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036B1 -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036B1
KR101551036B1 KR1020130167273A KR20130167273A KR101551036B1 KR 101551036 B1 KR101551036 B1 KR 101551036B1 KR 1020130167273 A KR1020130167273 A KR 1020130167273A KR 20130167273 A KR20130167273 A KR 20130167273A KR 101551036 B1 KR101551036 B1 KR 10155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ab
head portion
pouch
he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123A (ko
Inventor
최성민
안승호
민홍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036B1/ko
Priority to US14/457,952 priority patent/US9472801B2/en
Priority to CN201410452755.5A priority patent/CN104752680B/zh
Publication of KR2015008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셀 및 셀을 포장하는 파우치; 상기 셀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전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으로 분할 구성된 전극탭; 및 상기 파우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극탭의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이 연결되며, 셀 팽창 발생시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전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 CHARGING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의 과충전 발생시 파우치 내부에서 셀의 팽창을 이용해 전기회로를 단락할 수 있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전자제품이 개발되고 있음에 따라 전제제품의 에너지원이 되는 이차 전지가 각광받고 있으며, 다양한 전자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리튬 이온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차전지의 내부에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 발열 및 폭발 등 다양한 안전 위험성이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비 이상적인 거동 중 하나로 과충전이 발생하는 경우, 소재의 화학 반응을 유발하여 파우치 셀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 과정은 내부 부피 팽창, 압력과 온도 상승에 기여하여 전지의 안전성에 악영향을 준다.
특히, 이차전지의 다른 구조인 각형과 원통형과 달리 파우치 셀 구조는 외장재의 물리적 강도가 약하고, 셀 레벨 안전기구(CID, PTC, 퓨즈, 등)가 없기 때문에 과충전 안전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셀 모듈이나 팩 패키지를 개선하여 과충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지만, 여전히 오작동에 대한 문제가 수반되며, 파우치 셀이 비정상적으로 팽창되었을시 이를 완벽하게 차단해야 하지만, 팽창 후 부피가 감소됨에 따라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시 추가적인 전류 공급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반복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파우치 셀 구조에서의 과충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된 기술이 필요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3-0051166 A (2013.05.2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파우치 셀구조에서 과충전과 같은 비정상 작동으로 인해 셀이 팽창되면, 셀의 부피 변화를 이용하여 전기회로를 단락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배터리 셀 및 셀을 포장하는 파우치; 상기 셀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전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으로 분할 구성된 전극탭; 상기 파우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극탭의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이 연결되며, 셀 팽창 발생시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단전부재는 파우치 내측 일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전극탭과 연결되는 제1단전부;와, 파우치 내측 타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단전부와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전극탭과 연결되며, 제1단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전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단전부는 파우치 내측 일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1헤드부와 제1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전극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단전부는 파우치 내측 타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2헤드부와 제2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전극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단전부와 제2단전부는 제1헤드부와 제2헤드부가 상호 접촉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전부의 제1헤드부에는 제2헤드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단자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전부의 제2헤드부에는 상기 제1헤드부의 단자핀에 대응되는 단자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헤드부에 형성된 단자핀은 복수개 형성되고, 제2헤드부에 형성된 단자홀도 단자핀과 동일하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제1단전부와 제2단전부의 전기적 연결시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전부의 제1연결부는 제1헤드부의 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단전부의 제2연결부는 제1연결부의 반대편 측면에서 연장되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단부가 상기 제1단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단전부에 연결되어, 제1단전부와 제2단전부가 접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재결합방지기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재결합방지기구는 일단부가 제1단전부의 제1헤드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단전부의 제2헤드부에 연결되며, 제1헤드부와 제2헤드부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는 과충전과 같은 비정상 작동으로 인해 셀이 팽창시 셀의 부피 변화를 이용하여 전기회로를 단락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셀 파우치 내부에서 셀 팽창시 전류를 단락시키는 구조로서, 추가적인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과충전 발생 이후 파우치 내부에 가스 배출로 인해, 내부 부피가 감소되는 과정에서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이 다시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상면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단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단전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단전부재 및 재결합방지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상면도이며,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단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단전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는 배터리 셀(100) 및 셀(100)을 포장하는 파우치(1000); 상기 셀(100)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전기의 출입의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으로 분할 구성된 전극탭(200); 상기 파우치(100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극탭(200)의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이 연결되며, 셀 팽창 발생시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전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는 이차 전지뿐만 아니라, 차량의 연료전지스택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전지 기술분야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안전 구조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파우치 셀 구조의 경우 비 이상적인 거동 중 하나로 과충전의 발생시 화학반응에 의해 셀(100) 내부에 가스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셀의 부피 팽창, 압력 상승, 온도 상승이 발생되어 발열 및 폭발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셀(100) 팽창시 파우치(1000)의 부피 변화를 이용하여 전기회로를 차단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를 단락시키기 위한 장치가 파우치(1000)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레이아웃이 유리하며, 기존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셀 모듈이나 팩 패키지 방식의 전류 차단 단계보다 앞서 전기를 단락할 수 있어 안정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0) 및 셀(100)을 포장하는 파우치(10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터리 셀(100)과 파우치(1000)의 구성은 자명한 기술인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셀(100)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전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전극탭(200)을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으로 분할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즉,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의 연결시에는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과충전에 의해 셀(100)이 팽창되면 본 발명의 단전부재(300)에 의해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이 서로 분리되어 전기 흐름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렇게, 분리 구성된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은 단전부재(3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어 전기를 단락시킨다.
