriezelle mit Trennvorrichtung, Batteriesystem und Kraftfahrzeug |
CN113140854B (zh) * | 2021-04-08 | 2022-05-13 | 大连理工大学 | 一种用于两相浸没式液冷的带有防爆隔热板的刀片电池夹具 |
EP4399763A1 (en) | 2021-09-10 | 2024-07-17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Battery pack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8186B1 (ko) | 2001-11-30 | 2007-10-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스웰링 현상을 이용한 안전장치가 장착된 이차전지 |
JP4170232B2 (ja) | 2004-01-16 | 2008-10-22 | 株式会社小松ライト製作所 | バイメタルを用いた安全装置 |
EP1878071B1 (en) * | 2005-05-02 | 2012-08-15 | Lg Chem, Ltd. | Improve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of increased safety |
TW200840170A (en) * | 2007-03-30 | 2008-10-01 | Amita Technologies Inc | Power disconnection safety structure for preventing soft-shell lithium-ion battery overcharging |
JP2009076265A (ja) | 2007-09-19 | 2009-04-09 | Panasonic Corp | 電池パック |
KR20090131573A (ko) | 2008-06-18 | 2009-12-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과충전시 전원차단장치 |
KR101041153B1 (ko) | 2009-03-04 | 2011-06-13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이차전지 및 그 모듈 |
KR101072955B1 (ko) * | 2009-08-14 | 2011-10-12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전지 모듈 |
JP5507173B2 (ja) | 2009-09-25 | 2014-05-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池モジュールとそ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
KR101264527B1 (ko) * | 2010-03-19 | 2013-05-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파우치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KR101252981B1 (ko) * | 2010-08-05 | 2013-04-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
JP5556629B2 (ja) | 2010-12-01 | 2014-07-2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密閉型電池 |
KR101822612B1 (ko) * | 2011-04-27 | 2018-01-26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전원차단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
KR20130017289A (ko) | 2011-08-10 | 2013-02-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고전압 배터리팩용 배터리 모듈 |
KR101294168B1 (ko) * | 2011-09-26 | 2013-08-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
JP5866463B2 (ja) * | 2012-02-29 | 2016-02-17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安全性が向上した電池セル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
-
2013
- 2013-10-22 KR KR1020130126156A patent/KR10158387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7-17 US US14/334,149 patent/US9425488B2/en active Active
- 2014-08-07 CN CN201410387099.5A patent/CN10457722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577225A (zh) | 2015-04-29 |
CN104577225B (zh) | 2018-07-31 |
US20150111089A1 (en) | 2015-04-23 |
KR20150046661A (ko) | 2015-04-30 |
US9425488B2 (en) | 2016-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3873B1 (ko) |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 | |
KR101500222B1 (ko) |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 |
KR101447062B1 (ko) |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2318043B1 (ko) |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
KR101294168B1 (ko) |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 |
US10008704B2 (en) | Thermal shield for preventing thermal runaway in a battery assembly | |
EP3731296B1 (en) | Battery cover plate assembly, battery cell, battery module, power battery and electric automobile | |
EP2725650B1 (en) |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tability | |
KR101169205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 |
KR101449307B1 (ko) | 배터리 안전장치 | |
KR101277250B1 (ko) | 결합부를 포함한 단위모듈 제조용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KR101664590B1 (ko) | 배터리 시스템의 전류차단구조 | |
JP2014517448A (ja) |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 |
KR20130078933A (ko) | 중대형 전지팩 어셈블리 | |
KR101861429B1 (ko) | 배터리 팩 | |
JP2014523627A (ja) |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 |
KR20220169703A (ko) |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
KR101279789B1 (ko) | 배터리 | |
KR20240083790A (ko)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JP7566403B2 (ja) | 電池パックおよびそれを含むデバイス | |
KR20130115425A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 |
KR20190032019A (ko) | 벤팅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TWI587560B (zh) | A battery module with a high temperature gas channel structure | |
KR102566026B1 (ko) | 과충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모듈 | |
CN217934018U (zh) | 软包电池和电池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