상기의 전극탭(200)은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으로 분할되는 부분이 파우치(100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셀(100) 팽창에 따른 파우치(1000)의 부피 팽창을 이용하여 전기를 단락시키는 구조이며, 특히 하기 설명할 단락부재(300)는 파우치(1000)의 부피 팽창시 단락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바,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의 분할 위치는 파우치(100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단전부재(300)는 상기 파우치(100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극탭(200)의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이 연결되며, 셀(100) 팽창 발생시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은 단전부재(3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셀(100) 팽창 발생시 파우치(1000)의 부피 팽창과 연동되어 단락 동작이 수행되는 단전부재(300)에 의해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이 각기 분리되어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단전부재(300)는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과 더불어, 셀(100) 팽창시 연동되어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을 분리시킴으로써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단전부재(30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000) 내측 일측면(A)에 부착되고, 상기 제1전극탭(220)과 연결되는 제1단전부(320);와, 파우치(1000) 내측 타측면(B)에 부착되어 상기 제1단전부(320)와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전극탭(240)과 연결되며, 제1단전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전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단전부재(300)는 제1단전부(320)와 제2단전부(340)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제1단전부(320)는 파우치(1000)의 내측 일측면(A)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제2단전부(340)는 파우치(1000)의 내측 타측면(B)에 부착되어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단전부(320)에는 제1전극탭(220)이 연결되고, 제2단전부(340)에는 제2전극탭(240)이 연결되며, 셀(100)에 이상이 없는 평상시에는 제1단전부(320)와 제2단전부(340)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 간에 전기가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과충전으로 인해 셀(100)이 팽창되면, 파우치(1000)의 부피가 팽창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000)의 부피가 팽창됨에 따라 제1단전부(320)와 제2단전부(340)가 파우치(1000)의 팽창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러한 단전부재(3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의 제1단전부(320)는 파우치(1000) 내측 일측면(A)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1헤드부(322)와 제1헤드부(322)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전극탭(2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324)로 구성되고, 상기 제2단전부(340)는 파우치(1000) 내측 타측면(B)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2헤드부(342)와 제2헤드부(342)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전극탭(2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34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단전부(320)와 제2단전부(340)는 제1헤드부(322)와 제2헤드부(342)가 상호 접촉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단전부(320)와 제2단전부(340)의 제1헤드부(322) 및 제2헤드부(342)는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파우치(1000)의 내측단에 면 접촉되어 견고히 부착되도록 하고, 각 헤드부(322,342)가 마주보는 단면에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전기단자를 형성하여 상호 접촉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제1단전부(320)와 제2단전부(340)는 제1헤드부(322)와 제2헤드부(342)의 접촉시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셀(100) 내부로 전기가 흐르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제1단전부(320)와 제2단전부(340)는 과충전과 같은 이상 발생에 의해 셀(100)의 팽창시 파우치(1000) 내측으로 마주보는 단면에 각각 설치된 제1헤드부(322)와 제2헤드부(342)가 파우치(1000)의 부피 팽창으로 인해 서로 분리되어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제1단전부(320)의 제1헤드부(322)에는 제2헤드부(342)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단자핀(32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전부(340)의 제2헤드부(342)에는 상기 제1헤드부(322)의 단자핀(326)에 대응되는 단자홀(34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헤드부(322)에 형성되 단자핀(326)과 제2헤드부(342)에 형성된 단자홀(346)은 접촉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헤드부(322)의 단자핀(326)이 제2헤드부(342)에 단자홀(346)에 삽입되면 제1헤드부(322)와 제2헤드부(342)의 결속력이 증가되어 셀(100)의 팽창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서로 분리되지 않아 전기적 연결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헤드부(322)에 형성된 단자핀(326)은 복수개 형성되고, 제2헤드부(342)에 형성된 단자홀(346)은 단자핀(326)과 동일하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헤드부(322)의 단자핀(326)과 제2헤드부(342)의 단자홀(346)을 복수개로 형성하여 제1단전부(320)와 제2단전부(340)의 연결시 제1전극탭(220)와 제2전극탭(240) 간의 전기 흐름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헤드부(322)와 제2헤드부(342)의 결속력이 더욱 증가되어 파우치(1000)의 팽창이 충분히 이루어졌을 때, 제1헤드부(322)의 단자핀(326)이 제2헤드부(342)의 단자홀(346)에서 분리되어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324)와 제2연결부(344)는 제1단전부(320)와 제2단전부(340)의 전기적 연결시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탭(200)을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으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셀(100)의 정상적이 작동시에는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이 연결되되 셀(100) 팽창 발생시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이 서로 분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탭(220)은 제1단전부(320)의 제1연결부(324)에 연결되고, 제2전극탭(240)은 제2단전부(340)의 제2연결부(344)에 연결되며,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은 제1연결부(324)가 연결된 제1헤드부(322)와 제2연결부(344)가 연결된 제2헤드부(342)가 상호 접촉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단전부(320)의 제1헤드부(322)와 제2단전부(340)의 제2헤드부(342)의 접촉시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데, 제1연결부(324)와 제2연결부(344)가 서로 접촉되도록 형성될 경우 셀(100)이 팽창되어도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연결의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부(324)와 제2연결부(344)는 셀(100)에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도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제1전극탭(220)와 제2전극탭(240)의 전기적 연결은 제1헤드부(322)와 제2헤드부(342)의 접촉에 따라 결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단전부(320)의 제1연결부(324)는 제1헤드부(322)의 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단전부(340)의 제2연결부(344)는 제1연결부(324)의 반대편 측면에서 연장되어 제1연결부(324)와 제2연결부(344)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연결부(324)와 제2연결부(344)가 상호 평행하도록 연장형성함으로써 제1연결부(324)와 제2연결부(344)가 서로 접촉되어 직접적으로 전기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고, 제1헤드부(322)와 제2헤드부(342)가 접촉된 상태에서만 제1전극탭(220)와 제2전극탭(240) 간에 전기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셀(100) 팽창에 따른 파우치(1000)의 부피 팽창시 제1헤드부(322)와 제2헤드부(342)가 서로 분리되어 비접촉되면, 제1전극탭와 제2전극탭 간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420)가 상기 제1단전부(320)에 연결되고 타단부(440)가 상기 제2단전부(340)에 연결되어, 제1단전부(320)와 제2단전부(340)가 접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재결합방지기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재결합방지기구(400)는 일단부(420)가 제1단전부(320)의 제1헤드부(322)에 연결되고, 타단부(440)가 제2단전부(340)의 제2헤드부(342)에 연결되며, 제1헤드부(322)와 제2헤드부(342)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과충전과 같은 셀(100) 이상 발생시 셀(100) 팽창으로 인해 파우치(1000)의 부피 팽창이 이루어지고, 파우치(1000)의 내측으로 마주보는 양단면에 각각 연결된 제1단전부(320)의 제1헤드부(322)와 제2단전부(340)의 제2헤드부(342)가 각기 분리된다. 이때, 가스 팽창으로 인해, 파우치(1000)의 실링부가 터져 셀(100) 내부의 가스가 파우치(1000) 외부로 배출되면, 파우치(1000)의 부피가 감소됨에 따라 제1헤드부(322)와 제2헤드부(342)가 다시 재접촉될 수 있다.
상기 재결합방지기구(40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420)가 제1단전부(320)의 제1헤드부(322)에 연결되고, 타단부(440)가 제2단전부(340)의 제2헤드부(342)에 연결되어 제1헤드부(322)와 제2헤드부(342)가 접촉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이러한 재결합방지기구(400)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000)의 부피가 팽창됨에 따라 제1단전부(320)의 제1헤드부(322)와 제2단전부(340)의 제2헤드부(342)가 각기 분리되고, 재결합방지기구(400)가 제1헤드부(322)와 제2해드부에 외력을 가하여 각 헤드부(322,342)가 접촉방향의 수직한 방향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파우치(1000)의 부피가 팽창된 후 다시 감소되더라도 제1헤드부(322)와 제2해드부가 재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팽창 이후 이차적인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는 과충전과 같은 비정상 작동으로 인해 셀(100)이 팽창되면, 셀(100)의 부피 변화를 이용하여 전기회로를 단락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셀(100) 파우치 내부에서 셀(100) 팽창시 전류를 단락시키는 구조로서, 추가적인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과충전 발생 이후, 파우치 내부에 가스 배출로 인해, 내부 부피가 감소되는 과정에서 제1전극탭(220)과 제2전극탭(240)이 다시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추가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셀 200:전극탭
220:제1전극탭 240:제2전극탭
300:단전부재 320:제1단전부
322:제1헤드부 324:제1연결부
326:단자핀 340:제2단전부
342:제2헤드부 344:제2연결부
346:단자홀 400:재결합방지기구
1000:파우치

Claims (9)

  1. 배터리 셀 및 셀을 포장하는 파우치;
    상기 셀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전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으로 분할 구성된 전극탭; 및
    상기 파우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극탭의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이 연결되며, 셀 팽창 발생시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전부재는,
    파우치 내측 일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전극탭과 연결되는 제1단전부;와,
    파우치 내측 타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단전부와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전극탭과 연결되며, 제1단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전부는 파우치 내측 일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1헤드부와 제1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전극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단전부는 파우치 내측 타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2헤드부와 제2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전극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단전부와 제2단전부는 제1헤드부와 제2헤드부가 상호 접촉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단전부의 제1헤드부에는 제2헤드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단자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전부의 제2헤드부에는 상기 제1헤드부의 단자핀에 대응되는 단자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부에 형성된 단자핀은 복수개 형성되고, 제2헤드부에 형성된 단자홀은 단자핀과 동일하게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제1단전부와 제2단전부의 전기적 연결시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단전부의 제1연결부는 제1헤드부의 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단전부의 제2연결부는 제1연결부의 반대편 측면에서 연장되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제1단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단전부에 연결되어, 제1단전부와 제2단전부가 접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재결합방지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방지기구는 일단부가 제1단전부의 제1헤드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단전부의 제2헤드부에 연결되며, 제1헤드부와 제2헤드부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1020130167273A 2013-12-30 2013-12-30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101551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273A KR101551036B1 (ko) 2013-12-30 2013-12-30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US14/457,952 US9472801B2 (en) 2013-12-30 2014-08-12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CN201410452755.5A CN104752680B (zh) 2013-12-30 2014-09-05 电池过充电保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273A KR101551036B1 (ko) 2013-12-30 2013-12-30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123A KR20150080123A (ko) 2015-07-09
KR101551036B1 true KR101551036B1 (ko) 2015-09-08

Family

ID=5348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273A KR101551036B1 (ko) 2013-12-30 2013-12-30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72801B2 (ko)
KR (1) KR101551036B1 (ko)
CN (1) CN1047526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3744B2 (en) 2017-07-07 2021-11-23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372B1 (ko) * 2017-02-02 2020-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단락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364159B1 (ko) 2017-08-01 2022-02-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탭 절단 장치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CN108039426A (zh) * 2017-12-20 2018-05-15 庄巍 一种电动车的电池装置
KR20190126528A (ko) * 2018-05-02 2019-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7846A (ja) * 1998-08-20 2000-03-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安全弁付き電池ケース
KR101294179B1 (ko) 2011-11-09 2013-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4097A (ja) 1997-02-24 1998-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薄型電池
JP2001307774A (ja) * 2000-04-21 2001-11-02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6185709A (ja) 2004-12-27 2006-07-13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US20090029246A1 (en) * 2007-07-23 2009-01-29 Samsung Sdi Co., Lt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JP4636341B2 (ja) * 2008-04-17 2011-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52981B1 (ko) 2010-08-05 2013-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KR101539788B1 (ko) 2010-12-09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546545B1 (ko) 2010-12-09 2015-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KR101488055B1 (ko) 2011-07-29 2015-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및 이를 이용한 중대형 전지팩
KR101294168B1 (ko) * 2011-09-26 2013-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KR101327123B1 (ko) 2011-12-07 2013-11-07 세방전지(주)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CN203039012U (zh) * 2012-11-29 2013-07-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过充电的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7846A (ja) * 1998-08-20 2000-03-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安全弁付き電池ケース
KR101294179B1 (ko) 2011-11-09 2013-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3744B2 (en) 2017-07-07 2021-11-23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8305A1 (en) 2015-07-02
US9472801B2 (en) 2016-10-18
CN104752680B (zh) 2019-03-26
KR20150080123A (ko) 2015-07-09
CN104752680A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20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CN103931025B (zh) 改进安全性的电池组
KR10135931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091483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US8547069B2 (en) Safety switch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KR101383167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13005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KR101551036B1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102249889B1 (ko) 이차 전지용 보호 장치
KR20140032165A (ko) 전기자동차 배터리모듈 안전장치
KR10130798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EP2876725A1 (en) Protection apparatus for rechargeable battery
EP3540822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automobile including same
KR101389227B1 (ko) 과충전 방지 수단을 가지는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
US9843032B2 (en) Battery module
KR101608694B1 (ko) 2차 전지용 과충전 방지 장치
KR20120056812A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EP2696398B1 (en) Battery pack safety device
KR101999610B1 (ko) 과충전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베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